KR101089359B1 -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359B1
KR101089359B1 KR1020100021393A KR20100021393A KR101089359B1 KR 101089359 B1 KR101089359 B1 KR 101089359B1 KR 1020100021393 A KR1020100021393 A KR 1020100021393A KR 20100021393 A KR20100021393 A KR 20100021393A KR 101089359 B1 KR101089359 B1 KR 101089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locking
door
driving
signal
driv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1985A (ko
Inventor
홍성욱
홍민지
Original Assignee
홍민지
홍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민지, 홍성욱 filed Critical 홍민지
Priority to KR1020100021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359B1/ko
Publication of KR20110101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9Remote starting of engi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56Control of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차량 도어를 선택적으로 언록킹(unlocking)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도어의 불필요한 언록킹으로 인한 불량한 의도를 가진 타인의 탑승 방지 및 구동모터의 불필요한 동작에 따른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모터의 불필요한 구동을 방지함으로써 구동모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도어 언록킹 구동 모터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며, 도어 록킹 구동 모터에 대해서는 한꺼번에 모두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원격제어 스위치부; 및 상기 원격제어 스위치부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구동 모터를 제어하여 구동하는 구동모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 and unlock of automobile door}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차량 도어를 선택적으로 언록킹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도어의 불필요한 언록킹으로 인한 불량한 의도를 가진 타인의 탑승 방지 및 구동모터의 불필요한 동작에 따른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모터의 불필요한 구동을 방지함으로써 구동모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도어 록킹(locking) 및 언록킹 (unlocking) 제어장치는 사용자(운전자)가 운전석 도어를 록킹 또는 언록킹할 때 운전석 도어의 록킹 또는 언록킹은 물론 나머지 도어들도 동시에 록킹 또는 언록킹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원격제어(remote-controller; 이하, '리모콘'이라 약칭한다) 스위치를 통해 원격으로 차량 도어를 록킹/언록킹하는 경우에도 통상적으로 차량의 모든 도어가 한꺼번에 록킹/언록킹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차량 도어가 한꺼번에 록킹/언록킹되는 구조에 의하면, 모든 도어의 록킹/언록킹 구동 모터가 동시에 구동되기 때문에 차량 내의 전자제어장치에 악영향을 미치는 서지 전압 등이 발생할 위험이 크며, 또한 운전자만 탑승하는 경우에도 나머지 다른쪽 도어의 록킹/언록킹 구동 모터가 모두 구동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차량 도어가 한꺼번에 언록킹되는 구조에 따르면, 불량한 의도를 가진 타인이 조수석 또는 뒷좌석의 도어를 통해 탑승하여 운전자, 특히 여성 운전자를 위협하여 강도 등을 행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차량 도어를 선택적으로 언록킹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도어의 불필요한 언록킹으로 인한 불량한 의도를 가진 타인의 탑승 방지 및 구동모터의 불필요한 동작에 따른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모터의 불필요한 구동을 방지함으로써 구동모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장치는, 도어 언록킹 구동 모터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며, 도어 록킹 구동 모터에 대해서는 한꺼번에 모두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원격제어 스위치부; 및 상기 원격제어 스위치부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구동 모터를 제어하여 구동하는 구동모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제어 스위치부에는 상기 언록킹 구동 모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스위치 접점(쌍), 및 무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신호 송신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격제어 스위치부의 스위치 접점(쌍)은, 일측을 누르면 제1 접점이 온되어 운전석 도어의 언록킹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고, 타측을 누르면 제2 접점이 온되어 나머지 도어의 언록킹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며, 중앙을 누르면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이 모두 온되어 모든 도어의 언록킹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격제어 스위치부의 스위치 접점은, 차량의 각 도어를 개별적으로 일대일로 언록킹하기 위해 마련된 차량 도어의 개수 만큼에 해당하는 개별 스위치들의 각각에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 방법은, 도어 언록킹 구동 모터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구동 제어하는 언록킹 구동단계; 및 도어 록킹 구동 모터에 대해서는 한꺼번에 모두 구동 제어하는 록킹 구동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언록킹 구동단계는, 운전석 도어의 언록킹 구동 모터만 따로 구동 제어하고 나머지 도어의 언록킹 구동 모터에 대해서는 한꺼번에 구동 제어하는 단계; 및 차량의 모든 도어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언록킹 구동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차량 도어를 선택적으로 언록킹(unlocking) 할 수 있으므로 도어의 불필요한 록킹 해제로 인한 불량한 의도를 가진 타인의 탑승 방지 및 구동모터의 불필요한 동작에 따른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모터의 불필요한 구동을 방지함으로써 구동모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격제어 스위치부의 구성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원격제어 스위치부에 적용되는 스위치의 일시시예의 구성 및 동작 상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원격제어 스위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 방법의 흐름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원격제어 스위치부의 구성도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원격제어 스위치부에 적용되는 스위치의 일시시예의 구성 및 동작 상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원격제어 스위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장치는, 도어 언록킹 구동 모터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며, 도어 록킹 구동 모터에 대해서는 한꺼번에 모두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원격제어 스위치부(100); 및 원격제어 스위치부(100)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구동 모터(FLH, FRH, RLH, RRH)를 제어하여 구동하는 구동모터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구동 모터(FLH, FRH, RLH, RRH)는 각각 언록킹 구동 모터 및 록킹 구동 모터로서 작동하는 것으로, 시계방향으로 작동하면 록킹 구동 모터로 작동하는 것이고, 시계반대방향으로 작동하면 언록킹 구동 모터로 작동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즉, 본 발명에서 다루고 있는 도어 언록킹 구동 모터와 록킹 구동 모터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듯이,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하나의 모터가 작동 방향에 따라 그 역할을 달리하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언록킹 구동 모터와 록킹 구동 모터를 따로 존재하는 것처럼 표현한 것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원격제어 스위치부(100)에는 상기 언록킹 구동 모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스위치 접점(또는 접점쌍; 도 3)(110)을 갖는 스위치(102; 도 2), 및 무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신호 송신부(120)가 포함된다.
도 3a 내지도 3d를 참조하면, 원격제어 스위치부(100)의 스위치 접점(110)를 갖는 스위치(102)는, 예를 들어 도 3b와 같이 일측(A쪽)을 누르면 제1 접점(a1, a2)이 온되어 운전석 도어의 언록킹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고, 도 3c와 같이 타측(B쪽)을 누르면 제2 접점(b1, b2)이 온되어 나머지 도어의 언록킹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며, 도 3d와 같이 중앙을 누르면 제1 접점(a1, a2) 및 제2 접점(b1, b2)이 모두 온되어 모든 도어의 언록킹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a의 경우는 제1, 2 접점 모두가 오프된 상태로, 예를 들어 탄성 스프링에 의해 해당 접점(a1, a2)(b1, b2)이 떨어져 있는 평상시의 경우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원격제어 스위치부의 스위치 접점(110)은, 차량의 각 도어를 개별적으로 일대일로 언록킹하기 위해 마련된 차량 도어의 개수 만큼에 해당하는 개별 스위치들의 각각에 마련될 수 있다. 도 4a의 경우는 예를 들어 4개의 도어가 있는 차량의 원격제어 스위치부의 예이고, 도 4b의 경우는 2개의 도어가 있는 차량의 원격제어 스위치부의 예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원격제어 스위치부에 있어서, 1번 스위치(1)는 운전석 도어에 관련된 스위치이고, 2,3,4번 스위치(2, 3, 4)는 각각 조수석 도어, 뒷좌석 왼쪽 도어, 뒷좌석 오른쪽 도어에 관련된 스위치이며, 이들 스위치들(1, 2, 3, 4)은 바람직하게 원터치 스위치 또는 이에 대응되는 스위치로 한다.
도 2의 실시예의 스위치(102)는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의 스위치로 하며, 도 4a 및 도 4b의 스위치들(1, 2, 3, 4)은 하나의 신호만 송신하면 되므로 원터치 스위치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부재번호 104로 지시된 스위치는 기존과 같이 모든 도어 록킹 구동 모터를 한꺼번에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로서, 종래와 같은 스위치, 예를 들면 원터치 스위치이거나 또는 이에 대응되는 스위치일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원격제어 스위치부(100)는, 널리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차량 원격시동장치의 조작 리모콘(remote-controller)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원격제어 스위치부(100)는 차량 원격시동장치의 조작 리모콘에 포함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차량 원격시동장치의 조작 리모콘이 본 발명의 원격제어 스위치부(100)에 포함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 방법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언록킹 구동 모터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구동 제어하는 언록킹 구동단계(S100); 및 도어 록킹 구동 모터에 대해서는 한꺼번에 모두 구동 제어하는 록킹 구동 단계(S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언록킹 구동단계(S100)는 원격제어 스위치부(100)에서 언록킹 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10)와, 언록킹 구동 신호가 있으면 운전석 도어의 언록킹 구동 모터만 따로 구동 제어하고 나머지 도어의 언록킹 구동 모터에 대해서는 한꺼번에 구동 제어하거나(S120, S130) 또는 차량의 모든 도어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언록킹 구동 제어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록킹 구동단계(S200)는 록킹 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록킹 신호가 있으면(S210) 모든 록킹 구동모터를 한꺼번에 구동하는 단계(S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 장치 및 방법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원격제어 스위치부(100)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운전자)는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운전석 도어만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위치(102)의 "A"쪽을 누른다. 스위치(102)의 "A"쪽을 누르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점(a1, a2)이 온되어 원격제어 스위치부(100)의 무선 송신부(120)를 통해 운전석 도어만 언록킹시키기 위한 신호가 송신된다. 상기 무선 송신부(120)를 통해 송신되는 언록킹 신호는, 해당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기술을 통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관련한 기술, 즉 무선 신호 송수신과 관련한 상세한 기술의 내용은 설명의 간단 명료화를 위하여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원격제어 스위치부(100; 도 2)에서 언록킹 신호가 송신되면, 구동모터 제어부(200)는 상기 언록킹 신호를 수신하여 운전석 도어의 구동모터(FLH)만 언록킹되도록 구동제어한다. 구동모터 제어부(200)가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기술 또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을 통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하 설명의 간단 명료화를 위하여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도 생략한다.
한편, 사용자(운전자)가 운전석 도어를 제외한 다른쪽 모든 도어를 열고자 하면, 스위치(102; 도 2)의 "B"쪽을 누른다. 스위치(102)의 "B"쪽을 누르면,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점(b1, b2)가 온되어 원격제어 스위치부(100)의 무선 송신부(120)를 통해 운전석 도어만 언록킹시키기 위한 신호가 송신된다. 원격제어 스위치부(100; 도 2)에서 언록킹 신호가 송신되면, 구동모터 제어부(200)는 이 언록킹 신호를 수신하여 운전석 도어의 구동모터(FLH)를 제외한 다른 모든 도어의 구동모터(FRH, RLH, RRH)를 언록킹되도록 구동제어한다.
다른 한편, 사용자(운전자)가 차량의 모든 도어를 한꺼번에 열고자 하면, 스위치(102; 도 2)의 중앙을 누른다. 스위치(102)의 중앙을 누르면,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점(a1, a2)(b1, b2) 모두가 온되어 원격제어 스위치부(100)의 무선 송신부(120)를 통해 모든 도어를 언록킹시키기 위한 신호가 송신된다. 원격제어 스위치부(100; 도 2)에서 상기 언록킹 신호가 송신되면, 구동모터 제어부(200)는 이 언록킹 신호를 수신하여 모든 도어의 구동모터(FLH, FRH, RLH, RRH)를 언록킹되도록 구동제어한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스위치부100)는 스위치의 갯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지만, 운전석 도어를 제외한 다른쪽 도어들에 대해서는 개별적으로 언록킹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이 도 4에 도시한 스위치 구성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운전자)는 자신이 원하는 도어에 해당하는 스위치를 누르면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운전자)가 뒷좌석 오른쪽 도어만 열고자 하면, 원격제어 스위치부(100; 도 4a)의 3번 스위치(3)를 누른다. 도 4a의 3번 스위치(3)를 누르면, 원격제어 스위치부(100)의 무선 송신부(120)는 뒷좌석 오른쪽 도어만 언록킹시키기 위한 신호를 송신한다. 원격제어 스위치부(100)에서 뒷좌석 오른쪽 도어만 열기 위한 언록킹 신호가 송신되면, 구동모터 제어부(200)는 상기 언록킹 신호를 수신하여 뒷좌석 오른쪽 도어의 구동모터(RLH)를 언록킹 구동제어한다. 조수석 또는 뒷좌석 왼쪽 도어만 열고자 하면, 사용자(운전자)는 원격제어 스위치부(100)의 2번 스위치(2) 또는 4번 스위치(4)를 누르면 될 것이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더불어서, 사용자(운전자)는 도 4a 및 도 4b의 실시예에서, 스위치들(1, 2, 3, 4)를 조합하여 누름으로써, 예를 들면 1번 스위치(1)와 4번 스위치(4)를 동시에 눌러 운전석 도어와 뒷좌석 오른쪽 도어를 동시에 열 수 있는데, 이는 1번 스위치(1)와 4번 스위치(4)를 순차적으로 누르지 않고 동시에 누름으로써 해당 도어를 동시에 언록킹시키는 것이며, 이와 같은 동작을 구현하는 기술 또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스위치(102)의 "B"쪽 또는 중앙을 눌렀을 때 복수개의 도어를 동시에 언록킹하는 기술을 통해서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설명의 단순 명료화를 위해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지금까지,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다. 실시예들의 설명에서는, 도어가 4개 또는 2개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도어뿐만 아니라 트렁크까지 도어로 고려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도어가 4개 이상인 차량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원격제어 스위치부 110 : 스위치 접점(쌍)
120 : 무선신호 송신부 200 : 구동모터 제어부
FLH : 운전석 도어 구동모터 FRH : 조수석 도어 구동모터
RLH : 뒷좌석 왼쪽 도어 구동모터 RRH : 뒷좌석 오른쪽 도어 구동모터

Claims (5)

  1.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장치에 있어서,
    도어 언록킹 구동 모터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며, 도어 록킹 구동 모터에 대해서는 한꺼번에 모두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원격제어 스위치부;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원격제어 스위치부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구동 모터를 제어하여 구동하는 구동모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제어 스위치부에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상기 언록킹 구동 모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스위치 접점, 및 무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신호 송신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스위치부의 스위치 접점은,
    일측을 누르면 제1 접점이 온되어 운전석 도어의 언록킹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고, 타측을 누르면 제2 접점이 온되어 나머지 도어의 언록킹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며, 중앙을 누르면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이 모두 온되어 모든 도어의 언록킹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스위치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스위치부의 스위치 접점은,
    차량의 각 도어를 개별적으로 일대일로 언록킹하기 위해 마련된 차량 도어의 개수 만큼에 해당하는 개별 스위치들의 각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스위치부는 차량 원격시동제어장치의 조작 리모콘(remote-controller)과 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장치.
  5. 도어 언록킹 구동 모터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며, 도어 록킹 구동 모터에 대해서는 한꺼번에 모두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원격제어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 방법에 있어서,
    도어 언록킹 구동 모터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원격제어 스위치부를 조작하여 선택적으로 구동 제어하는 언록킹 구동단계; 및
    도어 록킹 구동 모터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원격제어 스위치부를 조작하여 한꺼번에 모두 구동 제어하는 록킹 구동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언록킹 구동단계는,
    운전석 도어의 언록킹 구동 모터만 따로 구동 제어하고 나머지 도어의 언록킹 구동 모터에 대해서는 한꺼번에 구동 제어하는 단계; 및 차량의 모든 도어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언록킹 구동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 방법.
KR1020100021393A 2010-03-10 2010-03-10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089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393A KR101089359B1 (ko) 2010-03-10 2010-03-10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393A KR101089359B1 (ko) 2010-03-10 2010-03-10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985A KR20110101985A (ko) 2011-09-16
KR101089359B1 true KR101089359B1 (ko) 2011-12-02

Family

ID=44953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393A KR101089359B1 (ko) 2010-03-10 2010-03-10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3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367A (ko) 2019-10-23 2021-05-03 노대성 차량도어 원격제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908B1 (ko) * 2007-10-09 2009-01-15 엄태준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908B1 (ko) * 2007-10-09 2009-01-15 엄태준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985A (ko) 201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7123254B4 (de) Fahrzeugsteuersystem
JP2006089946A (ja) 携帯機
US20110172885A1 (en) Universal garage door opener and appliance control system
US9710985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US20130268142A1 (en) Vehicle Intelligent Key Device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US9079535B2 (en) Tonneau cover device
RU2421351C2 (ru) Электрическое блок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рулевого механизм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автомобиля
JP4679933B2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KR20140116237A (ko) 복합 원격시동시스템
KR100767479B1 (ko) 차량 보안 상태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키시스템
US20170274870A1 (en) Smart key system
KR101089359B1 (ko)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 장치 및 방법
US81939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activation using a transmitter switch array
JP4585961B2 (ja) 無線通信制御システム
JP2007085141A (ja) 車両用遠隔操作装置
US107816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a window of a power window system of a vehicle
CN105480191B (zh) 车辆解锁系统及方法
CN210310267U (zh) 车门控制系统及车辆
JP6629680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携帯機
KR101000134B1 (ko) 차량 도어 제어회로
JP4762761B2 (ja) 遠隔制御用携帯機
KR20120060478A (ko)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4156386A (ja) チャイルドロック制御システム
JP5199923B2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
JP2004156238A (ja) 車両用施解錠制御装置及び車両用施解錠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