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973B1 - 가스엔진의 연료회수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스엔진의 연료회수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973B1
KR101088973B1 KR1020090093789A KR20090093789A KR101088973B1 KR 101088973 B1 KR101088973 B1 KR 101088973B1 KR 1020090093789 A KR1020090093789 A KR 1020090093789A KR 20090093789 A KR20090093789 A KR 20090093789A KR 101088973 B1 KR101088973 B1 KR 101088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supply line
valve
vacuum
fuel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6235A (ko
Inventor
김정호
이선학
Original Assignee
한국지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지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3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973B1/ko
Publication of KR20110036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23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02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 F02D19/0605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to adjust the fuel pressure or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26Measuring or estimating parameters related to the fuel supply system
    • F02D19/0628Determining the fuel pressure, temperature or flow, the fuel tank fill level or a valve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F02M37/0052Details on the fuel return circuit; Arrangement of 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37/10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700/00Supplying, feeding or preparing air, fuel, fuel air mixtures or auxiliary fluids for a combustion engine; Use of exhaust gas; Compressors for piston engines
    • F02M2700/05Miscellaneous constructional elements; Leakag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PG, CNG, LNG 등을 연료로서 사용하는 가스엔진의 연료공급시스템에서 연료공급라인에 잔류하는 연료를 회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연료긴급차단스위치(90)가 작동되거나 엔진이 정지하는 경우 제1컷오프밸브(61)와 제2컷오프밸브(62)를 닫고; 제1압력센서(131)와 제2압력센서(132)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센싱신호를 연산하여 단위시간당 압력강하값(ΔP1/Δt) 및 (ΔP2/Δt)을 산출하고, 산출된 값을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준값 이상이 되면 제1연료공급라인(60)에 연료 누출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진공회수탱크 단속밸브(111)를 개방하여 진공회수탱크(110)의 진공압이 연료회수라인(100)에 작용하게 하며; 연료리턴밸브(120)를 제2위치로 전환하여 제1연료공급라인(60)과 연료회수라인(100)을 서로 연통하게 하여, 진공회수탱크(110)의 진공력이 제1연료공급라인(60)에 작용하도록 하여 제1연료공급라인(60)의 연료가 진공회수탱크(110)에 흡인되도록 한다.
가스, 엔진, 연료, 공급, 라인, 회수, 진공, 탱크

Description

가스엔진의 연료회수장치 및 방법{Fuel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for Gas Engine}
본 발명은 가스엔진의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긴급차단스위치를 작동한 이후 또는 엔진을 정지한 이후 연료공급라인에 누출이 발생하는 경우 연료공급라인에 잔류하는 연료를 진공회수탱크를 사용하여 긴급회수할 수 있도록 한 가스엔진의 연료회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LPG, CNG, LNG 등의 가스연료를 연소시켜 동력을 발생하는 가스엔진의 연료 공급방법은, 연료탱크에 저장된 고압의 가스연료를 감압시켜 기체상태로 엔진의 흡기관에 공급하는 베이퍼라이저를 이용한 기상 분사방식과, 가스연료를 액체상태로 만들어 인젝터에 의해 분사하는 액상 인젝션 방식이 있다.
액상 인젝션 방식의 가스엔진에서는, 인젝터가 분사하고 남는 가스연료를 연료탱크로 상시 회수하는 회수방식과, 인젝터가 분사하고 남는 가스연료를 연료탱크로 회수하지 않는 비회수방식이 있다.
첨부도면 도 1에는, 종래의 액상 인젝션 비회수방식의 가스엔진의 연료공급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연료공급시스템은, 가스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10)와, 연료탱크내에 설치되어 액상의 가스연료를 펌핑하는 연료펌프(20)와, 연료펌프(20)에 의해 공급된 연료를 엔진으로 분사하는 인젝터(30)들이 설치되는 연료레일(40)과, 연료레일(40)에 공급되는 연료의 압력을 연료탱크(10)의 압력보다 높게 유지하도록 하는 압력조정기(50)와, 상기 연료 펌프(20)로부터 상기 압력조정기(50)를 연결하는 제1연료공급라인(60)과, 상기 압력조정기(50)와 연료레일(40)을 연결하는 제2연료공급라인(70)과, 연료공급계통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ECU(Eeletronic Control Unit)(80)를 포함한다.
상기 연료펌프(20) 출구측의 제1연료공급라인(60)에 설치되는 제1컷오프 솔레노이드 밸브(cut-off solenoid valve)(61)(이하, '제1컷오프밸브'라고 약칭한다)와, 압력조정기(50) 입구측의 제1연료공급라인(60)에 설치되는 제2컷오프 솔레노이드 밸브(62)(이하, '제2컷오프밸브'라고 약칭한다)를 포함한다. 또한, 제1컷오프밸브(61)의 상류측에는 릴리프밸브(63)가 설치되고, 연료레일(40)에는 압력센서(41)와 댐퍼(42)가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운전석에는 연료 긴급차단스위치(90)가 설치되어, 시동을 끌 때나 사고시 운전자가 연료를 강제로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가스연료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정상운전시에는 ECU(80)에 의해 제1컷오프밸브(61)와 제2컷오프밸브(62)가 모두 개방되어, 인젝터(30)로부터 연료가 정상적으로 분사된다.
만일 운전자가 연료 긴급차단스위치(90)를 누르면, 제1컷오프밸브(61)와 제2 컷오프밸브(62)가 동시에 닫혀 연료를 차단하게 된다. 연료를 차단하면 제2연료공급라인(70)과 연료레일(40)에 남아있는 연료는 인젝터(30)로 분사되어 소모된다.
하지만, 제1컷오프밸브(61)와 제2컷오프밸브(62) 사이의 제1연료공급라인(60)에는 연료가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또한, 엔진의 시동을 끌 때에도 제1컷오프밸브(61)와 제2컷오프밸브(62)는 닫히지만 제1컷오프밸브(61)와 제2컷오프밸브(62) 사이의 제1연료공급라인(60)에는 연료가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연료공급라인(60)에 연료가 그대로 남아 있을 경우, 사고 또는 연결부의 불량이나 노화 등으로 인해 제1연료공급라인(60)에 누출이 발생하면 폭발 사고나 화재로 발전할 위험성이 크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엔진 정지 후나 연료 긴급차단스위치 작동시 제1컷오프밸브와 제2컷오프밸브 사이의 연료공급라인에 누출이 발생하는 경우 남아있는 연료를 회수할 수 있는 가스엔진의 연료회수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스엔진의 연료회수장치는, 메인 연료탱크 내에 설치되는 연료펌프와, 연료펌프에 의해 공급된 연료를 엔진으로 분사하는 인젝터가 설치되는 연료레일과, 연료레일에 공급되는 연료의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조정기와, 상기 연료 펌프로부터 상기 압력조정기를 연결하는 제1연료공급라인과, 연료펌프 출구측의 제1연료공급라인에 설치되는 제1컷오프밸브와, 압력조정기 입구측의 제1연료공급라인에 설치되는 제2컷오프밸브를 포함하는 가스엔진의 연료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컷오프밸브와 제2컷오프밸브 사이의 제1연료공급라인 도중에서 분기되는 연료회수라인; 상기 연료회수라인에 설치되는 진공회수탱크 및 진공회수탱크에 설치된 단속밸브; 상기 제1연료공급라인과 연료회수라인의 분기점에 설치되어, 연료회수라인은 닫고 제1연료공급라인을 개방하는 제1위치와 연료회수라인과 제1연료공급라인을 서로 연통시키는 제2위치로 동작하는 연료리턴밸브; 상기 연료리턴밸브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설치되어 제1연료공급라인 내부의 연료압력을 센싱하는 제1압력센서와 제2압력센서; 및 인젝터, 연료펌프, 제1, 2 컷오프밸브를 제어하고, 운전자에 의해 연료긴급차단스위치가 온(ON) 조작되거나 엔진이 정지한 이후, 상기 제1,2압력센서에서 입력되는 센싱신호를 처리하여 단위시간당 압력강하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이 되면 진공회수탱크의 단속밸브를 개방하고, 연료리턴밸브를 제2위치로 전환하여 진공회수탱크의 진공력이 제1연료공급라인에 작용하도록 제어하는 ECU를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연료회수장치에 있어서, 제1압력센서와 제1컷오프밸브 사이 및 제2압력센서와 제2컷오프밸브 사이에, ECU의 제어하에 제1연료공급라인을 개방하여 연료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제1위치와 제1연료공급라인을 외기와 연통시키는 제2위치로 동작하는 제1, 제2 외기유입용 전환밸브를 각각 설치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엔진의 연료회수방법으로서, 연료긴급차단스위치가 작동되거나 엔진이 정지하는 경우 제1컷오프밸브와 제2컷오프밸브를 닫는 과정; 제1압력센서와 제2압력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센싱신호를 연산하여 단위시간당 압력강하값(ΔP1/Δt) 및 (ΔP2/Δt)을 산출하고, 산출된 값을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준값 이상이 되면 제1연료공급라인에 연료 누출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진공회수탱크 단속밸브를 개방하여 진공회수탱크의 진공압이 연료회수라인에 작용하게 하는 과정; 연료리턴밸브를 제2위치로 전환하여 제1연료공급라인과 연료회수라인을 서로 연통하게 하여 진공회수탱크의 진공력이 제1연료공급라인에 작용하도록 하여 제1연료공급라인의 연료가 진공회수탱크에 흡인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연료회수방법에 있어서, 연료리턴밸브를 제2위치로 전환한 이후, 제1외기유입용 전환밸브 및 제2외기유입 전환밸브를 제2위치로 전환하여 제1연료공급라인에 외기가 작용하도록 하는 과정; 상기 제1, 2외기유입용 전환밸브를 제2위치로 전환한 시점부터 타이머에 의해 경과시간을 검출하여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진공회수탱크 단속밸브를 닫아 진공회수탱크를 밀폐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스엔진의 연료회수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운전자에 의해 연료긴급차단스위치가 작동하거나 엔진이 정지해 있을 때 연료공급라인에 기준값 이상의 압력강하가 생기면 이를 감지하여 진공회수탱크의 진공력을 이용하여 흡인함으로써 연료 누출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엔진의 연료회수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연료탱크(10)는 '메인 연료탱크(10)'로 칭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료회수장치에서는 제1컷오프밸브(61)와 제2컷오프밸브(62) 사이의 제1연료공급라인(60) 도중에서 연료회수라인(100)을 분기하여 설치한 형태이다.
그리고 상기 연료회수라인(100)에는 진공회수탱크(110)를 설치하고, 제1연료공급라인(60)과 연료회수라인(100)의 분기점에 연료리턴밸브(120)를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연료리턴밸브(120)는, ECU(80)의 제어하에 연료회수라인(100)은 닫고 제1연료공급라인(60)을 개방하는 제1위치와 연료회수라인(100)과 제1연료공급라인(60)을 서로 연통시키는 제2위치로 동작한다.
진공회수탱크(110)는 내부에 진공이 유지되도록 제조되며, 입구 부분에 단속밸브(111)가 설치되어 있는 형태이다. 단속밸브(111)는 닫혀있는 상태로 제조되며, ECU(80)의 제어에 의해 개방되는 경우 진공회수탱크(110)에 부여된 진공력이 연료회수라인(100)이 작용하도록 한다.
또한, 연료리턴밸브(120)의 상류와 하류측에 제1압력센서(131)와 제2압력센서(132)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제2컷오프밸브(61, 62)에 인접하여서는 각각 제1, 제2 외기유입용 전환밸브(141, 142)가 설치된다.
제1, 2 외기유입용 전환밸브(141, 142)는 ECU(80)의 제어하에 제1연료공급라인(60)을 개방하여 연료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제1위치와 제1연료공급라인(60)을 외기와 연통시키는 제2위치로 동작한다.
ECU(80)는, 운전 상황이나 연료긴급차단스위치(90)의 조작 여부에 따라 인젝터(30), 연료펌프(20), 제1, 2 컷오프밸브(61, 62)를 제어한다. 또한, ECU(80)는, 연료긴급차단스위치(90)가 온(ON, 차단) 되거나 엔진이 정지하는 경우, 제1,2압력센서(131, 132)에서 입력되는 센싱신호를 처리하여 단위시간당 압력강하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이 되는 경우 단속밸브(111)를 열고 연료리턴밸브(120)를 제2위치로 전환하여 개방하며, 이어서 제1,2외기유입용 전환밸브(141, 142)를 개방하여 제1연료공급라인(60)에 잔류하는 연료가 진공회수탱크(110)로 빨려들어가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스엔진의 연료회수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2를 병행 참조한다.
정상운전시에는 ECU(80)의 제어에 의해 연료펌프(20)와 인젝터(30)를 제어하여 엔진을 구동한다. 이때, 제1,2 컷오프밸브(61, 62)는 개방되고, 연료리턴밸브(120)는 제1위치로 전환하여 연료회수라인(100)은 닫고 제1연료공급라인(60)을 개방하며, 제1, 2 외기유입용 전환밸브(141, 142)도 제1위치로 전환하여 외기는 차단하고 제1연료공급라인(60)의 연료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에 의해 연료 긴급차단스위치(90)가 작동되거나(s501), 엔진이 정지하면(s502), ECU(80)는 제1컷오프밸브(61)와 제2컷오프밸브(62)를 닫는다(s503).
이어서, 제1압력센서(131)와 제2압력센서(132)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센싱신호를 연산하여 단위시간당 압력강하값(ΔP1/Δt) 및 (ΔP2/Δt)을 산출하고 그 값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이면(s504)(s505), 제1연료공급라인(60)에 연료 누출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진공회수탱크 단속밸브(111)를 개방한다(s506). 진공회수탱크 단속밸브(111)가 개방되면, 진공회수탱크(110)의 진공압은 연료회수라인(100)에 작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연료리턴밸브(120)를 제2위치로 전환한다(s507). 연료리턴밸브(120)가 제2위치로 전환됨에 따라 제1연료공급라인(60)과 연료회수라인(100)은 서로 연통하게 된다. 그러면, 진공회수탱크(110)의 진공력은 제1연료공급라인(60)에 작용하게 되어 제1연료공급라인(60)에 있는 연료가 일부 진공회수탱크(110)에 흡인된다. 제1연료공급라인(60)의 누출부의 구멍이나 틈새가 크다면 해당 누출부를 통해 제1연료공급라인(60)에 외기가 작용하기 때문에 제1연료공라인(60)의 연료는 진공회수탱크(110)에 거의 모두가 신속히 빨려들어가게 되고, 미세하면 서서히 빨려들어가게 된다.
누출부의 구멍이나 틈새가 미세한 경우를 대비하여, 제1외기유입용 전환밸브(141) 및 제2외기유입 전환밸브(142)를 제2위치로 전환하여 제1연료공급라인(60)에 외기를 인위적으로 작용하도록 한다(s508). 진공력이 작용하고 있던 제1연료공급라인(60)이 외기와 연통하면, 제1연료공급라인(60)의 연료는 그 즉시 모두 진공회수탱크(110)로 흡인된다(s509).
상기한 제1, 2외기유입용 전환밸브(141, 142)를 제2위치로 전환한 시점부터 ECU(80)는 내장 타이머에 의해 경과시간을 체크 하고,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s510), 진공회수탱크 단속밸브(111)를 닫아 진공회수탱크(110)에 흡입된 연료를 밀폐하여 가둔다(s511).
이어서, 제1,2 외기유입용 전환밸브(141, 142)를 제1위치로 닫고(s512), 연료리턴밸브(120)도 제1위치로 닫는다(s513). 이러한 단계 s512와 s513은 연료공급 계통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엔진의 연료회수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운전자에 의해 연료긴급차단스위치가 작동하거나 엔진이 정지해 있을 때 연료공급라인에 누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즉시 연료공급라인에 남아있는 연료를 진공회수탱크로 흡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연료회수장치 및 방법을 가스엔진 자동차에 적용하는 경우, 연료공급라인의 각 연결부의 불량이나 노화 또는 사고 등으로 인해 연료공급라인에 누출이 발생하더라도 남아있는 연료를 즉각적으로 회수할 수 있으므로 폭발 사고나 화재로 방지할 수 있는 안전한 자동차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가스엔진 연료공급 시스템의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엔진 연료공급 시스템의 계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회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 연료탱크 20 : 연료펌프
30 : 인젝터 40 : 연료레일
41 : 압력센서 42 : 댐퍼
50 : 압력조정기 60 : 제1연료공급라인
61 : 제1컷오프밸브 62 : 제2컷오프밸브
63 : 릴리프 밸브 90 : 연료긴급차단스위치
100 : 연료회수라인 110 : 진공회수탱크
111 : 단속밸브 120: 연료리턴밸브
131 : 제1압력센서 132 : 제2압력센서
141 : 제1외기유입용 전환밸브 142: 제2외기유입용 전환밸브

Claims (4)

  1. 가스연료를 저장하는 메인 연료탱크(10)와, 메인 연료탱크(10) 내에 설치되는 연료펌프(20)와, 연료펌프(20)에 의해 공급된 연료를 엔진으로 분사하는 인젝터(30)가 설치되는 연료레일(40)과, 연료레일(40)에 공급되는 연료의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조정기(50)와, 상기 연료 펌프(20)로부터 상기 압력조정기(50)를 연결하는 제1연료공급라인(60)과, 연료펌프(20) 출구측의 제1연료공급라인(60)에 설치되는 제1컷오프밸브(61)와, 압력조정기(50) 입구측의 제1연료공급라인(60)에 설치되는 제2컷오프밸브(62)를 포함하는 가스엔진의 연료회수장치로서,
    상기 제1컷오프밸브(61)와 제2컷오프밸브(62) 사이의 제1연료공급라인(60) 도중에서 분기되는 연료회수라인(100);
    상기 연료회수라인(100)에 설치되는 진공회수탱크(110) 및 진공회수탱크(110)에 설치된 단속밸브(111);
    상기 제1연료공급라인(60)과 연료회수라인(100)의 분기점에 설치되어, 연료회수라인(100)은 닫고 제1연료공급라인(60)을 개방하는 제1위치와 연료회수라인(100)과 제1연료공급라인(60)을 서로 연통시키는 제2위치로 동작하는 연료리턴밸브(120);
    상기 연료리턴밸브(120)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설치되어 제1연료공급라인(60) 내부의 연료압력을 센싱하는 제1압력센서(131)와 제2압력센서(132); 및
    인젝터(30), 연료펌프(20), 제1, 2 컷오프밸브(61, 62)를 제어하고, 운전자에 의해 연료긴급차단스위치(90)가 온(ON) 조작되거나 엔진이 정지한 이후, 상기 제1,2압력센서(131, 132)에서 입력되는 센싱신호를 처리하여 단위시간당 압력강하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이 되면 진공회수탱크의 단속밸브(111)를 개방하고, 연료리턴밸브(120)를 제2위치로 전환하여 진공회수탱크(110)의 진공력이 제1연료공급라인(60)에 작용하도록 제어하는 ECU(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엔진의 연료회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압력센서(131)와 제1컷오프밸브(61) 사이 및 제2압력센서(132)와 제2컷오프밸브(62) 사이에, ECU(80)의 제어하에 제1연료공급라인(60)을 개방하여 연료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제1위치와 제1연료공급라인(60)을 외기와 연통시키는 제2위치로 동작하는 제1, 제2 외기유입용 전환밸브(141, 142)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엔진의 연료회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가스엔진의 연료회수장치를 이용하여 연료를 회수하는 방법으로서,
    연료긴급차단스위치(90)가 작동되거나 엔진이 정지하는 경우 제1컷오프밸브(61)와 제2컷오프밸브(62)를 닫는 과정;
    제1압력센서(131)와 제2압력센서(132)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센싱신호를 연산하여 단위시간당 압력강하값(ΔP1/Δt) 및 (ΔP2/Δt)을 산출하고, 산출된 값을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준값 이상이 되면 제1연료공급라인(60)에 연료 누출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진공회수탱크의 단속밸브(111)를 개방하여 진공회수탱크(110)의 진공압이 연료회수라인(100)에 작용하게 하는 과정; 및
    연료리턴밸브(120)를 제2위치로 전환하여 제1연료공급라인(60)과 연료회수라인(100)을 서로 연통하게 하여, 진공회수탱크(110)의 진공력이 제1연료공급라인(60)에 작용하도록 하여 제1연료공급라인(60)의 연료가 진공회수탱크(110)에 흡인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엔진의 연료회수방법.
  4. 제2항에 기재된 가스엔진의 연료회수장치를 이용하여 연료를 회수하는 방법으로서,
    연료긴급차단스위치(90)가 작동되거나 엔진이 정지하는 경우 제1컷오프밸브(61)와 제2컷오프밸브(62)를 닫는 과정;
    제1압력센서(131)와 제2압력센서(132)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센싱신호를 연산하여 단위시간당 압력강하값(ΔP1/Δt) 및 (ΔP2/Δt)을 산출하고, 산출된 값을 사전에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준값 이상이 되면 제1연료공급라인(60)에 연료 누출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진공회수탱크의 단속밸브(111)를 개방하여 진공회수탱크(110)의 진공압이 연료회수라인(100)에 작용하게 하는 과정;
    연료리턴밸브(120)를 제2위치로 전환하여 제1연료공급라인(60)과 연료회수라인(100)을 서로 연통하게 하여, 진공회수탱크(110)의 진공력이 제1연료공급라인(60)에 작용하도록 하여 제1연료공급라인(60)의 연료가 진공회수탱크(110)에 흡인되도록 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연료리턴밸브(120)를 제2위치로 전환한 이후, 제1외기유입용 전환밸브(141) 및 제2외기유입 전환밸브(142)를 제2위치로 전환하여 제1연료공급라인(60)에 외기가 작용하도록 하는 과정; 및
    제1, 2외기유입용 전환밸브(141, 142)를 제2위치로 전환한 시점부터 타이머에 의해 경과시간을 검출하여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진공회수탱크 단속밸브(111)를 닫아 진공회수탱크(110)를 밀폐하는 과정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엔진의 연료회수방법.
KR1020090093789A 2009-10-01 2009-10-01 가스엔진의 연료회수장치 및 방법 KR101088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789A KR101088973B1 (ko) 2009-10-01 2009-10-01 가스엔진의 연료회수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789A KR101088973B1 (ko) 2009-10-01 2009-10-01 가스엔진의 연료회수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235A KR20110036235A (ko) 2011-04-07
KR101088973B1 true KR101088973B1 (ko) 2011-12-01

Family

ID=44044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789A KR101088973B1 (ko) 2009-10-01 2009-10-01 가스엔진의 연료회수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9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508B1 (ko) * 2011-12-12 2016-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pg 기화 잠열을 이용한 봄베 온도 저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7417A (ja) 2002-02-04 2003-08-15 Chuo Motor Wheel Co Ltd 液化ガス燃料供給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7417A (ja) 2002-02-04 2003-08-15 Chuo Motor Wheel Co Ltd 液化ガス燃料供給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235A (ko) 201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49348B2 (ja) ガス燃料供給装置
US9382879B2 (en) Fuel evaporative gas emission suppression system
US20050236213A1 (en) Fuel supply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engine and method thereof
US9599086B2 (en) Fuel system control
WO2014091691A1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US9850855B2 (en) Fuel evaporative gas emission control apparatus
US9360213B2 (en) Valve leak detecting method and combustion equipment
KR101088973B1 (ko) 가스엔진의 연료회수장치 및 방법
KR100706370B1 (ko) Lpi 차량에서의 비상시 연료차단을 위한 연료시스템제어방법
JP2005248942A (ja) Lpi車両の燃料ポンプノイズ低減装置及び方法
KR100437084B1 (ko) 가스연료 차량의 연료 공급장치
JP2012207629A (ja) 燃料供給システム及び燃料噴射制御装置
JP6919482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4138395B2 (ja) 液化ガス燃料供給装置
KR101004331B1 (ko) 액화가스 내연기관의 연료공급장치
JP2014114791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2015090076A (ja) 燃料供給システムの異常診断装置
WO2014091680A1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及び車両の燃料噴射システム
JP2006329135A (ja) 燃料供給系の診断方法
KR101475719B1 (ko)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유압시스템
WO2014091722A1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KR100692071B1 (ko) 엘피아이 엔진의 시동 오프시 연료라인의 연료회수장치 및그 제어방법
KR100467857B1 (ko) 가스연료 차량용 연료유출 방지장치
JP3545273B2 (ja) ガスエンジンの運転方法
JP2016056699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