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533B1 - 궐련 무게 선별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궐련 무게 선별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533B1
KR101088533B1 KR1020080101544A KR20080101544A KR101088533B1 KR 101088533 B1 KR101088533 B1 KR 101088533B1 KR 1020080101544 A KR1020080101544 A KR 1020080101544A KR 20080101544 A KR20080101544 A KR 20080101544A KR 101088533 B1 KR101088533 B1 KR 101088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unit
transfer
electronic scale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2404A (ko
Inventor
전경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080101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533B1/ko
Publication of KR20100042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18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a single stationary weighing mechanism
    • B07C5/20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a single stationary weighing mechanism for separating articles of less than a predetermined weight from those of more than that weight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Cigar And Cigarette Tobacc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궐련 무게 선별기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궐련 무게 선별기는 외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궐련을 공급받아 하나씩 궐련을 배출시키는 궐련공급부; 상기 궐련공급부의 하측에 마련된 베이스케이스 내에 몸체부가 수용되며, 궐련의 무게를 측정 가능하게 하는 전자저울; 상기 궐련공급부와 상기 전자저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궐련공급부로부터 궐련을 획득하여 상기 전자저울을 통해 궐련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게 하고 측정된 궐련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궐련이송부; 상기 궐련이송부의 전측에 배치되며, 상기 궐련이송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궐련을 양품 배출경로와 불량품 배출경로 중 어느 하나로 안내하는 경로전환부; 상기 궐련공급부, 상기 전자저울, 상기 궐련이송부 및 상기 경로전환부를 제어하고 외부로부터 조작명령을 입력 가능하게 하는 제어부; 및 상기 궐련공급부가 상기 궐련이송부에 대해 바르게 장착된 경우에만 상기 궐련공급부의 전동부분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상기 제어부에 해당 동작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치확인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 궐련의 무게를 자동으로 측정하여 해당 궐련이 양품 또는 불량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판별결과에 따라 해당 궐련을 양품 또는 불량품으로 자동 선별할 수 있게 한다.
삭제

Description

궐련 무게 선별기 및 그 제어방법{Cigarette sorting apparatus using its weight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궐련 무게 선별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궐련의 무게를 자동으로 측정하여 해당 궐련을 양품 또는 불량품으로 자동 선별할 수 있게 하는 궐련 무게 선별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궐련(또는 필터담배)은 가공된 담뱃잎(또는 각초)이 궐련지에 의해 권취된 담배로드와, 이 담배로드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그 담배로드의 연소시 발생되는 유해성분을 여과시키는 필터와, 이 필터와 상기 담배로드의 일부분을 감싸고 그들을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일체화시키는 팁페이퍼로 이루어진다.
궐련은 일련의 해당 궐련 제조라인을 거쳐 하나의 제품으로서 갑(Case, or Box)의 형태로 포장된 후 시장에 출시되지만, 이들 중 극히 일부의 궐련만이 각초의 함량을 포함한 궐련의 전체 무게가 적정한지의 여부에 대한 품질검사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궐련의 무게에 대한 품질검사과정은 지금까지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의 능률이 매우 낮을 뿐 만 아니라 해당 품질검사에 대한 신뢰성도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각 궐련의 무게를 자동으로 측정하여 해당 궐련이 양품 또는 불량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판별결과에 따라 해당 궐련을 양품 또는 불량품으로 자동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궐련 무게 선별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궐련을 공급받아 하나씩 궐련을 배출시키는 궐련공급부; 상기 궐련공급부의 하측에 마련된 베이스케이스 내에 몸체부가 수용되며, 궐련의 무게를 측정 가능하게 하는 전자저울; 상기 궐련공급부와 상기 전자저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궐련공급부로부터 궐련을 획득하여 상기 전자저울을 통해 궐련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게 하고 측정된 궐련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궐련이송부; 상기 궐련이송부의 전측에 배치되며, 상기 궐련이송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궐련을 양품 배출경로와 불량품 배출경로 중 어느 하나로 안내하는 경로전환부; 상기 궐련공급부, 상기 전자저울, 상기 궐련이송부 및 상기 경로전환부를 제어하고 외부로부터 조작명령을 입력 가능하게 하는 제어부; 및 상기 궐련공급부가 상기 궐련이송부에 대해 바르게 장착된 경우에만 상기 궐련공급부의 전동부분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상기 제어부에 해당 동작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치확인센서;를 포함하는 궐련 무게 선별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궐련공급부는 궐련을 공급하는 호퍼와,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을 매개로 하여 상기 호퍼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궐련 안치홈이 형성된 이송드럼과, 상기 호퍼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이송드럼의 해당 궐련 안치홈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궐련을 부분적으로 잡아주는 궐련홀더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이송드럼을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호퍼는 다수 개의 궐련을 일측으로 나란히 정렬시킬 수 있게 하는 궐련 정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궐련정렬기는 상기 호퍼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정렬판과, 이 정렬판의 외벽의 일부분과 고정되고 후측에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호퍼의 대응벽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해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지지판과, 상기 궐련공급부의 고정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판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호퍼의 상단에는 상,하방이 개방된 보조 호퍼가 착탈 가능하게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드럼은 레귤러 궐련 또는 초슬림 궐련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사이즈가 다른 궐련 안치홈을 외주를 따라 번갈아 구비한 가변부와, 이 가변부 외의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변부는 패스너를 매개로 하여 상기 이송드럼의 회전축 또는 상기 이송드럼의 해당 나머지부분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궐련공급부는 상기 호퍼 내의 전측 상부공간에서 표류하는 궐련을 상기 이송드럼의 하부로 안내하고 회전수단을 매개로 하여 작동되는 상부회전롤러와, 상기 호퍼 내의 후측 하부공간에서 표류하는 궐련을 상기 이송드럼의 하부로 안내하고 요동수단을 매개로 하여 작동되는 하부회전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이송드럼의 회전축의 일단부에 구비된 풀리와, 일단이 상기 풀리에 끼워지고 타단이 상기 상부회전롤러의 대응부분에 끼워진 벨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요동수단은 상기 이송드럼의 회전축의 선단에 구비된 기어와, 일단이 상기 기어의 각 기어홈을 따라 이동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회전롤러의 대응부분에 고정된 캠링크와, 상기 하부회전롤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일단이 상기 캠링크의 일부분에 탄지되고 타단이 상기 호퍼의 일부분에 의해 탄지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회전롤러는 궐련과의 접촉력을 높일 수 있도록 외면에 널링(knurling)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회전롤러는 궐련끼리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면이 마름모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제1 구동모터와, 이 제1 구동모터의 출력축과 연결된 감속기와, 이 감속기의 출력축과 상기 이송드럼의 회전축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조인트부와, 상기 감속기의 출력축과 상기 이송드럼의 회전축 중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드럼의 안치홈들과 각각 대 응하도록 테두리를 따라 다수 개의 구멍이 형성된 인덱스판과, 이 인덱스판을 통해 상기 제1 구동모터의 단위 회전각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로 해당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제1 센서부와, 상기 궐련홀더에 궐련이 적재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로 해당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저울은 상단에 각각 궐련 안치홈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된 적어도 두 개의 지지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궐련이송부는 상기 궐련공급부로부터 궐련을 공급받아 상기 전자저울로 이송하는 작업과 상기 전자저울을 통해 측정된 궐련을 외부로 이송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궐련캐리어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미리 정해진 사각형 운동 궤적을 따라 상기 궐련캐리어를 반복적으로 순환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궐련캐리어는 상기 궐련공급부로부터 궐련을 획득하여 전자저울로 이송할 수 있도록 상단에 각각 궐련 안치홈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이송바를 갖는 제1 이송부와, 상기 전자저울을 통해 측정된 궐련을 외부로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이송부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단에 각각 궐련 안치홈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이송바를 갖는 제2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와 상기 제2 이송부의 후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구동부의 선단부와 상기 연결부의 중앙부분은 연결편을 매개로 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궐련캐리어의 사각형 운동 궤적의 좌우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좌우운동 안내부와, 이 좌우운동 안내부의 일부분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궐련캐리어의 사각형 운동 궤적의 상하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상하운동 안내부와, 상기 좌우운동 안내부와 상기 상하운동 안내부의 해당운동을 수행하도록 원운동을 사각형 궤적 운동으로 전환시켜 주는 사각형 궤적 운동 안내부와, 이 사각형 궤적 운동 안내부의 입력축과 연결된 감속기와, 이 감속기의 입력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2 구동모터와, 상기 궐련캐리어의 이송 시작점이자 끝점인 지점을 감지하고 해당 동작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3 센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좌우운동 안내부, 상기 상하운동 안내부 및 상기 사각형 궤적 운동 안내부는 각각 암형부와 수형부를 포함하는 공지의 선형운동 가이드(Linear Motion Guid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로전환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3 구동모터와, 이 제3 구동모터의 출력축과 연결된 지지바와, 이 지지바에 고정된 가이드판과, 상기 전자저울로부터 궐련을 획득하는 지점과 외부로 배출하는 지점의 사이를 지나는 상기 궐련이송부의 대응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해당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제4 센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로전환부의 전측에는 양품의 궐련을 수용하는 궐련 보관 케이스가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궐련 보관 케이스의 하부에는 불량품의 궐련을 쓰레기통으로 안내하는 안내판이 탈착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조작명령을 입력 가능하게 하는 기계식 키버튼 어레이와 터치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은 양품의 궐련의 범위를 설정해 주는 것과 상기 전자저울의 영점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선별기는 궐련의 무게 선별결과를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인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한편, 본 발명은 궐련공급부의 호퍼에 궐련이 투입된 후, 외부로부터 작업신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 판단결과, 작업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제2 센서부로부터 해당 동작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제1 구동모터를 가동시켜 이송드럼을 일정각도만큼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제2 센서부로터 해당 동작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제2 구동모터를 가동시켜 궐련캐리어의 제1 이송부를 통해 상기 궐련공급부의 궐련홀더로부터 전자저울의 두 지지바의 궐련 안치홈으로 궐련을 이송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궐련캐리어의 제2 이송부를 상기 전자저울의 인접위치로부터 외부로 아이들링시키는 단계; 상기 전자저울의 두 지지바의 궐련 안치홈에 적재된 궐련의 무게 측정결과를 읽어드려 해당 궐련이 양품 또는 불량품인지의 여부를 판정 하여 그 판정결과를 기억시키는 단계; 상기 궐련캐리어를 다시 원래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궐련캐리어의 제1 이송부를 통해 상기 궐련공급부의 궐련홀더로부터 전자저울의 두 지지바의 궐련 안치홈으로 새로운 궐련을 이송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궐련캐리어의 제2 이송부를 통해 상기 전자저울의 두 지지바의 궐련 안치홈에 적재된 선행하는 궐련(preceding cigarette)을 외부로 이송시키는 단계; 및 기억된 판정결과에 따라, 상기 전자저울을 통해 측정된 궐련이 양품인 경우 해당 궐련을 궐련 보관 케이스 내로 배출시키고, 상기 전자저울을 통해 측정된 궐련이 불량품인 경우 제3 구동모터를 가동하여 경로전환부의 가이드판을 개방시켜 해당 궐련을 쓰레기통으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궐련 무게 선별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구동모터는 제1 센서부가 인덱스판의 구멍을 감지할 때 발생되는 동작신호에 따라 제어되고 상기 인덱스판의 구멍 간의 각도를 단위 회전각으로 하여 단속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로전환부의 가이드판의 개방시간은 제4 센서부가 해당 동작신호를 발생시킨 때부터 제3 센서부가 동작신호를 발생시킬 때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 궐련의 무게를 자동으로 측정하여 해당 궐련이 양품 또는 불량품 인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판별결과에 따라 해당 궐련을 양품 또는 불량품으로 자동 선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품의 궐련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게 하고 전자저울의 영점조정을 가능하게 하며, 전체 궐련에 대한 측정결과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하거나 인쇄장치를 통해 인쇄지에 편리하게 출력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궐련 무게 선별기의 각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궐련 무게 선별기를 보여주는 개략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궐련 무게 선별기의 개략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궐련 무게 선별기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궐련 무게 선별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궐련공급부(1), 전자저울(40), 궐련이송부(50), 경로전환부(80) 및 제어부(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궐련공급부(1)는 외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궐련(C)을 공급받아 하나씩 궐련을 배출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전자저울(40)은 상기 궐련공급부(1)의 하측에 마련된 베이스케이스(100) 내에 몸체부가 수용되며, 궐련의 무게를 측정 가능하게 한다.
상기 궐련이송부(50)는 상기 궐련공급부(1)와 상기 전자저울(4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궐련공급부(1)로부터 궐련(C)을 획득하여 상기 전자저울(40)을 통해 궐 련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게 하고 측정된 궐련(C)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경로전환부(80)는 상기 궐련이송부(50)의 전측에 배치되며, 상기 궐련이송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궐련(C)을 양품 배출경로와 불량품 배출경로 중 어느 하나로 안내한다.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궐련공급부(1), 상기 전자저울(40), 상기 궐련이송부(50) 및 상기 경로전환부(80)를 제어하고 외부로부터 조작명령을 입력 가능하게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상기 궐련공급부(1)는 호퍼(2), 이송드럼(3), 궐련홀더(4) 및 제1 구동부(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호퍼(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궐련(C)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상부부분이 하부부분에 비해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드럼(3)은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3a)과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을 매개로 하여 상기 호퍼(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또한, 상기 이송드럼(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궐련 안치홈(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궐련 안치홈(3b)은 궐련의 외면과 대응되도록 반원형 홈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궐련홀더(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퍼(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이송드럼(3)의 해당 궐련 안치홈(3b)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궐련(C)을 부분적으로 잡아준다. 상기 궐련 홀더(4)의 궐련을 잡아주는 부분은 통상 두 개의 후크(4a)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궐련의 길이가 비교적 긴 경우 세 개의 후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세 개의 후크(4a)로 이루어진 경우를 도시한다. 상기 제1 구동부(25)는 도 2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90)의 제어를 통해 상기 이송드럼(3)을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호퍼(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궐련을 일측으로 나란히 정렬시킬 수 있게 하는 궐련 정렬기(10)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궐련정렬기(10)는 상기 호퍼(2)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정렬판(11)과, 이 정렬판의 외벽의 일부분과 고정되고 후측에 손잡이(12a)를 구비하며, 상기 호퍼(2)의 대응벽에 형성된 관통구(미도시)를 통해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지지판(12)과, 상기 궐련공급부(1)의 고정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판(12)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3)로 이루어진다. 또한, 한번에 다량의 궐련을 선별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호퍼(2)의 상단에는 그 호퍼 내에 적재되는 궐련의 개수보다 많은 개수의 궐련을 적재할 수 있도록 상,하방이 개방된 보조 호퍼(미도시)가 탈착 가능하게 더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송드럼(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귤러 궐련 또는 초슬림 궐련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사이즈가 다른 궐련 안치홈(3bb)을 외주를 따라 번갈아 구비한 가변부(M)와, 이 가변부 외의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부분(R)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변부(M)는 나사 등과 같은 패스너(미도시)를 매개로 하여 상기 이송드럼(3)의 회전축(3a) 또는 상기 이송드럼의 해당 나머지부분(R)에 고정된다. 그에 따라, 작업자는 피선별 궐련의 종류에 따라 상기 나머지부분(R)에 대해 가변부(M)를 편리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궐련공급부(1)는 도 6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퍼(2) 내의 전측 상부공간에서 표류하는 궐련을 상기 이송드럼(3)의 하부로 안내하고 회전수단(17)을 매개로 하여 작동되는 상부회전롤러(15)와, 상기 호퍼(2) 내의 후측 하부공간에서 표류하는 궐련을 상기 이송드럼(3)의 하부로 안내하고 요동수단(20)을 매개로 하여 작동되는 하부회전롤러(16)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수단(17)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드럼(3)의 회전축(3a)의 일단부에 구비된 풀리(18)와, 일단이 상기 풀리(18)에 끼워지고 타단이 상기 상부회전롤러(15)의 대응부분에 끼워진 벨트(19)로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상기 상부회전롤러(15)는 상기 이송드럼(3)의 회전축(3a)과 고정된 풀리(18)의 회전에 의해 상기 풀리(18)에 감긴 벨트(19)를 통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요동수단(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드럼(3)의 회전축(3a)의 선단에 구비된 기어(21)와, 일단이 상기 기어(21)의 각 기어홈(21a)을 따라 이동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회전롤러(16)의 대응부분에 고정된 캠링크(22)와, 상기 하부회전롤러(16)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일단이 상기 캠링크(22)의 일부분에 탄지되고 타단이 상기 호퍼(2)의 일부분에 의해 탄지되는 스프링(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상기 하부회전롤러(16)는 상기 이송드럼(3)의 회전축(3a)과 고정된 기어(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기어(21)와 맞물린 캠링크(22) 및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좌우로 스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회전롤러(15)는 궐련과의 접촉력을 높일 수 있도록 외면에 널링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회전롤러(16)는 궐련끼리 붙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단면이 마름모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구동부(25)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90)와 연결된 제1 구동모터(26)와, 이 제1 구동모터의 출력축과 연결된 감속기(27)와, 이 감속기의 출력축과 상기 이송드럼(3)의 회전축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조인트부(28)와, 상기 감속기(27)의 출력축과 상기 이송드럼(3)의 회전축 중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드럼(3)의 다수 개의 안치홈(3b 또는 3bb)과 각각 대응하도록 테두리를 따라 다수 개의 구멍(29a)이 형성된 인덱스판(29)과, 이 인덱스판을 통해 상기 제1 구동모터(26)의 단위 회전각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90)로 해당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제1 센서부(30)와, 상기 궐련홀더(4)에 궐련(C)이 적재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90)로 해당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제2 센서부(3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센서부(30)와 제2 센서부(31)는 각각 발,수광부를 포함하는 공지의 광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저울(40)은 도 1,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각각 궐련 안치홈(41a)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된 적어도 두 개의 지지바(41)를 구비한다. 상기 전자저울(40)에서, 상기 궐련 안치홈(41a)을 갖는 지지바(41)는 통상 두 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궐련의 길이가 비교적 긴 경우 세 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세 개의 지지바(41)로 이루어진 경우를 도시한다.
상기 궐련이송부(50)는 상기 궐련공급부(1)로부터 궐련을 공급받아 상기 전자저울(40)로 이송하는 작업과 상기 전자저울을 통해 측정된 궐련(C)을 외부로 이송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궐련캐리어(51)와, 상기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되고 미리 정해진 사각형 운동 궤적을 따라 상기 궐련캐리어(51)를 반복적으로 순환시키는 제2 구동부(55)를 포함한다(도 2 내지 도 4 및 도 9 참조).
여기서, 상기 궐련캐리어(51)는 제1 이송부(52), 제2 이송부(53) 및 상기 제1 이송부(52)와 상기 제2 이송부(53)의 후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5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이송부(52)는 상기 궐련공급부(1)로부터 궐련을 획득하여 전자저울(40)로 이송할 수 있도록 상단에 각각 궐련 안치홈(52aa)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이송바(52a)를 갖는다. 상기 제2 이송부(53)는 상기 전자저울(40)을 통해 측정된 궐련(C)을 외부로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이송부(52)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단에 각각 궐련 안치홈(53aa)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이송바(53a)를 갖는다. 상기 제2 구동부(55)의 선단부와 상기 연결부(54)의 중앙부분은 연결편(101)을 매개로 하여 고정된다. 상기 궐련 안치홈을 갖는 이송바(52a,53a)는 통상 두 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궐련의 길이가 비교적 긴 경우 세 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세 개의 이송바(52a,53a)로 이루어진 경우를 도시한다. 상기 궐련이송부(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궐련캐리어(51)의 각 이송바(52a,53a)의 선단의 이동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긴 슬롯(102a)과 상기 전자저 울(40)의 지지바(41)의 선단을 외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짧은 슬롯(102b)을 갖는 커버 플레이트(10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02)의 짧은 슬롯(102b)의 양단에는 상기 전자저울(40)의 지지바(41)의 상단에 외부충격이 가해져 상기 전자저울(40)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보호편(102c)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구동부(55)는 좌우운동 안내부(56), 상하운동 안내부(60), 사각형 궤적 운동 안내부(65), 감속기(27a), 제2 구동모터(75) 및 제3 센서부(76)를 포함한다(도 2 내지 도 4 및 도 9 참조).
여기서, 상기 좌우운동 안내부(56)는 상기 궐련캐리어(51)의 사각형 운동 궤적의 좌우운동(이는 좌우 및 우좌 운동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함)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상하운동 안내부(60)는 상기 좌우운동 안내부(56)의 일부분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궐련캐리어(51)의 사각형 운동 궤적의 상하운동(이는 상하 및 하상 운동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함)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사각형 궤적 운동 안내부(65)는 상기 좌우운동 안내부(56)와 상기 상하운동 안내부(60)의 해당운동을 수행하도록 원운동을 사각형 궤적 운동으로 전환시켜 준다. 상기 감속기(27a)는 상기 사각형 궤적 운동 안내부(65)의 입력축과 연결된다. 상기 제2 구동모터(75)는 상기 감속기(27a)의 입력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3 센서부(76)는 상기 베이스케이스(100) 내에 브래킷을 매개로 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궐련캐리어(51)의 이송 시작점인 동시에 끝점인 지점을 감지하고 해당 동작신호를 상기 제어부(90)로 전송한다. 상기 제3 센서부(76)는 공지의 근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센서부(76)가 감지하는 이송 시작점이자 끝점인 지점은 상기 제3 센서부(76)와 마주하는 상기 궐련캐리어(51)의 일부분이면 족하다.
상기 좌우운동 안내부(56), 상기 상하운동 안내부(60) 및 상기 사각형 궤적 운동 안내부(65)는 각각 암형부(A,A1,A2)와 수형부(B,B1,B2)를 포함하는 공지의 선형운동 가이드(Linear Motion Guid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암형부(A)와 수형부(B) 중 하나는 고정부분을 이루고 나머지 하나는 상대방에 대해 이동부분을 이룬다. 상기 상하운동 안내부(60)와 상기 사각형 궤적 운동 안내부(65)는 각각 상기 베이스케이스(100)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브래킷(103)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래킷(103)은 상호 이격된 제1 지지컬럼(104)과 상부 일측에 사각형 캠홈(105a)을 갖는 제2 지지컬럼(105)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지지컬럼(104)에는 상기 상하운동 안내부(60)의 일부분이 고정되고 상기 제2 지지컬럼(105)에는 상기 사각형 궤적 운동 안내부(65)의 감속기(27a)가 고정된다(도 2 내지 도 4 참조).
상기 좌우운동 안내부(56)의 경우, 상기 암형부(A)와 수형부(B) 중 하나는 상기 궐련캐리어(51)의 연결부(54)에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은 제1 지지편(57)을 매개로 하여 상기 상하운동 안내부(60)의 대응부분에 고정된다(도 4와 도 9 참조).
상기 상하운동 안내부(60)의 경우, 상기 암형부(A1)와 수형부(B1) 중 하나는 상기 좌우운동 안내부(56)의 제1 지지편(57)에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지지브래킷(103)의 제1 지지컬럼(104)에 고정된다(도 4와 도 9 참조).
상기 사각형 궤적 운동 안내부(65)의 경우, 상기 암형부(A2)와 수형부(B2) 중 하나는 상기 지지브래킷(103)의 제2 지지컬럼(105)에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설치된 상기 감속기(27a)의 확장축(66)의 선단에 구비된 장착편(67)에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은 일단이 상기 연결편(10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지지컬럼(105)의 캠홈(105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캠축(68)에 끼워진 제2 지지편(69)에 고정된다. 상기 제2 지지컬럼(105)의 캠홈(105a)과 접촉하는 캠축(68)의 대응부분에는 베어링(7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와 도 9 참조).
상기 경로전환부(80)는 상기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되는 제3 구동모터(81)와, 이 제3 구동모터의 출력축과 연결된 지지바(82)와, 이 지지바에 고정된 가이드판(83)과, 상기 전자저울(40)로부터 궐련을 획득하는 지점과 외부로 배출하는 지점의 사이를 지나는 상기 궐련이송부(50)의 대응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90)로 해당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제4 센서부(8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4 센서부(84)는 상기 베이스케이스(100) 내에 브래킷을 매개로 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공지의 근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1과 도 3 참조).
상기 경로전환부(80)의 전측에는 양품의 궐련을 수용하는 궐련 보관 케이스(106)가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궐련 보관 케이스의 하부에는 불량품의 궐련을 쓰레기통(미도시)으로 안내하는 안내판(107)이 탈착 가능하게 배치된다(도 1 참조).
상기 제어부(90)는 조작명령을 입력 가능하게 하는 기계식 키버튼 어레이(91)와 터치스크린(9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스크린(92)은 양품의 궐련의 범위를 설정해 주는 것과 상기 전자저울(40)의 영점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기계식 키버튼 어레이(91)는 작동을 개시하는 운전버튼(91a)(또는 시작버튼), 작동을 임의적으로 정지시키는 정지버튼(91b), 장비의 이상시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게 하는 버저(91c)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90)는 궐련의 무게 선별결과를 출력 가능하게 하는 인쇄장치(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선별기는 선별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 관리, 제어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작동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도 1 참조).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선별기는 상기 궐련공급부(1)가 상기 궐련이송부(50)에 대해 바르게 장착된 경우에만 상기 궐련공급부(1)의 전동부분(제1 구동모터)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상기 제어부(90)에 해당 동작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치확인센서(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확인센서(108)는 공지의 근접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궐련공급부(1)의 전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궐련공급부를 상기 궐련이송부(50)에 대해 일정각도로 젖히어 상기 궐련공급부(1)의 작동부분 등을 편리하게 정비할 수 있도록 손잡이(1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선별기는 빈번한 작업에 따라 피선별 궐련들로부터 상기 궐련이송부(50)의 내부로 떨어져 쌓인 각초들을 공압을 이용하여 외부로 편리하게 불어낼 수 있도록 상기 궐련이송부(50)의 내부에 외부의 공압 공급원(미도시)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노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도 9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궐련 무게 선별기의 바람직한 작동 또는 제어방법을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궐련공급부(1)의 호퍼(2)에 일정 개수의 궐련을 투입한 후, 선별기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또는 그 반대의 순서로 선별기를 준비시키고 제어부(90) 상의 터치스크린(92)을 통해 해당 작업환경을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90) 상의 운전버튼(91a)(또는 시작버튼)을 누른다(도 1 참조). 그러면, 제어부(90)는 외부로부터 작업신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100). 이때, 상기 궐련공급부(1)의 이송드럼(3)은 작동 준비상태에 있다.
그 판단결과, 작업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제2 센서부(31)로부터 해당 동작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제1 구동모터(26)를 가동시켜 이송드럼(3)을 일정각도만큼 회전시킨다(S1102)(도 3과 도 7 참조).
이때, 상기 제1 구동모터(26)는 제1 센서부(30)가 인덱스판(29)의 구멍(29a)을 감지할 때 발생되는 동작신호에 따라 제어되고 상기 인덱스판(29)의 구멍(29a) 간의 각도를 단위 회전각으로 하여 단속적으로 회전된다(도 7 참조).
상기 S1102 단계에서, 상기 궐련 공급부(1)의 이송드럼(3)에서 궐련 잼이 발생하여 제1 구동모터(26)에 과부하가 걸릴 때, 제어부(90)를 통해 궐련 무게 선별기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상기 제2 센서부(31)로터 해당 동작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제2 구동모터(75)를 가동시켜 궐련캐리어(51)의 제1 이송부(52)를 통해 상기 궐련공급부(1)의 궐련홀더(4)로부터 전자저울(40)의 두 지지바(41)의 궐련 안치홈(41a)으로 궐련(C) 을 이송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궐련캐리어(51)의 제2 이송부(53)를 상기 전자저울(40)의 인접위치로부터 외부로 아이들링시킨다(S1104 및 S1106)(도 3, 도 4 및 도 9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은 작업과정 중 궐련 공급부(1)의 이송드럼(3)에서 궐련홀더(4)로 궐련(C)을 3-6회(1회는 S1104에서 S1102를 통해 다시 S1104로의 한번 순환을 의미함), 바람직하게는 5회 연속해서 안치시키지 못할 때, 궐련(C)이 이송드럼(3) 내에 없는 것으로 인식하여 제어부(90)를 통해 궐련 무게 선별기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상기 전자저울(40)의 두 지지바(41)의 궐련 안치홈(41a)에 적재된 궐련(C)의 무게 측정결과를 읽어드려 해당 궐련이 양품 또는 불량품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그 판정결과를 기억시킨다(S1108).
그런 다음, 상기 궐련캐리어(51)를 다시 원래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궐련캐리어(51)의 제1 이송부(52)를 통해 상기 궐련공급부(1)의 궐련홀더(4)로부터 전자저울(40)의 두 지지바(41)의 궐련 안치홈(41a)으로 새로운 궐련(C)을 이송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궐련캐리어(51)의 제2 이송부(53)를 통해 상기 전자저울(40)의 두 지지바(41)의 궐련 안치홈(41a)에 적재된 선행하는 궐련(C)을 외부로 이송시킨다(S1110)(도 1, 도 3, 도 4 및 도 9 참조).
그런 다음, 기억된 판정결과에 따라, 상기 전자저울(40)을 통해 측정된 궐련이 양품인 경우 해당 궐련을 궐련 보관 케이스(106) 내로 배출시키고, 상기 전자저울(40)을 통해 측정된 궐련이 불량품인 경우 제3 구동모터(81)를 가동하여 경로전 환부(80)의 가이드판(83)을 개방시켜 해당 궐련을 쓰레기통(미도시)으로 배출시킨다(S1112)(도 1과 도 3 참조).
이때, 상기 경로전환부(80)의 가이드판(83)의 개방시간은 제4 센서부(84)가 해당 동작신호를 발생시킨 때부터 제3 센서부(76)가 해당 동작신호를 발생시킬 때까지 유지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궐련 선별 작업과정 중 S1112~S1102의 단계는 상기 호퍼(2) 내의 궐련이 모두 처리될 때까지 반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궐련 무게 선별기를 보여주는 개략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궐련 무게 선별기의 개략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궐련 무게 선별기의 개략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궐련 무게 선별기의 궐련이송부를 보여주는 개략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궐련 무게 선별기의 호퍼의 궐련 정렬기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궐련 무게 선별기의 호퍼의 내부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궐련 무게 선별기의 궐련공급부의 제1 구동부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궐련 무게 선별기의 궐련공급부가 궐련이송부에 대해 대략 80°정도로 개방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궐련공급부의 제2 센서부, 이송드럼의 회전수단 및 요동수단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궐련 무게 선별기의 궐련이송부와 전자저울을 보여주는 개략 확대 평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궐련 무게 선별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궐련공급부 2: 호퍼
3: 이송드럼 3a: 회전축
3b, 3bb, 41a, 52aa, 53aa: 궐련 안치홈
4: 궐련홀더 4a: 후크
10: 궐련정렬기 17: 회전수단
20: 요동수단 25: 제1 구동부
26: 제1 구동모터 27, 27a: 감속기
28: 조인트부 29: 인덱스판
30: 제1 센서부 31: 제2 센서부
40: 전자저울 41: 지지바
50: 궐련이송부 51: 궐련캐리어
52: 제1 이송부 52a, 53a: 이송바
53: 제2 이송부 54: 연결부
55: 제2 구동부 56: 좌우운동 안내부
57: 제1 지지편 60: 상하운동 안내부
65: 사각형 궤적운동 안내부 66: 확장축
67: 장착편 68: 캠축
69: 제2 지지편 70: 베어링
75: 제2 구동모터 76: 제3 센서부
80: 경로전환부 81: 제3 구동모터
82: 지지바 83: 가이드판
84: 제4 센서부 90: 제어부
91: 기계식 키버튼 어레이 92: 터치스크린
100: 베이스케이스 101: 연결편
102: 커버 플레이트 103: 지지브래킷
104: 제1 지지컬럼 105a: 캠홈
105: 제2 지지컬럼 106: 궐련 보관 케이스
107: 안내판 108: 위치확인센서
110: 인쇄장치 C: 궐련
A, A1, A2: 암형부 B, B1, B2: 수형부

Claims (23)

  1. 외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궐련을 공급받아 하나씩 궐련을 배출시키는 궐련공급부;
    상기 궐련공급부의 하측에 마련된 베이스케이스 내에 몸체부가 수용되며, 궐련의 무게를 측정 가능하게 하는 전자저울;
    상기 궐련공급부와 상기 전자저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궐련공급부로부터 궐련을 획득하여 상기 전자저울을 통해 궐련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게 하고 측정된 궐련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궐련이송부;
    상기 궐련이송부의 전측에 배치되며, 상기 궐련이송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궐련을 양품 배출경로와 불량품 배출경로 중 어느 하나로 안내하는 경로전환부;
    상기 궐련공급부, 상기 전자저울, 상기 궐련이송부 및 상기 경로전환부를 제어하고 외부로부터 조작명령을 입력 가능하게 하는 제어부; 및
    상기 궐련공급부가 상기 궐련이송부에 대해 바르게 장착된 경우에만 상기 궐련공급부의 전동부분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상기 제어부에 해당 동작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치확인센서;
    를 포함하는 궐련 무게 선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궐련공급부는 궐련을 공급하는 호퍼와,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을 매개로 하여 상기 호퍼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궐련 안치홈이 형성된 이송드럼과, 상기 호퍼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이송드럼의 해당 궐련 안치홈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궐련을 부분 적으로 잡아주는 궐련홀더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이송드럼을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인 궐련 무게 선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다수 개의 궐련을 일측으로 나란히 정렬시킬 수 있게 하는 궐련 정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인 궐련 무게 선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궐련정렬기는 상기 호퍼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정렬판과, 이 정렬판의 외벽의 일부분과 고정되고 후측에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호퍼의 대응벽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해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지지판과, 상기 궐련공급부의 고정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판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로 이루어진 것인 궐련 무게 선별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상단에는 상,하방이 개방된 보조 호퍼가 착탈 가능하게 더 구비된 것인 궐련 무게 선별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드럼은 레귤러 궐련 또는 초슬림 궐련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 록 사이즈가 다른 궐련 안치홈을 외주를 따라 번갈아 구비한 가변부와, 이 가변부 외의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변부는 패스너를 매개로 하여 상기 이송드럼의 회전축 또는 상기 이송드럼의 해당 나머지부분에 고정된 것인 궐련 무게 선별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궐련공급부는 상기 호퍼 내의 전측 상부공간에서 표류하는 궐련을 상기 이송드럼의 하부로 안내하고 회전수단을 매개로 하여 작동되는 상부회전롤러와, 상기 호퍼 내의 후측 하부공간에서 표류하는 궐련을 상기 이송드럼의 하부로 안내하고 요동수단을 매개로 하여 작동되는 하부회전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인 궐련 무게 선별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이송드럼의 회전축의 일단부에 구비된 풀리와, 일단이 상기 풀리에 끼워지고 타단이 상기 상부회전롤러의 대응부분에 끼워진 벨트로 이루어진 것인 궐련 무게 선별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수단은 상기 이송드럼의 회전축의 선단에 구비된 기어와, 일단이 상기 기어의 각 기어홈을 따라 이동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회전롤러의 대응부분에 고 정된 캠링크와, 상기 하부회전롤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일단이 상기 캠링크의 일부분에 탄지되고 타단이 상기 호퍼의 일부분에 의해 탄지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인 궐련 무게 선별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회전롤러는 궐련과의 접촉력을 높일 수 있도록 외면에 널링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회전롤러는 궐련끼리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면이 마름모 형태인 것인 궐련 무게 선별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제1 구동모터와, 이 제1 구동모터의 출력축과 연결된 감속기와, 이 감속기의 출력축과 상기 이송드럼의 회전축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조인트부와, 상기 감속기의 출력축과 상기 이송드럼의 회전축 중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드럼의 안치홈들과 각각 대응하도록 테두리를 따라 다수 개의 구멍이 형성된 인덱스판과, 이 인덱스판을 통해 상기 제1 구동모터의 단위 회전각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로 해당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제1 센서부와, 상기 궐련홀더에 궐련이 적재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로 해당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인 궐련 무게 선별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저울은 상단에 각각 궐련 안치홈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된 적어도 두 개의 지지바를 구비한 것인 궐련 무게 선별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궐련이송부는 상기 궐련공급부로부터 궐련을 공급받아 상기 전자저울로 이송하는 작업과 상기 전자저울을 통해 측정된 궐련을 외부로 이송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궐련캐리어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미리 정해진 사각형 운동 궤적을 따라 상기 궐련캐리어를 반복적으로 순환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궐련캐리어는 상기 궐련공급부로부터 궐련을 획득하여 전자저울로 이송할 수 있도록 상단에 각각 궐련 안치홈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이송바를 갖는 제1 이송부와, 상기 전자저울을 통해 측정된 궐련을 외부로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이송부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단에 각각 궐련 안치홈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이송바를 갖는 제2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와 상기 제2 이송부의 후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구동부의 선단부와 상기 연결부의 중앙부분은 연결편을 매개로 하여 고정된 것인 궐련 무게 선별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궐련캐리어의 사각형 운동 궤적의 좌우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좌우운동 안내부와, 이 좌우운동 안내부의 일부분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궐련캐리어의 사각형 운동 궤적의 상하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상하운동 안내부와, 상기 좌우운동 안내부와 상기 상하운동 안내부의 해당운동을 수행하도록 원운동을 사각형 궤적 운동으로 전환시켜 주는 사각형 궤적 운동 안내부와, 이 사각형 궤적 운동 안내부의 입력축과 연결된 감속기와, 이 감속기의 입력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2 구동모터와, 상기 궐련캐리어의 이송 시작점이자 끝점인 지점을 감지하고 해당 동작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3 센서부로 이루어진 것인 궐련 무게 선별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운동 안내부, 상기 상하운동 안내부 및 상기 사각형 궤적 운동 안내부는 각각 암형부와 수형부를 포함하는 공지의 선형운동 가이드(Linear Motion Guide)로 이루어진 것인 궐련 무게 선별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전환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3 구동모터와, 이 제3 구동모터의 출력축과 연결된 지지바와, 이 지지바에 고정된 가이드판과, 상기 전자저울로부터 궐련을 획득하는 지점과 외부로 배출하는 지점의 사이를 지나는 상기 궐련이송부의 대응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해당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제4 센서부로 이루어진 것인 궐련 무게 선별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전환부의 전측에는 양품의 궐련을 수용하는 궐련 보관 케이스가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궐련 보관 케이스의 하부에는 불량품의 궐련을 쓰레기통으로 안내하는 안내판이 탈착 가능하게 배치된 것인 궐련 무게 선별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작명령을 입력 가능하게 하는 기계식 키버튼 어레이와 터치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은 양품의 궐련의 범위를 설정해 주는 것과 상기 전자저울의 영점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인 궐련 무게 선별기.
  19. 제1항에 있어서,
    궐련의 무게 선별결과를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인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인 궐련 무게 선별기.
  20. 삭제
  21. 궐련공급부의 호퍼에 궐련이 투입된 후, 외부로부터 작업신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 판단결과, 작업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제2 센서부로부터 해당 동작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제1 구동모터를 가동시켜 이송드럼을 일정각도만큼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제2 센서부로터 해당 동작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제2 구동모터를 가동시켜 궐련캐리어의 제1 이송부를 통해 상기 궐련공급부의 궐련홀더로부터 전자저울의 두 지지바의 궐련 안치홈으로 궐련을 이송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궐련캐리어의 제2 이송부를 상기 전자저울의 인접위치로부터 외부로 아이들링시키는 단계;
    상기 전자저울의 두 지지바의 궐련 안치홈에 적재된 궐련의 무게 측정결과를 읽어드려 해당 궐련이 양품 또는 불량품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그 판정결과를 기억시키는 단계;
    상기 궐련캐리어를 다시 원래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궐련캐리어의 제1 이송부를 통해 상기 궐련공급부의 궐련홀더로부터 전자저울의 두 지지바의 궐련 안치홈으로 새로운 궐련을 이송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궐련캐리어의 제2 이송부를 통해 상기 전자저울의 두 지지바의 궐련 안치홈에 적재된 선행하는 궐련을 외부로 이송시키는 단계; 및
    기억된 판정결과에 따라, 상기 전자저울을 통해 측정된 궐련이 양품인 경우 해당 궐련을 궐련 보관 케이스 내로 배출시키고, 상기 전자저울을 통해 측정된 궐련이 불량품인 경우 제3 구동모터를 가동하여 경로전환부의 가이드판을 개방시켜 해당 궐련을 쓰레기통으로 배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궐련 무게 선별기의 제어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모터는 제1 센서부가 인덱스판의 구멍을 감지할 때 발생되는 동작신호에 따라 제어되고 상기 인덱스판의 구멍 간의 각도를 단위 회전각으로 하여 단속적으로 회전되는 것인 궐련 무게 선별기의 제어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전환부의 가이드판의 개방시간은 제4 센서부가 해당 동작신호를 발생시킨 때부터 제3 센서부가 동작신호를 발생시킬 때까지인 것인 궐련 무게 선별기의 제어방법.
KR1020080101544A 2008-10-16 2008-10-16 궐련 무게 선별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88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544A KR101088533B1 (ko) 2008-10-16 2008-10-16 궐련 무게 선별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544A KR101088533B1 (ko) 2008-10-16 2008-10-16 궐련 무게 선별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404A KR20100042404A (ko) 2010-04-26
KR101088533B1 true KR101088533B1 (ko) 2011-12-05

Family

ID=4221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544A KR101088533B1 (ko) 2008-10-16 2008-10-16 궐련 무게 선별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5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859B1 (ko) * 2013-11-07 2015-08-28 (주)에이치에스팩 중량선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0245A (zh) * 2019-01-14 2019-03-29 天泽精密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端子裁切测试装置
CN112122152B (zh) * 2020-10-20 2024-01-26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烟支圆周面离线外观质量检测装置及方法
CN113953209A (zh) * 2021-10-27 2022-01-21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烟支无损均一性处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5260A (ja) * 1978-08-10 1998-11-17 Shionogi Kuorikapusu Kk 重量選別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5260A (ja) * 1978-08-10 1998-11-17 Shionogi Kuorikapusu Kk 重量選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859B1 (ko) * 2013-11-07 2015-08-28 (주)에이치에스팩 중량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404A (ko) 2010-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533B1 (ko) 궐련 무게 선별기 및 그 제어방법
EP2644182A2 (en) Medicine cutting device and automatic medicine packing machine with the same
JPS6119483B2 (ko)
EP2301850A2 (en) An automatic blister pack pill dispenser
CH626172A5 (ko)
KR19990071917A (ko) 젤라틴같은 소형물품 중량측정장치
KR101949661B1 (ko) 용기 제품의 지정된 특성들의 존재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1421427B1 (ko) 2d/3d 캐드캠을 이용한 플라즈마 절단장치
CN1191965C (zh) 硬币包装机
KR100929065B1 (ko) 궐련 필터 접착강도 자동 측정기 및 그 제어방법
EP1741350B1 (en) A unit for feeding filters to a filter tip attachment machine
CN105044374A (zh) 在线自动水分测定系统
JP2016019492A (ja) 食材成形装置
KR100847290B1 (ko) 볼트 정량 인입 기능이 구비된 볼트 자동 포장장치
CN109701885A (zh) 一种3c产品尺寸检测设备
US6233501B1 (en) System for engraving a plurality of gravure rolls
KR20090088276A (ko) 궐련 갑포장지 내마찰성 자동 시험기 및 그 제어방법
CN212041528U (zh) 用于滚针轴承的检测装置
CN209577445U (zh) 一种3c产品尺寸检测设备
CN201922576U (zh) 整体膜片的生产设备
KR100847289B1 (ko) 포장지 제조 및 실링 기능이 구비된 볼트 자동 포장장치
JP5207855B2 (ja) 品質評価装置及び品質評価方法
JPS6212088B2 (ko)
US6462288B1 (en) Metering device
CN204964526U (zh) 在线自动水分测定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