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741B1 - 전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741B1
KR101087741B1 KR1020090095319A KR20090095319A KR101087741B1 KR 101087741 B1 KR101087741 B1 KR 101087741B1 KR 1020090095319 A KR1020090095319 A KR 1020090095319A KR 20090095319 A KR20090095319 A KR 20090095319A KR 101087741 B1 KR101087741 B1 KR 101087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brightness
headlight
vehicl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7759A (ko
Inventor
신영남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5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741B1/ko
Publication of KR20110037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60Q1/14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combined with another condition, e.g. using vehicle recognition from camera images or activation of w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1Atmospheric conditions
    • B60Q2300/314Ambient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3Driving situation
    • B60Q2300/337Tunnels o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전조등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조등 제어 장치는, 영상 제공 장치로부터 촬영된 제1 영상 및 노출 이득을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제1 영상에서 소정 감지 영역에 대한 밝기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와, 상기 분석된 제1 영상의 밝기 및 상기 수신된 노출 이득을 기초로 주변 조도 및 터널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 결과 주변 조도가 야간 조도이거나 터널이 존재할 경우, 전조등 점등 신호를 생성하는 전조등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한다.
차량, 카메라, 전조등, 조도, 터널

Description

전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dlight}
본 발명은 전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전조등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량의 기하 급수적인 보급에 비례하여 차량의 안전사고 비율 또한 높아지고 있는데, 그러한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한 일련의 방안으로 차량의 전조등 및 미등을 적절하게 조작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차량의 전조등 및 미등 조작은 차량 주행중 전방 시야를 확보하고 상대방 차량에 대한 자차(自車)의 존재를 확인시켜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라이트 켜는 것에 익숙하지 못한 대부분의 운전자들의 인식과 습관으로 인해 잘 시행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즉,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일몰 일출 시점에 전조 등 뿐만 아니라 미등조차 켜는 것에 인색하거나 운전자의 조작 불이행으로 인하여 안전운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한 전조등 및 미등 조작이 보편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은 터널 및 지하 주차장 등과 같이 조도가 급격히 변화되는 장소로 차량이 진입할 때마다 콤비네이션 스위치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운전자가 전방 시야를 확실하게 판단할 수 없는 시간대(예를 들어, 해가 넘어가는 일몰이나 일출 시간대) 및 터널 등에 진입하는 순간에 있어서는 순간적인 시력 저하로 사물 판단이 어렵게 되어 안전 운행에 방해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전조등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술의 경우,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고, 전조등을 자동으로 점등 시, 현재 점등 상태에 있는 전조등이 소등 상태로 변환될 때 단순하게 조도변화가 발생되는 순간에 곧바로 소등됨으로써, 일시적인 조도변화 또는 잠시 정지하는 경우 전조등이 점등되고 소등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번거로운 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전방에 카메라가 장착되는 차량에서도 전조등의 자동 점등 시 조도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전방 유리(windshield)에 공간적인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별도의 조도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전조등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고안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전조등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조등 제어 장치는, 영상 제공 장치로부터 촬영된 제1 영상 및 노출 이득을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제1 영상에서 소정 감지 영역에 대한 밝기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와, 상기 분석된 제1 영상의 밝기 및 상기 수신된 노출 이득을 기초로 주변 조도 및 터널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 결과 주변 조도가 야간 조도이거나 터널이 존재할 경우, 전조등 점등 신호를 생성하는 전조등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조등 제어 방법은, 영상 제공 장치로부터 촬영된 제1 영상 및 노출 이득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1 영상에서 소정 감지 영역에 대한 밝기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제1 영상의 밝기 및 상기 수신된 노출 이득을 기초로 주변 조도 및 터널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주변 조도가 야간 조도이거나 터널이 존재할 경우, 전조등 점등 신 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조등 제어 장치는, 차량의 내부 전면 유리 상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차량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제공 장치와,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소정 감지 영역에 대한 밝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영상의 밝기 및 노출 이득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주변 조도 및 터널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차량의 전조등 점등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차량의 전방 유리에 위치된 카메라를 이용함으로써, 조도센서의 장착이 없이도 전조등의 자동 점등이 가능하므로, 조도센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조도센서의 장착이 불필요하므로, 조도센서가 장착되는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카메라를 이용함으로써, 조도센서가 감지하지 못하는 터널 진입 전 상황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터널 진입 시점 이전에 전조등을 점등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조등 제어 장치가 장착된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내부 전면 유리 상단부에 영상 제공 장치(100) 가 위치된다. 여기서, 영상 제공 장치(100)는 카메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영상 제공 장치(100)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영상 제공 장치(100)는 차량(1)의 전방 방향의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은 영상 처리 장치(미도시)로 제공된다. 영상 처리 장치는 영상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1)의 전방 방향에 터널의 존재 여부 및 주간/야간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차량(1)의 전조등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이하, 도 2에서 영상 제공 장치(100) 및 영상 처리 장치(200)를 포함하는 전조등 제어 장치(10)를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조등 제어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조등 제어 장치(10)는 영상 제공 장치(100) 및 영상 처리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장치(100)는 이미지 센서(110), A/D 컨버터(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영상 처리 장치(200)는 송수신부(210), 영상 분석부(220), 판단부(230), 전조등 제어 신호 생성부(240), 저장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10)는 차량(1)의 전방 영상의 각 화소에서 빛의 신호를 전기적 영상신호를 변환한다. 여기서, 이미지 센서는 CIS(CMOS Iimage Sensor)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A/D 컨버터(120)는 이미지 센서(110)로부터 제공받은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차량의 전방영상 촬영 시 영상 제공 장치(100)에 설정된 노출 이득을 영상 처리 장치(200)로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영상 제공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기능성 블록들 (110 및 120)의 동작을 제어 한다.
송수신부(210)는 영상 제공 장치(100)로부터 촬영된 영상(image) 및 노출 이득(exposure gain)을 수신한다. 또한, 송수신부(210)는 전조등 제어 신호 생성부(240)가 생성한 전조등 제어 신호 송신한다. 여기서, 송수신부(21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방식을 이용하여 전조등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영상 분석부(220)는 수신된 영상에서 소정 감지 영역에 대한 밝기를 분석한 다.
도 3a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영상 분석부(220)는 수신된 영상에서 소정 감지 영역의 각각에 대한 밝기를 분석하는데, 여기서 소정의 감지 영역은 차량(1)에 탑승한 사용자의 전방 시야 영역을 나타내는 제1 감지 영역(310), 제1 감지 영역(310)을 기준으로 좌우측 방향의 영역을 나타내는 제2 감지 영역(320), 제1 감지 영역(310)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의 영역을 나타내는 제3 감지 영역(330), 제1 감지 영역(310)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의 영역을 나타내는 제4 감지 영역(340)으로 구분될 수 있다.
판단부(230)는 영상 분석부(220)가 분석한 영상의 밝기값 및 노출이득을 기초로 주변 조도(즉, 주간/야간) 및 주변 상황(즉, 터널 존재 여부)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판단부(230)는 영상 분석부(220)가 분석한 영상의 밝기값(즉, 제1 감지 영역 내지 제4 감지 영역의 밝기값)이 저장부(250)에 기 저장된 제1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주변 조도가 낮은 야간으로 판단하고, 제1 임계값 보다 큰 경우, 주변 조도가 높은 주간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제1 임계값은 영상의 평균적인 밝기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판단부(230)의 판단 결과 야간인 경우, 판단부(230)는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영상 촬영 시 설정된 노출 이득과 제2 임계값(즉, 기 저장된 노출 이득)을 비교한다. 여기서, 노출 이득을 비교하는 것은 보다 정확하게 주간 또는 야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제2 임계값은 노출 이득의 평균적인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 결과 수신된 노출 이득이 저장부(250)에 기 저장된 제2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야간으로 판단한다.
또한, 판단부(230)는 영상 분석부(220)가 분석한 영상(즉, 제1 영상)의 소정 감지 영역에 대한 밝기값들(즉, 제1 감지 영역 내지 제4 감지 영역의 밝기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제1 감지 영역(310)의 밝기값이 다른 감지 영역들(320 내지 340)의 밝기값에 비해 작은(즉, 어두운) 경우, 전면에 터널(370)이 존재한다고 추정한다. 이에, 판단부(230)는 영상신호 영상 분석부(220)가 분석한 다음번에 수신된 영상(즉, 제2 영상)의 밝기값들과 이미 분석된 제1 영상의 밝기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제2 영상의 제1 감지 영역(310)의 밝기값 뿐만 아니라 다른 감지 영역(320 내지 340)의 밝기값이 제1 영상의 밝기값 보다 작아진(즉, 어두워진) 경우, 전면에 터널(370)이 존재한다고 최종적으로 판단한다(도 3b 참조).
또한, 판단부(230)는 차량(1)이 터널에 진입한 후 촬영된 영상(즉, 제3 영상)의 밝기값들과 다음번에 수신된 영상(즉, 제4 영상)의 밝기값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제4 영상의 밝기값들이 제3 영상의 밝기값 보다 커진(즉, 밝아진) 경우, 차량(1)의 터널 진출 시점이라고 판단한다.
전조등 제어 신호 생성부(240)는 판단부(230)의 판단 결과를 기초로 차량의 전조등을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주변 조도가 야간으로 판단된 경우, 전조등 제어 신호 생성부(240)는 전조등 점등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차량(1)의 전방에 터널(370)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전조등 제어 신호 생성부(240)는 차량(1)이 터널(370)에 진입하기 이전(예를 들어, 1~2초 전)에 전조등 점등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차량(1)이 터널(370)의 진출 시점에 위치된다고 판단된 경우, 전조등 제어 신호 생성부(240)는 터널 진출 시점 이전(예를 들어, 0~1초 전)에 전조등 소등 신호를 생성한다.
저장부(250)는 제1 임계값 및 제2 임계값을 저장하며, 영상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받은 쵤영된 영상 및 노출 이득을 저장한다.
제어부(260)는 영상 처리 장치(200)를 구성하는 각 기능성 블록들 (210 내지 25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조등 제어 방법 중 주간 및 야간을 판단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영상 처리 장치(200)의 송수신부(210)는 영상 제공 장치(100)로부터 촬영된 영상(image) 및 노출 이득(exposure gain)을 수신한다(S410).
그 다음, 영상 분석부(220)는 수신된 영상에서 소정 감지 영역에 대한 밝기를 분석한다(S420). 여기서, 소정의 감지 영역은 차량(1)에 탑승한 사용자의 전방 시야 영역을 나타내는 제1 감지 영역(310), 제1 감지 영역(310)을 기준으로 좌우측 방향의 영역을 나타내는 제2 감지 영역(320), 제1 감지 영역(310)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의 영역을 나타내는 제3 감지 영역(330), 제1 감지 영역(310)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의 영역을 나타내는 제4 감지 영역(340)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 다음, 판단부(230)는 영상 분석부(220)가 분석한 영상의 밝기값 및 송수 신부(210)가 수신한 노출이득를 기초로 주변의 조도를 판단한다. 여기서, 수신된 노출 이득은 차량(1)의 전방영상을 촬영할 때 영상 제공 장치(100)에 설정된 노출 이득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230)는 영상 분석부(220)가 분석한 영상의 밝기값(즉, 제1 감지 영역 내지 제4 감지 영역의 밝기값)과 저장부(250)에 기 저장된 제1 임계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분석된 영상의 밝기값이 제1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S430의 예), 야간으로 판단한다(즉, 1차 판단). 여기서, 제1 임계값은 영상의 평균적인 밝기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1차 판단 결과, 챠량(1)의 주변 조도가 야간 조도이라고 판단된 경우, 판단부(230)는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영상 촬영 시 설정된 노출 이득과 제2 임계값(즉, 기 저장된 노출 이득)을 비교한다.
예를 들어, 비교 결과 수신된 노출 이득이 저장부(250)에 기 저장된 제2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S440의 예), 판단부(230)는 챠량(1)의 주변 조도를 야간 조도로 판단한다(즉, 최종 판단)(S450). 여기서, 제2 임계값은 노출 이득의 평균적인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 다음, 전조등 제어 신호 생성부(240)는 판단부(230)의 판단 결과 차량(1)의 주변 조도가 야간이라고 판단되었으므로, 전조등 점등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1)의 전조등이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한다(S460).
한편, 판단부(230)는 영상신호 영상 분석부(200)가 분석한 영상의 밝기값(즉, 제1 감지 영역 내지 제4 감지 영역의 밝기값)과 저장부(250)에 기 저장된 제1 임계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분석된 영상의 밝기값이 제1 임계값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S430의 아니오), 챠량(1)의 주변 조도를 주간 조도으로 판단한다(S470).
또한, 수신된 노출 이득이 저장부(250)에 기 저장된 제2 임계값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S440의 아니오), 판단부(230)는 챠량(1)의 주변 조도를 주간 조도로 판단한다(S470).
그 다음, 전조등 제어 신호 생성부(240)는 판단부(230)의 판단 결과 차량(1)의 주변 조도가 주간이라고 판단되었으므로, 전조등 점등 신호를 생성하지 않으며, 이에 차량(1)의 전조등은 점등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조등 제어 방법 중 터널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영상 처리 장치(200)의 송수신부(210)는 영상 제공 장치(100)로부터 촬영된 영상(image) 및 노출 이득(exposure gain)을 수신한다.
그 다음, 영상 분석부(220)는 수신된 영상에서 소정 감지 영역에 대한 밝기를 분석한다(S510). 여기서, 소정의 감지 영역은 제1 감지 영역(310) 내지 제4 감지 영역(340)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 다음, 판단부(230)는 영상 분석부(220)가 분석한 영상의 소정 감지 영역에 대한 밝기값(즉, 제1 감지 영역 내지 제4 감지 영역의 밝기값)을 기초로 차량의 전방 방향에 터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추정한다.
예를 들어, 판단부(230)는 영상 분석부(220)가 분석한 영상(즉, 제1 영상)의 소정 감지 영역에 대한 밝기값들(즉, 제1 감지 영역 내지 제4 감지 영역의 밝기값) 을 각각 비교하고, 비교 결과 제1 감지 영역의 밝기값이 다른 감지 영역들(제2 감지 영역 내지 제4 감지 영역)의 밝기값에 비해 작은(즉, 어두운) 경우(S520의 예), 차량(1)의 전면에 터널이 존재한다고 추정한다.
그 다음, 영상 분석부(220)는 제1 영상 다음에 수신된 영상(즉, 제2 영상)에서 소정 감지 영역에 대한 밝기를 분석하고(S530), 판단부(230)는 영상 분석부(220)가 분석한 제2 영상의 밝기값들과 제1 영상의 밝기값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제2 영상의 제1 감지 영역의 밝기값 뿐만 아니라 다른 감지 영역의 밝기값이 제1 영상의 밝기값 보다 작은(즉, 어두운) 경우(S540의 예), 차량(1)의 전면에 터널이 존재한다고 판단(즉, 최종 판단)한다(S550).
그 다음, 전조등 제어 신호 생성부(240)는 판단부(230)의 판단 결과 차량(1)의 전방 방향에 터널이 존재한다고 판단되었으므로, 전조등 점등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1)의 전조등이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한다(S560). 여기서, 전조등 제어 신호 생성부(240)는 터널 진입 이전(예를 들어, 1~2초 전)에 전조등 점등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판단부(230)는 영상 분석부(220)가 분석한 영상(즉, 제1 영상)의 밝기값들(즉, 제1 감지 영역 내지 제4 감지 영역의 밝기값)을 각각 비교하고, 비교 결과 제1 감지 영역의 밝기값이 다른 감지 영역들(제2 감지 영역 내지 제4 감지 영역)의 밝기값에 비해 크거나 동일한 경우(S520의 아니오), 차량(1)의 전면에 터널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S570).
또한, 판단부(230)는 영상 분석부(220)가 분석한 제2 영상의 밝기값들과 제1 영상의 밝기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제2 영상의 밝기값이 제1 영상의 밝기값 보다 크거나 동일한 경우(S540의 아니오), 차량(1)의 전면에 터널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S570).
그 다음, 전조등 제어 신호 생성부(240)는 판단부(230)의 판단 결과 차량(1)의 전방 방향에 터널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었으므로, 전조등 점등 신호를 생성하지 않으며, 이에 차량(1)의 전조등은 점등되지 않는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조등 제어 장치가 장착된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조등 제어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된 영상에서 소정 감지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촬영된 영상에서 터널이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조등 제어 방법 중 주간 및 야간을 판단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조등 제어 방법 중 터널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영상 제공 장치 200 : 영상 처리 장치
210 : 송수신부 220 : 영상 분석부
230 : 판단부 240 : 전조등 제어 신호 생성부

Claims (9)

  1. 영상 제공 장치로부터 촬영된 제1 영상 및 노출 이득을 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1 영상에서 소정 감지 영역에 대한 밝기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분석된 제1 영상의 밝기 및 상기 수신된 노출 이득을 기초로 주변 조도 및 터널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주변 조도가 야간 조도이거나 터널이 존재할 경우, 전조등 점등 신호를 생성하는 전조등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판단부는 분석된 제1 영상의 밝기와 제1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영상의 밝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주변 조도를 야간 조도라고 추정하는, 전조등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감지 영역은,
    전방 시야 영역을 나타내는 제1 감지 영역; 및
    상기 제1 감지 영역을 기준으로 그 주변 영역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전조등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감지 영역은,
    상기 제1 감지 영역의 좌/우측 방향의 영역을 나타내는 제2 감지 영역;
    상기 제1 감지 영역의 상측 방향의 영역을 나타내는 제3 감지 영역; 및
    상기 제1 감지 영역의 하측 방향의 영역을 나타내는 제4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전조등 제어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주변 조도가 야간 조도로 추정된 경우,
    상기 수신된 노출 이득과 제2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수신된 노출 이득이 상기 제2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주변 조도를 야간 조도라고 판단하는, 전조등 제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분석된 제1 영상의 소정 감지 영역들에 대한 밝기들을 각각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소정 감지 영역들 중 제1 감지 영역의 밝기가 다른 감지 영역의 밝기 보다 작은 경우, 전방에 터널이 존재한다고 추정하는, 전조등 제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전방에 터널이 존재한다고 추정된 경우, 상기 제1 영상과 다른 시간대에 촬영되어 수신된 제2 영상의 밝기들과 상기 제1 영상의 밝기들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2 영상의 밝기가 상기 제1 영상의 밝기보다 작은 경우, 전방에 터널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전조등 제어 장치.
  8. 영상 제공 장치로부터 촬영된 제1 영상 및 노출 이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영상에서 소정 감지 영역에 대한 밝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제1 영상의 밝기 및 상기 수신된 노출 이득을 기초로 주변 조도 및 터널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주변 조도가 야간 조도이거나 터널이 존재할 경우, 전조등 점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주변 조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된 제1 영상의 밝기와 제1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영상의 밝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주변 조도를 야간 조도라고 추정하는, 전조등 제어 방법.
  9. 차량의 내부 전면 유리 상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차량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제공 장치; 및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소정 감지 영역에 대한 밝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영상의 밝기 및 노출 이득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주변 조도 및 터널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차량의 전조등 점등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데,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분석된 제1 영상의 밝기와 제1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영상의 밝기가 상기 제1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주변 조도를 야간 조도라고 추정하는, 전조등 제어 장치.
KR1020090095319A 2009-10-07 2009-10-07 전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087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319A KR101087741B1 (ko) 2009-10-07 2009-10-07 전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319A KR101087741B1 (ko) 2009-10-07 2009-10-07 전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759A KR20110037759A (ko) 2011-04-13
KR101087741B1 true KR101087741B1 (ko) 2011-11-30

Family

ID=44045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319A KR101087741B1 (ko) 2009-10-07 2009-10-07 전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7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6002A1 (en) 2020-02-03 2021-08-12 Perkins Engines Company Limited Vehicle lighting control using image processing of changes in ambient light intens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835B1 (ko) * 2010-08-30 2013-01-07 주식회사 만도 영상 분석을 통한 헤드라이트 제어 장치 및 그의 헤드라이트 온/오프 제어 방법
KR101355076B1 (ko) * 2013-02-18 2014-01-27 주식회사 만도 차량 조도 환경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CN108621913A (zh) * 2018-02-09 2018-10-09 常州星宇车灯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驶入隧道前开启大灯的控制系统
KR102531764B1 (ko) * 2021-03-29 2023-05-1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미점등 알림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3068A (ja) * 2005-01-14 2006-07-27 Denso Corp 車両用トンネル検出装置および車両用ライト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3068A (ja) * 2005-01-14 2006-07-27 Denso Corp 車両用トンネル検出装置および車両用ライト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6002A1 (en) 2020-02-03 2021-08-12 Perkins Engines Company Limited Vehicle lighting control using image processing of changes in ambient light intens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759A (ko)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5862B2 (ja) 車両周囲監視装置
US9123179B2 (en) Surrounding image display system and surrounding image display method for vehicle
KR101087741B1 (ko) 전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
US8044789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the monitoring of the external environment of a motor vehicle
CN107972569B (zh) 车灯组控制方法、装置、系统及车辆
JP6935350B2 (ja) 監視装置およびトロリー式車両
US20130088598A1 (en) Obstacl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and obstacle detection apparatus
CN106915295B (zh) 车辆大灯状态的控制方法及装置
JP2006298362A (ja) 暗い領域に到達したことを早期に検出する方法
KR101848451B1 (ko) 차량 후미등과 점멸 적색 정지등을 구별하기 위한 차량 촬상 시스템 및 방법
US201303201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equipment responsive to a multi-stage village detection
JP2014127924A (ja) 暗視装置
CN113246846A (zh) 车辆灯光控制方法、装置及车辆
US9367749B2 (en) Object detection apparatus
JP2013235444A (ja) 車両視界支援装置
JP2009071539A (ja) 車両用撮像装置
JP200829675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155374B1 (ko) 자동차용 야간 화상들을 형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7021134B2 (ja) 車両周辺モニタ装置
US11167687B2 (en) Object detection system
JP6204022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101352723B1 (ko) 운전 지원 장치
KR101650953B1 (ko)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이용한 터널 진입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090114856A (ko) 차량용 외부등 제어 시스템 및 차량용 외부등 제어 방법
JP2018182540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カメラ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