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120B1 -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 - Google Patents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120B1
KR101087120B1 KR1020110057257A KR20110057257A KR101087120B1 KR 101087120 B1 KR101087120 B1 KR 101087120B1 KR 1020110057257 A KR1020110057257 A KR 1020110057257A KR 20110057257 A KR20110057257 A KR 20110057257A KR 101087120 B1 KR101087120 B1 KR 101087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nit
base frame
unit
bottom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교
Original Assignee
김병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교 filed Critical 김병교
Priority to KR1020110057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1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0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화물차의 적재함에 적재되어 운반이 가능해지도록 구비된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어느 일부가 다른 일부의 내부로 수용되어 축소되거나 어느 일부가 다른 일부로부터 인출되어 수평으로 확장가능하게 구비된 하우스 본체; 및, 상기 하우스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하우스 본체의 하부로부터 인출되어 회동되며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소형 화물차의 적재함에도 적재되어 운반될 수 있도록 이동 주택이 수평방향으로 축소 및 확장이 가능해지도록 구비됨으로써 이동 주택의 제작 비용과 운영 비용을 비롯한 제반 비용들이 획기적으로 절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 {extensible mobile house}
본 발명은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방향으로 축소 및 확장이 가능해지도록 구비되어 소형 화물차의 적재함에도 적재되어 운반될 수 있는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에 관한 것이다.
이동 주택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캠핑카를 들 수 있다. 캠핑카는 차내를 주택과 같이 개조한 것과 자동차로 견인되는 트레일러 타입이 있다.
차내를 개조한 것이든 트레일러 타입이든 이동 주택은 차량에 연결되어 이동하게 되므로 주행시에 차량의 차폭 제한 때문에 이동 주택의 폭도 제약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 주택은 그 내부의 주거공간이 고정되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동 주택은 이동 주택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보다 넓은 주거공간을 희망하기 때문에 주거공간이 대형화되어 이동 주택 자체의 크기가 대형화되므로 제작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렇게 대형화된 이동 주택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자동차의 마력도 올라가야 하기 때문에 운영 비용도 증가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 화물차의 적재함에도 적재되어 운반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축소 및 확장이 가능해지도록 구비됨으로써 제반 비용들이 절감될 수 있는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이동 및 설치될 수 있는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형 화물차의 적재함에 적재되어 운반이 가능해지도록 구비된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에 있어서, 어느 일부가 다른 일부의 내부로 수용되어 축소되거나 어느 일부가 다른 일부로부터 인출되어 수평으로 확장가능하게 구비된 하우스 본체; 및, 상기 하우스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하우스 본체의 하부로부터 인출되어 회동되며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스 본체는, 주거공간의 바닥 골조를 이루도록 구비된 베이스 골조유닛과, 상기 베이스 골조유닛의 상부에 구비되되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가 상호 겹쳐지는 운반위치와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슬라이딩되어 확장되는 주거위치 사이를 왕복가능하게 구비된 바닥 골조유닛과, 상기 바닥 골조유닛의 상부에 수직으로 구비된 복수의 기둥부재와, 상기 바닥 골조유닛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되고, 상기 기둥부재들 사이의 빈 공간을 덮도록 구비되어 주거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패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골조유닛 및 상기 바닥 골조유닛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롤러가 구비된 롤러 레일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롤러에 접촉되는 슬라이딩 레일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골조유닛은, 상기 바닥 골조유닛이 왕복되는 방향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바닥 골조유닛이 왕복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유닛이 삽입되고 인출되는 레그 수용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중앙에는 수평계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베이스 골조유닛에 구비되되, 상기 레그 수용 프레임으로부터 인출된 후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바닥 골조유닛의 슬라이딩을 지지하고, 소형 화물차가 이동되어 상기 하우스 본체의 하부로부터 떠나게 되더라도 이동되기 전과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베이스 골조유닛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바닥 골조유닛이 왕복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 골조유닛으로부터 인출된 후 회동되어 상기 베이스 골조유닛의 일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레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그는, 상기 베이스 골조유닛에 수평되게 구비되어 인출되는 수평 슬라이딩부와, 상기 수평 슬라이딩부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되어 회동시 상기 베이스 골조유닛의 일측을 지지하는 회동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그는 승강 동작에 의해 상기 베이스 골조유닛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지지부에 구비된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그는 상기 바닥 골조유닛의 슬라이딩 확장이 주거위치까지 제한되도록 상기 수평 슬라이딩부에 구비된 제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그는 상기 바닥 골조유닛이 운반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바닥 골조유닛이 운반위치로부터 벗어나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평 슬라이딩부에 구비된 억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한 스토퍼 및 상기 억제 스토퍼는 상기 수평 슬라이딩부를 중심으로 상호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 화물차의 적재함에도 적재되어 운반될 수 있도록 이동 주택이 수평방향으로 축소 및 확장이 가능해지도록 구비됨으로써 이동 주택의 제작 비용과 운영 비용을 비롯한 제반 비용들이 획기적으로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을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이동 및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패널이 해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하부 구성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베이스 골조유닛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의 베이스 골조유닛에 바닥 골조유닛이 얹혀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2의 하부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3의 베이스 골조유닛의 후방 영역에서 일측 모퉁이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3의 베이스 골조유닛의 사이드 프레임에 구비된 수평계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9는 도 3의 지지유닛에 구비된 제한 스토퍼 및 억제 스토퍼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10은 도 3의 사이드 프레임에 형성된 바아 삽입구를 통해 잭 승강 바아가 장착되어 유압 잭에 의해 승강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11은 도 1의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의 지붕에 태양열 집열판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의 하우스 본체에서 제1 바닥 골조유닛의 상부에 구비되는 겹문이 펼쳐지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겹문에 구비된 바닥 평탄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화물차(1)의 적재함(3)에 적재되어 운반이 가능해지도록 구비된 것으로서, 어느 일부가 다른 일부의 내부로 수용되어 축소되거나 어느 일부가 다른 일부로부터 인출되어 수평으로 확장가능하게 구비된 하우스 본체(110)와, 하우스 본체(110)의 하부에 구비되되 하우스 본체(110)의 하부로부터 인출되어 회동되며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지지유닛(17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소형 1톤 화물차(1)의 적재함(3)에도 적재되어 운반될 수 있도록 이동 주택이 수평방향으로 축소 및 확장이 가능해지도록 구비됨으로써 이동 주택의 제작 비용과 운영 비용을 비롯한 제반 비용들이 획기적으로 절감될 수 있다.
하우스 본체(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거공간의 바닥 골조를 이루도록 구비된 베이스 골조유닛(120)과, 베이스 골조유닛(120)의 상부에 구비되되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가 상호 겹쳐지는 운반위치와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슬라이딩되어 확장되는 주거위치 사이를 왕복가능하게 구비된 바닥 골조유닛(131,133)과, 바닥 골조유닛(131,133)의 상부에 수직으로 구비된 복수의 기둥부재(140)와, 바닥 골조유닛(131,133)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되고 기둥부재(140)들 사이의 빈 공간을 덮도록 구비되어 주거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패널(15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하우스 본체(110) 중 어느 일부가 다른 일부의 내부로 수용되어 축소되거나 어느 일부가 다른 일부로부터 인출되어 수평으로 확장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골조유닛(120) 및 바닥 골조유닛(131,133)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롤러(121)가 구비된 롤러 레일(123)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롤러(121)에 접촉되는 슬라이딩 레일(135)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골조유닛(120)에 롤러 레일(123)이 구비되고 바닥 골조유닛(131,133)에 슬라이딩 레일(135)이 구비되며, 롤러 레일(123)의 상부에 복수의 롤러(121)가 일렬로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레일(135)은 롤러(121)에 맞물릴 수 있도록 단면 형상이 요부(凹部)와 철부(凸部)를 갖도록 마련되거나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베이스 골조유닛(120)의 바로 상부에 구비된 바닥 골조유닛(131)(이하, 제1 바닥 골조유닛이라 함)의 하부에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마련된 슬라이딩 레일(135)이 구비되고, 제1 바닥 골조유닛(131)의 상부에 구비된 바닥 골조유닛(133)(이하, 제2 바닥 골조유닛이라 함)의 하부에 단면 형상이 요부와 철부를 갖도록 마련된 슬라이딩 레일(135)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닥 골조유닛(131,133)에 마련된 슬라이딩 레일(135)이 롤러 레일(123)의 상부에 구비된 롤러(121)에 맞물려 슬라이딩 접촉됨으로써 바닥 골조유닛(131,133)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가 상호 겹쳐지는 운반위치와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슬라이딩되어 확장되는 주거위치 사이를 왕복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닥 골조유닛(131)의 하부에는 지지유닛(170)의 후술할 각 레그(171)의 수평 슬라이딩부(173)의 형상에 대응되게 원호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홈을 갖는 슬라이딩 지지부(137)가 마련되어 제1 바닥 골조유닛(131)이 슬라이딩 이동될 때에 슬라이딩 지지부(137)가 수평 슬라이딩부(173)에 맞물려 수평 슬라이딩부(173)에 의해 제1 바닥 골조유닛(131)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 골조유닛(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골조유닛(131,133)이 왕복되는 방향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25)과, 바닥 골조유닛(131,133)이 왕복되는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25) 사이에 구비되어 지지유닛(170)이 삽입되고 인출되는 레그 수용 프레임(127)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 수용 프레임(127)은 지지유닛(170)의 레그(171)의 수평 슬라이딩부(173)의 형상에 대응되게 속 빈 원통의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 수용 프레임(127)은 베이스 골조유닛(120)의 전후에 각각 한 쌍씩 모두 네 개가 구비되고, 롤러 레일(123)도 베이스 골조유닛(120)의 전후에 각각 한 쌍씩 모두 네 개가 구비되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된 롤러 레일(123) 중 어느 하나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된 레그 수용 프레임(127) 중 외측에 구비된 레그 수용 프레임(127)의 상부에 구비되고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된 롤러 레일(123) 중 다른 하나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된 레그 수용 프레임(127) 사이의 중간 위치에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골조유닛(12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된 롤러 레일(123)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닥 골조유닛(131)의 하부에 구비된 슬라이딩 레일(135)은 베이스 골조유닛(12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된 롤러 레일(123) 중 낮은 위치에 마련된 다른 하나의 롤러 레일(123)의 롤러(121)에 맞물려 슬라이딩 접촉되고, 제2 바닥 골조유닛(133)의 하부에 구비된 슬라이딩 레일(135)은 베이스 골조유닛(12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된 롤러 레일(123) 중 높은 위치에 마련된 어느 하나의 롤러 레일(123)의 롤러(121)에 맞물려 슬라이딩 접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125)의 중앙에는 수평계(129)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계(129)는 내부에 구비된 액상 물질의 기울어짐을 통해 사이드 프레임(125)이 기울어졌는 지의 여부를 알 수 있도록 액상 물질이 수용된 부분에는 투명 표시창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지지유닛(170)이 하우스 본체(110)의 하부로부터 인출 및 회동되어 하우스 본체(110)를 지지한 후, 하우스 본체(11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가 조절되도록 지지유닛(170)을 승강시킬 때에 하우스 본체(110)가 지면에 대해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이 유지되도록 지지유닛(170)의 승강을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주거공간이 수평으로 안정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골조유닛(120)의 레그 수용 프레임(127)에서 지지유닛(170)의 후술할 각 레그(171)의 수평 슬라이딩부(173)가 출입되는 개구측 단부에는 수평 슬라이딩부(173)에 접촉되어 수평 슬라이딩부(173)의 추가적인 출입을 제한하도록 구비된 고정 핀(160)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핀 체결공(127a)이 천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스 본체(110)가 축소된 상태에서 확장된 후 확장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후술할 제한 스토퍼(173a)에는 또 다른 고정 핀(160)이 체결될 수 있는 핀 체결공(127a)이 천공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후술할 억제 스토퍼(173b)에도 또 다른 고정 핀(160)이 체결될 수 있는 핀 체결공(127a)이 천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한 스토퍼(173a)에 핀 체결공(127a)을 마련하지 않고 제1 바닥 골조유닛(131)과 제2 바닥 골조유닛(133)의 사이 또는 롤러(121)와 슬라이딩 레일(135) 사이에 걸림 후크나 압착부재와 같은 슬라이딩 제한 수단(미도시)을 별도로 마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지지유닛(17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골조유닛(120)에 구비되되, 바닥 골조유닛(131,133)이 왕복되는 방향을 따라 베이스 골조유닛(120)으로부터 인출된 후 회동되어 베이스 골조유닛(120)의 일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레그(171)를 포함하여, 레그 수용 프레임(127)으로부터 인출된 후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바닥 골조유닛(131,133)의 슬라이딩을 지지하고, 소형 화물차(1)가 이동되어 하우스 본체(110)의 하부로부터 떠나게 되더라도 소형 화물차(1)가 이동되기 전과 동일한 높이에서 베이스 골조유닛(120)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레그(171)는 베이스 골조유닛(120)의 네 모서리 부분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네 개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레그(17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골조유닛(120)에 수평되게 구비되어 인출되는 수평 슬라이딩부(173)와, 수평 슬라이딩부(173)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되어 회동시 베이스 골조유닛(120)의 일측을 지지하는 회동지지부(175)를 포함한다. 즉, 레그(171)는 대략 ‘L’자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수평 슬라이딩부(173)가 베이스 골조유닛(120)의 레그 수용 프레임(127)으로 수용 또는 인출되게 구비되고 회동지지부(175)가 수평 슬라이딩부(173)에 대해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100)을 주거위치에서 사용할 때에는 레그 수용 프레임(127)으로부터 각 레그(171)의 수평 슬라이딩부(173)를 인출한 뒤 회동지지부(175)의 단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동지지부(175)를 회전시켜 하우스 본체(110)를 지지하도록 하고,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100)을 운반하고자 할 때에는 각 레그(171)의 회동지지부(175)를 베이스 골조유닛(120)에 수평되게 회전시킨 뒤 수평 슬라이딩부(173)를 레그 수용 프레임(127)으로 집어 넣어 레그 수용 프레임(127)의 내부에 수용시킴으로써,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100)을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이동 및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171)는 승강 동작에 의해 베이스 골조유닛(120)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회동지지부(175)에 구비된 높이조절부(175a)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높이조절부(175a)는 볼트와 너트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골조유닛(120)의 사이드 프레임(125)에는 잭 승강 바아(5)가 베이스 골조유닛(120)을 가로질러 삽입될 수 있도록 바아 삽입구(125a)가 천공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시 바아 삽입구(125a)를 통해 잭 승강 바아(5)를 장착하여 유압 잭(hydraulic jack)(7) 등에 의해 잭 승강 바아(5)를 들어 올린 후, 하우스 본체(110)가 들어 올려진 만큼 지지유닛(170)의 높이조절부(175a)를 조절하여 하우스 본체(11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를 더욱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171)는 바닥 골조유닛(131,133)의 슬라이딩 확장이 주거위치까지 제한되도록 수평 슬라이딩부(173)에 구비된 제한 스토퍼(173a)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그(171)는 바닥 골조유닛(131,133)이 운반위치에 있을 때에 바닥 골조유닛(131,133)이 운반위치로부터 벗어나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평 슬라이딩부(173)에 구비된 억제 스토퍼(173b)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 스토퍼(173a) 및 억제 스토퍼(173b)는 수평 슬라이딩부(173)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직교되게 상호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100)의 하우스 본체(110)는 기둥부재(140)들의 상부에서 지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수평 프레임(145)을 더 포함하고, 이러한 수평 프레임(145) 사이의 빈 공간을 덮는 패널들은 하우스 본체(110)의 지붕(155)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붕(155)은 수평 프레임(14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붕(155)을 형성하는 패널 대신에 일부 영역을 유리창으로 마련하거나 유리창 아래에서 슬라이딩되는 패널로 마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주택에서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붕(155)에는 태양열 집열판(157)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100)의 하우스 본체(110)에서 제1 바닥 골조유닛(131)의 상부에 구비되는 패널(150)은 제2 바닥 골조유닛(133)의 상부 주거공간을 여닫이로 개폐하는 겹문(170)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겹문(170)은 3중으로 마련되어 겹문(170)을 열면 제2 바닥 골조유닛(133)의 상부 주거공간은 개방되면서 제1 바닥 골조유닛(131)의 상부 주거공간의 양측은 가로막히고 양측 사이의 공간은 개방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1 바닥 골조유닛(131)의 상부 주거공간의 양측을 가로막는 겹문(170)을 한 번 더 펼치면 제1 바닥 골조유닛(131)의 상부 주거공간이 모두 밀폐되어 온전한 주거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화물차(1)에 적재된 이동 주택(100)을 기준으로 소형 화물차(1)의 전방 또는 후방 측면에서 바라볼 때에, 겹문(170)에서 하부의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겹문(170)의 가장 안측의 바닥 평탄부(171)를 펼치면 제1 바닥 골조유닛(131)과 제2 바닥 골조유닛(133)에 의해 각각 제공되는 바닥의 높낮이차를 메우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100)의 겹문(170)을 계절의 변화에 맞게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경치를 즐길 수 있고, 겹문(170)의 바닥 평탄부(171)에 의해 하우스 본체(110) 중 어느 일부가 다른 일부의 내부로 수용되어 축소되거나 어느 일부가 다른 일부로부터 인출되어 수평으로 확장가능하게 구비될 때에 발생되는 바닥의 높낮이 차이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닥 평탄부(171)는 제2 바닥 골조유닛(133)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된 패널(150)에 힌지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 바닥 골조유닛(131)과 제2 바닥 골조유닛(133)에 의해 각각 제공되는 바닥의 높낮이차를 메우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100)이 소형 화물차(1)의 적재함(3)에 적재되어 운반되다가 지면에 설치되는 과정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베이스 골조유닛(120)의 레그 수용 프레임(127)으로부터 각 레그(171)의 수평 슬라이딩부(173)를 인출한 뒤 회동지지부(175)의 단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동지지부(175)를 회전시켜 하우스 본체(110)를 지지한다.
이때, 고정 핀(160)이 수평 슬라이딩부(173)에 밀착되게 레그 수용 프레임(127)에 형성된 핀 체결공(127a)들에 고정 핀(160)들을 체결하여 수평 슬라이딩부(173)의 추가적인 출입이 제한되도록 수평 슬라이딩부(173)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하우스 본체(110)의 어느 일부가 다른 일부의 내부로 수용되어 축소된 상태에서 하우스 본체(110)가 수평으로 확장되도록 하우스 본체(110)의 어느 일부를 다른 일부로부터 인출한다.
그리고, 또 다른 고정 핀(160)들이 제1 바닥 골조유닛(131) 상부의 패널(150) 및 제2 바닥 골조유닛(133) 상부의 패널(150)을 가압 밀착하여 하우스 본체(110)가 확장된 후 확장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기둥부재(140)에 형성된 핀 체결공(127a)들에 또 다른 고정 핀(160)들을 체결한다.
이후, 지지유닛(170)의 높이조절부(175a)를 조절하여 레그(171)들의 회동지지부(175)를 승강시켜 하우스 본체(11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를 조절한다.
한편, 이렇게 레그(171)들의 높이가 조절 및 고정되어 하우스 본체(11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가 고정되면, 소형 화물차(1)가 이동되어 다른 장소로 떠나게 되어 하우스 본체(110)가 적재함(3)의 지지를 받지 못하게 되더라도 하우스 본체(11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는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 화물차(1)의 적재함(3)에도 적재되어 운반될 수 있도록 이동 주택이 수평방향으로 축소 및 확장이 가능해지도록 구비됨으로써 이동 주택의 제작 비용과 운영 비용을 비롯한 제반 비용들이 획기적으로 절감될 수 있고,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100)을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이동 및 설치할 수 있다.
110 : 하우스 본체 120 : 베이스 골조유닛
121 : 롤러 123 : 롤러 레일
125 : 사이드 프레임 127 : 레그 수용 프레임
129 : 수평계 131 : 제1 바닥 골조유닛
133 : 제2 바닥 골조유닛 135 : 슬라이딩 레일
140 : 기둥부재 150 : 패널
170 : 지지유닛 171 : 레그
173 : 수평 슬라이딩부 173a : 제한 스토퍼
173b : 억제 스토퍼 175 : 회동지지부
175a : 높이조절부

Claims (12)

  1. 소형 화물차의 적재함에 적재되어 운반이 가능해지도록 구비된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에 있어서,
    주거공간의 바닥 골조를 이루도록 구비된 베이스 골조유닛과, 상기 베이스 골조유닛의 상부에 구비되되,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가 상호 겹쳐지는 운반위치와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슬라이딩되어 확장되는 주거위치 사이를 왕복가능하게 구비된 바닥 골조유닛과, 상기 바닥 골조유닛의 상부에 수직으로 구비된 복수의 기둥부재와, 상기 바닥 골조유닛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되고, 상기 기둥부재들 사이의 빈 공간을 덮도록 구비되어 주거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패널을 포함하는 하우스 본체; 및
    상기 하우스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바닥 골조유닛이 왕복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 골조유닛으로부터 인출된 후 회동되어 상기 베이스 골조유닛의 일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레그를 포함하는 지지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골조유닛 및 상기 바닥 골조유닛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롤러가 구비된 롤러 레일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롤러에 접촉되는 슬라이딩 레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골조유닛은,
    상기 바닥 골조유닛이 왕복되는 방향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바닥 골조유닛이 왕복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유닛이 삽입되고 인출되는 레그 수용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중앙에는 수평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베이스 골조유닛에 구비되되, 상기 레그 수용 프레임으로부터 인출된 후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바닥 골조유닛의 슬라이딩을 지지하고, 소형 화물차가 이동되어 상기 하우스 본체의 하부로부터 떠나게 되더라도 이동되기 전과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베이스 골조유닛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기 베이스 골조유닛에 수평되게 구비되어 인출되는 수평 슬라이딩부와,
    상기 수평 슬라이딩부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되어 회동시 상기 베이스 골조유닛의 일측을 지지하는 회동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승강 동작에 의해 상기 베이스 골조유닛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지지부에 구비된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기 바닥 골조유닛의 슬라이딩 확장이 주거위치까지 제한되도록 상기 수평 슬라이딩부에 구비된 제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기 바닥 골조유닛이 운반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바닥 골조유닛이 운반위치로부터 벗어나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평 슬라이딩부에 구비된 억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스토퍼 및 상기 억제 스토퍼는 상기 수평 슬라이딩부를 중심으로 상호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
KR1020110057257A 2011-06-14 2011-06-14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 KR101087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257A KR101087120B1 (ko) 2011-06-14 2011-06-14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257A KR101087120B1 (ko) 2011-06-14 2011-06-14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7120B1 true KR101087120B1 (ko) 2011-11-25

Family

ID=45398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257A KR101087120B1 (ko) 2011-06-14 2011-06-14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120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367B1 (ko) 2012-10-19 2013-11-14 주식회사 광명건설 이동식 기능성 임시주택
KR101540013B1 (ko) * 2014-02-28 2015-07-28 김영구 차량 적재형 캠핑하우스
KR101635554B1 (ko) 2016-01-14 2016-07-05 (주) 유강이앤씨 이동이 용이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
KR101637960B1 (ko) 2015-10-23 2016-07-08 디노스틸 주식회사 이동식 하우스
KR20180128816A (ko) * 2017-05-24 2018-12-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드론 비행 연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놀이기구
KR20210138371A (ko) 2020-05-12 2021-11-19 김선중 자동 확장형 이동주택
KR20210148747A (ko) * 2020-06-01 2021-12-08 박찬구 조립식 건축용 가변형 골조
CN114293662A (zh) * 2022-01-17 2022-04-08 深圳万用房屋智造科技有限公司 可伸缩和折叠的可变空间移动结构及房屋
KR102505494B1 (ko) * 2022-11-25 2023-03-03 (주)신흥이앤지 집짓기 체험 시설
KR20230120917A (ko) 2022-02-10 2023-08-17 이미옥 확장 가능한 이동식 주택
CN117107914A (zh) * 2023-10-25 2023-11-24 微宿工业有限公司 一种组合拼接式的移动旅居房屋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367B1 (ko) 2012-10-19 2013-11-14 주식회사 광명건설 이동식 기능성 임시주택
KR101540013B1 (ko) * 2014-02-28 2015-07-28 김영구 차량 적재형 캠핑하우스
KR101637960B1 (ko) 2015-10-23 2016-07-08 디노스틸 주식회사 이동식 하우스
KR101635554B1 (ko) 2016-01-14 2016-07-05 (주) 유강이앤씨 이동이 용이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
KR20180128816A (ko) * 2017-05-24 2018-12-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드론 비행 연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놀이기구
KR101962389B1 (ko) * 2017-05-24 2019-03-2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드론 비행 연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놀이기구
KR20210138371A (ko) 2020-05-12 2021-11-19 김선중 자동 확장형 이동주택
KR20210148747A (ko) * 2020-06-01 2021-12-08 박찬구 조립식 건축용 가변형 골조
KR102392417B1 (ko) * 2020-06-01 2022-05-02 박찬구 조립식 건축용 가변형 골조
CN114293662A (zh) * 2022-01-17 2022-04-08 深圳万用房屋智造科技有限公司 可伸缩和折叠的可变空间移动结构及房屋
KR20230120917A (ko) 2022-02-10 2023-08-17 이미옥 확장 가능한 이동식 주택
KR102505494B1 (ko) * 2022-11-25 2023-03-03 (주)신흥이앤지 집짓기 체험 시설
CN117107914A (zh) * 2023-10-25 2023-11-24 微宿工业有限公司 一种组合拼接式的移动旅居房屋
CN117107914B (zh) * 2023-10-25 2024-01-09 微宿工业有限公司 一种组合拼接式的移动旅居房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120B1 (ko)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
KR102180835B1 (ko) 공간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캠핑카
US5992920A (en) Foldout recreational vehicle
KR101510392B1 (ko) 루프탑 텐트구조체
CN102092610A (zh) 电梯检修台
KR102365923B1 (ko) 이동식 캠핑하우스
KR102131045B1 (ko) 확장형 롤테이너
CN208377303U (zh) 运车架
CN110723056A (zh) 流动售货车
KR20120108299A (ko) 캠핑카용 테이블
KR102358082B1 (ko) 캠핑용 카라반
KR101241369B1 (ko) 캠핑하우스
CN117999394A (zh) 一种多段式露营房
KR20140122912A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장치
KR101411388B1 (ko) 화물차용 적재함 덮개장치
KR101876121B1 (ko) 폴딩식 시트와 연동되는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KR102613793B1 (ko) 트렁크 확장모듈
US3488084A (en) Tent unit for boat trailers
CN201023535Y (zh) 方便式高栏货车厢
KR100597370B1 (ko) 차량용 리프트장치
KR102579872B1 (ko) 후방 확장형 공간구조를 구비한 캠핑카
KR20230148957A (ko) 차량에서 하역되고 양측과 상부가 확장되는 캠핑용 하우스
KR102579873B1 (ko) 후방 확장형 공간구조를 구비한 캠핑카
JP2012121335A (ja) スライド式拡張ハウス
RU223175U1 (ru) Кузов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трансформируемый в сцен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