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554B1 - 이동이 용이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 - Google Patents

이동이 용이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554B1
KR101635554B1 KR1020160004645A KR20160004645A KR101635554B1 KR 101635554 B1 KR101635554 B1 KR 101635554B1 KR 1020160004645 A KR1020160004645 A KR 1020160004645A KR 20160004645 A KR20160004645 A KR 20160004645A KR 101635554 B1 KR101635554 B1 KR 101635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use
support
main fram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창
송효식
정혜화
Original Assignee
(주) 유강이앤씨
김기창
송효식
정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유강이앤씨, 김기창, 송효식, 정혜화 filed Critical (주) 유강이앤씨
Priority to KR1020160004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5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04B1/34373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이 용이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하우스본체에 설치되는 확장부를 필요에 따라 펼쳐서 주거 공간의 확장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동시에는 확장부를 접어 부피를 줄여줌으로써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동이 용이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주거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스본체; 상기 하우스본체의 일측에서 하우스본체의 외측방향으로 펼쳐져 주거 공간을 확장해 주는 것으로, 확장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덮어주도록 설치되는 천막부로 이루어진 확장부; 상기 하우스본체의 상부 일측면에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확장부와 하우스본체 사이의 공간을 밀폐해주는 막음판; 상기 하우스본체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확장부에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확장부를 고정해주는 윈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이 용이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Hybrid house for easy to moving}
본 발명은 이동이 용이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확장이 가능하고 이동시에 확장부를 접어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동이 용이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사회에 있어 경제활동의 유동성 증가로 인하여, 설치가 간단하고 이동성이 편리한 거주용 또는 사무용 조립식 간이 구조물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컨테이너를 개량하여, 산업현장용, 주거용, 오피스용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컨테이너 하우스를 제작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컨테이너 하우스는 건축물의 시공이 난해한 지역이나 좁은 공간에도 시공이 가능하며 이동 및 설치가 대단히 편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컨테이너 하우스는 설치 및 운반이 편리한 반면 크기가 한정되어 여러 명이 사용하기에는 내부의 생활공간이 좁은 문제점이 있으며, 확장하는 것 또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087120 공개특허번호 10-2015-0048275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스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확장부를 필요에 따라 하우스본체의 외측으로 펼쳐서 공간의 확장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동시에는 확장부를 접어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확장부에 형성되는 천막부에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이 용이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내부에 주거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스본체; 상기 하우스본체의 일측에서 하우스본체의 외측방향으로 작동되어 확장하고자 하는 공간의 틀을 형성해주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덮어주도록 설치되는 천막부로 이루어져 확장 공간을 형성해주는 확장부; 상기 하우스본체의 상부면 일측에서 하우스본체의 상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확장부가 하우스본체의 외측으로 작동될 경우 하우스본체의 상부방향으로 회전하여 확장부와 하우스본체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막아주는 막음판; 상기 하우스본체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확장부에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확장부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거나 펼쳐진 확장부가 접혀지도록 당겨주는 윈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하우스본체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 한 쌍의 지지체; 상기 지지체에 양단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윈치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제1메인프레임; 상기 지지체에 양단이 고정되게 설치되되, 지지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제1메인프레임과 방사상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끝단에 양단이 힌지 결합되어 하우스본체 방향으로 프레임부를 접을 경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메인프레임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연장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제2메인프레임; 상기 지지체에 양단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메인프레임과 제2메인프레임 사이에서 방사상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확장부의 펼침 작동시 지지체에 장착되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고, 확장부의 접힘 작동시 지지체에서 분리되어 일방향으로 모여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조립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상기 하우스본체에 마련된 회전축에 설치되고 내측으로 상기 제1메인프레임과 제2메인프레임 및 조립프레임이 설치되는 지지체몸체; 상기 지지체몸체의 내부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조립프레임이 끼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상부면에 다수의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조립프레임 탈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체는, 지지체몸체의 외측면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를 통해 상기 하우스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레일에 가이드 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장부는 고정핀을 통해 지지체를 하우스본체에 고정함으로써 설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막음판에 일측단이 결합되고 타측단은 하우스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확장부의 하부를 받쳐줌으로써 확장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확장부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확장부를 하우스본체의 외측방향으로 작동하여 주거공간의 확장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시에는 확장부를 접어 부피를 줄여줌으로써 간편하게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확장부의 설치시 제2고정프레임의 힌지 결합구조를 통해 제2고정프레임의 자중에 천막부에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천막부를 평평하게 당겨 주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에서 프레임부를 접어놓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에서 프레임부를 펼쳐놓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에서 프레임부를 펼쳐놓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부의 지지체에 프레임들이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부의 지지체에 프레임들이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에서 프레임부를 접어놓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부를 접었을 경우 프레임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부의 설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에서 프레임부를 접어놓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에서 프레임부를 펼쳐놓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에서 프레임부를 펼쳐놓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부의 지지체에 프레임들이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부의 지지체에 프레임들이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에서 프레임부를 접어놓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부를 접었을 경우 프레임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주거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스본체(100)와, 상기 하우스본체(100)의 일측에서 하우스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작동하여 주거 공간을 확장해 주는 확장부(200)와, 상기 하우스본체(100)의 상부 일측면에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확장부(200)가 하우스본체(100)의 외측으로 작동될 경우 하우스본체(100)의 상부방향으로 회전하여 하우스본체(100)와 확장부(200) 사이의 공간을 막아주는 막음판(300)과, 상기 하우스본체(100)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확장부(200)에 와이어(420)를 통해 연결되어 확장부(200)를 고정해주는 윈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스본체(100)는, 다양한 형태의 박스형 구조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내부에 주거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윈치(400)와 확장부(200)를 연결하는 와이어(420)는 하우스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410)에 가이드 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확장부(200)는 하우스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확장 공간을 형성해주는 프레임부(201)와, 상기 프레임부(201)를 덮어주도록 설치되는 천막부(202)로 이루어진다.
상기 천막부(202)는 후술되는 프레임부(201)의 각 프레임에 벨크로 테이프와 같은 연결부재(260)를 통해 연결된다.
한편 프레임부(201)는, 하우스본체(100)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 한 쌍의 지지체(210)와, 상기 지지체(210)에 양단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윈치(400)와 와이어(420)를 통해 연결되는 제1메인프레임(220)과, 상기 지지체(210)에 양단이 고정되게 설치되되, 지지체(21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제1메인프레임(220)에서 방사상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231)과, 상기 고정프레임(231)의 끝단에 힌지(243) 결합되어 하우스본체(100) 방향으로 프레임부(201)를 접을 경우 힌지를 중심으로 고정프레임(231)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연장프레임(232)으로 이루어진 제2메인프레임(230)과, 상기 지지체(210)에 양단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메인프레임(220)과 제2메인프레임(230) 사이에서 방사상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확장부(200)의 펼침 작동시 지지체(210)에 고정되고 확장부(200)의 접힘 작동시 지지체(210)에서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조립프레임(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메인프레임(220)은 지지체(210)에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부(221)와 상기 수직부(221)의 끝단을 연결하고 상기 윈치(400)와 와이어(420)를 통해 연결되는 수평부(222)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제2메인프레임(230)은 고정프레임(231)과, 상기 고정프레임(231)에 힌지(243) 결합되는 연장프레임(232)으로 구성됨으로서 확장부(200)를 형성하지 않거나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를 이동하기 위해 펼쳐진 확장부(200)를 접을 경우 연장프레임(232)을 힌지(243)를 중심으로 제1메인프레임(220) 방향으로 회전시켜 줌으로써 확장부(200)의 부피를 줄여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장프레임(232)은 고정프레임(231)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는 한 쌍의 수직부(233)와, 상기 수직부(233)의 끝단을 연결하는 수평부(23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메인프레임(230)은 상기와 같이 고정프레임(231)에 연장프레임(232)이 힌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연장프레임(232)이 자중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회전 성향을 갖게 됨으로써 천막부(202)를 팽팽하게 당겨 천막부(202)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립프레임(240)은 지지체(2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부(241)와, 상기 수직부(241)의 끝단을 연결하는 수평부(24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립프레임(240)은 확장부(200)를 이용한 공간 확장시에는 지지체(210)에 수직부(241)가 끼움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어 천막부(202)를 지지해주고, 이동을 위해 펼쳐진 확장부(200)를 접을 경우에는 지지체(210)와의 고정을 해제시켜 일측으로 모여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천막부(202)의 접힘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체(210)는, 상기 하우스본체(100)에 마련된 회전축(120)에 설치되고 내측으로 상기 제1메인프레임(220)과 제2메인프레임(230) 및 조립프레임(240)이 설치되는 지지체몸체(211)와, 상기 지지체몸체(211)의 내부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조립프레임(240)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조립프레임 탈착부(212)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체몸체(211)는 상기 프레임부(201)가 설치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조립프레임 탈착부(212)는 지지체몸체(211)의 내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지지부(213)와, 상기 프레임지지부(213)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조립프레임(240)의 수직부(241)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끼움돌기(2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지지체(210)는 상기 하우스본체(100)의 외면에 형성되는 레일(110)을 따라 가이드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지지체몸체(211)의 외면에 가이드돌기(215)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돌기(215)가 하우스본체(100)의 외면에 형성되는 레일(110)에 끼워지도록 설치됨으로써 확장부(200)의 작동시에 프레임부(20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막음판(300)에 일측단이 결합되고 타측단은 바닥면에 고정되어 확장부(200)의 하부를 받쳐줌으로써 확장부(2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확장부 지지프레임(2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확장부 지지프레임(250)은 하우스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어 확장부(20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확장부(20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천막부(202)는 난연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찢어짐이나 처짐을 방지하고 강성이 뛰어난 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도 9 에서와 같이 상기 확장부(200)의 확장시 하우스본체(100)의 일측으로 다수개가 퍼즐 형태로 설치되는 다수의 바닥판(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500)은 확장부에 형성되는 확장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확장공간을 거실로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하우스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주거 공간을 형성하고자 하는 위치에 하우스본체(100)를 설치한다.
상기 하우스본체(100)가 설치되면 공간 확장을 위해 하우스본체(100)에 결합되어 있는 확장부(200)를 하우스본체(100)의 외측으로 작동시켜 확장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확장부(200)는 프레임부(201)를 하우스본체(100)의 외측으로 회전시켜주면서 프레임부(201)에 연결된 천막부(202)를 펼쳐줌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부(201)는 지지체(210)가 회전하면서 제1메인프레임(220)과 제2메인프레임(230)이 회전하게 되고 제2메인프레임(230)은 고정프레임(231)에서 연장프레임(232)이 하우스본체(100)의 외측으로 회전하여 펼쳐짐으로써 상기 천막부(202)가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때 조립프레임(240)을 지지체(210)에 형성되는 조립프레임 탈착부(212)에 양단이 끼워지도록 설치하여 제1메인프레임(220)과 제2메인프레임(230) 사이에도 프레임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천막부(202)를 지지해주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부(201)를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제2메인프레임(230)은 연장프레임(232)이 자중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처지게 되는 성향을 갖게 되어 천막부(202)가 팽팽하게 당겨지게 된다.
한편 확장부(20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윈치(400)를 회전시켜 확장부(20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2메인프레임(230)아 바닥면에 닿을 때까지 확장부(200)의 각도를 조절하여 확장공간을 닫아주거나 제2메인프레임(230)에 바닥면에서 이격되도록 위치시켜 차양막 형태로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부(200)에 의해 형성되는 확장공간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바닥판(500)을 조립하여 확장 공간을 거실 형태로도 사용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하우스를 이동시킬 경우에는 윈치(400)를 작동하여 확장부(200)를 하우스본체(100)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고, 확장부의 조립프레임(240)을 프레임지지부(213)의 끼움돌기(214)에서 분리시켜 지지체(210)의 지지체몸체(211)에 놓아 펼쳐진 확장부(200)가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2메인프레임(230)의 연장프레임(232)을 힌지(243)를 중심으로 제1메인프레임(220) 방향으로 회전시켜 각 프레임들이 모여지도록 한 후 고정시켜 줌으로써 확장부의 부피를 줄여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하우스본체 (110) : 레일
(120) : 회전축 (200) : 확장부
(201) : 프레임부 (202) : 천막부
(210) : 지지체 (211) : 지지체몸체
(212) : 조립프레임 탈착부 (213) : 프레임지지부
(214) : 끼움돌기 (215) : 가이드돌기
(220) : 제1메인프레임 (221) : 수직부
(222) : 수평부 (230) : 제2메인프레임
(231) : 고정프레임 (232) : 연장프레임
(233) : 수직부 (234) : 수평부
(240) : 조립프레임 (241) : 수직부
(242) : 수평부 (243) : 힌지
(250) : 확장부 지지프레임 (260) : 연결부재
(300) : 막음판 (400) : 윈치
(410) : 롤러 (420) : 와이어
(500) : 바닥판

Claims (6)

  1. 내부에 주거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스본체;
    상기 하우스본체의 일측에서 하우스본체의 외측방향으로 작동되어 확장하고자 하는 공간의 틀을 형성해주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덮어주도록 설치되는 천막부로 이루어져 확장 공간을 형성해주는 확장부;
    상기 하우스본체의 상부면 일측에서 하우스본체의 상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확장부가 하우스본체의 외측으로 작동될 경우 하우스본체의 상부방향으로 회전하여 확장부와 하우스본체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막아주는 막음판;
    상기 하우스본체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확장부에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확장부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거나 펼쳐진 확장부가 접혀지도록 당겨주는 윈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용이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하우스본체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 한 쌍의 지지체;
    상기 지지체에 양단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윈치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제1메인프레임;
    상기 지지체에 양단이 고정되게 설치되되, 지지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제1메인프레임과 방사상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끝단에 양단이 힌지 결합되어 하우스본체 방향으로 프레임부를 접을 경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메인프레임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연장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제2메인프레임;
    상기 지지체에 양단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메인프레임과 제2메인프레임 사이에서 방사상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확장부의 펼침 작동시 지지체에 장착되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고, 확장부의 접힘 작동시 지지체에서 분리되어 일방향으로 모여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조립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용이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하우스본체에 마련된 회전축에 설치되고 내측으로 상기 제1메인프레임과 제2메인프레임 및 조립프레임이 설치되는 지지체몸체;
    상기 지지체몸체의 내부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조립프레임이 끼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상부면에 다수의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조립프레임 탈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용이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지지체몸체의 외측면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를 통해 상기 하우스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레일에 가이드 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용이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고정핀을 통해 지지체를 하우스본체에 고정함으로써 설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용이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판에 일측단이 결합되고 타측단은 하우스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확장부의 하부를 받쳐줌으로써 확장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확장부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이 용이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
KR1020160004645A 2016-01-14 2016-01-14 이동이 용이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 KR101635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645A KR101635554B1 (ko) 2016-01-14 2016-01-14 이동이 용이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645A KR101635554B1 (ko) 2016-01-14 2016-01-14 이동이 용이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554B1 true KR101635554B1 (ko) 2016-07-05

Family

ID=56502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645A KR101635554B1 (ko) 2016-01-14 2016-01-14 이동이 용이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55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6714A (ja) * 2010-05-06 2011-11-24 Takeo Miyamoto 拡大収納自在システム住宅
KR101087120B1 (ko) 2011-06-14 2011-11-25 김병교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
KR20130131506A (ko) * 2012-05-24 2013-12-04 티에프 주식회사 패널을 이용한 돔형건물 및 그 건축방법
KR20150044689A (ko) * 2013-10-17 2015-04-27 김남춘 텐트장비를 갖춘 확장가능한 캠핑카
KR20150048275A (ko) 2013-10-25 2015-05-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공간확장형 이동식 하우스
US20150218794A1 (en) * 2012-09-06 2015-08-06 Ten Fold Engineering Limited Foldable Build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6714A (ja) * 2010-05-06 2011-11-24 Takeo Miyamoto 拡大収納自在システム住宅
KR101087120B1 (ko) 2011-06-14 2011-11-25 김병교 확장이 가능한 이동 주택
KR20130131506A (ko) * 2012-05-24 2013-12-04 티에프 주식회사 패널을 이용한 돔형건물 및 그 건축방법
US20150218794A1 (en) * 2012-09-06 2015-08-06 Ten Fold Engineering Limited Foldable Building
KR20150044689A (ko) * 2013-10-17 2015-04-27 김남춘 텐트장비를 갖춘 확장가능한 캠핑카
KR20150048275A (ko) 2013-10-25 2015-05-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공간확장형 이동식 하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3401A (en) Screen apparatus
US11346123B2 (en) Rooftop tent for vehicle
JPS60199135A (ja) 折りたたみ建物
US10487502B2 (en) Recessed shade and curtain storage and deployment system
JP2009293357A (ja) スクリーン装置
KR200487978Y1 (ko) 실내용 난방텐트
KR101635554B1 (ko) 이동이 용이한 확장형 하이브리드 하우스
JP2017031672A (ja) ロールスクリーンの連結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30115824A (ko) 창틀에 설치되는 비가리개 장치
KR101208883B1 (ko) 폴딩도어
KR20180000048U (ko) 건물용 차양기구
US110471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wall partition apparatus
KR101239285B1 (ko) 빨래건조대
US2259903A (en) Folding awning
JP2000145314A (ja) スクリーン装置
KR20180067280A (ko) 3면 구조를 갖는 폴딩도어의 폴딩장치
KR101484624B1 (ko) 스크린 칸막이용 프레임
CN210957535U (zh) 一种可降低噪音的箱式变电站
KR200313886Y1 (ko) 접철식 천막
KR200424458Y1 (ko) 프로젝터 리프터
JP3178123U (ja) 日射遮蔽装置
JP2022024486A (ja) 扇状に開閉する遮蔽物
JP5331152B2 (ja) 折り畳み式パネルに用いるパネル連結装置
KR20220036728A (ko) 접이식 패널 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JP2022024487A (ja) 扇状に開閉する遮蔽物の回転中心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