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6977B1 -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6977B1
KR101086977B1 KR1020090028687A KR20090028687A KR101086977B1 KR 101086977 B1 KR101086977 B1 KR 101086977B1 KR 1020090028687 A KR1020090028687 A KR 1020090028687A KR 20090028687 A KR20090028687 A KR 20090028687A KR 101086977 B1 KR101086977 B1 KR 101086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measuring
wear
value
l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0221A (ko
Inventor
김광일
김동수
김영덕
목임수
홍종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28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977B1/ko
Publication of KR20100110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56Investigating resistance to wear or abra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7/00Roll parameters
    • B21B2267/24Roll we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너 상에 장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정 지점에 대응하는 수용 홀이 마련되는 측정용 지그부와, 상기 측정용 지그부에 마련되는 수용 홀을 통해 상기 라이너의 높이를 측정하는 암 측정부와, 상기 측정용 지그부를 통해 형성되는 측정 지점 중 측정 기준 지점을 설정하고, 상기 암 측정부를 구동시켜 상기 라이너의 높이 값과, 기준 값을 기반으로 측정 값을 산출하여 마모도를 측정하는 측정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장치를 개시하여, 압연기에서 압연 과정에서 발생하는 라이너 마모도를 작업자의 수작업이 아닌 마모도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함에 의해 객관적이면서 신뢰성을 있게 측정할 수 있고, 라이너에서 발생하는 마모도의 이력 정보 및 측정되는 마모도를 측정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wear rate measurement in roller liner }
본 발명은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연기에서 압연 과정에서 발생하는 라이너 마모도를 작업자의 수작업이 아닌 마모도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함에 의해 객관적이면서 신뢰성을 있게 측정할 수 있고, 라이너에서 발생하는 마모도의 이력 정보 및 측정되는 마모도를 측정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제철소의 철강 생산 공정에서 열연 작업시 압연기를 사용하며, 압연기는 하우징과 라이너를 통해 지지되는 압연롤로 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압연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기(10)의 압연롤(1)은 롤 안치대(5)에 안치되고, 초크(2)에는 하우징(미도시)과의 마찰로 인한 마모를 방지하고, 초크(2)를 안내하는 라이너(3)가 설치된다.
이러한, 압연기(10)의 라이너(3)는 압연기(10)의 압연 작업 과정에서 많은 스트레스가 가해지기 때문에 마모가 발생하고, 이러한 마모로 인해 압연롤(1)의 되틀림이 발생하게 되어, 생산되는 철강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주기적(또는 비주기적)으로 압연기(10)의 라이너(3) 마모(磨耗)도를 측정하고, 마모도가 기준 마모도를 초과하는 경우, 즉 마모도가 심한 경우에는 라이너(3)를 정비하거나 교체해야 한다.
현재 압연기(10)의 라이너(3) 마모도를 측정하는 방식은 작업자가 압연기(10)의 하우징을 분리한 이후에 수작업으로 반달형 대형 마이크로 미터기와 같은 측정 수단을 이용하여, 라이너(3)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점 측정으로 마모도를 측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측정 수단을 이용하여 라이너(3)의 마모도를 측정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진다.
1) 측정 수단인 마이크로 미터기의 평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마모도를 측정해야 하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마이크로 미터기의 평형을 유지가 어렵다.
2) 주기적으로 마모도를 측정할 때, 동일 측정점의 마모도를 측정해야 하나,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측정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일 측정점의 유지가 어렵다.
3) 마이크로 미터기를 이용하여 마모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기기의 특성상 측정점이 제한된다.
따라서, 압연기(10)에서 압연 과정에서 발생하는 라이너(3)의 마모도를 객관적이면서 신뢰성을 가지게 측정할 수 있으며, 각 초크(2)의 라이너(3)에서 발생하 는 마모도의 이력(history)을 관리할 수 있는 방식이 개발되어야 한다.
즉, 라이너(3)의 마모도를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고, 자동 설비로 측정하고, 측정시마다 동일 측정점을 유지함은 물론, 측정점의 제한없이 마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자동 설비를 통해 각 초크(2)의 라이너(3)의 마모도 이력을 관리하여, 작업자가 현재 각 초크(2)의 라이너(3)의 마모도 및 마모도 이력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 압연기에서 압연 과정에서 발생하는 라이너 마모도를 객관적이면서 신뢰성을 있게 측정하며, 라이너에서 발생하는 마모도의 이력(history)을 관리할 수 있는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라이너의 마모도를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고, 자동 설비로 측정하고, 측정시마다 동일 측정점을 유지함은 물론, 측정점의 제한없이 마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장치는, 상기 라이너 상에 장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정 지점에 대응하는 수용 홀이 마련되는 측정용 지그부와, 상기 측정용 지그부에 마련되는 수용 홀을 통해 상기 라이너의 높이를 측정하는 암 측정부와, 상기 측정용 지그부를 통해 형성되는 측정 지점 중 측정 기준 지점을 설정하고, 상기 암 측정부를 구동시켜 상기 라이너의 높이 값과, 기준 값을 기반으로 측정 값을 산출하여 마모도를 측정하는 측정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 데이터 처리부는, 측정자로부터 입력되는 초크 번호, 측정 일자 또는 측정자 정보와, 각 측정 지점의 측정 값, 평균 값 또는 편차 값 중 하나 이상 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측정자가 입력하는 상기 초크 번호에 상응하는 이력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모도 측정 장치는, 상기 초크별 초크 번호, 측정 일자, 각 측정 지점의 측정 값, 평균 값, 편차 값 또는 측정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디스플레이 수단 및 입력 수단으로 구현되어, 측정자로부터 마모도를 측정할 상기 초크 번호, 측정 일자 또는 측정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측정 데이터 처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측정 데이터 처리부가 산출하는 각 측정 지점의 측정 값, 평균 값, 편차 값 또는 측정자 정보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 데이터 처리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정 지점을 측정 기준 지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측정용 지그부의 상기 각 측정 기준 지점의 좌표값과, 상기 마모도 측정 장치의 좌표값을 일치시켜, 상기 라이너와 마모도 측정 장치의 좌표축을 일치시킨다.
상기 측정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측정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측정 기준 지점의 실제 높이 값과, 측정 높이 값을 기반으로 산출 기준을 설정하며, 상기 측정되는 마모도를 입측 및 출측으로 구분하고, 각 측정 지점의 마모도에 상응하는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측정자가 선택하는 측정 지점의 행/열의 측정 값을 그래프 방식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정 지점에 대응하는 수용 홀이 마련되는 측정용 지그부를 상기 라이 너 상에 장착하는 단계와, 측정 데이터 처리부가 측정자로부터 마모도를 측정할 초크 번호, 측정 일자 및 측정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마모도의 산출 기준 또는 측정 기준 지점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준 측정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암 측정부를 통해 측정되는 높이 값 및 기준 값을 기반으로 측정 값을 산출하여 마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측정 지점별 측정된 마모도를 상기 측정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방법은, 상기 측정자로부터 입력되는 초크 번호, 측정 일자 또는 측정자 정보와, 각 측정 지점의 측정 값, 평균 값 또는 편차 값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자가 입력하는 상기 초크 번호에 상응하는 이력 정보가 존재하면, 해당 초크 번호에 상응하는 이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준 측정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정 지점을 측정 기준 지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측정용 지그부의 상기 각 측정 기준 지점의 좌표값과, 상기 마모도 측정 장치의 좌표값을 일치시켜, 상기 라이너와 마모도 측정 장치의 좌표축을 일치시킴으로 수행된다.
상기 기준 측정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측정 기준 지점의 실제 높이 값과, 측정 높이 값을 기반으로 산출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모도를 상기 측정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되는 마모도를 입측 및 출측으로 구분하고, 각 측정 지점의 마모도에 상응하는 색상으로 표시하거 나, 측정자가 선택하는 측정 지점의 행/열의 측정 값을 그래프 방식으로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압연기에서 압연 과정에서 발생하는 라이너 마모도를 작업자의 수작업이 아닌 마모도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함에 의해 객관적이면서 신뢰성을 있게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마모도 측정 장치가 라이너에서 발생하는 마모도의 이력 정보 및 측정되는 마모도를 측정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고, 자동 설비인 마모도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함에 의해 측정시마다 동일 측정점을 유지함은 물론, 측정점의 제한없이 마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 설명하며, 본 발명의 주된 기술 요지를 흐리거나, 주지된 기술 내용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모도 측정 장치(200)는, 암 측정부(220)와, 측정용 지그부(210)와,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 저장부(230), 인터페이스부(250)와, 장치 지지부(260)와, 이송부(270)를 포함한다.
그리고, 마모도 측정 장치(200)는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 또 는 제철소의 사용 전원을 구동 전원으로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모도 측정 장치(200)는 기계 설비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장치 지지부(260)는 마모도 측정 장치(200)를 지지한다.
이송부(270)는 이동 가능한 바퀴 등으로 구현되어, 측정자가 마모도 측정 장치(200)를 압연기(100)의 인근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며, 한다.
그리고, 마모도 측정 장치(200)는 기계 설비로 구현되므로, 편의상 내부에 암 측정부(220), 측정용 지그부(210) 및 주변 기기의 수납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 측정부(220)는 설정되는 측정 지점의 높이(깊이)를 죄표축을 기준으로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를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로 제공한다.
암 측정부(2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과 끝부분에 측정기를 포함하며, 측정기의 끝부분이 기준점에서 라이너(30)의 표면에 접촉되는 거리를 산출하여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용 지그부(210)는 측정시가 아닌 경우에는 마모도 측정 장치(200)의 내부 수납 공간에 내장되며, 측정시에는 측정자가 내부 수납 공간의 측정용 지그부(210)를 측정 대상(target)의 초크(20) 상의 라이너(30) 상에 장착한다.
측정용 지그부(210)는 라이너(30)의 측정 기준 지점 및 측정 지점을 식별(구분)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용 지그부를 예시한 도면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측정용 지그부(210)는 베이스 판(B)에 암 측정부(220)의 측정부의 끝부분을 수용하는 다수개의 수용 홀(H)이 마련된다.
측정용 지그부(210)는 각 모서리 영역에 라이너(30) 상에 장착 가능한 장착 수단(미도시)을 구비하거나, 모서리 영역의 수용 홀(H)이 장착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측정용 지그부(210)의 각 수용 홀(H)은 지점 번호가 할당되며,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는 측정용 지그부(210)의 각 수용 홀(H)의 지점 번호 및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암 측정부(220)를 구동시켜 해당 측정 지점의 높이를 측정한다.
저장부(230)는 각 초크(20)별 마모도 이력 정보 및 각 초크(20)의 측점 지점별 측정(높이) 정보 등을 저장한다.
각 초크(20)별 마모도 이력 정보는 해당 초크(20)의 초크 번호, 측정 일자별 각 측정 지점의 측정 값(높이 값), 평균 값 및 편차 값, 측정자 정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50)는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수단 및 키패드/마우스 또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색상 정보를 표현하는 2D 정보 및 숫자/문자 정보를 출력하고, 입력 수단을 통한 측정자의 입력 정보를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로 전송한다.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는 측정자가 측정용 지그부(210)를 라이너(30) 상에 장착하고, 측정 시작을 선택하면, 측정용 지그부(21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 홀(H), 예를 들어, 측정용 지그부(210)의 좌/우측 또는 가장 자리의 6개 수용 홀(H) 중에서 3개의 수용 홀(H)을 선택하여 해당 측정 지점에 암 측정부(220)를 위치시켜 높이를 측정한다.
이때,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는 6개의 수용 홀(H) 중에서 측정자가 실제 높이 값(실제 데이터)을 입력한 3개 수용 홀(H), 즉 3개 측정 지점에 높이를 측정하고, 3개 측정 지점에서 측정된 높이 값(측정 데이터)과, 해당 측정 지점의 실제 데이터를 비교하여, 마모도의 산출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는 실제 데이터와, 측정 데이터간 차이는 암 측정부(220)를 통해 높이를 측정할 때 발생되는 오차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실제 데이터와 측정 데이터간 차이를 다른 측정 지점(수용 홀(H))에서 측정되는 측정 데이터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는 실제 데이터가 입력되는 3개의 측정 지점을 측정 기준 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는 암 측정부(220)의 구동을 제어하여, 측정용 지그부(210)의 각 수용 홀(H), 즉 측정 지점의 높이에 따른 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측정 지점별 측정 값, 평균 값 및 편차 값을 산출하고,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입력되는 초크 번호, 측정 일자 및 측정자 정보를 통합하여 초크(20)별 이력 정보를 저장부(230)에 저장한다.
이때,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는 암 측정부를 통해 측정되는 높이 값과, 기준 값을 기반으로 측정 값, 즉, 마모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측정 지점별 측정 값, 평균 값 및 편차 값을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출력하여 측정자가 확인할 수 있 도록 한다.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는 측정자로부터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초크 번호, 측정 일자 및 측정자 정보 등이 입력되면, 입력되는 초크 번호에 상응하는 이력 정보가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으면, 해당 초크 번호의 이력 정보를 출력한다.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는 측정용 지그부(21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 홀(H), 예를 들어, 측정용 지그부(210)의 좌/우측 또는 가장 자리의 6개 수용 홀(H) 중에서 3개의 수용 홀(H)을 선택하여 측정용 지그부(210) 상에서 측정 기준 지점의 제1 위치(좌표값)와, 마모도 측정 장치(200)의 암 측정부(220)가 인식하는 측정 기준 지점의 제2 위치(좌표값)를 설정하고, 측정 기준 지점의 실제 제1 위치와, 암 측정부(220)를 통해 측정되는 측정 제2 위치를 일치시킨다. 즉,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는 마모도 측정 장치(200)의 좌표축과, 라이너(30)의 좌표축을 일치시킨다.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는 라이너(30)와 마모도 측정 장치(200)간 좌표축이 일치된 이후에 측정자가 측정 시작 필드를 통해 작업 시작을 선택하면, 각 측정 지점을 통해 암 측정부(220)가 측정하는 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높이 값을 측정한다.
이때,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는 마모도 측정 화면을 통해 측정된 측정 값과, 현재 측정 지점, 다음 측정 지점 및 측정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는 각 측정 지점의 측정이 완료되면, 각 측 정 지점의 높이 값과, 기준 값을 기반으로 산출되는 마모도를 입측 및 출측으로 구분하여, 마모도에 상응하는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측정자가 선택하는 측정 지점의 행/열의 측정 값을 그래프 방식으로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측정자는 압연기(100)의 초크(20)에 설치되는 라이너(30)의 마모도를 측정해야 하는 경우, 즉 측정 작업시 마모도 측정 장치(200)의 이송부(270)를 이용하여 압연기(100)의 인근에 위치시킨다(S 100).
그리고, 측정자는 마모도 측정 장치(200)를 고정시키고, 전원을 온시키거나, 외부 사용 전원을 인가시켜 구동시킨다(S 110).
측정자는 마모도 측정 장치(200)의 내부 수납 공간에 위치하는 측정용 지그부(210)를 라이너(30) 상에 장착한다(S 120).
마모도 측정 장치(200)의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를 구동 전원이 인가되면, 메인 화면을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출력한다(S 130).
도 5a는 본 발명에 따라 출력되는 메인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좌표축 설정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5c는 마모도 측정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5d는 마모도 출력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메인 화면은 측정자가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초크 번호, 측정 일자 및 측정자 정보(측정자 직번 및 이름)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정보 입력 필드와,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가 정보 입력 필드를 통해 입력되는 초크 번호 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가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으면, 해당 초크 번호의 이력 정보를 출력하는 이력 정보 출력 필드와, 이력 정보 출력 필드를 통해 출력되는 전체 또는 선택되는 측정 지점의 기준 값, 측정 값, 평균 값, 편차 값과, 해당 라이너(30)의 각 측점 지점의 마모도와 기준 마모도를 비교하여 합격 및 불량 개수를 표시하는 데이터 표시 필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메인 화면은 측정자가 측정용 지그부(210)의 수용 홀(H), 즉 측정 지점을 선택하거나, 현재 측정 중이 측정 지점 또는 다음 측정 지점을 표시하는 측정 지점 필드와, 초기 측정 작업시 측정 기준 지점 및 좌표축을 설정하는 측정 좌표축 설정 필드와, 설정된 좌표축을 기준으로 높이(거리)를 측정하는 측정 시작 필드와, 측정 좌표축 설정 필드를 통해 설정되는 좌표축과 무관하게 실제 높이(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필드와,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가 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측정 지점의 높이 값을 산출하고, 각 측정 지점을 높이에 상응하는 색상으로 2D 방식으로 표시하는 측정 데이터 표시 필드를 더 포함한다.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를 상기 도 4a와 같은 메인 화면의 정보 입력 필드를 통해 초크 번호, 측정 일자 및 측정자 정보 등을 입력받는다(S 140).
이때,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는 입력되는 초크 번호에 상응하는 이력 정보가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으면, 해당 초크 번호의 이력 정보를 이력 정보 출력 필드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측정자는 신규 초크(20)의 라이너(30) 마모도 측정 작업이면, 측정 지점 필드를 통해 측정 지점을 선택한다(S 150).
측정자는 측정 지점을 선택한 이후에 측정 좌표축 설정 필드를 통해 마모도의 산출 기준 또는 측정 기준 지점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준 측정 작업을 수행한다(S 160).
예를 들어,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는 측정자가 좌표축 설정 필드를 선택하면, 도 5b와 같은 좌표축 설정 화면을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는 측정용 지그부(21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 홀(H), 예를 들어, 측정용 지그부(210)의 좌/우측 또는 가장 자리의 6개 수용 홀(H) 중에서 3개의 수용 홀(H)을 선택하여 측정용 지그부(210) 상에서 측정 기준 지점의 제1 위치(좌표값)와, 마모도 측정 장치(200)의 암 측정부(220)가 인식하는 측정 기준 지점의 제2 위치(좌표값)를 설정한다.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는 측정용 지그부(210) 상의 측정 기준 지점의 실제 제1 위치와, 암 측정부(220)를 통해 측정되는 측정 제2 위치를 일치시킨다. 즉, 마모도 측정 장치(200)의 좌표축과, 라이너(30)의 좌표축을 일치시킨다.
따라서, 다수개의 측정 기준 지점에서 라이너(30) 및 마모도 측정 장치(200)의 좌표축이 일치시켰기 때문에 측정 기준 지점 이외의 측정 지점의 좌표축 역시 일치하게 되며, 측정자가 실제 데이터를 입력한 측정 기준 지점의 라이너(30)와 마모도 측정 장치(200)의 좌표축을 일치시키는 것은, 측정 기준 지점 이외의 측정 지점의 마모도를 산출하는 산출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는 라이너(30)와 마모도 측정 장치(200)간 좌표축이 일치된 이후에 측정자가 측정 시작 필드를 통해 작업 시작을 선택하면, 도 5c와 같 은 마모도 측정 화면을 출력하면서 측정용 지그부(210)의 각 측정 지점을 통해 암 측정부(220)가 측정하는 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높이 값(좌표값)을 측정한다(S 170).
이때,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는 마모도 측정 화면을 통해 측정된 측정 값과, 현재 측정 지점, 다음 측정 지점 및 측정 상태 등을 표시하여 측정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는 마모도 측정 화면을 통해 측정자가 선택하는 측정 지점 또는 모든 측정 지점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는 각 측정 지점의 측정이 완료되면, 도 5d와 같은 마모도 출력 화면을 통해 측정되는 마모도를 입측 및 출측으로 구분하고, 각 측정 지점의 마모도에 상응하는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측정자가 선택하는 측정 지점의 행/열의 측정 값을 그래프 방식으로 출력한다(S 180).
즉, 측정 데이터 처리부(240)는 측정자가 선택하는 초크(20)의 라이너(30)의 마모도를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출력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압연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용 지그부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
도 5a는 본 발명에 따라 출력되는 메인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5b는 좌표축 설정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5c는 마모도 측정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5d는 마모도 출력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 : 초크 30 : 라이너
100 : 압연기 200 : 마모도 측정 장치
210 : 측정용 지그부 220 : 암 측정부
230 : 저장부 240 : 측정 데이터 처리부
250 : 인터페이스부 260 : 장치 지지부
270 : 이송부

Claims (11)

  1.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 상에 장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정 지점에 대응하는 수용 홀이 마련되는 측정용 지그부와,
    상기 측정용 지그부에 마련되는 수용 홀을 통해 상기 라이너의 높이를 측정하는 암 측정부와,
    상기 측정용 지그부를 통해 형성되는 측정 지점 중 측정 기준 지점을 설정하고, 상기 암 측정부를 구동시켜 상기 라이너의 높이 값과, 기준 값을 기반으로 측정 값을 산출하여 마모도를 측정하는 측정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데이터 처리부는,
    측정자로부터 입력되는 초크 번호, 측정 일자 또는 측정자 정보와, 각 측정 지점의 측정 값, 평균 값 또는 편차 값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측정자가 입력하는 상기 초크 번호에 상응하는 이력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도 측정 장치는,
    상기 초크별 초크 번호, 측정 일자, 각 측정 지점의 측정 값, 평균 값, 편차 값 또는 측정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디스플레이 수단 및 입력 수단으로 구현되어, 측정자로부터 마모도를 측정할 상기 초크 번호, 측정 일자 또는 측정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측정 데이터 처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측정 데이터 처리부가 산출하는 각 측정 지점의 측정 값, 평균 값, 편차 값 또는 측정자 정보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데이터 처리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정 지점을 측정 기준 지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측정용 지그부의 상기 각 측정 기준 지점의 좌표값과, 상기 마모도 측정 장치의 좌표값을 일치시켜, 상기 라이너와 마모도 측정 장치의 좌표축을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데이터 처리부는,
    측정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측정 기준 지점의 실제 높이 값과, 측정 높이 값을 기반으로 산출 기준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측정되는 마모도를 입측 및 출측으로 구분하고, 각 측정 지점의 마모도에 상응하는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측정자가 선택하는 측정 지점의 행/열의 측정 값을 그래프 방식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장치.
  7.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정 지점에 대응하는 수용 홀이 마련되는 측정용 지그부를 상기 라이너 상에 장착하는 단계와,
    측정 데이터 처리부가 측정자로부터 마모도를 측정할 초크 번호, 측정 일자 및 측정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마모도의 산출 기준 또는 측정 기준 지점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준 측정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암 측정부를 통해 측정되는 높이 값 및 기준 값을 기반으로 측정 값을 산출하여 마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측정 지점별 측정된 마모도를 상기 측정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자로부터 입력되는 초크 번호, 측정 일자 또는 측정자 정보와, 각 측정 지점의 측정 값, 평균 값 또는 편차 값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자가 입력하는 상기 초크 번호에 상응하는 이력 정보가 존재하면, 해당 초크 번호에 상응하는 이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측정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정 지점을 측정 기준 지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측정용 지그부의 상기 각 측정 기준 지점의 좌표값과, 상기 마모도 측정 장치의 좌표값을 일치시켜, 상기 라이너와 마모도 측정 장치의 좌표축을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측정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측정 기준 지점의 실제 높이 값과, 측정 높이 값을 기반으로 산출 기준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도를 상기 측정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되는 마모도를 입측 및 출측으로 구분하고, 각 측정 지점의 마모도에 상응하는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측정자가 선택하는 측정 지점의 행/열의 측정 값을 그래프 방식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방법.
KR1020090028687A 2009-04-02 2009-04-02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086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687A KR101086977B1 (ko) 2009-04-02 2009-04-02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687A KR101086977B1 (ko) 2009-04-02 2009-04-02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274A Division KR20110081793A (ko) 2011-06-17 2011-06-17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221A KR20100110221A (ko) 2010-10-12
KR101086977B1 true KR101086977B1 (ko) 2011-11-29

Family

ID=43130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687A KR101086977B1 (ko) 2009-04-02 2009-04-02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9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03501A1 (it) * 2019-03-11 2020-09-11 Primetals Tech Italy S R L Metodo e sistema di controllo del gap in laminatoi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2408A (ja) 1997-12-09 1999-06-29 Nippon Yuteku Kk 摩耗対策用ライニング材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3240533A (ja) 2002-02-20 2003-08-27 Itt:Kk 三次元測定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2408A (ja) 1997-12-09 1999-06-29 Nippon Yuteku Kk 摩耗対策用ライニング材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3240533A (ja) 2002-02-20 2003-08-27 Itt:Kk 三次元測定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221A (ko) 201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92049B (zh) 晶片的加工结果管理方法
JP2019152486A (ja) 設計公差の補正方法及び補正装置
CN103370159B (zh) 放电加工机及放电加工方法
US202100870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state of a passenger transport system by using a digital double
KR101086977B1 (ko)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JPS60122304A (ja) 自動寸法測定装置
JP2018180588A (ja) 作業時間計測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作業指示システム
US10192367B2 (en) Vehicle body flaw elimination method using virtual mark and system thereof
JP2011209798A (ja) 運転状態解析システムおよび運転状態解析方法
JP6843751B2 (ja) 放射線量率情報の検出・出力方法
KR20110081793A (ko) 압연기 라이너의 마모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407861B1 (ko) 절삭공구의 마멸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삭공구의 마멸 감지방법
CN107234304B (zh) 基于磨齿机在机测量的齿轮精度实时可视化装置和方法
CN112656363B (zh) 视力检测系统及视力检测方法
JP2022170235A (ja) 異常判定装置、異常判定方法、プログラム及び異常判定システム
CN108663009A (zh) 连杆类零件的给定方向相对基准要素轴线的平行度误差测量方法
US20120059834A1 (en) Operation supporting apparatus, operation supporting method, and program
CN107462156A (zh) 手机配件激光检测设备
US11568336B2 (en) Information-technology-utilization evaluation device, information-technology-utilization evaluation system, and information-technology-utilization evaluation method
JP6999623B2 (ja) 工作機械および生産システム
CN102749055B (zh) 一种可交互的位移测量系统
JP4193204B2 (ja) 測定支援装置、測定支援方法及び測定支援プログラム
CN111715704A (zh) 一种精轧机侧导板标定方法
JP2021053661A (ja) ロールカリバーのカリバーセンターとローラーガイドのガイドセンターとの位置合わせ方法
JP2007328664A (ja) リワーク測定システム及びその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