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5929B1 - 걸림돌출부를 구비한 보차도 경계석 - Google Patents

걸림돌출부를 구비한 보차도 경계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929B1
KR101085929B1 KR1020080126865A KR20080126865A KR101085929B1 KR 101085929 B1 KR101085929 B1 KR 101085929B1 KR 1020080126865 A KR1020080126865 A KR 1020080126865A KR 20080126865 A KR20080126865 A KR 20080126865A KR 101085929 B1 KR101085929 B1 KR 101085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road
boundary
ground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8311A (ko
Inventor
황주연
Original Assignee
황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주연 filed Critical 황주연
Priority to KR1020080126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929B1/ko
Publication of KR20100068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1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걸림돌출부를 구비한 보차도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재공간을 형성하여 화초를 심을 수 있는 경계석의 하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돌출부를 형성함으로서, 경계석을 지면에 설치하였을 때 걸림돌출부의 상부에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등을 포장하는 도로포장재가 덮여져서 경계석에 차량이 접촉하는 경우라도 경계석이 지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에 경계석(4)를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4)의 전방하측이나 또는 전후방 하측에 걸림돌출부(9)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걸림돌출부(9)가 지면(5) 위에 설치하는 도로포장재(7)에 덮어씌워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계석, 식재공간, 걸림돌출부, 화초, 살빼기부

Description

걸림돌출부를 구비한 보차도 경계석{Border block beween a footway and driveway with a projecting part}
본 발명은 걸림돌출부를 구비한 보차도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재공간을 형성하여 화초를 심을 수 있는 경계석의 하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돌출부를 형성함으로서, 경계석을 지면에 설치하였을 때 걸림돌출부의 상부에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등을 포장하는 도로포장재가 덮여져서 경계석에 차량이 접촉하는 경우라도 경계석이 지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경계석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경계석을 지면에 설치할 때는 기초콘크리트를 지면에 타설한 뒤에 그 기초콘크리트가 굳기 전에 사각형으로 형성된 경계석을 올려놓고, 지면과 기초콘크리트의 위에 콘크리트나 아스팔트와 같은 도로포장재를 설치하였다.
이렇게 설치된 종래의 경계석에 차량이 접촉하여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경계석은 경계석의 하단부를 잡아주는 걸림 부분이 없음에 따라 도 1에 도시한 가상선(일점쇄선)과 같이 경사지게 들려올라가면서 지면에서 경계석이 이탈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계석의 하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돌출부를 형성함으로서, 경계석을 지면에 설치하였을 때 걸림돌출부의 상부에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등을 포장하는 도로포장재가 덮여져서 경계석에 차량이 접촉하는 경우라도 경계석이 지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에 경계석을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의 전방하측이나 또는 전후방 하측에 걸림돌출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걸림돌출부가 지면 위에 설치하는 도로포장재에 덮어씌워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걸림돌출부를 구비한 보차도 경계석은, 경계석의 하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돌출부를 형성하여 경계석을 지면에 설치하였을 때, 걸림돌출부의 상부에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등을 포장하는 도로포장재가 덮여져서 경계석에 차량이 접촉하는 경우라도 경계석이 지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재공간에 화초를 심을 수 있음에 따라 도로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와, 식재공간에 활착된 화초의 뿌리가 지면에 까지 뿌리를 내리면 경 계석이 더욱더 견고하게 제자리를 지킬 수 있게 되어 지면에서 경계석이 이탈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더 크다.
그리고, 경계석의 전면을 둥글게 형성하면서 그 전면에 반사시트나, 장식도형, 도로의 위치를 나타내는 문자 등의 장식부를 형성하여 도로의 미관을 더욱 더 아름답게 하는 것은 물론이고, 행인에게 도로의 위치를 쉽게 알릴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아울러 지니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경계석에는 살빼기부를 형성하여 100㎏ 내외로 매우 무거운 경계석의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어 작업자에 의해 작업이 수월하도록 하고, 본 발명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걸림돌출부를 구비한 보차도 경계석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차도와 인도와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경계석(4)에 관한 것으로서, 경계석(4)의 전방하측이나 또는 전후방 하측에 걸림돌출부(9)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걸림돌출부(9)가 지면(5)위에 설치하는 도로포장재(7)에 덮어씌워지게 설치된 것이다.
상기 걸림돌출부(9)가 형성되는 경계석(4)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화초를 심을 수 있는 식재공간(10)을 형성한 식재형 경계석(4)이나 식재공간이 없는 경계석(4)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걸림돌출부(9)를 일측에만 형성하는 경우는 인도와 차도와의 사이에 경계석(4)을 설치하는 경우에 차도측을 향하는 부분에 걸림돌출부(9)를 형성하고 인도 방향측에는 걸림돌출부(9)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차도측 방향에 차량이 부딪칠 때 차도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출부(9)가 도로포장재(7)에 덮여서 고정되어 차도 방향측 부분이 상측으로 들려 일어나지 않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걸림돌출부(9)를 양측에 형성하는 경우는 차도의 중앙에 경계석(4)이 설치되어 경계석(4)의 양방향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에 설치되는 것이며, 이 경우도 차량이 부딪칠 염려가 있는 방향에 걸림돌출부(9)를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이다.
도 5에서는 걸림돌출부(9)가 일측에만 형성된 경계석(4)과 양측에 걸림돌출부(9)가 형성된 것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일측에만 걸림돌출부(9)를 형성한 경계석(4)은 인도(3)와 자전거도로(2)와의 경계부위에 설치되고, 양측에 걸림돌출부(9)를 형성한 경계석(4)는 앙측에 차량이나 자전거 등이 주행하는 도로에 설치되며, 도 5에서는 자전거도로(2)와 차도(1)의 사이에 설치된 것을 일예로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재공간(10)이 형성되는 경계석(4)에는 걸림돌출부(9)가 당연히 형성되고, 상기 식재공간(10)이 상하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식재공간(10)으로 심어지는 화초(8)의 뿌리가 개방된 하측 공간을 통하여 그 하측의 지면에 활착할 수 있게 한다.
위와 같이 식재공간(10)을 구비한 경계석(4)은 경계석(4)의 전면에 반사시트나, 도료를 도포한 장식면부, 또는 도로의 위치를 나타내는 문자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한 장식부(14)가 형성되며, 상기 경계석(4)의 양측에는 인접하게 설치되는 또 다른 경계석(4)과 끼움식으로 연결하는 연결돌기(15)과 연결홈(16)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위와 같이 식재공간(10)을 형성하고 걸림돌출부(9)를 형성하는 경계석(4)은 그 경계석(4)의 폭이 커짐에 따라 무게가 무거워지고, 그 만큼경계석(4)을 제작하는 콘크리트의 사용량이 많아지게 되는데, 이 경우에 경계석(4)의 소정위치에 살빼기부(12,13)가 형성되어 경계석(4)의 무게와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살빼기부(12,13)는 본 발명을 제작 형성하는데 두꺼운 부분에 살빼기부를 형성해야 할 것임을 밝혀둔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본 발명을 도시하는데, 경계석(4)의 외부면을 둥글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는데, 이는 경계석(4)의 미관을 미려하게 함임을 밝혀둔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 부호 격벽(11)은 식재공간(10)의 나누는 격벽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경계석(4)은 도 2 및 도 5와 같이 도로에 설치되는데, 먼저 지면(5)을 평탄하게 한 뒤에 경계석(4)을 설치할 자리에 기초콘크리트(6)를 타설한 뒤에 그 상측에 경계석(4)을 올려놓는데, 기초콘크리트(6)가 식재공간(10)의 하부 를 막지 않도록 한다.
위와 같이 기초콘크리트(6) 위에 다수개의 경계석(4)을 줄 지어 설치하는데, 경계석(4)에 연결돌기(15)와 연결홈(16)을 형성한 경우는 인접하게 설치되는 경계석(4)의 연결돌기(15)와 연결홈(16)을 끼움식으로 연결 설치하면, 인접하게 설치하는 경계석(4)을 편하고 바르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완료된 다수개의 경계석(4)들의 설치선이 비틀어지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기초콘크리트(6)의 위에 다수개의 경계석(4)을 줄을 지어 연결 설치한 뒤에는 지면(5) 위에 콘크리트나 아스팔트로 된 도로포장재(7)를 설치하는데, 이 도로포장재(7)가 걸림돌출부(9)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이 걸림돌출부(9)를 도로포장재(7)로서 덮도록 설치하고, 그 도로포장재(7)가 굳어지면 굳어진 도로포장재(7)가 걸림돌출부(9)를 물어주듯이 고정하고 있게 되며, 이렇게 설치된 경계석(4)의 식재공간(10)에 흙을 채워넣고 화초(8)를 심게 되며, 시간이 경과하여 화초(8)의 뿌리가 식재공간(10) 하측으로 통하여 지면(5)에 까지 활착되면 화초(8)에 의해 도로의 미관을 향상시키게 되고, 지면으로 활착된 뿌리에 의해 경계석(4)이 도로에 더욱 더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차량이 경계석(4)의 외부면에 부딪치게 되면, 경계석(4)이 도 1의 가상선 방향으로 제켜지려고 하나, 경계석(4)의 하단부에 돌출된 걸림돌출부(9)가 단단한 도로포장재(7)에 걸려있기 때문에 경계석(4)에 차량이 부딪쳐서 충격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제켜지지 않고 제자리를 고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경계석(4)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식부(14)가 반 사시트나, 도료로서 미려한 모양으로 도포한 장식면부, 또는 도로의 위치를 나타내는 문자 등이 표현되어 있어서 도로를 더욱 더 미려하게 할 수 있고, 도로의 위치를 문자로 표시하거나 버스 및 택시승강장 등을 문자로 표시하여 행인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경계석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에 살빼기부를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이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도 2 : 자전거도로 3 : 인도
4 : 경계석 5 : 지면 6 : 기초콘크리트
7 : 도로포장재 8 : 화초 9 : 걸림돌출부
10 : 식재공간 11 : 격벽 12,13 : 살빼기부
14 : 장식부 15 : 연결돌기 16 : 연결홈

Claims (5)

  1. 도로에 경계석(4)을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4)의 전방하측이나 또는 전후방 하측에 걸림돌출부(9)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걸림돌출부(9)가 지면(5) 위에 설치하는 도로포장재(7)에 덮어씌워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돌출부를 구비한 보차도 경계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4)에는 화초를 심을 수 있는 식재공간(10)이 상하로 개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돌출부를 구비한 보차도 경계석.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4)의 전면에는 반사시트나, 도료를 도포한 장식면부, 또는 도로의 위치를 나타내는 문자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한 장식부(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돌출부를 구비한 보차도 경계석.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4)의 소정위치에는 살빼기부(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돌출부를 구비한 보차도 경계석.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4)의 양측에는 인접하게 설치되는 또 다른 경계석(4)과 끼움식으로 연결하는 연결돌기(15)과 연결홈(16)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돌출부를 구비한 보차도 경계석.
KR1020080126865A 2008-12-13 2008-12-13 걸림돌출부를 구비한 보차도 경계석 KR101085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865A KR101085929B1 (ko) 2008-12-13 2008-12-13 걸림돌출부를 구비한 보차도 경계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865A KR101085929B1 (ko) 2008-12-13 2008-12-13 걸림돌출부를 구비한 보차도 경계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311A KR20100068311A (ko) 2010-06-23
KR101085929B1 true KR101085929B1 (ko) 2011-11-22

Family

ID=4236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865A KR101085929B1 (ko) 2008-12-13 2008-12-13 걸림돌출부를 구비한 보차도 경계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9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99445A (zh) * 2014-12-08 2015-04-08 乐山市同源科技有限公司 有榫头和榫槽的马路隔离石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7025U (ko) 1975-02-26 1976-08-26
JPS59107619U (ja) * 1982-12-30 1984-07-20 株式会社日東コンクリ−ト工業所 歩車道境界装置
KR100659603B1 (ko) 2006-09-21 2006-12-20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도로경계블록
KR100736388B1 (ko) * 2006-02-08 2007-07-06 이은혜 다기능 도로 경계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7025U (ko) 1975-02-26 1976-08-26
JPS59107619U (ja) * 1982-12-30 1984-07-20 株式会社日東コンクリ−ト工業所 歩車道境界装置
KR100736388B1 (ko) * 2006-02-08 2007-07-06 이은혜 다기능 도로 경계석
KR100659603B1 (ko) 2006-09-21 2006-12-20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도로경계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99445A (zh) * 2014-12-08 2015-04-08 乐山市同源科技有限公司 有榫头和榫槽的马路隔离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311A (ko) 201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929B1 (ko) 걸림돌출부를 구비한 보차도 경계석
KR100736388B1 (ko) 다기능 도로 경계석
JP2021008764A (ja) 防草構造を有する側溝部材、側溝板、基礎ブロック、境界構造、ならびに、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セット
KR200459245Y1 (ko) 가로수보호판
KR101037738B1 (ko) 인조잔디 경계석
KR101129586B1 (ko) 조립형 가로수 보호장치
KR20110134202A (ko) 가로수 보호장치의 시공공법
KR102272793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
CN209211186U (zh) 一种防唧泥地砖
KR100734468B1 (ko) 바닥포장용 블럭
JP3005777U (ja) 歩道の舗装端部の防草構造及びその防草シートとコンクリート製品
JP2017115294A (ja) 防草機能付ブロック
KR102132812B1 (ko) 도로의 경계석과 보도블럭 사이의 방초구조
KR100905972B1 (ko) 합성수지 재질의 가로수 보호덮개의 시공방법
JP4652189B2 (ja) 地被植物保護基板用表示板
JPH0860632A (ja) 歩道の舗装端部の防草構造
KR100924022B1 (ko) 건축단지용 결속식 보도블록 설치방법
JP2879190B2 (ja) 防草構造及びそれに使用するコンクリート製品
JPH047207Y2 (ko)
KR100736918B1 (ko) 포도용 블록의 파손방지를 위한 블록버퍼
CN211689751U (zh) 一种防滑的城乡园林景观步道
CN202705845U (zh) 一种利用废旧轮胎铺砌的景观园林路面
KR200378297Y1 (ko) 보차도 경계블럭
KR100943221B1 (ko) 자전거 도로 및 주차장, 도로의 보도 등에 설치되는 잔디 식재형 고무블록 및 그 시공방법
CN105088922A (zh) 一种碎石混铺景观道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