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5283B1 -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283B1
KR101085283B1 KR1020040060168A KR20040060168A KR101085283B1 KR 101085283 B1 KR101085283 B1 KR 101085283B1 KR 1020040060168 A KR1020040060168 A KR 1020040060168A KR 20040060168 A KR20040060168 A KR 20040060168A KR 101085283 B1 KR101085283 B1 KR 101085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ge
information
block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6050A (ko
Inventor
가나이다께시
Original Assignee
아드레아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드레아 엘엘씨 filed Critical 아드레아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50016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4Tree-structured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8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emi-structured data, e.g. markup language structured data such as SGML, XML or HTML
    • G06F16/84Mapping; Conversion
    • G06F16/88Mark-up to mark-up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6/9577Optimising the visualization of content, e.g. distillation of HTML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6Display of layout of documents; Preview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4Tree-structured documents
    • G06F40/143Markup, e.g.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SGML] or Document Type Definition [DT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51Transformation
    • G06F40/154Tree transformation for tree-structured or markup documents, e.g. XSLT, XSL-FO or styleshe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chnology Law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서적용 데이터를 간편하게 작성한다. 출판사에서 공급되는 전자 서적용 데이터는, 여러가지 포맷에 의한 데이터이기 때문에, XML 컨버터부(21)에 의해 XML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된다. 데이터 컨버터부(22)는, XML 컨버터부(21)에 의해 컨버트된 XML 형식의 데이터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배포하는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함과 함께, 전자 서적으로서 취급하기 쉽게 하기 위한 데이터를 부가한다. 저작권 보호 처리부(23)는, 작성된 데이터에 저작권 정보를 부가하고, 필요에 따라 암호화를 실시한다. 배신부(24)는 배신하기 위한 데이터를 기억함과 함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그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배신한다. 본 발명은 전자 서적용 데이터를 작성하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콘텐츠 데이터, PageTree 오브젝트, XML 컨버터, 전자 서적

Description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및 기록 매체{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데이터 작성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3은 데이터 작성 장치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사용자 단말기의 외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사용자 단말기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데이터 작성 장치에 의해 작성되는 데이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데이터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영역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영역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데이터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데이터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영역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데이터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표시 위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연속 페이지군과 독립 페이지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데이터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데이터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데이터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데이터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데이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오브젝트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4는 XML 형식의 데이터와 2치 형식의 데이터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5는 오브젝트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스크랩된 기사의 오브젝트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스크랩 북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스크랩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9는 기사의 선택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0은 기사의 선택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1은 스크랩의 보존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2는 오브젝트의 취득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3은 오브젝트의 추가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4는 오브젝트의 취득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5는 앵커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6은 블록의 분단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7은 블록의 분단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8은 앵커 삽입 정보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9는 앵커 삽입 정보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0은 페이지의 이동에 관련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출판사
2 : 데이터 작성 장치
3 : 시장
4 : 네트워크
5 : 패키지 미디어
6 : PC
7 : 사용자 단말기
21 : XML 컨버터부
22 : 데이터 컨버터부
23 : 저작권 보호 처리부
24 : 배신부
25 : 패키지 미디어 작성부
71 : 표시부
72 : USB 인터페이스
73 : 이더넷(R) 인터페이스
74 : 드라이브
75 : 앞으로 버튼
76 : 뒤로 버튼
79 : 죠그 다이얼
80 : 확대 버튼
81 : 결정 버튼
131 : 서지 정보부
132 : 스트림 데이터부
133 : 오브젝트 데이터부
151 : 표시 가능 영역
152 : 가상 묘화 영역
171 : 연속 페이지군
172 : 독립 페이지군
181 : 헤더 정보부
182 : 오브젝트 정보부
183 : 오브젝트 테이블부
301 : 앵커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화된 서적을 취급하는데 적합한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텍스트 데이터로 구성되는 전자 서적이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다. 전자 서적은, 종이 서적으로, 일반적으로 활자로서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텍스트 데이터의 정보로서, 소정의 전자 서적용 단말 장치에 의해, 마치 종이 서적처럼 페이지가 양면이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표시되는 것이다. 전자 서적은 소정의 버튼에 의해 1 페이지분의 텍스트(화상)가 슬라이드하여 표시됨으로써, 마치 종이 서적을 펼쳐서 1 페이지씩 넘기는 것처럼 표시된다.
종래의 전자 서적용 단말 장치는, 읽기 편한 표시를 행하기 위해서, 표시부를 일시에 표시할 수 있는 최대의 문자수만큼의 범위 내에서, 서적용 텍스트 데이터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구획에 관한 파일로 규정되어 있는 조건에 기초하여, 순차 구획하고, 구획한 각 구획 단위의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부에 순차 표시시키도록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종래의 전자 서적용 단말 장치 또는 그 단말 장치에서 취급되는 데이터를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 2002-197088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 2001-52016호 공보
전자 서적용 단말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크기로 설계되어 있다. 그 때문에, 그 단말 장치의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의 크기에 제한이 있으며, 그 크기가 모든 사용자에게 반드시 최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동일한 영역에 동일한 크기로 동일한 문자가 표시되어 있어도, 그 보기 편한 것에는 차이가 있다.
그래서, 한정된 표시 영역 내에서, 텍스트 데이터를 보기 편하게 하기 위해서, 상술한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는 표시부를 일시에 표시할 수 있는 최대의 문자수만큼의 범위 내에서, 서적용 텍스트 데이터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구획에 관한 파일로 규정되어 있는 조건에 기초하여, 순차 구획하고, 구획한 각 구획 단위의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부에 순차 표시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그 문자의 크기가 적절하다고는 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시력이 좋은 사용자는 주어진 문자의 크기기 읽기 편할지 모르지만, 시력이 나쁜 사용자는 주어진 문자의 크기보다 더 큰 문자가 읽기 편하다고 생각될 경우도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의 크기로 표시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는 최대의 문자수로 표시를 행한다는 것은, 소 설 등의 문자의 나열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텍스트 데이터의 경우에는 상관이 없지만, 신문이나 잡지 등의 정지 화상이 포함되어, 콘텐츠 전체적인 레이아웃 자체에도 특징이 있는 것, 문자로만 나열되어 있지만 레이아웃 자체에 특징을 갖는 것(예를 들면, 각본과 같이 대사마다 단락을 바꾸는 것이 바람직한 것) 등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것은, 특허 문헌 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특허 문헌 2에서 개시되어 있는 데이터 구조는, 화상 등에 대하여 유효할지 모르지만, 텍스트 등에 대해서는, 레이아웃이 변경되게 되는 확대, 축소가 사용자가 원하는 것으로 행해지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다.
즉, 정지 화상이나 텍스트 등으로 구성되는 레이아웃 자체에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에게도 그 콘텐츠를 보다 즐길 수 있는 요인이 되고, 또한 그 콘텐츠를 작성한 작성자의 의지도 존중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만, 이들은 상술한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으로서는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자에게 적절한 크기의 문자나 화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레이아웃 등의 저작권자의 의지를 반영한 콘텐츠의 표시를 제공하며, 또한 사용자가 종이 서적과의 위화감이 없도록 취급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를 간편하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제공된 콘텐츠 데이터를, XML 형식의 콘텐츠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1 변환 수단과, 제1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콘텐츠 데이터를, 전자 서적용 데이터로서, 2치 형식의 콘텐츠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2 변환 수단과, 제2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콘텐츠 데이터를 배신하는 배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변환 수단은 콘텐츠 데이터를 오브젝트화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변환 수단은 변환 후의 콘텐츠 데이터를 구성하는 오브젝트를 트리 구조로 관리하기 위한 PageTree 오브젝트, 전자 서적을 구성하는 페이지마다 작성되고, 그 페이지 내용이 기술되어 있는 Page 오브젝트, 그 Page 오브젝트로 관리되는 페이지 내의 영역을 관리하는 Block 오브젝트, 그 Block 오브젝트에 의해 관리되는 영역 내에 기술되는 텍스트를 관리하는 Text 오브젝트, 그 Block 오브젝트에 의해 관리되는 영역 내에 기술되는 화상을 관리하는 Image 오브젝트, Page 오브젝트의 속성이 기술되어 있는 Page 속성 오브젝트, Block 오브젝트의 속성이 기술되어 있는 Block 속성 오브젝트, Text 오브젝트의 속성이 기술되어 있는 Text 속성 오브젝트, 및 Image 오브젝트의 속성이 기술되어 있는 Image 속성 오브젝트 중, 해당하는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콘텐츠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콘텐츠 데이터에, 저작권의 보호에 관련된 처리를 실행하는 저작권 보호 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은, 콘텐츠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제공된 콘텐츠 데이터를 XML 형식의 콘텐츠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1 변환 단계와, 제1 변환 단계의 처리에서 변환된 콘 텐츠 데이터를 전자 서적용 데이터로서, 2치 형식의 콘텐츠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2 변환 단계와, 제2 변환 단계의 처리에서 변환된 콘텐츠 데이터의 배신을 제어하는 배신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콘텐츠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제공된 콘텐츠 데이터를 XML 형식의 콘텐츠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1 변환 단계와, 제1 변환 단계의 처리에서 변환된 콘텐츠 데이터를 전자 서적용 데이터로서, 2치 형식의 콘텐츠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2 변환 단계와, 제2 변환 단계의 처리에서 변환된 콘텐츠 데이터의 배신을 제어하는 배신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는,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서는, 여러가지 포맷 형식의 데이터로 제공되는 콘텐츠 데이터가 XML 형식의 콘텐츠 데이터로 통일되고, 그 후 그 콘텐츠 데이터가 2치 형식의 콘텐츠 데이터로 변환되어 배신된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는 본 발명의 특정 사항과,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구체예와의 대응 관계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이 기재는, 본 발명을 뒷받침하는 구체예가,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실시예 중에 기재되어 있지만, 발명 특정 사항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여기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구체예가 있다고 해도, 그것은 그 구체예가 그 발명 특정 사항에 대응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구체예가 발명 특정 사항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여기에 기재되어 있다고 해도, 그것은 그 구체예가 그 발명 특정 사항 이외의 발명 특정 사항에는 대응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재는,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체예에 대응하는 발명이, 청구항에 모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이 기재는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체예에 대응하는 발명으로서, 이 출원의 청구항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발명의 존재, 즉 장래에, 분할 출원, 보정, 국내 우선권 출원 등에 의해 추가되는 발명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시스템(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데이터 작성 장치(2))은, 제공된 콘텐츠 데이터를 XML 형식의 콘텐츠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1 변환 수단(예를 들면, 도 2의 XML 컨버터부(21))과, 제1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콘텐츠 데이터를 전자 서적용 데이터로서, 2치 형식의 콘텐츠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2 변환 수단(예를 들면, 도 2의 데이터 컨버터부(22))과, 제2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콘텐츠 데이터를 배신하는 배신 수단(예를 들면, 도 2의 배신부(2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콘텐츠 데이터에, 저작권의 보호에 관련된 처리를 실행하는 저작권 보호 수단(예를 들면, 도 2의 저작권 보호 처리부(23))을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시스템은, 디지털 데이터로 된 서적을 취급하는 시스템이다. 디지털 데이터로 된 서적은, 여기서는 디지털 데이터를 취급하는 사용자측의 소정의 단말기로 열람할 수 있는 텍스트, 화상, 혹은 이들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는, 종이 매체의 서적(종이 서적)이 유통되고 있다. 그와 같은 종이 서적은, 출판사(1-1 내지 1-N)에 의해 작성되어 출판된다. 그와 같은 종이 서적을 출판하고 있는 출판사(1-1 내지 1-N)가, 디지털 데이터화된 서적(이하, 적절하게, 전자 서적이라고 기술함)도 출판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출판사(1-1 내지 1-N)를 개개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단순히 출판사(1)라고 기술한다. 또한, 다른 부분도 마찬가지로 기술한다.
각 출판사(1)로부터의 데이터는, 데이터 작성 장치(2)에 공급된다. 출판사(1)는, 전자 서적용 데이터를, 자사에서 취급하고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작성하고, 그 데이터를 데이터 작성 장치(2)에 공급한다. 그 때문에, 각 출판사(1)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는, 반드시 동일한 형식의 데이터라고 한정하지는 않기 때문에, 데이터 작성 장치(2)에서는, 주로 서로 다른 데이터 형식을 동일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컨버트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각 출판사(1)에서 공급되는 데이터 형식에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PDF(Portable Document Format: Adobe Systems사의 소프트웨어 Acrobat으로 다루는 파일 형식), Open eBook 사양의 형식 등이 있다. 따라서, 각 출판사(1)에서 공급되는 전자 서적 데이터는, 동일한 형식의 데이터가 아닐 가능성 이 있기 때문에, 데이터 작성 장치(2)에 의해 데이터의 컨버트가 행해진다.
데이터 작성 장치(2)에 의해 작성된 데이터는, 시장(3) 또는 네트워크(4)를 통하여 사용자측에 제공(배신)된다. 여기서는, 시장(3)을 통하여 사용자측에 제공되는 것은 패키지 미디어(5)라고 한다. 패키지 미디어(5)란, 예를 들면 메모리스틱(상표) 등의 기록 매체로서, 사용자측의 단말기로 취급할 수 있는 매체이다.
네트워크(4)는 인터넷 등이다. 그 구성은 유선이든 무선이든 상관없이, WAN(World Area Network)이나 LAN(Local Area Network) 등으로 구성된다. 또,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출판사(1)와 데이터 작성 장치(2)는 네트워크(4)를 통하여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설명을 더 추가하면, 출판사(1)와 데이터 작성 장치(2)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수수는, 네트워크 등을 통한 것이어도 되고, 소정의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여, 우편 등으로 수수되도록 해도 되어, 그 데이터의 수수 형태는 어떠한 것이든 상관없다.
네트워크(4)에는, PC(Personal Computer)(6-1, 6-2)가 접속되어 있다. PC(6-1, 6-2)에는 전자 서적을 열람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7-1, 7-2)가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7-3, 7-4)는 네트워크(4)와 직접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PC(6)는 네트워크(4)를 통하여 다른 장치(여기서는, 데이터 작성 장치(2))와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기능을 통상 갖고 있다. PC(6)가 이용되는 경우, 데이터 작성 장치(2)로부터의 데이터는 PC(6)에 의해 수신되고, PC(6)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7)에 공급되어 기억된다.
또한, PC(6)가 이용되지 않는 경우, 데이터 작성 장치(2)로부터 직접적으로 사용자 단말기(7)에 데이터가 공급되어 기억된다.
사용자 단말기(7)는 데이터 작성 장치(2)와 PC(6)를 통하는 경로만으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PC(6)를 통하지 않는 경로만으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물론, PC(6)를 통하는 경로와, PC(6)를 통하지 않는 경로, 양쪽 경로 모두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7)는 데이터 작성 장치(2)로부터의 데이터를 패키지 미디어(5)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공급을 받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기(7)의 구성 등에 대한 상세는 후술한다.
도 2는 데이터 작성 장치(2)의 기능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데이터 작성 장치(2)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컨버터부(21), 데이터 컨버터부(22), 저작권 보호 처리부(23), 배신부(24), 및 패키지 미디어 작성부(25)로 구성되어 있다.
XML 컨버터부(21)는 출판사(1)로부터 공급되는 여러가지 형식의 데이터를, XML 형식의 데이터로 컨버트(변환)한다. XML 컨버터부(21)에 의해 컨버트된 데이터는, 데이터 컨버터부(22)에 공급된다. 데이터 컨버터부(22)는 공급된 XML 형식의 데이터를, 전자 서적으로서 배신하는 형식의 데이터(2치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그 변환을 행할 때, 데이터 컨버터부(22)는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콘텐츠 데이터로 변환한다.
데이터 컨버터부(22)에는, 출판사(1)로부터 XML 형식의 데이터도 직접적으로 공급된다. 즉, XML 형식의 데이터이면, XML 컨버터부(21)에 의한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XML 컨버터부(21)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데이터 컨버터부(22)에 출판사(1)로부터 데이터가 공급되도록 해도 된다.
데이터 컨버터부(22)에 의해 컨버트된 데이터는, 저작권 보호 처리부(23)에 공급된다. 저작권 보호 처리부(23)는 전자 서적에 관련된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부분으로, 구체적으로는 공급된 데이터에 암호화 등의 처리를 실시하거나 저작권 데이터를 매립하거나 한다. 이 저작권 보호 처리부(23)에 의한 처리는, 필요에 따라 행하면 되고, 예를 들면 무료로 배포되는 경우에, 저작권의 보호가 필요없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행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 본 정보 처리 시스템에는,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이 앞서 출원한 일본 특원 2003-163968호에 개시된 콘텐츠 배신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기술을 적용한 경우, 저작권 보호 처리부(23)는 데이터 컨버터부(22)에 의해 컨버트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피암호화 콘텐츠를 작성하고, 이 피암호화 콘텐츠에, 콘텐츠 식별 정보, 디지털 권리 관리 정보, 라이센스 식별 정보, 유효화 키 블록 EKB, 및 암호화된 콘텐츠 키로 이루어지는 헤더 부분을 부가하여, 콘텐츠 파일을 작성한다.
저작권 보호 처리부(23)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배신부(24)에 의해 배신된다. 배신부(24)는, 내부 또는 외부에 기억부(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그 기억부에, 공급된 데이터를 기억하여, 필요에 따라(PC(6)나 사용자 단말기(7)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그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여, 네트워크(4)를 통하여 배신한 다.
패키지 미디어 작성부(25)는, 패키지 미디어(5)에, 전자 서적 데이터를 기록시킴으로써, 시장(4)에서 매매되는 패키지 미디어(5)를 작성한다. 이 패키지 미디어(5)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데이터 컨버터부(22)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저작권 보호 처리부(23)로부터 공급되어 데이터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 구성되는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선전 등의 목적으로, 무료로 배포되는 패키지 미디어(5)에 대해서는, 데이터 컨버터부(22)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만 기록된다. 또한, 판매 목적으로, 특정한 사용자(구입한 사용자)에게만 배포되는 패키지 미디어(5)에 대해서는, 저작권 보호 처리부(23)로부터의 데이터만 기록된다. 또는, 판매 목적이라도, 예를 들면 최초 100페이지는, 데이터 컨버터부(22)로부터의 데이터가 기록되고, 나머지 페이지는 저작권 보호 처리부(23)로부터의 데이터가 기록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작성 장치(2)로서 1개의 장치와 같이 도시하여 설명하지만, 도 2에 도시한 데이터 작성 장치(2) 내의 각 부는, 각각 다른 장치로 구성하고, 데이터 작성 장치(2)는 복수의 장치로 구성되는 시스템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각 부를 하나의 서버로 구성한 경우, 각 서버는 소정의 네트워크로 접속되고, 서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각 부를 하나의 서버로 구성하도록 한 경우, 출판사(1)는 XML 형식의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를 공급할 때에는, XML 컨버터부(21)를 구성하는 서버와 접속하고, XML 형식의 데이터를 공급할 때에는 데이터 컨버터부(22)와 접속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접속하는 목적지를 다르게 하도록 한 경우(반드시, 각 부가 하나의 서버로 구성되어 있을 필요성은 없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과금액을 접속 목적지에 따라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데이터 작성 장치(2)는, 이 경우 출판사(1)와는 별도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데이터 작성 장치(2)를 관리하는 관리자로서는,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어떠한 형태로든 요금을 징수한다. 그 요금의 징수 목적지로서는, 우선 출판사(1)를 생각할 수 있다. 출판사(1)로부터 요금을 징수(과금)하는 경우, XML 컨버터부(21)에 의한 컨버트를 필요로 하는 경우와,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로 과금액을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과금액이 낮은 금액으로서 설정될, XML 컨버터부(21)를 통하지 않는, 즉 데이터 컨버터부(22)를 접속 목적지로 하고, XML 데이터를 공급하는 접속이 증가한다고 생각된다. 그와 같은 접속의 증가에 수반하여, XML 컨버터부(21)가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게 된 경우, XML 컨버터부(21)를 삭제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것에 의해, 데이터 작성 장치(2)의 메인터넌스 등에 드는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그것에 의해, 즉 출판사(1)측이 XML 형식으로 데이터를 작성하게 됨으로써, 전자 서적용 데이터는 XML 형식으로 하는 것이 주류로 되고, 그 결과 전자 서적용 데이터를 XML 형식 이외의 데이터로 취급하는 출판사나, 그 출판사로부터 데이터의 공급을 받는 측의 회사 등과 차별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생각 된다.
데이터 작성 장치(2)를 1 또는 복수의 장치로 구성하도록 한 경우, 데이터 작성 장치(2)를 구성하는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데이터 작성 장치(2)를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구성한 경우의 내부 구성을, 도 3에 도시한다.
도 3에 도시한 데이터 작성 장치(2)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41)는, ROM(Read Only Memory)(4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43)에는, CPU(4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한 후에 필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이 적절하게 기억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45)는, 키보드나 마우스로 구성되는 입력부(46)가 접속되고, 입력부(46)에 입력된 신호를 CPU(41)에 출력한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45)에는,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는 출력부(47)도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45)에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되는 기억부(48), 및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장치(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7))와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통신부(49)도 접속되어 있다. 드라이브(50)는 자기 디스크(61), 광 디스크(62), 광 자기 디스크(63), 반도체 메모리(64)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할 때에 이용된다.
도 2에 도시한 데이터 작성 장치(2)의 기능 블록도와, 도 3에 도시한 데이터 작성 장치(2)의 내부 구성예의 대응 관계를 도시한다. XML 컨버터부(21)는, 예를 들면 CPU(41)가, RAM(43)(또는 ROM(42))에 전개되는 프로그램에 기초한 처리를 실 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데이터 컨버터부(21)나 저작권 보호 처리부(23)도, 마찬가지로, CPU(41)가 RAM(43)에 전개되는 프로그램에 기초한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 저작권 보호 처리부(23)가 필요로 하는 저작권의 정보 등은 기억부(48)에 기억된다.
출판사(1)로부터의 데이터는, 통신부(49)를 통하여 제공된다. 또는 자기 디스크(61), 광 디스크(62), 광 자기 디스크(63), 반도체 메모리(64)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드라이브(50)로부터 판독됨으로써 공급된다.
배신부(24)는 기억부(48)와 통신부(49)에 의해 구성된다. 기억부(48)에는 사용자측에 배신하는 전자 서적의 데이터가 기억되고, 그 전자 서적의 데이터가 필요에 따라 판독되어, 통신부(49)에 의해 배신된다. 물론, 이러한 처리의 제어를 행하는 것은 CPU(41)이다.
패키지 미디어 작성부(25)는, 드라이브(50)에 의해 구성된다. 드라이브(5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 디스크(61) 등의 기록 매체(패키지 미디어(5))가 삽입되고, 그 기록 매체에 기억부(48)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가 기록됨으로써, 전자 서적의 데이터가 기록된 패키지 미디어(5)가 작성된다. 물론, 대량 생산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드라이브(50)가 필요하고, 또한 동시에 기입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작성 장치(2)는, 1대의 장치로 구성될 필요는 없기 때문에, 도 3에 도시한 구성의 장치가, 예를 들면 XML 컨버터부(21)로서의 기능 만을 갖는 서버로서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또, 패키지 미디어(5)로서 배포(판매)하는 경우, 전자 서적은 종이 서적과 달리, 그 작성에는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패키지 미디어(5)에, 전자 서적의 데이터를 기록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은, 동일한 서적을 종이 서적으로 하는 시간에 비하면 짧은 시간이다. 그것을 이용하여, 패키지 미디어 작성부(25)는 서점 등의 점두에, 전용 단말기로서 설치되도록 해도 된다.
서점 등의 점두에 설치된 경우, 사용자가, 그 단말기를 조작하여, 원하는 전자 서적을 선택하면, 예를 들면 네트워크(4)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배신부(24)와 접속되고, 그 사용자가 원하는 전자 서적의 정보가 송신된다. 그리고, 그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전자 서적의 데이터가 단말기로 송신된다. 단말기는 그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물론, 서점 등에 설치되는 단말기 자체에, 전자 서적의 데이터를 기억시켜 두고, 그 데이터가 기록 매체에 기록되도록 해도 된다. 그러나, 데이터 작성 장치(2)에 접속되어, 그 배신부(24)로부터 데이터가 배신되도록 한 경우, 전자 서적의 데이터를 일원적으로, 데이터 작성 장치(2)측에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데이터의 추가, 오래된 데이터의 삭제 등, 데이터의 갱신 등에 관련된 처리가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데이터 작성 장치(2)측에서만 데이터를 관리하도록 하면, 예를 들면 잘 팔리는 서적이나, 반대로 팔리지 않는 서적 등에 관한 통계를 취하기 쉬워진다.
서점 등에 단말기 등이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 앞에서, 조작을 개 시하고나서, 원하는 전자 서적의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 매체를 취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사용자가 허용할 수 있는 범위 내라고 생각되기 때문에, 그와 같은 단말기나 시스템은 보급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에 따라, 단말기를 제조하는 제조 회사도,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면, 출판사(1)측은 재고를 갖고 있는 리스크를 없앨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이 매체의 경우, 팔리지 않으면, 그 서적은 처분되기 때문에, 종이가 쓸데없는 소비로 이어져서, 출판사(1)측에서도, 쓸데없는 지출비가 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패키지 미디어(5)가 판매되도록 되면, 기록 매체 자체가 쓸데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패키지 미디어(5)로서, 휘발성 기록 매체를 이용하면, 종이 서적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패키지 미디어(5)에 미리 데이터를 기록시킨 상태에서, 서점에 나열되어 판매한다고 해도, 가령 팔리지 않고, 회수하게 되어도, 기록 매체 자체는 재이용할 수 있어, 리스크의 경감, 비용의 경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여기서는 출판사(1)로부터 전자 서적의 데이터가 공급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반드시 출판사(1)로부터만 전자 서적의 데이터가 공급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작가가 데이터 작성 장치(2)에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송신하는 구조를 구비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예를 들면 자주 출판 등과 같이, 작가가 자신의 자금으로 출판물을 출판하는 경우에도, 전자 서적이면, 종이 매체로 할 필요없이, 신문값, 인쇄값 등을 삭감할 수 있고,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를 취함으로써, 재고를 갖고 있는 경우가 없어지기 때문에, 팔리는 대부분의 경비만으로 해결되게 된 다.
즉, 작가측으로서는, 출판에 드는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고, 데이터 작성 장치(2)를 관리하는 측으로서는, 출판사(1) 이외의 고객으로부터도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측도 지금까지, 발매되지 않은 유명하지 않은 작가의 작품이나, 또는 유명 작가라도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없다는 등의 판단으로 일반적으로 판매되지 않았던 작품을, 보다 간편하게 구입할 수 있게 되어, 여러 작가의 작품을 구입할 수 있다(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다음으로, 이러한 데이터 작성 장치(2)에 의해 작성되는 전자 서적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텍스트나 화상 등으로 구성되는 서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7)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한다. 도 4는 사용자 단말기(7)의 외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기(7)는 전자 서적으로서의 텍스트나 화상(이하, 적절하게, 콘텐츠라고 기술함)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71)를 구비한다. 그 표시부(71)를 갖는 면에 대하여, 측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우선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72)가 형성되어 있다.
이 USB 인터페이스(72)는, PC(6)(도 1)와 접속하여,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기(7)는 USB 인터페이스(72) 외에, 이더넷(R)에 접속하기 위한 이더넷(R) 인터페이스(73)도 구비하고 있다. 이더넷(R) 인터페이스(73)는, 네트워크(4)(도 1)를 통하여 데이터 작성 장치(2)와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이더넷(R) 인터페이스(73)는, 유무선을 막론하고, 네트워크(4)에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데이터 작성 장치(2)와 데이터의 수수를 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으면 된다.
사용자 단말기(7)는 그 측면에 드라이브(74)를 갖는다. 이 드라이브(74)에는 패키지 미디어(5)가 삽입된다. 드라이브(74)는 삽입된 패키지 미디어(5)로부터 전자 서적의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7)는 그 측면에 앞으로 버튼(75)과 뒤로 버튼(76)의 2개의 버튼을 갖는다. 이 앞으로 버튼(75)과 뒤로 버튼(76)은 표시부(72)에 표시되어 있는 콘텐츠를 스크롤할 때에 조작된다. 이 앞으로 버튼(75)과 마찬가지 역할을 갖는 버튼으로서, 앞으로 버튼(77)이, 표시부(71)의 하측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뒤로 버튼(76)과 마찬가지 역할을 갖는 버튼으로서, 뒤로 버튼(78)도, 표시부(71)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마찬가지 역할을 갖는 버튼을 다른 부분에 배치하는 것은, 사용자의 사용성을 고려한 것이다. USB 인터페이스(72), 이더넷(R) 인터페이스(73), 및 드라이브(74)는, 각각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7)의 측면에,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어떠한 위치에 구비되어도 된다. 그러나, 앞으로 버튼(75)과 뒤로 버튼(76)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7)를 손에 가지고 있을 때에,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단말기(7)의 표시부(71) 하측에는, 앞으로 버튼(77)과 뒤로 버튼(78) 사이에, 죠그다이얼(상표)이 형성되어 있어, 앞으로 버튼(77)이나 뒤로 버튼(78)과 마찬가지로, 표시부(71)에 표시되어 있는 콘텐츠를 스크롤시킬 때 등에 조작된다. 또, 죠그다이얼(79)은, 표시부(71)에 대하여 수평 방향(도 4의 상하 방향)으로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수직 방향으로 눌러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그 누르는 등의 처리에 의해, 결정 등이 지시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사용자 단말기(7)는, 또한 확대 버튼(80)과 결정 버튼(81)을 표시부(71) 하측에 구비한다. 확대 버튼(80)은 표시부(71)에 표시되어 있는 콘텐츠의 문자의 크기 등을 확대하고 싶을 때에 조작된다. 결정 버튼(81)은, 어떠한 선택, 예를 들면 후술하는 스크랩한 영역을 선택할 때에, 그 선택으로 결정할 때에 조작된다.
또, 도 4에 도시한 사용자 단말기(7)의 구성에는, 확대 버튼(80)만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축소 버튼도 구비되도록 해도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대 버튼(80)만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소정의 횟수만큼, 그 확대 버튼(80)이 조작되면, 확대 처리가 아니라, 100%의 표시로 되돌아가도록 설정된다.
사용자 단말기(7)는, 이러한 복수의 버튼 등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도 4에 도시한 구성은, 일례로서, 한정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즉, 도 4에 도시한 버튼 이외의 버튼이 구비되도록 해도 되고, 반대로 필요가 없으면(다른 버튼과 공용하는 등으로 필요가 없게 되면) 삭제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그 버튼 등의 배치도, 도 4에 도시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5는 사용자 단말기(7)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사용자 단말기(7)의 CPU(101)는, ROM(10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각 종 처리를 실행한다. RAM(103)에는 CPU(10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이 적절하게 기억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5)는, 입력부(106)가 접속되어, 입력부(106)에 입력된 신호를 CPU(101)에 출력한다.
입력부(106)는 앞으로 버튼(75), 뒤로 버튼(76), 앞으로 버튼(77), 뒤로 버튼(78), 죠그다이얼(79), 확대 버튼(80), 및 결정 버튼(81)으로 구성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5)에는 표시부(71)도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05)에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되는 기억부(107), 및 다른 장치(예를 들면, 데이터 작성 장치(2))와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통신부(108)도 접속되어 있다. 통신부(108)는, 이 경우 USB 인터페이스(72)와 이더넷(R) 인터페이스(73)로 구성되어 있다.
드라이브(74)는, 패키지 미디어(5)로서의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필요에 따라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할 때에 이용된다.
데이터 작성 장치(2)로부터 제공되어, 통신부(108)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는 기억부(107)에 기억되고, 그 기억된 데이터에 기초한 텍스트나 화상이, 표시부(71)에 표시된다. 또는, 드라이브(74)에 세트된 패키지 미디어(5)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판독되고, 그 판독된 데이터에 기초한 텍스트나 화상이, 표시부(71)에 표시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표시부(71)에 표시되는 텍스트나 화상을, 적절하게, 콘텐츠라고 기술함과 함께, 그 콘텐츠에 관련된 데이터를 콘텐츠 데이터로 기술한다.
도 6은 표시부(71)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예에서는, 표시부(71) 내의 상측 위치에, 콘텐츠의 타이틀이 표시되는 타이 틀 표시 블록(111)이 표시되어 있다. 그 타이틀 표시 블록(111)의 하측의, 좌측 위치에는, 화상이 표시되는 화상 표시 블록(112)이 표시되어 있고, 그 우측 위치에는, 텍스트가 표시되는 텍스트 표시 블록(113-1)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71)의 하측 위치에는, 텍스트를 표시하는 텍스트 표시 블록(113-2)이 표시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타이틀 표시 블록(111), 화상 표시 블록(112), 텍스트 표시 블록(113-1, 43-2)을, 적절하게 블록이라고 총칭한다.
도 6에 도시한 표시부(71)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일례로, 한정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즉, 레이아웃 등은 콘텐츠에 의해 변경되고, 설명의 편의 상, 예를 들면 타이틀이 표시되는 타이틀 표시 블록(111)이 표시되는 것으로 나타냈지만, 타이틀이 없는 콘텐츠에서는, 타이틀 표시 블록(111)은 표시되지 않고, 타이틀이 표시될 때에도, 그 위치는 표시부(71) 상측에 한정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부언하면, 이들 표시 블록(111 내지 113)은, 미리 표시부(71)에 설정되어 있는 영역은 아니고, 즉 예를 들면 타이틀 표시 블록(111)이라는 블록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설명을 위해 부가한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 블록이 표시되는 위치나 내용은, 기억부(107)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나, 패키지 미디어(5)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소설 등의 콘텐츠가 표시되는 경우, 표시부(71)에는, 텍스트밖에 표시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텍스트 표시 블록(113)이 표시부(71) 위에 형성되고, 그 형성된(영역으로서 확보된) 텍스트 표시 블록(113) 내에 텍스트가 표시된다.
여기서, 콘텐츠(서적)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한다. 우선, 만화 등의 그림과 텍스트로 구성되고, 또한 그 1코마마다의 배치(레이아웃)가 작가가 의도한 그대로 되도록 해야 하는(레이아웃을 변경하면 내용이 바뀜) 서적이 있다. 이와 같은 서적은, 확대 등을 행해도, 그 레이아웃이 변경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어야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특징을 갖는 서적(예를 들면, 만화와 같은 서적)은, 화상(이미지: IMAGE)으로서 취급하기로 한다. 따라서, 만화와 같은 서적은 화상 표시 블록(112)으로서 취급되어 표시부(71) 상에 표시된다.
소설과 같은 텍스트만으로 구성되는 서적이 있다. 텍스트만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그 텍스트(문자)의 확대나 축소가 행해졌다고 해도, 그 문자열의 배열이 변경되지 않으면(예를 들면, "あいう"라는 문자열이, "あいう" 그대로이면, 확대나 축소가 행해져도) 된다.
소설과 같은 텍스트만으로 구성되는 서적은, 본 실시예에서는, 텍스트 데이터로서 취급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소설과 같은 서적은, 텍스트 표시부 블록(113)으로서 취급되어, 표시부(71) 상에 표시된다.
잡지 등과 같이, 텍스트와 화상으로 구성되는 서적도 있다. 텍스트는 소설과 같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확대나 축소가 행해져도, 그 문자열의 배열이 변경되지 않으면 된다. 화상도 마찬가지로 확대나 축소가 행해져도, 그 비율 등이 변경되지 않으면 된다.
또한, 텍스트와 화상은, 레이아웃이 변경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확대 나 축소 등의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그 레이아웃이 변경된다고 해도, 만화와 같이, 내용이 변하게 될 가능성은 낮기 때문에, 그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예를 들면 소정의 텍스트 다음으로, 그 텍스트가 나타내는 내용에 관련된 화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관점에서는 레이아웃이 변경되어도,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열람하는 순서로서의 레이아웃은 변경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 여러가지 서적을 취급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에 대하여 확대 등의 처리가 행해졌다고 해도, 그 확대 등의 처리에 의해, 콘텐츠의 작성자가 의도한 레이아웃을 흐트리지 않도록 처리되는 것이 하나의 특징이다. 그와 같은 특징을 갖는 콘텐츠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 콘텐츠 데이터는, 데이터 작성 장치(2)에 의해 작성된다.
우선, 출판사(1)로부터 공급된 데이터가 XML 컨버터부(21)에 의해 컨버트된 후의 데이터 구조, 즉 데이터 컨버터부(22)에 공급되는 XML 형식의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최종적으로 사용자측의 사용자 단말기(6)에 배신되는 콘텐츠 데이터가 작성되기 위해서는, XML 포맷에 의한 소스 데이터가 우선 작성된다. 이 소스 데이터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지 정보부(131), 스트림 데이터부(132), 및 오브젝트 데이터부(133)로 구성된다. 서지 정보부(131)에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기술된다.
스트림 데이터부(132)에는, 콘텐츠의 주문의 내용과 흐름을 설명하는 데이터 가 기술된다. 콘텐츠의 주문의 내용이란, 예를 들면 소설의 경우에의 본문으로, 그 본문의 텍스트 데이터와, 그 본문의 흐름, 즉 순서에 관한 정보가 스트림 데이터부(132)에는 기술된다.
오브젝트 데이터부(133)에는, 화상이나 음성, 그밖의 정보 등이 기술된다. 그밖의 정보란, 예를 들면 레이아웃에 관한 정보이다. 오브젝트 데이터부(133)에는, 스트림 데이터부(132)에 기술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하여, 부가가치적인 정보가 기술된다.
이와 같이, 스트림 데이터부(132)와 오브젝트 데이터부(133)를 분리함으로써, 문자 정보를 주된 정보원으로 하는 전자 서적용 콘텐츠 데이터의 컨버트가 용이해지고, 또한 표시되는 장치(여기서는, 사용자 단말기(7)에 콘텐츠가 표시되는 것으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PC(6)의 표시 장치로서의 디스플레이 상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장치)마다 변화하는 레이아웃 정보 등을, 문자 정보와 독립하여(따로따로) 편집할 수 있기 때문에, 편집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경우, 문자 정보쪽은 공용할 수 있다.
또, 표시 장치마다 변화하는 레이아웃 정보는, 예를 들면 PC(6)의 디스플레이(도시되지 않음)와, 사용자 단말기(7)의 표시부(71)의 크기는 다르기 때문에, 한번에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량(결과적으로, 문자수나 화상 사이즈 등에 의존한다)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데이터에 의해 표시가 행해지면, 레이아웃이 흐트러질 가능성이 있어, 적절하게 콘텐츠를 표시시키는 장치에 따라 레이아웃 정보를 바꿀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트림 데이터부(131)와 오브젝트 데이터부(133)를 분리하고 있기 때문에, 또, 이하에 설명을 부가하는 데이터를 가짐으로써, 레이아웃 정보의 편집 등의 처리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서지 정보부(131)에 기술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한다. 도 8은 서지 정보부(131)에 기술되어 있는 데이터가 재생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7)의 표시부(71)에 표시되는 타이틀 일람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표시예에서는, 「武田信玄 風の卷」, 「武田信玄 林の卷」, 「武田信玄 火の卷」, 「武田信玄 山の卷」의 순서로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武田信玄"이라는 시리즈의 서적으로, 그 1권이 「風の卷」, 2권이 「林の卷」, 3권이 「火の卷」, 4권이 「山の卷」으로 되어 있는 타이틀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배열은, 예를 들면 일본인이라면, 「風林火山」 등의 언어를 생각해내고, "風の卷" 다음에는, "林の卷"이 온다고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1권", "2권" 등과 같은 표기를 하지 않아도, 그 전후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기(7)에서 타이틀을, 이와 같은 개념적인 정보에 의해 재배열하여 정확하게 표시시키기 위해서는, 그와 같은 개념적인 정보를 미리 사용자 단말기(7) 측에 입력해두는 등의 처리가 필요하지만, 전체 정보를 미리 준비하여, 입력해두는 것은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는, 이와 같은 타이틀 등의 재배열은, 예를 들면 50음순에 따라 행해진다. 그와 같은 50음순에 따른 재배열이면, 예를 들면 문자 코드 등을 이용 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정보를 준비하여, 입력하는 처리를 특히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7)가 갖는 기능만으로, 재배열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武田信玄" 등의 시리즈 서적의 타이틀을 재배열하는 경우에는, 우선 "武田信玄"이라는 부분은 동일하기 때문에, 이 부분만큼은, 재배열을 행할 수 없다. 그래서, 다음으로, "風", "林", "火", "山"의 부분으로 재배열이 행해지게 되는데, 문자 코드 등으로 재배열이 행해진 경우에는, 반드시 "風林火山"의 순서가 되는 것으로는 한정하지 않는다.
재배열이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있어서, 보기 불편한 타이틀의 배열로 되게 되어, 그와 같은 것이 발생하지 않게 해야만 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reading」이라는 속성을 구비하여, 항상 사용자에 대해서는 올바른 재배열에 의한 결과만을 제공하도록 한다. 이 「reading」이라는 속성은, 소트의 대상에 부여되게 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표시가 되도록, 「reading」이라는 속성이 부여된 데이터의 일례를 이하에 나타낸다.
<Title reading="タケダシンゲン 1"> 武田信玄 風の卷 </Title>
;
<Title reading="タケダシンゲン 2"> 武田信玄 林の卷 </Title>
;
<Title reading="タケダシンゲン 3"> 武田信玄 火の卷 </Title>
;
<Title reading="タケダシンゲン 4"> 武田信玄 山の卷 </Title>
;
예를 들면, <Title reading="タケダシンゲン 1">이라는 속성이 부여된 타이틀은, 「武田信玄 風の卷」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タケダシンゲン"이라는 읽기가 제공되어 있는 서적 중에는, 재배열이 행해졌을 때에, "1"번째로 표기되는 타이틀인 것이 나타나 있다. <Title reading="タケダシンゲン 1"> 중에서 "タケダシンゲン"이라는 읽기 정보가 포함되는 것은, 다른 서적(다른 타이틀)과의 재배열이 행해질 때의 정보로서 이용되기 때문이다.
<Title reading="タケダシンゲン 1">은, 사용자 단말기(7)측에서 콘텐츠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또한 콘텐츠 데이터의, 소정의 규칙에 따른 재배열을 행할 때의 정보로서 이용된다. 그 후에 계속되는 "武田信玄 風の卷"이라는 정보는, 사용자측이 콘텐츠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 이용되는(제공되는) 정보이다. 이와 같이, 「reading」이라는 속성의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7)측에서 이용되는 정보와, 사용자측에 실시에 제공되는 정보로 구성된다.
또한, 이 「reading」이라는 속성에 관한 데이터는, 출판사(1)측에서 제공되는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출판사(1) 또는 콘텐츠를 작성한 작성자 등이 부가하도록 해도 되고), 데이터 작성 장치(2)측에서, 부가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reading」이라는 속성이 부여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서지 정보부(131)에 기술되는 데이터의 일례를, 도 9에 도시한다. 또, 도 9에는, 데이터를 선으로 둘러싸서, 그 선의 외측에 숫자를 부여하였지만, 그 선과 숫자는, 설명을 위 해 부여한 것으로, 데이터 자체에 부여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도, 마찬가지 기술(도시)은 마찬가지 의미를 갖는다.
1행째의 <?xml version>이나 2행째의 <Info version>에는, 해당하는 포맷의 버전이 기술된다. 3행째의 <BookInfo>는, 이하의 부분에 서지 정보가 기술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4행째의 <Title reading>에는, 콘텐츠의 타이틀이 기술된다. 5행째의 <Author reading>에는, 콘텐츠의 저자명이 기술된다.
6행째의 <BookID>에는, 해당하는 콘텐츠를 유일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기술되어, 그 정보에 의해 콘텐츠가 특정되도록 한다. 7행째의 <Publisher reading>에는, 콘텐츠를 출판하는 출판사명(출판사(1)의 사명)이 기술된다. 8행째의 &1t; Label reading>에는, 콘텐츠를 출판하는 출판사가 마련한 발행 상표가 기술된다.
이 1 내지 8행째에 기재되는 데이터 중, 4행째의 <Title reading>에 기술되는 타이틀, 5행째의 <Author reading>에 기술되는 저자명, 7행째의 <Publisher reading>에 기술되는 출판사명, 및 8행째의 <Label reading>에 기술되는 라벨명의, 이들 4개의 요소는, 문자의 표현이 중시되기 때문에, 의미를 갖게 하기 위한 reading 속성을 기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들 4개의 요소에 reading 속성을 갖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타이틀, 저자명, 출판사명, 및 라벨명 중 어느 하나(또는, 복수)에 의해 재배열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정보에 의해 재배열을 행할 수 있게 설정해둠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서적을 검색할 때 등, 용이하게 그 원하는 서적을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reading」이라는 개념을 이용함으로써, 재배열 단계에서도, 그 「reading」 부분에 기술되는 표시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를, 콘텐츠의 작성자의 의도에 따라 할당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그 작성자의 의도를 재배열 등의 단계에서도 반영시킬 수 있게 된다.
9행째의 <Category>에는, 해당하는 콘텐츠가 어떠한 장르인지가 기술되어, 사용자가 전자 서적을 정리하기 쉽게 하기 위한 정보로서 이용된다. 10행째의 <Classification>에는, 어떠한 데이터가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는지가 기술된다.
예를 들면, 종이 서적의 경우, 잡지 등에 부록 등이 첨부되어 있을 때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 종이 서적이면, 그 잡지의 형태(부피 등)로, 부록이 첨부되어 있는 것을 사용자가 추측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서적과 같은 전자 정보의 경우, 그와 같은 잡지 등의 외관으로부터 추측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의 추측을 행하게 하게 하기 위한 표현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이 <Classification>에서, 사용자에게, 부록이 첨부되어 있는 것을 명시하기 위한 정보를 기술함으로써, 그 전자 서적에는 어떠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인식시키기 위한 정보가 설정되도록 한다.
11행째의 <FreeText>에는, 콘텐츠의 개요 등이 기술된다. 그 기술된 정보는, 그 콘텐츠가 어떠한 내용인지를, 사용자에게 인식(이해)시키는 정보로서 이용된다. 16행째의 <DocInfo>는, 문서의 정보가 이하에 기술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17행째의 <Language>에는, 콘텐츠의 주언어가, 예를 들면 IS0639로 규정된 언어 코드로 기술된다.
18행째의 <Creator>에는, 콘텐츠의 작성자명, 작성 스튜디오명 등이 기술된다. 19행째의 <CreationDate>에는, 콘텐츠가 작성된 일시가 기술된다. 20행째의 <Producer>에는, 제작자, 생산자 등이 기술된다. 21행째의 <Page>에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데 필요한 외관상의 페이지수가 기술된다.
페이지에 대한 개념은, 통상의 종이 서적과는 달리 전자 서적의 경우, 명확하게 규정할 수 없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71)에 표시되는 문자 등은,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확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가령 소정의 배율로, 사용자 단말기(7)의 표시부(71)에 한번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1 페이지로 설정한 경우, 그 페이지에 대하여 확대의 지시를 하고, 그 지시를 한 결과, 확대되면, 1 페이지에서는 다 표시되지 않고, 예를 들면 2 페이지에 걸쳐서 표시되게 될 때도 있다. 따라서, 확대율 등에 의존하여, 표시되는 상황에 따라, 동일한 콘텐츠라도, 페이지수는 변화하고, 페이지라는 개념의 규정 방법에 의해, 페이지수도 변화하기 때문에, 21행째의 <Page>에는, 외관상의 페이지수가 기술되도록 하고 있다.
23행째의 <Keyword>에는, 콘텐츠를 사용자가 검색할 때에 이용되는 언어가 기술된다.
서지 정보부(131)에는, 이러한 데이터가 콘텐츠마다 기입되어 있다. 또, 도 9에 도시한 데이터는, 일례로서, 필요에 따라, 다른 데이터가(다른 데이터도) 기술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반대로 필요가 없으면, 삭제하는(생략하는) 것 도 가능하다. 이것은 이하의 설명(다른 데이터 구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스트림 데이터부(132)에 기술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트림 데이터부(132)에는, 전자 서적으로서의 콘텐츠가 중심이 되는 내용이, 데이터의 표시순으로 기술된다. 통상, 페이지 넘기기 기능에 의해서 표시되는 내용은, 이 스트림 데이터부(131)에 기술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이 서적은, 크게 나누어서 3 종류의 페이지의 표현 방법이 있다. 만화와 같이 페이지를 이미지 데이터로서 취득하여, 그것을 첨부하는 방법과, 잡지와 같이 문자의 묶음을 적당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페이지를 표현하는 방법, 소설과 같이 문자의 흐름을 중심으로 레이아웃이 되어 있는 방법 등 3 종류이다.
이들 서로 다른 표현이라도, 동일한 포맷을 이용하기 때문에(동일한 포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가상 페이지(가상 묘화 영역)라는 개념을 도입한다. 가상 페이지란, 그 가상 페이지 내의 영역에 기술된 내용을 1 페이지로서 취급하지만, 실제로 표시부(71)에 표시시킬 때에는, 그 페이지 내에서, 표시 가능한 영역만을 표시한다는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가상 페이지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한다.
표시부(71)에 한번에 표시할 수 있는 영역을 표시 가능 영역(151)으로 했을 때, 반드시 1 페이지로서 취급해야 되는 영역(가상 페이지)이, 표시 가능 영역 상에 1 페이지로서 표시되는(즉, 한번에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의 상측의 도면은, 표시 가능 영역(151)과, 가상 묘화 영역(152-1)이, 동일한 영역인 상태를 나 타내고 있다. 또, 도 10의 상측의 도면에서는, 설명을 위해, 가상 묘화 영역(152-1)보다도 작은 프레임으로서 표시 가능 영역(151)을 나타내고 있지만, 동일한 크기로 규정되어 있다.
도 10의 하측에 도시한 가상 묘화 영역(152-1)은, 도 10의 상측에 도시한 가상 묘화 영역(152-1)의 2배의 크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사용자 단말기(7)에서는, 표시부(71)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 등이 작은 경우,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크기로 확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표시부(71)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의 확대가 2배로 지시되는 경우가 있고, 그와 같은 때에는, 도 10의 상측에 도시한 상황으로부터 도 10의 하측에 도시한 상황으로 변화한다.
즉, 도 10의 상측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ABCDE"라는 알파벳이, 가상 묘화 영역(152-1)에 묘화되어 있는 상태(1 페이지분의 문자로서 "ABCDE"라는 알파벳이 묘화되는 상태)와, 실제로 표시부(71)에 표시되는 표시 가능 영역(151)이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부(71)에는 "ABCDE"이라는 문자열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2배의 표시가 지시되면, 가상 묘화 영역(152-2)은, 이 경우 가로방향이 2배의 크기로 확대된다. "ABCDE"라는 문자열도, 가상 묘화 영역(152-2) 내에서, 2배의 크기로 확대된다. 그러나, 표시 가능 영역(151)은 표시부(71)의 크기와 같다고 하는 제한이 있기 때문에, 변화하지 않고, 고정적인 크기이다. 따라서, 도 10의 상측의 상태에서는, "ABCDE"라는 문자열 전부가 표시부(71)에 표시되는 상태라도, 도 10의 하측의 상태에서는, "AB"와 "C"의 반 정도밖에 표시부(71)에 는 표시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도 10의 상측의 도면으로부터 도 10의 하측의 도면 상태로 변화함으로써, 1 페이지로 표시되어 있는 것이, 2 페이지에 걸쳐서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전자 서적의 데이터, 및 그 데이터를 취급하는 사용자 단말기(7)는, 확대 등의 처리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편적인 페이지라는 개념을 이용할 수 없다. 즉, 종이 서적으로 100 페이지의 서적이, 전자 서적으로도 100 페이지로 설정되어 있어도, 확대의 처리가 지시되면, 그 페이지수는 증가하게 되어, 반드시 100 페이지로서 처리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가상 페이지라는 개념을 도입한다. 이 가상 페이지는, 확대 등의 처리가 지시된 경우에도, 1 페이지로 설정되어 있는 페이지는 1 페이지로서 취급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그 페이지가 가상적으로 전개되는 영역이 가상 묘화 영역(152)이다. 가상 묘화 영역(152)에 묘화되어 있는 가상 페이지 중, 실제로 표시부(71)에 표시되는 영역이 표시 가능 영역(151)이다.
또, 표시 가능 영역(151), 가상 묘화 영역(152) 등에 대하여, 또한 확대가 지시되었을 때의 확대 방법(후술하는 블록 스타일(Blockstyle) 또는 블록 룰)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이, 앞서 출원한 일본 특원 2002-280257호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가상 페이지(가상 묘화 영역) 등의 개념을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을 추가한다.
스트림 데이터부(131)에 기술되는 데이터에 대한 설명으로 되돌아가, 만화와 같이, 화상이나 텍스트를 표시하는 위치가 엄밀하게 정해져 있는 것은, 이미지 데이터로서, 스트림 데이터부(131)에 기술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만화와 같은 서적은, 레이아웃이 변경되면, 그 내용까지 변경되게 될 가능성이 있어, 가령 확대 등이 지시되었다고 해도, 그 레이아웃이 변경되게 되는 확대 등은 행해지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어야만 한다.
그래서, 여기서는 만화 등, 레이아웃의 변경이 허가되지 않은 서적은, 이미지 데이터로서 취급하도록 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이 서적으로 1 페이지에 해당하는 부분은, 전자 서적이라도 1 페이지로서 취급되도록 설정된다. 즉, 1 페이지의 가상 묘화 영역(152)은, 표시 가능 영역(15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화 등에서는, 복수의 코마(프레임)로 1 페이지가 구성된다. 그 복수의 코마로 구성되는 1 페이지가 1 페이지로서 표시되도록 제어가 된다. 이러한 페이지에 대하여 확대가 지시된 경우, 확대의 지시가 있어도, 확대 처리가 행해지지 않는지, 또는 세로와 가로가 동일한 비율로 확대되는지 중 어느 하나이다. 양쪽 모두, 레이아웃의 변경 등은 되지 않기 때문에 서적의 작성자의 의도를 벗어나게 되지는 않는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우, 화면 사이즈(표시 가능 영역(151))와 이미지 사이즈(가상 묘화 영역(152))를 동일한 크기로 설정하고, 페이지 기술부(도 12에 도시한 데이터)에, 그 이외의 기술을 하지 않으면, 실제로 표시되는 「페이지」와 가상 페이지의 크기가 같아진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페이지의 데이터(이미지 데이터)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된다. 도 12에 도시한 데이터 구성예는, <Page> 태그가 이용된, 1가상 페이지의 기술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1행째의 <Page> 태그에 계속되는 "objid"는, 그 페이지(이미지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그 페이지를 특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정보이다.
또한, "pagestyle"은, 페이지의 레이아웃 정보를 기술하는 오브젝트를 호출하는 부분(오브젝트 데이터부(133)(도 7)에 기술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정보가 기술되는 부분)으로, 이 커맨드에 의해 페이지의 마진 등에 관한 데이터가 판독되어, 결정된다.
2행째의 <ImageBlock> 태그에는, 묘화하는 이미지(화상)에 대한 설정을 행하기 위한 정보가 기술된다. <ImageBlock> 태그 내의 "objid"는, 그 ImageBlock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기술된다. 또, 이 태그에 의해, 이미지 블록으로서 취급하는 것이 선언되어 있다.
그 후에 계속되는 "x0, y0, x1, y1"의 정보로, 묘화되는 화상이 원화상의 어떤 위치에 존재하는 것인지를 나타내고, 절취한 화상을 xsize, ysize로 지정한 크기로 표시한다.
도 12에 도시한 데이터 예에서는, 가로 600 도트, 세로 800 도트의 사이즈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 화상이 표시되는 화면 사이즈가 가로 600 도트, 세로 800 도트인 경우, 화면 전체에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다른 예를 들면, 화상 사이즈가, 가로 1000 도트, 세로 1200 도트이고, 화면 사이즈가 가로 600 도트, 세로 800 도트의 경우, 화상 전체 중 일부분인, 600×800 도트의 부분의 화상이 실제로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된다.
"refobj"에서는, 실제로 묘화되는 화상의 원데이터(화상이 표시부(71)에 표시될 때에 처리되는 화상 데이터)의 정보가, 기술된 부분을 참조하고 있어, 도 12에 도시한 예에서는, "objid"가 "201"의 것(데이터)을 묘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참조 목적지의 데이터는 오브젝트 데이터부(133)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blockstyle"에서는, 묘화되는 화상이 저장되는 블록의 정보를 참조하고 있다. 이 "blockstyle"의 실데이터는, 오브젝트 데이터부(133)에 기술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미지(화상)나 텍스트 등은, 전부 이 블록 내에 묘화되고, 페이지 레이아웃은 블록 내에 표시되는 내용에 의존하지 않고, 이 블록에 대하여 행해지게 된다.
블록 정보에는, 블록의 크기나 프레임을 첨부하거나, 또는 첨부하지 않는 등의 정보가 기술된다. 화상을 표시할 때는, 블록의 크기와 화상의 표시 사이즈가 동일해지게 되도록 기술된다.
다음으로, 주로 텍스트로 구성되는 텍스트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스트림 데이터부(132)에 기술되는 텍스트에 관한 데이터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소설과 같이, 문자의 흐름에서(내용으로부터) 페이지의 순서가 정해지는 콘텐츠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Page> 태그로 구획되는 영역에, 장과 같은 큰 단위의 문장의 묶음이 기술된다.
도 13에 도시한 예에서는, <Page> 태그로 구획되는 영역에 <TextBlock> 태그 로 나타나는 텍스트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1행째에 기술되어 있는 "Page objid"나, "Pagestyle"에 대해서는, 상술한 이미지 블록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TextBlock> 태그 내의 "textstyle"로, 묘화하는 텍스트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고 있는 오브젝트가 호출된다. 이 오브젝트에서는, 세로쓰기나 가로쓰기의 설정, 문자의 크기 등이 지정된다.
텍스트 블록의 데이터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텍스트 데이터가 실데이터로서 직접 기술되어 있다. 즉,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이미지 블록의 데이터에서는, 실데이터는 오브젝트 데이터부(133)에 기술되어 있고, 그 참조 목적지의 정보가, 스트림 데이터부(132)에 기술되어 있지만, 텍스트 블록의 데이터의 경우는, 참조 목적지의 정보가 아니라, 실데이터 그 자체가 스트림 데이터부(132)에 기술된다.
여기서, 이와 같이 설정하는 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전자 서적으로서, 특허 명세서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특허 명세서에는, 필요에 따라 도면이 첨부된다. 명세서는 텍스트 데이터로서 취급되도록 하고, 도면은 이미지 데이터로서 취급되도록 한다. 명세서 중에서, 도면에 따라서는 몇번이나 참조되는 도면이 있다. 그에 대하여, 명세서의 문장(텍스트) 중 동일한 문장이 몇번이나 참조되는 것은 없고, 가령 동일한 문장이 존재하고 있다고 해도, 그것은 내용적인 흐름에 따르고 있는 것으로, 앞의 문장을 참조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것을 환언하면, 그림 등의 이미지 데이터는, 몇번이나 이용되는 경우가 있지만, 문장의 텍스트 데이터는 1번만 이용된다. 따라서, 텍스트 데이터의 실 데이터는, 스트림 데이터부(132)의 데이터로서 기술된다. 그리고, 이미지 데이터의 실데이터는, 오브젝트 데이터부(133)에 기술됨으로써, 다른 장면에서 몇번이나 참조되어도 되게 설정된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데이터가 처리됨으로써 표시부(71)에 표시되는 텍스트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3에 도시한 데이터에 기초한 텍스트를, 가상 묘화 영역(152)에 전개한 경우, 그 가상 묘화 영역(152)은, 표시 가능 영역(151)의 4배의 크기에 상당한다. 즉, 사용자측에는 소정의 배율일 때에 4 페이지라고 간주하는 페이지수로서 제공된다. 물론, 확대 등의 처리가 지시된 경우, 그 지시에 기초하여 페이지수는 변화한다.
다음으로, 잡지와 같은 화상이나 텍스트가 혼합된 서적의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스트림 데이터부(132)에 기술되는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잡지와 같이, 문자의 묶음이나, 화상을 의도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페이지가 만들어지는 콘텐츠는, <Page> 태그로 구획된 영역에, 복수의 블록 오브젝트가 묘화되고, 이들이 거리가 <BlockSpace> 태그(예를 들면, 도 15에서 2행째에 기재되어 있는 정보)로 지정됨으로써 실현된다.
도 15에 도시한 데이터 중, 1행째에 기술되어 있는 정보에 대해서는, 상술한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2행째나 8행째의 <BlockSpace>의 정보는, 앞의 블록과 뒤의 블록의 상대 거리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이와 같이, 블록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위치가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소정의 블록에 대하여 확대 등의 처리가 지시되고, 그 블록을 포함하는 페이지 전체의 레 이아웃이 흐트러지는 경우가 발생해도, 블록의 전후 관계는, 반드시 유지할 수 있다. 블록의 전후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콘텐츠를 작성한 작성자가 의도한 순서대로, 사용자에게 열람시키는 것은, 항상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재레이아웃하여 깨끗한 표시를 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데이터가 처리됨으로써 표시부(71)에 표시되는 화상이나 텍스트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에서는, 도면 중 좌우 방향을 X축, 도면 중 상하 방향을 Y축으로 하였지만, 이 축의 설정 자체에도, 후술하는 오브젝트 데이터부(133)의 데이터의 일부로서 기술되어 있어, 그 기술에 따라 설정되기 때문에, 반드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되는 것은 아니다.
텍스트 표시 블록(113)은, 도 15에 도시한 3 내지 7행째의 데이터에 의해 작성된다. 그 위치는 2행째의 <BlockSpace>의 정보에 의해 결정된다. 그 결정된 위치에, 텍스트 데이터로서의 "今日の天氣"라는 문자열이 표시된다.
그 텍스트 표시 블록(113) 하측에, 화상 표시 블록(112)이 표시되지만, 그 표시 위치는 텍스트 표시 블록(113)으로부터의 상대 위치이고, 8행째의 <BlockSpace>의 정보에 기초한 위치이다. 즉, 8행째에는 <BlocckSpace x="20">이라는 기술이 있지만, 텍스트 표시 블록(113)에서 X 방향으로 20만큼(20 도트, 20밀리 등 미리 규정되어 있는 단위만큼) 이동한 위치에, 화상 표시 블록(112)이 표시된다.
그 화상 표시 블록(112)에 표시되는 화상의 실데이터는, 9행째의 <ImageBlock objid="122">라는 정보에 기초하여 취득되는 것이지만, 이 경우 objid 로서 122가 공급되어, 오브젝트 데이터부(133)에 기술되어 있는 데이터이다.
또한, 그 화상의 크기(화상 표시 영역(112)의 사이즈)는, 9, 10행째의 <x0="0" y0="0" x1="300" y1="100" xsize="300" ysize="100">에 의해 규정된다. 그 중, 전반 부분의 <x0="0" y0="0" x1="300" y1="100">의 정보는, 화상 중 어느 부분을 취득할지를 지시하는 정보로, 후반 부분의 <xsize="300" ysize="100">의 정보는, 배율을 나타낸다. 이 경우, 좌표로 나타내면, (0, 0)에서 (300, 100)의 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고, 그 영역을 300×100으로 표시하는, 즉 1배로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에 도시한 데이터 구조에서는, 2개의 블록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1 페이지에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복수의 블록으로 1 페이지가 구성되는 경우도 있어(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우), 그와 같은 경우에는 복수의 블록의 정보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식으로 블록마다 기술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 단위로 처리가 행해지고, 각 블록의 표시 위치는, 앞의 블록으로부터의 상대 위치로 규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앞의 블록으로부터의 상대 위치로 표시 위치가 결정된다고 하는 것은, 각 블록 사이에서, 그 표시 순서가 결정되게 되는 것이다. 즉, 앞의 블록이 표시된 후가 아니면, 그 블록의 표시 위치에서 상대적으로 표시 위치가 구해진 후의 블록이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표시의 순서를 규정하고 있게 된다.
표시의 순서가 규정된다고 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콘텐츠가 제공될 때, 사용자가 콘텐츠를 읽는 순서도 규정되게 된다(통상, 위에서 아래, 좌측으로부터 우측 으로 읽는다는 것을 전제로 하게 된다). 이에 의해, 확대 등의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레이아웃이 변경되게 되는 경우에도, 표시되는 순서에는 변화가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콘텐츠를 읽는 순서에는 변경이 없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가 스트림 데이터부(132)에는 기술된다. 또한 전자 서적에서는, 종이 매체와는 다르기 때문에, 이하와 같은 것이 가능하며, 그와 같은 것을 실현하기 위한 데이터도 데이터 스트림부(132)에는 기술된다. 우선, 종이 매체와는 다르기 때문에 가능해지는 것에 대하여,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이 서적에서는, 모든 페이지가 연속하여 존재한다. 즉, 종이 서적에서는 페이지마다 순차, 연속적인 수가 할당되어 있다. 여기서, 종이 서적에서의 잡지와 그 잡지에 첨부되어 있는 부록과 같은 관계에 대하여 생각한다. 우선, 잡지에 주목하면, 그 잡지 자체에는, 그 잡지의 각 페이지마다 순차, 연속적인 수가 할당되어 있다. 또한, 부록에 주목하면, 그 부록 자체에도, 그 부록의 각 페이지마다 순차, 연속적인 수가 할당되어 있다.
즉, 잡지도, 부록도, 각각 독자적으로 연속적인 페이지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도 17에서는, 잡지를 예로 든 페이지군을 연속 페이지군(171)으로 하고 있고, 부록을 예로 든 페이지군을 독립 페이지군(172-1, 172-2)으로 하고 있다. 종이 서적의 경우, 잡지로부터 부록으로 페이지를 바꿀 때, 잡지와 구별하여 부록을 갖고, 그 부록의 원하는 페이지를, 넘기면서 찾는다고 하는 처리를 행해야 하지만, 전자 서적에서는, 페이지 점프라는 기능에 의해, 연속 페이지군(171)으로부터 독립 페이지군(172) 내의 원하는 페이지로 이동하는 것을, 사용자는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여기서는, 독립 페이지군(172)은 연속 페이지군(171)으로부터 점프 기능에 의해 열람 가능한 페이지군이라고 한다. 또한, 독립 페이지군(172)에 페이지가 점프한 후, 원래의 연속 페이지군(171)의 소정의 페이지로 되돌아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독립 페이지군(172-1)으로부터 독립 페이지군(172-2)(그 반대도 가능)으로 점프하는 것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독립 페이지군(172)의 소정의 페이지만을, 연속 페이지군(171)으로 점프하지 않고 열람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독립 페이지군(172)만을 처음부터 재생시키는 콘텐츠로서 지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연속 페이지군(171)과 독립 페이지군(172) 사이에는, 주종 관계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독립 페이지군(172)은 독립 페이지군(172)만으로 식별되는 것은 아니고, 연속 페이지군(171)과 함께 식별되게 되어 있다. 독립 페이지군(172)은, 연속 페이지군(171)의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연속 페이지군(171)과 분리하여 독립 페이지군(172)을 존재시켜도, 그 독립 페이지군(172)은 의미가 없는 페이지의 묶음으로 해석될 가능성이 있다.
독립 페이지군(172)의 각 페이지(각 블록)에 기재되어 있는 것은, 내용적으로는 관련성이 없고, 각 페이지가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즉, 페이지(내용)가 교체되어도 전체적인 내용의 교체는 없어, 문제는 없다. 즉, 독립 페이지군(172)에 기재되어 있는 기사는 각각 독립된 기사로서, 각각의 기사에 반드시 관련성이나 순서 부여가 있는 것은 아니다.
다른 구체예를 들면, 연속 페이지군(171)은, 예를 들면 소설 그 자체를 내용으로 하고, 독립 페이지군(172)은 그 소설에 등장하는 등장인물의 설명이나, 배경 등의 설명 등을 내용으로 한다. 따라서, 독립 페이지군(172)에 기재되어 있는, 등장인물의 설명은, 각각의 등장인물마다 다른 것으로, 각각의 등장인물마다 독립하여 존재하여도(특정한 등장인물의 설명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해도), 내용적으로는 문제가 없다.
연속 페이지군(171) 내에, 소정의 등장인물이 등장하면, 예를 들면 그 등장인물의 이름을 클릭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 그 이름이 클릭되면, 독립 페이지군(172)의, 그 등장인물의 설명이 기술되어 있는 부분으로 표시가 전환된다.
사용자는, 그 독립 페이지군(172)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을 계속 열람할 수 있다. 그 등장인물 이외의 설명 등도 계속해서 열람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는, 그와 같은 독립 페이지군(172)의 소정의 내용으로부터, 원래의 연속 페이지군(171)의 소정의 페이지로 되돌아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등장인물의 설명만을 통합한 독립 페이지군(172-1)과, 배경의 설명만을 통합한 독립 페이지군(172-2) 등의, 2개의 독립 페이지군(172)이, 1개의 연속 페이지군(171)에 대하여 존재하여도 된다. 그와 같은 경우, 독립 페이지군(171-1)에서 독립 페이지군(171-2)으로 이동하는 것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그 반대로 독립 페이지군(171-2)에서 독립 페이지군(171-1)으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직접, 독립 페이지군(172)만을 열람할 수는 없도록 구성되 어 있다. 사용자는 연속 페이지군(171)을 열람하고 있는 상태가 아니면, 독립 페이지군(172)의 내용을 열람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또한 환언하면, 연속 페이지군(171)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만 독립 페이지군(172)의 콘텐츠 데이터를, 열람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관계를 갖고 있는 경우, 독립 페이지군(172)의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는, 연속 페이지군(171)의 콘텐츠 데이터의 콘텐츠에 대하여,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속 페이지군(171)의 콘텐츠 데이터와 독립 페이지군(172)의 콘텐츠 데이터는 주종 관계에 있기 때문에, 모두 배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독립 페이지군(172)의 콘텐츠 데이터만이 배신되지 않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연속 페이지군(171)의 콘텐츠 데이터와 독립 페이지군(172)의 콘텐츠 데이터는, 출판사(1)측에서 작성하여, 데이터 작성 장치(2)에 제공하도록 해도 되고, 데이터 작성 장치(2)측에서, 출판사(1)측에서 공급된 데이터를 기초로 작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독립 페이지군(172)은, 주된 내용을 표시하는 연속 페이지군(171)으로 나누어서 기술함으로써, 페이지 내부의 기술을 특수하게 하지 않고 실현할 수 있다. 그 데이터의 구조예를 도 18에 도시한다.
1 내지 8행째가 연속 페이지군(171)의 데이터이고, 9 내지 26행째가 독립 페이지군(172)의 데이터이다. 1 내지 8행째에는 연속 페이지군(171)의 데이터가 기술되어 있지만, 그 데이터는 연속 페이지군(171)을 구성하는 페이지를 식별하는 식 별자 <Page objid>가 열기(列記)되어 있다. <Page objid>를 알면, 페이지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속 페이지군(171)의 데이터로서는 이 식별자만이 열기되어 있으면 된다.
10 내지 26행째에는, 독립 페이지군(172)의 데이터가 기술되어 있지만, 그 데이터는, 우선 <Pages objid>라는 정보가 기술되지만, 그 <Pages objid>는, 독립 페이지군(172)을 식별하는 식별자이다. 도 17과 대응하면, 독립 페이지군(172-1)이, 10행째의 <Pages objid="1001">이고, 독립 페이지군(172-2)이 18행째의 <Pages objid="1002">이다.
11 내지 17행째에, 독립 페이지군(172-1)을 구성하는 각 페이지의 식별자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독립 페이지군(172-1)(식별자로서의 Pages objid가 "1001"인 페이지군)은, <Page objid>이, "201", "202", 및 "203"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연속 페이지군(171)과 독립 페이지군(172)을 각각 구성하는 페이지의 정보가 스트림 데이터부(132)에 기술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7)로 연속 페이지군(171)의 소정의 페이지를 열람하고 있을 때에, 독립 페이지군(172)의 소정의 페이지를 열람하고자 하는 경우, 소정의 버튼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그 원하는 페이지를 열람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후 사용자는 그 독립 페이지군(172)의 페이지의 열람을 계속하는 것도 가능하여,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점프하기 전의 원래 연속 페이지군(171)의 페이지로 되돌아가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도, 스트림 데이터부(132)에는 기술된다.
다음으로, 오브젝트 데이터부(133)(도 7)에 기술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오브젝트 데이터부(133)에는, 스트림 데이터부(132)에 기술되어 있는 데이터를 참조하는 데이터가 기술된다. 그 데이터로서는, 우선 전자 서적으로서의 콘텐츠를 장식하기 위한 스타일 정보가 있다. 그리고, 이미지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등의 실데이터가 있고, 이들 데이터는 스트림 데이터부(132)에는 직접적으로 기술되지 않는 내용이다.
또한, 오브젝트 데이터부(133)에는, 윈도우 정보나, 버튼 정보 등, 전자 서적 이외의 표현에 대한 데이터도 기술된다. 윈도우 정보는, 예를 들면 표시부(71)에 표시되어 있는 문장 중 어려운 단어 등의 의미를, 윈도우로서, 그 문장 상에 표시할 때 등에 이용되는 정보이다. 버튼 정보는, 예를 들면 표시부(71) 상에 버튼을 표시시키고, 그 버튼에 대하여 클릭 등의 소정의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할 때 등에 이용되는 정보이다.
표시부(71)에 표시되는 버튼의 예로서는, 후술하는 스크랩 북 내에서 스크랩된 기사가 화상으로서 설정되어 보존되었을 때에, 그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버튼이 있다.
오브젝트 데이터부(133)에 기술되는 데이터는, 전자 서적으로서의 콘텐츠를 장식하기 위한 정보가 기술되는 것이지만, 그 데이터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면PageStyle, BlockStyle, TextStyle 등의 정보가 있다. 이들 정보(데이터)는, 각각이 식별자로서 갖는 "stylelabel"에 의해 호출되기 때문에, 동일한 "stylelabel"을 호출되어 있는 오브젝트는, 스타일 정보가 변함으로써 일괄하여 변경된다.
도 12에 도시한 이미지 블록의 데이터의 1행째나, 도 13에 도시한 텍스트 블록의 데이터의 1행째 등에는, 그 블록의 식별자인 "Page objid"와 함께, 그 블록을 어떻게 표시부(71)에 표시시킬지를 규정하기 위한 "Pagestyle"이 기술되어 있다. 이 "Pagestyle" 부분에서 기술되는 정보로 참조되는 데이터가, 오브젝트 데이터부(133)에 기술되어 있다.
그 "Pagestyle"로 참조되는 정보(스타일 정보)에 대하여, 우선 설명한다. 도 19는, 오브젝트 데이터부(133)에 기술되는 스타일 정보의 데이터 구조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PageStyle은, PageStyle 태그에 의해 기술된다.
1행째의 "objid" 속성으로, "PageStyle"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기술되고, 동일하게 "stylelabel"에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름을 바꾸는 라벨을 기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이 경우 주로 편집자가 되는데, 그 편집자가, 오브젝트에 이름을 임의로 부여되도록 해둠으로써, 예를 들면 편집 중인 전자 서적에, 이 스타일의 오브젝트를 이용하는 것은 물론이지만, 후의 시점에서, 다른 전자 서적에, 이 스타일의 오브젝트를 적용할 때, 이 스타일의 오브젝트를 자신이 부여한 이름(라벨)으로 식별할 수 있어, 용이하게 원하는 오브젝트를 찾아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9에 도시한 "stylelabel"은, "Honbun"으로 되어 있지만, 도 12 또는 도 13을 참조하여, 도 12나 도 13에 도시한 데이터의 1행째의 "Pagestyle"에는, "Honbun"으로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이미지 블록이 묘화될 때, "Pagestyle"로서, 도 19의 데이터가, 오브젝트 데이터부(133)로부터 판독되게 된다(참조된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텍스트 블록이 묘화될 때도, 도 19의 데이터가 참조된다. 이와 같이, 1개의 "Pagestyle"의 데이터는, 복수의 데이터로부터 참조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데이터로부터 참조되는 데이터가 공용되도록 함으로써, 전자 서적 전체의 콘텐츠 데이터 자체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Pagestyle"의 정보를 재기입하는 것만으로, 복수의 블록에 관련된 표시를 일괄하여 재기입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편집 등의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9에 도시한 "Pagestyle"의 데이터 구조에 대하여 설명을 계속하기 위해, 2 내지 5행째의 "evenfooterid", "evenheaderid", "oddfooterid", "oddheaderid"에서는, 양면을 펼친 상태의 표시를 고려하여, 짝수 페이지, 홀수 페이지로 이용되는 헤더 및 풋터의 오브젝트의 objid가 기술된다. 또, 도 19의 설명에서의 페이지는, 표시 가능 영역(151)(도 10)으로, 표시부(71)의 사이즈를 1 페이지로 한 경우이다.
여기서, 양면을 펼친 상태의 표시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7)와 같이 1면만의 표시부(71)를 갖는 것이 아니라, 2면의 표시부(71)를 갖는 장치에서의 표시나, 의사적으로 2면 구성으로 표시될 때의 표시이다.
6행째의 "pageposition"에서는, 양면을 펼친 상태의 표시 시에, 그 페이지가 어느 쪽 측에 표시되는지(어느 위치에 표시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가 기술된다. 이 지시에 의해서, 문자의 확대가 지시되어, 결과적으로 확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레이아웃이 흐트러졌을 때에도, 의도한 페이지 디자인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7행째의 "setemptyview"에서는, 문자의 확대 등의 처리에 의해 소정의 페이지 후에 표시하여야 할 페이지와의 사이에, 공백의 페이지의 묘화가 필요해졌을 때, 그 공백의 페이지에 헤더나 풋터를 묘화할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가 기술된다. 예를 들면, show가 지정된 경우, 헤더나 풋터가 묘화되고, empty가 지정된 경우, 헤더나 footer가 없는 완전히 공백인 페이지가 표시된다.
8 내지 16행째의 각 행에서의, "topmargin", "headheight", "headsep", "oddsidemargin", "evensidemargin", "textheight", "textwidth", "footspace", "footheight"의 각 정보에 따라서, 페이지 내의 레이아웃(마진 등의 여백 등)이 결정된다. 또한, 17행째의 "layout"의 지정에 의해, 페이지 내의 좌표계를 세로쓰기용 좌표계로 할지, 가로쓰기용 좌표계로 할지가 지정된다.
다음으로, 도 20을 참조하여, 오브젝트 데이터부(133)에 기술되는 데이터 중, Textstyle에 관한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에 도시한 Textstyle의 데이터는,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데이터 내의 2행째의 기술에 기초하여 판독되는(참조되는) 데이터이다. 도 13에 도시한 데이터 내의 2행째에는, <Textstyle="tategaki">라는 기술이 있지만, 이 "tategaki"(세로쓰기)라는 라벨에 의해 식별되는 데이터가, 오브젝트 데이터부(133)로부터 판독되고, 그 경우 그 판독되는 데이터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은 데이터이다.
"TextStyle"은, TextStyle 태그에 의해 기술된다. 1행째의 "objid" 속성에 "TextStyle"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기술되고, 동일하게 "stylelabel"에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름을 바꾸는 라벨을 기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2행째의 "fontsize"로, 묘화되는 문자의 크기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가 기술된다.
3행째와 4행째의 "fontescapement"와 "fontorientation에는, 묘화되는 문자를, 어떻게 회전시키고, 어떤 방향으로 진행시킬지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가 기술된다. 이들 정보는, 텍스트에서, 그 텍스트가, 세로쓰기인지 가로쓰기인지에 의존하는 정보이다. 5행째의 "fontfacename"에는, 묘화되는 문자의 폰트페이스명의 정보가 기술된다.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한 예에서는 폰트페이스명으로서 "명조"가 지시되어 있다.
6행째의 "textcolor"에는, 묘화되는 문자의 색을 지정하기 위한 정보가 기술된다. 이 정보에 의해, 사용자는, 원하는 색으로 문자를 묘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7 내지 9행째의 "wordspace", "letterspace", "charspace"에는, 각각 영어 단어 간의 공간 거리, 영자(알파벳) 간의 공간 거리, 일본어 문자 간의 공간 거리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가 기술된다.
10행째의 "baselineskip"에는, 행 간격을 지정하기 위한 정보가 기술되고, 11행째의 "linespace"에는, 최저한 보증해야 할 행과 행의 공간을 지정하기 위한 정보가 기술된다. 이 "linespace"의 정보에 의해, 레이아웃이 흐트러져도 최저한 보증되는 간극이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깨끗하게 재묘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21을 참조하여, 오브젝트 데이터부(133)에 기술되는 데이터 중, BlockStyle에 관한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에 도시한 BlockStyle의 데 이터는,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데이터 내의 2행째에 기술에 기초하여 판독되는(참조되는) 데이터이다. 도 13에 도시한 데이터 내의 2행째에는, <Blockstyle="textblock"&gt;라는 기술이 있지만, 이 "textblock"이라는 라벨에 의해 식별되는 데이터가, 오브젝트 데이터부(133)로부터 판독되고, 이 경우 그 판독되는 데이터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데이터이다.
"BlockStyle"은, "BlockStyle" 태그에 의해 기술된다. 1행째의 "objid" 속성으로, "BlockStyle"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기술되고, 동일하게 "stylelabel"에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름을 바꾸는 라벨을 기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2행째의 "blockheight"에는, 묘화용으로 확보하는 블록의 높이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가 기술된다.
여기서, 도 21에 도시한 데이터 내에는, "blockheight"에 의해 블록의 높이는 지정되어 있지만, 블록의 옆폭은 지정되어 있지 않다. 묘화되는 블록의 옆폭은 "blockwidth"에 의해 지정된다. 도 21에 도시한 데이터는, 블록 내부에 세로쓰기의 텍스트가 기술되는 경우(도 13에 도시한 텍스트 블록에 의해 판독되는 데이터인 경우)이고, 그러한 경우에는, 그 문자수나 그 문자의 크기에 의해서 옆폭이 변화하기 때문에, 블록의 옆폭을 "blockwidth"로 지정하는 의미가 없고, 또한 지정할 수 없기 때문에, 도 21에 도시한 데이터 내에는 블록의 옆폭을 지정하는 정보는 기술되어 있지 않다.
3행째의 "blockrule"에는, 그 블록을 어떻게 묘화할지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가 기술된다. 이 "blockrule"은, 주로 확대가 지시되었을 때의 확대 방법에 관한 정보로, 도 21에 도시한 예에서는, "vert-fixed"가 지정되어 있다. 이 "vert-fixed"는, 확대가 지시되었을 때에, 블록의 세로 방향의 사이즈는 고정하고, 가로 방향의 사이즈만을 확대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룰로서는,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을 동일한 비율로 확대하는 등의 룰이 설정되어 있고, 블록 내에 표시되는 내용(화상, 텍스트)에 맞춘 룰이 설정된다.
4행째의 "layout"에는, 블록 내부의 좌표계 및 조 방향을 지정하기 위한 정보가 기술된다. 도 21에 도시한 예에서는, "TbR1"이 지정되어 있다. 이 "TbR1"은, 텍스트 블록의 우측 위를 원점으로 하여, 텍스트를 세로쓰기로 묘화하는 것을 지시할 때에 이용된다. "LrTb"는, 텍스트 블록의 좌측 위를 원점으로 하여, 텍스트를 가로쓰기로 묘화하는 것을 지시할 때에 이용된다.
5 내지 7행째의 "topskip", "sidemargin", "footskip"에는, 블록 내에서의 레이아웃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가 기술된다.
이러한 데이터가, 오브젝트 데이터부(133)에는 기술된다. 또,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데이터는 일례로서, 한정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즉, 상술한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가 데이터로서 기술되는 경우도 있고(예를 들면, 도시는 하지 않지만, 화상의 실데이터 등), 상술한 데이터라도, 그 데이터 내에, 적용되는 콘텐츠에는 필요가 없는 데이터이면, 삭제(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데이터의 변경이 용이한 것은, 즉 데이터의 편집, 변경이 용이한 것은, 스트림 데이터부(132)와 오브젝트 데이터부(133)를 분리하였기 때문이다. 스트림 데이터부(132)와 오브젝트 데이터부(133)를 분리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이점 이 있다.
통상, 서적의 원고는 페이지 레이아웃에 의존하지 않고 작성된다. 이 저작자(작성자)가 작성하는 원고를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페이지 레이아웃에 의존하는 부분과 문장의 부분을 확실하게 분리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포맷(즉, 상술한 데이터)은, 문장 부분(스트림 데이터부(132))과 레이아웃 부분(오브젝트 데이터부(133))을 분리하고 있다.
또한, 스트림 데이터부(132)에는, 문장의 흐름을 분단하지 않고 기술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디지털 입고(入稿) 형식으로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의 포맷으로 원고를 작성하면, 전자 서적의 콘텐츠를 작성할 때에 행해지는, 데이터의 컨버트를 할 필요가 없고, 또한 통상의 원고 데이터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XML 컨버터부(21)(도 2)는, 출판사(1)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데이터 구조로, 도 8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로 컨버트한다. 이와 같이 변환된 데이터는, 이 경우 XML 형식의 데이터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7)에 제공하기 위한 2치 데이터(2치 파일)로 하기 위한 처리가, 데이터 컨버터부(22)(도 2)에서 행해진다.
다음으로, 데이터 컨버터부(22)에서 행해지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데이터 컨버터부(22)에 의해 컨버트된 결과, 생성되는 파일(즉, 사용자 단말기(7)에 배포되는 데이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컨버터부(22)에 의해 컨버트된 데이터는, 2치 파일로 되어, 모든 콘텐 츠 정보가 오브젝트로서 관리되는 구성으로 변환된다. 오브젝트로서 관리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로의 액세스를 고속으로 행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압축이나 암호를 오브젝트마다 걸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데이터의 이용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데이터로의 액세스를 고속으로 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데이터의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대기 시간으로서 인식하지 않아,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마다 압축이나 암호를 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예를 들면 콘텐츠 데이터 전체에 암호를 걸지 않아도, 일부 오브젝트에만 암호를 걸어두면, 결과적으로 콘텐츠 데이터 전체에 암호를 걸었을 때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세는 이하에 설명하지만, 오브젝트끼리는 참조하는 관계에 있다. 그 참조하는 한쪽의 오브젝트에 암호를 걸어두면, 다른 쪽은 암호가 걸리지 않아도, 결과적으로 암호가 걸려 있는 오브젝트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재생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암호는 콘텐츠 데이터 전체에 걸 필요가 없고, 최소한으로 걸어 두면 되기 때문에, 암호화나 복호에 걸리는 시간을 적게 할 수 있고, 그 때문에 이러한 능력 등도 낮게 해결되기 때문에, 다른 처리에 남은 능력을 할당할 수 있다.
배포되는 데이터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포되는 데이터 그 자체에 대한 정보가 기술되는 헤더 정보부(181), 콘텐츠의 내용을 나타내는 오브젝트 정보부(182), 및 오브젝트의 위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테이블 정보부(183)의 3개에 부 분으로 구성된다.
헤더 정보부(181)에는, 파일 포맷의 정보, 암호화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콘텐츠가 표시된다고 상정되는 스크린(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7)의 표시부(71)(도 4))의 사이즈 등의 정보가 기술된다. 스크린의 사이즈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7) 이외의 단말기 등이어도, 적절하게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서 기술되는 정보이다.
헤더 정보부(181)에 포함되는 또는 다른 부분으로 구성되도록 해도 되지만, 적절하게는, 문헌 정보 등도 기술된다. 문헌 정보는, 도 7에 도시한 서지 정보부(131)에 기술되어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고, 콘텐츠의 타이틀 등의 정보나, 썸네일 화상의 데이터 등으로 구성되는 정보이다.
오브젝트 정보부(182)에는, 콘텐츠의 내용을 표시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오브젝트라는 단위로 취급하여, 이들 오브젝트의 정보가 기술된다. 그리고, 오브젝트 테이블 정보부(183)에는, 각 오브젝트에 액세스하는 데 필요한 정보가 기술된다.
또, 오브젝트 정보부(182) 직전이나, 오브젝트 테이블 정보부(183) 직전에는, 문서를 성형하기 위해서 등의 이유로, 어떤 데이터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성형을 위한 데이터가 삽입되는 것도 필요에 따라 허가된다.
오브젝트 테이블부(183)에는, 오브젝트 번호, 오브젝트 데이터의 개시 어드레스, 오브젝트 데이터의 사이즈가 세트로 되어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오브젝트가 취득되는 경우, 이 오브젝트 테이블부(183)에 기술된 번호가 검색되고, 그 개시 어드레스가 취득되어, 오브젝트의 판독에 필요한 메모리 영역(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7)의 RAM(103)(도 5)의 영역)이 확보된다.
각 오브젝트는, 각각의 오브젝트의 타입에 의해서, 오브젝트 내부의 기술 방법이 서로 다르다. 오브젝트의 타입으로서,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PageTree"는, 페이지 순서를 트리 구조로 표현(관리)하기 위한 오브젝트이다. "Page"는, 페이지 내용이 기술되는 오브젝트이다. "Header"는, 페이지의 헤더부의 내용이 기술되는 오브젝트이다. "Footer"는, 페이지의 풋터의 내용이 기술되는 오브젝트이다. "PageAtr"(Page 속성)은, Page 오브젝트의 속성이 기술되는 오브젝트이다.
"Block"은 페이지 내에 배치되는 블록(텍스트나 화상 등)의 내용이 기술되는 오브젝트이다. "BlockAtr"(Block 속성)은 Block 오브젝트의 속성이 기술되는 오브젝트이다. "MiniPage"는 페이지 내에 의해 레이아웃 정보의 강한 영역을 지정함과 함께, 그 영역 내의 내용이 기술되는 오브젝트이다.
"BlockList"는 블록을 리스트화할 때에 기술되는 오브젝트이다. "Text"는 블록 내에 텍스트를 표시할 때에, 그 내용이 기술되는 오브젝트이다. "TextAtr"(Text 속성)은, "Text"의 오브젝트의 속성이 기술되는 오브젝트이다. "Image"는, 블록 내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오브젝트이다. "Canvas"는, 페이지 내에 레이아웃을 보유하는 영역을 지정함과 함께, 그 영역 내의 내용이 기술되는 오브젝트이다.
"ParagraphAtr"(단락 속성)은, 단락 내용의 속성이 기술되는 오브젝트이다. "ImageStream"(Image 데이터)은 화상 데이터가 기술되는 오브젝트이다. "Button"은, 버튼의 정보가 기술되는 오브젝트이다. "Window"는, Window(윈도우)로서 표시시키는 내용이 기술되는 오브젝트이다. "PopUpWin"은, 팝업 윈도우로 표시하는 내용이 기술되는 오브젝트이다.
"Sound"는 음성 파일을 울릴 때의 정보가 기술되는 오브젝트이다. "SoundStream"(Sound 데이터)은 음성 파일 정보가 기술되는 오브젝트이다. "Font"는, 폰트 정보가 기술되는 오브젝트이다. "ObjectInfo"(0bject 정보)는, 호출원의 오브젝트의 부속 정보가 기술되는 오브젝트이다. "BookAtr"(서적 정보)는, 서적의 초기 설정을 행하는 오브젝트이다. "TOC"(목차 정보)는, Table of Contents가 기술되는 오브젝트이다.
이러한 타입의 서로 다른 오브젝트가 서로 참조되어, 전자 서적의 콘텐츠가 표현된다. 데이터 컨버터부(22)(도 2)는 공급된 XML 형식의 데이터를, 이러한 내용이 기술된 오브젝트로 변환하는 것이지만, 도 25을 참조하여, 구체예를 들어, XML 형식의 데이터(이하, 적절하게, 그 XML 형식의 데이터를 구성하는 요소를 XML 요소로 기술함)와 오브젝트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의 좌측을 참조하여, 데이터 컨버터부(22)에 공급되는 XML 형식의 데이터는, 서지 정보부(131), 스트림 데이터부(132), 및 오브젝트 데이터부(133)로 구성되는 데이터이다. 이 구성 및 각 부에 기술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도 24에 도시한 예에서, 서지 정보부(131)에는, "제목" XML 요소(191)와 "저자명" XML 요소(192)가 기술되어 있다. 이들 데이터는, 데이터 컨버터부(22)에 의해 헤더 정보부(181)에 기술된다. 헤더 정보부(181)에는, 데이터 컨버터부(22)에 의해 작성된 설정 정보 역시, 필요에 따라 기입된다.
도 24에 도시한 예에서는, 스트림 데이터부(132)에는, "제1장 본문" XML 요소(193)와 "후기" XML 요소(194)가 기술되어 있다. 우선 "제1장 본문" XML 요소 (193)는, 데이터 컨버트부(22)에서, Page 오브젝트(201-1), Text 오브젝트(202-1), 및 Block 오브젝트(203-1)로 변환된다. 마찬가지로, "후기" XML 요소(194)는, 데이터 컨버트부(22)에서, Page 오브젝트(201-2), Text 오브젝트(202-2), 및 Block 오브젝트(203-2)로 변환된다.
"제1장 본문" XML 요소(193)와 "후기" XML 요소(194)는, 모두 내용이 텍스트로 표시되기 때문에, Text 오브젝트(202-1, 202-2)로 변환된다. 또한, 이 Text 오브젝트(202-1, 202-2)는, 블록 내에 텍스트를 표시할 때에 기술되는 오브젝트이지만, 그 텍스트가 표시되는 블록에 관한 정보는, 각각 Block 오브젝트(203-1, 203-2)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이 Block 오브젝트(203-1, 203-2)에 기초한 블록이 형성되는 소정의 페이지 내에서의 위치 등에 관한 정보가, Page 오브젝트(201-1, 201-2)에 기술된다.
이와 같이, 1개의 XML 요소는 복수의 오브젝트로 변환된다.
또한 설명을 계속하여, 데이터 컨버터부(22)에 공급되는 데이터 중, 오브젝트 데이터부(133)에 기술되어 있는 "삽화 화상 데이터" XML 요소(195)는, Block 오브젝트(203-3)와 Image 오브젝트(204)로 변환된다. 이 경우, "삽화 화상 데이터" XML 요소(195)는, 화상 데이터를 참조하기 위한 데이터이기 때문에, Image 오브젝트(204)로 변환된다.
"삽입 화상 데이터" XML 요소(195)는, 화상 데이터 그 자체가 아니라,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참조하기 위한 데이터이고, 그 화상 데이터 그 자체는, "화상 데이터" XML 요소(196)로서 오브젝트 데이터부(133)에 기술되어 있다. 이 "화상 데이터" XML 요소(196)는, 데이터 컨버터부(22)에 의해 Image 데이터 오브젝트(205)로 변환된다. 이 경우, Image 데이터 오브젝트(205)에 기초한 화상은, Image 오브젝트(204)에 기술되어 있는 내용에 따라서 블록 내에 표시됨과 함께, Block 오브젝트(203-3)에 기술되어 있는 내용에 따라서 소정의 페이지 내에 표시된다.
데이터 컨버터부(22)에 공급되는 XML 형식의 데이터의 오브젝트 데이터부(133)에는, 도 24에 도시한 예에서는, "PageStyle" XML 요소(197), "TextStyle" XML 요소(198), 및 "BlockStyle" XML 요소(199)가 포함된다. 이들 XML 요소는, 데이터 컨버터부(22)에 의해, 각각 Page 속성 오브젝트(206), Text 속성 오브젝트(207), 및 Block 속성 오브젝트(208)로 변환된다. 이들 오브젝트는, 각각 Page 오브젝트(201), Text 오브젝트(202), 및 Block 오브젝트(203)로부터 참조되는 오브젝트로, 각각의 속성이 기술되어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컨버터부(22)는, 입력되는 XML 형식의 데이터를 해석하여, 소정의 변환 룰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로 변환한다. 소정의 룰이란, 예를 들면 "제1장 본문" XML 요소(193)라는 텍스트에 관한 XML 요소의 경우, Page 오브젝트, Text 오브젝트 및 Block 오브젝트 등의 3개의 오브젝트로 변환하는 룰이 다.
데이터 컨버터부(22)는, XML 형식의 데이터를 오브젝트로 변환할 때, 그 오브젝트(2치 데이터)를 어떤 영역에 저장하는지도 판단한다. 또한, 이 변환 시에, 데이터 컨버터부(22)는, 각 오브젝트를 오브젝트 번호(오브젝트 ID)(예를 들면, 도 24에서, Page 오브젝트(201-1)의 오브젝트 ID는 "100"이다)라고 불리우는 식별용 번호로 관리하고, 그 오브젝트 ID, 그 오브젝트 ID에서 관리되는 오브젝트가 저장되어 있는 영역의 어드레스, 및 그 오브젝트 ID에서 관리되는 오브젝트의 사이즈를, 각각 관련시킨 오브젝트 배치 순서 정보(212)를 작성한다.
그리고, 데이터 컨버터부(22)는, 작성한 오브젝트 배치 순서 정보(212)를 오브젝트 테이블부(183)에 기술한다.
오브젝트 정보부(182)에 오브젝트가 저장될 때, 그 저장되는 영역은, 근접한 영역에 동일한 종류의 오브젝트가 저장되도록 데이터 컨버트부(22)에 의해 제어된다(이와 같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4를 참조하여,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Page 오브젝트(201-1)와 Page 오브젝트(201-2)는, Page 오브젝트라는 동일한 종류의 오브젝트이기 때문에, 오브젝트 정보부(182)의 도면 상하측의 근접한 영역에 저장되도록 제어되어 있다.
데이터 컨버터부(22)에서, 이러한 변환 및 제어가 행해짐으로써,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2치 형식의 데이터가 작성된다. 그 작성된 2치 형식의 데이터가 사용자측에 배포되는 데이터로 된다.
오브젝트에 대하여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을 추가한다. 도 25에, 이들 오 브젝트가 이용되어 페이지(전자 서적)를 구성하는 경우의 모식도를 도시한다. 도 25에서, 1개의 사각형은 1개의 오브젝트를 나타낸다.
PageTree 오브젝트(221)는, 전자 서적으로서의 책의 페이지 구조가 기술되어 있는 오브젝트이다. 그 PageTree 오브젝트(221)에 의해 나타내는 페이지 구성은, 도 25에 도시한 예에서는, Page 오브젝트(222 내지 225)로부터 책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Page 오브젝트(222 내지 225)는, 실제로 표시부(71)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지면(레이아웃)이, 어떻게 구성될지 등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Page 오브젝트(222)는 Page 속성 오브젝트(226)를 참조하고, Page 오브젝트(223 내지 225)는 Page 속성 오브젝트(227)를 참조한다. Page 속성 오브젝트(226, 227)에는, 각각 페이지의 마진, 헤더, 풋터 등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PageStyle의 정보가 이 Page 속성 오브젝트에는 기술되어 있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Page 속성 오브젝트는, 복수의 Page 오브젝트로부터 참조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공통으로 참조할 수 있는 정보는 공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어, 콘텐츠 데이터 전체의 데이터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편집 등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Page 오브젝트(225)는 Block 오브젝트(228) 및 Block 오브젝트(229)를 참조한다. Block 오브젝트(228, 229)에는 페이지의 본문 영역 등에 배치되어, 내부에 묘화하는 텍스트나 이미지 등의 영역을 확보함과 함께, 문자의 확대를 했을 때의 동작을 규정하기 위한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이 Block 오브젝트(228, 229)는 모두 Block 속성 오브젝트(230)를 참조한다. Block 속성 오브젝트(230)는 블록의 사이즈나, 확대가 지시되었을 때의 성형 방법 등이 기술되어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BlockStyle의 정보가 이 Block 속성 오브젝트에는 기술되어 있다.
Block 오브젝트에는 페이지 내에 배치되는 텍스트나 이미지 등에 관한 정보가 기술되어 있지만, 도 25에 도시한 Block 오브젝트(228)는, 페이지 내에 텍스트를 표시시키기 위한 정보이기 때문에, Text 오브젝트(231)를 참조하고 있다. Text 오브젝트(231)에는, 블록 내에 텍스트를 기술하기 위한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Text 오브젝트(231)는, Text 속성 오브젝트(232)를 참조하고 있다. Text 속성 오브젝트(232)에는, 이 경우 Text 오브젝트(231)의 속성이 기술되어 있고, 폰트 정보나 행간 등의 초기값의 정보 등이 기술되어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TextStyle의 정보가 이 Text 속성 오브젝트에는 기술되어 있다.
한편, 도 25에 도시한 Block 오브젝트(229)는, 페이지에 내에 화상(이미지)을 표시시키기 위한 정보이기 때문에, Image 오브젝트(233)를 참조하고 있다. Image 오브젝트(233)에는, 블록 내에 화상을 기술하기 위한 정보(위치나 사이즈 등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도 25에 도시한 예에서는, 페이지 상에 화상이 묘화되는 경우, Block 오브젝트(229)가 작성되고, 그 Block 오브젝트(229)가 Image 오브젝트(233)를 호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실제 화상 데이터는 Image 데이터(234)가 참조됨으로 써 취득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를 오브젝트화함으로써, 각 오브젝트의 참조 관계가 명확해짐과 함께, 포맷의 확장도 쉽게 행해진다. 포맷의 확장을 행하기 쉽다는 것을 구체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25에 도시한 예에서, Image 오브젝트(233)를 Movie 오브젝트(동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오브젝트)로 변경하여, 동화상을 취급할 수 있도록 해도, 페이지 레이아웃을 기술하는 Page 오브젝트(225)를 변경할 필요는 없다.
즉, 간단히, 정지 화상(Image)을 동화상(Movie)으로 변경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정지 화상으로 치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소정의 콘텐츠를 표현하는 요소가, 모두 오브젝트로서 관리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콘텐츠의 오브젝트를 사용하여 책을 표현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소정의 콘텐츠(책)를 표현하기 위해 작성된 데이터를, 다른 콘텐츠(책)를 동일하게 표현시키기 위한 데이터로서 유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것을 이용하여, 필요한 오브젝트만을 추출하는 것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것에 대하여,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을 추가한다. 여기까지의 설명은, 데이터 작성 장치(2)에서의 처리이지만, 여기서, 데이터 작성 장치(2)에 의해 작성된 데이터를 취급하는 사용자 단말기(7)측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 처리 중 하나로서, 스크랩 북의 작성이라는 처리가 있다.
이 스크랩 북의 작성 처리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를 오브젝트로서 취급하는 것에 따른 이점에 대하여 설명을 더 추가한다.
여기서, 스크랩 북은, 사용자가 소정의 서적 내의 마음에 드는 문장이나 화 상 등을 남겨두기 위한 책이다. 예를 들면, 종이 매체의 신문의 경우, 사용자가 그 신문에서 마음에 드는 기사를 추출하여, 노트 등에 첨부하여 관리할 때, 그 노트를 여기서는 스크랩 북이라고 칭하고, 그 스크랩 북을 전자 서적의 하나로서 작성할 수 있는 기능을 스크랩 북 기능이라고 칭한다.
작성된 스크랩 북은, 다른 전자 서적과 같이 취급할 수 있다. 그 스크랩 북의 작성에 관련된 사용자측의 기본적인 조작으로서는, 보존해두고 싶은 부분(스크랩으로 하고 싶은 부분)을 선택하고, 선택 완료 후에 그 부분을 스크랩 북에 추가(보존)시킨다.
도 26과 도 27을 참조하여, 스크랩 북에 대하여 설명을 더 추가한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자 서적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7)로 열람하고 있을 때, 그 전자 서적 내의 Image 데이터 오브젝트(234)를 처리함으로써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스크랩하기 위한 소정의 처리(후술)을 행한다.
소정의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도 26에 도시한 데이터가 복사된다(도 25에 도시한 트리 구조의 데이터의 내의 일부분의 브랜치가 절취된다). 그리고, 그 절취된 브랜치의 부분이 추가된 스크랩 북의 일례를 도 27에 도시한다. 도 27에 도시한 스크랩 북(250)은 PageTree 오브젝트(251)로 기술되는 전자 서적이다.
스크랩 북(250)은, Page 오브젝트(252 내지 254)로 구성된다. 스크랩되는 기사(스크랩된 브랜치)가 증가하면, 스크랩 북 자체의 페이지수도 증가하기 때문에, Page 오브젝트도, 그 페이지의 증가에 대응하여 작성된다. 도 27에 도시한 예에서는, Page 오브젝트(252 내지 254)는, 모두 Page 속성 오브젝트(255)를 참조하 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스크랩 북(250)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책은, 각 페이지가 통일된 스타일이 되어, 보기 편해진다. 스크랩 북(250)은 여러가지 책으로부터 클립핑된 텍스트나 화상 등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클립핑 그대로의 상태가 유지되어 첨부되면, 예를 들면 세로쓰기의 텍스트의 다음으로, 가로쓰기의 텍스트가 레이아웃되는 등으로 될 가능성이 있다.
그와 같은 페이지는, 통일성이 없는 페이지가 되어, 사용자가 보기 불편해질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페이지마다의 스타일에 통일성을 갖게 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Page 오브젝트가, 동일한 Page 속성 오브젝트를 참조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그와 같은 것을 실현한다.
도 27에 도시한 예에서는, Page 오브젝트(254)가, 스크랩 북(250) 내에서의 최후 페이지로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그 최후 페이지인 Page 오브젝트(254)에 대하여, 도 26에 도시한 절취된 브랜치(데이터)가 첨부된다. 이것에 의해, 첨부된 브랜치는, Page 오브젝트(255)로 참조되는 데이터가 된다.
본 발명을 적용하지 않은 전자 서적에서의, 스크랩 북과 같은, 필요한 부분을 추출하는 방법은, 추출한 텍스트 데이터를 스크랩북용 형식으로 추출하게 된다. 그러나, 본 포맷은,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든 데이터가 오브젝트화되어 있기 때문에, 포맷 형식을 바꾸지 않고, 스크랩한 부분을 추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의 붙여넣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스크랩 북 작성에 대하여, 설명을 더 추가한다. 우선, 도 28의 흐름도를 참 조하여, 사용자가 행하는 스크랩으로 하는 부분의 선택에 관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11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7)의 표시부(71)에, 원하는 콘텐츠(본문)를 표시시킨다. 그리고, 그 표시되어 있는 본문 중에, 스크랩하고자 하는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소정의 조작을 행하여, 메뉴 화면을 표시부(71)에 표시시킨다(단계 S12).
소정의 조작은, 예를 들면 입력부(106)(도 5)를 구성하는 죠그다이얼(79)(도 4) 등이 조작됨으로써 행해진다. 사용자는 표시된 메뉴 내에서, 스크랩의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문자 클립」이라는 항목을 선택한다. 또, 표시되는 메뉴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지만, 그 메뉴 내의 항목에는, 어떠한 항목이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단계 S13에서, 스크랩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문자 클립」이라는 항목이 선택되면, 단계 S14에서, 선두 프레임이 지정된다. 도 29는 표시부(71)에 표시되어 있는 본문 상에, 선두 프레임(270)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선두 프레임(270)은 스크랩으로 하는 부분의 선두의 문자(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범위를 나타내는 프레임이다.
이 선두 프레임(270)은, Page 오브젝트로 규정되는 페이지 내(가상 페이지 내)만을 이동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재차 페이지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하면, 페이지는 Page 오브젝트로 규정되어 있고, 그 Page 오브젝트로 규정되는 페이지는, 예를 들면 1 페이지라도, 실제의 페이지(가령 종이 서적으로 했을 때의 페이지, 또는 표시부(71)에 소정의 배율일 때에 한번에 표시되는 범위를 1 페이지 로 했을 때의 페이지) 수에서는, 100 페이지에 상당할 수 있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Page 오브젝트로 규정되어 있는 페이지는, 가상 묘화 영역(152)(도 10) 내에 묘화되는 것이 1 페이지로 설정된다. 따라서, 표시부(71)에 한번에 표시되는 것(표시 가능 영역(151)에 묘화되는 것)을 1 페이지로 파악한 경우, 수 페이지에 걸쳐서 표시되는 것이어도, 1개의 Page 오브젝트로 규정되어 있는 페이지 내이면, 1 페이지로서 취급된다.
따라서, 선두 프레임(270)은 표시 가능 영역(151)과 가상 묘화 영역(152)이 일치하고 있는 경우(도 10의 상측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우)에는, 표시부(71) 내에 표시되어 있는 본문 이외의 부분으로 이동하지 않았지만, 표시 가능 영역(151)과 가상 묘화 영역(152)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도 10의 하측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우)에는, 사용자측에서 보면, 복수 페이지에 걸쳐 선두 프레임(270)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고 파악되는 이동이 될 때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선두 프레임(270)은 Page 오브젝트로 규정되는 페이지 밖으로 이동되지 않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를 오브젝트화하여 취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1개의 Page 오브젝트에 대하여 처리가 되는 것이며, 복수의 Page 오브젝트에 대하여 행해지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즉 복수의 Page 오브젝트에 대하여 처리(스크랩에 관련된 처리)가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면 복수의 Page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1권분의 데이터 전부가, 1회의 스크랩의 처리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 다. 즉,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위법 복사를 방지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크랩이 지시된 부분은, 저작권 등의 관계로, 복사가 허가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1권의 책을 복수의 Page 오브젝트로 구성하고, 또한 이들 Page 오브젝트 내 적어도 1개가 복사 불가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생각한다. 1권의 책을 모두 복사하려고 한 경우, 사용자측은, 복수의 Page 오브젝트마다 스크랩의 처리를 반복하여 행해야만 하여 번거로웠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우선 사용자는 복사를 단념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사용자가 스크랩 처리를 반복하는 것을 단념하지 않아도, 그 복사하려는 책 중, 적어도 1개의 Page 오브젝트는 복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1권분을 복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복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적어도 2 단계의 프로텍트가 걸려 있기 때문에, 부정한 복사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8의 흐름도의 설명으로 되돌아가, 단계 S14에서, 선두 프레임(270)이,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으로 이동되면, 단계 S15에서, 선두 문자가 지정된다. 또, 이 선두 프레임(270)의 이동은, 입력부(106)(도 5)로서의 예를 들면, 죠그다이얼(79)(도 4)이 조작됨으로써 행해지고, 위치 결정은 결정 버튼(81)이 조작됨으로써 행해진다. 이하에 설명하는 선두 문자나 말미 문자의 선택에 관련된 조작도, 기본적으로 마찬가지로, 죠그다이얼(79) 등에 의해 이동이 지시되고, 결정 버튼(81)에 의해 결정이 지시된다.
도 30을 참조하면, 선두 문자가 지정될 때에는, 표시부(71) 상에, 또한 선두 프레임(270) 내에, 문자 지정 프레임(271)이 표시된다. 이 문자 지정 프레임(271)은, 스크랩하는 문장(화상)의 최초의 문자(위치)를 지정할 때에 표시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두 프레임(270) 내에서 상하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선두 문자가 선택(지정)되면, 단계 S16에서, 말미 프레임(기본적으로, 선두 프레임(270)과 동일한 프레임)이 지정되고, 단계 S17에서, 말미 문자가 지정된다(기본적으로, 문자 지정 프레임(271)과 동일한 프레임이 이용되어 지정된다). 이 단계 S16와 단계 S17의 처리는, 기본적으로, 단계 S14와 단계 S15의 처리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여기서는 선택하는 문자의 범위를 지정하기 위한 프레임이 지정되고, 그 후, 그 프레임 내로부터 문자가 선택된다고 설명했지만, 직접적으로 문자가 선택되도록 해도 된다. 그러나, 선택할 수 있는 범위를 지정하는 프레임을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화상과 텍스트가 혼합되어 있는 페이지에서, 스크랩하는 부분이 선택되는 경우, 그 프레임이 있는 것에 의해, 화상이 선택 범위 내에 있는 것인지, 텍스트가 선택 범위 내에 있는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분명히 명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크랩하는 부분이 선택된다. 사용자는 그 선택한 부분이 좋으면, 단계 S18에 의해서, 스크랩 북으로의 등록을 결정한다. 또, 각 단계에서, 사용자는 원래의 처리로 복귀하는 것이 가능해져, 수시로 원하는 단계의 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스크랩 북으로의 등록에 관련된 처리는, 사용자측은 입력부(106)(도 5)를 조작함으로써 지시하고, 사용자 단말기(7)측은, CPU(101)가 입력부(106)로부터의 신호가 나타내는 내용을 판단하고, 그 판단에 기초하여, 또한 RAM(103) 등에 전개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두 프레임(270)의 이동 등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행해진다.
스크랩 북으로의 등록의 처리가 행해질 때의, 사용자 단말기(7)측에서 행해지는 처리에 대하여 도 31 내지 도 3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 S31에서, 스크랩 북으로의 새로운 기사(텍스트, 화상 등으로, 콘텐츠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것)의 등록이 지시된 경우, 이미 작성되어 있는 스크랩 북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예를 들면,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스크랩 북(250)이, 기억부(107)(도 5)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CPU(101)에 의해 판단된다.
또, 사용자 단말기(7)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기록 매체에, 스크랩 북(250)이, 기록되게 설정되어 있거나, 또는 기록 매체에도 기록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그 기록 매체는 드라이브(74)로 세트되기 때문에, CPU(101)는 드라이브(74)로 세트되어 있는 기록 매체(패키지 미디어(5)라도 된다)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도 참조하여, 단계 S31에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어느 경우에나, 단계 S31에서, 작성되어 있는 스크랩 북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32로 처리가 진행되고,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33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S32로 처리가 진행된 경우, 즉 스크랩 북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새롭게 스크랩 북이 작성되고, 그 스크랩 북의 1 페이지째에, 새롭게 등록이 지시된 기사를 추가할 수 있는 상태로 설정된다.
한편, 단계 S33으로 처리가 진행된 경우, 즉 스크랩 북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그 존재한다고 판단된 스크랩 북의 최종 페이지(예를 들면, 도 27에서는, Page 오브젝트(254)로 규정되는 페이지)에, 새롭게 등록이 지시된 기사를 추가할 수 있는 상태로 설정된다.
단계 S32 또는 단계 S33의 처리에서, 스크랩북으로 새롭게 기사를 추가할 수 있는 상태로 설정되면, 단계 S34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S34에서, 스크랩 북으로의 등록이 지시된 기사는, 등록(보존)이 허가되어 있는 기사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보존이 지시된 기사에 대하여 제한없이 복사되는 것을 허가하면, 저작권 등의 관계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구입자에 대해서는 1회만 복사를 허가하는 것, 제한없이 복사를 허가하는 것, 페이지 내의 일부분이면 복사를 허가하는 것 등의 복사에 대한 라이센스 조건이, 콘텐츠 데이터에는 기재되어 있고(예를 들면, 도 22의 헤더 정보부(181)에 포함된다. 또한, 데이터 작성 장치(2)의 저작권 보호 처리부(23)(도 2)에 의해 부가되는 정보), 그 라이센스 조건이 참조됨으로써, 단계 S34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34에서, 라이센스 정보를 참조한 결과, 보존이 허가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35로 처리가 진행되고, 보존이 허가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36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S35에서, 스크랩 북에 등록하는 것으로 지시된 기사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보존은 할 수 없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메시지가 표시부(71)에 표시된다. 그리고, 도 31에 도시한 흐름도의 처리, 즉 스크랩 북에 관련된 처리는 종료된다.
이와 같이, 복사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기사는, 보존할 수 없기 때문에, 그 후의 처리가 행해지지는 않는다. 따라서, 단계 S34에서의 처리를 단계 S31 앞에 행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쓸데 없는 처리가 되게 되는 처리가 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마찬가지 이유에서, 예를 들면 도 28의 흐름도의 단계 S13에서, 스크랩 북으로의 등록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문자 클립」이라는 항목이 선택된 경우, 또한 그 선택되었을 때에 표시되어 있는 기사(본문)가, 복사 금지라고 판단되는 경우(이 시점에서, 단계 S34에서의 처리를 실행함), 그 시점에서, 표시되어 있는 기사는 복사할 수 없는 기사인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해도(단계 S35에서의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즉, 스크랩할 수 없는 기사가 선택되어 있다고 판단된 시점에, 사용자측에, 그와 같은 것을 인식시키는 처리가 실행되도록 해도 된다. 또, 단계 S34의 처리에 한하지 않고, 각 단계의 처리는, 필요에 따라, 그 처리의 순서를 교체하는 것은 가능하다.
도 31에 도시한 흐름도의 처리의 설명으로 되돌아가, 단계 S34에서, 라이센스 조건을 참조한 결과, 선택된 기사는 복사(보존)가 허가되어 있는 기사라고 판단된 경우, 단계 S36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S36에서, 스크랩 북으로의 등록은, 클립(Clip) 보존인지 인용(Quotation) 보존인지가 판단된다. 클립 보존이란, 보이 는 것을 그대로 보존하고, 인용 보존은 문서 내의 데이터를 그대로 복사하는 보존이다.
또한, 클립 보존이 선택된 결과 보존된 데이터는, 표시부(71)에 표시된 버튼이 조작되었을 때에 표시되도록 설정된다. 인용 보존이 선택된 결과 보존된 데이터는, 표준의 서식으로 묘화(스크랩 북에서 설정되어 있는 서식에서의 묘화)가 되도록 설정된다. 클립 보존은 주로 화상을 스크랩할 때에 이용되고, 인용 보존은 주로 텍스트를 스크랩할 때에 이용된다.
이와 같이, 2개의 보존 방식을 이용하는 것은, 우선 텍스트의 경우, 그 표시에 관한 처리는 비교적 가볍고, 또한 복수의 텍스트를 스크랩 북의 1 페이지로서, 표시부(71)에 1회의 표시로 표시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그와 같이 해도, 보기 불편해지지는 않는다고 생각된다.
텍스트에 대하여 화상인 경우, 그 표시에 관한 처리는 비교적 중첩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화상을 동일한 페이지 내에 표시하는 경우, 그 페이지를 표시시키기까지 시간이 걸리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화상의 경우, 복수의 화상을 표시부(71)에 1회의 표시로 표시시키면, 1매의 화상은 작게 되어, 보기 불편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화상은, 반드시 항상 표시시켜둘 필요성은 낮고, 필요에 따라(사용자가 원할 때) 표시되면 된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보존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그 선택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여기서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고 설명하지만,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은 아니고, 단순히, 화상이 선택된 것이라고 판단될 때에는 클립 보존하고, 텍스트가 선택된 것이라고 판단될 때에는 인용 보존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7)측에서 판단하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단계 S36에서, 새롭게 등록이 지시된 기사의 보존 방법은, 클립 보존한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37로 처리가 진행된다. 클립 보존이 지시된 경우, 그 지시된(스크랩된) 기사는, 화상 오브젝트(Image 오브젝트)라고 되어 보존(기록)된다.
한편, 단계 S36에서, 새롭게 등록이 지시된 기사의 보존 방법은, 인용 보존이라고 판단된 경우, 단계 S38로 처리가 진행된다. 인용 보존이 지시된 경우, 그 지시된 기사의 문자열이 취득된다. 이 취득되는 문자열이란,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두 문자부터 말미 문자까지의 문자열이다.
문자열이 취득되면, 단계 S39에서 그 추가된 문자열을 지정하기 위한 지정 오브젝트의 취득 처리가 실행된다. 이 단계 S39에서의 지정 오브젝트 취득 처리에 관해서는, 도 32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단계 S37까지의 처리, 또는 단계 S39까지의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사용자가 지정한 기사가 스크랩 북에 새롭게 추가하기 위한 오브젝트로서 작성된 것으로, 그 오브젝트의 추가의 처리가, 단계 S40에서 실행된다. 이 단계 S40에서의 오브젝트 추가 처리에 대해서는, 도 3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단계 S41에서, 새롭게 오브젝트가 추가된 스크랩 북이 기억부(107)(도 5) 또는 드라이브(74)(도 5)로 세트되어 있는 기록 매체(도시되지 않음)에 기록(보존)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크랩 북의 갱신이 행해진다.
도 3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단계 S39에서의 지정 오브젝트 취득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61에서, 3개의 ID가 취득된다. 제1 ID는, 스크랩 북에 추가 보존하는 것으로 해서 지정된 기사에 관련된 Page 오브젝트의 ID이다. 예를 들면, 도 25를 재차 참조하면, Text 오브젝트(231)로 규정되는 텍스트 내의 부분이 스크랩용 기사로서 지정된 경우, Page 오브젝트(225)의 ID가 취득된다.
제2 ID는 보존하는 기사의 선두가 되는 Block 오브젝트의 ID이다. 이 ID를 여기서는, start_id로 한다. 제3 ID는 보존하는 기사의 말미로 되는 Block 오브젝트의 ID 이다. 이 ID를 여기서는, end_id로 한다. 도 34를 참조하여, start_id와 end_id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4에는 소정의 페이지와 그 페이지 내에 포함되는 블록을 도시하고 있다.
Page(281)는, 3개의 Block(282 내지 284)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Block(283) 내의 소정의 문자를 선두 문자로서 선택하고(단계 S14, S15(도 28)의 처리로서 선택하고), Block(284) 내의 소정의 문자를 말미 문자로서 선택한(단계 S16, S17의 처리로서 선택한) 경우, 그 사이에 존재하는 문자열이 기사로서 선택된 범위가 된다.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1 페이지 내이면, 프레임(270)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그 프레임(270) 내이면, 선두 문자나 말미 문자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크랩으로 하는 것으로 해서 지정되는 기사가 복수의 블록에 걸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우, 선두 문자가 존재하는 Block(283)의 Block 오브젝트의 ID가 start_id로 되고, 말미 문자가 존재하는 Block(284)의 Block 오브젝트의 ID가 end_id로 된다. 도 34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선두 문자와 말미 문자 양쪽이, 예를 들면 Block(283) 내에 존재하는 경우, 그 Block(283)의 Block 오브젝트의 ID가 start_id와 end_id의 양쪽에 설정된다.
또한, Page(281)가, 1개의 Block(예를 들면, Block(282))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선두 문자와 말미 문자의 양쪽이, 그 블록에 필연적으로 포함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start_id와 end_id는 결과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된다.
이러한 3개의 ID가, 단계 S61에서 취득된다. ID가 취득되면, 단계 S62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S62에서, 그 시점에서 스크랩 북 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오브젝트 ID의 최대값이 취득된다. 그 취득되는 오브젝트 ID의 최대값을, 여기서는 Old_ID로 설정한다.
도 25를 재차 참조하여, 도 25에 도시한 각 오브젝트에 첨부된 부호(221 내지 234)를 그 오브젝트의 ID라고 하고, 도 25에 도시한 구성의 책이 스크랩 북이라고 하면, 그 스크랩 북 내의 오브젝트 중, 최대의 값이 부여되어 있는 것은, Image 오브젝트(234)이다. 따라서, 이 경우 Old_ID는, "234"로 설정된다.
또, 이와 같이, 그 시점에서의 스크랩 북의 최대값을 갖는 ID를 검출하는 것은, 새롭게 오브젝트를 추가(보존)하는 것이지만, 그 추가되는 오브젝트에 첨부되는 ID와 동일하게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단계 S63에서 새로운 오브젝트에 첨부되는 ID가 설정된다. 그 설정은 Old_ID에 1만큼 가산된 값으로 된다. 이 ID를 New_ID로 설정한다.
또, 1개의 기사가 선택되면, 복수의 오브젝트가 추가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Image 데이터(234')에 의한 화상이 스크랩되는 기사로서 선택되었을 때에는, 4개의 오브젝트가 스크랩 북에 추가되게 된다. 따라서, 새롭게 추가되는 오브젝트가 몇개가 될지는, 단계 S63의 시점에서는 불명확하기 때문에, New_ID는, 새롭게 추가되는 오브젝트의 1개에 대하여 첨부되는 ID이고, 추가되는 다른 오브젝트에 대해서는, New_ID와 연속하는 번호가 순차 첨부되어 가게 된다.
단계 S63에서, New_id가 설정되면, 단계 S64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S64에서, 지정된 Page 오브젝트(단계 S61에 의해 취득된 제1 ID에 대응하는 Page 오브젝트)의 해석이 개시된다. 그 Page 오브젝트에 기술되어 있는 데이터가 1행마다(처리 단위마다) 해석된다.
단계 S65에서, 해석 대상으로 되어 있는 행에 기재되어 있는 데이터는, 커맨드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또, 이 단계 S65에서는, Page 오브젝트 내에는, 해석하지 않은 커맨드가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Page 오브젝트 내에 기재되어 있는 데이터의 최후의 행인지의 여부)도 포함하여 판단된다.
단계 S65에서, 해석 대상으로 되어 있는 데이터는, 커맨드라고 판단된 경우, 단계 S66으로 처리가 진행되어, 그 커맨드는 Block 오브젝트를 참조하는 지시를 하기 위한 커맨드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단계 S66에서, Block 오브젝트를 참조하는 지시를 하는 커맨드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단계 S64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단계 S66 에서, Block 오브젝트를 참조하는 지시를 하는 커맨드라고 판단된 경우, 단계 S65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S65에서, 해석 대상으로 되어 있는 커맨드가 참조하는 Block 오브젝트의 ID는, start_id와 end_id 사이에 위치하는 번호의 ID 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도 34를 재차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4에서, Block(282 내지 284)에 첨부되어 있는 부호를, Block(282 내지 284)에 대응하는 Block 오브젝트의 ID라고 한다.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우, Page(281)에 대응하는 Page 오브젝트에 기술되어 있는 커맨드에는, Block(282 내지 284)에 대응하는 Block 오브젝트를, 각각 참조하기 위한 커맨드가 포함되어 있다.
해석 대상으로 되어 있는 커맨드가, Block(282)에 대응하는 Block 오브젝트를 참조하는 지시를 하는 경우, 그 Block 오브젝트의 ID는 "282"이다. 이 경우, start_id=283이기 때문에, start_id보다 전의 번호이기 때문에, 단계 S67에서는, '아니오'라고 판단된다. 즉, 이 경우 스크랩으로 하는 기사에 관계가 없는 Block 오브젝트이기 때문에, 단계 S67 이후의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단계 S64로 처리가 복귀된다.
이에 대하여, 해석 대상으로 되어 있는 커맨드가, Block(283)에 대응하는 Block 오브젝트를 참조하는 지시를 하는 경우, 그 Block 오브젝트의 ID는 "283"이다. 또한, 해석 대상으로 되어 있는 커맨드가 Block(284)에 대응하는 Block 오브젝트를 참조하는 지시를 하는 것인 경우, 그 Block 오브젝트의 ID는 "284"이다.
이러한 경우, start_id=283이고, end_id=284이기 때문에, ID가 "283"와 "284"는, start_id와 end_id 사이에 위치하므로(이 경우, 동등 관계가 성립함), 단계 S67에서는, '예'라고 판단된다. 즉, 이 경우 스크랩으로 하는 기사에 관계가 있는 Block 오브젝트이기 때문에, 단계 S67 이후의 처리가 행해지게 된다.
단계 S67에서, 해석 대상으로 되어 있는 커맨드가 참조하는 Block 오브젝트의 ID는, start_id와 end_id 사이에 위치하는 번호의 ID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단계 S64로 처리가 복귀되지만, 그 때 해석 대상으로 되는 것은, 다음의 행에 기술되어 있는 데이터(다음의 처리 단위에 대응하는 데이터)이다.
한편, 단계 S67에서, 해석 대상으로 되어 있는 커맨드가 참조하는 Block 오브젝트의 ID는, start_id와 end_id 사이에 위치하는 번호의 ID라고 판단된 경우, 즉 스크랩의 대상으로 되어 있는 기사를 포함하는 블록의 Block 오브젝트의 ID라고 판단된 경우, 단계 S68로 처리가 진행되어, 그 Block 오브젝트가 참조하고 있는 것이 Text 오브젝트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예를 들면, 도 34에서, Block(283) 내에 표시되어 있는 것은 텍스트이지만, Block(284) 내에 표시되어 있는 것은 화상인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단계 S68에서,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Block 오브젝트가 참조하고 있는 것은, Text 오브젝트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단계 S68에서,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Block 오브젝트가 참조하고 있는 것은, Text 오브젝트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단계 S69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S69에서,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Block 오브젝트, 그 Block 오브젝트가 참조하고 있는 오브젝트, 그 오브젝트를 묘화(처리)하는 데 필요한 모든 오브젝 트의 정보가 취득된다. 이 단계 S69에서의 처리에 대하여, 도 25를 재차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책에서, Page 오브젝트(225) 내의 Block 오브젝트(229)가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를 생각한다.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Block 오브젝트(229)가 참조하는 오브젝트는, Image 오브젝트(233)와, Block 속성 오브젝트(230)이다. 그리고, 그 오브젝트를 묘화하는 데 필요한 모든 오브젝트로서는, Image 오브젝트(233)의 Image를 묘화하기 위한 필요한 Image 데이터 오브젝트(234)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단계 S69에서 취득되는 정보는 Block 오브젝트(229), Block 속성 오브젝트(230), Image 오브젝트(233), 및 Image 데이터 오브젝트(234)의 정보이다. 이와 같이 하여, 순차로, 필요한 오브젝트의 정보가 취득된다.
도 32의 흐름도의 설명으로 되돌아가, 단계 S68에서,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Block 오브젝트가 참조하고 있는 것이, Text 오브젝트라고 판단된 경우, 단계 S70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S70에서, 참조되어 있는(처리 대상으로 되는) Block 오브젝트와 Text 오브젝트의 묘화 속성이, 스크랩 북 전용의 것으로 변경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랩 북에는, 여러가지 기사가 스크랩될 가능성이 있다. 그 기사는 텍스트만이라고 상정한 경우에도, 세로쓰기의 텍스트, 가로쓰기의 텍스트 등이 있고, 또한 문자의 폰트, 문자색 등, 여러가지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여러가지 형태의 기사가 그대로의 형식으로 1권의 스크랩 북에 첨부된다고 하면, 그 스크랩 북은 보기 어렵게 된다.
그래서, 스크랩 북에 첨부되는 기사는, 통일성이 있는 묘화 속성으로 함으로써, 보기 쉬운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모두 가로쓰기(또는, 세로쓰기)로 통일하고, 폰트나 색 등도 동일한 것으로 한다. 그와 같은 변경이 종료되면, 단계 S71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S71에서, Text 오브젝트로부터 참조되어 있는 모든 오브젝트의 정보가 취득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크랩 북에 등록이 지시된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가 취득된다. 이러한 단계 S64 내지 S71까지의 처리가 반복됨으로써, Page 오브젝트의 내용이 순차 해석되어, 스크랩된 기사에 관련된 Block 오브젝트 등의 정보가 취득된다. 그리고, Page 오브젝트 내의 모든 행에 대하여 해석이 종료되면, 단계 S65에서, Page 오브젝트 내에 해석되어 있지 않은 커맨드는 없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단계 S72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S72에서, 인용한 문헌(그 문헌을 식별하는(도시하는) 정보)과 날짜를 표시하기 위한 오브젝트가 작성된다. 이 단계 S72에서, 인용한 문헌과 날짜를 표시하기 위한 오브젝트가 작성되는 것은, 위법인 복사가 행해지지 않도록 하기 때문이며, 또한 위법인 복사가 인터넷 등으로 유통되지 않도록(유통되었다고 해도, 그 저작권자 등이 명기되어 있는 상태로 항상 두도록)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하여 작성된 오브젝트는, 단계 S40(도 31)에서 스크랩 북에 추가된다. 또, 이와 같이 하여 작성된 오브젝트에는, 순차 단계 S63에서 설정된 New_ID에서 시작되는 번호가 ID로서 할당된다.
도 33은 단계 S40(도 31)에서의 오브젝트 추가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 도이다. 단계 S91에서, 그 시점에서의 스크랩 북의 최종 페이지에 대응하는 Page 오브젝트의 ID가 취득된다. 예를 들면, 그 시점에서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의 스크랩 북(250)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 최종 페이지에 대응하는 Page 오브젝트는 Page 오브젝트(254)이고, 그 Page 오브젝트(254)의 ID가 단계 S91의 처리로서 취득된다.
단계 S91에서, Page 오브젝트의 ID가 취득되면, 단계 S92로 처리가 진행되어, 취득된 ID에 대응하는 Page 오브젝트에 의해 묘화되는 페이지(최종 페이지)에, 새로운 블록을 추가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이 판단은 1 페이지에는 3개의 블록밖에 존재시킬 수 없는 등의 조건을 설정하고, 그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행해지도록 해도 되고, 1 페이지의 묘화 영역의 크기를 설정하고, 그 영역 내에 새로운 블록의 영역을 확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판단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서도 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Page 오브젝트에는, 복수의 블록을 무제한으로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어떠한 설정을 형성하고, 소정의 블록 수만이 1개의 Page 오브젝트에 등록되도록 제어될 필요가 있다. 단계 S92에서, 최종 페이지에 새로운 블록을 추가할 수 없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93으로 처리가 진행되어, 새로운 블록을 추가하기 위한 페이지가 작성된다.
즉, 단계 S93으로 처리가 진행된 경우, 신규로 Page 오브젝트가 작성된다. 그리고, 그 신규로 작성되는 Page 오브젝트에 대하여, 그 오브젝트를 식별하기 위 한 ID가 할당된다. 그 할당되는 ID는, 스크랩 북을 구성하는 오브젝트 내의 ID로, 가장 큰 값을 갖는 ID에 1만큼 가산한 값의 번호이다. 그와 같은 번호를 ID로서 부가된 Page 오브젝트가, 단계 S94 이후의 처리에서, 그 스크랩 북 내의 최종 페이지로서 취급된다.
한편, 단계 S92에서, 최종 페이지에 새로운 블록을 추가할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새로운 페이지를 작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단계 S93의 처리는 생략되고, 단계 S94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S94에서, 최종 페이지에 대응하는 Page 오브젝트의 최후의 커맨드 후에, 취득된 Block 오브젝트, 및 인용된 문헌과 날짜를 표시하기 위해서, 단계 S72(도 32)의 처리로서 작성된 오브젝트가 각각 참조되도록 커맨드가 부가된다.
그리고, 단계 S95에서, 취득된 오브젝트, 및 인용된 문헌과 날짜를 표시하기 위한 오브젝트의 데이터가 스크랩 북의 데이터에 추기(追記)된다. 이와 같이, 오브젝트가 추기됨으로써, 그 추기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오브젝트 테이블)가 단계 S96에서 갱신된다.
이와 같이 하여, 오브젝트의 추가가 행해진다. 이러한 처리가 사용자 단말기(7)로 행해짐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기사로 구성되는 스크랩 북을 작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서적에서는, 종이 서적으로서는 손이 많이 가는 이러한 처리라도, 마찬가지 처리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종이 서적의 경우, 사용자는, 그 종이 서적의 두께를 보는 것만으로, 다 읽는 데 걸리는 일수 등을 개략적으로 계산할 수 있지만, 전자 서적의 경우는, 눈에 보이는 두께가 없기 때문에, 그와 같은 것은 하기 어렵다고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종이 서적의 경우, 페이지를 팔랑팔랑 넘김으로써, 문자의 크기 등을 파악하여, 페이지수를 파악함으로써, 다 읽는데 걸리는 일수 등을 개략적으로 계산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사전 등의 경우, 조사하고자 하는 문자가 어디 근처에 기재되어 있는지를 페이지수의 감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서적의 경우, 종이 서적으로서는 불가능한 문자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게 된다. 그 때문에, 확대율에 의해, 동일한 서적이어도, 페이지수가 변화한다. 따라서, 전자 서적으로, 페이지를 팔랑팔랑 넘겨서(버튼을 계속 조작함), 문자의 크기나 페이지수를 파악하여, 다 읽는데 걸리는 일수를 개략적으로 계산하는 것은 어렵고, 또한 전자 서적이 사전 등인 경우, 종이 서적의 사전으로서는 할 수 있는, 페이지수를 감각으로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된다.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예를 들면 종이 매체의 사전에서, 10 페이지째에 표시되어 있는 단어는, 언제나 10 페이지째에 표시(인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그 단어를 조사하고자 하면, 10 페이지근처에 존재하고 있다고 하는 감각을 파악하여, 다음회, 동일한 단어를 조사하고자 하면, 10 페이지근처라고 하는 감각을 살려 조사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서적의 경우, 확대율이 다르면, 전회 조사한 단어가, 10 페이지째에 존재하고 있어도, 다음회 조사할 때에는, 10 페이지째에 존재한다고는 할 수 없고, 또한 10 페이지째라는 종이의 두께나 페이지를 넘기는 속도에 의한 얻어 지는 감각을 파악할 수도 없기 때문에, 단어를 조사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오랫동안 사용자가 익숙해져 있는 종이 서적의 경우에 얻어지는 감각이라는 것을, 전자 서적에서도 마찬가지 감각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전자 서적의 보급(그 전자 서적의 데이터의 판매에 의한 보급이라는 의미는 물론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기(7)의 보급도 포함함)으로 이어진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앵커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전자 서적이라도 종이 서적과 같은, 페이지를 팔랑팔랑 넘김으로써, 사용자가 얻는 감각이라는 것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그와 같은 감각이라는 것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서적의 보급으로 연결되는 것은 물론이며, 전자 서적에서의 페이지의 개념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서적에서는, 페이지는 문자의 확대 등에 의해 가변적으로 변화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Page 오브젝트로 기술되는 것을 1 페이지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그 1 페이지의 길이가 고정적인 것은 아니고 가변적인 것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7)의 표시부(71)에 한번에 표시되는 것이 1 페이지라고 할 수 없다.
예를 들면, 표시부(71)에 표시되어 있는 것이 소설인 경우, 1 행마다 스크롤되는(예를 들면, 2행째에 표시되어 있던 문장이 1행째에 스크롤되고, 그 스크롤에 대응하여 다른 행도 1행씩 스크롤되는) 경우도 있어, 그와 같을 때에는 페이지라는 감각은 얻어지지 않고, 1 페이지의 단락은 어떤 부분에 존재할지를 파악하기 어렵게 된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취하면, 전자 서적에서는, 페이지라는 개념은 분명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한 이점도 있지만, 문제점도 있다. 그러나, 이하에 설명하는 앵커라는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페이지에 대한 개념을 명확하게 할 수 있어, 페이지라는 개념이 분명하지 않은 것에 기인하는 문제점도 해결된다고 생각된다.
그와 같은 이점을 갖는 앵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5는 앵커와 페이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에서는, 페이지(302-1 내지 302-4)는 100%의 표시가 지시되어 있을 때에, 표시부(71)에 한번에 표시되는 양이라고 한다. 즉, 페이지(302-1 내지 302-4)는, 각각이 가상 묘화 영역(152-1)(도 10)에 묘화되는 1 페이지로, 표시 가능 영역(151)과 크기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로 한다. 즉, 도 10의 상측에 나타낸 도면의 상태라고 한다.
그와 같은 페이지(302-1 내지 302-4)(4 페이지)에 대하여, 문자의 확대의 지시를 한 경우, 또한 여기서는 그 확대율이 2배(200%)인 경우, 도 35 중 하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이지(303-1 내지 303-8)의 8 페이지의 구성으로 변경된다. 즉, 문자가 2배로 확대됨으로써, 페이지수도 2배가 된다.
페이지(303-1 내지 303-8)의 상태는, 도 10의 하측에 도시한 도면의 상태이다. 페이지(303-1 내지 303-8)의 각 페이지는, 각각이, 표시 가능 영역(151)과 동일한 사이즈로 되어 있지만, 가상 묘화 영역(152-2)에는, 예를 들면 페이지(303-1)와 페이지(303-2)의 2 페이지가 묘화되어 있는 상태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100%의 표시로 열람하고 있을 때에, 페이지 넘기기를 실행하면, 페이지(301-1) 다음으로 페이지(303-2)가 표시되고, 페이지(301-2) 다음 으로 페이지(303-3)가 표시되는 등과 같이, 순차로 페이지를 열람하게 된다. 사용자는, 페이지(302-1 내지 303-4)로 이동할 때에는, 3 페이지 앞의 페이지로 이동시키면 된다는 감각을 얻는다.
즉, 페이지(302-1)에 표시되어 있는 "A"라는 문자(여기서는, 문자는 물론, 기사, 단어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함)로부터, 페이지(302-4)에 표시되어 있는 "H"라는 문자(기사)로 이동할 때, 사용자는 페이지(302-1)로부터 3 페이지분(페이지(302-2, 302-3, 303-4)) 앞의 페이지에, 목적으로 하는 "H"라는 문자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감각적으로 파악한다. 감각적으로 파악한다는 것은, 예를 들면 페이지 넘기기를 위한 버튼(예를 들면, 도 4의 앞으로 버튼(57))을 조작하고 있는 시간 등이다.
또는, 표시부(71) 상에, 표시되어 있는 페이지가 전체 페이지 중 어느 근처의 페이지인지를 나타내는, 예를 들면 바와 같은 것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그 바의 위치를 참조함으로써 대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와 같은 바의 위치 등을 인식함으로써 페이지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도, 감각적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하는 표현에 해당한다.
동일한 동작이, 200%의 표시로 열람되어 있을 때에 행해졌다고 한다. 즉, 페이지(303-1)에 표시되어 있는 "A"라는 문자로부터, 페이지(303-8)에 표시되어 있는 "H"의 문자까지 이동시킬 때, 사용자가 100%의 표시 시와 동일한 감각으로, 3 페이지 앞으로 이동시키면, 페이지(303-4)로 이동하게 되어, 원하는 페이지인 페이지(303-8)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이것은, 각 배율일 때에 그 배율에서의 페이지수로 이동의 처리가 행해지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100%의 표시에서, 페이지 넘기기가 실행되면, 페이지(302-1)→페이지(302-2)→페이지(302-3)→페이지(302-4)의 순서로 페이지가 넘어가며, 200%의 표시에서, 페이지 넘기기가 실행되면, 페이지(303-1)→페이지(303-2)→페이지(303-3)→페이지(303-4)→페이지(303-5)→페이지(303-6)→페이지(303-7)→페이지(303-8)의 순서로 페이지가 넘어간다.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301-1 내지 301-5)가, 100%의 표시가 행해질 때의 각 페이지의 선두에 삽입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페이지(302-1)의 선두에 앵커(301-1)가, 페이지(302-2)의 선두에 앵커(301-2)가, 페이지(302-3)의 선두에 앵커(301-3)가, 페이지(302-4)의 선두에 앵커(301-4)가, 각각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앵커라는, 각 페이지의 선두를 나타내는 정보가 이용되어 페이지 넘기기 처리가 실행된다. 100%의 표시 시에, 페이지(303-1)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일 때에, 페이지 넘기기 처리가 지시된 경우, 앵커의 정보가 이용되어, 그 페이지 넘기기 처리가 실행된다. 즉, 페이지(303-1)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우선 앵커(301-2)가 판독되고, 그 앵커(301-2)가 지시하는 페이지(302-2)가 페이지 넘기기 목적지로서 표시된다.
또한, 버튼이 계속 조작되어 페이지 넘기기 지시가 계속되어 있는 상태이면, 앵커(301-3)의 정보가 판독되고, 그 앵커(301-3)가 지시하는 페이지(302-3)가 다음의 페이지 넘기기 목적지로서 표시된다. 이러한 앵커 정보가 이용된 페이지 넘기기 처리가, 페이지 넘기기가 지시되어 있는 동안, 반복하여 행해진다.
200%의 표시가 되어 있을 때에 대하여 설명한다. 페이지(303-1)가 표시부(71) 상에 표시되어 있을 때에, 페이지 넘기기가 지시되면, 앵커(301-2)의 정보가 판독된다. 앵커(301-2)는 페이지(303-3)의 선두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와 같이, 앵커의 정보는, 표시 배율에 의존하지 않는 정보(100% 표시를 기준으로 하여, 그 100%의 표시 시에만 의존하는 정보로, 다른 확대율일 때에는 의존하지 않은 정보)로 되어 있다.
또한, 버튼이 계속 조작되어 페이지 넘기기 지시가 계속되어 있는 상태이면, 앵커(301-3)의 정보가 판독되고, 그 앵커(301-3)가 지시하는 페이지(303-5)가, 다음의 페이지 넘기기 목적지로서 표시된다. 즉, 이 경우 2 페이지씩 페이지가 넘어가게 된다. 이러한 앵커 정보가 이용된 페이지 넘기기 처리가, 페이지 넘기기가 지시되어 있는 동안, 반복하여 행해진다.
이러한 앵커라는 정보가 이용된 페이지 넘기기 처리가 실행되면, 예를 들면 페이지(303-1)에 표시되어 있는 "A"라는 문자로부터, 페이지(303-8)에 표시되어 있는 "H"라는 문자로 이동시킬 때에, 사용자는 3 페이지분의 이동을 지시하면 된다. 즉, 사용자는 100%일 때와 동일한 감각으로, 페이지 넘기기를 하면, 동일한 페이지 앞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확대율에 상관없이, 동일한 감각으로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앵커의 정보는, 존재하지 않아도 전자 서적을 읽는 것(서적을 취급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존재함으로써, 해당하는 전자 서적의 콘텐츠가 몇 페이지로 표현되어 있는 것인지를 알 수 있고, 또한 Page 오브젝트의 대소에 상관없이 선형적 으로 외관상의 페이지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종이 서적과 같은 감각적인 취급을, 전자 서적이라도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도 3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100%의 표시가 되어 있을 때에, 표시부(71)에 한번에 표시되는 것이 1 페이지로, 그 1 페이지가 Page 오브젝트에 의해 규정되는 1 페이지인 경우, 즉 도 10의 상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가능 영역(151)과 가상 묘화 영역(152-1)이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페이지 넘기기 처리가 되면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1개의 Page 오브젝트에 의해 규정되는 페이지가, 표시부(71)에 한번에 표시되는 것을 1 페이지로 표현했을 때, 100 페이지분에 상당하는 경우도 있다. 그와 같이 설정하는 것은 가능하다. 따라서, 1개의 Page 오브젝트에 의해 규정되는 페이지 내에, 복수의 앵커 정보를 갖게 하여, 가능한 한, 100 페이지분에 상당하면, 100 페이지로서 페이지 넘기기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6과 도 37을 참조하여, 앵커에 대하여 설명을 더 추가한다. 도 36, 도 37에서는, 가상 묘화 영역(152)은 2개 분의 표시 가능 영역(151)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6과 도 37에서는, 설명의 형편 상, 2개의 표시 가능 영역(151)을 세로로 나열하고, 또한 1변이 접촉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 36에 도시한 예에서는, 가상 묘화 영역(152)에는, Block(311 내지 314)의 4개의 블록이 존재하고 있다. 즉, Page 오브젝트에 의해 규정되는 페이지에는 4개의 Block 오브젝트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이 확보되어 있다.
도 36에 도시한 상황은, Block(311 내지 313)이, 상단에 도시한 묘화 가능 영역(151)에 포함된 상태이고, Block(314)이, 하단에 도시한 묘화 가능 영역(151)에 포함된 상태이다. 블록 내에 표시되는 콘텐츠가 화상인 경우, 그 화상이 도중에 분단되는 것은 바람직한 표시가 아니기 때문에,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의 모든 영역이 표시 가능 영역(151) 내에 포함되도록 제어된다.
도 36에 도시한 상태는 가상 묘화 영역(152)(가상 페이지)이, Page 오브젝트로부터 참조되는, Block(313)에 대응하는 Block 오브젝트와, Block(314)에 대응하는 Block 오브젝트 사이에서 분단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7에 도시한 상황은, Block(321)과 Block(322)이 상단에 도시한 묘화 가능 영역(151)에 포함되어 있지만, Block(323)은 상단과 하단에 도시한 묘화 가능 영역(152)에 포함된다. 즉, Block(323)은 분단되어 있다. 이러한 것은, Block(323) 내에 표시되는 콘텐츠가, 텍스트인 경우 등에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7에 도시한 상태는, 가상 묘화 영역(152)이 Text 오브젝트를 참조하는 Block 오브젝트 도중에서 분단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다른 Block의 사이에서 분단되는 경우와, 동일 Block 내에서 분단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우에는, Block(311) 부분에 앵커(315)가 삽입되어 있고, Block(314) 부분에 앵커(316)가 삽입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우에는, Block(321) 부분에 앵커(324)가 삽입되어 있고, Block(323)의 도중에 앵커(325)가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앵커가 삽입되어 있으면, 서로 다른 Block 사이에서 분단되는 경우와, 동일 Block 내에서 분단되는 경우로, 상황이 다르더라도 앵커의 수는 동일해 진다. 따라서, 외관상의 페이지수(이 경우, 2 페이지)를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6 또는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황에서는, 1개의 Page 오브젝트는, 2개의 앵커 정보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1개의 Page 오브젝트는, 복수의 앵커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의 정보는 반드시 소정의 Block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고, Block 내의 소정의 위치를 나타내도록 해도 된다.
도 38은, 이러한 것을 고려했을 때의 PageTree 오브젝트에 기술되어 있는 정보와, 앵커 정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PageTree 오브젝트에는,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참조하는 Page 오브젝트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도 38에 도시한 예에서는, PageTree 오브젝트는 Page 오브젝트 1 내지 6(Page1 내지 6)을 참조하고 있다. 이러한 때의 앵커 삽입 정보로서는, 도 38에 도시한 예에서는 Page1이 1, Page2가 5, Page3이 3, Page4가 3, Page5가 2, Page6이 3이다.
이 수치는, 그 페이지가, 몇개의 앵커 정보를 갖고 있는지(그 페이지에, 몇개의 앵커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면, Page1에는 1개의 앵커가 삽입되어 있고, Page2에는 5개의 앵커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PageTree 오브젝트는, 각 Page의 전후 관계나, 통합을 나타내는 역할을 갖고 있기 때문에, PageTree 오브젝트에 의해서 묶여져 있는 각 페이지가, 몇개의 가상 페이지(앵커에 의해 분단되는 페이지)를 가지고 있는지를 관리시키도록 한다(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앵커 삽입 정보를 관리시킨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복수의 페이지를 이동하는 경우에도, 선형적으로 페이지 넘기기를 할 수 있다.
또한, 앵커에 의해 분단되는 페이지수를 누적 환산함으로써, 그 전자 서적의 가상 페이지의 총수를 알 수 있다. 이 가상 페이지의 총수는, 사용자에게, 그 전자 서적이 몇 페이지의 책인지를 인식시키고자 한 페이지수라고도 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8에 도시한 예에서는, 앵커 삽입 정보로부터, 17 페이지(=1+5+3+3+2+3)가,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고자 한 페이지수로, 선형적으로 페이지를 이동시킬 때의 페이지수이다.
PageTree 오브젝트는,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앵커 삽입 정보를 참조하지만, PageTree 오브젝트가 참조하는 Page 오브젝트는,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앵커 삽입 정보를 참조한다. 우선, 도 39에 도시한 예에서는, Page3(Page 오브젝트)는, Block1 내지 5를 포함하는 구성(Block1 내지 5에 대응하는 Block 오브젝트를 참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Page3가 참조하는 앵커 삽입 정보에는,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앵커 삽입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 Page3에 3개의 앵커 삽입 정보가 존재하고 있는 것은, 도 38에 도시한 PageTree 오브젝트가 참조하는 앵커 삽입 정보에 기술되어 있기 때문에 확인할 수 있다.
하나째의 앵커 삽입 정보는, "Block2" 부분에 앵커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Block2의 선두 부분에 앵커가 삽입되어 있다. 2개째의 앵커 삽입 정보는, "Block3 0x200" 부분에 앵커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Block3 내의 "0x200"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앵커가 삽입되어 있다. 이 "0x200"는, 예를 들면 X--Y 좌표계로 나타내는 소정의 좌표를 나타내는 값이 되어도 되고, 페이지 내의 어느 문자의 부분에서 분단되는 것을 바이트 수로 나타낸 것으로 해도 된다.
3개째의 앵커 삽입 정보는, "Block5 0x120" 부분에 앵커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Block5 내의 "0x120"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앵커가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페이지 내에서의 분할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앵커 삽입 정보도 준비되어 있다. Page 오브젝트는, Page 내에 어떠한 정보가 기술되는지를 관리하는 것이기 때문에, Page 내의 어떤 Block 부분에서 가상 페이지가 분단되는 것인지를 관리시킨다(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앵커 삽입 정보를 관리시킨다). 또한, Text를 참조하고 있는 Block에서 분단되는 경우에는, Text 내부의 어떤 문자 부분에서 분단되는지를 바이트 수 등으로 명시한다. 이러한 기술이 됨으로써, 페이지 내의 어느 위치에서 묘화할지를 알게 된다.
이러한 앵커에 관한 정보는, 출판사(1)(도 1)로부터 데이터 작성 장치(2)에 공급되는 데이터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앵커 정보는, 데이터 작성 장치(2)에서 부가되는 데이터이다. 이러한, 출판사(1)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를 부가함으로써, 과금이 되도록 해도 된다. 또, 데이터를 부가함으로써, 다른 회사가 발행하는 전자 서적과의 차별화를 도모할 수 있다.
앵커 정보가 부가되는 타이밍으로서는, 데이터 컨버터부(22)(도 2)에 의한 처리가 실행되는 타이밍이다. 이와 같이, 앵커 정보는, 여기서는 사용자측에의 배포용 데이터가 작성될 때에, 새롭게 부가되는 정보이다.
여기서는, 앵커 정보가, 출판사(1)로부터 공급되는 소스 데이터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정보로, 데이터 작성 장치(2)에 의해 부가되는 정보의 일례로서 설명하지만, 앵커 정보 이외의 정보도, 데이터 작성 장치(2)에 의해 부가되도록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4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페이지 넘기기가 지시되었을 때의 사용자 단말기(7) 내에서 행해지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페이지 넘기기가 지시되었을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앵커라는 개념의 정보가 이용된다. 도 40에 도시한 흐름도의 처리가 개시되는 것은, 입력부(106)(도 5)로서의, 앞으로 버튼(75, 77), 또는 뒤로 버튼(76, 78)(모두 도 4)이 조작되었을 때이고, CPU(101)(도 5)가, 이들 버튼이 조작되었다고 판단했을 때이다.
단계 S111에서, 버튼이 조작된 시점에서, 표시부(71) 상에 표시되어 있는 페이지가, 몇번째의 가상 페이지인지의 정보가 취득된다. 도 37을 재차 참조하여, 버튼이 조작된 시점에서, 표시부(71) 상에 표시되어 있는 페이지가, 예를 들면 블록(321, 323)이 표시되어 있는 페이지인 경우, 가상 페이지의 1 페이지째(도 37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2 페이지의 가상 페이지로 구성된다고 하여, 상단이 1페이지째, 하단이 2 페이지째로 함)가 표시되어 있다고 판단되어, 그 1 페이지째의 정보가 취득된다.
단계 S112에서, 그 시점에서 표시되어 있는 PageTree 오브젝트가 취득된다. 이 취득은, 단계 S111에서 취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이 단계 S112에서의 처리로, PageTree 오브젝트가 취득되면, 단계 S113에서, PageTree 오브젝트의 앵커 정보로부터 현재 위치가 특정된다. 단계 S113까지의 처리에 의해, 도 38에서 도시한 정보가 취득되게 된다.
즉, PageTree 오브젝트가 참조하는 앵커 삽입 정보로부터, 총 페이지수가 판단된다. 또한, 단계 S111의 처리에서, 그 시점에서의 페이지에 관한 정보가 취득되어 있기 때문에, 그 시점에서의 페이지는 총 페이지 내의 어느 부근에 위치하는 페이지인지를 판단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단계 S114에서, 현재 위치에서 가상 페이지를 N 페이지 진행한 위치가 구해진다. 여기서, N 페이지 진행한 위치는, 앞으로 버튼(75, 77)이 조작되어 있는 경우에는, 현재 위치보다 앞에 위치하는 페이지(번호 상으로 큰 페이지 번호가 부여되어 있는 페이지)이고, 뒤로 버튼(76, 78)이 조작되어 있는 경우에는, 현재 위치보다 전에 위치하는 페이지(번호 상으로 작은 페이지 번호가 부여되어 있는 페이지)이다.
또한, 여기서, N 페이지라고 표현한 것은, 반드시 1 페이지씩 이동(페이지 넘기기 또는 페이지 뒤로하기)(1앵커 정보마다 이동)하면 설정되어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페이지수가 적은 서적이면, 1 페이지씩 페이지가 이동되어도 되지만, 페이지수가 많은 서적의 경우, 1 페이지씩 페이지가 이동되는 것보다도, 복수 페이지(N 페이지)가 한번에 이동되는 쪽이 사용성이 좋아진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여기서는 N 페이지 넘기기된다고 설명한다. N 페이지의 N의 설정의 방법은, 그 서적의 총 페이지수를 고려하여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총 페이지수의 5%의 페이지수를 N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총 페이지수와 현재 위치를 고려하여, 현재 위치에서 지시되고 있는 방향에 존재하는 페이지수를 산출하고(예를 들면 총 페이지수가 100 페이지이고, 현재 위치가 30 페이지째이고, 지시되어 있는 방향이 페이지를 넘기는 방향인 경우, 70 페이지로 산출된다), 그 산출된 페이지수의 수%(예를 들면, 5%)의 페이지수를 N으로 설정해도 된다. 그 % 자체도, 페이지수에 의존하고, 변화되도록 해도 된다.
물론 N은 고정값이어도 된다. 또, N 페이지는, 소정의 초수당 이동되는, 예를 들면 1초당 이동되는 페이지수이다.
어떠한 방식을 이용하여 N이 설정되어도 되지만, 단계 S114에서, 현재 위치로부터, 지시된 방향으로 N 페이지만큼 이동한 위치가 구해진다. 그리고, 단계 S115에서, 이동 목적지로서 구해진 위치에 대응하는 Page 오브젝트에 액세스하여, 그 Page에 대응하는 앵커 정보가 취득된다. 예를 들면, 도 39를 참조하면, 이동 목적지인 Page 오브젝트가 Page3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인 경우,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앵커 삽입 정보가 취득되게 된다.
단계 S116에서, 가상 페이지수의 정보를 기초로, 어느 위치에서부터 묘화하는지를 계산하고, 그 계산된 위치에서의 묘화가, 표시부(71) 상에서 행해진다. 이 묘화는 간편한 표시이다. 사용자가, 종이 서적으로 페이지 넘기기할 때, 각 페이지를 차분히 열람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페이지의 일부분만(페이지의 끝의 부분( 선두 부분) 등)을 열람하고 있을 뿐이다. 그래서, 전자 서적의 경우도, 예를 들면 표시되어 있는 콘텐츠가 소설 등일 때에는, 각 페이지의 시작의 수 행만이 표시되면 된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묘화에 관한 처리 능력을 삭감할 수 있어,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적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연속적으로, 표시부(71) 상의 표시를 전환해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와 같은 간이한 묘화는, 버튼이 조작되어 있는 동안, 즉 페이지 넘기기(뒤로하기)가 지시되고 있는 동안, 반복하여 행해진다. 그를 위하여, 단계 S117에서, 계속해서 이동이 지시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단계 S117에서, 페이지의 이동이 계속적으로 지시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113으로 처리가 복귀되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하여 행해진다. 한편, 단계 S117에서, 페이지의 이동은 계속적으로 지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즉 페이지의 이동의 종료가 지시되었다고(버튼 조작은 종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118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S118에서, 레이아웃 등이 고려된 묘화가 행해진다. 이것은 페이지의 이동이 종료되었다는 것은, 사용자는 그 이동 목적지의 페이지를 열람하고자 소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래서, 그와 같을 때에는 통상의 표시가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그와 같이 된다. 즉, 단계 S118에서의 처리는 이동 목적지의 페이지의 통상의 상태에서 표시되어야 할 표시가 되기 위한 처리이다.
이와 같이, 페이지 넘기기, 또는 페이지 뒤로하기의 처리가 행해진다. 사용자는, 종이 서적과 같은 감각으로, 페이지수가 많은 서적이면 빨리 페이지를 넘길 수 있고(한번에 많은 페이지를 넘길 수 있어), 페이지수가 적은 서적이면 비교적 천천히 페이지를 넘길 수 있게 된다(1 페이지씩 넘김). 또한, 사용자는 버튼을 조작하고 있는 시간으로, 어느 정도의 페이지의 이동을 할 수 있는 것인지 등의 감각적인 것을, 확대율에 상관없이, 항상 동일한 감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서적의 콘텐츠 데이터의 포맷을 오브젝트화하고, 또한 레이아웃 형식으로 블록이라는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포맷의 확장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포맷을 오브젝트화함으로써, 이미 있는 내용을 거의 바꾸지 않고서, 새로운 내용을 첨가하는 것이 간단해진다. 이것에 의해서, 구입한 전자 서적과 동일한 포맷으로, 스크랩 북을 작성할 수 있다고 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문자 확대 등에 의한 레이아웃이 흐트러지는 것도 미리 상정하여, 앵커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선형적으로 페이지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각각의 기능을 갖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 하드웨어에 장착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기록 매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데이터 작성 장치 (2))와는 별도로,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61)(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함), 광 디스크(62)(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포함함), 광 자기 디스크(63)(MD(Mini-Disc)(등록상표)를 포함함), 혹은 반도체 메모리(64)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 미디어에 의해 구성되는 것뿐만 아니라, 컴퓨터에 미리 조립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ROM(42)이나 기억부(48)가 포함되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 매체에 의해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는, 기재된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아도,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서적용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작성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정의 단말기로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서적용 데이터의 포맷을 오브젝트화하고, 또한 레이아웃 형식으로 블록이라는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포맷의 확장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서적용 포맷을 오브젝트화함으로써, 이미 있는 내용을 거의 바꾸지 않고, 새로운 내용을 첨가하는 것이 간단해진다. 또한, 새로운 내용을 간편하게 추가할 수 있는 것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구입한 전자 서적과 동일 한 포맷으로 자신만의 스크랩 북을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서적으로서의 콘텐츠의 문자를 확대하여 열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문자의 확대에 의해, 레이아웃이 붕괴되어도, 외관상의 페이지의 구획을 알 수 없지만, 한번에 페이지를 이동해도 예상하였던 페이지로 옮겨 갈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그와 같이 함으로써, 선형적으로 페이지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제공된 콘텐츠 데이터를 XML 형식의 콘텐츠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1 변환 수단과,
    상기 제1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전자 서적용 데이터로서, 2치 형식의 콘텐츠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2 변환 수단과,
    상기 제2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배신하는 배신 수단과,
    상기 제2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저작권의 보호에 관련된 처리를 실행하는 저작권 보호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40060168A 2003-08-01 2004-07-30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0852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84717 2003-08-01
JP2003284717A JP2005056039A (ja) 2003-08-01 2003-08-01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050A KR20050016050A (ko) 2005-02-21
KR101085283B1 true KR101085283B1 (ko) 2011-11-22

Family

ID=34308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168A KR101085283B1 (ko) 2003-08-01 2004-07-30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09576B2 (ko)
JP (1) JP2005056039A (ko)
KR (1) KR101085283B1 (ko)
CN (1) CN1581156B (ko)
TW (1) TWI24800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5783A1 (ko) 2012-02-21 2013-08-29 주식회사 파수닷컴 전자책 생성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전자책 무결성 검증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5470B2 (ja) * 2003-11-18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データ処理装置及びコンテンツ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コンテンツ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データ管理方法
US7996759B2 (en) * 2004-09-14 2011-08-09 Oracle Internatonal Corporation Data insertion from a database into a fixed electronic template form that supports overflow data
JP5339667B2 (ja) * 2005-06-10 2013-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7094476A (ja) * 2005-09-27 2007-04-12 Oki Electric Ind Co Ltd 電子記事収集システム
CN1831828A (zh) * 2006-04-10 2006-09-13 无锡永中科技有限公司 保存xml文档的方法
CN101055578A (zh) * 2006-04-12 2007-10-17 龙搜(北京)科技有限公司 基于规则的文档内容挖掘器
US8112813B1 (en) * 2006-09-29 2012-02-07 Amazon Technologies, Inc. Interactive image-based document for secured data access
US20080270930A1 (en) * 2007-04-26 2008-10-30 Booklab, Inc. Online book editor
KR100986886B1 (ko) * 2007-08-10 2010-10-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자책을 이루는 데이터 포맷의 형성 시스템 및 이에적용되는 포맷변환장치
AU2008310822A1 (en) * 2007-10-09 2009-04-16 Skiff, Llc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providing local and online data services
US8135574B2 (en) 2007-11-15 2012-03-13 Weikel Bryan T Creating and displaying bodies of parallel segmented text
US8250469B2 (en) 2007-12-03 2012-08-21 Microsoft Corporation Document layout extraction
US8392816B2 (en) * 2007-12-03 2013-03-05 Microsoft Corporation Page classifier engine
US8145794B2 (en) * 2008-03-14 2012-03-27 Microsoft Corporation Encoding/decoding while allowing varying message formats per message
JP5338106B2 (ja) * 2008-03-28 2013-11-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帳票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帳票データ管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8290268B2 (en) * 2008-08-13 2012-10-16 Google Inc. Segmenting printed media pages into articles
US20100318888A1 (en) * 2009-06-10 2010-12-16 Firstpaper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b-publication content in an electronic device
CN101887364B (zh) * 2010-04-28 2013-06-19 北京星网锐捷网络技术有限公司 帮助文档的生成方法和装置
JP2011250153A (ja) * 2010-05-27 2011-12-08 Cri Middleware Co Ltd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通信機器、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FR2965386A1 (fr) * 2010-09-24 2012-03-30 Thales Sa Systeme pour la generation de documentation technique au format electronique.
CN101986369A (zh) * 2010-11-02 2011-03-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电纸书及其文档处理方法
CN102004762B (zh) * 2010-11-05 2015-10-07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生成电子书的方法和装置、以及下载电子书的方法和装置
KR20120053609A (ko) * 2010-11-18 2012-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자책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2890670B (zh) * 2012-09-10 2015-11-25 北京京东世纪贸易有限公司 用于在版式阅读和流式阅读方式之间切换的方法和系统
US20140164915A1 (en) * 2012-12-11 2014-06-12 Microsoft Corporation Conversion of non-book documents for consistency in e-reader experience
US10769357B1 (en) * 2012-12-19 2020-09-08 Open Text Corporation Minimizing eye strain and increasing targeting speed in manual indexing operations
CN103116604B (zh) * 2013-01-15 2016-06-29 北京天智通达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数字阅读格式到数字多维度多媒体(dmm)格式的转换方法
CN104182398A (zh) * 2013-05-21 2014-12-03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服务器和信息浏览方法
US20150058369A1 (en) * 2013-08-23 2015-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sing captured image in electronic device
US9679076B2 (en) 2014-03-24 2017-06-13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page rollback
CN103914523A (zh) * 2014-03-24 2014-07-0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页面回退控制方法及装置
CN104317935B (zh) * 2014-10-31 2017-09-08 北京思特奇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xml账单文件批量生成html页面的方法及系统
CN107729451B (zh) * 2017-10-09 2021-02-23 四川巧夺天工信息安全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查找edb数据库源文件中数据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2016A (ja) 1999-08-10 2001-02-23 Sharp Corp 電子書籍コンテンツ、電子書籍コンテンツを記録した記録媒体、電子書籍送信装置および電子書籍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2245B2 (ja) 1987-04-07 1997-03-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
JP3023696B2 (ja) 1990-08-06 2000-03-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文書処理装置
JPH08227420A (ja) 1995-11-13 1996-09-03 Hitachi Ltd 文書作成装置
US6562077B2 (en) * 1997-11-14 2003-05-13 Xerox Corporation Sorting image segments into clusters based on a distance measurement
EP1096443B1 (en) * 1998-07-02 2008-07-16 Sharp Kabushiki Kaisha Copyright management device, electronic-production sales device, electronic-book display device, key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electronic-production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in which these devices are connected via communication lines
US6925595B1 (en) * 1998-08-05 2005-08-02 Spyglas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conversion of hypertext data using data mining
JP2000076338A (ja) 1998-09-01 2000-03-14 Nec Corp 書籍の広告・販売システムおよび広告・販売方法
US6763499B1 (en) * 1999-07-26 2004-07-1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parsin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data streams
US6209124B1 (en) * 1999-08-30 2001-03-27 Touchnet Information Systems, Inc. Method of markup language accessing of host systems and data using a constructed intermediary
US20020116371A1 (en) * 1999-12-06 2002-08-22 David Dodds System and method for the storage, indexing and retrieval of XML documents using relation databases
US7600183B2 (en) * 2000-06-16 2009-10-06 Olive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data publication through web pages
US6971007B1 (en) 2000-08-17 2005-11-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ssured printing of documents of value
JP3897970B2 (ja) * 2000-09-12 2007-03-28 株式会社デジタル エディタ装置およびエディタ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2111650A (ja) 2000-09-29 2002-04-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暗号処理装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398711B1 (ko) * 2000-11-08 2003-09-19 주식회사 와이즈엔진 동적 데이터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실시간 통합및 처리 기능을 갖는 콘텐츠 출판 시스템 및 그 방법
JP4333031B2 (ja) 2000-12-27 2009-09-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書籍装置
FR2821192B1 (fr) * 2001-02-19 2003-04-04 Schneider Automation Station de programmation elaborant un programme compacte et equipement d'automatisme utilisant un tel programme
US20030088639A1 (en) * 2001-04-10 2003-05-08 Lentini Russell P. Method and an apparatus for transforming content from one markup to another markup language non-intrusively using a server load balancer and a reverse proxy transcoding engine
US7500017B2 (en) * 2001-04-19 2009-03-0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XML binary format
US6925481B2 (en) * 2001-05-03 2005-08-02 Symantec Corp. Technique for enabling remote data access and manipulation from a pervasive device
US20040093337A1 (en) * 2001-08-09 2004-05-13 Shen Sheng Mei Unified rights management for ipmp system
US7200548B2 (en) * 2001-08-29 2007-04-03 Intelliden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a network device's configuration
JP2003108331A (ja) * 2001-09-27 2003-04-11 Fujitsu Ltd データ変換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7644014B2 (en) * 2001-10-17 2010-01-05 Sun Microsystems, Inc. Document exchange framework for automated extensible markup language data in an e-procurement system and method
JP4606692B2 (ja) 2002-09-26 2011-01-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7350199B2 (en) * 2003-01-17 2008-03-25 Microsoft Corporation Converting XML code to binary format
US8005854B2 (en) * 2003-03-14 2011-08-23 Sybase, Inc. System with methodology for executing relational operations over relational data and data retrieved from SOAP operations
US7568003B2 (en) * 2003-03-28 2009-07-28 Microsoft Corporation Publishing interface for publishing content from a content-authoring application to a content server
US7653876B2 (en) * 2003-04-07 2010-01-26 Adobe Systems Incorporated Reversible document format
JP4424465B2 (ja) 2003-06-09 2010-03-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機器、情報サーバ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2016A (ja) 1999-08-10 2001-02-23 Sharp Corp 電子書籍コンテンツ、電子書籍コンテンツを記録した記録媒体、電子書籍送信装置および電子書籍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5783A1 (ko) 2012-02-21 2013-08-29 주식회사 파수닷컴 전자책 생성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전자책 무결성 검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15204A (en) 2005-05-01
TWI248003B (en) 2006-01-21
US7509576B2 (en) 2009-03-24
KR20050016050A (ko) 2005-02-21
JP2005056039A (ja) 2005-03-03
US20050066267A1 (en) 2005-03-24
CN1581156B (zh) 2010-04-28
CN1581156A (zh) 200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283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및 기록 매체
CN101548273B (zh) 演示文件的方法
JP4144806B2 (ja) 情報編集装置、情報編集システム、情報編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512665A (ja) ポータブル電子書籍のページ表示ビューの効率的な生成および切り替え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4239305A (zh) 生成及展现电子文档的方法及装置
JP2010181971A (ja) 情報処理装置及び印刷制御方法
JP200505604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20005309A (ja) 動画編集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6603925B1 (ja) 動画編集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046357A (ja) 文書編集方法、文書編集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文書編集プログラム
US2013027585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0884195B1 (ko) 전자책에서의 텍스트 변경으로 컨텐츠 리포맷팅 및 페이지수의 재산출을 위한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Hillesund Reading Books in the Digital Age subsequent to Amazon, Google and the long tail
JP2004046367A (ja) レイアウトシステム及びレイアウトプログラム、並びにレイアウト方法
JP7394333B2 (ja) 広告処理装置及び広告処理方法
US8429559B2 (en) Elicitation method for custom image preferences using keywords
JP2005056042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478340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CN106528516A (zh) 分析报告建立方法
JP200505604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100856132B1 (ko) 웹 대상물의 관리 시스템
JP2005056040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03196264A (ja) ウエブページ作成方法、ウエブページ作成プログラム及びウエブページ作成装置
Steward PDF Hacks: 100 Industrial-strength Tips & Tools
JP4825823B2 (ja) 情報編集装置、情報編集システム、情報編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