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5052B1 - 고함수 슬러지 탈수재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슬러지의 탈수방법 - Google Patents

고함수 슬러지 탈수재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슬러지의 탈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052B1
KR101085052B1 KR1020100018108A KR20100018108A KR101085052B1 KR 101085052 B1 KR101085052 B1 KR 101085052B1 KR 1020100018108 A KR1020100018108 A KR 1020100018108A KR 20100018108 A KR20100018108 A KR 20100018108A KR 101085052 B1 KR101085052 B1 KR 101085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water content
incineration residue
high wat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8466A (ko
Inventor
박원춘
이화영
이난희
문경주
조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디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디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디기술단
Priority to KR1020100018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052B1/ko
Publication of KR20110098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함수 슬러지 탈수재 및 이를 이용한 탈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소각잔재에 다량 함유된 CaO의 흡수 및 발열작용을 이용하여 고함수 슬러지의 함수율을 저감시키고, 탈취 및 미생물이 멸균?되는 고함수 슬러지 탈수재 및 이를 이용한 탈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고함수 슬러지 탈수재는 산화칼슘(CaO) 함량이 20%~70%인 소각잔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고함수 슬러지 탈수재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슬러지의 탈수방법{DEHYDRATION MATERIAL OF SLUDGE WITH HIGH WATER CONTAINING RATE AND METHOD OF THE SAME USING}
본 발명은 고함수 슬러지 탈수재 및 이를 이용한 탈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소각잔재에 다량 함유된 CaO의 흡수 및 발열작용을 이용하여 고함수 슬러지의 함수율을 저감시키고, 탈취 및 미생물이 멸균되는 고함수 슬러지 탈수재 및 이를 이용한 탈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함수율이 높은 하수슬러지, 폐수 슬러지, 정수 슬러지, 준설슬러지 및 진흙슬러지는 대표적인 환경오염물질로서, 종래에는 해양투기, 매립 등의 방법으로 처리되어 왔으며, 현재 그 오염물질들에 의해 오염된 환경을 복원시키는 여러 가지 방안이 현재 마련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례로 하루 6,000t 이상 배출되고 있는 생활하수 슬러지는 2003년 7월부터 일반 쓰레기 매립장 처리가 금지되었고, 가장 처리하기가 용이했던 해양투기마저 런던 덤핑 조약으로 2011년까지만 제한적으로 허용되고 있다.
특히 국토가 좁은 우리나라는 주위환경의 오염을 방지시키고 슬러지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에 환경이 오염되지 않도록 효율적이고 안전한 처리방법이 시급히 모색되어야 한다.
현재 수도권 매립지를 비롯한 전국의 지자체에서는 고함수 슬러지의 함수율을 저감시켜 복토재, 성토재, 차수재, 뒷채움재 등 다양한 지반용 재료로 사용할 수 있는 인공토양을 제조하는 탈수시설을 준비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수분이 많은 슬러지의 탈수처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생산성, 경제성의 측면에서 우수한 탈수재의 개발이 긴요한 실정이다.
종래의 하수슬러지 탈수재의 연구는 생석회, 시멘트 등의 강알칼리성 재료를 주로 사용함에 따라 냄새 및 재슬러리화 문제점을 야기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고가의 황산 및 황산철 등의 산성재료를 추가 투입하여 암모니아 방출 저감을 꾀하였으나 투입되는 원재료의 가격이 높아 경제성이 부족하다. 또한, 상기의 재료적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 처리장치의 건조 및 양생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 시도하였으나 처리 자체가 고비용을 유발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가열 양생 플랜트의 원활한 가동이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시멘트 및 생석회는 석회석(CaCO3, CaO·CO2)의 CO2 분해를 위한 하소공정에서 약 0.55톤, 소성 공정에서 화석 연료의 연소 시 약 0.40톤의 이산화탄소를 배출되므로 결국 1톤의 시멘트 및 생석회를 생산할 때마다 약 1톤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재료로 대기 중 CO2 농도와 시멘트 및 생석회 생산량은 매우 상관성이 높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각잔재에 다량 함유된 CaO의 흡수 및 발열작용을 이용하여 고함수 슬러지의 함수율을 저감시키고, 탈취 및 미생물이 멸균되는 고함수 슬러지 탈수재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슬러지 탈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고함수 슬러지 탈수재는 산화칼슘(CaO) 함량이 20%~70%인 소각잔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소각잔재는 석탄재, 바이오매스 소각잔재, 하수슬러지 소각잔재, 제지 슬러지 소각잔재, RDF(Refuse Derived Fuel) 소각잔재 및 RPF(Refuse Plastic Fuel) 소각잔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각잔재는 비표면적이 2,500~6,000㎠/g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수재의 발열 및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생석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생석회는 상기 소각잔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5~20중량부 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고함수 슬러지 탈수방법은 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탈수재를 제조하는 단계; 2) 슬러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탈수재 5~10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및 3) 상기 슬러지와 탈수재의 혼합물을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3)단계는 상기 혼합물을 상온양생 또는 가열양생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3)단계는 상기 혼합물의 함수율이 60%이하가 될 때까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러지는 하수슬러지, 폐수슬러지, 정수슬러지, 진흙슬러지 및 준설슬러지 중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각잔재에 다량 함유된 CaO를 이용하여 고함수 슬러지의 함수율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CaO의 발열 작용으로 수분이 증발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소각잔재에 존재하는 다공성 미연소 탄소가 슬러지에 함유된 유기물에 의해 발생되는 암모니아가스를 흡착하여 탈취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초기에 pH12 이상으로 유지시켜 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미생물을 멸균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탈수재와 고함수 슬러지의 혼합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비교예로서 별도의 탈황장치를 갖춘 발전소에서 배출된 산화칼슘 함량이 적은 탈수재와 고함수 슬러지의 혼합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고함수 슬러지 탈수재 및 이를 이용한 탈수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고함수 슬러지 탈수재의 구성성분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함수 슬러지 탈수재는 산화칼슘(CaO) 함량이 20%~70%인 소각잔재와 생석회를 포함한다.
소각잔재 및 생석회에 다량 함유된 산화칼슘은 물과 반응하여 흡수, 발열 및 팽창하여 수산화칼슘이 된다. 이에 대한 반응식은 아래와 같다.
CaO+ H2O->Ca(OH)2+15.6㎉ mol-1
통상 소각잔재는 콘크리트 혼화재료로 재활용됨에도 불구하고, 위와 같이 산화칼슘이 다량 함유된 소각잔재는 흡수, 발열 및 팽창 특성이 있어 콘크리트 혼화재료로 활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콘크리트 혼화재료로 활용이 불가능한 소각잔재들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함수율이 높은 슬러지에 산화칼슘이 다량 함유된 소각잔재를 혼합하면, 위의 반응으로 수산화칼슘이 생성되면서 슬러지의 수분이 저감되는 것이다. 또한 역시 위의 반응으로 발생되는 열이 슬러지의 수분을 증발시키기 때문에 더욱더 슬러지의 함수율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산화칼슘이 20%이상 함유된 소각잔재는 석탄재, 바이오매스 소각잔재, 하수슬러지 소각잔재, 제지슬러지 소각잔재, RDF(Refuse Derived Fuel) 소각잔재 및 RPF(Refuse Plastic Fuel) 소각잔재 등이다.
상기 석탄재는 발전소에서 많이 생성되는데, 특히, 노내 탈황방식을 갖는 발전소에서 생성되는 석탄재가 산화칼슘의 함유량이 높다. 노내 탈황방식의 경우, 석탄과 석회석을 혼합연소하기 때문에 석탄재에 다량의 Free CaO가 함유되게 된다.
이와 달리 별도의 탈황설비를 갖는 발전소에서 생성되는 석탄재는 산화칼슘이 5% 미만이다.
별도의 습식 탈황설비를 갖춘 발전소 석탄재와 노내 탈황방식에 의한 발전소 석탄재의 차이점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항 목 별도의 탈황설비를 갖춘 발전소 석탄재 노내 탈황방식을 하는 발전소 석탄재
연소 연료 석탄(수입 유연탄) 석탄, 석회석, 폐타이어(일부발전소)
연소 온도 약 1350℃
-연소효율이 높아 경제적 발전소 운전, 석탄재 발생비율 감소 및 고품질석탄재 배출
약 850℃
-탈탄산반응 온도범위이면서 질산화물 배출 감소
배기가스 탈황 설비 별도 습식탈황설비 구비 석회석 혼소로 탈황반응
배기가스 탈질 설비 별도 탈질설비 구비 낮은 연소온도 유지 및 보일러에 암모니아 및 기타 약품 분무
화학성분 SiO2 , Al2O3 , Fe2O3 석회석 혼소로 인해
Free CaO 성분이 높다.
유리화정도 높다 낮다
주 재활용 용도 콘크리트혼화재로 성수기
발생전량 재활용
점토 대체용 시멘트원료,
장거리 운송을 통한 폐기물처리장 매립
콘크리트혼화재로 사용시 장점 및 문제점 - 포졸란활성으로 장기강도 증진
- 작업성개선
- 단위수량 감소(내구성, 강도 향상)
- 수화열 감소(구조물 크랙 방지)
- Free CaO 발열반응
- 단위수량 증가(강도, 내구성 하락)
- 수화열 증가(구조물 크랙발생)
- 작업성 하락
기타 KS L 5405 적합제품 발생 가공을 해도 KS L 5405 화학성분, 물리성능을 만족하지 않음
즉, 노내 탈황방식으로 생성되는 석탄재는 산화칼슘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나, 별도의 탈황장치를 갖춘 설비에서 생성되는 석탄재는 산화칼슘이 매우 적은 양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탈황장치를 갖춘 설비에서 생성되는 석탄재는 산화칼슘이 미량 함유되어 있어 발열 및 흡수 성질이 없어 콘크리트 혼화재료로서 재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고화재에 이용되는 소각잔재는 CaO함량이 많은 노내 탈황방식으로 생성되는 석탄재이다.
CaO함량이 높은 소각잔재의 경우 별도의 생석회의 추가 투입없이도 고함수 슬러지의 급속 함수율 저감이 가능하나 CaO함량이 30%이하인 경우나 급속 탈수가 필요한 경우 생석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생석회는 상기 소각잔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5~20중량부 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석회의 혼입량이 5중량부 미만이면 함수율 저감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20중량부 초과하는 경우 함수율은 급속히 저감되지만 톤당 약 8만원 이상인 생석회를 다량 사용할 경우 경제성이 부족하여 혼합물의 pH가 지정폐기물 판별 기준인 12.5를 초과하여 환경적으로 유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각잔재는 연소환경에 따라 미연소탄소를 함유하게 되는데, 통상 1~20%함유한다. 이러한 미연소탄소는 다공성이어서 슬러지에 탈수재가 혼입될 때 발생되는 암모니아 가스 및 중금속을 흡착하는 성질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고함수 슬러지 탈수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상술한 탈수재를 제조한 다음, 슬러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탈수재 5~10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다. 탈수재를 5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하면 함수율이 충분히 저감되지 않고, 100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하면 함수율이 너무 낮아져 혼합물이 비산되고 이송 및 포설작업 등이 곤란해진다.
마지막으로 상기 슬러지와 탈수재의 혼합물의 함수율이 60%이하가 될 때까지 상온양생 또는 가열양생한다.
실시예 1
함수율이 83.2%인 염색폐수슬러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노내 탈황방식으로 산화칼슘 함량이 42%인 석탄재로 이루어진 탈수재 20중량부를 혼합하여 인공토양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노내 탈황방식으로 산화칼슘 함량이 42%인 석탄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생석회 15중량부를 혼합하여 탈수재를 제조하였다. 함수율이 83.2%인 염색폐수슬러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위와 같이 제조된 탈수재 20중량부를 혼합하여 상온양생하여 인공토양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별도의 탈황장치를 갖춘 발전소에서 배출된 것으로, 산화칼슘 함량이 1.2%인 석탄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생석회 15중량부를 혼합하여 탈수재를 제조하였다. 함수율이 83.2%인 염색폐수슬러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위와 같이 제조된 탈수재 20중량부를 혼합하여 상온양생하여 인공토양을 제조하였다.
인공토양의 성능시험방법 및 결과
아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함수량 측정은 KS F 2306 방법에 의해 실시하고 압축강도시험은 KS F 2343 방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실험 방법 비고
함수량 KS F 2306 흙의 함수량 측정방법
압축강도 KS F 2343 일축압축강도법
(1) 함수량 변화
시간경과에 따라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인공토양의 함수율을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탈수재가 혼합됨에 따라 염색폐수 슬러지의 함수율이 83.2%였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함수비가 급격히 저감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함수율이 큰 폭으로 저감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탈수재가 슬러지와 혼합되는 즉시 발열반응이 일어나고 수화반응이 동시에 진행되기 때문이다. 또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화물 생성 및 자연건조에 의해 서서히 함수율은 줄어드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의해 생성된 혼합물의 상온양생 7일 경과후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비교예 1에 의해 생성된 혼합물의 상온양생 7일 경과후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실제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 자연 양생 3일 이후에 강한 응집성이 없어지고 수분이 약간 있는 천연흙과 같은 물리적인 상태로 전이되나 비교예 1은 여전히 슬러지 형태로 강한 응집성이 남아있으며 함수율이 높은 진흙 상태로 남아있다.
구분 개량직후 3시간 1일 3일 5일 7일
실시예1 67.3% 65.8% 58.4% 53.3% 45.1% 39.3%
실시예2 65.9% 54.9% 58.1% 51.7% 44.8% 38.8%
비교예1 68.7% 67.3% 64.9% 58.2% 49.8% 43.2%
(2) 일축압축강도의 변화
표 4는 각각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인공토양의 일축압축강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양생 7일에 실시예 1은 1.46kgf/cm2, 실시예 2는 1.57kgf/cm2, 비교예 1은 0.47kgf/cm2의 결과를 보였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복토재 및 성토재의 강도 기준인 0.5kgf/cm2 및 1.0kgf/cm2를 상회하는 값이며 차수재 및 다양한 지반용 재료로도 활용할 수 있는 강도 발현을 보였다. 이것은 탈수재와 혼합시 흡수발열반응에 의해 수분절감 및 슬러지의 표면 개질이 일어나 입자의 단결화를 이루어 압밀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강도를 증진시키기 때문이다. 이에 더하여 탈수재의 흡수성에 의해 슬러지의 함수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며 탈수재의 흡수성 및 이온교환, 포졸란 및 탄산화 반응에 의해 미립자인 점토, 콜로이드 성분이 단립화되고 이에 따라 입도분포가 변화하여 양질토로 개량되어 일축압축강도가 증가된다.
반면에 비교예 1에 혼입된 산화칼슘 성분이 거의 없는 석탄재는 발열 및 흡수 작용을 발휘하지 못하여 슬러지의 표면 개질이 일어나지 못하고 입자의 단결화가 이루어지지 못해 압밀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없었기 때문에 여전히 진흙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일축압축강도가 발현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구분 압축강도(kgf/cm 2 )
3일 7일 28일
실시예1 0.92 1.46 2.13
실시예2 0.89 1.57 2.31
비교예1 0.34 0.47 0.89
(3) 침수 전후의 일축압축강도의 변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인공토양을 매립지의 일일복토재로 사용할 경우, 소요의 강도를 가져야 함과 동시에 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인 폭우, 폭설 등의 침수에 의한 재슬러리화 현상과 강도감소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7일간 양생한 인공토양에 대해서 1일 침수 전후의 일축압축강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침수 전 후의 일축압축강도의 변화를 아래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 의해 제조된 인공토양은 -0.11kg/kg/cm2,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인공토양은 -0.12kg/cm2 강도 변화율이 나타났다. 반면, 비교예 1은 -0.26kg/cm2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큰 강도저하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인공토양의 침수 전후의 일축압축강도 변화가 비교적 적은 감소율을 보였는데 이것은 슬러지가 탈수처리에 의해 수화물을 생성하면서 치밀한 결정구조로 바뀌어 침수가 되어도 뚜렷한 수분의 흡수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을 매립지에 사용할 경우, 적설에 의한 침수에 재슬러리화나 강도저하 현상은 미미하여 매립지의 복토재로 활용하여도 우천 시 차량 및 장비의 작업에 큰 지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침수 전(kg/) 침수 후(kg/) 강도변화
실시예1 1.46 1.35 -0.11
실시예2 1.57 1.45 -0.12
실시예3 0.47 0.21 -0.26
(4) 중금속 용출
아래 표 6은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되는 인공토양의 중금속 용출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부분의 중금속이 용출되지 않았으며 우리나라의 폐기물용출시험법에 적용시 납과 수은, 비소는 미량 검출되었지만 환경 기준치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화반응에서 생성되는 수화물에 의해 고착되어 결정구조 내로 중금속이 치환 또는 고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모든 실험에서의 용출농도는 판정기준치보다 훨씬 낮은 수치를 나타내거나 불검출되어 슬러지를 탈수 처리하여 매립지의 일일복토재로 사용하여도 중금속 용출로 인한 2차 오염은 우려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유해물질
용출방법
Cd As Pb Hg Cr 6+ Cu Org.P TCE PCE
폐기물용출시험법
(KSLP)
기준 0.3 1.5 3.0 0.05 1.5 3.0 1.0 0.1 0.3
혼합물 N.D. 0.006 0.001 0.001 0.001 0.52 N.D. N.D. N.D.
US EPA
(TCLP)
기준 1.0 - 5.0 0.2 5.0 - - - -
혼합물 N.D. - 0.004 N.D. N.D. - - - -
*N.D : Not Detected
(5) 매립시 복토재의 안정성 평가를 위한 소형 모형시험 평가
소형 모형실험은 실제 매립시 복토재의 성능발휘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으로 지름10cm, 높이15cm의 원통을 제작하여 하부 4cm 부분에 밸브를 설치 상부 11cm의 공간에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인공토양을 넣은 후 해수를 10, 20, 25, 30, 35, 40, 45%의 비율로 조절하여 혼합한 뒤 28일 후에 압축시험기로 축하중을 가하여 강도를 산정하고 축하중 재하 시 아래로 흘러나오는 유출수의 COD, pH, 중금속함유량시험 및 유기물 함량을 측정하였다.
(6) 매립시 복토재의 침하량 평가를 위한 토조시험
토조시험은 높이 105cm, 폭 42cm, 길이 78cm인 토조를 이용하여 실제 매립시 복토재의 침하량을 분석하였다.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인공토양을 최대 500kg까지 재하하여 시간에 따른 하중과 침하량 관찰하였다. 토조시험 결과 값은 80시간 이내에 거의 모든 침하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다시 말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인공토양은 침하가 길지 않아 매립 복토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이다.

Claims (9)

  1. 산화칼슘(CaO) 함량이 20%~70%이고, 비표면적이 2,500~6,000㎠/g인 제지 슬러지 소각잔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수 슬러지 탈수재.
  2. 제1항에 있어서,
    노내 탈황방식을 갖는 발전소에서 생성되는 석탄재, 바이오매스 소각잔재, 하수슬러지 소각잔재, RDF(Refuse Derived Fuel) 소각잔재 및 RPF(Refuse Plastic Fuel) 소각잔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석탄재, 바이오매스 소각잔재, 하수슬러지 소각잔재, RDF(Refuse Derived Fuel) 소각잔재 및 RPF(Refuse Plastic Fuel) 소각잔재는 산화칼슘(CaO) 함량이 20%~70%이고, 비표면적이 2,500~6,0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수 슬러지 탈수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재의 발열 및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생석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수 슬러지 탈수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석회는 상기 소각잔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5~20중량부 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수 슬러지 탈수재.
  6. 1)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탈수재를 제조하는 단계;
    2) 슬러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탈수재 5~10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및
    3) 상기 슬러지와 탈수재의 혼합물을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수 슬러지 탈수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혼합물을 상온양생 또는 가열양생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수 슬러지 탈수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혼합물의 함수율이 60%이하가 될 때까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수 슬러지 탈수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는 하수슬러지, 폐수슬러지, 정수슬러지, 진흙슬러지 및 준설슬러지 중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함수 슬러지 탈수방법.
KR1020100018108A 2010-02-26 2010-02-26 고함수 슬러지 탈수재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슬러지의 탈수방법 KR101085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108A KR101085052B1 (ko) 2010-02-26 2010-02-26 고함수 슬러지 탈수재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슬러지의 탈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108A KR101085052B1 (ko) 2010-02-26 2010-02-26 고함수 슬러지 탈수재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슬러지의 탈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466A KR20110098466A (ko) 2011-09-01
KR101085052B1 true KR101085052B1 (ko) 2011-11-18

Family

ID=44952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108A KR101085052B1 (ko) 2010-02-26 2010-02-26 고함수 슬러지 탈수재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슬러지의 탈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0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800A (ja) 1996-06-21 1998-01-13 Chichibu Onoda Cement Corp 汚泥の脱水処理材及び脱水処理方法
JPH1015594A (ja) * 1996-07-08 1998-01-20 Mitsubishi Materials Corp 汚泥または浚渫ヘドロの脱臭固化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800A (ja) 1996-06-21 1998-01-13 Chichibu Onoda Cement Corp 汚泥の脱水処理材及び脱水処理方法
JPH1015594A (ja) * 1996-07-08 1998-01-20 Mitsubishi Materials Corp 汚泥または浚渫ヘドロの脱臭固化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466A (ko) 201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Świerczek et al. The potential of raw sewage sludge in construction industry–a review
Chang et al. Valorization of sewage sludge in the fabrication of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A review
KR100860017B1 (ko) 공정오니 및 슬러지를 이용한 토목 및 건축자재용 흙골재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19620B1 (ko)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채석 종료지 적지복구용 인공토양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55317B1 (ko) 유기성 슬러지 고화제 및 이를 이용한 인공토양 제조방법
KR100981358B1 (ko) 준설토와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공유수면 매립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95489B1 (ko) 고함수 상태의 슬러지 및 토양용 급속 탈수 처리재
Laadila et al. Construction, renovation and demolition (CRD) wastes contaminated by gypsum residues: Characterization, treatment and valorization
KR101257447B1 (ko) 폐자원의 고화에 의한 인공토양의 제조방법
KR20140092699A (ko) 페트로 코크스 탈황석고를 이용한 고함수 슬러지 고화제 및 이를 이용한 고화토 제조방법
KR100956593B1 (ko) 유·무기성 슬러지를 고화시켜 얻어진 인공토 제조방법
KR101190195B1 (ko) 고함수 슬러지 고화재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슬러지 고화방법
KR101182607B1 (ko) 고함수 슬러지 탈수재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슬러지의 탈수방법
KR101200278B1 (ko) 하수슬러지 고화재 및 이를 이용한 인공토양 제조방법
WO201921791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stage encapsulation of wastes and production thereof into aggregate products
KR101200280B1 (ko) 준설슬러지 고화재 및 이를 이용한 준설혼합토 제조방법
CN101704650B (zh) 增钙干化污泥渣的资源化利用方法
CN109650808A (zh) 一种基于生物质/污泥混烧灰渣的复合固化剂及其应用
He et al. Utilization of soda residue and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to stabilize/solidify sewage sludge in leachate soaking environment
KR101913772B1 (ko) 유기성 오니를 이용한 폐기물 매립시설용 복토재의 제조방법
JP5319254B2 (ja) 汚泥造粒品の焼成方法及びその使用方法
CN111454012A (zh) 水洗生活垃圾焚烧飞灰在水泥稳定碎石混合料中的清洁应用
Singh et al. Ash from coal and Biomass combustion
KR101836823B1 (ko) 낙엽을 이용한 하수슬러지의 고화 방법
Zou et al. Properties and mechanisms of steel slag strengthening microbial cementation of cyanide tail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