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892B1 - 스프링 타입 필터백 케이지 - Google Patents

스프링 타입 필터백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892B1
KR101084892B1 KR1020110044033A KR20110044033A KR101084892B1 KR 101084892 B1 KR101084892 B1 KR 101084892B1 KR 1020110044033 A KR1020110044033 A KR 1020110044033A KR 20110044033 A KR20110044033 A KR 20110044033A KR 101084892 B1 KR101084892 B1 KR 101084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ag
bag cage
body portion
cap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섭
Original Assignee
조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광섭 filed Critical 조광섭
Priority to KR1020110044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4Supports for the filtering elements
    • B01D2201/0461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기에 사용되는 필터백을 지지하는 필터백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코일경이 일정한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캡;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일단이 막힌 하부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타입 필터백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타입 필터백 케이지는,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길이가 다른 다양한 크기의 필터백에도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적용 현장에서 봉 형상 또는 와이어 형상의 강선을 코일 형태로 가공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작, 취급, 보관 및 운송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필터백 케이지의 몸체부가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에어펄싱에 의한 탈진시 몸체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됨에 따라 탈진 효율이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프링 타입 필터백 케이지{SPRING TYPE FILTER BAG CAGE}
본 발명은 집진기에 사용되는 필터백을 지지하는 필터백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용 현장에서 바로 제작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길이가 다른 다양한 필터백에도 각각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탈진 효율도 우수한 스프링 타입의 필터백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멘트, 섬유, 화학 등의 제조공장이나 금속 등을 가공하는 공장에서 제조 또는 가공 시에 배출되는 배기가스나 미세분진 및 산업폐기물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집진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집진장치를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집진장치 중 필터백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집진장치(100)는 하우징(110)과, 필터백(2)과 그 내부에서 필터백(2)을 지지하는 케이지(1)를 포함하는 필터백 조립체(120)와, 필터백 조립체(120)의 상단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하우징(110) 내부 상측에 고정되는 상부 타공판(130)과, 하우징(10) 내부 하측에 고정되는 하부 고정부재(140)와, 필터백(2) 외면에 부착되는 먼지나 이물질이 뭉쳐 낙하하거나 에어펄싱(air pulsing)에 의한 탈진시 낙하하는 먼지를 수집하는 호퍼(15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집진장치에 사용되는 필터백 조립체(120)는, 통상적으로 복수 개의 수직 와이어로 구성되는 지지프레임(14)과, 지지프레임을 고정하는 지지링(16), 지지프레임(14)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캡(10) 및 하부캡(12)으로 이루어진 필터백 케이지(1)와, 여과포로 제작되는 것으로 상기 필터백 케이지(1)를 수용하는 원통자루 형상의 필터백(2)으로 구성된다.
한편, 필터백 조립체(120)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시설면적 내에서 필터링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직경은 줄이고, 길이는 상대적으로 늘려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산업 시설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필터백 조립체(120)는 직경이 약 수 내지 수십 센티미터이며, 길이는 짧게는 수십 센티미터에서 수 미터에 이른다. 이와 같이 필터백(2)의 길이가 다양한 경우에는 해당 길이에 맞는 필터백 케이지(1)를 일일이 제작하여 적용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필터백 케이지(1)는 복수 개의 와이어를 각각 용접에 의해 상부캡(10), 하부캡(12) 및 지지링(16)과 접합시켜야 하므로 제작에 어려움이 있으며, 용접에 의한 접합은 장시간이 경과할 경우 용접부위가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여과시 또는 에어펄싱에 의한 탈진시에 와이어 형태로 구성되는 각각의 프레임의 간격이 벌어질 수 있는데, 해당 부위의 필터백(2)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어 여과가 원활하게 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나아가, 용접에 의해 제작하는 종래의 필터백 케이지(1)는 완제품의 형태로 적용 현장에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에 따른 취급, 보관, 운송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용 현장에서 바로 제작하여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길이가 다른 다양한 필터백에도 각각 적용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필터백 케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축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코일경이 일정한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하부가 개방된 상부캡;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일단이 막힌 하부캡;으로 이루어지는 집진기에 사용되는 필터백을 지지하는 필터백 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의 중앙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링이 위치하며, 상기 고정링은 고정바에 의해 상기 상부캡과 연결 고정되고, 상기 몸체부의 중앙에는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 형상의 지지축이 위치하며, 상기 지지축의 하단은 상기 하부캡과 결합되고, 상기 지지축의 상단은 상기 고정링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타입 필터백 케이지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링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지지축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타입 필터백 케이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부는, 제1 코일스프링과 제2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코일스프링의 하단과 제2 코일스프링의 상단은 각각 연결프레임에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타입 필터백 케이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프레임은, 내부가 상하로 개방된 형상이되 중앙부에는 상기 지지축이 유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삽입링이 위치하며, 상기 삽입링은 고정바에 의해 상기 연결프레임과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타입 필터백 케이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타입 필터백 케이지는,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길이가 다른 다양한 크기의 필터백에도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적용 현장에서 둥글거나 각진 봉 형상의 강선을 코일 형태로 가공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작, 취급, 보관 및 운송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필터백 케이지의 몸체부가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에어펄싱에 의한 탈진시 몸체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됨에 따라 탈진 효율이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집진장치를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집진장치 중 필터백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백 케이지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백 케이지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캡 및 결합부재의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먼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백 케이지(30)는 단면이 둥글거나 각진 봉재(棒材)를 코일형으로 감아 코일스프링(coiled spring) 형상으로 형성한 몸체부(32)와, 몸체부(32)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캡(34)과, 몸체부(32)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캡(36)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32)는 신축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정한(동일한) 코일경(코일 지름)을 갖는다. 코일스프링의 강도는 주로 선경에 의해 정해지며, 굵을수록 딱딱해지고, 감는 횟수(권수)가 많을수록 부드러워지며, 코일경이 클수록 부드러워지는데, 선경, 권수, 코일경 및 길이는 필터백 케이지(30)를 적용할 필터백(2)의 직경 및 길이에 따라 적절한 치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몸체부(32)는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부캡(34)은 몸체부(32)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집진 및 탈진시 공기가 유통할 수 있도록 상하로 개방된 중공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필터백(2)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한다.
하부캡(36)은 몸체부(32)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일단이 막힌 구조로 형성된다.
상부캡(34) 및 하부캡(36)은 각각 상기 몸체부(32)의 상단 및 하단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 고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부(32)의 중앙에는 몸체부의 길이방향(신축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 형상의 지지축(38)이 구비된다. 지지축(38)의 하단은 하부캡(36)의 중앙부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 고정된다.
상부캡(34)의 중앙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링(342)이 구비되는데, 지지축(38)의 상단은 고정링(342)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몸체부(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유동 가능한 상태로 위치한다. 상부캡(34)의 고정링(342)은 고정바(344)에 의해 상부캡(34)과 연결되어 고정되는데, 고정링(342)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바(344)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예시한 형상 및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몸체부(32)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몸체부(32)의 중앙에 위치하되, 하단이 하부캡(36)에 고정 결합되고, 상단이 상하로 유동가능한 상태로 상부캡(34)의 고정링(342)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지지축(38)은, 몸체부(32)의 탄성에 의한 신축시 필터백 케이지(30)가 휘거나 구부러지지 않고 길이방향으로만 신장 또는 압축될 수 있도록 형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필터백 케이지(30)는 길이가 다른 다양한 필터백(2)에 적용이 가능한데, 몸체부(32)의 자유장(자유상태에서의 코일스프링의 길이)보다 길이가 짧은 필터백(2)에 적용할 경우에는 몸체부(32)를 소정의 외력으로 수축시키고, 몸체부(32)의 자유장보다 길이가 긴 필터백(2)에 적용할 경우에는 몸체부(32)를 소정의 외력으로 인장시켜 사용한다.
외력에 의해 몸체부(32)를 수축 또는 인장시킬 경우에는 수축 또는 인장된 상태를 유지시켜야만 하는데, 이를 위해 상부캡(34)의 고정링(346)에는 관통공에 삽입되는 지지축(38)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된다.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는 고정링(346)의 측면에 관통하여 형성된 고정홀(346)과 상기 고정홀(346)에 삽입 결합되어 고정링(346)에 삽입되는 지지축(38)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4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고정부재의 형상과 구조를 고정홀(346) 및 볼트(4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의 다양한 고정수단 및 고정부재들이 모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32)는 단일의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2개 이상의 코일스프링을 길이방향으로 연결(직렬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2개의 코일스프링으로 직렬 연결한 형태로 구성한 몸체부(32)를 예시한다.
이러한 몸체부(32)는 제1 코일스프링(32a)과 이에 길이방향으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2 코일스프링(32b)으로 구성되되, 제1 코일스프링(32a)과 제2 코일스프링(32b)의 사이에는 연결프레임(32c)이 개재되는 형태, 즉 제1 코일스프링(32a)의 하단과 제2 코일스프링(32b)의 상단이 각각 연결프레임(32c)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제1 코일스프링(32a)의 상단은 상부캡(34)에, 제2 코일스프링(32b)의 하단은 하부캡(36)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연결프레임(32c)은, 내부가 상하로 개방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부에는 지지축(38)이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삽입링(322)이 위치하며, 삽입링(322)은 고정바(324)에 의해 연결프레임(32c)과 연결 고정된다.
상기 삽입링(322)은 상술한 상부캡(34)의 고정링(342)과 마찬가지로 지지축(38)이 몸체부(32)의 신축에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몸체부(32)의 탄성에 의한 신축시 필터백 케이지(30)가 휘거나 구부러지지 않고 길이방향으로만 신장 또는 압축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몸체부(32)가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필터백 케이지(30)는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길이가 다른 다양한 크기의 필터백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적용 현장에서 둥글거나 각진 봉 형상의 강선을 코일 형태로 가공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작, 취급, 보관 및 운송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나아가, 에어펄싱에 의한 탈진시 몸체부(32)가 길이방향을 따라 탄성에 의해 신축, 진동하므로 탈진이 매우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으며,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 필터 케이지 2: 필터백
10: 상부캡 12: 하부캡
14: 지지프레임 16: 지지링
30: 필터백 케이지
32: 몸체부
32a: 제1 코일스프링 32b: 제2 코일스프링
32c: 연결프레임
34: 상부캡 36: 하부캡
38: 지지축
100: 집진장치

Claims (5)

  1. 신축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코일경이 일정한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하부가 개방된 상부캡;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일단이 막힌 하부캡;으로 이루어지는 집진기에 사용되는 필터백을 지지하는 필터백 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의 중앙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링이 위치하며, 상기 고정링은 고정바에 의해 상기 상부캡과 연결 고정되고,
    상기 몸체부의 중앙에는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 형상의 지지축이 위치하며,
    상기 지지축의 하단은 상기 하부캡과 결합되고, 상기 지지축의 상단은 상기 고정링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타입 필터백 케이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지지축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타입 필터백 케이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제1 코일스프링과 제2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코일스프링의 하단과 제2 코일스프링의 상단은 각각 연결프레임에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타입 필터백 케이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내부가 상하로 개방된 형상이되 중앙부에는 상기 지지축이 유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삽입링이 위치하며, 상기 삽입링은 고정바에 의해 상기 연결프레임과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타입 필터백 케이지.
KR1020110044033A 2011-05-11 2011-05-11 스프링 타입 필터백 케이지 KR101084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033A KR101084892B1 (ko) 2011-05-11 2011-05-11 스프링 타입 필터백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033A KR101084892B1 (ko) 2011-05-11 2011-05-11 스프링 타입 필터백 케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4892B1 true KR101084892B1 (ko) 2011-11-17

Family

ID=45397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033A KR101084892B1 (ko) 2011-05-11 2011-05-11 스프링 타입 필터백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489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120B1 (ko) 2013-02-06 2014-08-21 대성종합이앤씨 주식회사 용기커버의 지지구조
WO2016182362A3 (ko) * 2015-05-12 2016-12-29 이충중 집진기용 카트리지 필터, 필터백 장착용 더블링 슬리브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331559A (zh) * 2018-12-09 2019-02-15 江苏华泽环保集团有限公司 一种便携式除尘滤袋
CN110604977A (zh) * 2019-10-21 2019-12-24 科林环保技术有限责任公司 组合式袋笼
KR20200014390A (ko) 2020-01-21 2020-02-10 하용진 나선형 철망 케이지와 그의 제조장치
KR102115820B1 (ko) 2020-01-09 2020-05-27 윤병조 백필터용 커넥터
CN111298549A (zh) * 2020-04-13 2020-06-19 苏州耀水源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脉冲袋滤式除尘设备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120B1 (ko) 2013-02-06 2014-08-21 대성종합이앤씨 주식회사 용기커버의 지지구조
WO2016182362A3 (ko) * 2015-05-12 2016-12-29 이충중 집진기용 카트리지 필터, 필터백 장착용 더블링 슬리브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331559A (zh) * 2018-12-09 2019-02-15 江苏华泽环保集团有限公司 一种便携式除尘滤袋
CN110604977A (zh) * 2019-10-21 2019-12-24 科林环保技术有限责任公司 组合式袋笼
KR102115820B1 (ko) 2020-01-09 2020-05-27 윤병조 백필터용 커넥터
KR20200014390A (ko) 2020-01-21 2020-02-10 하용진 나선형 철망 케이지와 그의 제조장치
CN111298549A (zh) * 2020-04-13 2020-06-19 苏州耀水源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脉冲袋滤式除尘设备
CN111298549B (zh) * 2020-04-13 2021-08-10 湖南从义电炉设备有限公司 一种脉冲袋滤式除尘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892B1 (ko) 스프링 타입 필터백 케이지
US9644389B2 (en) Tent apparatus
US764856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d assembling a baghouse bag filter tensioning assembly
EP2078784A1 (en) Clothes airer
JP2019089057A (ja) 集塵器用フィルタバッグ
DE60310692D1 (de) Filterbeutel mit stützkäfig
RU147542U1 (ru) Каркас фильтровального элемента рукавного фильтра с вертикальным расположением рукавов
KR102037668B1 (ko) 길이가변형 백 케이지가 구비된 여과집진장치
KR20060074812A (ko) 버그 필터용 리테이너
US20150121822A1 (en) Filter cage and filter assembly for baghouse filter
KR200458972Y1 (ko) 주름형 필터백의 고정밴드
CN106512583A (zh) 可折叠除尘袋笼及其工作方法
JP2016003556A (ja) テント用ポール
KR101690875B1 (ko) 집진기용 필터체 제조장치
ITMI941053A1 (it) Dispositivo per lo smorzamento delle vibrazioni in condotti dei gas di scarico di autoveicoli
CN206366266U (zh) 可折叠除尘袋笼
KR101718230B1 (ko) 하단 매트리스 지지프레임
KR102272638B1 (ko) 와이어 네트 제조장치
JPS5918105B2 (ja) 放電電極の緊張装置
CN208662393U (zh) 建筑用桩基钢筋笼定位装置
CN203634976U (zh) 脉冲扁布袋除尘器及其滤袋支撑结构
CN203852954U (zh) 除尘器中过滤布袋的骨架
CN103028294A (zh) 一种脉冲袋式除尘器滤袋
CN212228576U (zh) 一种水泥砂浆试件用抗压夹具
KR20190131835A (ko) 집진기용 필터카트리지의 여과포 지지용 리테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