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619B1 - 임산부용 침대 - Google Patents

임산부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619B1
KR101084619B1 KR1020080138269A KR20080138269A KR101084619B1 KR 101084619 B1 KR101084619 B1 KR 101084619B1 KR 1020080138269 A KR1020080138269 A KR 1020080138269A KR 20080138269 A KR20080138269 A KR 20080138269A KR 101084619 B1 KR101084619 B1 KR 101084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pregnant woman
bed body
belly
pregn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9717A (ko
Inventor
윤상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데코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데코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데코라이프
Priority to KR1020080138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619B1/ko
Publication of KR20100079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20/025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regnant wom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12Folding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20/026Supports for lying in a pro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84Head or ne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산부가 엎드린 자세로 쉬거나 독서 등을 할 수 있도록 한, 임산부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임산부용 침대는, 임산부가 엎드리는 침대본체의 중앙부에 임산부의 돌출한 배를 넣을 수 있는 배삽입공이 관통형성되고, 배삽입공에서 침대본체 아래로 임산부의 배가 돌출한 정도에 따라 하강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배받침대가 구비됨으로써, 임산부의 배가 돌출된 정도에 관계 없이 편안하게 엎드릴 수 있도록 한 구조에 특징이 있다.
침대, 임산부, 태교

Description

임산부용 침대{The bed for a pregnant woman}
본 발명은, 임산부가 엎드린 상태로 쉬거나 독서 등을 할 수 있도록 한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엎드린 임산부의 돌출한 배를 넣을 수 있는 배삽입공이 침대본체의 중앙부에 관통형성되고, 엎드린 임산부의 배가 하향 돌출한 상태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한 배받침대가 상기 배삽입공에 결합됨으로써, 임산부의 배가 돌출한 정도에 관계 없이 모든 임산부가 편안하게 엎드릴 수 있도록 한, 임산부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온돌 및 좌식 생활이 오랜동안 유지되었던 국내에도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그 편리성 때문에 여전히 온돌식 방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입식생활에 기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침대가 널리 보급되어 근래에는 거의 모든 가정에 침대를 가지고 있다.
매일 요와 이불을 펴고 개는 불편함이 없는 침대는, 다양한 종류와 구조가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누워서 잠을 잘 수 있도록 상면이 평탄한 구조를 갖는 바, 종래의 일반적인 침대는 배가 나온 임산부가 사용하기에 적합치 않다는 단점이 있다.
임산부의 경우, 개개인마다 다르기는 하나, 대략 임신 4∼5개월 경부터 배가 나오기 시작하는데, 배가 나오기 시작하면서는 엎드리기도 어려워지고, 그 정도는 출산하기 전까지 점차적으로 더욱 심해진다.
즉 배가 많이 나온 임산부의 경우 엎드린 자세는 물론 앉아 있기도 힘이 들기 때문에 눕거나 다른 지지수단에 기대 상태로 비스듬히 앉아 휴식을 취하게 되는데, 배가 많이 나오면 누워있기도 힘이 들게 된다.
따라서 임신 중기 이후에는 엎드린 자세로 편히 쉬거나 잠을 잘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쉬는 경우에도 편안한 자세를 취하기 어렵기 때문에 독서를 하거나 태교음악을 듣는 등 여가활동을 하기가 불편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임산부가 엎드린 자세로 쉬거나 잠을 잘 수 있도록 한 침대가 개발되었는 바,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1-99119호에 임산부를 위한 "침대"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의 침대는, 엎드린 임산부의 하향 돌출된 배를 넣을 수 있는 홈이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홈 내에 공기의 주입과 배출이 가능한 에어쿠션이 구비됨으로써, 임산부의 배가 돌출한 정도에 따라 에어쿠션에 적절한 공기를 주입하여 홈에 넣어진 임산부의 배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상기 발명의 침대는 엎드린 임산부의 배를 넣을 수 있는 홈과, 홈 내에 위치한 배를 지지할 수 있는 에어쿠션이 구비됨으로써, 임산부가 엎드린 자세로 쉬거나 잠을 잘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장점은 있으나, 침대의 상면에 홈이 형성된 구조이기 때문에 출산 후의 사용에는 적합치 않은 단점이 있다.
즉 사람이 눕게 되는 침대 상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상 바람직 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홈 위에 눕기도 불편한 바, 임산부가 아닌 사람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홈 내부에 충진재를 넣어 홈을 포함한 침대의 상면이 평탄하도록 해 주어야만 한다.
또한 임산부가 사용하는 경우에도 단지 엎드릴 수 있는 단순한 기능만을 가지고 있는 등 활용성이 부족하다.
본 발명은, 임산부를 위한 종래의 침대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임산부가 엎드린 자세로 쉬거나 잠을 잘 수 있음은 물론, 출산 후에는 일반침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임산부용 침대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엎드린 자세에서 태아에게 태교음악을 효과적으로 들려 주거나 동화책 등을 읽어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엎드린 자세로 무리 없이 편안하게 독서를 할 수 있는 임산부용 침대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임산부가 눕거나 엎드리게 되는 침대본체의 중앙부에 관통형성된 배삽입공과; 침대본체 상면에 홈이 형성되지 않도록 배삽입공에 형합결합된 상태에서 침대본체 상면 아래로 하향 이동가능한 배받침대와; 침대본체의 전방단부 아래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독서대와; 침대본체 일측에 결합된 음악재생기와; 배받침대에 내장되는 스피커; 등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임산부용 침대는 배받침대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임산부의 배가 돌출된 정도에 관계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배받침대의 상면과 침대본체의 상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출산 후에는 일반침대로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배를 지지하는 배받침대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하여 뱃속의 태아에게 태교음악 등을 효과적으로 들려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엎드린 자세 그대로 편한하게 독서를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임산부가 엎드린 자세로 쉬거나 잠을 잘 수 있도록 한 임산부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임산부용 침대는, 엎드린 임산부의 배가 하향 돌출된 정도에 따라 침대본체의 상면 아래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받침대가 침대본체의 중앙부의 배삽입공에 결합되되, 침대본체의 상면과 배받침대의 상면이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구조에 특징이 있다.
즉 침대본체의 상면과 배받침대의 상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배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한 상태에서는 배가 거의 나오지 않거나 나오가 시작하는 임신 1∼3개월정도의 초기임산부는 물론, 임산부가 아닌 사람도 본 발명의 임산부용 침대를 일반침대로 사용할 수 있고, 배받침대를 침대본체의 상면 아래로 하강시켜 그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배가 돌출한 정도에 관계 없이 모든 임산부가 엎드린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임산부용 침대에는 임산부가 엎드린 상태에서 책을 볼 수 있도록 채을 올려 놓는 독서대가 구비되고, 음악을 재생하거나 마이크를 연결할 수 있는 음악재생기가 결합되며, 배받침대에 스피커를 내장하는 경우 임산부는 엎드린 자세에서 잠을 자거나 독서를 하면서 태아에게 태교음악을 더욱 쉽게 들 려 줄 수가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본 발명 일실시예 임산부용 침대의 사시도를, 도 2에 측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임산부용 침대는,
엎드린 임산부의 돌출한 배를 넣을 수 있는 배삽입공(H)이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침대본체(10)와;
상기 침대본체(10)에 결합된 상태로 바닥에 놓여져 침대본체(10)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침대본체(10)를 지지하는 지지체(20)와;
상기 침대본체(10)의 배삽입공(H) 내경부에서부터 침대본체(10)의 상면 아래로 하강 가능토록 침대본체(10) 또는 지지체(20)에 결합되는 배받침대(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임산부용 침대에서 임산부의 배를 받치기 위한 배받침대(30)는 배삽입공(H)에서 그 아래까지 상·하로 왕복이동 가능한 구조로서 이러한 구조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한 바, 배받침대(30)를 배받침부재(30A), 평기어(30B), 모터(30C) 및 브라켓트(30D) 등으로 구성한 구조를 예로 들 수 있다.
즉 상기 배받침부재(30A)의 저면에 브라켓트(30D)를 결합하고, 브라켓트(30D)의 일단에 평기어(30B)를 직립 결합하며, 평기어(30B)의 이빨에 치합되는 원형기어가 구비된 모터(30C)를 구비함으로써, 모터(30C)의 회전에 의해 상기 평기어(30B)와 브라켓트(30D) 및 배받침대부재(30A)를 상·하로 왕복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 외에, 상기 모터(30C)를 이용하지 않고 손으로 직접 원형기어를 돌리는 구조, 배받침대부재(30A)의 중량을 이용하여 배받침대부재(30A)에 연결된 와이어를 권취하거나 해권하는 구조, 엑츄에이터를 이용한 구조 등 배받침대(30)의 상·하 왕복구조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임산부용 침대는 물론 일반침대에 엎드리는 경우 침대본체(10)의 상면에 얼굴의 정면부가 닿지 않도록 얼굴을 돌려 침대본체(10)의 상면에 얼굴의 측면이 닿도록 하게 되는데, 얼굴을 돌린 자세가 장시간 유지되면 목에 무리가 갈 수 있다.
따라서 엎드린 상태에서 얼굴을 돌릴 필요 없이 얼굴 정면을 하향시킬 수 있도록 상기 침대본체(10)의 전방단부에, 이마와 밀착된 상태로 머리를 지지할 수 있는 머리받침대(11)를 결합할 수가 있다.
이때 침대본체(10)의 상면에 엎드려 머리받침대(11)에 이마를 밀착한 상태에서 침대본체(10)의 상면이나 머리받침대(11)의 상면이 안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머리받침대(11)와 침대본체(10) 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되도록, 즉 머리받침대(11)에 이마를 댄 상태에서 상기 빈공간을 통하여 침대본체(10)의 아래를 바라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독서 시 얼굴이 완전히 침대본체(10)를 벗어난 상태에서 이마만이 상기 머리받침대(11)에 지지되는 경우 목에 무리를 줄 수 있는 바, 얼굴 테두리부가 침대본체(10)에 지지될 수 있도록 침대본체(10)의 전방단부에 얼굴지지홈(G1)을 구비할 수도 있는데, 상기 얼굴지지홈(G1)의 크기에 따라 상기 머리받침대(11)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침대본체(10)의 전방단부 아래에 위치하는 지지체(20)에 책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판상의 독서대(21)를 회동가능토록 결합할 수가 있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침대본체(10)의 상면에 엎드려 이마를 상기 머리받침대(11)에 지지한 상태에서 머리받침대(11)와 침대본체(10) 사이의 빈공간을 통하여 상기 독서대(21)에 올려 놓은 책을 편안히 볼 수가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침대본체(10)에 엎드린 상태에서 침대본체(10) 아래의 독서대(21)에 놓인 책을 보는 경우, 일반적으로 침대본체(10)의 폭이 사람의 가슴 폭보다 크기 때문에 손으로 책장을 넘기기가 거의 불가능하거나 몸을 일측으로 움직여야 하는 등 매우 불편하다.
따라서 침대본체(10)의 상면에 엎드린 임산부의 어깨부위에 대응하는 침대본체(10) 전방부의 폭방향 양 단부에, 어깨와 접한 팔의 상부가 들어갈 수 있는 팔삽입홈(G2)을 각각 구비하여 팔 전체를 침대본체(10) 아래로 뻗은 상태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책장을 손쉽게 넘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독서대(21)를 침대본체(10)의 상면 위로 회동가능한 구조로 결합하여 앉은 자세에서도 독서가 가능토록 할 수도 있다.
임산부에게는 편안한 자세로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시간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나, 임신 중 지속적으로 태교를 위한 기회가 주어지도록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바, 침대에 엎드린 자세에서 태교음악 등을 들려 줄 수 있도록, 손이 쉽게 닿을 수 있는 침대본체(10) 또는 지지체(20)의 일측에 카세트, 씨디플레이어, 엠피쓰리(MP3) 등과 같이 음악이나 소리를 녹음 및 재생할 수 있는 음악재생기(40)를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임산부가 직접 동화책 등을 읽어 줄 수 있도록 상기 음악재생기(40)에 마이크(M) 사용기능을 구비하고, 배를 지지하는 배받침대(30)에 스피커(S)를 내장함으로써, 작은 음량의 소리도 태아에게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임산부의 배가 많이 나옴으로써 이를 지지하기 위한 배받침대(30)가 침대본체(10)의 저면 아래로 하강하는 경우에는 임산부의 배가 임산복만이 덮혀진 그대로 침대본체(10)의 저면 아래 외부에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배삽입공(H)에 접한 침대본체(10)의 저면 또는 배삽입공(H)의 내주면과 배받침대(30)의 테두리부에, 평면도 상에서 폐루프를 이루는 섬유시트(50)의 상·하단부를 결합함으로써, 배받침대(30)가 침대본체(10)의 저면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임산부의 배가 상기 섬유시트(50)로 둘러싸이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임산부용 침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보관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침대본체(10)와 지지체(20)를 접이식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 임산부용 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 임산부용 침대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침대본체 11. 머리받침대
20. 배받침대 20A, 배받침부재
20B. 평기어 20C. 모터
20D. 브라켓트 30. 지지체
31. 독서대 40. 음악재생기
50. 섬유시트 G1. 얼굴지지홈
G2. 팔삽입홈 H. 배삽입공
M. 마이크 S. 스피커

Claims (9)

  1. 엎드린 임산부의 돌출한 배를 넣을 수 있는 배삽입공(H)이 관통 형성된 침대본체(10)와;
    상기 침대본체(10)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체(20)와;
    상기 침대본체(10)의 배삽입공(H) 내경부에서부터 침대본체(10)의 상면 아래로 하강 가능한 배받침대(3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침대본체(10)의 전방단부에는, 이마를 지지하는 머리받침대(11)가 결합되고,
    상기 머리받침대(11)와 침대본체(10)의 전방단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침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본체(10)의 전방단부 아래에 위치한 지지체(20)에는, 침대본체(10)의 아래에서 침개본체(10)의 위까지 회동가능한 독서대(21)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본체(10)의 전방부 일측 폭방향 양 단부에는, 팔을 넣을 수 있는 팔삽입홈(G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침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본체(10) 또는 지지체(20)의 일측에는, 음악재생기(4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침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재생기(40)용 스피커는, 배받침대(30)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침대.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재생기(40)에는, 마이크(M) 사용기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침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본체(10)와 배받침대(30)의 테두리부에는, 섬유시트(50)의 상·하단부가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침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본체(10)의 전방단부에는, 얼굴의 테두리부를 지지할 수 있는 얼굴지지홈(G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침대.
KR1020080138269A 2008-12-31 2008-12-31 임산부용 침대 KR101084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269A KR101084619B1 (ko) 2008-12-31 2008-12-31 임산부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269A KR101084619B1 (ko) 2008-12-31 2008-12-31 임산부용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717A KR20100079717A (ko) 2010-07-08
KR101084619B1 true KR101084619B1 (ko) 2011-11-17

Family

ID=42640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269A KR101084619B1 (ko) 2008-12-31 2008-12-31 임산부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46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4607A (zh) * 2019-01-23 2019-04-26 王琨 一种产科临床用产前诊断检查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872B1 (ko) * 2014-02-24 2015-03-04 이범진 책상 겸용 침대
KR102330039B1 (ko) 2020-05-29 2021-11-22 김우성 임산부용 쿠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266B1 (ko) * 2006-10-23 2008-02-04 이응재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266B1 (ko) * 2006-10-23 2008-02-04 이응재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4607A (zh) * 2019-01-23 2019-04-26 王琨 一种产科临床用产前诊断检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717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9365B2 (en) Pillow structure
US10085575B2 (en) Folding two section pillow comprised of horseshoe and contour pillows
US8516638B2 (en) Feeding pillow with removable support surface
US6581226B1 (en) Open frame pillow and head support system
US6973691B1 (en) Head, neck and upper body support pillow
EP1906905B1 (en) Support cushion for recumbent person
US20130145556A1 (en) Feeding pillow with protective surface
US20060282952A1 (en) Arched pillow assembly
JPH02500333A (ja) 中央開口部を有する所定輪郭形状の枕
US8719982B2 (en) Infant feeding pillow
KR101084619B1 (ko) 임산부용 침대
JP3132068U (ja) 枕装置
KR200449585Y1 (ko) 복부 측면받침 베개
KR102198403B1 (ko) 기능성 쿠션이 장착된 매트리스
CN201617509U (zh) 一种婴童助长椅
KR101062371B1 (ko) 침대 겸용 의자
JP2003052489A (ja) 背もたれ装置
JP3246674U (ja) 異なる厚さを有する枕
JP3234680U (ja)
CN220572347U (zh) 一种多功能孕妇枕
CN210695412U (zh) 垫子沙发两用型宠物窝垫
CN202504797U (zh) 一种美容保健床垫
US10492617B1 (en) Support apparatus for supporting a person's head above a mattress or other surface
KR100665859B1 (ko) 팔베개
KR20100003258U (ko) 시청용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