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603B1 - 파쇄장치 - Google Patents

파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603B1
KR101084603B1 KR1020040072747A KR20040072747A KR101084603B1 KR 101084603 B1 KR101084603 B1 KR 101084603B1 KR 1020040072747 A KR1020040072747 A KR 1020040072747A KR 20040072747 A KR20040072747 A KR 20040072747A KR 101084603 B1 KR101084603 B1 KR 101084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rotor
crushed
press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7148A (ko
Inventor
오야나기하루히코
이소미히데아키
마쯔모토카쯔토시
사카모토다이수케
카토요시아키
야마시로야수히사
Original Assignee
구보다 칸쿄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21604A external-priority patent/JP40190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22145A external-priority patent/JP443925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2214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7760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3772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22474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90932A external-priority patent/JP38799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28889A external-priority patent/JP4261434B2/ja
Application filed by 구보다 칸쿄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보다 칸쿄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7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8Ventilating, or influencing air cir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토사나 수분이 부착된 길이가 긴 수지의 곤포이어도 처리효율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일정한 크기의 수지편으로 파쇄할 수 있는 스크린 기구를 구비한 파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피파쇄물을 투입하는 수입 호퍼와, 상기 수입 호퍼의 하방에 배치되고, 둘레면에 복수개의 회전날이 설치되고, 수평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파쇄 로터와 상기 파쇄 로터에 대향 배치된 고정날로 이루어지는 파쇄처리부와, 상기 파쇄 로터의 하부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파쇄처리부(A)에서 파쇄처리된 피파쇄물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복수의 개구부(8c)가 형성된 스크린 기구(8)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파쇄장치로서, 개구부(8c)가 가늘고 길다란 구멍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 에지(8e)가 수평방향에 대해서 경사각 0도보다 큰 30도 이하의 범위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파쇄장치{CRUSH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축 전단 파쇄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축 전단 파쇄기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3은 파쇄처리부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4(a)는 파쇄 로터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스크린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만곡 형성되기 전의 스크린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스크린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스크린 기구의 요부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스크린판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스크린판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풍력 선별기구나 수분 배출기구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파쇄기용 고정날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파쇄기용 고정날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파쇄기의 일례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다.
도 15(a)는 종래의 파쇄기용 고정날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5(b)는 도 15(a)의 A-A단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6은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도 16(a)는 파쇄기의 회전축의 베어링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b)는 블레이드가 부착된 로터의 측면도이다.
도 17(a)는 일축 전단 파쇄기의 단면도이고, 도 17(b)는 파쇄부의 사시도이고, 도 17(c)는 호퍼 및 압압부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도 18(a)는 파쇄기의 회전축의 베어링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8(b)는 베어링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파쇄기의 회전축의 베어링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종래예를 나타내는 파쇄기의 회전축의 베어링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일축 전단 파쇄기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일축 전단 파쇄기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23(a)는 파쇄처리부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23(b)는 요부의 설명도이다.
도 24는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배출 호퍼의 설명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파쇄기의 처리능력을 나타내는 실험결과의 설명도이다.
도 26은 파쇄기의 운전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7은 파쇄기의 운전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8은 덩어리형상물의 파쇄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29는 종래 방법에 의한 덩어리형상물의 파쇄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30은 파쇄기의 운전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1은 파쇄기의 운전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2는 파쇄기의 운전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3은 파쇄기의 운전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4는 요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입(受入) 호퍼 3 … 압압기구
5 … 파쇄 로터 5a … 회전날
6 … 제 1 파쇄용 고정날 7 … 제 2 파쇄용 고정날
8 … 스크린 기구 8a … 프레임
8b … 스크린판 8c … 개구부
8d … 개구부 8e … 길이방향 에지
8f … 연통부 9 … 배출 호퍼
10A … 안내 슈트 30 … 통형상 프레임
34 … 블레이드 35 … 베어링 하우징
S1,S2 … 간극 S,S3 … 공간
33 … 개구부 A … 파쇄처리부
100 … 파쇄기용 고정날 110 … 맞물림 톱니
120 … 절단날 200 … 스페이서 블록
210 … 기립벽부
본 발명은 일축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 서술하면 피파쇄물을 투입하는 수입 호퍼와, 상기 수입 호퍼의 하방에 배치되고, 둘레면에 복수개의 회전날이 설치되고, 수평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파쇄 로터와 상기 파쇄 로터에 대향 배치된 고정날로 이루어지는 파쇄처리부와, 상기 파쇄 로터의 하부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파쇄처리부에서 파쇄처리된 피파쇄물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스크린 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자원 재활용 공정에 있어서, 재료를 종류마다 분별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불연 쓰레기나 불연의 거칠고 큰 쓰레기 등의 산업폐기물을 잘게 파쇄할 때에 파쇄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파쇄장치의 일례로서, 피파쇄물을 투입하는 수입 호퍼와, 상기 수입 호퍼의 하방에 배치되고, 둘레면에 복수개의 회전날이 설치되고, 수평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파쇄 로터와 상기 파쇄 로터에 대향 배치된 고정날로 이루어지는 파쇄처리부와, 상기 파쇄 로터의 하부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파쇄처리부에서 파쇄처리된 피파쇄물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스크린 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일축의 파쇄장치가 있다.
예컨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쇄장치는 파쇄실(파쇄처리부)(A) 내 에 설치된 파쇄 로터(5)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회전날(5a)과, 파쇄장치 본체측의 부착시트(6a)에 설치된 상기 회전날(5a)과 맞물리는 고정날(6)과, 상기 파쇄실(A)에 연결된 투입구(1a)로부터 투입된 피파쇄물(W)을 상기 파쇄 로터(5)에 밀착시키는 푸셔(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피파쇄물(W)은 푸셔(3)에 의해 상기 파쇄 로터(5)측에 눌려지고, 회전하는 파쇄 로터(5)의 회전날(5a)과 고정날(6)에 의해 파쇄되고, 스크린 기구(8)로부터 파쇄편(T)으로 되어 배출된다.
상기 스크린 기구(8)는 일본 특허 공개 2002-12654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상, 가공의 용이성 때문에 수십 밀리의 지름이며 다수의 둥근 구멍 또는 각진 구멍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스크린판이 사용되고 있고, 피파쇄물로서 생활쓰레기 등의 막힘 용이성에 대해서는 상기 회전날의 회전 궤적에 따른 방향으로 가늘고 길다란 구멍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것도 사용되고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파쇄장치는 전화제품, 건축 폐재, 플라스틱 등의 폐기물을 작은 사이즈로 파쇄하는 것이므로, 예컨대, 회수된 PET병 등이 폐 플라스틱 제품이 1m전후의 대략 입방체로 압축 포장된 곤포(bale) 등의 덩어리형상물을 수십 밀리의 파편으로 파쇄하여 재이용을 도모하는 것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피파쇄물로서 농업용 비닐시트 등, 길이가 긴 수지시트를 그대로 말아 회수하여 덩어리형상으로 압축된 곤포를 파쇄처리할 경우에는 회수시에 부착된 토사나 물에 의해 부피 비중이 증가하는 경우도 있고, 상술한 다수의 둥근 구멍형상의 개구부를 구비한 스크린 기구를 이용하면 파쇄처리부와 스크린 기구 사이에 피파쇄물이 축적되어 막힘이 생기고, 파쇄 효율이 크게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날의 칼끝에 파쇄된 비닐편이 두껍게 부착되어 고정날과의 사이에서의 파쇄처리가 지체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회전날의 회전 궤적을 따른 방향으로 가늘고 길다란 구멍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스크린 기구를 이용하면 막힘의 발생은 회피되지만 회수된 피파쇄물이 길이가 긴 형상이 되고, 그 결과, 파쇄 불충분으로 인하여 피파쇄물의 재이용이 곤란이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피파쇄물을 킬른로의 연료로서 재이용하는 경우에는 파쇄된 소경의 수지편이 로 내에 넣어지지만, 불충분한 파쇄에 의한 길이가 긴 수지편에서는 연료로서 로 내에 넣을 수 없고, 또한, 수지편에 대량의 토사나 물이 혼입되는 경우에도 발열량이 떨어진다는 문제 등도 있었다.
삭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토사나 수분이 부착된 길이가 긴 수지의 곤포이어도, 처리효율을 저하시키는 일없고, 일정한 크기의 수지편으로 파쇄할 수 있는 스크린 기구를 구비한 파쇄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파쇄장치의 제 1 특징 구성은, 청구항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피파쇄물을 투입하는 수입 호퍼와, 상기 수입 호퍼의 하방에 배치되고, 둘레면에 복수개의 회전날이 설치되고, 수평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파쇄 로터와 상기 파쇄 로터에 대향 배치된 고정날로 이루어지는 파쇄처리부와, 상기 파쇄 로터의 하부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파쇄처리부에서 파쇄처리된 피파쇄물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스크린 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파쇄장치로서, 상기 개구부가 가늘고 길다란 구멍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 에지가 수평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토사나 수분이 부착된 길이가 긴 수지의 곤포가 호퍼에 투입되고, 파쇄처리부에서 회전날에 의해 파쇄되지만, 충분히 파쇄되지 않고 어느 정도의 길이가 긴 상태 그대로 파쇄처리부와 스크린 기구 사이에 보내진 피파쇄물은, 그 일부가 개구부로부터 돌출하여 에지에 의해 절단되므로, 어느 정도 잘게 파쇄되도록 되는 것이다. 즉, 스크린 기구와 파쇄처리부 사이에서 회전날에 끌려지는 피파쇄물의 일부가 개구부로부터 돌출되면 경사 자세의 에지와 접촉하여 경사 방향으로 끌려지고, 이 때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길이가 긴 피파쇄물이 잘게 재단되도록 되는 것이고, 재단된 피파쇄물은 하방으로 낙하되므로, 개구부의 막힘이 일어날 우려가 크게 경감되는 것이다. 또한, 피파쇄물이 개구부의 에지에 부딪친 충격에 의해 강고하게 부착되어 있던 토사이더라도 떨어지기 쉽게 되고, 또한 수분을 제거하는 작용도 생기는 것이다.
제 2 특징 구성은, 청구항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 특징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개구부가 가늘고 길다란 구멍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 에지 중 상기 파쇄 로터의 회전방향을 따라 하류측의 에지가 수평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고, 상기 회전날의 궤적을 따라 상기 에지의 경사방향이 교대로 전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피파쇄물을 상기 회전날과 상기 에지 사이에서 재단하는 점에 있다.
삭제
스크린 기구와 파쇄처리부 사이에서 회전날에 끌려지고, 개구부로부터 일부가 돌출된 피파쇄물이 경사 방향을 따라 끌려지고, 재단되는 것이지만, 에지의 경사 방향이 일방향으로만 경사져 있으면, 회전날의 궤적이 개구부의 길이방향 에지의 좌우 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경우에 충분한 슬라이딩 거리를 가질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날의 궤적을 따라 상기 길이방향 에지(8e)의 경사방향이 교대로 전환되도록 구성되므로, 회전날(5a)의 궤적이 개구부(8c)의 길이방향 에지의 좌우 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경우이더라도, 어느 하나의 에지에 의해 충분한 슬라이딩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회전날과 개구부의 좌우의 상대위치에 관계없이 균등하게 파쇄처리가 실행되도록 되는 것이다.
제 3 특징 구성은, 청구항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 또는 제 2 특징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길이방향 에지의 수평방향에 대한 경사각이 30도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점에 있고, 이와 같은 각도를 채용함으로써 높은 재단효과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경사각이 30도보다 크게 설정되는 경우에는 개구부의 에지에 의한 재단효과가 크게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제 4 특징 구성은, 청구항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 또는 제 2 특징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길이방향 에지의 경사 방향이 상기 회전날의 회전방향을 따라 교대로 전환되도록 형성되고, 또한, 경사의 전환위치에서 상기 개구부가 연통하고 있는 점에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린 기구와 파쇄처리부 사이에서 회전날에 끌려지고, 개구부(8c)로부터 일부가 돌출된 피파쇄물이 경사 방향을 따라 끌려져도 재단되지 않는 경우에, 피파쇄물의 일부가 돌출한 상태 그대로 경사 방향이 다른 개구부(8c)의 에지(8c)에 계속 슬라이딩되므로, 재단 효율이 향상하게 되는 것이다.
제 5 특징 구성은, 청구항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 또는 제 2 특징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회전날은 상기 파쇄 로터의 축심방향을 따라 파형이 되도록 부착되어 있는 점에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파쇄 로터의 회전에 따른 파형의 산부(山部)로부터 곡부(谷部)를 향해 피파쇄물을 파쇄하도록 복수의 회전날이 작용하므로, 파쇄된 피파쇄물이 파쇄 로터의 축심을 따르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힘이 작용한다. 이 때, 파쇄처리부와 스크린 기구 사이에 보내진 피파쇄물끼리가 마찰되어 피파쇄물에 부착되어 있는 토사 등의 부착물이나 수분이 효과적으로 분리 제거되게 되는 것이고, 또한, 경사진 길이방향 에지와 효과적으로 마찰되어 재단 효율이 높아지는 것이다.
제 6 특징 구성은, 청구항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 또는 제 2 특징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스크린 기구의 하부에, 통과한 피파쇄물을 풍력에 의해 선별하는 풍력 선별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상술한 스크린 기구를 통과한 피파쇄물은 수분이나 토사 등의 부착물이 분리되고, 각각이 스크린 기구로부터 낙하하게 된다. 그래서, 스크린 기구의 하부에 풍력 선별기구를 설치하여, 낙하물에 바람이 불게 하여, 낙하하는 토사 등의 밀도의 큰 것과 수지 등의 밀도가 작은 것을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 7 특징 구성은, 청구항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 또는 제 2 특징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스크린 기구의 하부에, 통과한 피파쇄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배출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회전날에 의해 파쇄되거나, 혹은, 개구부의 길이방향 에지에 의해 재단될 때에 수분이 제거되게 되지만, 상기 스크린 기구의 하부에 수분 배출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낙하한 피파쇄물의 수분 함유율을 저하시켜, 양호한 연료로서 재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 8 특징 구성은, 청구항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 또는 제 2 특징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고정날은 상기 회전날과의 맞물림 톱니가 양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날과 협동하여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절단날이 상기 맞물림 톱니의 표면측 및 이면측에 형성되어 있고, 파쇄처리부에 설치된 부착시트에 대해서 뒤집기 및 180도 회전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삭제
즉,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양측면에 맞물림 톱니를 갖고, 이 맞물림 톱니의 양면에 절단날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180도 선회시켜, 혹은 뒤집어서 부착시트에 고정함으로써 합계 4개소의 절단날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절단날이 양측면의 맞물림 톱니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단날에 높은 치수 정밀도를 설정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파쇄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축 전단 파쇄기는, 피파쇄물을 투입하는 수입 호퍼(1)와, 상기 수입 호퍼(1)의 하방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회전날(5a)이 설치되어 회전 축(도 3에 5d로 나타내는) 둘레로 회전하는 파쇄 로터(5)와 상기 파쇄 로터(5)에 대향 배치된 고정날(6)로 이루어지는 파쇄처리부(A)와, 상기 파쇄처리부(A)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피파쇄물을 압압하는 압압기구로서의 압입 푸셔(3)와, 상기 파쇄처리부(A)에서 파쇄처리된 피파쇄물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스크린 기구(8)와, 상기 스크린 기구(8)를 통과한 피파쇄물을 수용하는 배출 호퍼(9)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 압압기구(3)는, 유압 펌프(도시 안함)로부터의 압유(壓油)가 유압 실린더(13)에 보내지고, 유압 실린더(13)의 피스톤(13a)이 연결 암(13b)을 통해 압입 푸셔(3)의 후단에 연결되고, 이로써, 받침판(4) 상을 슬라이딩가능하게 또한 진퇴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본체 프레임(2)의 측벽에 설치한 안내 부재(3a)에 의해 압입시에 피파쇄물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떠오르지 않도록 안내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쇄처리부(A)는, 받침판(4)의 일단과 본체 프레임(2)의 측벽 사이에 설치되어, 복수개의 회전날(5a)이 설치된 파쇄 로터(5)와, 파쇄 로터(5)를 중심으로 하는 대칭위치에 이것을 사이에 두고 받침판(4)의 끝에 설치된 제 1 파쇄용 고정날(6)과, 반대측에 설치된 제 2 파쇄용 고정날(7)로 구성된다. 파쇄 로터(5)는, 유도전동기(11)로부터의 출력축에 부착된 풀리(11a)와 벨트(12a)로 연결된 감속기(12)의 출력축과 연결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쇄 로터(5)의 표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복수의 V자 형상의 홈(5v)이 소정의 피치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이 V자 홈(5v) 내에 복수개의 회전날(5a)이 부착시트(5c)를 통해 나사 부착되고, 각 회전날(5a)은 서로 인접하는 V자 홈(5v)에 설치되어 있는 것끼리가 그 정점을 연결하면 파형(지그재그형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 기구(8)는, 도 4(a)에 나타내는 파쇄 로터(5)의 하부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고, 도 1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 원호형상의 프레임(8a)의 내주에 복수의 개구부(8c)가 형성된 스크린판(8b)을 볼트 고정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판(8b)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두께 수십 밀리의 스테인레스제의 판형상체에, 그 세로방향을 따라 연속하는 개구부(8c)를 가로방향으로 복수개 뚫어 형성한 것을,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쇄 로터(5)의 하부 둘레면을 따르도록 호상(弧狀)으로 만곡 형성하고 있다.
각 개구부(8c)는, 그 길이방향 에지(8e)가 수평방향에 대해서 각도 θ로 경사지는 복수의 개구부(8d)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길이방향 에지(8e)의 경사 방향이 상기 회전날(5a)의 회전방향을 따라 교대로 전환되도록 형성되고 있고, 경사의 전환위치의 연통부(8f)에서 상기 개구부(8d)가 연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8d)의 길이방향 에지(8e)가 수평방향에 대해서 이루는 경사각(θ)은 0<θ≤30도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으면 소정의 재단효과가 얻어지지만, 대략 20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 호퍼(9)의 저부에는 스크류 컨베이어 기구(9a)가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 기구(8)를 통과한 피파쇄물이 배출 호퍼(9)에 낙하된 후에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기구(9a)에 의해 상기 배출 호퍼(9)의 측벽에 설치한 배출구(9b)(도 2참조)로부터 기기 밖으로 반출된다.
상기 수입 호퍼(1)에 투입된 피파쇄물은, 압입 푸셔(3)에 의해 압압되어 상기 파쇄처리부(A)로 이동하고, 상기 회전 로터(5)에 설치된 회전날(5a)과 제 1 파쇄용 고정날(6) 사이에서 전단 파쇄되고, 상기 스크린 기구(8)와 파쇄처리부(A) 사이의 공간에 넣어진 후에, 다시 제 2 파쇄용 고정날(7)과의 사이에서 전단 파쇄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쇄처리부(A)에서 피파쇄물은, 회전날(5a)이 파형으로 배치된 회전 로터(5)의 회전에 따라 회전날(5a)의 파형의 산부분(W1)으로부터 곡부분(W2)을 향해 순차 파쇄되고, 파쇄된 피파쇄물에는 산부분(W1)으로부터 곡부분(W2)에 걸쳐 파쇄 로터(5)의 축심을 따르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힘이 작용한다.
이와 같은 파쇄처리가 반복됨으로써, 상기 스크린 기구(8)와 파쇄처리부(A) 사이의 공간에 넣어진 소편의 피파쇄물이 상기 스크린 기구(8)를 통해 배출 호퍼(9)에 낙하되는 것이다.
상술한 파쇄장치에서, 회수시에 부착된 토사나 물에 의해 부피 비중이 증가되어 있는 농업용 비닐시트 등, 길이가 긴 수지시트를 그대로 말아 회수하여 덩어리형상으로 압축된 곤포를 파쇄처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파쇄처리부(A)에서 회전날(5a)에 의해 순차 파쇄되지만, 충분히 파쇄되지 않고 어느 정도의 길이가 긴 형상 그대로 상기 파쇄처리부(A)와 상기 스크린 기구(8)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보내진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R1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날(5a)에 의해 상기 공간 내에서 둘레방향으로 반송될 때에, 상기 개구부(8d)로부터 돌출된 피파쇄물(D)은, 상기 개구부(8d)의 길이방향 에지(8e)와의 사이에서 화살표 R2방향으로 마찰되어 절단되어 어느 정도 잘게 파쇄된다. 즉, 상기 스크린 기구(8)와 상기 파쇄처리부(A) 사이에서 상기 회전날(5a)에 끌려지는 피파쇄물의 일부가 상기 개구부(8d)로부터 돌출하면, 경사 자세의 에지(8e)와 접촉하여 경사 방향으로 끌려지고, 이 때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길이가 긴 피파쇄물이 잘게 재단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파쇄시의 충격이나 피파쇄물이 개구부(8d)의 에지(8e)에 부딪친 충격에 의해 강고하게 부착되어 있던 토사여도 떨어지기 쉽게 되고, 또한 수분을 제거하는 작용도 생긴다.
상기 개구부(8c)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길이방향 에지(8e)의 경사 방향이 상기 회전날(5a)의 회전방향을 따라 교대로 전환되도록 형성되고, 또한, 경사의 전환위치에서 상기 개구부(8d)가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날(5a)의 궤적이 상기 개구부(8d)의 길이방향 에지(8e)를 따라 좌우 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경우이더라도, 어느 하나의 에지에 의해 충분한 슬라이딩 거리를 확보할 수 있고, 상기 회전날(5a)과 상기 개구부(8d)의 좌우의 상대위치에 관계없이 균등하게 파쇄처리가 실행되게 되고, 또한, 상기 개구부(8d)로부터 일부가 돌출된 피파쇄물이 경사 방향을 따라 끌려져도 재단되지 않는 경우에, 피파쇄물의 일부가 돌출한 상태 그대로 경사 방향의 다른 개구부(8d)의 에지에 계속 슬라이딩되므로, 재단 효율이 향상하게 되는 것이다.
파쇄 로터로서 외주면에 V홈이 없이 평탄한 파쇄 로터에 55mm 각의 사이즈의 회전날을 108개 설치하고, 제 2 파쇄용 고정날(7)을 제거한 파쇄장치에 의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8d)의 폭(W)을 54mm, 길이방향 에지(8e)의 정사영(正射影)거리(L1)를 100mm, 수평방향과 이루는 경사각(θ)을 20도, 연통부(8f)의 폭(L2)을 21mm로 각각 설정한 상기 스크린판(8b)을 이용하여, 로터 회전수 70rpm으로 설정하여, 농업용 비닐시트를 그대로 말아 회수하여 덩어리형상으로 압축된 부피 비중 대략 530kg/㎥의 곤포에 대한 파쇄처리실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피파쇄물의 대략 90%가 50mm 각 이하의 입도로 파쇄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상술한 실험에 있어서, 개구부(8d)의 길이방향 에지(8e)의 수평방향에 대한 경사각(θ)이 30도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면, 막힘이 없는 상태로 파쇄처리가능하므로, 특히 경사각(θ)이 대략 20도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 높은 파쇄 효율이 얻어지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형태를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스크린판(8b)에 형성된 개구부(8c)가, 길이방향 에지(8e)의 경사 방향이 상기 회전날(5a)의 회전방향을 따라 교대로 전환되도록 개구부(8d)가 형성되고, 또한, 경사의 전환위치에서 개구부(8d)가 연통하도록 구성된 것을 설명하였지만, 적어도, 개구부(8c)가 가늘고 길다란 구멍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 에지(8e)가 수평방향에 대해서 경사각(θ)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면 좋고, 경사각(θ)은 0<θ≤30도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으면 좋다.
예컨대,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린판(8b)에 개별의 개구부(8d)가 회전날의 회전방향 R1을 따라 그 길이방향 에지(8e)의 경사 방향이 서로 다르도록 분산되어 형성되는 것이어도 좋고,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경사 방향을 따라 경사 에지(8e)가 길게 연장된 개구부(80d)의 사이에, 경사 방향이 다르고, 경사 에지(8e)가 짧은 복수의 개구부(81d)가 복수 형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경사각(θ)이 0<θ≤30도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린판(8b)에 개별의 개구부(81d)가 회전날의 회전방향 R1을 따라 그 길이방향 에지(8e)의 경사 방향이 서로 다르도록 파형으로 형성되는 것이어도 좋고,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경사 방향으로만 경사진 복수의 길이가 긴 개구부(81d)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경사각(θ)이 0<θ≤30도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상술한 어떠한 스크린판(8b)이어도 파쇄기의 규모나 파쇄 대상물에 따라서 그 판두께를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형성된 개구부 근방에 필요에 따라 리브 등의 보강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배출 호퍼(9)의 저부에 스크류 컨베이어 기구(9a)가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 기구(8)를 통과한 피파쇄물이 배출 호퍼(9)에 낙하된 후에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기구(9a)에 의해 상기 배출 호퍼(9)의 측벽에 설치한 배출구(9b)로부터 기기 밖으로 반출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피파쇄물이 토사나 수분이 혼합된 농업용 비닐시트를 그대로 말아 회수하여 덩어리형상으로 압축된 곤포 등인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 기구(8)의 하부에 풍력 선별기구를 설치하여 낙하된 피파쇄물을 풍력에 의해 토사와 분리하여 회수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상세히 서술하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 기구(8)의 하부에 설치한 배출 호퍼(9)의 기단측(90)으로부터 타단측(91)을 향해 송풍하는 송풍 덕트(92)를 설치하고, 송풍기(93)로부터 상기 송풍 덕트(92)를 향해 송풍함과 아울러, 상기 배출 호퍼(9)를 송풍 방향을 따라 2영역으로 분할하고, 타단측의 영역(94)에 피파쇄물이 선별 회수되고, 기단측의 영역(95)에 토사나 물방울이 낙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 때, 타단측의 영역(94)에 회수 덕트(96)를 설치하고, 회수 덕트(96)의 선단측에 배치된 유인 송풍기에 의해, 회수된 피파쇄물이 그대로 회수 덕트(96)를 통해 흡인 반송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단측의 영역(95)의 저부에 낙하된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배출기구로서의 배수로(97)를 설치하고, 피파쇄물에 포함되어 있었던 수분을 파쇄가 끝난 피파쇄물로부터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작은 입경으로 파쇄되어 회수된 비닐을 효율적으로 재이용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상술한 풍력 선별기구나 수분 배출기구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구체적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 제 2 실시형태로서, 본 발명에 의한 파쇄기용 고정날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형태의 파쇄기용 고정날의 사용상태를 평면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도 11의 파쇄기용 고정날의 부착 부분을 확대 표시하고 있다. 도 13은, 도 11의 횡단면을 부분 확대 표시하고 있다. 도 11∼도 13에 도시한 파쇄기용 고정날(100)(이하, 「고정날(100)」로 기재한다.)은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파쇄기의 파쇄처리부(A) 내의 고정날(6)로서, 또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일축 파쇄기의 파쇄실(파쇄처리부)(A) 내에 설치된 부착시트(6a)에 고정되는 고정날(6)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1,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날(100)은 기본형상이 파쇄 로터(5)의 회전축(5d) 방향을 길이변으로 하는 직사각형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날(100)에는 회전날(5a)과의 맞물림 톱니(110)가 로터(5)와 면하는 길이 측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맞물림 톱니(110)는, 평면으로 바라봐서 V자 형상이며 상기 로터(5)측에 돌출하고, 로터(5)의 회전축(5d)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절단날(120)은 맞물림 톱니(110)와 고정날(100)의 표면(101a)측 및 이면(101b)측의 능선에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 톱니(110) 및 절단날(120)의 형태를 상기와 같이 형성하면, 고정날(100)은 합계 4개소의 절단날(120)을 갖는 것이 된다. 또한, 맞물림 톱니(110), 절단날(120)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날(5a)의 형태에 따라서 회전날(5a)과 협동해서 피파쇄물을 파쇄하도록 설정하면 좋다.
고정날(100)은 각 개소의 절단날(120)마다 사용할 수 있도록 점대칭 배열의 볼트 전용 관통구멍(130)이 형성되고 있고, 관통구멍(130)보다 소경의 볼트(140)를 관통구멍(130)에 삽입통과시키고, 각 관통구멍(130)과 대응하도록 부착시트(100a)에 형성된 볼트 구멍(150)과, 볼트(140)를 나사결합함으로써, 부착시트(100a)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고정날(100)은 부착시트(100a)에 대해서, 뒤집기 및 180도 회전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관통구멍(130)에 관통구멍(130)보다 소경의 볼트(140)를 삽입통과시키는 것은 후술의 조정값을 만들기 위해서이다.
그런데, 고정날(100)을 부착시트(100a)에 고정하는 경우, 고정날(100)의 양측면에 맞물림 톱니(11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로터(5)측과 반대측의 맞물림 톱니(110)의 톱니 사이에 간극이 생겨버린다. 그 때문에, 푸셔(3)에 눌려진 피파쇄물(W)이 걸리지 않도록 맞물림 톱니(110)의 톱니 사이 간극을 메울 필요가 있다. 그래서, 도 11∼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푸셔(3)의 슬라이딩면(S)과 부착시트(100a)와의 단차벽(100b)과, 고정날(100)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 블록(200)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페이서 블록(200)은 단차벽(100b)을 따라 이것과 밀착하는 기립벽부(210)에, 맞물림 톱니(110)의 톱니 사이 간극과 끼워맞춰지는 스페이서부(220)가 기립벽부(210)로부터 고정날(100)측으로 돌출된 것이다. 스페이서부(220)는 고정날(100)의 양단부와 중앙부에 있는 톱니 사이 간극과 끼워맞춰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스페이서부(220) 사이에는 스토퍼(300)를 삽입하면 좋다. 스토퍼(300)는 고정날(100)을 로터(5)측에 누름으로써 고정날(100)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것이다. 스토퍼(300)에는, 예컨대, 맞물림 톱니(110)의 톱니 사이 간극에 끼워넣어지는 수용부재(310)와, 기립벽부(210)와 수용부재(310) 사이에 끼워넣어지는 삽입부재(320)로 구성되고, 수용부재(310)와 삽입부재(320)의 각각에 삽입방향으로 테이퍼가 부착된 매끄러운 면이 형성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스페이서 블록(200)을 이용하여 고정날(100)을 부착시트(100a)에 고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부착시트(100a)에 스페이서 블록(200)을 설치한다. 사용하는 절단날(120)의 위치에 따라서, 고정날(100)을 180도 선회시키거나, 혹은 뒤집어서, 어느 한쪽의 맞물림 톱니(110)를 로터(5)측을 향해서, 다른쪽의 맞물림 톱니(110)를 스페이서부(220)와 맞물리도록 부착시트(100a) 상에 두고, 볼트(140)를 임시 고정한다. 스토퍼(300)를 설치하고, 삽입부재(320)의 삽입량을 조정하면서, 고정날(100)을 로터(5)측으로 밀어내 절단날(120)과 회전날(5a)의 간극을 조정한다. 조정이 종료되면 수용부재(310)와 삽입부재(320), 스페이서 블록(200)과 삽입부재(320)를 용접부(m)에서 점용접한 후, 볼트(140)를 완전히 체결한다. 최후에, 볼트(140)의 체결후, 관통구멍(130)과 볼트(140)의 간극, 고정날(100)과 스페이서 블록(200)의 간극에 수지 코킹을 행한다.
상기와 같이 스페이서 블록(200)을 이용하면, 스페이서 블록(200)이 로터(5)측과 반대측의 맞물림 톱니(110)의 톱니 사이 간극을 메우므로, 수지 코킹량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피파쇄물(W)이 걸리는 것에 의한 절단날(120)의 파손이 일어나기 어렵게 되고, 보다 운전비용과 정비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파쇄기용 고정날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파쇄기에 사용하는 것은 물론, 그 외의 구조의 일축 전단 파쇄기에도 사용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하에, 제 3 실시형태로서,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기구 또는 파쇄날이 사용가능한 파쇄기의 회전축의 베어링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베어링 구조가 채용되는 파쇄기는, 도 17(a)~도 1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파쇄물이 투입되 는 호퍼(1)와, 호퍼(1)에 투입된 피파쇄물을 파쇄처리하는 파쇄처리부(A)와, 파쇄처리부(A)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피파쇄물을 압압하는 제 1 압압기구(B)로서의 압입 푸셔(3)와, 호퍼(1) 앞끝 측벽에 파쇄처리부(A)를 향해 상방으로부터 피파쇄물을 압압함으로써 압입 푸셔(3)에 의한 피파쇄물의 압입시에 피파쇄물의 부상을 방지하는 제 2 압압기구(C)로서의 누름 장치(1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압입 푸셔(3)는 유압 펌프(도시 대략)로부터의 압유가 제 1 유압 실린더(13)에 보내지고, 제 1 유압 실린더(13)의 피스톤(13a)이 연결 암(13b)을 통해 압입 푸셔(3)의 후단에 연결되고, 이로써, 받침판(4) 상을 슬라이딩가능하게 또한 진퇴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본체 프레임(2)의 측벽에 설치한 안내 부재(3a)에 의해 압입시에 폐기물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떠오르지 않도록 안내된다.
파쇄부(A)는, 받침판(4)의 일단과 본체 프레임(2)의 측벽 사이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회전날(5a)을 설치하여 축심이 수평자세가 되도록 설치된 로터(5)와, 로터(5)를 중심으로 하는 대칭위치에 이것을 사이에 두고 받침판(4)의 끝에 설치된 제 1 파쇄용 고정날(6)과, 반대측에 설치된 제 2 파쇄용 고정날(7)로 구성된다. 로터(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양단부가 베어링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베어링부의 일단부측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에 커플러를 끼워 연결된 감속기의 출력축과, 유도전동기(11)로부터의 출력축에 설치된 풀리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로터(5)의 하방에는 다수의 작은 구멍이 형성된 배출 스크린(8)이 설치되고, 배출 스크린(8)로부터 회수부(10)에 낙하된 파쇄물이 스크류 컨베이어(9)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배출 반송된다.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5)는 그 외주에 V자 형상의 홈(5v)이 다수 소정의 피치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V자 홈(5v) 내에 복수개의 회전날(5a)이 부착시트(5c)를 통해 설치되어 있다. 회전날(5a)은 서로 인접하는 V자 홈(5v)에 설치되어 있는 것끼리가 그 정점을 연결하면 지그재그형상으로 되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 17(a), 도 1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장치(제 2 압압부)(14)는 호퍼(1) 측벽의 가이드(15)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원호면 형상의 낙하면(16)과 누름면(18)을 구비한 1/4의 원호 드럼으로 구성되고, 원호의 중심위치에서 중심축(17)에 고정되고, 호퍼 측방으로 돌출하는 중심축(17)의 끝이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다. 호퍼(1)의 외부에는, 상하의 설치 프레임(22,23) 사이에 걸치는 설치 프레임에 보호 커버(21)가 설치되고, 이로써, 원호 드럼의 호퍼(1) 앞끝벽으로부터 호퍼 내, 외로의 회전 이동할 때의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한, 누름 장치(14)의 내, 외로의 회전 이동을 허용하는 호퍼(1)의 앞끝벽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상하의 간극으로부터 파쇄물의 소편이 호퍼 밖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레이퍼(20,20)가 설치되어 있다.
중심축(17)의 양단이 호퍼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는 축끝에, 회전구동용 암(24)이 접속되고, 이 암(24)에 접속된 피스톤(25)과, 호퍼 측벽에 고정된 설치대(27)에 설치된 제 2 유압 실린더(26)로 이루어지는 유압기구에 의해 암(24)이 회전구동된다.
이하에, 로터(5)의 회전축의 베어링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서술한다. 도 20에 나타내는 종래의 회전축의 베어링 구조에 의하면, 로터(5)의 회전축(5d)이 베어링(3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중앙부 둘레면과 동일 지름으로 구성된 로터(5)의 단부 외표면과 통형상 프레임(30)의 내표면에 형성된 래버린스(labyrinth) 구조(30a)에 의해, 로터(5)가 통형상 프레임(3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또한, 로터(5)의 끝면 외주부에 형성된 래버린스 홈(5b)에 베어링 하우징(35)에 형성된 볼록부(35b)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베어링 하우징(35)이 통형상 프레임(30)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피처리물이 파쇄처리되어 생긴 수밀리 이하의 미소 입경의 분진 등이 로터(5)와 통형상 프레임(30)의 간극으로부터 침입하고, 래버린스 구조부를 포함하는 접합부에 현저한 마모와 온도 상승을 야기하고, 결국 분진 등은 로터(5)와 베어링 하우징(35)의 접합부를 마모하면서 깊게 침입하여, 오일 밀봉(35A)으로부터 베어링부에 도달하여 베어링(36)에 손상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접합부로의 분진의 침입, 진행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간극에 그리스 등의 밀봉용 오일을 주입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오일에 분진이 혼입되어 오히려 사태를 악화시키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합부로의 분진의 침입을 억제하고, 침입한 분진 등에 의한 베어링부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즉,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5)의 단부가 통형상 프레임(30)에 삽입됨과 아울러, 로터(5)의 회전축(5d)이 베어링 하우징(35)에 내부 삽입된 베어링(36)에 의해 지지 되고, 또한 회전축(5d)의 대경부에 삽입된 슬리브(5C)에 접촉되는 오일 밀봉(35A)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또한, 로터(5)의 끝면(5B)과 베어링 하우징(35) 사이에, 로터(5)의 단부 둘레면과 대향 배치된 통형상 프레임(30)이 이루는 간극(S1)보다 큰 간극(S2)을 갖는 공간(S)이 형성되고, 이로써, 간극(S1)으로부터 침입한 분진이, 끝면(5B)과 베어링 하우징(35)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에 도달하여도, 거기서부터 앞의 베어링(36)에 도달하는 일없이, 상기 공간(S)을 낙하하게 되므로, 베어링부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터(5)의 단부 외주에는 단부측 외주면이 모따기되고, 단면으로 바라봐서 거의 삼각형상의 경질의 금속 링(51)이 외측으로 끼워져서 고정되고, 로터(5)의 단부 외주면이 로터(5)의 중앙부 둘레면보다 대경으로 형성되고, 그 단차부에 의해 로터(5)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분진에 간극(S1)으로의 직접적인 침입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금속 링(51)에 대향하여 간극(S1)을 형성하는 통형상 프레임(30)의 내주부에는 동일한 경질의 금속 링(31)이 부착시트(32)에 내부 삽입하여 고정되고, 상기 간극(S1)에 침입하는 분진에 의한 마모를 저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금속 링(51)이 마모된 경우에는 통형상 프레임(30)으로부터 베어링 하우징(35)을 떼어내고, 부착시트(32)를 통형상 프레임(30)으로부터 떼어냄으로써 금속 링(31)이 교환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로터(5)의 단부에 외부 삽입된 금속 링(51)을 모따기하여 두는 것은, 상술한 금속 링(31)의 교환작업을 쉽게 하기 위함과 아울러, 부품의 경 량화와 비용 저감, 또한 간극(S1)에 침입한 분진과의 마모 영역을 짧게 하여 발열을 저감시키기 위해서이고, 모따기가 반드시 필수로 되는 것은 아니다.
로터(5)의 끝면(5B)에 로터(5)의 회전에 따라 공간(S) 내에서 회전하는 블레이드(34)가 설치됨과 아울러, 통형상 프레임(30)의 하부에 공간(S)과 연통하는 개구부(33)가 형성되고, 공간(S)에 침입한 분진 등의 이물을 개구부(33)로부터 회수부(10)로 안내하는 안내 슈트(10A)가 설치되고, 이로써, 공간(S)에 침입한 분진이 블레이드(34)에 의해 강제적으로 하방으로 떨어뜨려지고, 개구부(33)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개구부(33)의 형성 개소는 상기 공간(S)의 하부이면 좋고, 베어링 하우징(35)이 상기 공간(S)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것은, 베어링 하우징(35)의 하부에 공간(S)과 연통하는 개구부(33)가 형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 도 16에서 부호 8a는 배출 스크린(8)의 설치용 브래킷이다.
이하에, 상술한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로터(5)의 단부 외주면이 로터(5)의 중앙부 둘레면보다 대경으로 형성된 것을 설명하였지만, 상기 구성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이지만 본 발명의 필수사항은 아니고, 로터(5)의 단부 외주면이 로터(5)의 중앙부 둘레면과 동일 지름으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공간(S)에 침입한 분진 등에 의한 베어링(36)으로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로터(5)의 끝면(5B)과 베어링 하우징(35) 사이에서 공간(S)이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거두는 것으로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5)의 끝면(5B)과 통형상 프레임(30)의 끝면에서 공간(S)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로터(5)의 단부가 덮여지도록 베어링 하우징(35)을 통형상 프레임(30)에 설치한 것을 설명하였지만, 베어링 하우징(35)의 구조 및 설치 기구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형상 프레임(30)에 로터(5)와는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브래킷(37)에, 베어링 하우징(35)이 지지된 플러머 블록(Plummer block) 방식의 베어링 유닛을 이용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로터(5)의 단부가 통형상 프레임(30)에 삽입됨과 아울러, 로터(5)의 회전축(5d)이 베어링 하우징(35)에 설치한 베어링(36)에 의해 지지되고, 로터(5)의 끝면과 통형상 프레임(30)의 끝면 사이에, 로터(5)의 단부 둘레면과 대향 배치된 통형상 프레임(30)이 이루는 간극(S1)보다 큰 간극(S2)을 갖는 공간(S)이 형성됨으로써, 상술과 마찬가지로, 상기 간극(S1)으로부터 침입한 분진이 로터(5)의 끝면과 통형상 프레임(30)의 끝면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간극(S2)보다 넓은 간극을 갖는 공간(S)에 도달하여도, 거기서부터 앞의 베어링(36)에 도달하는 일없이, 상기 공간(S)을 낙하하게 되므로, 베어링부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형상 프레임(30)에 삽입되고, 통형상 프레임(30)과 대향하는 로터(5)의 단부 둘레면이 로터(5)의 중앙부 둘레면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 통형상 프레임(30)의 하부에 공간(S)과 연통하는 개구부(33)가 형성되고, 로터(5)의 끝면에, 로터(5)의 회전에 따라 공간(S) 내에서 회전하는 블레이드(34)가 설치되어 있는 점, 공간(S)에 침입한 분진 등의 이물을 개구부(33)로부터 회수부(10)로 안내 하는 안내 슈트(10A)가 설치되어 있는 점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통형상 프레임(30)의 끝면의 일부가 노출되고, 이 노출부에 개폐가능한 점검구(点檢口)(39)를 설치함으로써, 공간(S) 내에 침입한 분진의 클리닝이나 로터(5)의 단부 둘레면과 대향 배치된 통형상 프레임(30)이 이루는 간극(S1)을 형성하는 금속 링의 교환이나 클리닝 등의 보수 관리가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된다.
또한, 브래킷(37)에, 통형상 프레임(30)의 끝면과 베어링 하우징(35)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3)에 침입한 분진 등을 낙하시키는 개구부(38)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S3)에 축적된 분진이 베어링(36)에 침입하여 파손을 초래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즉, 표면에 파쇄날을 설치된 로터의 축심을 수평자세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투입된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파쇄기의 회전축의 베어링 구조로서, 상기 로터의 단부가 통형상 프레임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로터의 회전축이 베어링 하우징에 설치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로터의 끝면과 상기 통형상 프레임의 끝면 또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과의 사이에, 상기 로터의 단부 둘레면과 대향 배치된 상기 통형상 프레임이 이루는 간극보다 큰 간극을 갖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술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일축 전단 파쇄기를 예로 회전축의 베어링 구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의한 회전축의 베어링 구조가 채용되는 파쇄기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표면에 파쇄날이 설치된 로터의 축심을 수평자세로 회 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파쇄기이면 2축, 4축 등 다축 파쇄기에도 적용가능하다.
이하에 제 4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파쇄처리부로부터 스크린 기구를 거쳐 배출 호퍼를 향하는 통풍 경로를 따라 외기를 흡인하고, 배출 호퍼에 수용된 피파쇄물을 흡인 반송하는 흡인 팬을 구비한 흡인 반송기구를 구비하고, 흡인 반송기구에, 배출 호퍼의 측면으로부터 외기를 흡인하는 제 2 흡인 경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므로, 파쇄처리부에 있어서의 파쇄량의 변동에 대응하여 배출 호퍼 내의 부압을 조정함으로써 항상 안정적으로 흡인 반송할 수 있고, 파쇄 로터와 스크린의 간극을 통해서 소정의 풍량을 확보할 수 있는 파쇄처리장치를 실현하는 것이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축 전단 파쇄기는, 상술한 것과 기본적 구조에 있어서 마찬가지이고, 상기 파쇄처리부(A)에서 상기 스크린 기구(8)를 거쳐 상기 배출 호퍼(9)를 향하는 제 1 흡인 경로로서의 통풍 경로(P1)를 따라 외기를 흡인하고, 상기 배출 호퍼(9)에 수용된 피파쇄물을 흡인 반송하는 흡인 팬(21)를 구비한 흡인 반송기구(20)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도 21~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쇄부(A)는, 받침판(4)의 일단과 본체 프레임(2)의 측벽 사이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회전날(5a)을 설치한 파쇄 로터(5)와, 파쇄 로터(5)를 중심으로 하는 대칭위치에 이것을 사이에 두고 받침판(4)의 끝에 설치된 제 1 파쇄용 고정날(6)과, 반대측에 설치된 제 2 파쇄용 고정날(7)로 구성된다. 파쇄 로터(5)는, 유도전동기(11)로부터의 출력축에 설치된 풀리와 벨트 연결된 감속기의 출력축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 기구(8)는, 다수의 작은 구멍이 형성된 철판(punching metal)을 파쇄 로터(5)의 회전 궤적을 따른 반달 형상으로 만곡하게 형성하여 상기 파쇄 로터(5)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파쇄처리부(A)에서 파쇄된 피파쇄물 중 상기 스크린 기구(8)에 형성된 작은 구멍보다 소경의 피파쇄물이, 상기 흡인 팬(21)에 의해 상기 통풍 경로(P1)를 따라 흡인되는 외기의 흐름을 따라서 상기 배출 호퍼(9)에 도입되고, 상기 흡인 반송기구(20)에 의해 기기 밖으로 흡인 반송된다.
상기 파쇄 로터(5)는 그 외주에 V자 형상의 홈(5v)이 다수 소정의 피치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V자 홈(5v) 내에 복수개의 회전날(5a)이 부착시트(5c)를 통해 나사부착되고, 상기 회전날(5a)은, 서로 인접하는 V자 홈(5v)에 설치되어 있는 것끼리가 그 정점을 연결하면 지그재그형상으로 되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 2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날(6)과 파쇄 로터(5)의 대향부에서는, 평탄한 표면형상을 구비한 통상의 파쇄 로터에 선단부가 V자형상의 파쇄날이 설치되어 있는 것(도면 중, 로터의 가상 표면을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과 비교하여, 형성된 V자 홈(5v)에 의해 큰 간극(SP)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흡인 반송기구(20)의 작동에 의해 파쇄부(A)로부터 상기 통풍 경로(P1)를 따라 충분한 외기가 흡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홈(5v)의 형상은 V자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직사각형의 오목부로 구성되는 것 등 적절한 형상은 선택가능하므로, 파쇄 로터의 표면에서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의 홈부가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 둘레방향으로 위치를 다르게 하여 상기 회전날이 설치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흡인 반송기구(20)는, 상기 배출 호퍼(9)의 일단면에 접속된 흡인 반송관(22)과, 흡인 반송관(22)의 경로 상에 설치되고, 반송용의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 팬(21)과, 흡인 반송관(22)에 의해 반송된 피파쇄물을 회수하는 포집기로서의 사이클론(23)을 설치하고, 사이클론(23)에 피파쇄물이 포집된 후의 반송용 공기가 버그 필터(bug filter)(24)를 통해 배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출 호퍼(9)의 타단면에는, 배출 호퍼(9)의 측면으로부터 외기가 내부로 흡인되는 제 2 흡인 경로(P2)로서의 통풍관(2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통풍관(25)은, 댐퍼기구(26)를 통해 외부로 개구되어 있고, 댐퍼기구(26)의 개도를 조절하거나 흡인 팬의 회전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흡인 팬(21)에 의해 흡인되는 배출 호퍼(9) 내의 피파쇄물에 대한 흡인력 및 상기 스크린 기구(8) 상의 피파쇄물에 대한 흡인력이 조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파쇄처리부(A)에 있어서의 파쇄량의 변동에 따라, 파쇄 로터(5)와 스크린 기구(8)의 간극에 도입되는 피파쇄물의 양이 변동한 경우이더라도, 제 2 흡인 경로로부터의 흡인량을 댐퍼기구(26)에 의해 조정하여, 피파쇄물을 효율적으로 흡인함으로써 파쇄 효율의 저하를 회피하는 것이다.
이하에, 배출 호퍼 내의 부압[정압(靜壓)]을 적절한 상태로 조절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쇄 로터(5)의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검출수단(TS)을 구비하고, 검출된 토크값에 기초하여 상기 흡인 팬(21)의 회전수 또는 상기 댐퍼기구(26)의 개도를 조절하는 흡인 제어수단(30)을 설치하면, 파쇄처리부(A)에 있어서의 파쇄량의 증감을 토크 검출수단(TS)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파쇄량의 증감에 따라 흡인 팬의 회전수 또는 댐퍼기구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흡인 제어수단(30)이, 예컨대, 파쇄 부하가 증대하면, 댐퍼기구(26)의 개도를 작게 조절하거나, 흡인 팬(21)의 출력을 증대시키거나, 또는 양쪽을 조절하여 피파쇄물의 반송력을 증대시켜, 파쇄처리부(A)에 있어서의 파쇄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이 없도록 제어하고, 파쇄 부하가 감소하면, 댐퍼기구(26)의 개도를 크게 조절하거나, 흡인 팬(21)의 출력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양쪽을 조절하여 피파쇄물의 반송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쓸데없는 에너지의 소비를 회피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파쇄 부하의 증감에 대응하여 배출 호퍼(9) 내의 부압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파쇄 부하가 크게 되어도 파쇄처리효율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여기에, 흡인 팬(21)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것은, 피파쇄물의 반송력을 조정함과 아울러, 배출 호퍼(9)의 정압이 낮고, 흡인 부하가 크게 되었을 때에 흡인 팬(21)에 큰 구동 전류가 흐르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이하,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형태를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흡인 제어수단(30)이 파쇄 로터(5)의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검출수단(TS)에 기초하여 파쇄 부하의 증감을 검출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파쇄 부하를 검출하는 부하 검출수단으로서의 토크 검출수단은, 기계식 토크 검출장치를 파쇄 로터의 회전축 등에 설치하는 것이어도 좋고, 파쇄 로터의 구동 모터의 전류값을 검출하여 토크값으로 환산하는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흡인 경로(P2)로부터의 흡인량을 댐퍼기구(26)에 의해 조정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댐퍼기구(26)는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고, 그 경우에는, 파쇄 부하가 크게 되어 배출 호퍼 내의 부압이 높아지면 제 2 흡인 경로(P2)로부터 외기가 흡인됨으로써, 흡인 팬의 부하의 이상한 증대를 회피하면서 배출 호퍼 내의 피파쇄물을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흡인 제어수단 대신에, 또는 추가해서, 흡인 팬(21)에 의한 흡인 부하를 검출하는 부하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검출된 흡인 부하에 기초하여 상기 흡인 팬(21)의 회전수 또는 상기 댐퍼기구(26)의 개도를 조절하는 흡인 제어수단을 설치하여도 좋다. 흡인 부하 검출수단으로서, 예컨대 배출 호퍼의 압력손실값을 검출하는 압력센서(PS)나 흡인 팬의 전류값을 검출하는 전류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흡인 팬에 의한 파쇄처리부로부터 스크린 기구를 거쳐 배출 호퍼를 향하는 통풍 경로(P1)를 따른 흡인 부하의 증감을 검출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파쇄처리부(A)에 있어서의 파쇄량의 증감을 파악할 수 있다. 그래서, 파쇄량의 증감에 따라 흡인 팬의 회전수 또는 댐퍼기구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배출 호퍼 내의 부압을 적절한 값으로 조절하여, 스크린 기구로부터 피파쇄물을 흡인하고, 스크린 기구를 통과한 피파쇄물이 배출 호퍼에 퇴적되는 일없이 효율 좋게 흡인 반송될 수 있다.
또한, 흡인 제어수단으로서는, 상술한 소정 구성 대신에, 또는 소정 구성에 추가해서, 압압기구(3)에 의한 압압작동시와 후퇴 작동시에 흡인 팬(21)의 회전수 또는 댐퍼기구(26)의 개도를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즉, 압압기구(3)에 의한 피파쇄물의 압압작동시에는 파쇄처리량이 늘어나고, 파쇄 로터(5)와 스크린 기구(8)의 간극에 도입되는 피파쇄물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파쇄처리부(A)로부터 스크린 기구(8)를 거쳐 배출 호퍼(9)를 향하는 통풍 경로(P1)를 따른 흡인 부하가 크게 되고, 반대로 압압기구(3)에 의한 후퇴 작동시에는 파쇄처리량이 감소하고, 파쇄 로터(5)와 스크린 기구(8)의 간극에 도입되는 피파쇄물의 양이 감소하기 때문에, 파쇄처리부(A)로부터 스크린 기구를 거쳐 배출 호퍼를 향하는 통풍 경로(P1)를 따른 흡인 부하가 작게 된다. 그래서, 압압기구에 의한 피파쇄물의 압압시와 후퇴시에 흡인 팬의 회전수 또는 댐퍼기구의 개도를 전환함으로써 적절한 흡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흡인 반송기구(20)를, 상기 배출 호퍼(9)의 일단면에 접속된 흡인 반송관(22)과, 흡인 반송관(22)의 경로 상에 설치되고, 반송용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 팬(21)과, 흡인 반송관(22)에 의해 반송된 피파쇄물을 회수하는 포집기로서의 사이클론(23)을 설치하고, 사이클론(23)에 피파쇄물이 포집된 후의 반송용 공기가 버그 필터(24)를 통해 배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포집기의 방식, 구조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이클론 방식 이외의 것이어도 좋고, 또한, 흡인 팬(21)은 포집기의 전후 중 어디에 배치되는 것이어도 좋다.
상술한 어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린 기구(8)로서, 구경이 40mm이하이며 5mm이상의 사이 중 소정 사이즈로 복수의 개공부가 형성되고, 파쇄처리부(A)에 의해 파쇄처리된 피파쇄물을 그 개공부로부터 통과시키는 스크린부를 구비하여 구성하여 두는 경우에, 본 발명의 효과가 현저하게 되는 것이 실험에 의해 명확하게 되고, 이 때, 파쇄 로터(5)의 회전날 선단의 둘레속도가, 0.6 ~ 12.5m/초로 설정되어 있으면 더욱 파쇄 효율이 안정하는 것이 실험으로부터 명확하게 되었다(도 25 중, 실선이 종래의 특성, 파선이 상술한 구성에 의한 특성을 나타낸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파쇄처리부(A)에 제 2 파쇄용 고정날(7)을 설치한 것을 설명하였지만, 제 2 파쇄용 고정날(7)을 설치했을 경우에는 전체적인 파쇄 효율이 향상하는 것이 판명되어 있지만, 제 2 파쇄용 고정날(7)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작용 효과는 충분히 거둘 수 있는 것이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 호퍼(9)가 파쇄 로터(5)의 축심을 따른 방향으로 2분할되고, 분할부의 구획벽(9a)이 스크린 기구(8)의 하면까지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분할된 각각의 배출 호퍼(9b,9c)에 피파쇄물을 흡인 반송하는 흡인 경로(P1) 및 상기 제 2 흡인 경로(P2)를 형성함으로써, 배출 호퍼의 전체 영역에 거의 균등하게 흡인 반송력이 작용하고, 파쇄 로터(6)의 축심을 따른 방향으로의 파쇄처리효율을 균일하게 안정시킬 수 있다. 여기에, 배출 호퍼(9)의 분할수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인 팬의 정압을 조정하는 기구로서 흡인 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정압이 변동됨으로써 흡인 팬에 과대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회피하는 구성으로서는, 이외에, 흡인 팬의 전후 중 어느 한쪽에 팬 댐퍼기구를 설치하고, 그 개도를 조절하는 조절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즉, 흡인 팬의 전방에 댐퍼기구를 설치하면 흡입측의 정압이 조정되 고, 후방에 댐퍼기구를 설치하면 토출측의 정압이 조정되는 것이지만, 어떠한 경우더라도 흡인 팬에 작용하는 이상 부하를 해소하는 것이다.
이하에 제 5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파쇄물을 투입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방에 배치된 파쇄처리부와, 상기 파쇄처리부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피파쇄물을 압압하는 제 1 압압기구와, 상기 파쇄처리부를 향해 상방으로부터 피파쇄물을 압압하는 제 2 압압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파쇄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압기구와 상기 제 2 압압기구를 상기 파쇄처리부에 대해서 진퇴 작동시켜 피파쇄물을 파쇄처리하는 파쇄기의 운전제어방법 및 그 운전제어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종래, 도 2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수된 PET병 등의 폐 플라스틱 제품이 대략 입방체로 압축 포장된 곤포 등의 덩어리형상물(40)에 대해서, 제 1 압압기구(B)와 제 2 압압기구(C)에 의해 동시에 파쇄처리부(A)를 향해 압압하면, 쌍방의 힘의 작용에 의해 덩어리형상물(40)이 파쇄처리부(A)의 바로앞에서 정지하여 파쇄할 수 없게 되고, 도 2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덩어리형상물(40)의 일부가 파쇄처리부(A)에서 파쇄처리되지만, 쌍방의 힘의 작용에 의해 파쇄처리부(A)에 면하는 파쇄면의 형상이 변하지 않고 파쇄처리가 진행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제 1 압압기구(B) 및 제 2 압압기구(C)가 함께 후퇴 작동할 경우에는, 그 동안, 파쇄처리가 진행하지 않는다는 본질적인 문제가 있었던 바, 상기 제 1 압압기구와 상기 제 2 압압기구를 동상(同相)으로 진퇴 작동시키는 제 1 파쇄처리모드와, 상기 제 1 압압기구와 상기 제 2 압압기구를 역상(逆相)으로 진퇴 작동시키는 제 2 파쇄처리 모드를 피파쇄물의 성상(性狀)에 따라 전환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파쇄기는, 이미 설명한 도 17(a)~도 17(c)에 나타내는 것과 마찬가지로 구성되고, 상술한 파쇄기의 운전제어장치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로터(회전축)(5)를 회전구동하는 유도전동기(11)와, 유도전동기(11)를 구동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38)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회전 로터(5)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유도전동기(11)로부터의 출력축에 설치된 풀리(11a)와 감속기(30)의 입력축에 설치된 풀리(30a)가 V벨트(31)에 의해 구동 연결되고, 감속기(30)에 의해 감속된 출력축이 커플러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와 감속기가 V벨트(31)를 통해 구동 연결되어 있지만, 직접 연결되는 것이어도 좋다.
구동 제어부(38)는, 또한 압입 푸셔(3) 및 누름 장치(14)로 이루어지는 압압기구(B,C)의 각 유압구동장치(도시 생략)에 대해서 압압 동작의 작동/정지신호, 및, 후퇴 동작의 작동/정지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선 및 각 유압 실린더의 전진 한계 스위치와 후퇴 한계 스위치의 입력 신호선이 접속되고, 또한, 호퍼(1)에 설치된 레벨 센서(Sc)로부터의 입력 신호선이 접속되어 있다.
운전제어장치는, 제 1 압압기구(B)로서의 압입 푸셔(3)와 제 2 압압기구(C)로서의 누름 장치(14)를 동상으로 진퇴 작동시키는 제 1 파쇄처리모드와, 서로 역상으로 진퇴 작동시키는 제 2 파쇄처리모드를, 피파쇄물의 성상에 따라 전환하는 운전모드 전환기구(36)를 설치하고 있고, 조작자가 호퍼(1) 내의 피파쇄물의 성상 이 낱개 형상물인지, 곤포 등의 덩어리형상물인지를 눈으로 봐서, 낱개 형상물이면 운전모드 전환기구(36)를 조작하여 제 1 파쇄처리모드로 운전하고, 덩어리형상물이면 운전모드 전환기구(36)를 조작하여 제 2 파쇄처리모드로 운전한다.
제 1 파쇄처리모드에서는, 압입 푸셔(3)와 누름 장치(14)가 동시에 낱개 형상물로 이루어지는 피파쇄물을 파쇄처리부(A)를 향해 압압 작동함과 아울러, 동시에 파쇄처리부(A)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후퇴 작동하는 진퇴동작을 일정한 사이클로 반복하고, 압압작동시에는, 피파쇄물이 압입 푸셔(3)에 의해 파쇄처리부(A)를 향해 압압됨과 아울러, 파쇄처리부(A)의 상방으로 떠오르는 피파쇄물이 누름 장치(14)에 의해 상방으로부터도 파쇄처리부를 향해 압압되고, 파쇄처리효율의 향상이 도모된다.
제 2 파쇄처리모드에서는, 압입 푸셔(3)와 누름 장치(14)가 교대로 덩어리형상물로 이루어지는 피파쇄물을 파쇄처리부(A)를 향해 압압 작동함으로써, 도 2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입 푸셔(3)의 압압작동시에 누름 장치(14)가 후퇴 작동하고, 압입 푸셔(3)의 후퇴 작동시에 누름 장치(14)가 압압 작동함으로써 덩어리형상물이 원활하게 파쇄처리부(A)에 압압 공급된다. 또한 이 때, 도 2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덩어리형상물로 이루어지는 피파쇄물의 파쇄처리부(A)에 면하는 파쇄면이 회전이동할 수 있게 되고, 마찬가지로 파쇄처리효율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피파쇄물의 성상을 검출하는 파쇄물 검출기구를 설치하고, 운전모드 전환기구(36)에, 파쇄물 검출기구에 의해 검출된 피파쇄물의 성상에 기초하여 파쇄처리모드를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자동전환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조작자의 부하를 경 감시키면서 효율적인 파쇄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파쇄물 검출기구가 회전 로터(5)에 작용하는 토크에 기초하여 피파쇄물의 성상을 검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파쇄처리모드에서의 운전 중에 검출 토크가 상기 모드에서의 통상의 파쇄처리시의 최소 토크인 제 1 설정 토크보다 저하하면, 양 압압기구의 압압작용에 의해 덩어리형상물이 파쇄처리부의 직전에서 정지하는 것 등으로 판단함으로써 피파쇄물이 덩어리형상물인 것으로 검출하고, 제 2 파쇄처리모드에서의 운전 중에 상기 모드에서의 통상의 파쇄처리시의 최소 토크인 제 2 설정 토크보다 저하하면, 한쪽의 압압기구에 의해 압압되어 있는 낱개 형상물이 다른쪽의 압압기구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피파쇄물이 낱개 형상물인 것으로 검출하는 것이다.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제어장치는, 제 1 파쇄처리모드에서의 운전 중에(S1), 호퍼(1)에 피파쇄물이 충전되고 있고(S2), 검출된 파쇄 토크가 제 1 설정토크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하면(S3,S5), 제 2 파쇄처리모드로 자동전환하고(S6), 제 2 파쇄처리모드에서의 운전 중에, 호퍼(1)에 피파쇄물이 충전되고 있고(S2), 검출된 파쇄 토크가 제 2 설정 토크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하면(S3,S4,S7), 제 1 파쇄처리모드로 자동전환한다(S8). 이것에, 파쇄 토크의 검출은 감속기(30)와 회전 로터(5)의 접속부에 토크 센서를 배치해서 검출하거나, 모터의 구동 전류값 등에 기초하여 구동토크값을 연산 도출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또한, 파쇄물 검출기구를, 압입 푸셔(3)를 구성하는 유압 실린더의 작동상태에 기초하여 피파쇄물의 성상을 검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제 1 파쇄처리모드에서의 운전 중에 어떤 유압 실린더가 설정시간 내에 전진 한계까지 압압 이동가능하지 않은지를 검출하거나, 작동 오일의 압력이 매우 크다고 검출함으로써 피파쇄물이 덩어리형상물인 것으로 검출할 수 있고, 제 2 파쇄처리모드에서의 운전 중에 작동 오일의 압력이 통상보다 작다라고 판단될 때에 피파쇄물이 낱개 형상물인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파쇄물 검출기구를, 호퍼(1) 내에 투입된, 또는 투입되기 전의 피파쇄물을 촬상하는 화상입력부와 입력된 화상에 기초하여 피파쇄물의 형상을 인식하는 형상 인식부를 구비하고, 인식된 형상에 기초하여 덩어리형상물인지 낱개 형상물인지라는 피파쇄물의 성상을 검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압압기구의 구동기구로서 유압방식을 채용한 것을 설명하였지만, 전자모터에 의한 구동기구에 의해 압압기구를 구동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하에 제 6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상술한 제 5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도 29(a), 도 2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파쇄처리가 진행되지 않는 상태가 생기거나, 또는 제 1 압압기구와 파쇄기 본체 사이에 피파쇄물이 휩쓸려서 압압 작동이 곤란하게 되어, 파쇄처리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에 대비해서, 통상, 압압 작동의 종료를 검출하는 리밋 스위치의 작동 신호를 검출하여 후퇴 작동 제어하도록 제어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리밋 스위치가 작동하지 않는 한 압압 작동이 계속되어 중대한 고장으로 연결된다는 문제가 있고, 조작자가 그와 같은 상태에 알아차리면 수동조작 등에 의해 강제적으로 후퇴 작동시켜 정지한 후에 휩쓸린 피파쇄물 등을 제거하는 것이지만, 이를 위해 조작자가 항상 파쇄기의 근방에서 대기해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자가 항상 파쇄기의 근방에 대기하지 않더라도, 이상상태를 자동검출하여 중대한 고장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고, 또한, 이상 상태에 따라서는 조작자가 없어도 자동회복할 수 있는 파쇄기의 이상 검출방법 및 그 이상 검출장치를 설명한다.
상술한 파쇄기의 운전제어장치는,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로터(회전축)(5)를 회전구동하는 유도전동기(11)와, 유도전동기(11)를 구동 제어함과 아울러, 압입 푸셔(3) 및 누름 장치(14)로 이루어지는 압압기구(B,C)에 대한 진퇴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38)와, 파쇄기의 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장치(36A)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회전 로터(5)는, 상기 한 바와 같이, 유도전동기(11)로부터의 출력축에 설치된 풀리(11a)와 감속기(30)의 입력축에 설치된 풀리(30a)가 V벨트(31)에 의해 구동 연결되고, 감속기(30)에 의해 감속된 출력축이 커플러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와 감속기가 V벨트(31)를 통해 구동 연결되어 있지만, 직접 연결되는 것이어도 좋다.
구동 제어부(38)는, 파쇄기에 대한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된 R0M과 그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와 데이터 처리용 RAM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모터(11)의 구동, 정지, 역회전 구동의 각 동작모드를 제어 지령으로서 출력함과 아울러, 압압기구(B,C)의 유압구동장치(35)에 대해서 압압 동작의 작동/정지신호, 및, 후퇴 동작의 작동/정지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신호선 및 각 유압 실린더의 전진 한계 스위치, 하강 한계 스위치, 및, 후퇴 한계 스위치, 상승 한계 스위치 등의 입력 신호선이 접속되고, 또한, 호퍼(1)에 설치된 레벨 센서(Sc)로부터의 입력 신호선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는, 파쇄처리부(A)에 있어서의 파쇄 제어, 즉 모터(11)에 대한 회전구동제어를 실행하는 모터 제어 프로그램과, 압압기구(B,C)에 대한 진퇴(압압 및 후퇴)제어를 실행하는 진퇴 제어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고, 진퇴 제어 프로그램에는 압압기구(B,C)의 이상 검출 프로그램이 포함되고, 상기 이상 검출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 및 그 주변회로에 의해 파쇄기의 이상 검출장치가 구성된다.
상술한 파쇄장치의 대략의 동작을 도 31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및 도 3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기동 스위치가 투입되면, 모터(11)를 소정의 제어 토크로 정회전 구동하여 파쇄처리부를 작동시켜(S1), 호퍼(1)로의 피파쇄물의 투입을 허용한다. 호퍼(1)에 피파쇄물이 투입되면(S2), 유압구동장치(35)에 압압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유압 실린더(13,26)를 작동시키고, 압압기구(B,C), 즉 압입 푸셔(3) 및 누름 장치(14)를 동상으로 압압 구동한다(S3). 이 동작에 의해 파쇄처리부(A)를 향해 압압되는 피파쇄물이 파쇄된다. 유압 실린더(13,26)에 배치된 전진 한계 스위치(L1) 및 하강 한계 스위치(L3)가 온되어 압압작동의 종료를 검출하면(S4), 유압구동장치(35)에 후퇴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압압기구(B,C)을 후퇴 작동시 켜(S5), 유압 실린더(13,26)에 배치된 후퇴 한계 스위치(L2) 및 상승 한계 스위치(L4)가 온되면(S6), 스텝S2로 이행하여 이후 마찬가지의 동작을 반복한다.
스텝S4에서 전진 한계 스위치(S1)가 온되지 않을 때에는 이상 검출 처리를 실행하고(S7),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표시장치(36A)에 이상 표시를 행하고(S8), 이상상태가 복구불능인 경우에는 장치를 정지시킨다(S9,S10). 한편 자동복구가능한 경우에는(S9), 스텝S2로 이행하여 마찬가지의 동작을 반복한다.
이상 검출장치는, 상술한 S3,S4,S7,S8,S9,S10의 각 처리 스텝으로 구성되고, 그 상세한 내용은 도 32 및 도 33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2에서는 주로 피파쇄물이 덩어리형상물일 때에 파쇄처리에 이상을 초래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우선, 압입 푸셔(3)를 압압 작동함과 동시에 압입 푸셔(3)의 압압(전진)작동시간을 시간을 잰다(S11,S12). 전진 한계 스위치(11)가 온되지 않은 경우(S13), 제 1 설정시간인 10초(통상, 압압 작동하고나서 5초정도에서 전진 한계 스위치가 온된다)를 경과하면(S14), 누름 장치(14)의 압압 작동을 정지함과 아울러 누름 장치(14)를 0.5초 후퇴 작동시킨다(S15,S16). 이와 같은 동작을 제 2 설정시간인 5초의 사이에 1초간격으로 4회 반복하고(S17∼S24), 그래도 전진 한계 스위치가 온되지 않을 경우에는(S25), 전진시간 초과회수 카운터를 증가시키고(S26), 유사 전진 한계 스위치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압입 푸셔(3) 및 누름 장치(14)를 후퇴 작동시킨다(S27). 누름 장치(14)도 마찬가지로 5초정도, 누름면(18)의 각도로 하여 약 90도 하강 한계로부터 상승 한계까지 작동하므로, 0.5초의 후퇴 작동으로 약 9도 상승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1초간격으로 4회 반복함으로써 최종적으로 45도 상 승한다.
후퇴 작동하여 후퇴 한계 스위치(L2) 및 상승 한계 스위치(L4)가 온되면 다시 압압 작동을 반복한다(S29). 전진시간 초과회수 카운터가 미리 설정된 회수, 여기서는 7회 반복되면(S28), 표시장치(36)에 운전계속가능한 간단한 이상상태라는 내용을 표시하여 조작자에게 장치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S30).
상술한 스텝S14∼S24의 사이에 전진 한계 스위치(S1)의 온상태가 확인되면(S13), 압입 푸셔(3)의 압압작동시간 및 전진시간 초과회수 카운터를 리셋하여, 압입 푸셔(3) 및 누름 장치(14)를 후퇴 작동시키고, 후퇴 한계 스위치(S2) 및 상승 한계 스위치(S4)가 온되면 다시 압압 작동을 반복한다(S29).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누름 장치(14)에 의해 받침판(4)에 눌러져 있던 덩어리형상의 피파쇄물에 대한 압입 푸셔(3)에 의한 압압 작동이 회복되어 파쇄처리부(A)에서 파쇄처리가 행해진다. 즉, 도 2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입 푸셔(3)의 압압작동시에 누름 장치(14)가 단계적으로 후퇴 작동하는 것이므로 덩어리형상물이 원활하게 파쇄처리부(A)에 압압 공급된다. 또한 이 때, 도 2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덩어리형상물으로 이루어지는 피파쇄물의 파쇄처리부(A)에 면하는 파쇄면이 회전이동할 수 있게 되고, 마찬가지로 파쇄처리가 진행되는 것이다.
상술한 제 1 설정시간, 제 2 설정시간, 전진시간 초과회수 카운터 등의 설정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파쇄기의 규모, 피파쇄물의 성상에 기초하여 적절히 설정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파쇄기의 이상 검출방법은, 제 1 압압기구(B)와 제 2 압압기구(C)를 동상으로 압압 작동하는 압압 작동 스텝과, 제 1 압 압기구(B)의 압압 작동의 종료가 제 1 설정시간 내에 검출되지 않을 때에, 압압 작동의 종료 검출까지 제 2 압압기구(C)를 미소 거리만큼 후퇴 작동시키는 후퇴처리를 반복하는 미소 후퇴 작동 스텝과, 제 2 설정시간 내에 미소 후퇴 작동 스텝에 의해 압압 작동의 종료가 검출되지 않을 때에, 제 1 압압기구(B)를 강제적으로 후퇴 작동시키는 강제 후퇴 작동 스텝과, 압압 작동 스텝과 미소 후퇴 작동 스텝과 강제 후퇴 작동 스텝을 설정 회수 반복하여도 압압 작동의 종료가 검출되지 않을 때에, 표시부에 이상 표시하는 이상 표시 스텝과, 이상 표시 스텝 후에 압압 작동 스텝으로 이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고, 본 발명에 의한 파쇄기의 이상 검출장치는, 제 1 압압기구(B)의 압압 작동의 종료가 제 1 설정시간 내에 검출되지 않을 때에, 압압 작동의 종료 검출까지 제 2 압압기구(C)를 미소거리만큼 후퇴작동시키는 후퇴 처리를 반복하는 미소 후퇴 작동 제어부와, 제 2 설정시간 내에 미소 후퇴 작동제어부에 의한 후퇴 작동으로 상기 압압 작동의 종료가 검출되지 않을 때에, 제 1 압압기구(B)를 강제적으로 후퇴 작동시키는 강제 후퇴 작동 제어부와, 압압 작동과 미소 후퇴 작동과 강제 후퇴 작동을 설정 회수 반복하여도 압압 작동의 종료가 검출되지 않을 때에, 표시부에 이상 표시하는 이상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다음에 도 33에서는 주로 피파쇄물이 낱개 형상물일 때에 파쇄처리에 이상을 초래하는 경우, 예컨대 피파쇄물이 압입 푸셔(3)와 받침판(4) 사이에 휩쓸려서 작동 불능이 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압입 푸셔(3)의 압압작동시에는(S41), 압입 푸셔(3) 및 누름 장치(14)를 동상으로 압압작동시키고(S42), 유압구동장치(35)의 출력 포트에 설치된 압력센서(35a)(도 34참조)의 값을 검출하여, 정상작동시의 최대압보다 높은 설정압 이상의 경우에는(S43), 압입 푸셔(3)를 정지시킴과 아울러 고압력 카운터를 증가시켜 스텝S42로 돌아온다(S44,S45,S46). 고압력 카운터가 소정의 값(여기서는 2)이 되면(S46), 압입 푸셔(3)를 1초간 후퇴 작동함과 아울러 누름 장치(14)를 정지한 후에 1초간 후퇴 작동시킨다(S47,S48,S49). 일시적인 후퇴 작동 회수를 카운트하는 후퇴 작동 카운터를 증가시켜서, 스텝S42로 이행한다(S50,S51). 후퇴 작동 카운터의 값이 소정값(여기서는 10)이 되면, 즉 10회의 일시 후퇴 작동이 반복되어도 압력센서(35a)의 값이 설정압 이상이면 압입 푸셔(3)가 작동 불능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S51), 표시장치(36)에 운전 불능의 중요한 이상상태인 내용을 표시하여 조작자에게 장치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S52), 압압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압입 푸셔(3)의 후퇴 작동시에도(S41), 마찬가지로 설정압 이상인 경우에 후퇴 작동을 정지시킨 뒤에 설정 회수만큼 설정압 이상의 상태가 계속되면(S53∼S57), 1초간 압압작동시켜서(S58), 일시적인 압압 작동 회수를 카운트하는 압압 작동 카운터를 증가시켜(S59), 스텝S53으로 이행한다(S60). 압압 작동 카운터의 값이 설정 회수(여기서는 10)가 되면, 스텝S52로 이행하여 마찬가지의 표시 및 정지처리를 실행한다.
상술한 설정압, 고압력 카운터, 후퇴 작동 카운터 등의 설정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파쇄기의 규모, 피파쇄물의 성상에 기초하여 적절히 설정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파쇄기의 이상 검출방법은 제 1 압압기구(B)와 제 2 압압기구(C)를 동상으로 압압 작동하는 압압 작동 스텝과, 압압 작동 스텝에 있어서 제 1 압압기구에 의한 압압값이 설정압을 초과했을 때에 제 1 압압기구(B) 및 제 2 압압기구(C)를 강제적으로 미소 후퇴 작동시키는 강제 후퇴 작동 스텝과, 압압 작동 스텝과 강제 후퇴 작동 스텝을 설정 회수 반복하여도 압압값이 설정압 이하로 되지 않을 때에 표시부에 이상 표시함과 아울러, 제 1 압압기구(B) 및 제 2 압압기구(C)를 정지시키는 이상 정지 스텝으로 구성되는 것이고, 본 발명에 의한 파쇄기의 이상 검출장치는, 제 1 압압기구(B)의 압압작동시에 제 1 압압기구(B)에 의한 압압값이 설정압을 초과했을 때에 제 1 압압기구(B) 및 제 2 압압기구(C)를 강제적으로 미소 후퇴 작동시키는 강제 후퇴 작동 제어부와, 압압 작동과 강제 후퇴 작동을 설정 회수 반복하여도 압압값이 설정압 이하로 되지 않을 때에 표시부에 이상 표시함과 아울러, 제 1 압압기구(B) 및 제 2 압압기구(C)를 정지시키는 이상정지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토사나 수분이 부착된 길이가 긴 수지의 곤포이어도, 처리효율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일정한 크기의 수지편으로 파쇄할 수 있는 스크린 기구를 구비한 파쇄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되었다.

Claims (17)

  1. 피파쇄물을 투입하는 수입 호퍼와, 상기 수입 호퍼의 하방에 배치되고, 둘레면에 복수개의 회전날이 설치되고, 수평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파쇄 로터와 상기 파쇄 로터에 대향 배치된 고정날로 이루어지는 파쇄처리부와, 상기 파쇄 로터의 하부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파쇄처리부에서 파쇄처리된 피파쇄물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스크린 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파쇄장치로서,
    상기 개구부가 가늘고 길다란 구멍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 에지가 수평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가늘고 길다란 구멍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 에지 중 상기 파쇄 로터의 회전방향을 따라 하류측의 에지가 수평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고, 상기 회전날의 궤적을 따라 상기 에지의 경사방향이 교대로 전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피파쇄물을 상기 회전날과 상기 하류측의 에지 사이에서 재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에지의 수평방향에 대한 경사각(θ)이 0<θ≤30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길이방향 에지의 경사방향이 상기 회전날의 궤적을 따라 교대로 전환되도록 형성되고, 또한, 경사방향의 전환위치에서 상기 개구부가 연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은 상기 파쇄 로터의 축심방향을 따라 파형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기구의 하부에, 통과한 피파쇄물을 풍력에 의해 선별하는 풍력 선별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기구의 하부에, 통과한 피파쇄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배출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날은 상기 회전날과의 맞물림 톱니가 양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날과 협동하여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절단날이 상기 맞물림 톱니의 표면측 및 이면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쇄처리부에 설치된 부착시트에 대해서 뒤집기 및 180도 회전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40072747A 2003-09-12 2004-09-10 파쇄장치 KR101084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21604 2003-09-12
JP2003321604A JP4019033B2 (ja) 2003-09-12 2003-09-12 破砕機用固定刃
JP2003422145A JP4439255B2 (ja) 2003-12-19 2003-12-19 破砕機の異常検出方法及びその異常検出装置
JP2003422146A JP2005177609A (ja) 2003-12-19 2003-12-19 破砕機の運転制御方法及びその運転制御装置
JPJP-P-2003-00422145 2003-12-19
JPJP-P-2003-00422146 2003-12-19
JP2004037723A JP2005224745A (ja) 2004-02-16 2004-02-16 破砕機の回転軸の軸受構造
JPJP-P-2004-00037723 2004-02-16
JP2004090932A JP3879931B2 (ja) 2004-03-26 2004-03-26 破砕装置
JPJP-P-2004-00090932 2004-03-26
JP2004228889A JP4261434B2 (ja) 2004-08-05 2004-08-05 破砕装置
JPJP-P-2004-00228889 2004-08-0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500A Division KR101212545B1 (ko) 2004-03-26 2009-09-02 파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148A KR20050027148A (ko) 2005-03-17
KR101084603B1 true KR101084603B1 (ko) 2011-11-17

Family

ID=37384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747A KR101084603B1 (ko) 2003-09-12 2004-09-10 파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46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685B1 (ko) * 2007-05-14 2008-01-21 김남임 파쇄장치용 이송장치
KR100919181B1 (ko) * 2007-12-04 2009-09-28 케이알티(주) 재활용 시스템용 분쇄기
KR20200132058A (ko) 2019-05-15 2020-11-25 케이알티 (주) 산업폐기물 파쇄장치
CN112892780B (zh) * 2021-01-18 2022-12-20 灵山县绿聚能废品回收有限责任公司 一种掩埋垃圾处理用回收粉碎设备
CN116746376B (zh) * 2023-08-11 2023-11-14 潍坊市经济学校 一种干草切碎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549U (ja) * 1983-06-30 1985-01-23 株式会社 朋来鉄工所 回転式剪断粉砕機におけるスクリ−ン構造
KR950005065U (ko) * 1993-07-20 1995-02-18 대우전자 주식회사 음극선관의 디가우싱코일 결속구
JPH08103678A (ja) * 1994-10-05 1996-04-23 Kinki:Kk 一軸剪断式破砕機
JPH09313968A (ja) * 1996-06-03 1997-12-09 Miike Tekkosho Kk 破砕機用ロータ
JP2000005701A (ja) * 1998-06-23 2000-01-11 Takuma Co Ltd 回転式ごみ選別装置
KR200322000Y1 (ko) * 2003-04-15 2003-07-31 홍선기 파쇄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549U (ja) * 1983-06-30 1985-01-23 株式会社 朋来鉄工所 回転式剪断粉砕機におけるスクリ−ン構造
KR950005065U (ko) * 1993-07-20 1995-02-18 대우전자 주식회사 음극선관의 디가우싱코일 결속구
JPH08103678A (ja) * 1994-10-05 1996-04-23 Kinki:Kk 一軸剪断式破砕機
JPH09313968A (ja) * 1996-06-03 1997-12-09 Miike Tekkosho Kk 破砕機用ロータ
JP2000005701A (ja) * 1998-06-23 2000-01-11 Takuma Co Ltd 回転式ごみ選別装置
KR200322000Y1 (ko) * 2003-04-15 2003-07-31 홍선기 파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148A (ko) 2005-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545B1 (ko) 파쇄장치
US5601239A (en) Bulk material shredder and method
EP1160013A1 (en) Roll crusher
KR101787666B1 (ko) 폐기물 파쇄장치
US5484109A (en) Glass shearing apparatus
KR101084603B1 (ko) 파쇄장치
KR200426412Y1 (ko) 압축 파쇄기
JP2007216187A (ja) 解砕装置及び破砕処理設備
JP3831616B2 (ja) 一軸破砕機における異物排出機構
KR100705773B1 (ko) 산업폐기물 및 폐차량 처리용 슈레더
JP3287790B2 (ja) 1軸破砕機
US5405093A (en) Disposal system for waste material
KR100642253B1 (ko) 압축 파쇄기
JP3445781B2 (ja) 一軸破砕機
JP7345862B2 (ja) 破砕装置
JPH10220725A (ja) 廃棄物の搬送装置および方法
JP2010269252A (ja) 破砕装置及び破砕方法
KR102467668B1 (ko) 파봉장치
KR100416322B1 (ko) 음식물쓰레기 선별파쇄기
KR100469677B1 (ko) 임목폐기물 파쇄장치
JP4411009B2 (ja) 破砕処理装置
CN220000094U (zh) 秸秆粉碎机
JP2003260378A5 (ko)
JP4261434B2 (ja) 破砕装置
JPH0924283A (ja) ガラ再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