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3990B1 - 가지유인클립 - Google Patents

가지유인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3990B1
KR101083990B1 KR1020080136289A KR20080136289A KR101083990B1 KR 101083990 B1 KR101083990 B1 KR 101083990B1 KR 1020080136289 A KR1020080136289 A KR 1020080136289A KR 20080136289 A KR20080136289 A KR 20080136289A KR 101083990 B1 KR101083990 B1 KR 101083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clip
piece
protruding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8125A (ko
Inventor
이중섭
최장전
최진호
황해성
이일준
Original Assignee
이일준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일준,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이일준
Priority to KR1020080136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990B1/ko
Priority to JP2009151215A priority patent/JP2010154844A/ja
Publication of KR20100078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9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including harvesting or planting or other numerous miscellaneous processing ste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몸체와,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상호 이격되며 몸체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외측돌출편과 하나의 내측돌출편을 구비하되, 외측돌출편과 내측돌출편이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몸체의 중앙을 통과하는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호 엇갈려 배치되고, 각각의 외측돌출편 끝단에 걸림부가 구비되어 대상 가지에 장착성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 가지유인클립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가지유인클립{a branch luring clip}
본 발명은 가지유인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나 사과 등의 낙엽과수나 열매를 맺는 채소작물의 가지를 유인하여 안전하게 결실을 유도할 수 있도록 마련된 가지유인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사과와 같은 낙엽과수나 열매를 맺는 채소작물의 성장기에는 열매의 상품성 향상을 위해 열매가 맺는 가지를 유인하여 줌으로써, 조기착과와 수광량 증대 및 통풍원활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 이러한 가지의 유인작업시에는 유인하고자 하는 가지에 무개추를 매달거나 유인하고자 하는 가지를 이웃하는 굵은 가지에 줄로 묶어 고정시키는 방법 등을 주로 이용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가지에 무게추나 줄을 매듭지어 묶어야만 했기 때문에, 가지 유인작업을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최근에는 가지의 유인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클립형 태로 마련된 유인기구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가지유인클립은 몸체와,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며 몸체로부터 동일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복수개의 돌출편을 구비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돌출편은 통상 일자형태로 마련되며, 이러한 돌출편들은 서로 비슷한 두께를 갖으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가지유인클립은 유인하려는 가지의 일부분이 상기 돌출편 사이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통과하도록 가지에 장착되어 가지를 원하는 방향으로 유인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가지유인클립은 각각의 돌출편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동일직선 상에 배치된 관계로 배와 같이 굵은 가지를 유인하고자 했을 때, 돌출편 사이사이로 가지를 집어넣기 힘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돌출편이 단순하게 일자형태로 마련되는 종래 가지유인클립은 가지 유인을 위해 가지에 장착된 상태에서 바람이나 새 등을 통해 몸체 쪽으로 힘을 받을 경우 가지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지에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 가지유인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지유인클립은 식물의 가지에 결합되어 가지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몸체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로부터 동일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복수개의 돌출편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편은 상기 몸체의 양 사이드 쪽에 위치한 한 쌍의 외측돌출편과, 상기 외측돌출편 사이에 위치한 내측돌출편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돌출편과 상기 외측돌출편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몸체의 중앙을 통과하는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호 엇갈려 배치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돌출편의 끝단에는 상기 내측돌출편 쪽으로 돌출되도록 걸림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상기 외측돌출편과 내측돌출편의 대향면은 평면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외측돌출편으로부터 상기 내측돌출편까지의 거리는 서로 다르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상기 돌출편의 돌출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지유인클립은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몸체의 중앙을 통과하는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호 엇갈려 배치되는 외측돌출 편과 내측돌출편의 배치구조와, 각 외측돌출편의 끝단에 마련되는 걸림부의 구조를 통해 굵은 가지의 유인작업시에도 가지에 용이하게 장착됨은 물론 일단 가지에 한번 장착된 상태에서는 걸림부를 통해 가지유인클립이 가지에 견고하게 장착될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자가 가지의 유인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유인클립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지유인클립(1)은 배/사과와 같은 낙엽과수나 열매를 맺는 채소작물 등의 성장기에 가지의 방향을 전환시켜 줄 목적으로 가지에 장착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와, 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10)로부터 동일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복수개의 돌출편(20,30,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돌출편(20,30,40)은 몸체(10)의 양 사이드 쪽에 위치한 한 쌍의 외측돌출편(20,30)과, 외측돌출편(20,30) 사이에 위치한 하나의 내측돌출편(40)을 포함하여 3개로 구성되는데, 이에 따라 유인하려는 대상 가지(b)의 일부분이 상기 돌출편(20,30,40) 사이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통과하도록 가지유인클립(1)을 대상 가지(b)에 장착하여 대상 가지(b)의 방향을 수광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통풍이 원활한 곳으로 전환시키게 되면, 대상가지의 불필요한 생장을 곧바로 멈추게 하여 이듬 해 좋은 열배를 맺을 수 있는 꽃눈을 충실하게 만든다. 이듬해 열매를 보다 빠른 시기에 형성할 수 있게 되고, 결실 후에는 열매의 성장 조건이 개선되면서 열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지유인클립(1)은 대량생산에 적합하도록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성형된 사출물로 마련되고, 대상 가지(b)에 장착된 가지유인클립(1)이 대상 가지(b)에 의해 뒤틀려지게 될 경우에는 가지유인클립(1)을 통해 처음에 의도한 방향으로 대상 가지(b)의 방향을 전환시키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가지유인클립(1)은 대상 가지(b)에 의해 모양이 변형되지 않도록 사출물 중에서도 경도가 큰 사출물로 마련된다.
도 1과 도 2에서 실선화살표 A 는 유인하려는 대상 가지(b)에 장착되는 가지유인클립(1)의 장착방향이고, 점선화살표 B 는 대상 가지(b)에 장착되어 있는 가지유인클립(1)을 대상 가지(b)로부터 제거할 때의 가지유인클립(1)의 제거방향을 나타낸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가지유인클립(1)에 있어서, 상기 내측돌출편(40)과 외측돌출편(20,30)은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몸체(10)의 중앙을 통과하는 가상선(x)을 기준으로 상호 엇갈려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중앙을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지나는 가상선(x)을 기준으로 하여 보았을 때, 내측돌출편(40)은 가상선(x)이 일측에 치우쳐지도록 배치되고, 각 외측돌울편(20,30)은 가상선(x)의 타측에 치우쳐지도록 배치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가지유인클립(1)은 도 4와 같이 대상 가지(b)가 내측돌출편(40)과 외측돌출편(20,30) 사이에 지그재그방식으로 걸려지도록 가지유인클립(1)을 가지에 장착할 때 내측돌출편(40)과 외측돌출편(20,30) 사이로 대상 가지(b)를 끼워 넣기가 용이하게 되므로, 배와 같이 굵은 가지(b)의 유인시에도 가지(b)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및 외측돌출편(40,20,30)에서 대상 가지(b)를 실질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것은 상기 가상선(x)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상기 외측돌출편(20,30)과 내측돌출편(40)의 대향면(20A,30A,40A)이 되는데, 상기 대향면(20A,30A,40A)은 대상 가지(b)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평면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평면이라 함은 실제 평면은 물론 다소 거칠더라도 곡면보다는 평면에 가까운 면을 가리킨다.
또 이와 같이 대상 가지(b)를 내측돌출편(40)과 외측돌출편(20,30) 사이로 끼워 넣기 쉽게 마련된 가지유인클립(1)의 경우 반대로 대상 가지(b)가 내측돌출편(40)과 외측돌출편(20,30) 사이에서 쉽게 빠질 우려가 발생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각 외측돌출편(20,30)의 끝단에는 내측돌출편(40) 쪽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걸림부(21,31)가 마련된다.
걸림부(21,31)는 본 실시예와 같이 외측돌출편(20,30)의 끝단이 밴딩된 형태를 취하도록 하여 마련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외측돌출편(20,30)의 끝단 내측만이 내측돌출편(40) 쪽으로 융기된 형태를 취하도록 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걸림부(21,31)가 형성된 상태에서는 가지유인클립(1)이 대상 가지(b)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편(20,30,40) 사이로 삽입된 대상 가지(b)가 상기 걸림부(21,31)에 걸려 견고히 지지된 상태가 되므로, 대상 가지(b)에 장착된 가지유인클립(1)이 바람이나 새 등에 의해 제거방향으로 외력을 받게 되더라도 가지유인클립(1)이 대상 가지(b)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지유인클립(1)은 각각의 외측돌출편(20,30)으로부터 내측돌출편(40)까지의 거리(L1,L2)가 서로 다르게 되도록 마련되고, 몸체(10)의 경우 돌출편(20,30,40)의 돌출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에 따라 휘어지도록 마련되는데, 이와 같은 가지유인클립(1)의 구조는 가지의 방향을 보다 다양한 각도로 전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각 외측돌출편(20,30)으로부터 내측돌출편(40)까지의 거리(L1,L2)가 다르게 형성된 가지유인클립(1)은 내측돌출편(4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외측돌출편(30) 쪽이 가지(b)의 끝단 쪽을 향하도록 가지(b)에 장착되는 경우와 내측돌출편(4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된 외측돌출편(20) 쪽이 가지(b)의 끝단 쪽을 향하도록 가지(b)에 장착된 경우 가지유인클립(1)에 의해 급격하게 꺾이게 되는 가지(b)의 지점이 서로 달라지게 된다. 또 몸체(10)가 돌출편(20,30,40)의 돌출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곡률지게 휘어져 있는 상태에서는 볼록한 몸체(10)의 외면이 향하는 방향을 따라 가지(b)의 유인각도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가지유인클럽(1)은 돌출편(20,30,40) 사이의 거리를 달리한 구조나 휘어진 몸체(10)를 통해 가지(b)의 유인방향이나 꺾임정도를 보다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유인클립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가지유인클립을 일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유인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도 1과 다른 방햐에세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유인클립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2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지유인클립이 가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가지유인클립 10: 몸체
20,30: 외측돌출편 21,31: 걸림부
40: 내측돌출편 20A,30A,40A: 대응면

Claims (5)

  1. 식물의 가지에 결합되어 가지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몸체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로부터 동일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복수개의 돌출편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편은 상기 몸체의 양 사이드 쪽에 위치한 한 쌍의 외측돌출편과, 상기 외측돌출편 사이에 위치한 내측돌출편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돌출편과 상기 외측돌출편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몸체의 중앙을 통과하는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호 엇갈려 배치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각 외측돌출편으로부터 상기 내측돌출편까지의 거리는 서로 다르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지유인클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돌출편의 끝단에는 상기 내측돌출편 쪽으로 돌출되도록 걸림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지유인클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상기 외측돌출편과 내측돌출편의 대향면은 평면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지유인클립.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돌출편의 돌출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지유인클립.
KR1020080136289A 2008-12-30 2008-12-30 가지유인클립 KR101083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289A KR101083990B1 (ko) 2008-12-30 2008-12-30 가지유인클립
JP2009151215A JP2010154844A (ja) 2008-12-30 2009-06-25 枝誘引クリッ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289A KR101083990B1 (ko) 2008-12-30 2008-12-30 가지유인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125A KR20100078125A (ko) 2010-07-08
KR101083990B1 true KR101083990B1 (ko) 2011-11-16

Family

ID=42573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6289A KR101083990B1 (ko) 2008-12-30 2008-12-30 가지유인클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0154844A (ko)
KR (1) KR1010839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449B1 (ko) * 2016-06-24 2017-01-06 김열홍 과실수용 가지유인구
KR20180109348A (ko) 2017-03-28 2018-10-08 최종권 작물 가지용 유인 지지수단
KR20180003083U (ko) 2017-04-18 2018-10-26 류희두 농작물 가지 유인구
KR200492246Y1 (ko) 2019-12-23 2020-09-04 함용희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
KR20200110139A (ko) 2019-03-15 2020-09-23 함용희 3자 형상을 갖는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137Y1 (ko) * 2011-07-26 2013-09-25 이일준 과목이나 밭 작물의 가지 유인 지지구
KR101696178B1 (ko) * 2014-11-18 2017-01-13 김수년 가지 유인용 클립
CN209732148U (zh) * 2019-03-27 2019-12-06 杨红艳 环式树木基角整形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8546U (ko) 1976-03-28 1977-09-30
JPS5367641U (ko) * 1976-11-10 1978-06-07
JPS56101752U (ko) * 1979-12-29 1981-08-10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8546U (ko) 1976-03-28 1977-09-30
JPS5367641U (ko) * 1976-11-10 1978-06-07
JPS56101752U (ko) * 1979-12-29 1981-08-10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449B1 (ko) * 2016-06-24 2017-01-06 김열홍 과실수용 가지유인구
KR20180109348A (ko) 2017-03-28 2018-10-08 최종권 작물 가지용 유인 지지수단
KR20180003083U (ko) 2017-04-18 2018-10-26 류희두 농작물 가지 유인구
KR20200110139A (ko) 2019-03-15 2020-09-23 함용희 3자 형상을 갖는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
KR200492246Y1 (ko) 2019-12-23 2020-09-04 함용희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54844A (ja) 2010-07-15
KR20100078125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990B1 (ko) 가지유인클립
US20150040464A1 (en) Fishing Lure Imitating a Bird
US20220240492A1 (en) Fishing lure
JP6151464B2 (ja) ガード付き釣り針
JP5836389B2 (ja) 釣り針用ガード、およびそのガードを取り付けたガード付き釣り針
US20150164006A1 (en) Support Element and Guide for Vines
US9420773B2 (en) Swim bait
KR200469137Y1 (ko) 과목이나 밭 작물의 가지 유인 지지구
US11185019B2 (en) Support device for a carrying wire of a row of plants on a support pole
KR200492246Y1 (ko)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
CN106998658B (zh) 植物支承套环
JP4931473B2 (ja) 誘引紐吊り具
JP6444931B2 (ja) 植物用支持具
KR200480484Y1 (ko) 농작물용 가지 유인구
KR200396046Y1 (ko) 안전낚시바늘
US712032A (en) Fish-hook.
DK178307B1 (en) Device for protecting top shoots on coniferous trees
RU225255U1 (ru) Жерлица зимняя
KR101155520B1 (ko) 식물줄기 지지용 줄 고정구
US11963522B2 (en) Fishing lure for game fish
WO2018167531A1 (en) Fish hook with stabilizer
KR102177915B1 (ko) 3자 형상을 갖는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
KR20130134718A (ko) 가지 유인 및 교정 지지구
US20090205243A1 (en) Baitfish holder fishing jig
KR200488853Y1 (ko) 농작물 가지 유인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