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137Y1 - 과목이나 밭 작물의 가지 유인 지지구 - Google Patents

과목이나 밭 작물의 가지 유인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137Y1
KR200469137Y1 KR2020110006810U KR20110006810U KR200469137Y1 KR 200469137 Y1 KR200469137 Y1 KR 200469137Y1 KR 2020110006810 U KR2020110006810 U KR 2020110006810U KR 20110006810 U KR20110006810 U KR 20110006810U KR 200469137 Y1 KR200469137 Y1 KR 2004691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horizontal body
fruit
branche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8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831U (ko
Inventor
박영섭
최효열
최장전
최진호
이일준
Original Assignee
이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일준 filed Critical 이일준
Priority to KR20201100068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137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8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8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1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1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Abstract

본원 고안은 포도나 배, 사과, 자두, 복숭아 등과 같은 과수나 토마토나 고추 등 열매를 맺는 밭 작물의 성장기에 열매의 하중을 분산시켜 지탱하는 구조를 이루어서 과목이나 밭작물 자체와 그 열매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을 찾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시작된 고안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가지 유인 지지구는 과목이나 밭 작물의 가지에 결합되어 가지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수평몸체와, 상기 수평몸체의 길이를 따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수직돌출편을 갖도록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제공되는 가지 유인 지지구의 구조에서, 가지 유인 지지구의 수평몸체는 중앙부에서 양단으로 향하여 점차 굵기가 작아지는 구조를 이루고, 수평몸체의 양단부에 1개씩의 외측돌출편을 갖고 양단부의 외측돌출편 사이에 2개의 내측돌출편을 갖되, 2개의 내측돌출편의 상단은 수평몸체와 결합되고 내측돌출편의 하단은 내측돌출편끼리 결합되어 제공되는 구성을 통하여 하중을 분산시키는 구조를 이루어서 종래의 가지 유인구가 하나의 중앙돌출편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부하되는 과일이나 가지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해 지지구 및 나뭇가지가 부러지거나 꺽여지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과목이나 밭 작물의 가지 유인 지지구{supporter for branch for trees or crops}
본원 고안은 과목이나 밭 작물의 가지 유인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 사과, 복숭아, 자두, 포도 등의 과수나 토마토나 가지, 고추 등의 열매를 맺는 밭 작물의 가지를 유인하여 안전하게 결실을 유도하면서 과일나무와 밭작물의 가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가지 유인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과목이나 밭 작물의 가지에 결합되어 가지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수평몸체와, 상기 수평몸체의 길이를 따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4개의 수직돌출편을 갖도록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제공되는 가지 유인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 사과, 복숭아 등의 과수나 포도나무를 비롯하여 귤나무 및 감나무 등과 같이 키가 크지 않은 유실수와, 토마토와 오이 및 고추 등과 같은 밭 작물의 성장기에는 열매가 맺는 가지를 유인하여 줌으로서, 통풍을 원활하게 하고, 가지의 간격이 적당히 유지하도록 하여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시도를 하게 되며, 과실이나 열매가 햇빛의 일조량을 증가시키는 작목방법으로 가지 유인구를 이용하기도 한다.
또한, 각종 과실 또는 열매는 처음엔 꽃이 피고 열매가 생기기 시작하고 열매가 점차 성장하면 자체하중이 몇십 배로 증대하여 가지가 찢어지거나 절단되면 열매 뿐 아니라 과목 자체를 훼손하여 큰 피해가 발생하게 되므로 과일이나 가지의 하중을 분산시켜 연약한 가지를 견고하게 보호 및 지지하고, 비 바람, 폭풍우에 낙과되거나 가지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게 된다.
종래에도 유실수나 농작물의 가지를 유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지 유인구가 사용되어 왔는바, 공개특허 2010년 제0078125호에 개시된 가지 유인장치(1)를 첨부된 도면 도 1a를 참조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수평몸체(10)와, 수평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방향으로 3개의 돌출편(11, 12, 13)을 갖되, 좌측돌출편(11) 및 우측돌출편(13) 사이에 중앙으로 중앙돌출편(12)을 갖는 구성으로 제공되고, 유인하려고 하는 나뭇가지가 상기 3개의 좌, 우측돌출편(11,13)과 중앙돌출편(12) 사이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쉽게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 수평몸체(10)의 중앙을 길이방향으로 지나는 중심선을 기준하는 경우 좌, 우측돌출편(11,13)은 중심선에서 우측으로 중앙돌출편(12)은 중심선에서 좌측에 위치되어 배치된 구조를 이루고, 유인하고자 하는 대상 나뭇가지가 좌, 우측돌출편(11,13)과 중앙돌출편(12) 사이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걸려지도록 유인하는 구조의 가지 유인구가가 제시되어 있으나 도 1a에 제시되는 유인 지지구(1)는 도 1b와 같은 문제점을 야기한다.
도 1b는 상기 구성의 유인 지지구(1)에 나뭇가지 및 과일열매의 하중이 가해지는 적용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에 제시된 수평몸체(10)를 중앙돌출편(12) 좌측을 10b로 표현하고 중앙돌출편(12) 우측을 10c로 표현하고 수평몸체(10)의 중앙부를 10a로 표현하여 보면, 중앙돌출편(12)의 상단부(12a)에 위차하는 수평몸체가 초창기 과수에 꽃이 피고 열매가 맺고 어느 정도 성장하기까지는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열매가 점차 숙성하여 열매가 커지면서 자체하중이 몇십 배로 증대되는 경우, 수평몸체의 중앙부(10a)를 중심으로 좌측방향에서는 좌측돌출편(11)과 중앙돌출편(12)사이에 걸려진 나뭇가지 및 그 나뭇가지에 붙어 있는 숙성열매가 수평몸체의 좌측(10b)을 잡아당기거나 또는 상부에서 누르는 구조를 이루게 되고, 수평몸체의 우측(10c)방향에서는 우측돌출편(13)과 중앙돌출편(12) 사이에 걸려진 나뭇가지 및 그 나뭇가지에 붙어 있는 숙성열매가 수평몸체의 우측(10c)을 잡아당기거나 또는 상부에서 누르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 수평몸체의 중앙부(10a)를 지탱하는 중앙돌출편(12) 상단축(12a) 하나를 중심으로 양쪽에서 무거운 하중이 작용하게 되므로 수평몸체 중앙부(10a)가 꺽이면서 나뭇가지가 찢어지거나 절단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더구나 하절기 장마철이 되어 비가 오면 나뭇가지와 열매는 물기를 먹고 수분을 흡수하여 더욱 큰 하중을 받게 되고 거기에 태풍까지 몰아쳐 비 바람까지 불게 되면 그 중량감이 더욱 증폭되어 나뭇가지가 찢어지거나 절단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열매뿐 아니라 과목 자체에 손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지 유인장치(1)에서는 좌측돌출편(11) 및 우측돌출편(13)이 단순히 평평한 바(Bar) 형태의 민판으로 제공되었는바, 잎과 열매가 부착된 나뭇가지에는 계속적으로 바람이 불어주거나 새가 날아와 앉았다가 날아가는 동작을 반복 하게 되므로 계속적으로 나뭇가지가 좌측돌출편(11) 및 우측돌출편(13)의 표면과 접촉되며 미끄러지는 현상이나 마찰현상이 반복되면서 나뭇가지의 껍질부를 상하게 되고, 껍질부가 상하여 수액이 흐르게되면 개미와 해충이 모여 병충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에 제시된 가지 유인장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원 고안은 포도나 배, 사과, 자두, 복숭아 등과 같은 과수나 토마토나 고추 등 열매를 맺는 밭 작물의 성장기에 열매의 하중을 분산시켜 지탱하는 구조를 이루어서 과목이나 밭작물 자체와 그 열매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을 찾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시작된 고안이다.
본원은 열매가 성장하여 하중이 증가한 경우에도 과일이나 가지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구조를 제공하여 가지가 찢어지거나 절단되지 않고 견고하게 나뭇가지와 열매를 보호 및 지지할 수 있는 가지 유인 지지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원에서 제공되는 가지 유인지지구는 과목이나 밭 작물의 가지에 결합되어 가지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수평몸체와, 상기 수평몸체의 길이를 따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수직돌출편을 갖도록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제공되는 가지 유인 지지구를 이루는 부분에서는 종래의 가지 유인 지지구와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종래 가지 유인구는 하나의 중앙돌출편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부하되는 과일의 무게하중에 의해 지지구의 중앙부나 나뭇가지가 쉽게 꺽여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선구조를 찾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원에서 제공되는 가지 유인 지지구의 수평몸체는 중앙부는 굵고 중앙에서 양 단부를 향하여 점차 굵기가 작아지는 구조를 이루어서 지지강도를 높여주는 기본구성과, 또한 수평몸체의 양단부에는 각각 1개씩의 외측돌출편이 마련되어 과목이나 농작물의 작은 가지를 원하는 방향으로 유인하도록 기능하게 하고, 수평몸체의 중앙부 즉 양단부의 외측돌출편 사이에는 2개의 내측돌출편을 갖되, 2개의 내측돌출편의 상단은 수평몸체와 결합되고 내측돌출편의 하단은 내측돌출편끼리 결합되는 구성으로 제공되는 안정성을 높이 가지 유인 지지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는 종래 가지 유인구가 하나의 중앙돌출편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부하되는 나뭇가지나 가지에 달린 과일의 하중의 증가에 의해 유인구나 나뭇가지가 꺽여지는 구조적 문제점을 해소하는 부분에 특징부를 갖는다.
또한 본원에서는 상기 2개의 내측돌출편 상단부가 수평몸체와 만나는 부위나 내측돌출편의 중앙부에 리브(Rib) 구조를 추가시켜주는 구성으로 지지강도를 더욱 보강하여 줌으로 과일이 성장해가는 과정에서의 무게의 증가에도 과일의 나뭇가지가 꺽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구조부분에 특징부를 갖는다.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가지 유인 지지구에서는 2개의 외측돌출편에 회전방지돌기를 부분적으로 형성시켜서 나뭇가지가 바람에 흔들릴 때 미끄러짐이나 마찰현상을 해소하고자 하는바, 이는 종래의 지지구에서는 외측돌출편이 민판으로 제공되어 나뭇가지로 바람이 불거나 새가 날아와 앉았다가 다시 날아가는 순간 순간에 양간씩이라도 미끄러짐이나 마찰현상을 계속 반복함으로 나뭇가지가 훼손되어 껍질이 훼손되면 수액이 흘러나오고 수액이 흐르면 병충해가 발생하는 악순환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부분에 고안의 특징부를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과목이나 밭 작물의 가지 유인 지지구는, 중앙부는 굵고 중앙에서 양단부 쪽을 향하여 점차 굵기가 작아지는 구조의 수평몸체를 이루어서 지지강도를 높여주는 기본구성과, 또한 수평몸체의 중앙부에 2개의 내측돌출편을 갖고 상단은 수평몸체와 결합되고 하단은 내측돌출편끼리 결합되는 구성으로 하중을 분산시키는 구조로 제공되어 종래 가지 유인구가 하나의 중앙돌출편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부하되는 과일이나 가지의 무게에 의해 가지가 부러지거나 꺽여지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가지 유인 지지구에서는 2개의 외측돌출편에 회전방지돌기를 부분적으로 형성시켜서 나뭇가지가 흔들릴 때 미끄러짐이나 마찰현상을 방지하여 병충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 종래기술로 제공된 가지 유인 지지장치 예시도.
도 2a : 본 고안에서 제시되는 가지 유인 지지구의 기본형 예시도.
도 2b : 본 고안에서 제시되는 가지 유인 지지구의 변형(1) 예시도.
도 2c : 본 고안에서 제시되는 가지 유인 지지구의 변형(2) 예시도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체적으로 구현되어 적용되는 실시양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하는바, 본 출원의 명세서나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원의 보호범위는 고안의 기술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할 것이다.
도 2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가지 유인 지지구(50)의 구현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가지 유인 지지구(50)의 기본형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본원의 기본형 가지 유인 지지구(50)에 리부(rib) 보강구조가 추가되는 구성의 변형(1)적용 양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2c는 상기 도 2b의 구성에 회전방지돌기가 추가되는 구성의 변형(2)적용 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가지 유인 지지구(50)의 기본형은 과목이나 밭 작물의 가지에 결합되어 가지의 방향을 전환시키며 중심을 잡아주기 위한 수평몸체(30)와, 상기 수평몸체의 길이를 따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수직돌출편(20)을 갖도록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제공되는바, 가지 유인 지지구(50)의 수평몸체(30)는 중앙부(30a)가 후부(厚部)로 굵게 제공되고 양단부(30b)를 향하여 점차 굵기가 작아지는 박부(薄部)구조를 이루며, 수평몸체(30)의 양단부(30b)에 1개씩 좌측수직돌출편(21) 및 우측수직돌출편(24)을 가지며 좌측수직돌출편(21)과 우측수직돌출편(24) 사이에 각각 내측돌출편 1, 2(22, 23)을 갖되, 2개의 내측돌출편 1, 2(22, 23)의 상단은 수평몸체(30)와 결합되고 내측돌출편의 하단은 내측돌출편끼리 수평바(31)나 또는 리브바(rib bar)에 의해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2b에서는 상기의 기본형 가지 유인 지지구(50)에서 2개의 내측돌출편 1, 2(22, 23) 상단부에 리브(Rib) 구조가 추가되어 지지강도를 보강하여 제공되는 적용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프라스틱의 강도를 보완하기 위해 수평바(31) 대신 내측돌출편(22, 23) 사이의 상,하에 리브 바(32, 32')가 설치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2c는 상기 도 2b의 구성에 좌측수직돌출편(21) 및 우측수직돌출편(24)에 간헐적으로 회전방지돌기 1, 2(21a, 24a)가 각각 형성되어 나뭇가지가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구조를 이룰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종래에 제시된 가지 유인 지지장치(1)는 미끄러짐 방지수단이 없어서 나뭇가지가 자연적인 휨 상태와 다른 방향으로 휘고자 할 때 가지 유인 지지장치(1)가 원래의 휨 방향으로 돌아가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는바, 본원에서와 같이 회전방지돌기 1, 2(21a, 24a)가 마련되어 제공되면, 나뭇가지를 강하게 압지하여 회전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도 2c에서는 내측돌출편 1, 2(22, 23) 사이에 하부는 수평바(31)를 갖도록 제공되고 상부는 리브바(32)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제공된 적용양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나 수평바나 리브바의 위치가 바꿔 제공되어도 상관없다 할 것이다.
20 : 수직돌출편 21 : 좌측수직돌출편
21a : 회전방지돌기1 22 : 내측돌출편1
23 : 내측돌출편2 24 : 우측수직돌출편
24a : 회전방지돌기2 30 : 수평몸체
30a : 중앙부 30b : 양 단부
31 : 수평바 32 : 리부(rib) 바
50 : 가지 유인 지지구

Claims (3)

  1. 과목이나 밭 작물의 가지에 결합되어 가지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수평몸체와, 상기 수평몸체의 길이를 따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수직돌출편을 갖도록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제공되는 가지 유인 지지구에 있어서,
    가지 유인 지지구의 수평몸체는 중앙부에서 양단부로 향하여 점차 굵기가 작아지는 구조를 이루고, 수평몸체의 양단부에 1개씩의 외측돌출편을 갖고 양단부의 외측돌출편 사이에 2개의 내측돌출편을 갖되, 2개의 내측돌출편 상단은 수평몸체와 결합되고 내측돌출편의 하단은 내측돌출편끼리 결합되어 제공되는 구조를 이루고 2개의 내측돌출편 상단부에 리브(Rib) 구조가 추가되어 강도보강 구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지 유인 지지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외측돌출편에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어 나뭇가지의 미끄러짐방지구조를 이루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지 유인 지지구.
KR2020110006810U 2011-07-26 2011-07-26 과목이나 밭 작물의 가지 유인 지지구 KR2004691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810U KR200469137Y1 (ko) 2011-07-26 2011-07-26 과목이나 밭 작물의 가지 유인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810U KR200469137Y1 (ko) 2011-07-26 2011-07-26 과목이나 밭 작물의 가지 유인 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831U KR20130000831U (ko) 2013-02-05
KR200469137Y1 true KR200469137Y1 (ko) 2013-09-25

Family

ID=5073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810U KR200469137Y1 (ko) 2011-07-26 2011-07-26 과목이나 밭 작물의 가지 유인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13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178B1 (ko) * 2014-11-18 2017-01-13 김수년 가지 유인용 클립
KR102177915B1 (ko) * 2019-03-15 2020-11-12 함용희 3자 형상을 갖는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
KR20210031341A (ko) 2019-09-11 2021-03-19 함용희 나뭇가지 유인용 e 클립
KR200495271Y1 (ko) * 2021-05-25 2022-04-15 권정순 과목 분지각 조절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914Y1 (ko) 2000-03-14 2000-10-16 배정식 작물 순 고정구
KR100914255B1 (ko) 2008-09-02 2009-08-26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가지유인기
KR20090116997A (ko) * 2008-05-08 2009-11-12 문우연 작물의 덩굴 지지구
KR20100078125A (ko) * 2008-12-30 2010-07-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가지유인클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914Y1 (ko) 2000-03-14 2000-10-16 배정식 작물 순 고정구
KR20090116997A (ko) * 2008-05-08 2009-11-12 문우연 작물의 덩굴 지지구
KR100914255B1 (ko) 2008-09-02 2009-08-26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가지유인기
KR20100078125A (ko) * 2008-12-30 2010-07-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가지유인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831U (ko)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137Y1 (ko) 과목이나 밭 작물의 가지 유인 지지구
KR101430720B1 (ko) 포도나무의 장지형 재배방법
US11178825B2 (en) Stackable trellis support system
CN104823740A (zh) 一种油茶种植的整形修剪方法
US20160286734A1 (en) Method for adjusting and stabilizing a support for a plant
KR100907788B1 (ko) 과수나무용 가지 유인기
KR20160001598U (ko) 과목이나 밭 작물의 가지 유인 지지구
KR200422095Y1 (ko) 농작물 고정용 유인고리
KR200480484Y1 (ko) 농작물용 가지 유인구
KR200474591Y1 (ko) 지지 끈이 꿰어진 덩굴식물 생장용 그물
CN106258445B (zh) 一种防台风豇豆田间栽培方法及其防台风栽培架
CN208113550U (zh) 一种猕猴桃牵引装置
JP2011110013A (ja) 樹木用ネット
Dellamano Controlling birds with netting: blueberries, cherries and grapes
KR200474452Y1 (ko) 가지유인용 유인줄 구조
KR102009570B1 (ko) 잡초방지 및 수확을 위한 다기능 그물
KR101011843B1 (ko) 농사용 비닐
US20220061231A1 (en) Plant support cage
CN108811946A (zh) 植株落蔓方法以及植株落蔓系统
KR101643664B1 (ko) 방조망 걸이 겸용 로프 지주캡
RU2579268C1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высокорослых томатов на т-образной шпалере
US1432403A (en) Vine support
KR200488853Y1 (ko) 농작물 가지 유인구
KR200197465Y1 (ko) 배나무 가지의 지지대
CN210094188U (zh) 一种用于蓝莓果园的防护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