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246Y1 -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 - Google Patents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246Y1
KR200492246Y1 KR2020190005213U KR20190005213U KR200492246Y1 KR 200492246 Y1 KR200492246 Y1 KR 200492246Y1 KR 2020190005213 U KR2020190005213 U KR 2020190005213U KR 20190005213 U KR20190005213 U KR 20190005213U KR 200492246 Y1 KR200492246 Y1 KR 2004922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clip
branches
attracting
t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5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용희
Original Assignee
함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용희 filed Critical 함용희
Priority to KR20201900052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2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2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2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유실수 나뭇가지의 굵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일체형으로 클립을 구성하여 가지의 균형을 유지시켜 원하는 방향으로 자랄 수 있고, 잎눈 또는 꽃눈의 발생이 용이하고 동시에 작업자의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였으며, 과실수의 가지 유인 작업을 매우 손쉽고 정확하며 세밀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과수원의 전체적인 가지유인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를 최대한으로 절감시키게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과실재배농가의 소득증대와 경영수지의 개선 측면에 한층 더 이바지하게 되었고, 또한 클립 몸체에 형성된 돌출핀의 고정홈에 유입되는 나뭇가지와 유인요홈 사이에 공간이 유지됨에 따라 잎눈 또는 꽃눈 발생에 매우 유리하게 되었으며, 또한 클립 몸체에 가지가 유입되면서 휘어지는 각도를 다르게 함에 따라 과수나무의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Device for drooping a branch of fruit-tree}
본 고안은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는 나뭇가지 및 굵은 나뭇가지의 유인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일체형으로 클립을 구성하여 가지의 균형을 유지시켜 원하는 방향으로 자랄 수 있고, 잎눈 또는 꽃눈의 발생이 용이하는 동시에 작업자의 사용이 편리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사과와 같은 낙엽과수나 열매를 맺는 채소 작물의 성장기에는 열매의 상품성 향상을 위해 열매가 맺는 가지를 유인하여 줌으로써, 조기 착과와 수광량 증대 및 통풍원활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 이러한 가지의 유인작업시에는 유인하고자 하는 가지에 무게 추를 매달거나 유인하고자 하는 가지를 이웃하는 굵은 가지에 줄로 묶어 고정시키는 방법 등을 주로 이용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가지에 무게추나 줄을 매듭지어 묶어야만 했기 때문에, 가지 유인작업을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최근에는 가지의 유인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클립형태로 마련된 유인기구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가지유인클립은 몸체와,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 게 형성되며 몸체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복수개의 돌출편을 구비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돌출편은 통상 일자형태로 마련되며,이러한 돌출편들은 서로 비슷 한 두께를 갖으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가지유인클립은 유인하려는 가지의 일부분이 돌출편 사 이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통과하도록 가지에 장착되어 가지를 원하는 방향으로 유인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가지유인클립은 각각의 돌출편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동일 직선상에 배치된 관계로 배와 같이 굵은 가지를 유인하고자 했을 때, 돌출편 사이사이로 가지를 집어 넣기 힘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돌출편이 단순하게 일자형태로 마련되는 종래 가지유인클립은 가지 유인 을 위해 가지에 장착된 상태에서 바람이나 새 등을 통해 몸체쪽으로 힘을 받을 경우 가지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종래 사용되는 특허등록 제10-1083990호의 가진유인클립은 몸체 내부가 일자로 형성되면서 가지와 유인클립이 서로 맞닿는 구조이므로 잎 눈 또는 꽃눈 발생에 매우 불리하게 하게 되었으며, 나뭇가지의 굵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클립을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83990호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실수 나뭇가지의 굵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인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자랄 수 있고, 잎눈 또는 꽃눈의 발생이 용이하도록 유인하기 위한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직선형의 내측몸체와, 내측몸체의 중앙 및 전후면에 동일 크기로 내측유인요부가 형성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부면에 나뭇가지의 장착성을 높이면서 가지 탈선방지 기능을 갖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내측돌출핀으로 이루어진 내측클립과; 상기 내측클립의 내측몸체 외측 전후면에 동일 간격을 유지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직선형의 외측몸체와, 외측몸체의 중앙 및 전후면에 동일 크기로 외측유인요부가 형성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부면에 나뭇가지의 장착성을 높이면서 가지 탈선방지 기능을 갖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외측돌출핀으로 이루어진 외측클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유실수 나뭇가지의 굵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인할 수 있도록 일체형으로 클립을 구성하여 가지의 균형을 유지시켜 원하는 방향으로 자랄 수 있고, 잎눈 또는 꽃눈의 발생이 용이하고 동시에 작업자의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였으며, 과실수의 가지 유인 작업을 매우 손쉽고 정확하며 세밀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과수원의 전체적인 가지유인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를 최대한으로 절감시키게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과실재배농가의 소득증대와 경영수지의 개선 측면에 한층 더 이바지하게 되었고, 또한 클립 몸체에 형성된 돌출핀의 고정홈에 유입되는 나뭇가지와 유인요홈 사이에 공간이 유지됨에 따라 잎눈 또는 꽃눈 발생에 매우 유리하게 되었으며, 또한 클립 몸체에 가지가 유입되면서 휘어지는 각도를 다르게 함에 따라 과수나무의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의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의 좌측 및 우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의 외측몸체에 가는 나뭇가지가 유인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가지의 휘어지는 각도가 작은 경우를 도시한 구성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의 외측몸체에 가는 나뭇가지가 유인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가지의 휘어지는 각도가 큰 경우를 도시한 구성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의 내측몸체에 굵은 나뭇가지가 유인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가지의 휘어지는 각도가 작은 경우를 도시한 구성도.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의 내측몸체에 굵은 나뭇가지가 유인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가지의 휘어지는 각도가 큰 경우를 도시한 구성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의 평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의 좌,우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은 적정 길이와 폭을 유지하여 이루어진 직선형의 내측몸체(12)와, 내측몸체(12)의 중앙 및 전후면에 동일 크기로 내측유인요부(2)(3)가 형성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부면에 나뭇가지(1)의 장착성을 높이면서 가지 탈선방지 기능을 갖는 고정홈(14a)(15a)(16a)이 형성되는 내측돌출핀(14)(15)(16)으로 이루어진 내측클립(10)과; 내측클립(10)의 내측몸체(12) 외측 전후면에 동일 간격을 유지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적정 길이와 폭을 유지하여 이루어진 직선형의 외측몸체(22)와, 외측몸체(22)의 중앙 및 전후면에 동일 크기로 외측유인요부(4)(5)가 형성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부면에 나뭇가지의 장착성을 높이면서 가지 탈선방지 기능을 갖는 고정홈(24a)(25a)(26a)이 형성되는 외측돌출핀(24)(25)(26)으로 이루어진 외측클립(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홈(14a,15a,16a)(24a,25a,26a)은 유입되는 나뭇가지와 내측유인요부(2)(3) 및 외측유인요부(4)(5) 사이에 공간(1a)이 충분히 유지 되도록 내측돌출핀(14)(15)(16) 및 외측돌출핀(24)(25)(26)의 상하부면(도 2기준)에 각각 형성되어 나뭇가지의 장착성을 높이면서 탈선 방지기능을 갖게 되는 동시에 잎눈 또는 꽃눈의 발생이 유도된다.
이때, 고정홈(14a,15a,16a)(24a,25a,26a)에는 내,외측돌기부(14a-1,15a-1,16a-1)(24a-1,25a-1,26a-1)가 일체로 각각 형성되어 유입되는 가지 부분이 밀리지 않도록 잡아주면서 견고하게 장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가지에 영양 공급을 차단하여 잎눈 또는 꽃눈의 생성을 유도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내측클립(10)의 내측몸체(12) 및 외측클립(20)의 외측몸체(22)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내측돌출핀(15) 및 외측돌출핀(25)을 기준으로, 내측몸체(12) 및 외측몸체(22)의 전후면에 내측돌출핀(14)(16) 및 외측돌출핀(24)(26)이 낮게 형성되어, 내측돌출핀(14)(15)(16) 및 외측돌출핀(24)(25)(26)의 고정홈(14a,15a,16a)(24a,25a,26a) 사이에 각각 엇갈리게 유인되는 나뭇가지가 휘어지게 된다.
이때, 내측클립(10)의 내측돌출핀(14,15,16)은 내측유인요부(2)(3)의 간격이 넓게 유지되어 굵은 나뭇가지의 유인에 적합하고, 외측클립(20)의 내측돌출핀(24,25,26)은 외측유인요부(4)(5)의 간격이 좁게 유지되어 굵기가 가는 나뭇가지의 유인에 적합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에 대한 동작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작업자가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을 구성하는 내측클립(10) 또는 외측클립(20) 중 어느 하나를 안정되게 파지한 다음 내,외측클립의 내,외측돌출핀(14,15,16)(24,25,26)과 내,외측유인요부(2,3)(4,5) 사이에, 유실수의 어린 나뭇가지(1)를 엇갈리게 유입하여 선택적으로 유인하게 됨에 따라 나뭇가지와 내,외측유인요부(2,3)(4,5) 사이에 공간(1a)이 유지되어 잎눈 또는 꽃눈의 발생이 유도된다.
이와 동시에 내,외측돌출핀의 고정홈(14a,15a,16a)(24a,25a,26a)으로 유인되는 나뭇가지가 고정홈에 형성된 내,외측돌기부(14a-1,15a-1,16a-1)(24a-1,25a-1,26a-1)에 받쳐 지지되어, 밀리지 않도록 잡아주면서 견고하게 장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영양 공급을 차단하여 잎눈 또는 꽃눈의 생성을 유도하는 생성을 유도하고, 가지의 방향이 수광량을 증대시키고 통풍이 원활한 곳으로 전환되어 가지의 불필요한 생장을 멈추게 하여 이듬해 좋은 열매를 맺을 수 있는 꽃눈을 충실하게 만들게 된다.(도 9참조)
한편,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나뭇가지를 평면(도 2기준)으로 위치된 외측클립(20)을 구성하는 돌출핀(24) 상부면의 고정홈(24a)과 돌출핀(25) 하부면의 고정홈(25a) 및 돌출핀(26) 상부면의 고정홈(26a) 사이에 순차적으로 삽입시켜 나뭇가지의 휘는 각도가 작아지게 되고,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나뭇가지를 돌출핀(24) 하부면의 고정홈(24a)과 돌출핀(25) 상부면의 고정홈(25a) 및 돌출핀(26) 하부면의 고정홈(26a) 사이에 순차적으로 삽입시켜 나뭇가지의 휘는 커지게 된다.
이때, 나무의 둥치에 가까운 쪽의 나뭇가지에 도 6a,도 6b에서와 같이 클립을 위치시켜 나뭇가지의 휘는 각도를 크게 유인한 다음, 도 5a,도 5b에서와 같이 클립을 위치시켜 나뭇가지의 휘는 각도를 작게 하여 유인함으로써, 나뭇가지가 수평으로 펴지게 되어 과수나무의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도 9참조)
또한, 도 7a 및 도 7b에서와 같이 나뭇가지를 평면(도 2기준)으로 위치된 내측클립(10)를 구성하는 돌출핀(24) 상부면의 고정홈(24a)과 돌출핀(25) 하부면의 고정홈(25a) 및 돌출핀(26) 상부면의 고정홈(26a) 사이에 순차적으로 삽입시켜 나뭇가지의 휘는 각도가 작아지게 되고, 도 8a 및 도 8b에서와 같이 나뭇가지를 돌출핀(24) 하부면의 고정홈(24a)과 돌출핀(25) 상부면의 고정홈(25a) 및 돌출핀(26) 하부면의 고정홈(26a) 사이에 순차적으로 삽입시켜 나뭇가지의 휘는 커지게 된다.
이때, 나무의 둥치에 가까운 쪽의 나뭇가지에 도 8a,도 8b에서와 같이 클립을 위치시켜 나뭇가지의 휘는 각도를 크게 유인한 다음, 도 7a,도 7b에서와 같이 클립을 위치시켜 나뭇가지의 휘는 각도를 작게 하여 유인함으로써, 나뭇가지가 수평으로 펴지게 되어 과수나무의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외측클립(20)은 가는 굵기의 나뭇가지의 유인에 적합하고, 내측클립(10)은 굵은 나뭇가지의 유인에 적합한 것이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나뭇가지 1a : 공간
2,3,4,5 : 내,외측유인요부 10 : 내측클립
12 : 내측몸체 14,15,16 : 내측돌출핀
14a,15a,16a,24a,25a,26a : 고정홈 14a-1,15a-1,16a-1 : 내측돌기
20 : 외측클립 22 : 외측몸체
24,25,26 : 외측돌출핀 24a-1,25a-1,26a-1 : 외측돌기

Claims (5)

  1. 직선형의 내측몸체(12)와, 내측몸체(12)의 중앙 및 전후면에 동일 크기로 내측유인요부(2)(3)가 형성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부면에 나뭇가지(1)의 장착성을 높이면서 가지 탈선방지 기능을 갖도록 내,외측돌기부(14a-1,15a-1,16a-1)를 갖는 고정홈(14a)(15a)(16a)이 형성되며, 내측유인요부(2)(3)의 간격이 넓게 유지되어 굵은 나뭇가지의 유인에 적합한 내측돌출핀(14)(15)(16)으로 이루어진 내측클립(10)과;
    상기 내측클립(10)의 내측몸체(12) 외측 전후면에 동일 간격을 유지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직선형의 외측몸체(22)와, 외측몸체(22)의 중앙 및 전후면에 동일 크기로 외측유인요부(4)(5)가 형성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부면에 나뭇가지의 장착성을 높이면서 가지 탈선방지 기능을 갖도록 내,외측돌기부(24a-1,25a-1,26a-1)을 갖는 고정홈(24a)(25a)(26a)이 형성되며, 외측유인요부(4)(5)의 간격이 좁게 유지되어 굵기가 작은 나뭇가지의 유인에 적합한 외측돌출핀(24)(25)(26)으로 이루어진 외측클립(20)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홈(14a,15a,16a)(24a,25a,26a)은 유입되는 나뭇가지와 내측유인요부(2)(3) 및 외측유인요부(4)(5) 사이에 공간(1a)이 충분히 유지되도록 내측돌출핀(14)(15)(16) 및 외측돌출핀(24)(25)(26)의 상하부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몸체(12) 및 외측몸체(22)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내측돌출핀(15) 및 외측돌출핀(25)을 기준으로, 내측몸체(12) 및 외측몸체(22)의 전후면에 내측돌출핀(14)(16) 및 외측돌출핀(24)(26)이 낮게 형성되어, 고정홈(14a,15a,16a)(24a,25a,26a) 사이에 각각 엇갈리게 나뭇가지(1)가 휘어져 유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
  5. 삭제
KR2020190005213U 2019-12-23 2019-12-23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 KR2004922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213U KR200492246Y1 (ko) 2019-12-23 2019-12-23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213U KR200492246Y1 (ko) 2019-12-23 2019-12-23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246Y1 true KR200492246Y1 (ko) 2020-09-04

Family

ID=72470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5213U KR200492246Y1 (ko) 2019-12-23 2019-12-23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2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32754A1 (en) * 2022-01-27 2023-07-27 William Schriefer, III Plant growth adjustment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8125A (ko) * 2008-12-30 2010-07-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가지유인클립
KR20100007368U (ko) * 2010-01-23 2010-07-20 김외출 과실수용 가지유인구
KR20160001598U (ko) * 2014-11-05 2016-05-13 이일준 과목이나 밭 작물의 가지 유인 지지구
KR200480484Y1 (ko) * 2015-10-14 2016-05-30 류희두 농작물용 가지 유인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8125A (ko) * 2008-12-30 2010-07-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가지유인클립
JP2010154844A (ja) * 2008-12-30 2010-07-15 Ichishun Lee 枝誘引クリップ
KR101083990B1 (ko) 2008-12-30 2011-11-16 이일준 가지유인클립
KR20100007368U (ko) * 2010-01-23 2010-07-20 김외출 과실수용 가지유인구
KR20160001598U (ko) * 2014-11-05 2016-05-13 이일준 과목이나 밭 작물의 가지 유인 지지구
KR200480484Y1 (ko) * 2015-10-14 2016-05-30 류희두 농작물용 가지 유인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32754A1 (en) * 2022-01-27 2023-07-27 William Schriefer, III Plant growth adjustmen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0838B2 (en) Grid shoot positioning system for grape vines
KR101203621B1 (ko) 나무가지의 전정 및 유인에 의한 비경 관상수목의 형성방법
CN105432326B (zh) 油茶树做砧木嫁接茶花的培育工艺
CN104823740A (zh) 一种油茶种植的整形修剪方法
KR101083990B1 (ko) 가지유인클립
KR200492246Y1 (ko) 유실수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
KR20090060088A (ko) 과수나무용 가지 유인기
JP6329593B2 (ja) イチジクの栽培方法
RU138217U1 (ru) V-образная двухплоскостная шпалера для виноградника
KR20160001598U (ko) 과목이나 밭 작물의 가지 유인 지지구
KR102177915B1 (ko) 3자 형상을 갖는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
KR200447063Y1 (ko) 과실수용 가지유인구
US20140101995A1 (en) Plant Support and Stabilization System
KR200395966Y1 (ko) 수목가지 유인구
KR102493048B1 (ko) 토마토 줄기의 유인 장치
RU2579268C1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высокорослых томатов на т-образной шпалере
JP2020048546A (ja) 植栽容器
RU2813774C1 (ru) Способ ведения виноградного куста
KR101393713B1 (ko) 속성 녹화용 마삭줄 및 이를 이용한 대면적 속성 녹화방법
Hoying et al. More productive and profitable peach planting systems
US20130239477A1 (en) Method of increasing plant branching
CVETKOVIĆ et al. Canopy management practices in modern plum (Prunus domestica L.) production on vigorous rootstocks.
KR20130134718A (ko) 가지 유인 및 교정 지지구
CN205266462U (zh) 一种秋里白豆角春季栽培的搭架
JP3107339U (ja) 下ろし蔓誘引用止め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