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3278B1 - 향기 지속성이 우수한 보존화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존화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향기 지속성이 우수한 보존화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존화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3278B1
KR101083278B1 KR1020090096093A KR20090096093A KR101083278B1 KR 101083278 B1 KR101083278 B1 KR 101083278B1 KR 1020090096093 A KR1020090096093 A KR 1020090096093A KR 20090096093 A KR20090096093 A KR 20090096093A KR 101083278 B1 KR101083278 B1 KR 101083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rvation
fragrance
composition
flowers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8902A (ko
Inventor
유은하
김형득
김광진
정순진
정명일
송정섭
김태엽
Original Assignee
김태엽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엽,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김태엽
Priority to KR1020090096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278B1/ko
Publication of KR20110038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00Preservation of plants or parts thereof, e.g. inhibiting evaporation, improvement of the appearance of leaves or protection against physical influences such as UV radiation using chemical compositions; Grafting wax
    • A01N3/02Keeping cut flowers fresh chemical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기 지속성이 우수한 보존화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향기를 보다 오래 지속시키면서 생화의 유연한 질감과 부드러운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보존화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존화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된 보존화는 향기를 미세분사 처리하는 종래 방법으로 제조된 보존화에 비해 50~100배 가량 향기가 강하며 저장기간에 따른 향기의 지속효과도 우수하다.
보존화, 합성향료, 세포치환, 폴리올, 글리세린, 계면활성제

Description

향기 지속성이 우수한 보존화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존화의 제조방법{A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Preserved Flower with Long Lasting Fragrance and Method for Preserved Flower Using the Same}
본 본 발명은 향기 지속성이 우수한 보존화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향기를 보다 오래 지속시키면서 생화의 유연한 질감과 부드러운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보존화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화는 꽃다발, 꽃바구니 등 꽃장식의 주된 소재이다. 그러나 수명이 짧아 장미의 경우는 길어야 5-7일 동안 관상할 수 있으며 그 이후로는 색상의 변화, 부패, 이로 인한 악취발생 등으로 인하여 폐기해야만 한다.
생화를 통풍이 잘되는 음지에서 거꾸로 매달아 건조시키거나, 냉동건조, 온풍건조 등 몇 가지 건조 방법으로 가공한 건조화의 경우, 수축이 심하게 일어나고, 색상이 변화되어 관상가치가 떨어지게 되며 결정적으로 조직의 수분이 빠져나가 바스러지기 쉬운 상태가 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생화 및 건조화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연구 개발된 것이 보존 화(preserved flower)이다. 보존화는 생화의 수분을 유기용매로 빼내고 조직의 유연성과 형태를 유지해줄 수 있는 유연제로 치환하는 가공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보존화에 대해 특허 출원된 내용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29690에 의해 생성된 보존화의 경우, 형태와 질감은 생화에 가깝게 제조되나 향기가 없어 생화의 느낌이 적고 소비자들로 하여금 조화로 착각하게 할 수 있어 사용범위에 제약이 있다. 일부 향기나는 보존화의 경우(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6-0025440)는 보존화 표면에 스프레이방식으로 도포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는데, 시간의 경과에 따라 향기가 쉽게 휘발되어 실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보존화 향기를 장기간 지속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향기가 오래도록 지속되는 보존화를 제조하기 위한 보존화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존화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꽃받침으로부터 줄기방향으로 2.5~3cm 길이로 절단된 꽃을 에탄올에 완전히 담겨질 정도로 넣어 24~60시간 동안 침지하여 탈수처리하는 단계;
상기 탈수처리된 꽃을 1가 저급알콜, 글리세린, 폴리에테르 디올(Polyether diol) 화합물을 혼합한 용액에 12~24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1가 저급알콜, 글리세린, 폴리에테르 디올(Polyether diol) 화합물, 사이클로메치콘(cyclomethicone), 유화제, 향료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고 적어도 24시간 이상 상온에서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된 조성물에 상기 침지처리된 꽃을 침지하여 24~48시간 동안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조성물로 처리된 꽃을 20~24 온도에서 상대습도 30~60%의 조건하에서 3~7일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향기 지속성이 우수한 보존화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1가 저급알콜, 상기 1가 저급알콜 100부피부에 대해 글리세린 5~10 부피부, 폴리에테르 디올(Polyether diol) 화합물 10~50 부피부, 사이클로메치콘(cyclomethicone) 5~30 부피부, 유화제 5~15 부피부, 향료 2~5 부피부 및 계면활성제 0.5~1 부피부를 포함하는 향기 지속성이 우수한 보존화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1가 저급알콜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폴리에테르 디올계 화합물은 폴리에칠렌 글리콜(PEG), 또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유화제는 레시틴(Lecitine)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향료는 장미향, 가데니아향, 자스민향 및 일랭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장미향은 헤디온(hedion), 벤질 아세테이트, 벤질 살리실레이트, 테트라히드로리나룰(tetrahydrolinalool), 디프로펜글리콜(DPG) 및 백다놀(Bacdanol)이 혼합된 합성향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1가 저급알콜 100 부피부에 대해 식용색소를 2~5 부피부를 추가적으로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보존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향기 지속성이 우수한 보존화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보존화는 일반 보존화에 향기를 표면분사처리하는 방법에 비해 50~100배 가량 향기가 강하며 저장기간에 따른 향기의 지속효과도 뛰어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향기 지속성이 우수한 보존화 제조용 조성물은 1가 저급알콜, 상기 알콜 100부피부에 대해 글리세린 5~10 부피부, 폴리에테르 디올(Polyether diol) 화합물 10~50 부피부, 사이클로메치콘(cyclomethicone) 5~30 부피부, 유화제 5~15 부피부, 향료 2~5 부피부 및 계면활성제 0.5~1 부피부를 포함한다.
보존화의 제조에 있어서, 보존용액은 탈수과정을 거친 식물세포를 충진하여 수분을 치환하며, 보존용액 내의 유연제인 글리세린과 조직을 고정시키는 폴리에테르 디올계 화합물은 알콜류가 휘발된 후에도 안정적으로 합성향료가 식물 세포 내 에 존재하도록 함으로써 향기, 질감, 형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용매인 1가 저급알콜의 부피에 비해 글리세린의 부피비가 5% 미만으로 적을 경우에는 꽃의 크기나 중량이 보존되지 않으며, 글리세린의 비율이 높아져 에탄올 부피의 10%를 넘게 되면 글리세린의 점착성으로 인한 조성물의 끈적거림이 증가하여 장식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함과 동시에 보존화의 강도가 약해지고 쳐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비경제적이다.
폴리에테르 디올(Polyether diol) 화합물(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PG))은 흡습성이 뛰어나 장기간 꽃을 보관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하며, 그 중합도의 조절에 따라 흡습성의 조절이 가능하다. 1가 저급 알콜의 부피에 비해 10 ~ 50% 포함되는 것이 적정한데, 상기 범위로 포함시킬 때 보존화의 인장강도 및 강성의 면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이고 향기 지속성 면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인다.
사이클로메치콘(cyclomethicone)은 향료의 고착과 꽃 조직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꽃잎의 윤기와 부드러움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며, 상기 1가 저급알콜 대비 5~30부피부가 적정하다. 이보다 낮은 범위로 혼합될 경우 향료의 고착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고, 이보다 높은 범위의 경우에는 꽃의 강도가 약해져 꽃잎 조직이 쳐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유화제는 5~15부피부가 적합한데, 이보다 낮은 비율로 첨가될 경우에는 안정한 유탁액의 생성에 효과가 미약하고, 이보다 높을 경우에는 침투성이 약화되고 꽃의 물성에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향료는 1가 저급알콜(예를 들어 에탄올, 메탄올) 100 부피부에 대해 2~5 부피부를 포함시키는 것이 적정하다. 조성물에 포함되는 다른 성분과의 조화 및 은은한 향의 발산을 고려하였을 때 상기 범위가 적정하다. 보존화 제조에 사용되는 향료는 주로 합성 향료를 많이 사용하나 천연향료를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계면활성제는 다른 유기 용제와의 상용성 및 향료의 원활한 혼합과 침투를 위해 포함시키는 것으로 1가 저급알콜 100 부피부에 대해 0.5~1 부피부를 포함시키는 것이 적정하다. 0.5 부피부 미만을 첨가시키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1 부피부를 초과하여 포함시키면 조성물의 제형에 영향을 줄 염려가 있고 생화의 모양과 무게에 대한 보존성이 떨어질 염려가 있다.
도 1에서는 일반 보존화의 제작방법과 향기나는 보존화 제작방법의 차이점을 모식도로 나타내었다. 즉, 일반보존화의 제작 방법에서는 단순히 절화의 수분 탈수 후 보존액 처리를 하여 보존화를 제조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향기 지속성이 우수한 보존화 제조를 위해서는 보존액에 향료 및 계면활성제를 적정함량 혼합시키고 여기에 탈수된 절화를 침지시킴으로써 향료를 포함한 보존용액이 꽃잎의 세포에 침투되면서 치환되도록 조치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할 것이다.
[실시예 1]
1가 저급알콜, 글리세린, 폴리에테르 디올(Polyether diol) 화합물, 사이클로메치콘(cyclomethicone), 유화제, 그리고, 헤디온(hedion), 벤질 아세테이트, 벤질 살리실레이트, 테트라히드로리나룰(tetrahydrolinalool), 디프로펜글리콜(DPG) 및 백다놀(Bacdanol)을 이용하여 장미향의 이미지로 조향된 합성향료(구입처:서울향료)를 알코올 부피에 대해 2% 혼합하고, 향료의 원활한 혼합 및 침투를 위한 계면활성제인 Tween 20 1%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향료와 기타 조성물이 안정적으로 혼합될 수 있도록 하여 향기나는 보존화 제조용 용액을 제조하였다.
보존화의 제조과정을 포함한 보다 상세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서울 양재동 화훼 공판장에서 구매한 장미종 '비탈'을 구입후 꽃받침으로부터 줄기방향으로 3cm 길이로 절단하여 100% 에탄올에 완전히 담겨질 정도로 넣어 24시간 동안 침지하여 꽃을 탈수처리하였다.
상기 탈수처리된 꽃을 1가 저급알콜, 글리세린, 폴리에테르 디올(Polyether diol) 화합물을 혼합한 용액에 12~24시간 동안 1차 침지하였다. 1차 침지는 절화를 향기나는 보존화 제조용 용액으로 처리하기에 앞서, 절화가 이 용액을 보다 잘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조성물의 일부 보존 성분으로 절화를 전처리하는 과정이다. 이는 향기나는 보존화 제조용 용액에 절화를 처음부터 너무 오래 담구어 두면 꽃이 용액을 너무 많이 흡수하여 젖어드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조성물 성분 중 반응성이 강한 성분들이 절화의 생체조직 내 잔류하고 있던 물질들과 미숙한 상태로(prematurely) 반응해 버림으로써, 조성물의 향료성분의 보존성이 저하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낮춰주는 역할을 한다. 즉, 절화의 생체 조직의 내외에서 향기 성분이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조건을 조성한 다음, 점차 증가되는 농도조건으로 침투시킴으로써, 절화의 조직에 향기 성분이 보다 안정적으로 침착할 수 있도록 하여 최적의 향기 보존 조건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 다음, 이와 같이 향료가 첨가된 상기 조성물에 꽃을 침지하여 24시간 동안 처리하고, 20~24℃ 온도에서 상대습도 30~60%의 조건하에서 7일간 건조시켜 향기나는 보존화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2]
장미의 꽃받침으로부터 줄기방향으로 2.5cm 길이로 자른 절화를 에탄올에 완전히 잠겨질 정도로 30시간 침지하여 탈수처리를 한 후, 1가 저급알콜, 글리세린, 폴리에테르 디올(Polyether diol) 화합물을 혼합한 용액에 12시간 동안 1차 침지하였다. 그런 다음, 실시예 1에서 사용된 향기나는 보존화 제조용 용액에 절화를 완전히 침지되도록 하여 60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처리된 절화를 24, 상대습도 60%의 조건에서 3일간 건조시켜 향기가 지속되는 보존화를 완성하였다.
도 3은 상기의 보존용액으로 완성된 보존화 및 22℃의 공기중에서 10일 동안 자연건조시킨 생화의 표면을 전자현미경(SEM, 주사전자현미경, 500배 관찰)으로 관찰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로 처리한 보존 화의 꽃잎표면은 에탄올 탈수 이후 실시예 2의 보존용액으로 다시 충진되어 생화와 유사한 정도의 표면 질감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단순히 공기 중에서 자연건조시킨 건조화의 꽃잎표면과 질감에 있어서 확연히 다름을 알 수 있으며, 향기의 지속성 뿐만 아니라 꽃의 질감도 양호하게 보존됨을 알 수 있다.
[참고예]
도 2의 향기의 성분 측정에 있어서 세포치환법과 표면분사법을 비교하였다. 표면분사법은 꽃을 24시간동안 탈수시킨 다음 48시간 보존용액에 보존처리한 후 22℃, 상대습도 60%이하 조건에서 7~10일 동안 건조시킨 보존화에 에틸알콜 100 부피부에 대해 2 부피부의 향료를 용해하여 에어브러쉬를 사용하여 꽃표면 전체에 고루 분사시켜 처리한 것을 말한다.
세포치환법은 표면분사법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탈수, 보존처리하나 보존용액에 2 부피부의 꽃향기 이미지로 조향된 합성향료를 용해시켜 48시간 처리한 것을 말한다. 제작이 완료된 이후 동일기간(2개월)을 경과시킨 후의 향기성분의 지속성을 비교한 결과가 도 2에 나타나 있다. 향기성분의 비교는 GC-MS로 측정한 결과이며 각 성분별로 나타나는 피크(peak)의 면적을 상대값으로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두 방법을 비교한 결과, 향료의 지속성에 있어서는 표면분사법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치환법이 50~100배 가량 향기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2).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 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 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보존화의 제작방법과 향기나는 보존화 제작방법을 비교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종래 향기 처리방법인 표면처리법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기 처리방법인 세포치환법에 따른 향기성분의 지속성 차이를 나타낸다.
도 3은 공기중에서 건조시킨 건조화의 꽃잎과 에탄올 탈수 후 본 발명에 따른 보존화 제조용 조성물에 침지시켜 제조된 보존화의 꽃잎의 표면을 대조하여 나타낸 것이다.

Claims (2)

  1.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지속성이 우수한 보존화의 제조방법:
    꽃받침으로부터 줄기방향으로 2.5~3cm 길이로 절단된 꽃을 에탄올에 완전히 담겨질 정도로 넣어 24~60시간 동안 침지하여 탈수처리하는 단계;
    상기 탈수처리된 꽃을 1가 저급알콜, 글리세린, 폴리에테르 디올(Polyether diol) 화합물을 혼합한 용액에 12~24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1가 저급알콜, 글리세린, 폴리에테르 디올(Polyether diol) 화합물, 사이클로메치콘(cyclomethicone), 유화제, 향료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고 적어도 24시간 이상 상온에서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된 조성물에 상기 침지처리된 꽃을 침지하여 24~48시간 동안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조성물로 처리된 꽃을 20~24℃ 온도에서 상대습도 30~60%의 조건하에서 3~7일간 건조시키는 단계.
  2. 삭제
KR1020090096093A 2009-10-09 2009-10-09 향기 지속성이 우수한 보존화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존화의 제조방법 KR101083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093A KR101083278B1 (ko) 2009-10-09 2009-10-09 향기 지속성이 우수한 보존화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존화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093A KR101083278B1 (ko) 2009-10-09 2009-10-09 향기 지속성이 우수한 보존화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존화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902A KR20110038902A (ko) 2011-04-15
KR101083278B1 true KR101083278B1 (ko) 2011-11-15

Family

ID=44045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093A KR101083278B1 (ko) 2009-10-09 2009-10-09 향기 지속성이 우수한 보존화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존화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2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1338A (ko) 2022-03-03 2023-09-13 김동희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이용한 큰 꽃송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231B1 (ko) * 2019-10-08 2021-12-06 최규호 절화 보존화 용액 및 이를 이용한 절화 처리 방법
KR102571577B1 (ko) * 2021-02-02 2023-08-25 이은희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690B1 (ko) 2007-01-29 2008-05-28 김태엽 생화를 시들지 않는 상태로 오래 동안 그대로 보존할 수있는 용액(물질)의 제조 방법과 보전처리 과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690B1 (ko) 2007-01-29 2008-05-28 김태엽 생화를 시들지 않는 상태로 오래 동안 그대로 보존할 수있는 용액(물질)의 제조 방법과 보전처리 과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1338A (ko) 2022-03-03 2023-09-13 김동희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이용한 큰 꽃송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902A (ko) 201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2537A (en) Long-life cut flowers and method of treatment for obtaining such flowers
DK181175B1 (en) Method of tissue preservation and tissue made therefrom
JP2017088894A (ja) 天然溶媒を使用して新鮮な花及び/又は葉の芳香抽出物を得るための方法
CN108174844A (zh) 一种永生月季花的制作工艺
KR101083278B1 (ko) 향기 지속성이 우수한 보존화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존화의 제조방법
KR20170133894A (ko) 건조화(dry flower) 제조용 유연제 수용액 및 당해 유연제 수용액의 처리에 의한 건조화 제조 방법
JP3813165B2 (ja) 天然の植物を使用した造花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仕上げ剤
CN109091694A (zh) 一种陈皮线香及其制备方法
KR100916984B1 (ko) 식물보존용 액상조성물 및 식물의 처리방법
JP2007119459A (ja) 切花の保存方法、切花保存用キット、加工切花の製造方法及び加工切花
KR101836173B1 (ko) 꽃잎의 떨어짐이 방지되는 국화 보존화 제조 방법
JP5546192B2 (ja) 香料組成物
CN109295709A (zh) 一种花香纤维的制备方法及花香纤维
CN108850295A (zh) 一种兰花茶及其制备方法
JP4478421B2 (ja) 生花保存用液状組成物
KR20220111370A (ko) 절화식물 보존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12585B1 (ko) 식물보존용 액상조성물
KR20190097414A (ko) 보존화 제조방법, 레진 공예품 제조방법 및 레진 공예품 제조용 키트
JP4088673B2 (ja) 藺草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67806A (ko) 천연 섬유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CN107263654A (zh) 一种多肉植物专用柳编花盆
JPH1136121A (ja) 湿式芳香剤
KR101234423B1 (ko)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발향제품 제조방법
KR102123613B1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JP2010168291A (ja) プリザーブドフラワー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