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2717B1 - 핫런너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노즐장치 - Google Patents

핫런너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노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717B1
KR101082717B1 KR1020090039611A KR20090039611A KR101082717B1 KR 101082717 B1 KR101082717 B1 KR 101082717B1 KR 1020090039611 A KR1020090039611 A KR 1020090039611A KR 20090039611 A KR20090039611 A KR 20090039611A KR 101082717 B1 KR101082717 B1 KR 101082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body
nozzle
heater
regio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0794A (ko
Inventor
허남욱
Original Assignee
허남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남욱 filed Critical 허남욱
Priority to KR1020090039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717B1/ko
Publication of KR20100120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0Injection nozzles
    • B29C45/23Feed stopp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8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i.e. feeding the non-plastified material into the injection unit
    • B29C45/1816Feeding auxiliary material, e.g. colouring material
    • B29C2045/1841Feeding auxiliary material, e.g. colouring material into runner channel or runner nozz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8Nozzle tips
    • B29C2045/2785Nozzle tips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핫런너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노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즐 몸체(110)의 중앙 영역(M)에는 상부 영역(U)과 하부 영역(L)에 비하여 히터(130)의 권회수를 적게하여 노즐 몸체(110)의 중앙 영역(M)의 온도가, 상부 영역(U) 또는 하부 영역(L)의 온도와 균일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중앙 영역(M)의 국부적인 온도 상승에 따른 수지의 탄화 현상을 방지하고, 노즐 팁(120)의 재질을 탄소강을 열처리한 열처리강으로 구성함으로써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사출의 경우에 스크래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스크래치에 의한 품질불량 및 게이트 막힘현상을 방지한 것이다.
사출성형, 핫런너,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오픈 노즐, 밸브 게이트, 열처리강

Description

핫런너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노즐장치{ NOZZLE DEVICE FOR HOT RUNNER PLASTIC INJECTION MOLD}
본 발명은 핫런너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노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노즐의 런너가 냉각되어 수지가 고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런너 주위의 노즐을 히터로 가열하는 핫런너 사출금형의 노즐장치에 관한 것으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나 유리성분이 포함된 수지의 사출성형에 특히 적합하도록 노즐 온도가 균일하게 제어되고 노즐 부의 내마모성이 증대된 핫런너 노즐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일종으로서 핫런너 플라스틱 사출금형은 노즐에 구비된 런너가 냉각되어 수지가 고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노즐을 히터로 가열하는 핫런너 노즐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핫런너 노즐장치는 노즐 게이트가 개방되어 있는 '오픈 노즐(Open Nozzle)' 타입과, 노즐 내부에서 일정한 스트로크로 상하 이동하는 밸브 핀으로 노즐 게이트를 폐쇄하고 있다가 사출시에만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밸브 게이트(Valve Gate)' 방식의 2가지 방식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핫런너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노즐장치로서 오픈 노즐 방식의 노즐장치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개폐하여 폐형시 제품 캐비티(cavity)를 형성하는 금형 블록(1)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중심축방향을 따라 상부 수지통로(2A)가 형성된 노즐 몸체(2)와, 상기 노즐 몸체(2)의 하부에 동축으로 결합되고 중심축방향으로 하부 수지통로(2B)가 형성되되 상기 하부 수지통로(2B)의 상측 선단은 상기 상부 수지통로(2A)에 연결되고 하측 선단에는 상기 캐비티와 하부 수지통로(2B)를 서로 연통시키는 게이트(3A)를 구비한 노즐 팁(3)과, 상기 노즐 몸체(1)의 주위에 수회 권취되어 노즐 몸체(2)를 가열함으로써 수지통로(2A,2B)를 통과하는 용융수지를 적정한 온도로 가열하는 히터(4)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4)에 의해 가열되는 노즐 몸체(2)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5)가 노즐 팁(3)에 설치된다.
한편, 그리고 최근에 사출성형 재료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neing Plastic)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높은 인장강도, 굴곡탄성율, 내열성 등의 물성때문에 각종 기계부품, 전기/전자 부품의 사출성형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핫런너 사출금형에서 사출성형시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노즐장치는 매니폴더를 통하여 금형 블록에 연결되는데, 매니폴더의 연결된 노즐장치의 상부는 금형 외측의 외부 공기와 접촉하여 열손실이 발생하므로 중간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유지되고, 노즐장치의 하부도 캐비티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캐비티의 사출 성형품을 취출하기 전 냉각하는 과정에서 열손실 이 커서 중간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유지된다.
그리고, 이러한 온도 분포를 갖는 노즐장치를 갖춘 금형으로 사출성형을 할 때, 용융수지의 유동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통상 캐비티안으로 주입 직전의 온도, 즉 노즐 팁(3) 하단에 온도 센서(5)를 설치하여 게이트(3A) 부분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캐비티 안으로 주입되는 수지의 온도를 제어한다. 이러한 온도제어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노즐 몸체(2)의 상단과 하단이 중간부에 비하여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하단부의 온도를 사출에 적정한 기준 온도로 제어하면 그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분포를 갖는 중간부는 적정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과열되게 되고, 이에 따라 수지통로를 통하여 유동하는 수지는 노즐장치의 중간부에서 과열되어 탄화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수지의 탄화현상은 성형제품에 여러가지 불량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수지탄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가열온도를 낮추면 하단부의 온도는 적정한 기준 온도 이하로 강하하여 수지의 유동성을 불량하게 하므로 이로인한 또다른 불량을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노즐 팁(3)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열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통상 동합금으로 제작된다. 동합금으로 제작된 노즐 팁(3)은 열전도성이 양호하여 수지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제어하는데 적합한다. 그러나 동합금으로 제작된 노즐 팁(3)은 내마모성이 낮아서, 특히 경질의 유리성분을 포함한 수지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출하는 경우에, 그 수지에 포함된 경질의 성분 때문에 노즐 팁의 수지통로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게 되고, 이 스크래치는 게이트 주위의 엔지니어링 플라 스틱 수지를 누설시키고, 누설된 수지는 고화되어 캐비티 안으로 수지의 사출을 방해한다. 이와 같이 게이트 주위에 발생하는 고화현상은 캐비티내로의 적정 사출압력(보압)을 방해하여 사출품질을 저하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본 발명은 노즐 몸체에 국부적인 온도 편차를 줄여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사출성형품의 품질을 개선하고, 난성형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적용의 경우에도 국부적인 온도 편차에 따른 품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핫런너 사출금형의 노즐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폐형시 제품 캐비티를 형성하는 금형 블록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중심축방향을 따라 용융수지 통로가 형성된 노즐 몸체와, 상기 노즐 몸체의 하부에 동축으로 결합되고 중심축방향으로 하부 수지통로가 형성되되 상기 하부 수지통로의 상측 선단은 상기 상부 수지통로에 연결되고 하측 선단에는 상기 캐비티와 하부 수지통로를 서로 연통시키는 게이트를 구비한 노즐 팁과, 상기 노즐 몸체의 주위에 수회 권취되어 노즐 몸체를 가열함으로써 수지통로를 통과하는 용융수지를 적정한 온도로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노즐 몸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구비한 핫런너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노즐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 몸체의 길이방향 중앙 영역의 외벽 둘레에, 히터를 권취하여 지지하는 히터 지지링이 고정되고, 상기 히터 지지링에는 노즐 몸체의 중간영역에 권취되는 히터를 고정하는 히터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에는 노즐 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권취되는 히터의 권회수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권회수의 히터가 설치되어, 상기 노즐 몸체의 중앙 영역이 노즐 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온으로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노즐 팁을 상기 노즐 몸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를 가지고 노즐 몸체보다 열전도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재질인 열처리 강(hardened steel)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 팁의 게이트 선단 둘레에는 원주방향으로 열 도피홈이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의 과열을 방지한 것에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노즐장치가 밸브게이트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은, 폐형시 제품 캐비티를 형성하는 금형 블록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중심축방향을 따라 용융수지 통로가 형성된 노즐 몸체와, 상기 노즐 몸체의 하부에 동축으로 결합되고 중심축방향으로 하부 수지통로가 형성되되 상기 하부 수지통로의 상측 선단은 상기 상부 수지통로에 연결되고 하측 선단에는 상기 캐비티와 하부 수지통로를 서로 연통시키는 게이트를 구비한 노즐 팁과, 상기 노즐 몸체의 상부 수지 통로와 노즐 팁의 하부 수지 통로를 중심축방향으로 관통하게 설치되어 상하 승강작동하면서 상기 게이트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밸브 핀과, 상기 노즐 몸체의 주위에 수회 권취되어 노즐 몸체를 가열함으로써 수지통로를 통과하는 용융수지 를 적정한 온도로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노즐 몸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구비한 핫런너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노즐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 몸체의 길이방향 중앙 영역의 외벽 둘레에, 히터를 권취하여 지지하는 히터 지지링이 고정되고, 상기 히터 지지링에는 노즐 몸체의 중간영역에 권취되는 히터를 고정하는 히터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에는 노즐 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권취되는 히터의 권회수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권회수의 히터가 설치되어, 상기 노즐 몸체의 중앙 영역이 노즐 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가열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 팁은 상기 노즐 몸체보다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도록 열처리된 강(hardened steel)으로 구성되고, 상기 게이트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환형의 열도피홈이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의 과열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노즐 팁이 열처리된 강으로 만들어져 유리성분이 포함된 수지를 재료로 사용한 사출성형의 경우에도 내마모성이 강화되어 수명이 연장되고 게이트 주위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아 스크래치에 의한 수지 고화 및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노즐 몸체의 중앙 영역에 권취되는 히터의 권회수를 적게하여 노즐 몸체의 중앙 영역의 온도를 상하부의 온도와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중앙 영역의 탄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노즐 팁을 열처리된 강재로 구성하므로 제작단가가 저렴하고 열전도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게이트 주위에 형성된 열도피홈 때문에 게이트에서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억제하여 수지 고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핫런너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노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오픈 노즐 시스템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노즐장치의 일부 절개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노즐장치가 설치된 오픈 노즐식 핫런너 사출금형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노즐장치(100)는, 중심축방향을 따라 상부 수지통로(111A)가 형성된 노즐 몸체(110)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 몸체(110)는 하단에, 중심축방향으로 하부 수지통로(111B)가 형성된 노즐 팁(120)이 동축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노즐 팁(120)은 하부 수지통로(111B)가 상기 상부 수지통로(111A)와 동축으로 연통되게 상기 노즐 몸체(110)에 결합되고, 하측 선단에는 금형 블록(1)의 캐비티(CV)에 연통되는 게이트(122)를 구비한다.
상기 노즐 팁(120)은, 노즐 몸체(110)보다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고 내마모성이 크도록 탄소강을 열처리하여 만든 열처리 강(hardened steel)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경질의 유리성분이 포함된 수지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소재로 사용하는 경우에, 노즐 팁(120)의 수지 통로(111B)에 마모 발생이 저감되어 내구성이 향상되 고, 마모에 의한 사출 성형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노즐 팁(120)의 선단에는 둘레를 따라 환형의 열 도피홈(123)이 형성되어 노즐 팁(120)의 선단의 열을 도피시킴으로써 국부적으로 과열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노즐 몸체(110)의 주위에 히터(130)가 권취되어 노즐 몸체(110)를 가열함으로써 내부의 수지통로(111)를 통과하는 용융수지를 적정한 온도로 가열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 몸체(110)의 중앙 영역(M)에는 히터 지지링(140)이 설치되어 고정된다. 상기 히터 지지링(140)은 내주면은 노즐 몸체(110)과 접촉하는 동시에 외주면은 외측 케이싱(170)의 내주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노즐 몸체(110)의 중앙 영역(M)의 열은 히터 지지링(140)과 외측 케이싱(170)을 거쳐 방출됨으로써 가열방지된다. 또 상기 히터 지지링(140)에는 상기 히터(130)가 권취되는 위치에서 고정되게 지지하는 고정홈(141)이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이 고정홈(141)의 바닥은 개방되어 상기 노즐 몸체(110)의 외주면이 노출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히터(130)는 노즐 몸체(110)의 상부 영역(U)에 권취되는 상부 영역 가열 히터부(130A)와, 중앙 영역(M)의 히터 지지링(140)의 고정홈(141)에 안착하도록 권취되는 중앙 영역 가열히터부(130B)와, 노즐 팁(120)의 외주에 권취되는 하부 가열 히터부(130C)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영역 가열 히터부(130B)를 구성하는 히터(130)의 권회수는 상기 상부 영역 가열히터부(130A)와 상기 하부 영역 가열히터부(130C)의 권회수보다 상대 적으로 적다.
따라서, 노즐 몸체(110)의 중앙 영역(M)의 가열히터부(130B)에 의한 전열량은 상부 영역(U)과 하부 영역(L)의 전열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지만 열손실이 상부 영역(U)과 하부 영역(L)에 비하여 적으므로, 노즐 몸체(110)를 히터(130)로 가열할 때, 노즐 몸체(110)의 중앙 영역(M)의 온도는 상부 영역(U)과 하부 영역(L)의 온도와 균일하게 되고, 그 결과 중앙 영역(M)에서의 국부적인 과열에 의한 수지 탄화를 억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 몸체의 중앙 영역에 구비된 가열히터부(130B)는 상기 노즐 몸체(110)에 고정나사(도시생략)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된 히터 지지링(140)의 고정홈(141)에 지지되어 유지되므로, 상기 중앙 영역의 가열히터부(130B)가 중앙 영역(M)을 이탈하지 않고 항상 제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또한, 노즐 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온도센서 설치용 구멍(151)이 형성되고 이 온도센서 설치용 구멍(151)은 노즐 팁(120)의 하단 게이트(122)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 온도센서 설치용 구멍(151)을 따라 온도 센서(150)가 삽입되어 게이트(122) 부근에 배치된다. 이러한 온도 센서(150)는 캐비티에 주입되기 직전의 용융수지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 부호 170은 노즐장치의 외측 케이싱을 나타낸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노즐장치가 금형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노즐장치(200)는 밸브 게이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노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노즐장치(200)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노즐 몸체(110)의 상부 수지 통로(111)와 노즐 팁(120)의 하부 수지 통로(111B)를 중심축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된 밸브 핀(160)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 밸브 핀(160)은,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상하로 승강작동하는 피스톤(도시생략)에 연결되어 피스톤의 상하 승강작동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면 노즐 게이트(122)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노즐장치(200)는, 제1실시예의 노즐장치와 마찬가지로, 상기 노즐 몸체(110)의 길이방향 중앙 영역(M)의 외벽 둘레에, 권취되는 중앙 영역 가열히터부(130B)를 고정홈(141)에 끼워 지지하는 히터 지지링(140)이 설치되어 고정된다. 상기 히터 지지링(140)은 중앙 영역(M)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전도성이 양호한 동합금재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홈(141)에는 중앙영역 가열히터부(130B)가 권취되는 데, 이 중앙 영역 가열히터부(130B)는 노즐 몸체(110)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에 각각 권취되는 상부영역 가열히터부(130A) 및 하부 영역가열히터부(130C)의 권회수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권회수로 권취되어, 상기 노즐 몸체(110)의 중앙 영역(M)에, 노즐 몸체(110)의 상부 영역(U)과 하부 영역(L)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열량을 전달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노즐 몸체(110)의 중앙 영역(M)의 가열히터부(130B)에 의한 전열량은 상부 영역(U)과 하부 영역(L)의 전열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지만 열손실이 상부 영역(U)과 하부 영역(L)에 비하여 적으므로, 노즐 몸체(110)의 중앙 영역(M)의 온도는 상부 영역(U)과 하부 영역(L)의 온도와 균일하게 유지되어, 노즐 몸체(110)의 중앙 영역(M)에서의 국부적인 과열에 의한 수지 탄화를 억제하게 된다.
또, 노즐 팁(120)은 상기 노즐 몸체(11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와 내마모성을 가지도록 탄소강을 열처리하여 만든 열처리 강(hardened steel)으로 구성되고, 상기 게이트(122)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환형의 열도피홈(123)이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123)의 과열을 방지하는 것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은 종래 사출금형의 노즐장치에 대한 결합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의 노즐장치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로서, 길이방향 결합단면도,
도 4는 밸브 게이트 시스템에 적용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도로서,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V: 캐비티 1: 금형 블록
110: 노즐 몸체 111: 수지 통로
111A: 상부 수지 통로 111B: 하부 수지통로
120: 노즐 팁 122: 게이트
130: 히터 131: 중앙 영역
140: 히터 지지링 141: 히터 고정홈
150: 온도센서 151: 온도센서 설치구멍
160: 밸브 핀

Claims (5)

  1. 폐형시 제품 캐비티(CV)를 형성하는 금형 블록(1)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중심축방향을 따라 상부 수지통로(111A)가 형성된 노즐 몸체(110)와, 상기 노즐 몸체(110)의 하부에 동축으로 결합되고 중심축방향으로 하부 수지통로(111B)가 형성되되 상기 하부 수지통로(111B)의 상측 선단은 상기 상부 수지통로(111A)에 연결되고 하측 선단에는 상기 캐비티(CV)와 하부 수지통로(111B)를 서로 연통시키는 게이트(122)를 구비한 노즐 팁(120)과, 상기 노즐 몸체(110)의 주위에 수회 권취되어 노즐 몸체(110)를 가열함으로써 수지통로(111A,111B)를 통과하는 용융수지를 적정한 온도로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130)에 의해 가열되는 노즐 몸체(110)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150)를 구비한 핫런너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노즐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 몸체(110)는 상대적으로 열전도성이 높은 동합금재로 만들어지고, 상기 노즐 팁(120)은 상기 노즐 몸체(11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내마모성과 경도를 가지도록 열처리 강(hardened steel)으로 구성되며, 상기 노즐 팁(120)의 게이트(122) 둘레에는 상기 게이트(122)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주방향으로 열도피홈(123)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 몸체(110)의 길이방향의 중앙 영역(M)의 외벽 둘레에, 상기 노즐 몸체(110)의 중앙영역 가열히터부(130B)를 권취하여 지지하기 위한 히터 고정홈(141)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히터 지지링(140)이 밀착고정되고, 상기 히터 지지링(140)의 고정홈(141)에는, 상기 노즐 몸체(110)의 상부영역(U)과 하부 영역(L)에 각각 권취되는 상부영역 가열 히터부(130A)와 하부 영역 가열히터부(130C)의 히터권회수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권회수의 중앙 영역 가열히터부(130B)가 권취되어, 노즐 가열시 상기 노즐 몸체(110)의 중앙 영역(M)의 온도가 노즐 몸체(110)의 상부 영역(U)이나 하부 영역(L)의 온도와 균일하게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런너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노즐장치.
  2. 삭제
  3. 삭제
  4. 폐형시 제품 캐비티(CV)를 형성하는 금형 블록(1)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중심축방향을 따라 상부 수지 통로(111A)가 형성된 노즐 몸체(110)와, 상기 노즐 몸체(110)의 하부에 동축으로 결합되고 중심축방향으로 하부 수지통로(111B)가 형성되되 상기 하부 수지통로(111B)의 상측 선단은 상기 상부 수지통로(111A)에 연결되고 하측 선단에는 상기 캐비티(CV)와 하부 수지통로(111B)를 서로 연통시키는 게이트(122)를 구비한 노즐 팁(120)과, 상기 노즐 몸체(110)의 상부 수지 통로(111A)와 노즐 팁(120)의 하부 수지 통로 (111B)를 중심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게이트(12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밸브 핀(160)과, 상기 밸브 핀(160)을 상하 승강작동시키는 밸브핀 작동기구와, 상기 노즐 몸체(110)의 주위에 수회 권취되어 노즐 몸체(110)를 가열함으로써 수지통로(111A,111B)를 통과하는 용융수지를 적정 온도로 가열하는 히터(130)와, 상기 히터(130)에 의해 가열되는 노즐 몸체(110)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150)를 구비한 핫런너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노즐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 몸체(110)의 길이방향 중앙 영역의 외벽 둘레에, 히터(130)를 권취하여 지지하는 히터 지지링(140)이 밀착고정되고, 이 히터 지지링(140)은 외측 케이싱(170)의 내주면과 접촉하며, 상기 히터 지지링(140)에는 히터 고정홈(141)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141)에는 노즐 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 권취되는 히터의 권회수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권회수의 히터(130)가 설치되어, 상기 노즐 몸체(110)의 중앙 영역의 전열량을 노즐 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게 하여 노즐 몸체(110)의 중앙 영역(M)의 온도를 상부 영역(U)이나 하부 영역(L)과 균일하게 유지하고,
    상기 노즐 팁(120)은 상기 노즐 몸체(11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와 내마모성을 가지도록 열처리된 강(hardened steel)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게이트(122)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환형의 열도피홈(123)이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122)의 국부적인 과열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런너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노즐장치.
  5. 삭제
KR1020090039611A 2009-05-07 2009-05-07 핫런너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노즐장치 KR101082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611A KR101082717B1 (ko) 2009-05-07 2009-05-07 핫런너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노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611A KR101082717B1 (ko) 2009-05-07 2009-05-07 핫런너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노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794A KR20100120794A (ko) 2010-11-17
KR101082717B1 true KR101082717B1 (ko) 2011-11-15

Family

ID=43406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611A KR101082717B1 (ko) 2009-05-07 2009-05-07 핫런너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노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27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348B1 (ko) * 2015-04-20 2017-08-22 주식회사 유포트 다중 편심 유로 구조의 핫런너 밸브 시스템
KR20190139486A (ko) 2018-06-08 2019-12-18 김혁중 사출성형 핫런너용 열평형 노즐
KR20190142842A (ko) * 2018-06-19 2019-12-30 주식회사 와이드 사출성형기용 노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39528B (zh) * 2011-03-08 2013-03-13 福州冠锋模具技术有限公司 用于气体辅助成型的气体喷嘴
KR101678280B1 (ko) 2014-11-14 2016-11-21 김혁중 핫런너 밸브장치
KR102493404B1 (ko) * 2022-09-16 2023-01-30 서사라 친환경 리필장치 및 리필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331Y1 (ko) * 2004-12-28 2005-03-29 (주)건동 플렉시블 히터가 구비되는 사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331Y1 (ko) * 2004-12-28 2005-03-29 (주)건동 플렉시블 히터가 구비되는 사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348B1 (ko) * 2015-04-20 2017-08-22 주식회사 유포트 다중 편심 유로 구조의 핫런너 밸브 시스템
KR20190139486A (ko) 2018-06-08 2019-12-18 김혁중 사출성형 핫런너용 열평형 노즐
KR20190142842A (ko) * 2018-06-19 2019-12-30 주식회사 와이드 사출성형기용 노즐 장치
KR102133423B1 (ko) 2018-06-19 2020-08-10 주식회사 와이드 사출성형기용 노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794A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717B1 (ko) 핫런너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노즐장치
JP4495744B2 (ja) 射出機用ホットランナーシステムのノズル結合構造
KR101142158B1 (ko) 가스배출식 사출금형용 핫런너시스템
JP2004520984A (ja) 物品を射出成形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811812B1 (ko) 대면적 사출성형이 용이한 핫런너 시스템
EP1375107B1 (en) Nozzle tip for hot runners injection moulds
KR101872087B1 (ko) 능동형 온도제어가 가능한 핫러너 사출금형의 노즐장치
US20080241300A1 (en) Injection mold nozzle structure
KR101574420B1 (ko) 핫러너 사출금형의 노즐장치
KR101208692B1 (ko) 다각 밸브핀이 구비된 핫 런너 시스템
KR100934406B1 (ko) 핫 러너 시스템
CN101693293B (zh) 用于环蒸炉的双金属温控式导体铸造工艺
JP3191866B2 (ja) バルブゲート式金型装置
KR101033232B1 (ko) 세라믹을 이용한 핫 런너 시스템
KR101136553B1 (ko) 세라믹 싱글밸브 시스템
JP6820185B2 (ja) 金属材料の溶解供給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減圧鋳造装置
CN105690676A (zh) 具有加热模腔的注射成型装置
KR101151910B1 (ko) 밸브 시스템이 구비된 핫런너 시스템
KR20100026973A (ko) 턴디쉬 폐열을 이용한 몰드 파우더 공급장치
KR200172642Y1 (ko) 피스톤에 수지채널을 가지는 밸브채널
JP2003011174A (ja) バルブゲート式金型装置
JP5584455B2 (ja) 射出成形用金型及び射出成形装置
JP4343001B2 (ja) バルブゲート式金型装置
JP4200225B2 (ja) ゲートチップの工程別加熱による射出成形方法
KR20190142842A (ko) 사출성형기용 노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