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2646B1 - 저연소성 시가렛, 그 권지 및 권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연소성 시가렛, 그 권지 및 권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646B1
KR101082646B1 KR1020097011456A KR20097011456A KR101082646B1 KR 101082646 B1 KR101082646 B1 KR 101082646B1 KR 1020097011456 A KR1020097011456 A KR 1020097011456A KR 20097011456 A KR20097011456 A KR 20097011456A KR 101082646 B1 KR101082646 B1 KR 101082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combustion
paper
low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1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9356A (ko
Inventor
신조 기다
마사아키 후카야
켄 우야마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9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5/00After-treatment of paper not provided for in groups D21H17/00 - D21H23/00
    • D21H25/04Physical treatment, e.g. heating, irradi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24D1/025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the covers having material applied to defined areas, e.g. bands for reducing the ignition propensity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Landscapes

  • Paper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저연소성 시가렛은 충전재를 로드 형상으로 감싸는 권지(6)를 포함하고, 이 권지(6)는 캘린더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시가렛의 길이방향으로 늘어선 고전도 밴드로서, 권지(6)의 고유 열전도도보다 높은 열전도도를 갖는 고전도 밴드(10)와, 권지(6)에 형성되어, 각 고전도 밴드(10)에 각각 겹쳐진 연소억제 밴드(16)를 갖는다.
시가렛, 담배, 연소성, 권지, 충전재, 캘린더 가공, 열전도도

Description

저연소성 시가렛, 그 권지 및 권지의 제조방법{LOW FIRE SPREADING CIGARETTE, WRAPPING PAPER FOR THE CIGARETTE, AND METHOD OF PRODUCING WRAPPING PAPER}
본 발명은 착화(着火)상태에 있는 시가렛(cigarette)이 가연물 위에 놓아져도, 가연물이 연소할 가능성을 줄이는 저연소성(低延燒性) 시가렛, 이 시가렛용 권지(卷紙) 및 권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저연소성 시가렛의 하나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자동소화(自動消火) 시가렛이 알려져 있다. 이 시가렛은 충전(充塡)재료와, 이 충전재료를 로드(rod) 형상으로 감싸는 단일의 권지를 구비한다. 이 권지는 시가렛의 축선방향으로 교대로 늘어선 고통기도(高通氣度) 영역 및 저통기도(低通氣度) 영역을 포함하고, 이들 고·저통기도 영역은 시가렛의 둘레방향으로 뻗는 밴드(band) 형상을 갖는다.
상술한 자동소화 시가렛이 착화된 후, 끽연자가 시가렛을 피우는 동작(퍼프(puff) 동작)을 행하지 않고, 시가렛 선단(先端)의 불씨가 연기를 내고 있는 상태에 있을 때, 불씨는 저통기도 영역에 도달한 시점에서, 저통기도 영역에 의해 자동적으로 소화된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 평1-225473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술한 자동소화를 실현하는 권지의 저통기도 영역은 고통기도 영역의 통기도에 비해 극히 낮은 통기도를 갖고, 이들 저통기도 영역과 고통기도 영역 사이의 통기도의 차이는 현저하게 크다. 그러므로, 끽연시, 불씨가 고통기도 영역에 있을 때의 시가렛의 흡인 저항과 불씨가 저통기도 영역에 있을 때의 시가렛의 흡인 저항에는 큰 차이가 발생하고, 이 차이는 끽연자에게 위화감을 준다.
한편, 시가렛에 기인한 실화(失火)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소화 시가렛의 1개피 당 저통기도 영역의 수가 증가되었을 때, 시가렛 전체의 흡인 저항은 필연적으로 증가하며, 이러한 시가렛은 끽연자에게 쾌적한 끽연을 제공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쾌적한 끽연을 손상하지 않고, 실화를 방지하는데 적합한 저연소성 시가렛, 그 권지 및 권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저연소성 시가렛은 충전재료와, 이 충전재료를 로드 형상으로 감싸는 단일의 권지를 포함하고, 이 권지는 캘린더(calendar)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권지 자체의 고유 열전도도보다 높은 열전도도를 갖는 고전도(高傳導) 영역과, 권지에 연소억제제를 도포하여 형성되어, 권지의 연소속도를 억제하는 연소억제층을 갖는다.
상술한 저연소성 시가렛이 착화되어, 연기를 내고 있는 불씨가 있는 채, 가연물 위에 놓아진 위기적인 상황에서, 시가렛의 불씨가 권지의 고전도 영역에 도달했을 때, 고전도 영역은 불씨의 열을 가연물로 빠지게 하여, 불씨의 온도를 저하시킨다. 또한, 불씨가 권지의 연소억제층에 도달하였을 때, 연소억제층은 권지의 연소를 저해하여, 불씨의 온도를 저하시킨다. 이와 같이 어떻게 하더라도, 불씨의 온도가 저하되어, 상술한 위기적인 상황하에서도, 가연물에의 연소의 가능성은 줄어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연소억제층은 고전도 영역에 겹치는 부분을 갖는다. 이 경우, 불씨가 연소억제층 및 고전도 영역의 겹치는 부분에 도달하면, 이들 연소억제층 및 고전도 영역은 협동하여 불씨의 온도를 저하시켜, 상술한 연소를 저지하는 효과는 더욱 높다.
한편, 저연소성 시가렛에 대하여 흡인 동작이 간헐적으로 반복되도록 하는 통상의 끽연 상태에 있을 때, 불씨는 시가렛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산소 공급을 받을 수 있어, 고전도 영역이나 연소억제층의 존재에 불구하고, 불씨의 연소는 계속된다.
여기에서, 권지에 캘린더 가공에 의한 고전도 영역이 형성된 후, 이 고전도 영역에 연소억제제를 도포하여 연소억제층이 형성된다면, 고전도 영역에 대한 연소억제제의 배어듬이 좋고, 고전도 영역에 연소억제제를 1회 도포만으로, 연소억제층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고전도 영역은 권지의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저연소성 시가렛의 축선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밴드를 포함하고, 이들 밴드는 저연소성 시가렛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고 있다. 이 경우, 저연소성 시가렛이 가연물 위에 어떤 상태로 놓아져도, 고전도 영역의 밴드는 가연물에 접촉하여, 시가렛의 불씨의 온도를 저하시킨다.
고전도 영역이 복수의 밴드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연소억제층도 복수의 밴드를 포함하고, 고전도 영역 및 연소억제층 밴드는 서로 합치(合致)하여 겹쳐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서로 겹치는 고전도 영역 및 연소억제층의 밴드는 전술한 위기적인 상황하에서도, 시가렛의 불씨를 확실하게 소화하여, 불씨의 소화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연소억제층은 권지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6). 이 경우, 위기적인 상황하에 있을 때, 고전도 영역은 연소억제층과 가연물 사이에 존재하므로, 고전도 영역의 기능이 연소억제층에 의해 저해되는 경우는 없다.
한편, 고전도 영역의 밴드는 캘린더 가공에 의해 권지의 일부를 오목한 오목부로 형성되며, 이 오목부는 저연소성 시가렛의 길이방향으로 이간(離間)한 양 끝에 경사연(傾斜緣)을 각각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저연소성 시가렛용 권지도 제공하며, 이 권지는 전술한 고전도 영역 및 연소억제층을 각각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권지의 제조방법도 제공하며, 이 제조방법은 종이재료로 이루어지는 웨브(web)에 이 웨브의 고유 열전도도보다 높은 열전도도를 갖는 고전도 영역을 캘린더 가공에 의해 형성하고, 캘린더 가공의 전후 어느 쪽에서, 웨브에 연소억제제를 도포하여, 웨브의 연소속도를 억제하는 연소억제층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캘린더 가공은 웨브에 15∼25N/mm의 프레스(press) 압력을 가함으로써 고전도 영역을 형성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저연소성 시가렛 및 권지는 전술한 위기적인 상황하에서도, 저연소성 시가렛의 불씨를 원인으로 한 가연물에의 연소의 가능성을 크게 줄인다.
캘린더 가공에 의해 얻어진 고전도 영역의 통기도는 권지의 고유 통기도로부터 크게 저하되지 않고, 또한 고전도 영역이 복수의 밴드로 형성되어 있으면, 끽연시, 저연소성 시가렛의 통기 저항은 실질적으로 변화되지 않아, 끽연자가 위화감을 받는 경우도 없다.
또한, 권지의 제조방법은 웨브에 가하는 프레스 압력을 15∼25N/mm로 제한하여 고전도 영역을 형성하므로, 웨브의 파단을 초래하는 일 없이, 고전도 영역을 안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저연소성 시가렛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캘린더 가공의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캘린더 롤(roll)의 외주(外周)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시가렛의 권지에 형성된 캘린더 가공 영역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시가렛의 일부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시험 시가렛의 소화율(消火率)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시험 시가렛의 소화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연소억제제의 도포량과 소화율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연소억제제의 도포량과 소화율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고전도 영역만을 갖는 권지를 포함한 시가렛에 대한 소화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고전도 밴드 및 연소억제 밴드를 갖는 권지를 포함한 시가렛에 대한 소화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시가렛과는 권지의 통기도만이 다른 시가렛에 대한 소화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시가렛과는 권지의 통기도만이 다른 시가렛에 대한 소화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캘린더/도포장치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장치에 의해 처리된 웨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웨브와는 다른 형태로, 캘린더 가공 및 도포처리를 받은 웨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또 다른 형태로 처리된 웨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 1의 필터(filter) 시가렛은 저연소성을 갖는 시가렛(2)과, 이 시가렛(2) 의 기단(基端)에 인접한 필터(4)와, 이들 시가렛(2) 및 필터를 접속하는 팁 페이퍼(tipping paper)(7)를 포함한다.
시가렛(2)은 충전재(8)와, 이 충전재를 로드 형상으로 감싸는 단일의 권지(6)를 갖는다. 충전재(8)는 잎담배를 잘게 썰어 얻어지는 각초(刻草, shred tobacco)뿐만 아니라, 재생 담배 시트(sheet)를 잘게 썰어 얻어지는 재생 각초, 각초를 팽화(膨化)처리한 팽화 각초 등을 포함한다.
권지(6)는 열전도에 관하여, 고전도 영역으로서의 2개의 고전도 밴드(10)를 갖고, 이들 고전도 밴드(10)는 시가렛(2)의 축선방향으로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시가렛(2)의 전체 둘레에 걸쳐 시가렛(2)을 둘러싸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고전도 밴드(10)는 시가렛(2)의 선단으로부터 20mm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며, 이에 대하여, 제2 고전도 밴드(10)는 제1 고전도 밴드(10)로부터 시가렛(2)의 축선방향으로 20mm의 간격만큼 떨어져서 위치되어 있다. 각 고전도 밴드(10)는 7mm의 폭을 갖고, 그리고, 제2 고전도 밴드(10)와 팁 페이퍼(7) 사이에는, 5mm의 간격이 확보되어 있다. 한편, 시가렛(2) 전체 길이 및 둘레 길이는 각각 약 85mm, 25mm이다.
상술한 고전도 밴드(10)는 권지(6)에 캘린더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얻어지며, 이러한 고전도 밴드(10)의 열전도도는 캘린더 가공을 받지 않는 권지(6)의 다른 부위, 즉, 권지 자체의 고유 열전도도보다 높다.
도 2는 캘린더 가공장치를 나타낸다. 이 가공장치는, 권지(6)가 시가렛(2)의 제조에 사용되기 전에 권지(6)에 캘린더 가공을 실시한다. 가공장치는 캘린더 롤러(12) 및 프레스 롤러(14)를 포함하고, 프레스 롤러(14)는 캘린더 롤러(12)를 향하여 소정의 프레스 압력, 구체적으로는, 15∼25N/mm의 프레스 압력(F)에 의해 압착되어 있다. 권지(6)가 캘린더 롤러(12)와 프레스 롤러(14) 사이를 통과할 때, 권지(6)에 상술한 폭을 갖는 고전도 밴드(10)가 권지(6)의 주행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그러므로, 캘린더 가공을 받은 권지(6)가 시가렛(2)의 제조에 사용되었을 때,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권지(6)에 2개의 고전도 밴드(10)를 갖는 시가렛(2)이 얻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캘린더 롤러(12)는 강(鋼, steel)으로 이루어지며, 그 외주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스 돌기(12a)가 전술한 간격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캘린더 롤러(12)의 횡단면에서 보아, 프레스 돌기(12a)는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며, 그러므로, 캘린더 롤러(12)의 회전방향에서 보아서, 프레스 돌기(12a)의 전연(前緣) 및 후연(後緣)은 각각 경사져 있다.
그러므로, 권지(6)가 캘린더 롤러(12)와 프레스 롤러(14) 사이를 통과한 후, 권지(6)의 내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목부가 간헐적으로 형성되고, 이들 오목부가 고전도 밴드(10)로 된다.
그러므로, 고전도 밴드(10)는 프레스 돌기(12a)의 형상과 보완 관계에 있는 형상을 가지므로, 권지(6)의 길이방향으로 이간한 고전도 밴드(10)의 양 단연(端緣)도 또한 각각 경사져 있다. 고전도 밴드(10)가 경사연을 갖는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면, 권지(6)에 대한 캘린더 가공시, 권지(6)의 부하는 경감되어, 권지(6)가 고전도 밴드(10)의 양 단연에서 파단되는 경우는 없다.
한편, 프레스 롤러(14)는 강, 면섬유(cotton fiber),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또는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며, 프레스 롤러(14)의 재질은 제약되지 않는다. 그러나, 프레스 롤러(14)의 재질은 캘린더 롤러(12)의 재질보다 연질(軟質)인 것이 바람직하다.
권지(6)의 고유 열전도도와 고전도 밴드(10)의 열전도도를 비교하였을 때, 고유 열전도도에 대한 고전도 밴드의 열전도도의 상승 비율은 이하의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캘린더 롤러(12)나 프레스 롤러(14)의 재질 및 프레스 압력에 따라 다르다.
Figure 112009033567951-pct00001
표 1 중, A, B는 통기도가 서로 다른 권지를 나타내고, A, B의 코레스타 단위(Coresta unit)는 각각 72, 35이다. 캘린더 가공이 없는 권지 A, B의 평균 열전도도는 권지 A, B 자체의 고유 열전도도를 나타낸다.
또한, 표 1 중의 가공형태에 있어서, S&S(*), C&S(*) 및 A&S(*)는 (프레스 롤러(14)의 재질) & (캘린더 롤러의 재질)(프레스 압력(N/mm))을 나타내고 있고, 그리고, S, C, A는 강, 면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를 각각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전도 밴드(10)는 권지(6)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고전도 밴드(10)를 형성하는 오목부에 연소억제층, 즉, 연소억제 밴드(16)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연소억제 밴드(16)는 예를 들면, CMC(카르복시메틸셀루로스)나 아르긴산나트륨염 등의 연소억제제의 용액을 고전도 밴드(10), 즉, 오목부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되어, 고전도 밴드(10)에 합치하여 겹쳐져 있다.
상술한 연소억제 밴드(16)는 고전도 밴드(10)에 요구되는 열전도도의 부족분을 보충한다. 즉, 시가렛(2)이 착화된 채, 가연물 위에 놓아지게 되는 위기적인 상황하에서, 고전도 밴드(10)가 연기를 내는 상태의 시가렛(2)의 불씨를 확실하게 소화하기 위해서는 고전도 밴드(10)에는, 0.45W/(K·m)정도를 하한값으로 하는 열전도도가 요구된다.
그러나, 표 1 중의 고전도 밴드(10)의 열전도도는 모두, 0.45W/(K·m)보다 낮고, 이 때문에, 전술한 연소억제 밴드(16)는 고전도 밴드(10)에서의 열전도도의 부족분을 보충하기 위해, 고전도 밴드(10)와 겹치면서 소정의 도포량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일본특허 제3785144호 명세서에 개시된 저연소성 시가렛은 0.50∼0.56W/(K·m)의 열전도도를 갖는 내측 권지를 갖는다. 이 내측 권지의 열전도도와 본 발명의 고전도 밴드(10)에 요구되는 열전도도(0.45W/(K·m)) 사이의 차이는, 본 발명의 권지(6)가 단일임에 대해, 상기 특허의 권지가 내측 권지 및 외측 권지로 이루어지는 이중 구조인 것에 기인한다.
이하의 표 2는 C1, C2, E1∼E15의 시가렛을 준비하고, 이들 시가렛을 전술한 위기적 상황하에서, 그 소화성, 즉, 연소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C1, C2는 권지 A, B로 제조한 비교예의 시가렛을 나타내고, 이에 대하여, E1 ∼E15는 여러 가지 형태의 캘린더 가공에 의해 얻어진 고전도 밴드(10)를 갖는 권지, 또한, 고전도 밴드(10)에 더하여 연소억제 밴드(16)를 갖는 권지에 의해 제조된 실시예의 시가렛을 각각 나타낸다. 표 2 중,
Figure 112009033567951-pct00002
는 0.10g/m2의 도포량으로 형성된 연소억제 밴드(16)의 존재를 나타내고,
Figure 112009033567951-pct00003
는 0.249/m2의 도포량으로 형성된 연소억제 밴드(16)의 존재를 나타낸다.
Figure 112009033567951-pct00004
표 2의 평가 결과는 시가렛 소화 시험 방법(Cigarette Extinction Test Method )에 의해 얻어졌다. 이 시험 방법에서는, 먼저, 시험할 시가렛이 수직으로 세워지고, 이 상태에서, 시가렛을 그 선단으로부터 15mm까지 자연 연소시킨다. 이 후, 이 착화상태에 있는 시가렛은 10장의 필터 페이퍼(품목: Whatman No.2)를 겹쳐 서 형성된 가연물 위에 횡방향으로 놓아서 방치한다. 표 2 중의 소화율은, 착화상태에 있는 시가렛이 끝까지 연소한 시가렛 개수에 대하여, 시가렛의 불씨가 도중에 소화한 시가렛 개수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표 2의 평가 결과는 도 6∼도 9에 그래프에 의해서도 나타내져 있다.
도 6은 비교예 C1 및 실시예 E1∼E3의 소화율을 나타내고, 도 7은 비교예 C2 및 실시예 E4, E5의 소화율을 나타낸다. 도 8 및 도 9는 연소억제제의 도포량을 파라메터로 하여, 비교예 C1, C2 및 실시예 E1∼E15의 소화율의 차이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권지(6)에 고전도 밴드(10)를 포함하는 실시예 E1∼E5의 시가렛은 고전도 밴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C1, C2의 시가렛에 비하여 높은 소화율을 갖는다.
또한, 도 8 및 도 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고전도 밴드(10) 및 연소억제 밴드(16)를 포함하는 실시예 E6∼E14의 시가렛은 실시예 E1∼E4, E5의 시가렛보다 높은 소화율을 갖는다.
또한, 도 8 및 도 9은 60% 이상의 소화율을 달성하는 비교예 C1, C2의 시가렛 및 실시예 E4, E6, E9, E11의 시가렛을 나타낸다. 비교예 C1, C2에서의 시가렛 연소억제 밴드는 1.39/m2 이상의 연소억제제의 도포량을 갖고, 이에 대하여, 실시예 E4, E6, E9, E11에서의 시가렛 연소억제 밴드는 0.1∼0.24g/m2의 연소억제제의 도포량을 갖는다. 이것은 실시예 E4, E6, E9, E11의 경우, 연소억제 밴드(16)가 고전도 밴드(10)와 협동하여 소화율의 향상에 기여하고, 그러므로, 연소억제 밴드(16)의 형성에 필요한 연소억제제의 도포량이 대폭 줄어들게 됨을 의미한다.
한편, 고전도 밴드(10)는 캘린더 가공에 의해 얻어지고, 연소억제 밴드(16)를 형성하는 연소억제제의 도포량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적으므로, 이들 고전도 밴드(10) 및 연소억제 밴드(16)가 권지(6) 전체의 통기도를 크게 저하시키는 경우는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저연소성 시가렛이 끽연되었을 때, 끽연자는 위화감을 받지 않고, 쾌적하게 끽연할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은 상술한 시가렛 소화 시험이 실시되었을 때, 소화 위치를 △ 및 ○로 각각 나타낸다. 도 10의 시가렛은 고전도 밴드(10)만을 갖는 권지 A를 포함하고, 이에 대하여, 도 11의 시가렛은 고전도 밴드(10) 및 연소억제 밴드(16)를 갖는 권지 A를 포함한다.
또한, 도 12 및 도 13은 도 10 및 도 11과 마찬가지로 소화 시험에 의해 얻어진 소화 위치를 △ 및 ○로 각각 나타낸다. 도 12 및 도 13의 시가렛은 권지 A 대신에 권지 B를 포함하는 점만이, 도 10 및 도 11의 시가렛과 상이하다.
도 10∼도 1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고전도 밴드(10) 및 연소억제 밴드(16)를 함께 갖는 시가렛의 경우, 소화 위치는 고전도 밴드(10) 및 연소억제 밴드(16)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집중하여 있고, 이것은 고전도 밴드(10) 및 연소억제 밴드(16)가 서로 협동하여, 불씨를 효과적으로 소화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캘린더/도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이 캘린더/도포장치는 고전도 밴드(10) 및 연소억제 밴드(16)를 각각 갖는 권지(6)의 제조방법을 실시한다.
캘린더/도포장치는 권지(6)로 되는 웨브(W)의 주행경로(18)를 구비하며, 이 주행경로(18)는 웨브(W)의 롤로부터 권취릴(take-up reel)(22)까지 뻗어 있고, 주행경로(18)는 웨브(W)를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롤러(guide roller)(20)를 갖는다.
주행경로(18)의 상류 부분에 한 쌍의 핀치롤러(pinch roller)(23a, 23b)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핀치롤러(23a, 23b)의 하류에 캘린더 가공기(2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캘린더 가공기(24)는 전술한 캘린더 롤러(12)를 갖고, 이 캘린더 롤러(12)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캘린더 롤러(12)의 근방에는, 프레스 롤러(14)가 배치되고, 이 프레스 롤러(14)는 캘린더 롤러(12)에 대하여 접리(接離)한다.
상세하게는, 프레스 롤러(14)는 아암(arm)(26)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아암(26)은 프레스 롤러(14)에서 위쪽 방향으로 향하여 뻗어 있고, 그 중앙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아암(26)의 상단에는, 프레스 실린더(28)가 접속되어 있고, 이 프레스 실린더(28)는 그 신축(伸縮)에 의해, 아암(26)을 통하여 프레스 롤러(14)를 요동(搖動)시키고, 이에 의해, 프레스 롤러(14)는 캘린더 롤러(12)에 대하여 접리한다.
캘린더 롤러(12)가 회전되었을 때, 웨브(W)는 캘린더 롤러(12)와 프레스 롤러(14) 사이를 통과하고, 이 때, 웨브(W)는 간헐적으로 캘린더 가공을 받는다. 이에 의해, 웨브(W)에 전술한 간격을 두어, 밴드 형상의 고전도 밴드(10)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전도 밴드(10)는 웨브(W)의 내면을 부분적으로 오목하게 함으로써 형성되어, 웨브(W)의 두께보다 감소된 두께를 갖는다.
한편, 주행경로(18)에는, 캘린더 가공기(24)의 하류에 도포장치(32)가 배치되어 있다. 이 도포장치(32)는 용액조(溶液槽)(34)를 구비하고, 이 용액조(34) 안에는, 아르긴산나트륨, 즉, 연소억제제의 용액이 축적되어 있다. 또한, 도포장치(32)는 은 전사롤러(transfer roller)(36)를 포함하고, 이 전사롤러(36)는 용액조(34)의 용액 속에 부분적으로 침지(浸漬)된 상태로, 용액조(3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웨브(W)는 캘린더 가공기(24)의 하류에서, 전사롤러(36)의 외주면에 접촉하면서 전사롤러(36)를 통과한다. 이 때, 전사롤러(36)의 외주면으로부터 웨브(W)의 고전도 밴드(10)로 연소억제제의 용액이 전사(轉寫), 즉, 도포되고, 그러므로,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전도 밴드(10)에 연소억제 밴드(16)가 형성되며, 이 연소억제 밴드(16)는 고전도 밴드(10)에 합치하여 겹쳐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사롤러(36)는 그 외주면에 고전도 밴드(10)의 간격에 대응한 간격으로, 웨브(W)에 용액을 전사하기 위한 전사 패턴(pattern)을 갖고, 캘린더 롤러(12)의 회전에 동기(同期)한 둘레속도로 회전된다.
여기에서, 연소억제제는 캘린더 가공에 의해 얻어진 고전도 밴드(10)에 도포되므로, 고전도 밴드(10)에 대한 연소억제제의 배어듬이 좋다. 그러므로, 고전도 밴드(10)에 연소억제제를 1회 도포하는 것만으로, 소망의 도포량을 갖는 연소억제 밴드(16)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주행경로(18)에는, 도포장치(32)의 하류에 건조기(38)가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연소억제 밴드(16)가 형성된 웨브(W)는 도포장치(32)의 하류에서 건조기(38)를 통과하고, 이 때, 웨브(W)의 연소억제 밴드(16)는 건조 처리를 받는다. 이 후, 건조기(38)를 통과한 웨브(W)는 권취릴(22)에 권취되어, 이 권취릴(22)에 고전도 밴드(10) 및 연소억제 밴드(16)를 갖는 권지(6)의 롤(R)이 형성된다.
또한, 주행경로(18)에는, 캘린더 가공기(24)와 도포장치(32) 사이에 퇴피안내부(retrieve guide)(40)가 배치되어 있고, 이 퇴피안내부(40)는 퇴피실린더(42)의 로드 선단에 장착되어 있다.
캘린더/도포장치의 운전이 중지되어 있으면, 퇴피실린더(42)는 도시한 상태로부터 신장(伸長)하여, 퇴피안내부(40)를 상승시킨다. 이러한 퇴피안내부(40)의 상승은 이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웨브(W)의 일부를 위쪽으로 리프트시켜, 도포장치(32)의 전사롤러(36)로부터 웨브(W)를 떼어 놓는다.
한편, 전술한 롤(R)은 시가렛 제조기(도시하지 않음)에 공급되어, 시가렛의 제조에 사용된다.
상술한 캘린더/도포장치에 있어서, 캘린더 가공기(24)는 도포장치(32)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그러나, 연소억제제의 도포성을 고려하면, 도포장치(32)는 캘린더 가공기(24)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캘린더/도포장치자체는 시가렛 제조기에 조립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저연소성 시가렛, 그 권지 및 권지의 제조방법에 제약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시가렛 1개피 당 고전도 밴드(10)의 개수나, 폭 및 간격 등은 도 1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또한, 연소억제 밴드(16)가 고전도 밴드(10)에 완전히 겹칠 필요는 없다. 즉, 연소억제 밴드(16)는 시가렛(2) 축선방향에 관하여는 고전도 밴드(10)에 부분적으로 겹치지만, 그러나 시가렛(2)의 둘레방향에 관하여는 고전도 밴드(10)의 전체 영역에 겹치는 일부를 갖고 있으면 좋다.
나아가서는,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웨브(W), 즉, 권지(6)는 그 전체 영역에 캘린더 가공을 받은 고전도 영역(10a)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연소억제 밴드(16)는 웨브(W)(시가렛)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도 좋고(도 16), 또는 연소억제 밴드(16) 대신에, 웨브(W)의 이면(裏面)(권지(6)의 내면)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된 연소억제층(16a)이어도 좋다(도 17).
또한, 연소억제 밴드(16) 및 연소억제층(16a)은 아르긴산나트륨 이외의 연소억제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6)

  1. 충전재와,
    상기 충전재를 로드 형상으로 감싸는 단일의 권지(卷紙)를 포함하고,
    상기 권지는,
    상기 권지에 대한 캘린더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권지 자체의 고유 열전도도보다 높은 열전도도를 갖는 고전도(高傳導) 영역과,
    상기 권지에 연소억제제를 도포하여 형성되어, 상기 권지의 연소속도를 억제하는 연소억제층을 갖는 저연소성 시가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억제층은 상기 고전도 영역에 겹친 부분을 갖는 저연소성 시가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도 영역은 상기 권지의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저연소성 시가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도 영역은 상기 저연소성 시가렛의 축선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밴드(band)를 갖고, 이들 밴드는 상기 저연소성 시가렛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고 있는 저연소성 시가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억제층은 상기 고전도 영역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전도 영역 및 상기 연소억제층의 밴드는 서로 합치(合致)하여 겹쳐져 있는 저연소성 시가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억제층은 상기 권지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저연소성 시가렛.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도 영역의 상기 밴드는 캘린더 가공을 받아서 상기 권지의 일부가 오목한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며, 이 오목부는 상기 저연소성 시가렛의 길이방향으로 이간(離間)한 양 끝에 경사연(傾斜緣)을 각각 갖는 저연소성 시가렛.
  8. 종이재료와,
    상기 종이재료에 대한 캘린더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종이재료의 고유 열전도도보다 높은 열전도도를 갖는 고전도 영역과,
    상기 종이재료에 연소억제제를 도포하여 형성되어, 상기 종이재료의 연소속도를 억제하는 연소억제층을 포함하는 저연소성 시가렛용 권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억제층은 상기 고전도 영역에 겹침 부분을 갖는 저연소성 시가렛용 권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도 영역은 상기 종이재료의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저연소성 시가렛용 권지.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도 영역은 상기 종이재료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밴드를 포함하고, 이들 밴드는 상기 종이재료의 폭방향 전체 영역에 걸쳐 뻗어 있는 저연소성 시가렛용 권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억제층은 상기 고전도 영역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전도 영역 및 상기 연소억제층의 밴드는 서로 합치하여 겹쳐져 있는 저연소성 시가렛용 권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억제층은 상기 종이재료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저연소성 시가렛용 권지.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도 영역의 밴드는 캘린더 가공을 받아서 상기 종이재료의 일부가 오목한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며, 이 오목부는 상기 종이재료의 길이방향으로 이간한 양 끝에 경사연을 각각 갖는 저연소성 시가렛용 권지.
  15. 종이재료로 이루어지는 웨브(web)에 상기 종이재료의 고유 열전도도보다 높은 열전도도를 갖는 고전도 영역을 캘린더 가공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캘린더 가공의 전후 어느 쪽에서, 상기 웨브에 연소억제제를 도포하여, 상기 웨브의 연소속도를 억제하는 연소억제층을 형성하는 저연소성 시가렛용 권지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캘린더 가공은 상기 웨브에 15∼25N/mm의 프레스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고전도 영역을 형성하는 저연소성 시가렛용 권지의 제조방법.
KR1020097011456A 2006-12-11 2007-12-05 저연소성 시가렛, 그 권지 및 권지의 제조방법 KR101082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33317 2006-12-11
JPJP-P-2006-333317 2006-1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356A KR20090089356A (ko) 2009-08-21
KR101082646B1 true KR101082646B1 (ko) 2011-11-14

Family

ID=39511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1456A KR101082646B1 (ko) 2006-12-11 2007-12-05 저연소성 시가렛, 그 권지 및 권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739013B2 (ko)
EP (1) EP2100524B1 (ko)
JP (1) JP4859146B2 (ko)
KR (1) KR101082646B1 (ko)
CN (1) CN101605471B (ko)
CA (1) CA2671475C (ko)
ES (1) ES2522902T3 (ko)
HK (1) HK1133994A1 (ko)
MY (1) MY148269A (ko)
RU (1) RU2412623C1 (ko)
TW (1) TWI329003B (ko)
UA (1) UA92852C2 (ko)
WO (1) WO200807252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086A (ko) 2018-11-19 2020-05-2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외부가열식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사용되는 궐련
KR20210111067A (ko) 2020-03-02 2021-09-1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외부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사용되는 궐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59363T3 (es) * 2008-02-22 2016-02-11 Schweitzer-Mauduit International, Inc. Áreas tratadas en una envoltura para reducir de las características de predisposición a la ignición de un artículo para fumar
CN102666988B (zh) 2009-11-25 2014-11-19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低延烧性卷纸、其制造方法以及制造机器
ES2554661T3 (es) * 2010-02-26 2015-12-22 Japan Tobacco, Inc. Método de producción y dispositivo de producción para papel recubierto
DE102010026178A1 (de) 2010-07-06 2012-01-12 Tews Elektronik Gmbh & Co. Kg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Zigaretten in der tabakverarbeitenden Industrie sowie ein Verfahren hierzu
DE102010039088A1 (de) * 2010-08-09 2012-02-09 Hauni Maschinenbau Ag Umhüllungspapierstreifen der Tabak verarbeitenden Industri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GB201018310D0 (en) 2010-10-29 2010-12-15 British American Tobacco Co Ventilated smoking article
CN102094364A (zh) * 2010-11-24 2011-06-15 云南烟草科学研究院 一种低引燃倾向的卷烟纸及其制备方法
WO2013024519A1 (ja) * 2011-08-12 2013-02-2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シガレット巻紙の製造機及び製造方法
CN102296484B (zh) * 2011-09-20 2013-07-10 云南烟草科学研究院 一种用于低引燃倾向卷烟纸的阻燃涂料
KR101382650B1 (ko) 2011-10-25 2014-04-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저발화성 궐련지의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담배
KR101235693B1 (ko) * 2011-11-08 2013-02-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저발화성 궐련지 가공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발화성 궐련지 제조 장치
CN102493280A (zh) * 2011-12-02 2012-06-13 牡丹江恒丰纸业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阻燃带的卷烟纸的制造装置及制备方法
CN102501570B (zh) * 2011-12-02 2013-10-30 牡丹江恒丰纸业股份有限公司 一种生产具有阻燃带的卷烟纸的凹版印刷机及生产方法
RU2517105C2 (ru) * 2012-06-13 2014-05-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Челябин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агроинженерная академия" Способ тушения сигарет и самотушащаяся сигарета
AU2013329037B2 (en) 2012-10-11 2016-10-13 Schweitzer-Mauduit International, Inc. Wrapper having reduced ignition proclivity characteristics
CN103622156B (zh) * 2013-11-14 2016-02-10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聚葡萄糖和羧甲基纤维素钠复配添加剂的应用
GB201505515D0 (en) * 2015-03-31 2015-05-13 British American Tobacco Co A composite web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moking article component
CN104805730B (zh) * 2015-04-07 2017-04-26 牡丹江恒丰纸业股份有限公司 卷烟纸降低一氧化碳的燃烧抑制组合物及施加、制造方法
EP3702528B1 (en) * 2015-06-26 2021-12-22 Japan Tobacco Inc. Cigarette paper,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and cigarette
CN108142976B (zh) * 2017-11-29 2020-05-15 昆明理工大学 一种叶丝干燥工艺参数优化方法
WO2020008510A1 (ja) 2018-07-02 2020-01-0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加熱型喫煙物品用の巻紙、非燃焼加熱型喫煙物品及び電気加熱型喫煙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4939A (ja) 2002-01-23 2005-05-26 シュヴァイツア マードゥイット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発火傾向特性が低減された喫煙品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24211A (en) * 1975-01-09 1978-09-06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moking articles
US4615345A (en) * 1983-08-08 1986-10-07 Kimberly-Clark Corporation Wrapper constructions for self-extinguishing smoking articles
DE3802645A1 (de) 1988-01-29 1989-08-10 Reemtsma H F & Ph Schnell oder von selbst erloeschende cigarette
GB9005072D0 (en) * 1990-03-07 1990-05-02 Bentley David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calender and embossing bowls
CN2081211U (zh) * 1990-12-24 1991-07-24 刘俊 安全卷烟
GB9524450D0 (en) * 1995-11-30 1996-01-31 Kaysersberg Sa Sheet of absorbent paper which includes watermarked patterns,manufacturing process and manufacturing device
SE519723C2 (sv) * 2001-01-04 2003-04-01 Sandvik Ab Värmningsanordning för skarvning av ljusfibrer
WO2002054892A1 (fr) * 2001-01-15 2002-07-18 Japan Tobacco Inc. Cigarette
BR0114651B1 (pt) * 2001-08-13 2011-09-06 método de preparação de papel para cigarros auto-extintores.
US6929013B2 (en) * 2001-08-14 2005-08-16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Wrapping materials for smoking articles
CA2462958A1 (en) * 2002-04-22 2003-10-30 Rothmans, Benson & Hedges Inc. A low ignition propensity cigarette having oxygen donor metal oxide in the cigarette wrapper
JP4257851B2 (ja) * 2004-03-24 2009-04-2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低延焼性シガレット用巻紙、この巻紙を用いたフィルタシガレットおよびこの巻紙の製造方法
UA90299C2 (uk) * 2005-03-15 2010-04-26 Джапан Тобакко Инк. Сигаретний папір з низьким поширенням полум'я
DE202008007008U1 (de) * 2008-05-23 2008-08-14 Mcairlaid's Vliesstoffe Gmbh & Co. Kg Saugfähige Faserstoffbah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4939A (ja) 2002-01-23 2005-05-26 シュヴァイツア マードゥイット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発火傾向特性が低減された喫煙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086A (ko) 2018-11-19 2020-05-2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외부가열식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사용되는 궐련
KR20210111067A (ko) 2020-03-02 2021-09-1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외부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사용되는 궐련
KR20230074678A (ko) 2020-03-02 2023-05-3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외부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사용되는 궐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05471B (zh) 2011-05-11
EP2100524A1 (en) 2009-09-16
CN101605471A (zh) 2009-12-16
EP2100524B1 (en) 2014-10-29
CA2671475C (en) 2011-09-20
RU2412623C1 (ru) 2011-02-27
MY148269A (en) 2013-03-29
WO2008072523A1 (ja) 2008-06-19
KR20090089356A (ko) 2009-08-21
UA92852C2 (uk) 2010-12-10
RU2009126555A (ru) 2011-01-20
TWI329003B (en) 2010-08-21
US20090301506A1 (en) 2009-12-10
JP4859146B2 (ja) 2012-01-25
CA2671475A1 (en) 2008-06-19
HK1133994A1 (en) 2010-04-16
TW200901905A (en) 2009-01-16
EP2100524A4 (en) 2012-06-27
US9739013B2 (en) 2017-08-22
ES2522902T3 (es) 2014-11-19
JPWO2008072523A1 (ja)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646B1 (ko) 저연소성 시가렛, 그 권지 및 권지의 제조방법
KR100526031B1 (ko) 저연소성 궐련
US6606999B2 (en) Reduced ignition propensity smoking article
JP5876220B2 (ja) 喫煙物品の発火性特性を低減するための巻紙上の処理領域
TW200938103A (en) Smoking article with modified smoke delivery
KR20050074635A (ko) 연소율이 수정된 담배
KR20130097641A (ko) 엠보싱 기술들의 개선들
RU2566266C2 (ru) Обертка курительного изделия с низкой воспламеняющей способностью,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EP2475271A1 (en) Reduced ignition propensity cigarett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KR101503550B1 (ko) 파상의 밴드 궐련지
KR102169427B1 (ko) 자기 소화 담배를 위한 향상된 담배 종이
US7017586B2 (en) Cigarette
ZA201003447B (en) Reduced ignition propensity cigarett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