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713B1 - 흐름자국이 개선된 사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흐름자국이 개선된 사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1713B1
KR101081713B1 KR1020090024469A KR20090024469A KR101081713B1 KR 101081713 B1 KR101081713 B1 KR 101081713B1 KR 1020090024469 A KR1020090024469 A KR 1020090024469A KR 20090024469 A KR20090024469 A KR 20090024469A KR 101081713 B1 KR101081713 B1 KR 101081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ylene
ethylene
resin
polypropylene resin
copolymer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6044A (ko
Inventor
김찬수
허만생
Original Assignee
삼성토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토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토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4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713B1/ko
Publication of KR20100106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7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2Copolymers of propene at least partially crystalline copolymers of propene with other 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에 에틸렌 함량이 25~45mol%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입자가 분산되어 이루어진 프로필렌계 혼합상 수지로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의 함량이 프로필렌계 혼합상 수지 전체중량의 5~15중량%이며, 전체 에틸렌 함량이 3~10mo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여 사출성형제품을 제조할 경우, 사출시 흐름자국 발생을 최소화하고, 기계적 강성, 성형성, 표면광택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디알콕시마그네슘계 담체, 티타늄계 촉매, 숙시네이트계 내부전자공여체, 혼합상 수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흐름자국, 광택도

Description

흐름자국이 개선된 사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Polypropylene resin for injection with improved flow-mark inhibition and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조성의 프로필렌계 혼합상 수지로 이루어지므로써, 강성, 표면 광택 및 가공성이 크게 향상되고, 사출시 흐름자국의 발생을 억제하는 특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낮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여타 폴리올레핀 수지에 비하여 강성, 내열성, 내화학성, 성형성, 재활용성 등이 우수하여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범용 수지 중 하나이다. 하지만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그 흐름성을 향상시킬 경우, 강성이나 충격특성 등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는 등, 수지 특성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특정 촉매의 사용 및 중합조건의 제어를 통하여 폴리프로필렌의 아이소택티시티(Isotacticity) 및 분자량 분포(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등의 수지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무기 충전재 및 고무 충전재를 첨가하여, 요구되는 다양한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을 얻는 컴파운딩(Compounding) 방법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의 범퍼, 사이드몰딩과 같은 구조적 부품의 경우, 강성 및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을 동시에 만족하기 위하여, 베이스 수지인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에 외부 고무(external rubber) 및 무기충전재를 혼합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데, 사출제품의 표면에 흐름자국(flow mark)이라 불리는 거칠고 탁한 띠가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플라스틱 사출제품의 표면에서 볼 수 있는 흐름자국은 사출 방향에 수직으로 저광택 띠와 고광택 띠가 교차적으로 발현되는 표면 결점으로, 일명 타이거 스트라이프(Tiger Stripe)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미적 저해요소이기 때문에 도장공정을 거치지 않을 수 없고, 이로 인해 사출품을 무도장 외관용 부품소재로 사용하는데 큰 제약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자국의 발생원인은, 용융된 수지가 게이트 노즐에서 형틀로 평행으로 이동(fountain flow)하다가, 흐름의 불균형(flow perturbation)이 심화되어, 상하로 움직이며 이동하는 불안정한 파동 흐름(wave-like 또는 snake flow)으로 전환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험적으로 흐름자국 현상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뿐만 아니라 폴리스티렌(PS), 폴리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PC/ABS) 수지 등에서도 심하게 발생한다. 파동 흐름에 의한 흐름자국 현상은 주로 형틀 내의 흐름 속도(flow velocity) 및 수지 압력이 급격히 저하됨에 따라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사출속도나 형틀온도를 상승시켜 제거하거나, 다양한 고무 충전재 및 무기 충전재를 첨가하여 조성을 최적화하거나, 개질제(modifier)를 첨가하여 흐름자국을 제거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개선 방법은 소 재의 용도 및 요구되는 다양한 특성에 따라 일시적, 유변적 한계가 있으며, 사출 조건에 맞는 수지의 특성을 파악하여 수지 조성 및 분자량 조절을 통한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필렌계 혼합상 수지내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의 함량 및 에틸렌 분율을 조절하고,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의 입자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사출시 흐름자국 발생을 최소화하고, 기계적 강성, 성형성, 표면광택이 동시에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에 에틸렌 함량이 25~45mol%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입자가 분산되어 이루어진 프로필렌계 혼합상 수지(hetero phase)로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의 함량이 프로필렌계 혼합상 수지 전체중량의 5~15중량%이며, 전체 에틸렌 함량이 3~10mo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혼합상 수지는, 예를 들어 디알콕시마그네슘 담체에 티타늄 화합물과 숙시네이트계 내부전자공여체를 반응시켜 제조된 촉매의 존재하에서, 중합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필렌계 혼합상 수지는 상기의 촉매 성분과, 임의적으로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및 외부 전자 공여체를 포함한 촉매계의 존재 하에, 적어도 2조 이상의 중합조를 직렬 배치하고, 앞선 중합조에서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부분을 제조한 후, 생성물을 이후의 중합조로 옮겨서 에틸 렌과 프로필렌을 에틸렌/프로필렌의 기상 몰비(molar ratio) 0.15~0.25로 동시에 주입하는 다단계(Multi-Stage) 방식으로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공중합하므로써, 최종적으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Ethylene-Propylene Rubber, EPR) 입자가 매트릭스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에 분산되어 일체로 혼련된 형태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혼합상 수지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중의 에틸렌 함량은 25~45mol%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의 에틸렌 함량이 25mol% 미만이면 수지 자체의 내충격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고, 45mol%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흐름자국 발생 억제 효과 및 기계적 강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프로필렌계 혼합상 수지내의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의 함량은, 프로필렌계 혼합상 수지 전체중량의 5~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상의 크기가 매우 작아 내충격성이 급격히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상의 크기가 커져 흐름자국 발생 억제 효과가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혼합상 수지 전체의 에틸렌 함량은 3~10mol%인 것이 바람직한데, 에틸렌 함량이 3mol%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고, 10mol%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흐름자국 발생 억제 효과 및 기계적 강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혼합상 수지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입자의 평균지름(평균지름은 1cm×1cm의 영역에서 측정된 지름 분포도에서 상위 15%와 하위 15%를 제거한 분포값들의 평균값으로 정의함)은 0.5~2㎛인 것이 분산성을 높게 만드는데에 바람직한데,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입자의 평균지름이 0.5㎛ 미만인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흐름자국의 발생 및 흐름자국에 의한 표면광택 편차가 심화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혼합상 수지의 용융지수는 3~50g/10분(230℃, 2.16kg)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용융지수가 3g/10분 미만인 경우에는 용융 점도가 높아 사출성형에 바람직하지 않고, 50g/1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지의 내충격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혼합상 수지의 분자량 분포는, 동력 전단 변형 유동측정기를 이용하여 180℃에서 220℃ 사이의 온도에서 전단율을 0.01에서 1000㎐로 변화하였을 때, 저장 모듈러스(G')와 손실 모듈러스(G")가 만나는 곳에서의 저장 모듈러스 값의 역수에 106(dynes/cm2)을 곱한 값으로 정의되는 유변학적 분자량 분포지수(PI, Polydispersity Index)로서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PI가 높을수록 분자량 분포가 넓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혼합상 수지는 분자량분포(PI) 5 이상의 넓은 분자량 분포를 가지므로써, 높은 굴곡탄성율과 우수한 흐름성을 나타낸다. 상기 분자량 분포는 겔침투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의 Mw/Mn 값으로 정량화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GPC의 Mw/Mn 값이 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상기 프로필렌계 혼합상 수지, 고무충전재 및 무기충전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40~80중량%, 고무충전재 5~20중량% 및 무기충전재 5~4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고무충전재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고무충전재에 의한 내충격성 향상 효과가 낮아 바람직하지 않고, 2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강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무기충전재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무기충전재에 의한 물성 향상 효과가 낮아 바람직하지 않고, 4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강성은 높아지나, 내충격성이 급격히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고무충전재는 충격강도 향상을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무정형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올레핀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에 있어서, 알파올레핀으로는 프로필렌, 부텐-1, 헥센-1, 옥텐-1, 4-메틸펜텐-1, 헵텐-1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스티렌-올레핀 공중합체에 있어서, 올레핀으로는 이소프렌, 부타디엔, 에틸렌-프로필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무기충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충전재로는 바람직하게는 탈크(talc), 유리섬유(glass fiber), 운모(mica), 규회석(wollastonite) 및 클레이(clay)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한 성분들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산화방지제, UV안정제, 핵제, 안료, 난연제, 대전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은, 사출시 흐름자국 발생을 최소화하고, 기계적 강성, 성형성, 표면광택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성형물은 자동차용 판넬, 도어트림, 콘솔바디, 필라 및 트림 등과 같은 내장품과 범퍼 및 사이드몰딩 등의 외장품, 그리고 전기/전자용 패키징, 커버, 하우징 등 외장품 등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예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비교예 >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제반 물성의 측정/평가항목 및 그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물성 측정방법
하기 표 1에 나타낸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표 2에 나타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물성들은 다음과 같이 측정되었다:
① 용융지수( MI ; g/10분) : ASTM D1238의 방법에 따라, 230℃, 2.16kg 하중 하에서 측정하였다.
② EPR(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자일렌 추출분; 중량%) : 프로필렌계 혼합상 수지를 자일렌에 1% 농도로 140℃에서 1시간 녹인 후, 상온에서 2시간 경과 후 추출한 후, 그 무게를 측정하여, 프로필렌계 혼합상 수지의 전체 중량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EPR -Ⅳ( dl /g) :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의 고유점도로서, 150℃에서 자일렌에 용해하여 고유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④ T-C2(몰%) : 수지 조성물 전체에 대한 에틸렌 분율로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720cm-1, 740cm-1의 특성 피크를 이용하여 에틸렌 함량을 측정하였다.
⑤ EPR-C2(몰%) :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추출분의 에틸렌 분율로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720cm-1, 740cm-1의 특성 피크를 이용하여 에틸렌 함량을 측정하였다.
⑥ 고무 지름 평균 크기(㎛): 전자주사현미경으로 수지 시편의 1cm×1cm의 영역에서 측정된 고무 입자들의 크기를 측정하여, 지름 분포도에서 상위 15%와 하위 15%를 제거한 분포값들의 평균 지름을 계산하였다.
⑦ 굴곡탄성율(kg/㎠) : ASTM D790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⑧ 상온에서의 아이조드 ( IZOD ) 충격강도( kgf / cm ) : ASTM D256에 따라 상 온(23℃)에서 측정하였다.
⑨ 광택도 차이(Gloss Gap) : ASTM D523에 따라 60도 입사각에서 반사되는 빛의 양으로 측정되는 표면 광택도(Specular Gloss)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이인 표면 광택차(gloss gap, △G)로 측정하였다.
⑩ 흐름성( Spiral flow distance ) : 230℃에서 동일한 사출속도 및 사출압으로 사출한 스파이럴 플로우 시편의 전체 길이를 재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흐름자국 발생율 ( flow mark occurrence ratio ) : 스파이럴 플로우 시편에서 전체 사출길이에 대한 흐름자국이 발생한 길이의 비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및 2
디에톡시마그네슘을 탄화수소용매의 존재하에서 사염화티타늄 화합물 및 내부전자공여체인 숙시네이트계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 다공성의 고체티타늄 촉매를 이용하여, 직렬 배치된 2조의 중합조 중 첫번째 중합조에서 프로필렌을 주입하여 기상중합시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제조한 후, 생성된 중합체를 두번째 중합조로 옮겨서, 두번째 중합조에서 에틸렌/프로필렌의 몰비를 각각 0.15(실시예 1) 및 0.25(실시예 2)로 조정하여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투입하여 기상중합시켜, 표 1에 나타낸 수지를 각각 제조하였다. 제조된 수지들의 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및 2
내부전자공여체로서 프탈레이트계 화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다공성의 고체티타늄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각각 실시예 1 및 2와 같게 중합시킨 후, 제조된 수지들의 물성을 측정하여 결과를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수지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MI(g/10min) 10 30 10 30
EPR(중량%) 9.4 12.2 10.2 9.6
EPR-IV(dl/g) 2.4 2.3 3.6 2.9
T-C2(mol%) 4.7 8.4 11.3 11.9
EPR-C2(mol%) 32 45 47 44
Mw/Mn 9.2 8.3 6.1 6.8
PI 9 6.8 4.1 4.2
고무 지름 평균 크기(㎛) 1.2 1.7 2.5 2.7
굴곡탄성율(kgf/cm2) 18,500 19,000 13,800 16,500
IZOD at 23oC (kgfcm/cm) 10.4 6.7 9.4 7.6
광택도 차이(%) 20 23 32 35
실시예 3~4 및 비교예 3~4
상기 표 1의 수지와 고무 충전재, 무기 충전재 등을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혼련 압출기에 일괄 투입하고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후, 삼성-클뢰크너사의 FCM-140(형체력 140톤) 사출기를 사용하여 사출온도 230℃, 금형온도 50℃, 사출압력 100bar로 테스트용 시편을 제조하여 흐름성 및 흐름자국 발생율의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상기 테스트 결과를 표 2에 함께 나타내었다.
수지 조성물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3 비교예 4
프로필렌계혼합상수지(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61 61 61 61
탈크(중량%) 16 16 16 16
에틸렌-옥텐 고무(중량%) 20 20 20 20
컬러 마스터 배치(중량%) 3 3 3 3
흐름성(cm) 580 655 460 520
흐름자국 발생율 0.18 0.28 0.39 0.73
상기 표 1에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수지는 굴곡탄성율 및 광택도가 우수한데 반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수지는 굴곡탄성율 및 광택도가 현저히 뒤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2에서 실시예 3 및 실시예 4의 수지 조성물의 사출시편은 흐름성 및 흐름자국 발생율이 우수한데 반해,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수지 조성물의 사출시편은 흐름성 및 흐름자국 발생율이 현저히 뒤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에 에틸렌 함량이 25~45mol%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입자가 분산되어 이루어지고, 분자량 분포(PI)가 5 이상인 프로필렌계 혼합상 수지로서, 상기 프로필렌계 혼합상 수지 중의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입자의 평균지름이 0.5~2㎛이고,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의 함량이 프로필렌계 혼합상 수지 전체중량의 5~15중량%이며, 전체 에틸렌 함량이 3~10mol%인 프로필렌계 혼합상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40~80중량%, 고무충전재 5~20중량% 및 무기충전재 5~4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충전재는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 또는 스티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이고, 상기 무기충전재는 탈크, 유리섬유, 운모, 규회석 및 클레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에 있어서 상기 알파올레핀은 프로필렌, 부텐-1, 헥센-1, 옥텐-1, 4-메틸펜텐-1, 헵텐-1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0090024469A 2009-03-23 2009-03-23 흐름자국이 개선된 사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1081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469A KR101081713B1 (ko) 2009-03-23 2009-03-23 흐름자국이 개선된 사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469A KR101081713B1 (ko) 2009-03-23 2009-03-23 흐름자국이 개선된 사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044A KR20100106044A (ko) 2010-10-01
KR101081713B1 true KR101081713B1 (ko) 2011-11-08

Family

ID=4312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469A KR101081713B1 (ko) 2009-03-23 2009-03-23 흐름자국이 개선된 사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7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011B1 (ko) * 1999-04-26 2007-04-1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사출 성형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011B1 (ko) * 1999-04-26 2007-04-1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사출 성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044A (ko) 201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2216B2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射出成形体
JP3352282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射出成形体
EP2925811A1 (en) Pp compounds with alleviated or eliminated tiger stripe and retained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JP6083271B2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CA3003227C (en) High flow tpo composition with excellent tensile strain at break and low powder stickiness
EP1195406B1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excellent in moldability and physical properties
KR101494964B1 (ko) 내충격성, 투명성 및 힌지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352320B2 (ja) 低光沢およびフローマークの外観不良が抑制された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US9175158B2 (en) Resin composition
KR101526726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834078B1 (ko) 수축률 및 외관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007092050A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射出成形体
KR20160039406A (ko) 고충격 고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성형품
JP2002012718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射出成形体
JP5098360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JP2008208303A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射出成形体
KR100865255B1 (ko) 내충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이를 포함하는 제품
US20020004546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injection-molded article thereof
US20030100664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on and its injection molded article
KR101081713B1 (ko) 흐름자국이 개선된 사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1876021B1 (ko) 외관 및 내스크래치성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US10619040B2 (en) 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injection molded article
KR20100118664A (ko) 플로우마크 억제특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WO2015194685A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EP3719070B1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scratch resistance and vehicle molded parts manufactured therefr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