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134B1 - 화상 치료용 약학제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치료용 약학제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1134B1
KR101081134B1 KR1020090028817A KR20090028817A KR101081134B1 KR 101081134 B1 KR101081134 B1 KR 101081134B1 KR 1020090028817 A KR1020090028817 A KR 1020090028817A KR 20090028817 A KR20090028817 A KR 20090028817A KR 101081134 B1 KR101081134 B1 KR 101081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utes
test
hours
extract
herb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0474A (ko
Inventor
임옥희
임경은
임동욱
Original Assignee
임옥희
임경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옥희, 임경은 filed Critical 임옥희
Priority to KR1020090028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134B1/ko
Publication of KR20100110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6Phellodendron, e.g. corktr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13Burn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euro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에 대한 치료효과가 탁월한, 천연재료를 사용하는 화상 치료용 약학제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상 치료용 약학제제는 화삼, 향수수초, 천련, 황벽 및 연급초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약학제제는 단시간 내에 통증을 없애며, 치유기간도 매우 짧고, 흉터는 남기지 않는 등의 효과가 있다.
화상 치료용 약학제제, 제조방법, 복합생약추출물

Description

화상 치료용 약학제제의 제조방법 {A method of preparing a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treating burn}
본 발명은 화상에 대한 치료효과가 탁월한, 천연재료를 사용하는 화상 치료용 약학제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재료인 화삼, 향수수초, 천련, 황벽 및 연급초를 사용하여 화상을 통증 없이 신속하게 그리고 흉터 없이 치료될 수 있다.
[문헌 1] 대한약전 일반시험법 생약시험법
[문헌 2]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7-61호
[문헌 3]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5-83호
[문헌 4]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8-2호
[문헌 5]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8-23호
[문헌 6]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1998-130호
동물의 피부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1차적인 보호막으로서, 외부환경의 영향을 여과없이 받게 된다. 이러한 영향 중, 대기 오염물질 또는 자외선 등의 유해요인에 의한 손상이 두드러지는데, 자외선의 경우, 지구에 도달하는 빛의 0.5%에 해당하는 극히 적은 양이지만, 홍반, 색소침착, 주름 및 대부분의 피부암을 유발시키는 요소로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생태계의 불균형 및 불안정화로 인해서, 대기권의 오존층이 점차 얇아짐에 따라서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양은 점차 늘어가고 있으며, 오존층이 1% 감소함에 따라서 악성흑색종이 0.6%씩 증가한다고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생물은 몸에 상처가 생길 경우, 그 상처 부위를 어느 정도 스스로 방어하고 자가치유를 하려고 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피부가 손상될 경우, 일정 수준의 이하의 피부손상은 자가치유 능력으로 회복될 수 있으나, 일정 수준 이상의 피부손상은 세균의 감염 등과 같은 기타 요인으로 인하여, 다른 질병으로 확산될 수도 있다. 특히, 자외선이나 기타 화기물질에 의한 화상으로 피부가 손상되는 경우, 피부 조직의 손상뿐만 아니라, 화독에 의한 추가적인 손상까지 발생하므로, 이를 조기에 치료하기 위하여, 화상치료용 상처치료 조성물을 사용한다. 전기 조성물은 생체 친화성이 우수하여 상처 부위에 있어서의 거부반응이 적고, 상처 부위와 밀착할 수 있어야 하며, 상처 부위의 세균 감염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하고, 다른 의약품과 혼합하여 사용하더라도 반응성이 없어야한다.
현재 화상이나 외상의 치료보조에 사용되고 있는 피부치료용 조성물은 송산을 입은 피부가 회복될 때까지 한시적으로 상처를 보호하고, 체내의 수분 누출을 방지하며, 삼출액 염증이 있을 때 병소에 모인 액체를 흡수할 뿐만 아니라, 세균의 감염을 방지한다는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이들을 종류별로 살펴보면, 피부흡습성이 우수한 겔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폴리우레탄 막 또는 돼지 가죽의 동결건조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천연다당류인 키틴으로 피복된 다공질 막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합성고분자 또는 함수성 젤라틴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등이 있다. 아울러, 이외의 물질을 사용한 상처치료 조성물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들은 합성된 물질을 주요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물질들은 피부의 손상된 부위를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정상조직에 대한 부작용이 조금씩 상존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천연물질을 주요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치유 조성물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근래에 와서, 녹차추출물이 피부손상 및 피부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져 있고, 이의 유효성분이 카테킨 화합물이라고 보고되어 있어, 이를 이용한 치료용 조성물의 개발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천연물로부터 제조되는 상처치유 조성물은 재료의 구입단가와 제조과정 중에 소요되는 비용이 막대하여 경제성이 없다는 단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전기 치료용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대체적으로 상처에 직접적으로 도포하여 사용하는데, 일반적인 창상에 비하여 화상은 긴 치료시간과 노력을 요구한다. 그 이유는 화독을 제거하는 과정, 화상에 따라 발생하는 수포를 제거하는 과 정이 추가로 포함되기 때문인데, 이 때문에 일반 창상 치료제와는 별도로 화상용 치료제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처럼 개발된 치료제는 화독 및 수포의 재발을 막을 수 있을 뿐, 1차적인 화독과 수포의 제거는 전통적인 방법에서 크게 발전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2도 화상은 피부의 진피층까지 화상이 있는 것을 말하며 물집이 생기고, 상피 잔유물 및 피부 부속기 상피로부터 상피 형성이 되어 치유되며 색소 침착이나 색소 탈락은 나타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2도 화상까지는 심한 반흔은 남기지 않는다.
3도 화상은 표피, 진피뿐만 아니라 피하 조직 층까지 피부 전 층에 화상을 입은 것을 말하며, 신경이 손상되어 통증을 제대로 느끼지 못하는 부분적인 신경마비 증상이 오고, 그 정도가 심할 경우 생명을 잃을 위험도 있다. 3도 화상은 괴양성 창상을 형성하고 반흔을 남기고 치유되며, 피부이식으로 반흔 형성을 줄일 수 있지만 완전하지는 못하다.
이러한 화상에 있어서, 1도 화상의 경우에는 합성 의약품 및 기타 천연 재료로서 식물에서 추출된 성분들을 사용되기도 하나, 2-3도 화상의 경우에는 무균 바셀린 가제로 상처부위를 감싸고 2차 감염을 막기 위해 페니실린,설파민제 등 항생제 요법을 적용하는 것이 전부였으며 실제로 상처를 아물게 함으로써 치료되게 하는 치료제로서의 약품은 전무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으며, 화상에 동반한 통증은 별도의 진통제가 필요했다.
또한, 예로부터 전해오는 한방 화상 치료를 사용하기도 했는데 일반적으로 한의서에 기재된 한방피부용 약재료는 광물성으로서 유황, 비석, 우황, 경분, 연단, 노감석, 붕사 등 7종이 있고 동물성 약재로는 반묘, 노봉방 등 2종이 있으며, 식물성으로는 대풍자, 목근피 등 2종류가 있어서, 이들을 적절히 선택하여 소정의 비율로 배합함으로서 한방외과 피부질환 치료용으로 사용하여 왔었다.
화삼은 중국 서부가 원산지인 마디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서 잘알려진 약용식물이고 독성은 없다. 화삼은 일반적으로 사하작용을 갖는데 유효성분으로는 안트라퀴논 글리코사이드(anthraquinone glycoside)로 생각된다. 또한, 약용 화삼 및 장엽 화삼은 다수의 그램 양성 세균과 몇 종류의 그램 음성 세균에 대하여 시험관내(in vitro)에서 항균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균의 유효성분은 주로 안트라퀴논 유도체로서 주요작용은 세균억제이며 살균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화삼은 또한 항종양 작용을 갖는 것으로 연구되었는데 흑색육종, 유선종 등에 대하여 억제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종양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파괴에 의한 것이다. 이외에도 화삼은 혈압 강하작용, 위장관 출혈 치료작용, 조경작용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수수초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서 알려진 약리작용으로는 항염 및 항알레르기 작용이다. 향수수초의 항알레르기 작용은 비만세포의 효소활성계(SH-효소)를 저해함으로써 알레르기 전달물질의 석방을 저해하여 알레르기를 일으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평활근 자체에 대해서도 직접적인 이완작용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향수수초는 비교적 넓은 항균 스펙트럼을 갖는데 적리간균, 디프테리아 간균, 녹농간균, 포도상 구균, 연쇄상 구균, 수막염균 등을 모두 억제하는 항 미생물 작용을 갖는다. 이외에도 향수수초는 해열작용, 강압, 이뇨작용, 혈중 콜레스테롤 및 혈당 저하 작용, 이담, 진경작용, 진정 작용 등이 있으며 독성은 없다.
천련은 다년생 초본 식물로서 알려진 약리작용으로는 항균 작용 및 항병원충 작용이 있다. 천련은 용혈성 연쇄구균, 뇌막염균, 폐렴 쌍구균, 콜레라균, 탄저균,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하여 비교적 상한 억제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적리균, 디프테리아균, 고초균, 녹색 연쇄상 구균에 대해서도 억제작용을 갖고 있다. 또한 천련은 각 유형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나 뉴캐슬 바이러스에 대하여 일정한 억제작용을 갖는다. 이외에도 천련은 혈압강하, 아세틸콜린의 작용 강화, 혈관 평활근에 대해서는 이완작용, 자궁, 방광, 기관지, 위장 등의 평활근에 대해서는 흥분작용, 담즙생성의 촉진, 항암, 항방사선 작용 등이 있으며, 독성은 없다.
황벽은 낙엽 교목으로서 시험관 내 실험에서 황색 포도상 구균, 폐렴 구균, 디프테리아균, 녹색 연쇄상 구균, 적리균 등에 대하여 항균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항균작용은 천련보다는 적다. 또한 황벽은 혈압강하작용을 갖는다. 기타 작용으로는 중추신경계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으며, 독성은 없다.
연급초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서 알려진 약리작용으로는 지혈작용이 있다. 이러한 지혈작용은 연급초에 들어있는 교질상의 성분과 관계되며 그 작용원리는 물리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연급초는 위 천공과 십이지장 천공의 치료작용을 갖는다. 이외에도 연급초는 결핵균 등에 약한 억제작용을 갖는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상 치료용 약학제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화상 치료용 약학제제를 수득하는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화삼, 향수수초, 천련, 황벽 및 연급초를 칭량한 후 생약을 추출포에 넣고 입구를 막아 추출장치에 넣는 제 1단계; 생약 무게의 10배 내지 50배, 바람직하게는 10배 내지 20배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 메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에 넣고, 30분 내지 5시간동안,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2시간동안 침지시키는 제 2단계; 상기 추출 장치에서 9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10℃로 1시간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3시간동안 추출하는 제 3단계; 상기 추출 후 10분 내지 1시간동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분간 방치한 후, 추출액을 메쉬로 여과하는 제 4단계; 상기 여과된 추출액은 9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10℃에서 중탕으로 농축하는 제 5단계; 상기 농축액을 4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에서 서서히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제 6단계의 제조공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복합생약 추출물 (이하 'SS'이라 명명함)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제제는 스테인레스 용기에 정제수와과 프로필렌글리콜를 넣고 3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를 유지하면서 상기에서 수득한 SS을 넣어 용해시킨 후, 조제탱크에 넣어 50 내지 100 rpm,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rpm 으로 유지시켜 수상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스테인레스 용기에 경질유동파라핀을 넣고 6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로 가온한 후, 스테아릴알코올, 세탄올, 폴리소베이트60을 넣고 6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로 유지하면서 용해시킨 후, 50 내지 100 rpm,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rpm으로 교반하면서 추가로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을 넣어 용해하여 유상을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에서 수득한 유상을 100 메쉬로 여과하여 상기 수상이 담긴 조제탱크에 넣고 호모믹서로 1000 내지 3000 rpm,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3000 rpm, 5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5℃에서 30분 내지 2시간,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5분간 유화한 후, 감압하여 탈기하는 제 3단계; 냉각수를 열고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가 될 때까지 30 내지 100 rpm,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rpm으로 교반하면서 냉각한다. 냉각 시작 후 10 분간 호모믹서 가동하여 15분간 감압한다. 냉각 후 크림의 상태를 확인하고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를 유지하면서 8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시간 방치하는 제 4단계의 제조공정을 통해 황색의 크림(이하 'CR'이라 명명함)을 수득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상 치료용 약학제제를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약학제제는 복합생약 추출물: 경질유동파라핀: 스테아릴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소베이트60: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탈: 파라옥시안식 향산메칠: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세탄올의 중량이 1~45: 50~150: 20~50: 100~150: 15~35: 15~35: 0.1~5: 0.1~5: 20~50의 혼합비(w/w%), 바람직하게는 20~35: 100~140: 25~45: 110~140: 20~30: 20~30: 0.5~2: 0.5~2: 25~45의 혼합비(w/w%)를 갖는 약학제제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복합생약 추출물은 화삼, 향수수초, 천련, 황벽 및 연급초를 포함한 복합생약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복합생약 추출물은 화삼: 향수수초: 천련: 황벽: 연급초의 건조중량비가 1~5: 1~5: 1~5: 1~5: 1~5의 혼합비(w/w%), 바람직하게는 1~3: 1~3: 1~3: 1~3: 1~3의 혼합비(w/w%),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1~2: 1~2: 1~2: 1~2의 혼합비(w/w%)를 갖는 복합생약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메탄올,메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치료용 약학제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약학제형으로 제제화 될 수 있으나, 화상 치료에 적합한 제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고, 크림, 가아제 등 형태의 국소 및 전신 도포형 제제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치료용 약학제제는 인간 및 수의 분야의 의료에 사용될 수 있으며, 제형 및 그 성분을 약학적으로 수용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화상 치료용 약학제제는 상기 복합생약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있는 화상 치료용 약학제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결합제 (예, 폴리비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붕해제 (예, 카복시메틸셀룰로오수칼슘, 전분글리콜산나트륨), 희석제 (예, 옥수수전분, 유당, 콩기름, 결정셀룰로오스, 만니톨), 활택제 (예,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안정제(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알파 또는 베타 싸이클로 덱스트린, 비타민 C, 구연산, 백납), 보존료 (예,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플필, 안식향산나트륨) 또는 향료 (예, 에틸바닐린, 마스킹후레바, 멘톨후라보노, 허브향)와 혼합하여, 정제, 다공성 막, 분말제, 겔제, 연고제, 크림제, 액제 등의 약학적 제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외부 감염균에 의한 추가적인 진피감염을 막기 위하여, 상용량의 공지된 항생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복합생약 추출물은 단시간 내에 통증을 없애며, 치유기간도 매우 짧고, 흉터도 남기지 않는 등의 효과가 매우 탁월한 화상 치료용 약학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복합 생약 추출물의 제조
화삼, 향수수초, 천련, 황벽 및 연급초를 각각 100 kg씩 칭량한 후, 생약을 추출포에 넣고 입구를 막아 추출기에 넣는다. 생약무게의 15배의 물을 넣고 1시간 침지시킨다. 추출 장치에서 95℃로 2시간동안 추출한다. 추출 후 30분간 방치한 후 추출액을 140호 (106 μm)체에 통과시킨다. 잔류물은 버리고 여과된 추출액은 95℃이하에서 중탕으로 농축하여 최종농축액이 500 L 정도가 되게 만든다. 농축액을 60℃이하에서 서서히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40호 (425 μm)체에 통과시켜 본 발명의 갈색 분말 시료(이하 'SS'이라 명명함)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 크림의 제조
1-1. 수상 제조
스테인레스 용기에 정제수 적량과 프로필렌글리콜(삼전순약) 121.4 mg을 넣고 55~60℃를 유지하면서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SS 30 mg을 넣어 용해시킨 후, 조제탱크에 넣어 60 rpm으로 유지시킨다.
1-2. 유상 제조
스테인레스 용기에 경질유동파라핀(삼전순약) 111.7 mg을 넣고 75~80℃로 가온한 후 스테아릴알코올(삼전순약) 37.9 mg, 세탄올(삼전순약) 37.9 mg, 폴리소베이트60(삼전순약) 25.2 mg,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탈(삼전순약) 25.2 mg을 넣고 75~80℃로 유지하면서 용해시킨 후, 60 rpm으로 교반하면서 추가로 파라옥시안식향 산메칠(ACROS) 1 mg,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ACROS) 1 mg을 넣어 용해한다.
1-3. 혼합 및 유화
상기 제조예 1-2에서 수득한 유상을 100 메쉬로 여과하여 상기 제조예 1-1에서 수득한 수상이 담긴 조제탱크(steam kettle)에 넣고 교반기(성보기계)를 40 rpm으로 가동하면서 80℃에서 60분간(이때, homomixer(성보기계)의 경우, 2700 rpm, 80℃에서 30분)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감압하여 탈기한다.
1-4. 냉각
냉각수를 열고 30℃가 될 때까지 40 rpm으로 교반하면서 냉각한다. 냉각 시작 후 10분간 homomixer를 가동하고, 냉각 시작 후, 15분간 감압한다. 냉각 후 크림의 상태를 확인하고 30℃를 유지하면서 하룻밤 방치하여 황색의 균질한 크림을 수득하여 하기 실험예의 시료(이하 'CR'이라 명명함)로 사용하였다.
제조예 2. 바세린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SS 100 g과 바세린 100 g을 혼련, 교반하여 바세린을 수득하여 하기 실험예의 시료(이하 ‘V'이라 명명함)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일반분석 시험
1-1. 건조 감량 시험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시료를 이용하여 문헌 (대한약전 일반시험법 생약시험법 중 건조감량시험법)의 방법에 따라 건조 감량 시험을 수행하였다.
칭량병을 미리 의약품 각조에서 규정하는 방법에 따라 30분간 건조하여 질량을 정밀하게 단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SS 2 g을 미리 질량을 단 칭량병에 넣어 그 질량을 정밀하게 달고 105℃에서 5시간 동안 건조하여 데시게이터(실리카겔)에서 식힌 다음 질량을 정밀하게 단다. 다시 이것을 105℃에서 건조하여 1시간마다 질량을 정밀하게 달아 항량이 될 때의 감량을 건조감량(%)으로 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용기무게(g) 시료량(g) 시험후 무게(g) 건조감량 평균
25.0232 2.0002 26.8608 8.13% 8.30%
23.8183 2.0003 25.6513 8.36%
25.2292 2.0004 27.0616 8.40%
실험결과,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SS의 건조 감량은 10% 이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1-2. 회분 시험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시료를 이용하여 문헌(대한약전 일반시험법 생약시험법 회분법)의 방법에 따라 회분 시험을 수행하였다.
미리 백금제, 석영제 또는 사기제 도가니를 500~550℃에서 1시간 강열하고 방치하여 식힌 다음 질량을 정밀하게 단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SS 2 g을 정밀하게 달아 도가니에 넣어 그 질량을 정밀하게 달고 필요하면 도가니의 뚜껑을 덮거나 비스듬히 얹어 처음에는 약하게 가열하고 천천히 온도를 올려 500~550℃에서 4시간 이상 가열하여 탄화물이 남지 않을 때까지 회화한다. 방치하여 식힌 다음 그 질량을 정밀하게 단다. 다시 잔류물을 항량이 될 때까지 회화하고 방치하여 식힌 다음 그 질량을 정밀하게 달아 회분량(%)으로 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용기무게(g) 시료량(g) 시험후 무게(g) 회분량 평균
31.1552 2.0002 32.3222 8.35% 8.31%
32.2860 2.0003 32.4523 8.31%
31.8666 2.0004 32.0319 8.26%
실험결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SS의 회분 함량은 10% 이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1-3. 엑스 함량 시험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시료를 이용하여 문헌(대한약전 일반시험법 생약시험법 묽은 에탄올 엑스 정량법)의 방법에 따라 엑스 함량 시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SS 2.3 g을 정밀하게 달아 적당한 플라스크에 넣고 묽은 에탄올 70 ml을 넣어 때때로 흔들어 섞어 5시간 침출한다. 다시 16~20시간 방치한 다음 여과한다. 플라스크 및 잔류물은 여액이 100 ml로 될 때까지 묽은 에탄올로 씻는다. 여액 50 ml를 수욕에서 증발건조하고 105℃에서 4시간 건조하여 데시게이터(실리카겔)에서 식힌 다음 그 질량을 정밀하게 달아 2를 곱하여 묽은 에탄올 엑스의 양으로 한다. 건조감량에서 얻은 값에서 건조물로 환산한 검체량에 대한 엑스함량(%)을 산출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용기무게(g) 건조물로 환산한
시료무게(g)
시험후 무게(g) 엑스함량 평균
103.3103 2.1093 104.7942 70.35% 70.35%
103.0385 2.1092 104.5200 70.24%
104.6155 2.1091 106.1017 70.47%
실험결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SS의 엑스 함량은 묽은 에탄올 엑스 75% 이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1-4. 질량편차 시험
상기 제조예에서 수득한 시료를 이용하여 문헌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7-61호 의약품 등의 질량(용량) 편차 기준 및 시험방법)의 방법에 따라 질량 편차 시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제제 10개를 가지고 용기의 바깥 면을 깨끗이 씻어 말린 다음 개개의 질량을 정밀하게 단다. 이때 개개의 번호를 기록하는 등으로 식별하며 각 제제와 그 질량이 대응하도록 하며 내용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물로 씻어 말린 다음 빈 용기 질량(처음 질량을 달았을 때 함께 질량을 단 부속품이 있으면 이를 포함한다)을 정밀하게 단다. 개개의 질량에서 대응하는 빈 용기의 질량을 빼서 내용물의 질량으로 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샘플 질량(g) 평균질량(g) 질량편차
No.1 20.02 20.02 0.06%
No.2 20.13
No.3 19.95
No.4 19.98
No.5 20.01
No.6 20.02
No.7 19.98
No.8 20.13
No.9 20.01
No.10 20.04
실험결과,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제제의 질량편차는 0.06%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함량 시험
상기 실시예의 시료를 이용하여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법 실험을 수행하였다.
2-1. 베르베린 함량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SS 0.5 g을 정밀하게 달아 메탄올·묽은 염산 (100:1) 30 ml를 넣고 환류냉각기를 부착하고 수욕에서 30분간 가열하여 식힌 다음 여과한다. 잔류물은 메탄올·묽은 염산 (100:1) 30 ml 및 20 ml를 써서 다시 이 조작을 2회 반복한다. 마지막 잔류물에 메탄올 10 ml를 넣어 잘 흔들어 섞은 다음 여과한다. 모든 여액을 합하고 메탄올을 넣어 정확하게 100 ml로 하여 검액으로 한다. 따로 베르베린염화물 표준품 약 10 mg을 정밀하게 달아 메탄올에 녹여 정확하게 100 ml로 하여 표준액으로 한다. 검액 및 표준액 10 ㎕씩을 정확하게 취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낸 조건으로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하여 검액 및 표준액의 피크면적 AT 및 AS를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측정하였다.
베르베린(C20H18NO4)의 양(mg)
= 무수물로 환산한 베르베린염화물표준품의 양(mg) × AT/AS × 0.9047
0.9047:(C20H18NO4/C20H18NO4·HCl)=(336.37/371.82)
또한, 상기 제조예에서 수득한 CR 10 g을 정밀하게 달아 메탄올·묽은 염산 (100:1) 75 ml를 넣고 환류냉각기를 부착하고 수욕에서 30분간 가열하여 식힌 다음 여과한다. 잔류물은 메탄올·묽은 염산 (100:1) 75 ml 및 50 ml를 써서 다시 이 조작을 2회 반복한다. 마지막 잔류물에 메탄올 25 ml를 넣어 잘 흔들어 섞은 다음 여과한다. 모든 여액을 합하고 메탄올을 넣어 정확하게 250 ml로 하여 검액으로 한 후,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검액 및 표준액의 피크면적 AT 및 AS를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측정하였다.
베르베린(C20H18NO4)의 양 (mg)
=무수물로 환산한 베르베린염화물 표준품의 양 (mg) × AT/AS × 0.9047× 2.5
0.9047:(C20H18NO4/C20H18NO4·HCl)=(336.37/371.82)
구분 조건
검출기 자외부흡광광도계 (측정파장 345 nm)
칼럼 안지름 4~6 mm, 길이 15~25 cm인 스테일레스강관에 5~10 ㎛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프용 옥타데실실릴 실라카겔 충전
칼럼온도 30℃
이동상 물·아세토니트릴 혼합액(1:1) 1000 ml에 인산이수소칼륨 3.4 g 및 라우릴황산나트륨 1.7 g을 넣어 녹임
유량 베르베린 유지시간이 약 11분이 되도록 조정
실험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SS 1 g 정량할 때, SS 1 g 중 베르베린(C20H18NO4)의 양은 10.5 mg 이상이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예 1에서 수득한 CR를 정량할때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CR 1 g 중 베르베린(C20H18NO4)의 양은 0.32 mg 이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2-2. 바이칼린 함량 시험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SS 0.5 g을 정밀하게 달아 이동상 30 ml를 넣어 환류냉각기를 달고 수욕에서 30분간 가열한다. 식힌 다음 원심분리관에 옮겨 원심분리하여 상징액을 취한다. 환류추출한 용기에 이동상 30 ml을 넣어 씻고 씻은 액을 원심분리관에 옮겨 5분간 흔들어 섞은 다음 원심분리하여 상징액을 취한다. 잔류무에 이동상 30 ml을 넣고 5분간 잘 흔들어 섞은 다음 원심분리하여 상징액을 취한다. 추출액을 모두 합하여 이동상을 넣어 정확하게 100 ml로 한다. 이 액 2 ml을 정확하게 취하고 이동상을 넣어 정확하게 20 ml로 하여 검액으로 한다. 따로 바이칼린 표준품 10 mg을 정밀하게 달아 메탄올을 넣어 정확하게 20 ml로 한다. 이 액 2 ml을 정확하게 취하여 이동상을 정확하게 20 ml로 하여 표준액으로 한다. 검액 및 표준액 20 μl씩을 가지고 하기 표 6에 나타낸 조건으로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하여 각액의 바이칼린 피크면적 AT 및 AS를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측정하였다.
바이칼린 (C21H18O11)의 양 (mg)
= 바이칼린 표준품의 양 (mg) × AT/AS × 5
또한,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CR 5 g을 상기와 동일한 실험방법으로
바이칼린 피크면적 AT 및 AS를 하기 수학식 4에 따라 측정하였다.
바이칼린 (C21H18O11)의 양 (mg)
= 바이칼린 표준품의 양 (mg) × AT/AS × 1.25
구분 조건
검출기 자외부흡광광도계 (측정파장 277 nm)
칼럼 안지름 4~6 mm, 길이 15~25 cm인 스테일레스강관에 5~10 ㎛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프용 옥타데실실릴 실라카겔 충전
칼럼온도 50℃ 부근의 일정온도
이동상 묽은 인산(1→146)·아세토니트릴 혼합액(18:7)
유량 바이칼린의 유지시간이 약 7분이 되도록 조정
실험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SS를 정량할 때, SS 1g 중 바이칼린 (C21H18O11: 446.37)은 40 mg 이상을 함유하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CR을 정량할 때 CR 1 g 중 바이칼린은 1.2 mg 이상 함유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미생물 시험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SS 및 제조예에서 수득한 CR을 이용하여 문헌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5-83호 의약품 등의 미생물 한도 기준 및 시험방법)에 기재된 실험방법에 따라 미생물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도 5, 도 6 및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SS와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CR은 모두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목 미생물시험기준 시험결과
CR 세균:1x102 cfu/g
진균:10 cfu/g
특정세균:불검출
불검출
SS 세균:1x105 cfu/g
진균:1x102 cfu/g
특정세균:불검출
불검출
실험예 4. 중금속 시험
상기에서 수득한 시료를 문헌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8-2호 생약 등의 중금속허용 기준 및 시험방법)에 기재된 실험방법에 따라 중금속 시험을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4-1. 납, 비소, 카드뮴 중금속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SS 0.5 g 정확하게 달아 극초단파 시료 전처리 장치 전용용기에 넣고 질산 12 ml을 넣는다. 분해가 잘 되지 않는 경우 염산 또는 30% 과산화수소 1~2 ml을 첨가한다. 용기를 후드 안에 정치시켜 발생 가스를 제거하고 극초단파 시료전처리장치를 사용하여 분해한다. 분해가 끝난 다음 분해액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검액으로 한다. 따로 질산 12 ml를 극초단파 시료전처리장치 전용용기에 넣어 검액 조제와 같은 방법으로 조작하여 공시험액으로 한다.
검액, 표준액 및 공시험액을 가지고 대한약전 일반시험법 중 원자흡광광도법에 따라 측정한다. 원자흡광광도계를 이용하여 각 중금속의 원자흡광분석용 표준원액(1000 mg/L)을 0.5 mol/L 질산을 사용하여 적정 농도로 희석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공시험액으로 보정하여 검액의 흡광도(또는 강도)를 측정하였다.
4-2. 수은 중금속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SS 500 mg 정확하게 달아 수은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항목 중금속 시험기준 시험결과
SS 30 ppm 이하 1.0 ppm
실험결과, 상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납, 비소, 카드뮴, 수은 등의 중금속 시험기준 30 ppm 이하 기준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SS는 1.0 ppm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잔류농약 시험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시료를 문헌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8-23호의 별표1의 생약추출물 기준)에 기재된 실험방법에 따라 중금속 시험을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5-1. 잔류농약시험 시험용액의 조제
1) 추출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SS 500 g 잘 분쇄한후 약 5 g을 달아 물 40 ml를 넣고 4시간 방치한다. 여기에 아세톤 90 ml을 넣고 균질기로 5분간 균질화 한다. 진공펌프와 가지달린 삼각플라스크 및 부크너 깔때기로 감압여과한다. 이 여액을 500 ml 분액깔때기에 옮기고 포화 식염수 50 ml와 증류수 100 ml을 가한다. 이에 디클로로메탄 70 ml을 넣고 심하게 흔들어 섞은 다음 정치하여 층을 분리시킨다. 아래층(디클로로메탄층)은 다른 분액깔때기에 모은다. 물층에 다시 디클로로메탄 70 ml을 넣고 심하게 흔들어 섞은 다음 정치하여 층을 분리시킨 다음 아래층(디클로로메탄층)을 모은다. 디클로로메탄층은 무수황산나트륨을 통과시켜 탈수하고 감압농축기에 넣어 농축한 다음 헥산 4 ml에 녹인다.
2) 정제
미리 후로리실 카트리지(6 ml, 1 g)에 헥산 6 ml을 넣고 2분간 멈춘 다음 유출시켜 버리고, 이 카트리지에 20% 아세톤 함유 헥산 6 ml를 위와 같은 방법으로 유출하여 버린다. 이어서 추출액을 카트리지 상단에 넣고 2분간 컬럼에 머무르게 한 다음 서서히 유출액을 받는다. 카트리지가 용매에 젖어 있는 상태에서 헥산디클로로메탄아세톤 (50:48.5:1.5) 5 ml로 유출하여 유출액을 모은다. 유출액은 수욕상(40℃ 이하)에서 감압농축시켜 용매를 날려 보낸 다음 20% 아세톤 함유 헥산 2 ml에 녹여 시험용액으로 한다.
5-2.분석조건
1) 검출기: GC-ECD
2) 컬럼: 안지름 0.25 mm, 길이 30 m의 규산유리제 캐필러리 컬럼관에 3) 가스크로마토그래프용 5% 메칠 실리콘을 0.25 ㎛의 두께로 코팅한 것, 안지름 0.25 mm, 길이 30 m의 규산유리제 캐필러리 칼럼관에 가스크로마토그래프용 50% 페닐, 50% 메칠실리콘을 0.25 μm의 두께로 코팅한 것 또는 이와 동등한 것
3) 컬럼온도: 80℃에서 시료를 주입하고 2분간 유지한 다음 분당 10℃의 비율로 280℃까지 온도를 상승시켜 10분 이상 유지한다.
4) 주입부 온도: 260℃ split mode (10:1)
5) 검출기 온도: 280℃
항목 잔류농약시험기준 시험결과
SS 총 BHC 0.2ppm 0.0 ppm
총 DDT 0.1ppm 0.0 ppm
Adrin, Endrin, Dieldrin 0.01 ppm 0.0 ppm
실험예 6. 보존제 시험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CR의 보존제 시험을 문헌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1998-130호 의약품 중 보존제 기준 및 시험방법)에 따라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보존제의 최종농도가 1 ml 중 10 ㎍이 되도록 만들어 여과하고, 여액을 검액으로 한다. 표준액은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표준품과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표준품을 각각 정밀하게 달아 메탄올을 넣어 최종농도가 1 ml 중 10 ㎍이 되도록 만들어 각각의 표준액으로 한 후, 하기 표 10의 조건에 따라, 하기 수학식 5에 따라 보존제의 양을 측정였다.
보존제의 양(mg) = 표준액의 양(mg) X AT/AS
구분 보존제시험 분석조건
검출기 자외부흡광광도계 (254 nm)
칼럼 안지름 약4.6 mm, 길이 25 cm인 스테일레스관에 5 ㎛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프용 옥타데실실릴화한 실라카겔을 충전
이동상 50% 메탄올
유량 0.5 ml/min
항목 보존제시험조건 보존제시험결과
CR 표시량의 80~120% 파라옥시향산메칠(1 mg/g) 98.4%
파라옥시향산프로필(1 mg/g) 98.6%
실험결과,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CR 중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C8H8O3) 및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C10H12O3)이 확인되었고, 그 함량은 표준액의 80 내지 120%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7. 화상치료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CR를 다양한 화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환부를 깨끗이 하고 1일 3회씩 4 g을 넓게 펴발라 환부에 도포한 결과 기존의 화상 연고를 동일 횟수로 도포한 환자들에 비해 치료일수 및 환자의 통증 감소 부분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임상시험의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화상정도 기존 연고 도포시 CR 도포시
치료인원(인) 치유일수 (일) 통증여부 치료인원(인) 치유일수(일) 통증여부
2도화상 12 6 있음 18 2 없음
8 8 있음 3 3 없음
3도화상 5 40 있음 15 20 없음
15 50 있음 4 30 없음
5 60 있음 1 35 없음
실험결과, 상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에서 수득한 CR은 기존 연고 도포시보다 빠르고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 SS의 베르베린 함량시험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도이며,
도 2는 제조예 1 CR의 베르베린 함량시험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도이고,
도 3은 실시예 1 SS의 바이칼린 함량시험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도이며,
도 4는 제조예 1 CR의 바이칼린 함량시험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도이고,
도 5는 실시예 1 SS의 미생물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6은 제조예 1 CR의 미생물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Claims (6)

  1. 화삼, 향수수초, 천련, 황벽 및 연급초를 화삼: 향수수초: 천련: 황벽: 연급초의 건조중량비가 1~5: 1~5: 1~5: 1~5: 1~5의 혼합비(w/w%)를 갖는 복합생약을 칭량한 후 생약을 추출포에 넣고 입구를 막아 추출장치에 넣는 제 1단계; 생약 무게의 10배 내지 50배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에 넣고, 30분 내지 5시간동안 침지시키는 제 2단계; 상기 추출 장치에서 90 내지 120℃로 1시간 내지 5시간동안 추출하는 제 3단계; 상기 추출 후 10분 내지 1시간동안 방치한 후, 추출액을 메쉬로 여과하는 제 4단계; 상기 여과된 추출액은 90 내지 110℃에서 중탕으로 농축하는 제 5단계; 상기 농축액을 40 내지 70℃에서 서서히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제 6단계; 스테인레스 용기에 정제수와 프로필렌글리콜를 넣고 30 내지 100℃를 유지하면서 화삼, 향수수초, 천련, 황벽 및 연급초을 포함한 복합생약추출물을 넣어 용해시킨 후, 조제탱크에 넣어 50 내지 100 rpm으로 유지시켜 수상을 제조하는 제 7단계; 상기 스테인레스 용기에 경질유동파라핀을 넣고 60 내지 100℃로 가온한 후, 스테아릴알코올, 세탄올, 폴리소베이트60을 넣고 60 내지 100℃로 유지하면서 용해시킨 후, 50 내지 100 rpm으로 교반하면서 추가로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을 넣어 용해하여 유상을 제조하는 제 8단계; 상기에서 수득한 유상을 100 메쉬로 여과하여 상기 수상이 담긴 조제탱크에 넣고 호모믹서로 1000 내지 3000 rpm, 50 내지 90℃에서 30분 내지 2시간 유화한 후, 감압하여 탈기하는 제 9단계; 냉각수를 열고 10 내지 50℃가 될 때까지 30 내지 100 rpm으로 교반하면서 냉각하고 냉각 시작 후 10분간 호모믹서 가동하여 15분간 감압하고 냉각 후 크림의 상태를 확인하고 10 내지 50℃를 유지하면서 8시간 내지 24시간 방치하는 제 10단계의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는 화상치료용 복합생약 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제제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제제는 제 1항의 복합생약 추출물: 경질유동파라핀: 스테아릴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소베이트60: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탈: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세탄올의 중량이 1~45: 50~150: 20~50: 100~150: 15~35: 15~35: 0.1~5: 0.1~5: 20~50의 혼합비(w/w%)를 갖는 약학제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제제의 제조방법.
KR1020090028817A 2009-04-03 2009-04-03 화상 치료용 약학제제의 제조방법 KR101081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817A KR101081134B1 (ko) 2009-04-03 2009-04-03 화상 치료용 약학제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817A KR101081134B1 (ko) 2009-04-03 2009-04-03 화상 치료용 약학제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474A KR20100110474A (ko) 2010-10-13
KR101081134B1 true KR101081134B1 (ko) 2011-11-07

Family

ID=43131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817A KR101081134B1 (ko) 2009-04-03 2009-04-03 화상 치료용 약학제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1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129A (ko) * 2014-09-22 2016-03-31 주식회사 제네웰 항균물질의 서방용 창상 피복 조성물 및 창상피복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6614A (en) 1997-03-20 1998-06-16 Yong; Liu Burn treatment compositions containing herbal mix
CN1242997A (zh) 1998-07-29 2000-02-02 刘天聪 无迹烧伤膏
KR100490172B1 (ko) 2002-05-28 2005-05-17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백급으로부터 추출 분리된 천연 다당류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CN101390959A (zh) 2008-10-06 2009-03-25 蒋坤元 一种用于鼻前庭炎鼻干燥证及皮肤烧烫伤的消毒剂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6614A (en) 1997-03-20 1998-06-16 Yong; Liu Burn treatment compositions containing herbal mix
CN1242997A (zh) 1998-07-29 2000-02-02 刘天聪 无迹烧伤膏
KR100490172B1 (ko) 2002-05-28 2005-05-17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백급으로부터 추출 분리된 천연 다당류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CN101390959A (zh) 2008-10-06 2009-03-25 蒋坤元 一种用于鼻前庭炎鼻干燥证及皮肤烧烫伤的消毒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474A (ko) 201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iarj et al. Anticough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sidium guajava Linn. leaf extract
Adetutu et al. Antibacterial, antioxidant and fibroblast growth stimulation activity of crude extracts of Bridelia ferruginea leaf, a wound-healing plant of Nigeria
TW550079B (en) A novel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control and treatment of anorectal and colonic diseases and a proces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Suzilla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antimicrobial herbosomal gel from Quercus infectoria extract
US10806765B2 (en) Immunologically active phyto-mixture and its use in the prevention and in a method for treatment of efflorescences
Paul et al. Scoparia dulcis: A review on its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profile
US10561678B2 (en) Composition for treating neuropathy, process and method of treatment thereof
KR101081134B1 (ko) 화상 치료용 약학제제의 제조방법
KR20030055154A (ko)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81106B1 (ko)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상 치료용 약학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006880A (zh) 葡萄籽萃取物的制备方法及含该萃取物的用于预防或治疗类风湿性关节炎的药物组合物
CN100486636C (zh) 治疗牙齿敏感证的糊剂及其制备方法
JPH01172340A (ja) 鶏のブドウ球菌症の予防及び治療剤
CN113925907A (zh) 一种抑菌抗炎、抗过敏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Xu et al. Application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Extract i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US7074436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phyllanthus extracts
KR100672036B1 (ko) 인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식 치료제
Abidet et al. Assessment of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and evaluation of scavenging activity of the aerial parts of Verbascum thapsus L. and Lactuca virosa L. grown in Algeria
AU2021104295A4 (en) An innovative bioactive dressing for treating wounds using herbs & cow urine.
KR102534261B1 (ko)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S63310836A (ja) 抗白癬菌治療薬
Hayati et al. FORMULA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HERBAL TOOTHPASTE BASED ON ACEH TRADITIONAL MEDICINE
KR102044936B1 (ko) 낙상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50023711A (ko) 치매치료 효과를 갖는 백두옹 추출물
Srivastava et al. Evaluation & Herbal Formulation Of Indian Medicinal Plant On Wound Healing Activity On Experimental Anim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