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821B1 - 이송대상체 적재용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이송유닛 - Google Patents

이송대상체 적재용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이송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821B1
KR101080821B1 KR1020090102686A KR20090102686A KR101080821B1 KR 101080821 B1 KR101080821 B1 KR 101080821B1 KR 1020090102686 A KR1020090102686 A KR 1020090102686A KR 20090102686 A KR20090102686 A KR 20090102686A KR 101080821 B1 KR101080821 B1 KR 101080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upport
transfer
shaft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5929A (ko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김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20090102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821B1/ko
Publication of KR20110045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이 적재되는 트레이와, 트레이 양단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이송하는 이송회전체를 마련하고, 특히 인쇄회로기판이 적재되는 트레이 내부에는 와이어로 구성된 서포트가 형성되어 있어 상하부에서 분사되는 약품이나 세척수(세정액)가 기판 면에 골고루 분산 처리될 수 있음은 물론, 박형이나 초박형의 인쇄회로기판에 대하여 쳐짐이나 휨 등의 형태 변형 없이 이송할 수 있는 이송대상체 적재용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이송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상체 적재용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이송유닛은, 종(縱)방으로 복수의 장착부를 갖고 횡(橫)방으로 상호 이격 배열된 두 지지체; 샤프트, 그리고 상기 샤프트 양단부(兩端部)에 각각 결합되는 두 지지이송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가 상기 두 지지체에서 횡방의 동일 직선상에 위치한 양 장착부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두 지지이송롤러가 상기 두 지지체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복수의 회전이송체; 상기 각 회전이송체의 두 지지이송롤러에 양단부가 지지되게 얹히는 이송대상체 적재용 트레이; 및 상기 회전이송체의 각 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트레이를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Figure R1020090102686
박형, 초박형, PCB, 회로기판, 이송, 롤러, 트레이, 적재, 넷(net), 그물

Description

이송대상체 적재용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이송유닛{TRANSFER UNIT USING TRAY}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중 박형이나 초박형인 인쇄회로기판의 형태 변형 없이 이송할 수 있고, 아울러 분사된 약품이나 세척수가 기판 면 전체에 골고루 분산 처리될 수 있도록 한 이송대상체 적재용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이송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송대상체, 특히 인쇄회로기판(PCB)의 이송을 위한 이송유닛에 관한 기술로는,
일반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샤프트에 복수개의 롤러들이 축 결합되어 있는 회전체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 수평 다점 롤러 방식의 이송유닛(이하에서는 ‘선행기술 1’이라고 함)이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 1은 회전체의 다수 롤러가 기판에 직접 접촉하게 되면서 이송되므로 기판의 이송속도 및 롤러의 마찰력, 스프레이의 분사압력의 변화에 따른 기 판의 꺾임, 말림, 사행, 손상 등이 발생하게 되고,
특히 기판 상에 미세 회로를 형성할 경우 미세 회로의 요철 부위가 롤러와 접촉함에 따라 손상을 유발시킬 수 있어 기판의 불량 및 에러율이 증가하게 되고, 다수의 롤러와 접촉하게 되는 기판의 접촉 부위에는 약품이나 세척수 처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결국 최종 제품의 수율 저하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선행기술 1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 1에 비해 회전체의 롤러 수, 특히 기판과 접촉하게 되는 롤러의 수가 3개인 3점 롤러 방식의 이송유닛(이하에서는 ‘선행기술 2’라고 함)이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 1이 비해 기판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있으나, 박판(예로 두께가 0.4mm 이하의 박판)의 기판인 경우 3개의 롤러를 이용해 지지하는데 한계가 있고, 특히 지지한 상태에서 인접한 롤러 간의 이격 거리로 인해 하부 쳐짐이 발생할 수밖에 없고, 쳐짐 부위에 분사된 약품이나 세척수가 집중되므로 인해, 면 전체에 골고루 분산 처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 1 및 2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를 상하로 배열한 수직 이송유닛(이하에서는 ‘선행기술 3’이라고 함)이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 3은 기판의 가장자리에 클램프 지그를 설치하여 기판 상하부 를 일정한 힘으로 고정시킨 구성이긴 하나,
클램프 지그의 클램핑 동작에 의해서 기판의 휨이 발생하게 되고, 기판의 액 처리 중에 전, 후 압력차이가 발생하여 기판 찢어짐이 발생한다.
또한 클램핑 된 기판 부분에 액 처리가 되지 않고 남아있어 약품이나 세척수(세정액)가 클램프 지그를 타고 흘러내려 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클램프 지그를 이용하여 수직 방식으로 이송시 공정 프로세스가 길어지고 주변장치의 추가로 인하여 레이아웃에 비해 효율적이지 못하여 설비투자비용 상승과 더불어 생산성에도 단위면적기준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기판의 앳지부(또는 단부)(회로가 형성되지 않는 가장자리 영역을 말함)만을 지지한 상태에서 기판이 이송되면서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하게 되는 기술로,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08-0093365호(이하 ‘선행기술 4’라고 함)가 제시되어 있는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재의 표면처리장치의 컨베이어로서 상기 표면처리장치는 처리액으로 채워진 약액조, 상기 약액조 내에서 기판재를 액내 반송하는 컨베이어 및 상기 약액조 내에서 기판재에 처리액을 분사하는 스프레이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기판재의 회로형성 면에 접촉하지 않고, 기판재의 좌우 양측 앳지부만을 상하의 이송롤러에 접촉하여 이송되는 구성이긴 하나,
상기 선행기술 4는 0.1t 이하의 두께를 가진 기판은 이탈될 수 있어 기판 구동에 부적합하고, 기판 쳐짐으로 인해 액 집중 현상이 발생하며, 침지(浸漬) 방식으로 인해 에칭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기판이 고정 적재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 양단부를 지지하고 이송하는 이송회전체를 마련하고, 상기 트레이 내에서 기판이 적재되는 영역에 상하 유통공간부를 갖도록 와이어를 엮는 등의 구조로 서포트를 구성함에 따라, 서포트에 적재된 기판은 휨이나 쳐짐 등의 형태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또 상하 유통공간부로 상하 분사되는 약액이나 세척수가 기판 면 전체에 골고루 분사되며, 또 박형이나 초박형 인쇄회로기판의 이송에 적합한 이송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상체 적재용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이송유닛은,
종(縱)방으로 복수의 장착부를 갖고 횡(橫)방으로 상호 이격 배열된 두 지지체;
샤프트, 그리고 상기 샤프트 양단부(兩端部)에 각각 결합되는 두 지지이송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가 상기 두 지지체에서 횡방의 동일 직선상에 위치한 양 장착부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두 지지이송롤러가 상기 두 지지체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복수의 회전이송체;
상기 각 회전이송체의 두 지지이송롤러에 양단부가 지지되게 얹히는 이송대 상체 적재용 트레이; 및
상기 회전이송체의 각 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트레이를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두 지지체의 양 장착부들에는 상기 회전이송체가 상하로 2행 배열되어 있고,
2행 배열된 두 회전이송체는 커넥팅수단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어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각 회전이송체에서 두 지지이송롤러는 각각 트레이 단부가 얹히는 내륜부, 그리고 트레이 외벽을 지지하는 외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두 지지이송롤러의 각 내륜부에는 트레이 단부와 접하게 되는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한편, 상기 트레이는 사각 프레임, 그리고 상기 사각 프레임 내에 배열되되 상하 유통공간부를 갖도록 배열된 넷(net)형 서포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상체 적재용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이송유닛은,
기판을 롤러에 직접 얹혀 이송하는 방식에서 탈피한 새로운 방식으로서, 트레이 내에 와이어 서포트를 구성하고, 서포트 상부에 기판을 적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트레이 양단부를 지지하고 이송하는 이송회전체의 구동에 따라 이송되는 트레이 내의 기판은 휨이나 쳐짐 등의 형태 변형이 없으며, 좌우 흔들림이나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으며, 상하에 분사되는 약품이나 세척수가 기판 면 전체에 골고루 분사될 수 있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유닛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을 전방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B"에 대한 발췌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을 측방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2에서 지지체의 장착부에 상하 배열된 회전이송체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에 대해 도 4와 같이 측방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며, 도 7은 트레이 평면 구성도이고, 도 8은 종래 선행기술 1에 대한 도면이며, 도 9는 종래 선행기술 2에 대한 도면이고, 도 10은 종래 선행기술 3에 대한 도면이며, 도 11은 종래 선행기술 4에 대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의 “A"는 해당 영역에 대한 발췌 확대도이다.
설명에 앞서, ‘이송대상체’라 함은 트레이(30)에 적재되어 이송되어지는 대상물품을 의미하고, 특히 본 발명에서는 박형이나 초박형 인쇄회로기판(PCB)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상체 적재용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이송유닛은,
크게 지지체(10), 회전이송체(20), 트레이(30) 및 구동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지지체(10)는
한 쌍을 이루어 횡(橫)방으로 상호 이격 배열되는 것으로,
종(縱)방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장착부(11)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장착부(11)는 상부에 개구부(111), 그리고 하부에 받침부(11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개구부(111)로 상기 회전이송체(20)를 끼워 넣거나 빼낼 수 있어 회전이송체(20)의 탈장착이 용이하다.
상기 회전이송체(20)는
복수개를 이루어 상기 지지체(10)의 장착부(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에 얹히는 트레이(30)를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샤프트(21), 그리고
상기 샤프트(21) 양단부(兩端部)에 각각 결합되는 두 지지이송롤러(2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복수의 회전이송체(20)는 각 샤프트(21)가 상기 두 지지체(10)에서 횡방의 동일 직선상에 위치한 양 장착부(11)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두 지지이송롤러(22)가 상기 두 지지체(10)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회전이송체(20)에서 두 지지이송롤러(22)는
각각 후술할 트레이(30)의 사각 프레임(31) 양단부가 얹히는 내륜부(221), 그리고
트레이(30)의 사각 프레임(31) 양단부 외벽을 지지하는 외륜부(222)
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내륜부(221)에는 트레이(30)의 사각 프레임(31) 양단부와 접하게 되는 미끄럼방지부재(221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221a)는 트레이(30)의 사각 프레임(31) 양단부와의 마찰력을 통해 미끄러짐 없이 안정적인 트레이(30) 이송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221a)로는 마찰계수가 큰 재질의 환형 오링이나 단면이 사각타입인 플랫(flat) 오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두 지지이송롤러(22)의 각 외륜부(222)에 상기 트레이(30) 외벽 즉, 트레이(30)의 사각 프레임(31) 양 외벽이 지지됨에 따라 좌우 흔들림 없이 더욱더 안정적인 트레이(30) 이송 동작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회전이송체(20)에서 두 지지이송롤러(22)는
볼트 등에 의해서 상기 샤프트(21)에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미끄럼방지부재(221a)나 지지이송롤러(22)의 교체, 수리 등의 유지보수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송유닛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1)에서 상기 지지체(10) 장착부(11)의 받침부(112)에 받치게 되는 해당 위치에 축 결합되는 중계회전체(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계회전체(23)는 양단부에 플랜지(2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 플랜지(231)는 상기 중계회전체(23)가 상기 장착부(11)의 개구부(111)를 통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112) 좌우 주변부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상기 회전이송체(20)의 좌우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트레이(30)는
상기 각 회전이송체(20)의 두 지지이송롤러(22)에 양단부가 지지되게 얹히고 내부에 이송대상체(1)가 적재되는 것으로,
사각 프레임(31), 그리고
상기 사각 프레임(31) 내에 배열되되 상하 유통공간부(321)를 갖도록 배열된 넷(net)형 서포트(3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사각 프레임(31)은 단일체일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분체(31A, 3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분체(31A, 31B)는 볼트 등에 의해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32)는 수지나 SUS 재질의 다수 와이어(322)를 격자 형태로 배열되게 하여 이루어진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인접한 와이어(322)와 와이어(322) 사이에 상하 유통공간부(321)가 형성될 수 있도록,
각 와이어(322)가 상기 사각 프레임(31) 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횡 방향으로만 배열되어 이루어지거나,
각 와이어(322)가 상기 사각 프레임(31) 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종 방향으로만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등,
다양한 형태(예 : 횡 또는 종으로만 배열된 형태 등)로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또 적재되는 이송대상체(1)의 중량 등을 고려하여 상기 와이어(322)를 촘촘하게 배열하는 등, 상기 상하 유통공간부(32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적재되는 이송대상체(1)의 중량 등을 고려하여 상기 와이어(322)의 직경을 크게 하거나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322)는 수지 또는 SUS(Steel Us Stainless)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환경 온도에 따라 연신율을 고려한 텐션값을 가지며, 최초 보유한 텐션값에 미달되는 경우 와이어를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322)는 상기 두 분체(31A, 31B)의 접면에 고정되는데,
예로, 두 분체(31A, 31B)에 체결된 볼트(미도시)에 감아서 고정하거나,
다른 예로, 두 분체(31A, 31B)의 접면에 형성된 와이어 수납 경로(미도시)를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감고, 양단부를 볼트에 고정하는 등,
상기 두 분체(31A, 31B)에 상기 와이어(322)를 고정하는 다양한 구조의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30)는 이의 사각 프레임(31) 내면을 따라 다수의 돌출지지부(33)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지지부(33)는 적재된 이송대상체(1)의 상하좌우 외벽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30)에 적재된, 즉 사각 프레임(31) 내에 배열된 서포트(32)에 적재된 이송대상체(1)는 트레이(30) 이송시 상기 돌출지지부(33)에 의해서 흔들림(요동) 없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회전이송체(20)의 각 샤프트(21)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회전이송체(20)의 각 샤프트(21) 단부에 결합된 제1교차기어(41),
상기 각 제1교차기어(41)와 교차축 기어로 맞물리는 제2교차기어(42),
상기 각 제2교차기어(42)가 축 결합되고 종동풀리(431)를 갖는 종동축(43),
구동풀리(441)를 갖는 구동모터(44), 그리고
상기 종동축(43)의 종동풀리(431)와 상기 구동모터(44)의 구동풀리(441)를 연결하는 벨트(4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교차기어(41, 42)는 상호 교차축 기어를 이루고, 교차축 기어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리컬 기어(helical gear)를 도입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벨트(45)를 대신하여 체인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종동축(43)의 종동풀리(431)나 상기 구동모터(44)의 구동풀리(441)를 체인이 감길 수 있는 형태의 풀리 타입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송유닛은
상기 두 지지체(10)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장착부(11)들 모두에 상기 회전이송체(20)를 장착할 수도 있고, 트레이(30)나 이송대상체(1)의 크기나 중량 등을 고려하여 선택 장착할 수 있다.
결국, 상기 복수의 장착부(11)를 통해 상기 회전이송체(20)와 인접한 회전이 송체(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송유닛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지지체(10)의 양 장착부(11)들에는 상기 회전이송체(20)가 상하로 2행 배열되어 있고,
2행 배열된 두 회전이송체(20)는 커넥팅수단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어 연동되는 구조로 구현 가능하다.
상기 커넥팅수단이 기어체(G)인 제1구현예로는,
하부에 위치한 회전이송체(20)의 샤프트(21) 단부에 축 결합된 제1기어(G1), 그리고
상부에 위치한 회전이송체(20)의 샤프트(21) 단부에 축 결합되고 상기 제1기어(G1)와 맞물리는 제2기어(G2)
로 이루어진다.
이때 가장 중요한 요소로는 상기 제1 및 제2 기어(G1, G2)가 상호 맞물렸을 때에 상부에 위치한 회전이송체(20)의 내륜부(221)와 하부에 위치한 회전이송체(20)의 내륜부(221) 간의 이격 거리가 트레이(30)의 사각 프레임(31) 양단부 상하 두께와 상응하여야 한다.
따라서 하부에 위치한 회전이송체(20)가 상기 구동수단(40)에 의해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기어(G1)와 상기 제2기어(G2)가 상호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부에 위치한 회전이송체(20) 또한 회전하게 되고, 결국 상하 2행 배열된 두 회전이송 체(20) 사이로 트레이(30)의 이송 동작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커넥팅수단이 마그네트(미도시)인 제2구현예로는
하부에 위치한 회전이송체(20)의 샤프트(21) 단부에 결합된 제1자성체, 그리고
상부에 위치한 회전이송체(20)의 샤프트(21) 단부에 결합된 제2자성체
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체 타입의 커넥팅수단과 마찬가지로, 마그네트 타입의 커넥팅수단은 제1 및 제2 자성체가 인력(引力)에 의해 접하고 있을 때에 상부에 위치한 회전이송체(20)의 내륜부(221)와 하부에 위치한 회전이송체(20)의 내륜부(221) 간의 이격 거리가 트레이(30)의 사각 프레임(31) 양단부 상하 두께와 상응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의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유닛의 작동 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트레이(30)의 서포트(32)에 이송대상체(1)를 올려놓고,
자동투입장치나 수동으로 상기 트레이(30)를 회전이송체(20)의 두 지지이송롤러(22) 즉, 상기 트레이(30)의 사각 프레임(31) 양단부 외벽이 외륜부(222)에 지지되게 양 내륜부(221) 상부에 얹는다.
구동수단(40)의 구동모터(44) 동작에 의해,
종동축(43)이 회전하게 되고, 종동축(43)에 축 결합된 제2교차기어(42) 또한 회전하게 되며,
아울러 상기 제2교차기어(42)와 맞물린 제1교차기어(41)가 회전함에 따라,
결국 회전하는 회전이송체(20)에 의해서 상기 트레이(30)가 수평 이송된다.
그리고 회전이송체(20) 상하부에 이격 배열되고 식각 또는 세척 등을 위한 스프레이 타입의 분사노즐(2)에서 약품 또는 세척수를 분사하게 되고,
분사액은 트레이(30)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이송대상체(1)의 상하부에 골고루 도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유닛을 통해 이송되는 이송대상체(1)는 지지이송롤러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트레이에 적재된 상태에서 이송됨은 물론, 특히 와이어(322)로 구성된 서포트(32)에 적재되기에,
고정된 와이어(322)와의 선 접촉 외에 다른 접촉이 없고, 또한 외부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와이어의 재질에 따른 텐션력에 의해서 상쇄되므로,
이송시 이송대상체(1)인 인쇄회로기판의 불량 및 에러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이송대상체 적재용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이송유닛"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유닛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을 전방에서 바라본 구성도,
도 3은 도 2의 “B"에 대한 발췌 확대도,
도 4는 도 1을 측방에서 바라본 구성도,
도 5는 도 2에서 지지체의 장착부에 상하 배열된 회전이송체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도 5에 대해 도 4와 같이 측방에서 바라본 구성도,
도 7은 트레이 평면 구성도,
도 8은 종래 선행기술 1에 대한 도면,
도 9는 종래 선행기술 2에 대한 도면,
도 10은 종래 선행기술 3에 대한 도면,
도 11은 종래 선행기술 4에 대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이송대상체
2 : 분사노즐
10 : 지지체
11 : 장착부 111 : 개구부
112 : 받침부
20 : 회전이송체
21 : 샤프트 22 : 지지이송롤러
221 : 내륜부 221a : 미끄럼방지부재
222 : 외륜부 23 : 중계회전체
231 : 플랜지
30 : 트레이
31 : 사각 프레임 31A, 31B : 분체
32 : 서포트 321 : 유통공간부
322 : 와이어 33 : 돌출지지부
40 : 구동수단
41 : 제1교차기어 42 : 제2교차기어
43 : 종동축 431 : 종동풀리
44 : 구동모터 441 : 구동풀리
45 : 벨트

Claims (5)

  1. 종(縱)방으로 복수의 장착부(11)를 갖고 횡(橫)방으로 상호 이격 배열된 두 지지체(10);
    샤프트(21), 그리고 상기 샤프트(21) 양단부(兩端部)에 각각 결합되는 두 지지이송롤러(22)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21)가 상기 두 지지체(10)에서 횡방의 동일 직선상에 위치한 양 장착부(11)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두 지지이송롤러(22)가 상기 두 지지체(10)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복수의 회전이송체(20);
    상기 각 회전이송체(20)의 두 지지이송롤러(22)에 양단부가 지지되게 얹히는 이송대상체(1) 적재용 트레이(30); 및
    상기 회전이송체(20)의 각 샤프트(21)를 회전시켜 상기 트레이(30)를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수단(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트레이(30)는
    사각 프레임(31), 그리고
    상기 사각 프레임(31) 내에 종 또는 횡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거나, 격자(格子)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와이어(322)를 갖는 서포트(32)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상체 적재용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이송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지지체(10)의 양 장착부(11)들에는 상기 회전이송체(20)가 상하로 2행 배열되어 있고,
    2행 배열된 두 회전이송체(20)는 커넥팅수단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어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상체 적재용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이송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회전이송체(20)에서 두 지지이송롤러(22)는 각각 트레이(30)의 사각 프레임(31) 양단부가 얹히는 내륜부(221), 그리고 트레이(30)의 사각 프레임(31) 양단부 외벽을 지지하는 외륜부(2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상체 적재용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이송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지지이송롤러(22)의 각 내륜부(221)에는 트레이(30)의 사각 프레임(31) 양단부와 접하게 되는 미끄럼방지부재(221a)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상체 적재용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이송유닛.
  5. 삭제
KR1020090102686A 2009-10-28 2009-10-28 이송대상체 적재용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이송유닛 KR101080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686A KR101080821B1 (ko) 2009-10-28 2009-10-28 이송대상체 적재용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이송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686A KR101080821B1 (ko) 2009-10-28 2009-10-28 이송대상체 적재용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이송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929A KR20110045929A (ko) 2011-05-04
KR101080821B1 true KR101080821B1 (ko) 2011-11-07

Family

ID=44240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686A KR101080821B1 (ko) 2009-10-28 2009-10-28 이송대상체 적재용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이송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8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593B1 (ko) * 2011-11-15 2013-02-19 김영환 와이어 연결형 롤러를 이용한 고성능 세척 유도 이송유닛
KR101296736B1 (ko) * 2011-11-24 2013-08-20 주식회사 에스아이이 박판 이송장치
KR102151965B1 (ko) * 2014-03-31 2020-09-04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롤러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기판이송장치
KR102144883B1 (ko) * 2016-03-17 2020-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슬라이딩 방식의 전지셀 이송 장치
US10737887B2 (en) 2017-05-15 2020-08-11 Dorner Mfg. Corp. Zoned roller conveyor
CN108325900B (zh) * 2017-09-19 2021-02-02 福建晟哲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面板清洗设备
KR102018593B1 (ko) * 2019-05-22 2019-09-06 (주)에이앤티 말림방지 구조를 갖는 박판용 이물질 세정장치
KR102413112B1 (ko) * 2020-08-06 2022-06-24 신파워 컴패니 리미티드 수평 습식공정 지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1320A (ja) * 2005-03-16 2006-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供給装置及び部品供給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1320A (ja) * 2005-03-16 2006-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供給装置及び部品供給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929A (ko)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821B1 (ko) 이송대상체 적재용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이송유닛
KR101084672B1 (ko) 와이어 연결형 롤러를 이용한 이송유닛
KR101234593B1 (ko) 와이어 연결형 롤러를 이용한 고성능 세척 유도 이송유닛
US9358587B2 (en)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JP2006321623A (ja) 基板搬送装置
JP2013094134A (ja) 農畜産物の洗浄装置
KR101116654B1 (ko) 기판 이송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JP2004275989A (ja) 基板処理装置
KR101270532B1 (ko) 패널 이송용 컨베이어
KR100946717B1 (ko) 컨베이어벨트
JP4914279B2 (ja) 基板の処理装置
KR20150076791A (ko) 기판처리장치
US4907612A (en) Universal material handling apparatus
KR101040696B1 (ko) 기판 이송 장치
JP2014210638A (ja) カード搬送装置
JP2016204147A (ja) 小型成形品の供給中継装置
JP3999552B2 (ja) 処理装置
KR102278080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101040695B1 (ko) 기판 이송 장치
KR20100055761A (ko) 기판 이송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KR20150090492A (ko) 반송유닛 및 이를 가지는 기판처리장치
KR101198239B1 (ko) 대면적 기판의 처리장치
KR102056857B1 (ko) 셔틀 및 이를 가지는 기판처리장치
KR100906373B1 (ko) 트레이 반송 시스템
KR20160064742A (ko) 기판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