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475B1 -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 - Google Patents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475B1
KR101080475B1 KR1020090049414A KR20090049414A KR101080475B1 KR 101080475 B1 KR101080475 B1 KR 101080475B1 KR 1020090049414 A KR1020090049414 A KR 1020090049414A KR 20090049414 A KR20090049414 A KR 20090049414A KR 101080475 B1 KR101080475 B1 KR 101080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ensor
laser beam
foreign material
coherent laser
bankn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0742A (ko
Inventor
티엔-유안 치엔
쳉-캉 유
푸-유안 창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90049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475B1/ko
Publication of KR20100130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3/00Handling of coins or of valuable papers, characterised by a combination of mechanis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G07D1/00 - G07D11/00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통로(bill passageway)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20)에 관한 것으로, 레이저광원(22), 제 1 광센서(24) 및 제 2 광센서(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이저광원(22)은 제 1 측면(163)에 위치하고, 제 2 측면(164)을 향해서 응집성 레이저 빔(coherent laser beam)을 발사한다. 상기 제 1 광센서(24)는 상기 제 2 측면(164)에 위치하여서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을 수신하여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의 세기를 판단한다. 상기 제 2 광센서(26)는 상부측면(161)과 하부측면(162)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한다. 상기 구조를 통해, 이물체가 상기 지폐통로(16)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광센서(24)에 의해 탐지되는 응집성 레이저 빔의 강도는 상기 이물체의 방해에 의해 약해진다. 동시에, 상기 제 2 광센서(26)는 상기 이물체에 의해 반사되거나, 굴절되거나, 회절되거나 산란되는 응집성인 레이저 빔의 일부분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자동교환기, 지폐교환기, 이물체 탐지장치

Description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An apparatus for detecting a foreign object in a bill passageway}
본 발명은 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지폐통로에 사용되는 이물체 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많은 현대인들은 신속성과 편리성을 요구하고 있고, 이에 따라 많은 공공장소에서는 화폐교환기, 자동판매기, 매표기 또는 현금지급기 등과 같은 자동교환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기계는 무인관리 시스템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도난 등의 폐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술한 자동교환기에는 위조지폐의 진위를 식별할 수 있는 지폐식별시스템이 장착되거나, 또는 부정 사용자가 기계 내부의 지폐를 훔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흔히 발견되는 지폐의 절취방식은 가는 선을 지폐에 붙이는 것인데, 지폐를 교환기계의 지폐통로 내부에 삽입하여 진위식별 과정이 통과되면, 해당 시스템은 상기 자료를 유효자료로 간주하여 후단에 장착된 서버에 이를 기록한다. 그러나 부정 사용자들은 이때 가는 선을 바깥으로 잡아 당기는 방식을 통하여 삽입된 지폐를 뽑아 내는데, 이를 속칭 지폐낚기라고 한다. 만일 기계의 지폐통로 내부에 이물체 탐지장치를 설치할 경우, 지폐 후방에 가는 선 등의 이물체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탐지하여, 이물체가 탐지된 경우 상응하는 장치에 의해 가는 선을 절단하거나 전기공급을 중단함으로써 부정 사용자가 지폐를 기계에서 빼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현재 사용되는 이물체 탐지장치는, 지폐삽입구와 동전삽입구 사이의 지폐통로 내에 설치되는데, 발광다이오드가 광원이 되어, 지폐가 지폐통로를 통과한 후 광선을 발산하여 지폐통로를 조사(照射)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대응되는 센서에 의해 발광다이오드에서 나오는 광선이 이물체에 의해 차단되었는지 여부를 탐지하여, 이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물체 탐지장치는 해상도에 있어서 일정한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미세 직경을 갖는 가는 선의 존재여부는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없다. 따라서, 해상도를 높일 수 있는 이물체 탐지장치를 개발하는 것이 도난방지장치 분야에 절박하게 필요하게 되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해상도가 우수하여, 아주 작은 직경의 가는 선의 존재를 탐지할 수 있는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지폐통로(bill passageway)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는, 지 폐검증기에 장착되어, 상기 지폐검증기의 지폐통로 내부에 이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지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지폐통로는 상부측면, 하부측면 및 좌우 대칭되는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을 구비한다. 상기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는 레이저광원, 제 1 광센서 및 제 2 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이저광원은 제 1 측면에 위치하고, 제 2 측면을 향해서 응집성 레이저 빔(coherent laser beam)을 방출한다. 상기 제 1 광센서는 상기 제 2 측면에 위치하여서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을 수신하여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의 세기를 판단한다. 상기 제 2 광센서는 상기 상부측면과 하부측면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한다. 상기 구조를 통해, 이물체가 상기 지폐통로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광센서에 의해 탐지되는 응집성 레이저 빔의 강도는 상기 이물체의 방해에 의해 약해진다. 동시에, 상기 제 2 광센서는 상기 이물체에 의해 반사되거나, 굴절되거나, 회절되거나 산란되는 응집성인 레이저 빔의 일부분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또 다른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는, 지폐검증기에 장착되어, 상기 지폐검증기의 지폐통로 내부에 이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지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지폐통로는 상부측면, 하부측면 및 좌우 대칭되는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을 구비한다. 상기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는 레이저광원, 반사기, 제 1 광센서 및 제 2 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이저광원은 제 1 측면에 위치하고, 제 2 측면을 향해서 응집성 레이저 빔(coherent laser beam)을 방출한다. 상기 반사기는 상기 제 2 측면에 위치하되,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을 수신하여,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을 상기 제 1 측면으로 반사한다. 상기 제 1 광센서는 상기 제 1 측면에 위치하여서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을 수신하여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의 세기를 판단한다. 상기 제 2 광센서는 상기 상부측면과 하부측면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한다. 상기 구조를 통해, 이물체가 상기 지폐통로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광센서에 의해 탐지되는 응집성 레이저 빔의 강도는 상기 이물체의 방해에 의해 약해진다. 동시에, 상기 제 2 광센서는 상기 이물체에 의해 반사되거나, 굴절되거나, 회절되거나 산란되는 응집성인 레이저 빔의 일부분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분해도 및 세부 분해도이다. 상기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는, 자동교환기의 지폐검증기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투입한 지폐에 가는 선 등 이물체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탐지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가는 선의 종류는 견사, 마사, 무명실 등의 불투명한 가는 선이나, 또는 낚시선 등의 투명선이 될 수 있다.
상기 지폐검증기는 상부베이스(10)와 하부베이스(12) 및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중 상부베이스(10)와 하부베이스(12)는 서로 접합되어 하나의 지폐투입구(14)를 형성하는데, 상기 지폐투입구(14)는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지폐(100)가 통과하는 지폐통로(16)를 형성한다. 상기 지폐통로(16)는 상부측면(161), 하부측면(162) 및 좌우 대칭되는 제 1 측면(163) 및 제 2 측면(164)을 구비한다. 상기 지폐통로(16)의 후단은 지폐(100)가 보관되는 저장장치(도면에 미도시)까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상부베이스(10)와 상기 하부베이스(12)에는 각각 서로 대칭하는 복수 개의 롤러부(18)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롤로부(18)는 상기 지폐삽입구(14)에 삽입되는 지폐(10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지폐(100)가 순조롭게 지폐통로(16)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20)는 레이저광원(22), 제 1 광센서(24), 제 2 광센서(26) 및 제 3 광센서(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이저광원(22)은 상기 지폐통로(16)의 상기 제 1 측면(163)에 위치하여, 나사에 의해 상기 하부베이스(12)에 고정되는데, 이물체를 탐지하는데 필요한 응집성 레이저 빔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 1 광센서(24)는 상기 지폐통로(16)에 장착되어 상기 레이저광원(22)의 상기 제 2 측면과 마주 보도록 형성되어,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을 수신하여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의 세기를 판단한다. 상기 제 2 광센서(26)는 상기 하부베이스(12), 즉 상기 지폐통로(16)의 하부측면(162)에 장착된다. 상기 제 3 광센서(50)는 상기 하부베이스(10), 즉 상기 지폐통로(16)의 상부측면(161)에 장착된다.
상기 제 2 광센서(26)는 투명상부덮개(262), 투경부(264) 및 회로판(265)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광센서칩(26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지폐통로(16) 중의 광속을 탐지한다. 상기 제 3 광센서(50)의 구조 및 그 구성은 상기 제 2 광센서(26)와 동일한데, 광센서(Photosensor), 선형 센서(linear sensor), 광 다이오드(Photo diode) 또는 접촉식 이미지 센서(Contact Image Sensor)가 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를 상부 및 측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상기 레이저광원(22)에서는 응집성 레이저 빔(30)이 나오게 되는데,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30)은 상기 지폐통로(16)를 통과하여 상기 제 1 광센서(24)까지 전송된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30)은 응집성 및 조준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장애물이 없는 상황에서는 상기 제 2 광센서(24)까지 직선으로 전송되어 분산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상기 제 2 광센서(26) 또는 제 3 광센서(50)는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30)을 탐지하지 못하데 된다.
실제 조작에 있어서, 사용자가 지폐투입구(14)에 지폐(100)를 삽입할 때, 지폐(100)는 상기 롤러부(18)의 가이드를 통해서 상기 지폐통로(16)를 통과하게 된다. 지폐(100)가 통과한 후, 만일 지폐통로(16)에 이물체가 없다면, 상기 제 1 광센서(22)는 일정한 광빔 강도를 탐지하게 되고, 상기 제 2 광센서(26) 또는 상기 제 3 광센서(50)는 어떠한 광빔도 탐지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만일 지폐(100)에 가는 선(40) 등 이물체가 붙어 있다면, 상기 지폐(100)는 상기 지폐통로(16)를 통과한 후, 상기 가는 선(40)이 상기 지폐통로(16) 중에 남아 있을 수 있고, 이때 상기 레이저광원(22)에서 나오는 응집성 레이저 빔(30)은 상기 가는 선(40)에 의해 방해를 받아, 상기 제 1 광센서(22)가 탐지하는 광빔의 강도는 약해질 수 있다.
한편, 가는 선(40)이 불투명할 경우,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30)은 반사, 굴절, 회절 또는 산란 중의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하부베이스(12)의 제 2 광센서(26) 및 상부베이스(10)의 제 3 광센서(50)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 제 1 광센서(24)가 탐지하는 광빔 강도가 약해지고, 상기 제 2 광센서(26) 및 제 3 광센서(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광빔이 탐지되었을 때에는, 상기 지폐통로(16) 중에 이물체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되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광센서(26)와 상기 제 3 광센서(50)가 동시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실제 실시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광센서(26) 및 상기 제3 광센서(50) 중 어느 하나만 장착되어도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의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로서 측면에서 본 설명도인데, 이를 참조한다. 제 2 실시예와 제 3 실시예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대동소이 하다. 다른 점은, 하나의 반사경(60)을 사용하여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30)의 경로를 변경하였다는 것인데, 본 발명에 따른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는 다른 종류의 기계 내에 장착되는 자동교환기에 응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의 제 4 실시예 및 제 5 실시예로서 측면에서 본 설명도인데, 이를 참조한다. 제 4 실시예와 제 5 실시예는 전술한 제 3 실시예와 대동소이 하다. 다른 점은, 두 개의 반사경(60)을 사용하여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30)의 경로를 변경하였다는 것인데, 상기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는 다른 종류의 기계 내에 장착되는 자동교환기에 응용될 수 있다. 상기 반사경(60)은 프리즘이 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의 제 6 실시예로서 상부에서 본 설명도인데, 이를 참조한다. 제 6 실시예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대 동소이 하다. 다른 점은, 상기 레이저광원(22)과 상기 제 1 광센서(24)가 모두 상기 제 1 측면(163)에 장착되어, 상기 제 2 측면(164)을 향해 응집성 레이저 빔(30)을 발사한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측면(164)에 안착되는 반사경(70)이 더 부가될 수 있는데, 상기 반사경은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30)을 수신하여,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30)을 상기 제 1 측면(163)에 반사한다. 상기 제 1 측면(163)에 장착되는 상기 제 1 광센서(24)는 상기 반사경에 의해 반사된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30)을 수신하여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30)의 강도를 판단한다. 상기 반사경(70)은 프리즘이 될 수 있다.
도 10,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의 제 7 실시예, 제 8 실시예 및 제 9 실시예에 대한 설명도인데, 이를 참조한다. 제 7 실시예, 제 8 실시예 및 제 9 실시예는 전술한 제 6 실시예와 대동소이 하다. 다른 점은, 별도의 하나 이상의 반사경(60)을 사용하여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30)의 경로를 변경하였다는 것인데, 본 발명에 따른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는 다른 종류의 기계 내에 장착되는 자동교환기에 응용될 수 있다. 상기 반사경(60)은 프리즘이 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에서는 응집성 레이저 빔(30)이 발사되는 레이저광원(22)이 이물체를 탐지하는 광원의 역할을 하는데, 하부베이스에 장착되는 제 2 광센서 또는 상부베이스에 장착되는 제 3 광센서를 통해서, 탐지되는 해상도를 효과적으로 높여 극히 미세한 가 는 선 등의 이물체 존재를 탐지하여, 진일보하게 지폐도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로서 든 실시형태에 불과한 것으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2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의 세부 분해도이다.
도 3은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를 상부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4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를 측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5는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를 측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6은 상기 제 3 실시예에 따른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를 측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7은 상기 제 4 실시예에 따른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를 측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8은 상기 제 5 실시예에 따른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를 측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9는 상기 제 6 실시예에 따른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를 상부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10은 상기 제 7 실시예에 따른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의 입체설 명도이다.
도 11은 상기 제 8 실시예에 따른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의 입체설명도이다.
도 12는 상기 제 9 실시예에 따른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의 입체설명도이다.
* 주요 구성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
10 : 상부베이스 12 : 하부베이스 14 : 지폐투입구
16 : 지폐통로 161 : 상부측면 162 : 하부측면
163 : 제 1 측면 164 : 제 2 측면 18 : 롤러부
100 : 지폐 20 :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
22 : 레이저광원 24 : 제 1 광센서 26 : 제 2 광센서
262 : 투명상부덮개 264 : 투경부 265 : 회로판
30 : 광속 40 : 가는 선 50 : 제 3 광센서
60 : 반사경 70 : 반사기

Claims (19)

  1. 지폐검증기에 장착되어, 상기 지폐검증기의 지폐통로(16) 내부에 이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지하는데 사용되는 이물체 탐지장치(20)로서, 상기 지폐통로(16)는 상부측면(161), 하부측면(162) 및 좌우 대칭되는 제 1 측면(163) 및 제 2 측면(164)을 구비하고,
    상기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20)는,
    상기 제 1 측면(163)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측면(164)을 향해서 응집성 레이저 빔(coherent laser beam)을 발사하는 레이저광원(22);
    상기 제 2 측면(164)에 위치하고,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을 수신하여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의 세기를 판단하는 제 1 광센서(24); 및
    상기 상부측면(161)과 하부측면(162)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고, 이물체가 상기 지폐통로(16) 내에 존재하여 상기 제 1 광센서(24)에 의해 수신되는 응집성 레이저 빔의 강도가 상기 이물체의 방해에 의해 약해지는 경우, 상기 이물체에 의해 반사되거나, 굴절되거나, 회절되거나 산란되는 응집성 레이저 빔의 일부분을 검출하는 제 2 광센서(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광센서(26)는 투경부(264) 및 회로판(265)에 장착되어 상기 투경부(264)를 통해서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의 일부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광센서칩(26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측면(161)과 하부측면(162) 중 상기 제 2 광센서가 장착되지 아니한 나머지 측면에 장착되는 제 3 광센서(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광센서(50)는 투경부(264) 및 회로판(265)에 장착되어 상기 투경부(264)를 통해서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의 일부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광센서칩(26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원(22)에서 나오는 응집성 레이저 빔은 반사경(60)의 반사를 통해 상기 제 2 측면(164)을 향해 발사되는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60)은 프리즘이 되는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센서(24)는 반사경(60)의 반사를 통해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을 수신하게 되는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60)은 프리즘이 되는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원(22)은 레이저 다이오드가 되는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
  10. 지폐검증기에 장착되어, 상기 지폐검증기의 지폐통로(16) 내부에 이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지하는데 사용되는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20)로서, 상기 지폐통로(16)는 상부측면(161), 하부측면(162) 및 좌우 대칭되는 제 1 측면(163) 및 제 2 측면(164)을 구비하고,
    상기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20)는,
    상기 제 1 측면(163)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측면(164)을 향해서 응집성 레이저 빔(coherent laser beam)을 발사하는 레이저광원(22);
    상기 제 2 측면(164)에 위치하고,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을 수신하여 상기 제 1 측면(163)에 반사하는 반사기(70);
    상기 제 1 측면(163)에 위치하여서, 상기 반사기(70)에서 반사된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을 수신하여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의 세기를 판단하는 제 1 광센서(24); 및
    상기 상부측면(161)과 하부측면(162)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여, 이물체가 상기 지폐통로(16) 내에 존재하여 상기 제 1 광센서(24)에 의해 수신되는 응집성 레이저 빔의 강도가 상기 이물체의 방해에 의해 약해지는 경우, 상기 이물체에 의해 반사되거나, 굴절되거나, 회절되거나 산란되는 응집성 레이저 빔의 일부분을 검출하는 제 2 광센서(26)를 포함하는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광센서(26)는 투경부(264) 및 회로판(265)에 장착되어 상기 투경부(264)를 통해서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의 일부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광센서칩(26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측면(161)과 하부측면(162) 중 상기 제 2 광센서가 장착되지 아니한 나머지 측면에 장착되는 제 3 광센서(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광센서(50)는 투경부(264) 및 회로판(265)에 장착되어 상기 투경부(264)를 통해서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의 일부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광센서칩(26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원(22)에서 나오는 응집성 레이저 빔은 반사경(60)의 반사를 통해 상기 제 2 측면(164)을 향해 발사되는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60)은 프리즘이 되는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센서(24)는 반사경(60)의 반사를 통해 상기 응집성 레이저 빔을 수신하게 되는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60)은 프리즘이 되는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원(22)은 레이저 다이오드가 되는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기(70)는 프리즘이 되는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
KR1020090049414A 2009-06-04 2009-06-04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 KR101080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414A KR101080475B1 (ko) 2009-06-04 2009-06-04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414A KR101080475B1 (ko) 2009-06-04 2009-06-04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742A KR20100130742A (ko) 2010-12-14
KR101080475B1 true KR101080475B1 (ko) 2011-11-04

Family

ID=43506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414A KR101080475B1 (ko) 2009-06-04 2009-06-04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4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755Y1 (ko) 2006-09-15 2008-06-30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이물질 감지장치를 구비한 지폐수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755Y1 (ko) 2006-09-15 2008-06-30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이물질 감지장치를 구비한 지폐수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742A (ko) 201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9674B2 (ja) 紙幣処理装置
US20060272921A1 (en) Banknote acceptor using ultraviolet ray for verification
CN101881840B (zh) 纸钞通道异物检测装置
US8684156B1 (en) Bill acceptor with bill passage anti-light pollution arrangement
JP6697267B2 (ja) 有価証書を処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
TWI403979B (zh) 紙鈔通道異物偵測裝置
US20030043365A1 (en) Optical media detection system
JP5083937B2 (ja) 紙幣処理装置
KR100220164B1 (ko) 지폐판별장치
US6441891B1 (en) System for detecting a foreign object attached to a bill passing through a bill validator
WO2006095899A1 (ja) 紙幣識別装置の紙幣挿入センサ装置
KR101080475B1 (ko) 지폐통로 내의 이물체 탐지장치
JPH1097663A (ja) 紙葉類識別装置
JP2014182752A (ja) 検出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EP2759987B1 (en) Bill acceptor with bill passage anti-light pollution arrangement
RU73091U1 (ru) Линзовый модуль
JP4926212B2 (ja) 紙幣通路異物検出装置
GB2441783A (en) Bill receiver with foreign matter detection device
GB2376788A (en) Bill validator having bill detection device
CN110379065B (zh) 纸币、票券鉴别光学器件、装置、设备和方法
JP2007034577A (ja) 紙幣識別装置
RU241248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постороннего предмета в купюроприемнике
JP3131773U (ja) レンズモジュール
JP2007140586A (ja) 金銭取扱い装置
JP5322313B2 (ja) 紙幣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