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915B1 - 식물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915B1
KR101079915B1 KR1020090015050A KR20090015050A KR101079915B1 KR 101079915 B1 KR101079915 B1 KR 101079915B1 KR 1020090015050 A KR1020090015050 A KR 1020090015050A KR 20090015050 A KR20090015050 A KR 20090015050A KR 101079915 B1 KR101079915 B1 KR 101079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mixed extract
weight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5973A (ko
Inventor
설장호
김동호
이영희
고재건
김동현
이호준
임남훈
김명화
양지산
전용석
김서환
유준석
박은경
박상희
정원순
이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데나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데나,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데나
Priority to KR1020090015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915B1/ko
Publication of KR20100095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3Bupleu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6Caryophyllaceae (Pink family), e.g. babysbreath or soap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누풀(Saponaria officinalis), 시호(Bupleurum komarovianum) 및 함초(Salicornia herbacea)의 혼합 추출물 및 이를 계면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계면활성력을 가지면서도 피부에 안전하고 피부 유연작용이 뛰어난 작용효과를 가진다.
비누풀, 시호, 함초, 천연계면활성제

Description

식물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xtract mixture of plants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천연계면활성제로 유용한 식물의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계면활성제는 계면에 흡착하여 계면의 자유에너지를 낮추어 계면의 성질을 현저히 변화시키는 물질로서, 한 분자내에 물과 친화성을 갖는 친수성기와 오일과 친유성기를 동시에 갖는 양 친매성 물질이다. 이는 크게 화학적으로 합성된 화학계면활성제와 천연유래의 천연계면활성제로 구분되며, 화학계면활성제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고분자계 계면활성제 등이 있고, 천연계면활성제에는 레시틴, 라놀린, 사포닌 및 미생물에서 추출되는 생계면활성제(biosurfactant) 등이 있다.
계면활성제는 그 구조에 따라 유화, 가용화, 분산, 세정, 소포, 기포, 대전방지, 보습, 살균, 윤활 등의 기능을 가지며, 세탁제, 유연제 뿐만 아니라 화장품, 식품, 의약품, 윤활유 등 여러 공업분야에서 이용된다. 특히, 화장품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화장품의 주성분으로 사용되며, 화장품 내 계면활성제의 기능은 세정 기능 (예컨대, 세안제, 모발 세정제, 신체 세정제 등에 사용됨), 유화제 기능 (예컨대, 크림, 로션 등에 사용됨), 가용화제 기능 (예컨대, 워터 베이스 제품에 향오일을 용해시킬 때 사용됨)이 있다.
화장료 분야에서 현재까지 많이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화학계면활성제이나, 이러한 화학계면활성제는 피부 자극이 크고 과다한 탈지성으로 각질층의 건조를 유발하여 피부를 거칠게 하며, 염증과 피부질환을 일으키는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최근 피부의 자극을 최소로 하는 천연계면활성제를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보고된 대부분의 천연계면활성제는 종류가 적고 대부분이 미생물 유래의 계면활성제이며, 화장품에 응용되는 예는 많지 않았다. 그 이유는, 생물유래 천연계면활성제를 화장품 분야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계면활성력이 우수한 동시에 성상이 안정하고 다른 원료와의 상용성이 좋으며 피부와의 친화성이 우수해야 하는데, 미생물 유래의 계면활성제들은 상기 모든 조건을 만족시키지는 못했기 때문이다.
그 예로 일본의 가오 화장품 회사(KAO Corp.)는 토룰롭시스속(Torulopsis sp.) 효모로부터 당지질계 계면활성제인 소포로리피드(sophorolipids) 및 그 유도체를 생산하여 생물유화제 및 피부 보습제로서 화장품에 실용화하고 있다. 바실루스 폴리믹사(Bacillus polymyxa)라는 박테리아에 의해 생산되는 생체고분자(Biopolymer)도 화장품 및 샴푸의 유효성분으로 이용되고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미합중국 특허 제 4,329,448호). 또한 아시네토박터 칼로아세티쿠스 CL(Acinetobacter calcoaceticus CL; KCTC 0081BP)로부터 분리한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화장료가 개발되어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5-0016701호).
이에, 식물 추출물로부터 천연계면활성성분을 얻고자 하는 연구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22907호에는 사포닌의 계면활성능 및 기포 생성능을 이용한 기술로서 한방성분인 산약 및 원지 추출물을 함유한 세정제가 개시된 바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51311호 에는 고려인삼, 맥문동, 천문동, 더덕, 감초, 도라지, 연명피, 지유, 죽절인삼, 대두 등에서 추출한 사포닌을 함유한 헤어폼 조성물이 개시된 바 있었다.
본 발명자들 역시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기 적합한 천연계면활성 성분을 찾기 위하여 다양한 천연재료들을 검색한 결과, 비누풀, 시호 및 함초의 혼합 추출물이 우수한 계면활성력을 나타냄을 발견하였다.
비누풀(Saponariaofficinalis)은 석죽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트리터팬, 수지, 점액, 식물스테롤, 비타민C, 소량의 휘발성 오일 등의 성분을 함유하며, 또한, 천연계면활성 성분인 사포닌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비누풀과 캐모마일 꽃으로부터 추출한 피부보습제에 대하여 개발된 바 있으나 (미국공개특허 제 05578312호), 비누풀 추출물의 계면활성력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 보고가 이루어진 바는 없었다.
시호(Bupleurumkomarovianum)는 산형목 미나리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식물전체에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뿌리와 씨에는 0.4~0.5%의 사포닌이 있는데 시호에서 분리되었다고 하여 시호사포닌(사이코사포닌)이라고 한다. 주성분은 시호사포닌a (35~40%), 시호사포닌-b (8%), 시호사포닌-c, 시호사포닌-d (각 25%)이 며, 이를 물분해하면 사이코게인 A~D가 생긴다. 뿌리에는 또한 α-스피나스테롤을 주성분으로 하는 스테롤과 기름이 있 존재한다. 꽃, 잎, 줄기에 플라보노이드인 쿠에르세틴, 이소람네틴, 루틴, 이소쿠에르시트린, 이소람네틴-3-루티노 시드, 에라틴등이 있다. 시호의 뿌리는 약재로 해열, 해독, 진통, 항염제 및 복통, 흉통, 학질, 늑막염, 생리통, 황달 및 간염 등에 사용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7764호는 시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각질형성세포 성장촉진 및 활성산소 소거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2-0005343호는 시호 및 도인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염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화장료를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2-0025464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1999-003847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1-0086948호는 각각 상황 및 시호 추출물을 조합하는 것에 의한 항암효과를 가지는 생약조성물, 항인풀루엔자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천연추출물 및 간암예방 및 치료용 의약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시호가 화장료 조성물로 개발된 경우는 적으며 특히, 시호의 계면활성력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은 이루어져 있지 않다.
함초(Salicornia herbacea : 퉁퉁마디)는 명아주과의 한해살이풀로, 비타민, 지방, 탄수화물, 단백질, 식이섬유와 나트륨, 칼슘, 칼륨, 철분의 무기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특히 함초에는 4종류의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다.
함초는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세포재생 및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작용을 하며 배변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함초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에 대한 연 구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4-0044745호는 보습, 항염, 항알러지 기능을 가지는 함초가 혼합된 미용팩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8-0035848호는 아토피, 무좀 등에 효과가 있는 피부개선 미용비누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92040호는 클렌징비누를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96052호는 미백, 보습 및 탈모예방에 효과가 있는 헤어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들은 함초의 계면활성력에 대한 것은 아니며, 함초 추출물의 계면활성력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비누풀, 시호 및 함초의 혼합 추출물이 우수한 계면활성력을 가짐과 동시에, 유화력 및 피부 유연효과가 뛰어나고, 피부와의 친화성이 우수하다는 점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계면활성 효과, 피부 유연효과 및 피부 안전성이 뛰어난 식물 혼합 추출물 및 이를 계면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비누풀, 시호 및 함초의 혼합 추출물, 및 이를 계면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안정성 및 피부 유연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화장수, 영양로션 또는 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세정제 등 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비누풀, 시호 및 함초의 혼합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혼합 추출물”은 2종 이상의 식물을 혼합한 후 추출하여 제조된 추출물 뿐만 아니라 2종 이상의 식물의 단일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누풀, 시호 및 함초의 혼합 추출물(이하,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라 함)은 각각의 식물로부터 단일 추출물을 제조한 후 혼합하거나, 각각의 식물을 혼합한 후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의 제조시 사용되는 추출용매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매로서,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의 제조시, 비누풀, 시호 및 함초의 전초를 사용할 수 있으며, 뿌리, 줄기, 잎 중 어느 특정 부위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누풀, 시호 및 함초는 당업계의 통상적 방법에 의해 입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비누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시호를 1 내지 10000 중량부, 함초를 1 내지 10000 중량부로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비누풀 100 중량부에 대해 시호를 10 내지 1000 중량부, 함초를 10 내지 1000 중량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우수한 계면활성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우수한 천연계면활성제로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피부 안정성 및 피부 유연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매우 유리하다.
본 발명은 또한 비누풀, 시호 및 함초의 상기 혼합 추출물을 계면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비누풀, 시호 및 함초의 혼합 추출물을 천연계면활성제로서 함유하기 때문에 화학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아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계면활성력 및 유화력을 가짐과 동시에 피부에 자극이 없어 안전하며, 우수한 피부 유연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 내 비누풀, 시호 및 함초의 혼합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5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1~10 중량% 이다. 0.1중량% 미만으로 사용시에는 그 효과가 미약하고 50중량% 초과로 사용시에는 그 효과가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로션 또는 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세정제 등 다양한 형태의 화장품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습제, 썬스크린제, 바디버터, 젤 크림, 고향수제품, 향수 크림, 베이비 케어 제품, 헤어 컨디셔너, 스킨 토닝 및 스킨 미백 제품, 데오도란트제품, 태닝제품, 클린저, 스크럽 제제, 색조 화장품, 컨디셔너, 샤워제품, 포밍 에멀젼, 메이크업 리무버 등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본 발명의 비누풀, 시호 및 함초의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식물 추출방법 및 화장료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건조되거나 또는 건조되지 않은 비누풀, 시호 및 함초를 세절하여 혼합한 후, 과량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당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온도와 압력 조건 하에서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비누풀, 시호 및 함초의 단일 추출물을 각각 제조한 후 이들 단일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추출용매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매이며,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비누풀, 시호 및 함초의 혼합 추출물을 계면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행하여지는 화장료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적으로 화장료에 이용되는 성분, 예컨대, 수성성분, 산화방지제, 자외선방 지제, 향료, 방부제, 미용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누풀, 시호 및 함초의 혼합 추출물을 계면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계면활성력을 나타냄과 동시에 피부 자극이 없어 피부에 매우 안전하고 우수한 피부 유연효과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내용은 실시예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화장료 첨가성분을 함유하여 하기의 실시예 이외의 화장료 조성물로도 제조 가능하다.
[실시예1] 비누풀, 시호 및 함초의 혼합 추출물의 제조
비누풀과 시호, 함초 각20g을 세절하여 혼합하고 정제수 540g을 가하여 10% 혼합용액이 되게 한 후 95℃에서 30분간 가열하여 추출하고 와트만 여과지(watman paper 5A)로 3회 여과하여 혼합 추출물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비누풀은 서울 소재 허브농장에서 구입하여 전초를 사용하였고, 시호는 경북 영천에서 채집한 것을 구입하여 뿌리를 사용하였고, 함초는 전라도 신안군에서 채취한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비교예1] 비누풀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비누풀 전초 50g을 세절하고 정제수 450g을 가하여 10% 비누풀 용액을 제조한 후 95℃에서 30분간 가열하여 추출하고 와트만 여과지(watman paper 5A)로 3회 여과하여 비누풀 추출물 용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2] 시호 추출물의 제조
비누풀 대신 시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비교예1과 같은 방법으로 10% 시호 추출물 용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3] 함초 추출물의 제조
비누풀 대신 함초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비교예1과 같은 방법으로 10% 함초 추출물 용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4] 비누풀 및 시호의 혼합 추출물 제조
비누풀 30g과 시호 3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10% 비누풀 및 시호의 혼합 추출물 용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5] 비누풀 및 함초의 혼합 추출물 제조
비누풀 30g과 과 함초 3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10% 비누풀 및 함초의 혼합 추출물 용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6] 시호 및 함초의 혼합 추출물 제조
시호 30g과 함초 3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10% 시호 및 함초의 혼합 추출물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6] 식물 혼합 추출물 함량에 따른 영양로션의 제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행하여지는 방법에 따라 하기 표1 에 기재된 조성으로, 실시예1에서 제조한 혼합 추출물을 5중량%, 4중량%, 3중량%, 2중량% 및 1중량%로 함유하는 영양로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6)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 중 정제수(15)에 프로필렌글리콜(9)과 실시예1 의 혼합 추출물(1)을 가하여 가열 혼합한 다음, 70℃로 승온 시켜 용액 A를 제조하였다. 미리 제조한 카르복실비닐폴리머 수용액(10)에 나머지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상기 용액 A에 첨가하여 균일하게 유화시키고 상온까지 냉각시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11174108-pat00001
[실시예 7]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로션의 제조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 대신 비교예 1 내지 3의 추출물 및 폴리솔베이트 20 (CRILLET-1TM, SEPPIC사 제조)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2 내지 6의 영양로션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7 내지 10의 영양로션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11174108-pat00002
[실시예8]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수의 제조
하기 표3 에 기재된 조성으로, 실시예1에서 제조한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하기 표3에 기재된 성분 중 성분 1 내지 10 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60℃로 가온하고 정제수(11)를 첨가하여 함량을 조정한 후 호모믹서로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11174108-pat00003
[실시예9]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의 제조
하기 표4 에 기재된 조성으로, 실시예1에서 제조한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하기 표 4에 기재된 성분 중, 먼저 정제수(16)와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1), 부틸렌 글리콜(13)을 혼합한 후 70℃의 온도로 승온 시켜 용액 A를 만들고 미리 제조한 카르복실비닐폴리머 수용액(12)과 나머지 성분을 가열 혼합한 후 상기 용액 A를 혼합 유화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11174108-pat00004
[실시예 10]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제의 제조
하기 표5 에 기재된 조성으로, 실시예1에서 제조한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제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적정량의 정제수(9)를 60℃로 가온하고, 하기 표5의 성분 2내지 5와 성분 8을 넣고 균일하게 분산 또는 용해한 후, 성분 1과 성분6의 함량을 조절하며 첨가하고 완전히 실온으로 냉각하여 세정제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11174108-pat00005
[실험예 1] 식물 추출물의 세포 증식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1 및 비교예 1 내지 3 에서 제조된 식물 추출물을 동결 건조하여 이의 건조분말을 제조한 후 건조분말을 이용하여, 각 식물 추출물의 세포 증식 효과를 확인하였다.
1) 실험방법
세포 독성을 알아보기 위해 세포 증식 효과 실험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배양하고 있는 세포(Fibroblast,3T3)를 96 웰 microplate에 5,000세포/웰로 분주하여 30분간 항온조에서 배양하고, 시료를 농도 별 각각 0.01, 0.05, 0.1, 0.3, 0.5, 1.0(%,W/V))로 투여하여 72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티아졸린 블루(Thiazoline blue)를 투여하고 4시간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모두 버리고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반응 정지액을 가하고 5분간 교반한 후,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주입량만큼 10 %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배지를 투여하여 세포 성장의 최적 조건으로 동시배양을 하였으며, 대조군의 세포증식을 100%로 하고 시료 투입 실험군의 세포 증식율을 계산하였다.
2) 실험결과
세포증식 효과는 하기 계산식1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1]
Figure 112009011174108-pat00006
Figure 112009011174108-pat00007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 성장 최적 조건에서의 세포 증식을 100%로 하였을 때, 실시예1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해 세포 증식 효과를 나타내었다. 세포 증식 효과가 있음은 혼합 추출물이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세포 증식효과 실험으로부터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세포독성이 없는 안전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실시예 1)은 비누풀, 시호, 함초 각각의 단일추출물인 비교예 1, 2, 3 보다 우수한 세포 증식율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식물 혼합 추출물의 계면활성 효과 확인
같은 농도의 실시예1의 혼합 추출물과 비교예 1 내지 6의 비누풀, 시호, 함초 추출물의 계면활성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표면장력을 표면장력측정기(KSV SIGMA 702)를 이용하여 Du Nouy Ring법으로 표면장력을 측정하여 표7에 나타내고, TWEEN20 과 비교하였다.
Figure 112009011174108-pat00008
표면장력 측정결과 실시예 1의 비누풀, 시호 및 함초의 혼합 추출물이 비교예 1 내지 3의 비누풀, 시호, 함초 각각의 단일 추출물 및 비교예 4 내지 6의 2종의 혼합 추출물보다 표면장력을 현저히 낮추어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비누풀, 시호, 함초 각각의 단일 추출물 및 2종의 혼합 추출물보다 효과적으로 표면장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우수한 계면활성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식물 혼합 추출물의 유화효과 확인
Soybean oil에 대하여 Kimmura method(Kimura D., 1975)를 변형하여 평가하였다. 눈금이 세겨진 15ml 용량의 Tube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식물 혼합 추출물, 상기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비누풀, 시호, 함초 각각의 단일 추출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TWEEN20, 천연계면활성제인 Sophorolipid를 동일농도(10%)로 조절하여 1.5ml 취하고 여기에 Soybean oil을 1.5ml 가하여 1600rpm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1~10시간동안 유화상의 부피를 측정하여 전체 부피에 대한 비율로 유화력을 표 8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11174108-pat00009
유화력 실험 결과 상기 실시예 1의 비누풀, 시호 및 함초의 혼합 추출물이 비교예 1 내지 3의 비누풀, 시호, 함초 각각의 단일 추출물 및 비교예 4 내지 6의 2종의 혼합 추출물보다 현저히 우수한 유화력을 나타냄이 확인되었고, 비이온계면활성제인 TWEEN20 보다 우수한 유화력을 나타냄이 확인되었다. 특히 시간 경과에 따른 유화 안정성은 TWEEN20보다 현저히 뛰어남이 확인되었다.
화장품 제조에 있어서, 유화제는 화장품 각각의 원료들을 혼합시키며 만들어진 화장품의 안정성과 피부 유연효과를 결정한다. 상기 실험결과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실시예1)은 화장품 제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화학계면활성제인 TWEEN20보다 우수한 유화력 및 유화력 유지효과를 나타내는바,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화장품 유화제로 사용되기 매우 적합함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4] 피부 안전성 효과 확인
피부 1차 자극성 시험 건강한 성인남녀 50명을 대상으로 하박부 안쪽에 실시예1의 식물 혼합 추출물 일정량(약 0.2그람)을 첩포 시험용 핀 챔버에 묻혀 48시간 첩포한 후 핀 챔버를 제거하고 30분 경과후 피부 변화상태를 육안 판정하였다. 판정기준에 따라 그 결과를 표9에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에 관한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판정기준)
Figure 112009011174108-pat00010
Figure 112009011174108-pat00011
자극시험 결과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은 피부에 대한 자극을 나타내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비교적 자극이 적어 현재 화장료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비이온계면활성제인 TWEEN20보다 피부에 안전하여, 화장료 제품에 계면활성성분으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절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화장료 안정성 확인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5중량%, 4중량%, 3중량%, 2중량% 및 1중량%로 함유하는 실시예 2 내지 6의 영양로션과, 화학계면활성제 1.5중량%를 함유하는 비교예10의 영양로션에 대하여 화장품으로서 온도별 변화에 따른 안정성을 조사하여 보존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10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11174108-pat00012
화장료의 보존안정성을 확인한 결과,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5중량%로 함유하는 영양로션(실시예 2)이 가장 좋은 보존력을 나타내었다. 특히, 45℃ 보관시 화학계면활성제인 비교예 10보다 우수한 보존력은 나타내었다. 비록, 화학계면활성제의 함량인 1.5중량%에 비해 5%의 다소 많은 양을 첨가하였지만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천연 식물 추출물임을 생각할 때 매우 우수한 보존안정성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피부에 대한 유연효과 확인
일반 정상피부의 건강한 성인남녀 5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2 및 비교예 7 내지 10의 영양로션 일정량을 20일간 사용한 후 사용감촉 및 피부유연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평가는 아래의 판단 기준으로 하였으며 실험수치가 4 이상인 것을 피부유연효과가 높은 것으로 하였다. 판정기준에 따라 판정결과를 표11에 나타내었다.
(판정기준)
Figure 112009011174108-pat00013
Figure 112009011174108-pat00014
상기 표11 의 실험결과와 같이, 상기 실시예 2의 영양크림이 비이온계면활성제인 폴리솔베이트 20을 함유하는 영양크림(비교예 10)에 비해 피부 감촉 및 유연효과가 더 우수하고, 비누풀, 시호, 함초 각각의 단일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 (비교예 7 내지 9) 보다 우수한 피부 감촉 및 유연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물 혼합 추출물이 단일 추출물에 비해 상승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식물 혼합 추출물의 피부 안전성 효과를 확인한 사진이다.

Claims (15)

  1. 비누풀, 시호 및 함초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계면활성제.
  2. 제1항에 있어서, 혼합 추출물이 비누풀, 시호 및 함초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천연계면활성제.
  3. 제1항에 있어서, 혼합 추출물이 비누풀, 시호 및 함초를 혼합한 후 추출하여 제조되는 천연계면활성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누풀 100 중량부에 대해 시호 1 내지 10000 중량부, 함초 1 내지 10000 중량부인 천연계면활성제.
  5. 제4항에 있어서, 비누풀 100 중량부에 대해 시호 10 내지 1000 중량부, 함초 10 내지 1000 중량부인 천연계면활성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혼합 추출물은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인 천연계면활성제.
  7. 비누풀, 시호 및 함초의 혼합 추출물을 계면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혼합 추출물은 비누풀, 시호 및 함초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혼합 추출물은 비누풀, 시호 및 함초를 혼합한 후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혼합 추출물은 비누풀 100 중량부에 대해 시호 1 내지 10000 중량부, 함초 1 내지 10000 중량부로 혼합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혼합 추출물은 비누풀 100 중량부에 대해 시호 10 내지 1000 중량부, 함초 10 내지 1000중량부로 혼합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12.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혼합 추출물은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3.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누풀, 시호 및 함초의 혼합 추출물을 0.1~50 중량%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비누풀, 시호 및 함초의 혼합 추출물을 1~10 중량%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15. 제7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이 화장수, 영양로션, 크림, 클린징크림 또는 세정료인 조성물.
KR1020090015050A 2009-02-23 2009-02-23 식물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79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050A KR101079915B1 (ko) 2009-02-23 2009-02-23 식물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050A KR101079915B1 (ko) 2009-02-23 2009-02-23 식물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973A KR20100095973A (ko) 2010-09-01
KR101079915B1 true KR101079915B1 (ko) 2011-11-04

Family

ID=43003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050A KR101079915B1 (ko) 2009-02-23 2009-02-23 식물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9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9700A (ko) 2015-11-23 2017-05-31 정한수 식물성분 추출물을 함유한 메이크업 제거용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18616A (zh) 2018-03-23 2021-01-12 玫琳凯有限公司 局部用组合物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8312A (en) 1993-05-05 1996-11-26 Parrinello; Vincene M. Skin care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moisture retention in skin
JP2004115410A (ja) 2002-09-25 2004-04-15 Ichimaru Pharcos Co Ltd 起泡剤又は化粧料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8312A (en) 1993-05-05 1996-11-26 Parrinello; Vincene M. Skin care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moisture retention in skin
JP2004115410A (ja) 2002-09-25 2004-04-15 Ichimaru Pharcos Co Ltd 起泡剤又は化粧料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9700A (ko) 2015-11-23 2017-05-31 정한수 식물성분 추출물을 함유한 메이크업 제거용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973A (ko) 201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69906A1 (en)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complex of herbal extracts
JP2006328024A (ja) 皮膚用外用剤
KR102428341B1 (ko) 비누풀, 유카, 퀼라야 추출물이 함유된 천연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79802A (ko) 현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외용제조성물
JP4685374B2 (ja) 皮膚外用剤
JP4136203B2 (ja) 皮膚外用剤組成物
KR101079915B1 (ko) 식물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0239146A (ja) 化粧料
JP5014343B2 (ja) ネマガリダケ含有組成物、保湿剤、細胞賦活剤、美白剤及び抗酸化剤
KR20170099098A (ko) 허브추출물을 포함한 클렌징 화장료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0161333B1 (ko) 녹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248116A (zh) 一种运用转相技术制备温和的天然滋润保湿霜
JP4105498B2 (ja) アトピー性疾患の症状の予防・緩和に有効な組成物
JP2004123661A (ja) 皮膚外用剤
JP2009249366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及び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JP3719951B2 (ja) 皮膚外用剤
JP2020094000A (ja) 皮膚外用剤
JP2004043345A (ja) 皮膚外用剤
JP5455634B2 (ja) 皮膚外用剤及び保湿剤
JP2009057309A (ja) 皮膚外用剤及び保湿剤
JP3608776B2 (ja) 皮膚外用剤
JP4004444B2 (ja) 皮膚外用剤
JP2003267851A (ja) 皮膚外用剤
JP2004137166A (ja) 皮膚外用剤、細胞賦活剤、抗酸化剤
JP3643785B2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