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138B1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138B1
KR101079138B1 KR1020100113226A KR20100113226A KR101079138B1 KR 101079138 B1 KR101079138 B1 KR 101079138B1 KR 1020100113226 A KR1020100113226 A KR 1020100113226A KR 20100113226 A KR20100113226 A KR 20100113226A KR 101079138 B1 KR101079138 B1 KR 101079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fixing
band
suppor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규연
Original Assignee
(주)하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운 filed Critical (주)하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05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용 쿠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히 차량 의자의 등받이에 간이로 착탈되고, 장착상태에서 밴드를 따라 승하강하는 받침수단을 통하여 성인의 등이나 허리 받침이 가능하고, 어린이의 목받침도 가능하며, 벨크로테이프를 통하여 탈부착되는 물품고정용 보조부재를 통하여 핸드백 등을 고정하여 차량 급정거시 의자에 놓인 물품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탄성을 갖는 밴드와 의자 등받이 사이에 노트북, 넷북 등의 물품을 끼워 역시 차량 급정거시 등의 경우 이탈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는 의자 등받이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고정수단; 의자 등받이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고정수단; 상기 상하 고정수단을 연결하는 밴드; 및 상기 밴드에 결합되어 상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는 받침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SIMPLE CUSHION IMPLEMENT FOR CHAIR}
본 발명은 의자용 쿠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히 차량 의자의 등받이에 간이로 착탈되고, 장착상태에서 밴드를 따라 승하강하는 받침수단을 통하여 성인의 등이나 허리 받침이 가능하고, 어린이의 목받침도 가능하며,
벨크로테이프를 통하여 탈부착되는 물품고정용 보조부재를 통하여 핸드백 등을 고정하여 차량 급정거시 의자에 놓인 물품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탄성을 갖는 밴드와 의자 등받이 사이에 노트북, 넷북 등의 물품을 끼워 역시 차량 급정거시 등의 경우 이탈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자, 특히 차량 의장(또는 시트)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착탈이 가능한 간이 쿠션 장치 중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제품은 주로 디자인에 중점을 둔 신제품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반면 문헌상으로는 쿠션 기능 조절이나 강화에 중점을 둔 기술이 끊임없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노기영의 실용신안등록 제0386944호(2005년06월07일) [자동차 시트용 보조쿠션]가 있는데,
상기 등록고안은 일측에 공기유출입용 마개가 구비된 공기 주머니 형태로 이루어진 쿠션 백 내부에 쿠션재가 삽입되어 공기유출입용 마개를 개방하면 공기가 유입되면서 쿠션재의 복원력에 의해 쿠션 백이 팽창되고, 공기유출입용 마개를 개방한 상태에서 쿠션 백을 압박하면 내부의 스펀지로 이루어진 쿠션재가 압축되면서 공기가 마개를 통해 배출되어 적정상태에서 유출입용 마개를 폐쇄시켜 체형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등록고안은 기성(또는 고정형) 쿠션이 아니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탈착이 가능한 간이 쿠션 장치의 기능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쿠션의 부피감 변화 뿐 아니라 체형에 따른 높이 조절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데 착안하지 못하여 있어 상업성에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 한규용의 특허 제0777808호(2007년11월13일) [흉추 지지를 위한 탈부착 가능한 의자용 등받이]가 있는데,
상기 특허는 의자에 앉아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나 사무를 보는 사무원 등의 등, 특히 날개 뼈 아래의 흉추를 받쳐 줌으로써 안정되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흉추 지지를 위한 탈부착 가능한 의자용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특허에 따른 등받이는 쿠션부재를 갖는 지지판의 상단부에 다수의 고정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어느 고정구멍에 헤드레스트의 고정핀을 끼우느냐에 따라 쿠션부재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그러나 고정구멍이 연속된 것이 아니어서 사용자의 체형이나 취향에 맞는 정밀한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하고, 장착이나 분리시 헤드레스트를 차량 시트에서 분리한 후 착탈을 하게 되므로 불편함이 크다.
한편, 주식회사 세원주방산업의 특허공개 제2010-0099001호(2010년09월10일) [목 지지장치]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교통 수단의 시트에 연결되어 있는 목 쿠션에 결합되는 목 지지장치로서,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목쿠션 장착공간에 상기 목 쿠션이 결합될 수 있는 높낮이 조절부, 상기 높낮이 조절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테두리부 일측에는 승객의 목이 안내될 수 있는 목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는 머리 지지대, 그리고 상기 높낮이 조절부 또는 머리 지지대 중의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있는 경추 받침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는 차량의 운행 특성이나 급정거 또는 충돌 상황을 고려하면 지지장치로 인한 인체 손상이 우려되므로 안전성 및 상업성을 충족시킴에 있어 큰 어려움이 예상된다.
나아가 주식회사 한샘의 등록실용신안 제0342434호(2004년02월06일) [상하조정 가능한 요추받이부가 구비된 의자]는 비록 차량 의자에 관한 것은 아니나,
요추받이부에 슬로트를 형성하여 등받이부와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맞추어 상하조정 가능한 요추받이부가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
의자 등받이를 천공하지 않으면 장착이 어려운 것이어서 모든 의자에 적용되는 범용적인 제품이 되기는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은 디자인 뿐 아니라 쿠션기능을 제공하고, 누구나 손쉽게 착탈할 수 있어 간이 쿠션장치에 적합하고, 받침수단을 이루는 지지체(쿠션)의 높이조절이 쉬워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체형이나 취향을 모두 충족할 수 있으며, 판매가격을 충분히 낮출 수 있어 필수 제품이 아닌 악세서리의 구매성향에 부합되므로 여러 모로 획기적인 상업성을 갖춘 의자용 간이 쿠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받침수단이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는 밴드를 탄성소재로 하여 밴드와 의자 등받이 사이에 노트북, 넷북 등의 물품을 끼워 역시 차량 급정거시 등의 경우 이탈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밴드의 상부고정수단을 바타입부재 및 이탈방지부재로 구성하여 착탈 편리성을 확보하고, 이에 더해 밴드의 하부고정수단을 특히 가죽이나 합성수지, 직물 등 가요성(可撓性) 소재로 구성하여 장착 상태의 지지력을 보장하면서 분리시 조금 강하게 당기면 쉽게 의자 등받이와 엉덩이받이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여 분리될 수 있어 착탈 용이성을 완벽하게 보장한 의자용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받침수단의 지지체 또는 밴드에 벨크로테이프를 통하여 탈부착되는 물품고정용 보조부재를 도입하여 핸드백 등의 물품을 고정하여 차량 급정거시 의자에 놓인 물품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완벽한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는
의자 등받이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고정수단;
의자 등받이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고정수단;
상기 상하 고정수단을 연결하는 밴드; 및
상기 밴드에 결합되어 상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는 받침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에서
상기 상부고정수단은 차량 의자 등받이 상부에 구비된 헤드레스트의 두 고정핀에 걸쳐지는 바타입부재를 포함하며,
아울러 상기 상부고정수단은 헤드레스트의 고정핀에 걸쳐지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에서
상기 하부고정수단은 차량 의자 등받이와 엉덩이받이 사이의 틈새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부재이고,
물품고정용 보조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는 디자인 뿐 아니라 쿠션기능을 제공하고, 누구나 손쉽게 착탈할 수 있어 간이 쿠션장치에 적합하고, 받침수단을 이루는 지지체(쿠션)의 높이조절이 쉬워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체형이나 취향을 모두 충족할 수 있으며, 판매가격을 충분히 낮출 수 있어 필수 제품이 아닌 악세서리의 구매성향에 부합되므로 여러 모로 획기적인 상업성을 갖추고 있고, 또 받침수단이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는 밴드를 탄성소재로 하여 밴드와 의자 등받이 사이에 노트북, 넷북 등의 물품을 끼워 역시 차량 급정거시 등의 경우 이탈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에 부합되고, 나아가 밴드의 상부고정수단을 바타입부재 및 이탈방지부재로 구성하여 착탈 편리성을 확보하고, 이에 더해 밴드의 하부고정수단을 특히 가죽이나 합성수지, 직물 등 가요성(可撓性) 소재로 구성하여 장착 상태의 지지력을 보장하면서 분리시 조금 강하게 당기면 쉽게 의자 등받이와 엉덩이받이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여 분리될 수 있어 착탈 용이성을 완벽하게 보장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받침수단의 지지체 또는 밴드에 벨크로테이프를 통하여 탈부착되는 물품고정용 보조부재를 도입하여 핸드백 등의 물품을 고정하여 차량 급정거시 의자에 놓인 물품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완벽한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에 부합되는 제품을 위한 기초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를 차량 의자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의 하부고정수단인 걸림부재를 의자의 등받이와 엉덩이받이의 틈새에 끼우는 방식과 분리하는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물품고정용 보조부재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다른 형태의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각각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P)는 크게 의자(C) 등받이(C1)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고정수단(10);
의자(C) 등받이(C1)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고정수단(20);
상기 상하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밴드(30); 및
상기 밴드에 결합되어 상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는 받침수단(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P)를 설명함에 있어 차량 의자(또는 시트)에 장착하는 사례를 위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쿠션 장치는 일반 의자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이므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 해석하여서는 안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쿠션' 장치는 다소 편의 및 광고홍보 효과를 의도한 명명으로, 사전적인 어의에 천착하여 단순히 탄력을 갖는 소재 또는 물성 등이나, 완충 작용 등의 기능적인 부분에 과도하게 집중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등, 허리, 목 등의 신체를 지지하는 '받침'수단을 대표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받침'기능을 하는 임의의 부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상기 상부고정수단(10)은 특히 차량 의자(C) 등받이(C1) 상부에 구비된 헤드레스트(C3)의 고정핀(C3a)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2 [B] 및 우측 일점 쇄선 원 내 평단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C3) 고정핀(C3a) 결합·고정을 위하여 상기 상부고정수단(10)은 헤드레스트의 두 고정핀에 걸쳐지는 바타입부재(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타입부재(11)는 특히 내부의 심봉(11a)과 이를 감싸는 외피(11b), 특히 고급스러운 느낌은 위한 천연 또는 인조 가죽 외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상부고정수단(10)은 상기 바타입부재(11)와 함께 또는 대체하여 도입될 수 있는 이탈방지부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재(13)는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타입부재(11)의 양단에 구비되어 헤드레스트(C3) 고정핀(C3a)의 각 측면과 접촉하는 걸림돌기(13A)일 수 있다(바타입부재(11)와 함께 사용하는 형태임). 특히 상기 걸림돌기(13A)는 제조 용이성을 위하여 바타입부재(11)의 외피(11b)를 연장하여 박음질한 구조이며, 상기 걸림돌기(13A)에는 또 어느 정도 무게감을 제공하는 웨이트(13a)가 구비되어 일부러 분리하지 않는 이상 일상적인 충격이나 압력에 의하여 바타입부재가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바타입부재걸림돌기(13A)의 내측에는 헤드레스트(C3) 고정핀(C3a)이 결합되는 안착홈(13b)이 요입 형성되어 있다.
또 바타입부재(11)와 함께 사용하거나 대체 사용될 수 있는 이탈방지부재(13)는 도 5 및 우측 일점 쇄선 원 내 평단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C3) 고정핀(C3a)에 걸쳐지는 후크(13B)일 수 있다(도면에서는 바타입부재와 후크 모두를 채용함).
다음으로 상기 하부고정수단(20)은 도 1 및 도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차량 의자(C) 등받이(C1)와 엉덩이받이(C2) 사이의 틈새(Ca)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부재(21), 특히 등받이 또는 엉덩이받이, 또는 이들 모두의 후면에 걸쳐지는 패널타입 걸림부재(21)일 수 있다.
특히 상기 패널타입 걸림부재(21)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30) 하단에 박음질된 천연 또는 인조 가죽으로, 밴드와 연결된 결합부(21A)와, 이 결합부 양측의 걸림부(21B)로 이루어진다.
또 하부고정수단(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이 벨트에 많이 사용되는, 밴드(30)가 박음질 결합된 중앙바(bar) 형태의 결합부(21a) 및 상하 바(bar)의 양단이 두 측면바(bar)에 의하여 중앙바(bar) 형태의 결합부(21a)에 함께 연결된 걸림부(21b)를 갖는 버클 타입의 걸림부재(21R)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두 타입의 걸림부재(21)(21R)는 대표도로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1A)(21a)를 축으로 걸림부재(21)(21R)를 회동하여 누여 일측 걸림부(21B)(21b)가 밴드(30) 일면과 접촉하게 한 상태로
걸림부재(21)(21R) 차량 의자(C) 등받이(C1)와 엉덩이받이(C2) 사이의 틈새(Ca)에 끼우기 쉬우며,
끼운 상태에서 밴드(30)를 당기거나 밴드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당겨지면 걸림부재(21)(21R)의 일측 걸림부(21B)(21b)가 단부가 등받이(C1)와 엉덩이받이(C2) 사이의 틈새(Ca)에 걸린 후
인력에 의하여 일측 걸림부(21B)(21b)가 틈새(Ca)와 인접 위치의 등받이(C1)(또는 엉덩이받이(C2)) 단부가 접촉하면서 결합부(21A)(21a)를 축으로 걸림부재(21)(21R)가 자연스럽게 선회하여 직립하는 것이 가능하여 쉽게 장착이 완료되고,
통상적인 인력(引力)으로는 걸림부재(21)(21R)가 틈새(Ca)를 통과하여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 상기 걸림부재(21)(21R)는 금속 등의 경질재료로 제작된 것이 아니라
가죽, 합성수지, 직물 등의 소재로 제조하여 장착 상태의 지지력을 충분히 보장하도록
어느 정도 경직성을 가지면서 외력을 가하면 변형이 가능하나 부러지지 않는
가요성(可撓性) 소재 내지 소프트소재로 제작하여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쿠션 장치(P)를 차량 의자에서 분리하는 경우 걸림부재(21)를 조작하지 않고 밴드(30)만을 좀 더 강한 힘으로 당기면 쉽게 의자(C)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대표도로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P)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분리를 위하여 밴드(30)를 조금 강하게 당기면
걸림부재(21)(21R)가 변형되면서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30)와 연결된 결합부(21A)를 축으로 양측 걸림부(21B)를 후퇴하는 형태로 변형)
쉽게 의자(C) 등받이(C1)와 엉덩이받이(C2) 사이의 틈새(Ca)를 벌리면서 빠져 분리될 수 있어 착탈 용이성을 완벽하게 보장할 수 있어,
경질 소재의 패널타입 걸림부재의 경우와 같이 일일이 사용자가 손을 투입하여 패널타입 걸림부재를 누이고 빼내지 않아도
쉽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장착 작업 뿐 아니라 분리작업 또한 편리해 진다.
필요에 따라 하부고정수단은 도 5의 좌측 중간 일점 쇄선 원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예로서
상기 밴드(30) 하단부에 패널타입이면서 회전형인 걸림부재(23)가 결합되어 있어
쿠션장치(P)를 의자(C)에서 반복적으로 분리하는 경우 걸림부재(23)가 특정방향으로 꺾이는 것이 반복되어 꺾임 상태가 굳어져 절곡 자국이 남아 외력을 가하지 않거나 작은 외력에도 접혀서
쿠션장치의 본래의 고정력이 보장되지 않고 작은 인력에도 분리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부재(23)의 선회보장을 위하여 상기 밴드(30) 하단부에는 원형 튜브(23a)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5의 좌측 하부 일점 쇄선 원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고정수단을 이루는 걸림부재는 패널타입이면서 회전형이고 교체형인 걸림부재(25)일 수 있다. 새로운 걸림부재(25)의 조립성을 위하여 상기 밴드(30)의 걸림부재의 하단부에는 억지끼움이 가능하도록 점감형 단부(31)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밴드(30)는 탄성(또는 신축성)을 가져, 등받이와 밴드 사이에 노트북(B2)(개략적인 측면도인 도 2 [B] 참조), 넷북 등의 물품을 끼워 고정하여 차량 급정거시 등의 경우 물품이 임의로, 강하게 이탈하여 외면이 손상되거나 작동이 안 될 정도까지 파손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받침수단(40)은 머리, 목, 등, 허리와 접촉하는 지지체(41)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지지체(41)는 필요에 따라 딱딱한 경질 소재일 수 있으나, 쿠션과 같이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량타입인 것이 좋다.
또 상기 지지체(41)는 외피 내에 옥 등의 원적외선 방사부재를 내장하거나, 외피에 기능성(원적외선 방사 등) 부재가 부착, 코팅, 함침되어 있거나,
외면에 지압 기능을 하는 돌기를 형성하거나,
내부에 공기 주입 및 배출이 가능한 노즐을 구비한 공기주머니를 내장하거나,
또 내부에 진동수단을 내장할 수 있다. 진동수단을 내장하는 경우 전원은 차량 배터리나 별도의 외부 배터리를 활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체(41)의 후면에는 상기 밴드가 끼워지는 가변성(상하 이동 보장성) 결합수단, 특히 고리부재(43)(도 1의 하부 일점쇄선 원 내 배면도 참조)가 구비되는데,
상기 고리부재는 무엇보다도 단가 경쟁력 및 내구성을 고려하여 지지체에 양단이 박음질 된 형태이다.
또 가변성 결합수단 내지 고리부재는 밴드(30)에 대하여 어느 정도 저항성을 가져 일정 정도의 외력이나 차량 주행시의 진동으로 인하여 설정된 위치에서 낙하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지지체(41)의 설정 높이를 고정하는 클램프 등의 고정수단이 도입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체(쿠션)(41)는 성인의 등이나 허리 받침이 가능하고, 어린이의 목받침도 가능하도록
쉽게 밴드(30)를 따라 높이조절이 쉽게 이루어지는 형태여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체형이나 취향을 모두 충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체(41)의 상면, 전면, 후면의 일부 또는 모두에는 물품고정용 보조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안적으로는 밴드(30)에 물품고정용 보조부재가 고정 배열될 수 있다.
또 물품고정용 보조부재는 제조 용이성과 사용 용이성을 고려하여 상기 물품고정용 보조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벨크로테이프에 의하여 지지체에 탈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품고정용 보조부재는 일단이 박음질 되어 고정부를 이루고 , 타단 일면(전면)에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도 4 및 도 4의 좌측 상부 일점 쇄선 원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품고정용 보조부재(50)는 물품, 예를 들어 핸드백 손잡이(B1)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보조부재(50)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보조부재(50)의 일단 고정부(51)는 지지체(41)의 후면 하부(또는 필요에 따라 상부)에 구비되고(박음질 방식),
보조부재(50)의 타단 일면(전면)에 구비된 벨크로테이프(53A)와 결합되는 대응 벨크로테이프(53B)는 지지체(41)의 후면 상부(또는 하부)에 구비되어 있어
핸드백 등의 물품을 건 상태에서 후크(hook)부와 루프(loop)부를 갖는 벨크로(Velcro)테이프(53A)(53B)를 상호 부착하여 물품의 고정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물품고정용 보조부재의 배열 형태로 인하여
상시적으로 받침수단(40)의 지지체(41) 전면에 보조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에 앉으면 이 보조부재에 등이 닿게 되어 이물감으로 인하여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보조부재(50)의 타단 일면(전면) 벨크로테이프(53A)는 루프(loop)부여서 사용자의 옷 등의 외부품이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4의 좌측 중간 일점 쇄선 원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안적으로 지지체(41)에 고정부(51)를 구비한 물품고정용 보조부재(50)는
일면(전면) 상부에 별도의 벨크로테이프(53C)(예: 후크 타입)를 구비하고 있어
일면(전면) 하부의 벨크로테이프(53A)(예: 루프 타입)의 부착이 가능하여
보조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두 벨크로테이프(53A)(53C)를 상호 부착하여 깔끔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 도 4의 하부 일점 쇄선 원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고정용 보조부재(50R)는
고정부(51a)가 밴드(30)에 박음질 등의 형태로 고정된 형태를 취하고,
보조부재(50R)의 일면(전면) 하부에 구비된 벨크로테이프(53a)(예: 루프 타입)는 보조부재의 일면 상부에 구비된 대응 벨크로테이프(53b)(예: 후크 타입)에 결합되어 물품 고정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부재(50R)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벨크로테이프(53a)(53b)를 상호 부착하여 정리할 수 있다.
또 상기 변형된 물품고정용 보조부재(50R)에서 대응 벨크로테이프(53b)는 필요에 따라 밴드(30)에 결합 배열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물품고정용 보조부재를 통하여 차량 급정거시 등의 비상시 핸드백 등의 물품이 의자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물품고정용 보조부재는 필요에 따라 탄성을 갖는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차량, 의자, 헤드레스트 구조, 쿠션 장치의 소재 및 치수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 쿠션장치 10: 상부고정수단
11: 바타입부재 13: 이탈방지부재
20: 하부고정수단 21,23,25: 걸림부재
21A,21a: 결합부 21B,21b: 걸림부
30: 밴드 40: 받침수단
41: 지지체 43: 고리부재
50,50a: 물품고정용 보조부재 51,51a:고정부
53A,53B,53a,53b: 벨크로테이프
C: 의자 C1: 등받이
C2: 엉덩이받이 Ca: 틈새
C3: 헤드레스트 C3a: 고정핀

Claims (4)

  1. 의자(C) 등받이(C1)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고정수단(10); 의자(C) 등받이(C1)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고정수단(20); 상기 상하부 고정수단(10)(20)을 연결하고 탄성을 갖는 밴드(30); 및 상기 밴드(30)에 결합되어 상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는 받침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고정수단(20)은 차량 의자 등받이(C1)와 엉덩이받이(C2) 사이의 틈새에 끼워져 걸리는 소프트소재로 이루어진 걸림부재(21)로, 쿠션 장치(P)를 차량 의자에서 분리하는 경우 밴드(30)를 당기면 밴드(30)와 연결된 걸림부재(21)의 결합부(21A)를 축으로 양측 걸림부(21B)를 후퇴하는 형태로 변형되면서 의자(C) 등받이(C1)와 엉덩이받이(C2) 사이의 틈새(Ca)를 벌리면서 빠져 분리될 수 있어 착탈 용이성이 보장되고,

    상기 상부고정수단(10)은 차량 의자 등받이(C1) 상부에 구비된 헤드레스트(C3)의 두 고정핀(C3a)에 걸쳐지고 내부의 심봉(11a)과 이를 감싸는 외피(11b)로 이루어진 바타입부재(11)와, 헤드레스트(C3)의 고정핀(C3A)에 걸쳐지는 이탈방지부재(13)를 포함하되,
    상기 이탈방지부재(13)는 상기 바타입부재(11)의 외피(11b)를 연장하여 박음질한 구조를 갖는 걸림돌기(13A)와 헤드레스트(C3) 고정핀(C3a)에 걸쳐지는 후크(13B)이고, 상기 걸림돌기(13A)에는 웨이트(13a)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걸림돌기(13A)의 내측에는 헤드레스트(C3) 고정핀(C3a)이 결합되는 안착홈(13b)이 요입 형성되어 있으며,
    물품고정용 보조부재(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수단(40)은 지지체(41)를 포함하되, 상기 물품고정용 보조부재(50)의 일단 고정부(51)는 상기 지지체(41)의 후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보조부재(50)의 타단 전면에 구비되고 루프(loop)부를 이루는 벨크로테이프(53A)는 상기 지지체 후면에 구비되고 후크(hook)부를 이루는 벨크로테이프(53B) 또는 보조부재(50) 자체의 전면 상부에 구비된 후크(hook) 타입 벨크로테이프(53C)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00113226A 2010-11-05 2010-11-15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 KR101079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09906 2010-11-05
KR1020100109906 2010-1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9138B1 true KR101079138B1 (ko) 2011-11-03

Family

ID=453970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226A KR101079138B1 (ko) 2010-11-05 2010-11-15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
KR1020110069694A KR20120048466A (ko) 2010-11-05 2011-07-14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694A KR20120048466A (ko) 2010-11-05 2011-07-14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0791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579B1 (ko) * 2022-03-23 2023-08-01 정동출 인체견인용 보조의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929B1 (ko) * 2002-08-22 2004-05-28 하동호 자동차용 시트커버
KR200436650Y1 (ko) * 2006-11-03 2007-09-18 변재천 자동차 헤드 레스트 장착용 시트커버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929B1 (ko) * 2002-08-22 2004-05-28 하동호 자동차용 시트커버
KR200436650Y1 (ko) * 2006-11-03 2007-09-18 변재천 자동차 헤드 레스트 장착용 시트커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466A (ko) 201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8231B2 (ja) 旅行用枕
EP1968412B1 (en) A combination carrier unit and head support apparatus
RU253214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вышения комфорта в поездках
US7575136B2 (en) Child carrier belt
US20110225736A1 (en) Sleepy head's/neck pillow invention
CN113812806A (zh) 具有多个承载取向的可调节儿童载具
US9119484B2 (en) Travel lap seat for a child and a method for its use
KR101079138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간이 다목적 쿠션 장치
WO2018226103A1 (en) Back rest to be used with seat or chair
CN202782785U (zh) 用于汽车座椅的座椅垫
CN205674905U (zh) 一种便携式儿童安全座椅
KR101404242B1 (ko) 튜브형 목 받침부를 갖는 모자
JP6254521B2 (ja) 体幹サポートクッション
CN109278604A (zh) 一种推车式安全座椅及其转换为背包或汽车安全座椅的方法
CN102764002A (zh) 一种儿童背袋
KR200299810Y1 (ko)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JP3091897U (ja) 自動車のシート枕
KR101333564B1 (ko) 목보호용 쿠션
JP3229713U (ja) 座部を備えた鞄
CN209058524U (zh) 一种便携式儿童增高椅
CN208801953U (zh) 汽车座椅和汽车
CN207089234U (zh) 用于调整座椅安全带适用于儿童的设备
JP3213646U (ja) ミニクッション
KR200269135Y1 (ko) 자동차용 시트커버
AU2015257322A1 (en) A safety device for use with a safety har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