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8306B1 - 나토균 배양물과 버섯균 배양물이 포함된 혈전 용해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나토균 배양물과 버섯균 배양물이 포함된 혈전 용해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8306B1
KR101078306B1 KR1020090033542A KR20090033542A KR101078306B1 KR 101078306 B1 KR101078306 B1 KR 101078306B1 KR 1020090033542 A KR1020090033542 A KR 1020090033542A KR 20090033542 A KR20090033542 A KR 20090033542A KR 101078306 B1 KR101078306 B1 KR 101078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e
nkcp
mushroom
concentrate
thromboly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5043A (ko
Inventor
김정옥
하영래
박철우
변재일
김영숙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케이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케이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에이치케이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90033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306B1/ko
Publication of KR20100115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3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2Spore-forming bacteria, e.g. Bacillus coagulans, Bacillus subtilis, clostridium or Lactobacillus sporoge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Abstract

본 발명은 나토균(Bacillus subtilis natto) 배양물과 버섯균 배양물이 포함된 혈전 용해용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종래에는 나토키나아제(Nattokinase) 효소가 혈전용해능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나토균을 배양시킨 배양물과 버섯균을 배양시킨 배양물을 혼합하여 종래보다 현저히 우수한 혈전 용해 기능을 가지는 조성물로 제조한 것이 특징이다.
나토균, 버섯균, 혈전용해

Description

나토균 배양물과 버섯균 배양물이 포함된 혈전 용해용 조성물{Fibrinolytic Composition Having Culture Of Bacillus Subtilis Natto And Mushroom Fungi}
본 발명은 혈전용해능(fibrinolytic activity)을 가지는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특히 나토균(Bacillus subtilis natto) 배양물과 버섯균 배양물이 포함된 혈전 용해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며, 특별히 버섯균 배양물에 의해 나토균의 혈전용해능을 현저히 우수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혈관 속에서 혈전(혈관 속에서 피가 굳어서 된 조그마한 핏덩이)의 생성은 혈액의 유동성을 나쁘게 하고, 혈압 상승, 뇌졸증 등 심혈관계 질병의 증세로 나타나게되는데, 지방함량이 높은 식사를 많이하는 현대인에게는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혈전증(thrombosis) 및 동맥경화증(artherosclerosis)은 과다한 혈소판 응집과 혈액응고 및 혈중 지질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며 고혈압 및 흡연도 동맥경화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생체 내에서 혈액은 응고와 용해작용이 항상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정상적으로 순환하고 있는 동안 생성된 혈전은 즉시 분해된다[Arbige and Pitcher, 1989]. 혈전은 생체에 상처가 생길 때 혈액 구성분인 fibrinogen이 thrombin에 의해 fibrin으로 전환되어 불용성의 중합체를 형성함으로써 생성된다. 혈전이 정맥에서 생성되면 혈액순환장애가 야기되어 부종이나 염증이 발생하지만, 동맥에서 발생하면 허혈이나 경색을 유발하여 동맥경화, 심근경색증, 뇌졸중 및 폐동맥 색전증 등의 심혈관계 질환을 초래하게 된다[Grande 등 1990; Ruggeri and Zimmerman 1985; Sherman and Hart 1986; Shin 등 2007].
혈전형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항혈전제(anti-coagulants)가 필요하고 형성된 혈전의 경우에는 혈전을 용해하여 혈전을 치료하는 혈전용해제(fibrin clot disintegrator)가 필요하다[Sherman and Hart, 1986]. 혈전용해제는 혈전용해효소와 plasminogen activator(PA)로 분류된다. PA는 혈액 중의 plasminogen에 작용하여 plasmin을 생성하고, plasmin에는 urokinase (UK) [Toki 등, 1985], streptokinase [Fletcher and Johnson, 1957; Lijnen 등, 1992], staphylokinase [Lijnen 등, 1992], nattokinase (NK) [Sumi 등, 1990], tissue type plasminogen activator (tPA) [Astrup and Sterndorff, 1956] 등이 포함된다.
나토키나제는 일종의 microbial serine protease로서 경구 투여 시 체내에 흡수되어 plasminogen activator로 작용하여 plasminogen을 plasmin으로 전환시키고, 이 plamin이 응고혈액의 fibrin을 용해시켜 fibrinolytic activity을 갖는다[Kim, 2002; Sumi 1990; Yang 2000; Yong 등 2005]. 나토키나제는 in vitro에서 직접적으로 closs-linked fibrin을 분해 할 뿐 아니라 tPA 생성을 촉진하며 tPA의 상대적 비에 의해 총 혈전용해능을 조절하고 혈전용해(fibrin clot lysis)의 1차 저해제인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AI-1)의 불활성과 분해를 통하여 혈전용해를 강화시킨다[Fujita 등 1995; Urano 등 2001].
혈전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heparin, qumarin, asprin UK 등의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혈전용해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고가일 뿐 아니라 출혈성 부작용과 위장장해 및 과민성 반응, 비경구투여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사용이 한정되고 있다[Gwak and Chun, 2000; Lee 등, 2002; Sohn 등, 2005; Sumi 등, 1989; Weitz and Crowther, 2002].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장기복용시에도 부작용이 없는 소재인 Bacillus sp. 유래 혈전용해효소의 특성에 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두를 볏짚과 함께 자연발효 (30-40C) 시키면, 투명한 점질물질을 생성하는 발효균이 서식을 하는데, 이것이 바로 바실러스 나토(Bacillus subtilis natto)균이다. ATCC에 등재된 Bacillus subtilis natto균은 7종이 등록되어있으며, 그 외에도 자연발효에서 분리하여 보고된 다양한 균주가 있다. 한국에서는 청국장으로 일본에서는 나토로 오랫동안 식품으로 사용되어왔으며, 최근에는 건강증진의 목적으로 동양인 뿐만 아니라, 미국등 서양에서도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고 있으며 FDA의 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물질로서 등록되어 있다.
이러한 나토균이 갖는 여러 가지 생리활성 기능중 혈전용해 작용은 이미 여러 연구자료로부터 밝혀진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나토균을 이용하여 기능성 식품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나토균에 의한 혈전용해능은 미흡하였고, 이에 따라 나토균을 이용하여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나토균을 처리하고 가공하는 다양한 방법과, 상기 나토균에 의한 혈전용해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다른 방법에 대한 필요성 역시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나토균의 혈전용해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나토균과 함께 버섯균을 포함함으로서, 상기 버섯균에 의해 나토균의 혈전 용해능을 현저히 우수하게 증가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나토균을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나토균을 처리하고 가공하는 특정한 방법에 의해, 기능성 식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간단하고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분말형 조성물로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나토(natto)균 배양물과 버섯균 배양물이 포함된 혈전 용해용 조성물이다.
여기서, 상기 나토균 배양물은 바실러스 나토(Bacillus subtilis natto)균이 배양된 배양물인 것이 가능하고, 상기 버섯균 배양물은 버섯균사체가 배양된 배양물일 수 있다. 특히, 다양한 버섯균 중에서도 아가리쿠스버섯( Agaricus blazei),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표고버섯(Lentinus edodes) 또는 운지버섯(Coriolus versicolor)을 이용한 균사체의 배양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나토균 또는 나토키나제의 혈전용해 활성(Fibrinolytic activity)을 더욱 증진시키고자, 나토균에 버섯균을 혼합하였으며, 이렇게 혼합된 혼합물은 나토균만을 포함하는 것보다 현저히 우수한 혈전용해 활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한 후,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별히, 나토균과 버섯균은 이것들을 각각 배양시킨 배양물로 준비한 후 혼합함으로서, 간단하고 용이하게 혼합 조성물을 제조함과 동시에 2성분간의 시너지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 나토균 배양물과 버섯균 배양물은, 100 : 1~2의 중량비로 포함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나토균 배양물의 혈전용해활성을 증진시키기 부족하거나, 더 포함하더라도 상기 혈전용해 활성이 크게 증가하지 않기 때문이다.
나아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조성물은 나토균 배양물과 버섯균사체 배양물 각각을 농축액 상태로 조제한 다음, 이것의 혼합물을 spray dry하여 분말로 제조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나토균 배양물과 버섯균 배양물 각각을 농축시킨 후 분말화한 분말가루로 준비함으로서, 기능성 식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상기 기능성 식품의 섭취시에도 그 효과를 빠르게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혈전 용해용 조성물은 나토균과 함께 버섯균을 포함함으로서, 상기 버섯균에 의해 나토균의 혈전 용해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상기 나토균과 버섯균을 각각 배양시킨 배양물을 이용하고, 여기에 더하여 상기 배양물을 농축시킨 농축액을 분말화함으로서, 기능성 식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간단하고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분말형 조성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 많은 버섯 중에서도, 아가리쿠스버섯( Agaricus blazei),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표고버섯(Lentinus edodes) 또는 운지버섯(Coriolus versicolor)의 균사체를 이용하는 경우, 나토균의 혈전 용해능을 더욱 현저히 우수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 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 분말의 제조
(1)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Nattokinase concentrate; NKC)의 제조
탈지 대두분과(5%)와 말토스(1%)를 함유하는 살균된 액체배지(121C, 1시간)를 이용하여,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로부터 입수한 나토균(Bacillus subtilis natto)을 5L용 배양기(Kobiotech, Co., Inchen, Korea)에서 48시간 동안 배양(30℃)하고, 이것을 여과한 후 Fibrinolytic activity가 5,000U/ml이상 되도록 농축하였다. 구체적인 과정은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 1 :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의 제조 과정]
제 조 공 정
공 정 비 고
배양기 (5KL)에 배지 원료투입 배지성분 : 탈지대두분 5%, 말토스 1%
배지멸균 멸균온도와 시간 : 121C, 1시간
배지 냉각 냉각온도 : 25℃
Seed 배양액 접종 균주 : Bacillus subtilis natto KCCM12027
배양 배양온도 : 30℃, 배양시간 : 48시간
여과 Filter pore size : 0.8um
농축 Fibrinolytic activity : 5,000U/ml이상
(2)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의 분말화
상기 농축된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에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혼합함으로서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제일기공, J-004)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버섯균사체 배양추출물 농축액(Brix 30)의 분말 제조
1) 배지 조제
탈지대두분 (20g), 황백당 20 g, MgSO4 0.5 g, KH2PO4 0.5 g을 물 1L에 혼합한 다음, 121℃에서 30분간 살균하여 액체배지로 사용하였다.
2) 배양
상기 액체배지에 하기 [표 2]의 버섯균을 각각 접종한 다음 5일간 배양하였다(배양조건: 25C, 1v/v/m airation).
[표 2 : 버섯균주의 종류]
약칭 보통명 학명
AB 아가리쿠스버섯 Agaricus blazei
PO 느타리버섯 Pleurotus ostreatus
GL 영지버섯 Ganoderma lucidum
LE 표고버섯 Lentinus edodes
PJ 동충하초 Paecilomyces japonicus
PL 상황버섯 Phellinus linteus
GF 잎새버섯 Grifola frondosa
CV 운지버섯 Coriolus versicolor
3) 버섯균사체 배양추출물 농축액(Brix 30)의 제조
상기 배양한 배양물을 121C에서 1시간 동안 고압 추출한 다음, 여과 (membrane filter pore size 0.8um) 한 것을 Brix 30으로 농축하였다.
4) 버섯균사체 배양추출물 농축액(Brix 30)의 분말화
상기 농축한 버섯균사체 배양추출물 농축액(Brix 30)에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제일기공, J-004) 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나토균 배양물과 버섯균사체 배양물의 혼합 분말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나토균 배양물(100kg)에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버섯균사체 배양물 농축액(Brix 30) 1kg을 혼합한 다음, 이들 혼합물에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제일기공, J-004)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혈전용해활성의 측정
1) 실험내용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시료, 즉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을 분말화한 시료(NKCP)와,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시료, 즉 버섯균사체 액체배양 추출 농축액(Brix 30)을 분말화한 시료(AB, PO, GL, LE, PJ, PL, GF, CV)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시료, 즉 나토균 배양물 농축물과 버섯균사체배양추출물 농축액의 혼합물(NKF; NKCP-AB, NKCP-PO, NKCP-GL, NKCP-LE, NKCP-PJ, NKCP-PL, NKCP-GF, NKCP-CV) 을 분말화한 시료의 혈전용해활성 증진 효과를 실험하였다.
2) 혈전용해활성의 측정 방법
상기 분말로 제조된 각 시료의 혈전용해 활성은 Astrup과 Mullertz (1952)의 방법을 변형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시험용액의 조제
* Sodium borate buffer 용액조제 : 50mM Sodium borate 용액 [sodium tetraborate decahydride 19.07g/L] 과 0.2M Boric acid [Boric acid 12.366g/L]를 각각 조제한 다음, 50mM Sodium borate 용액과 0.2M Boric acid을 1:4의 비율로 혼합한다.
* 0.2M Trichloroacetic acid (TCA) 용액조제 : 32.678g의 Trichloroacetic acid (TCA)를 1L의 증류수에 정용한다.
* Thrombin 용액조제 : Thrombin (1,039 NIH units; Sigma-Aldrich, T1063-1KU)에 Sodium borate buffer 용액 51.95㎖을 넣고 녹인 다음 (20unit/ml), 0.4㎖ 씩 E-tube에 분주한다.
* 0.5% Fibrinogen 용액조제 : Fibrinogen 12.5mg (Fluka no. 46313; 순도 64%)에 Sodium borate buffer 용액 1.6㎖을 넣고 완전히 혼합한다.
* Fibrin 혼합제 제조 : E-tube (2ml용량)에 Thrombin 용액 25㎕, 0.5% Fibrinogen 용액 100㎕, 그리고 Sodium borate buffer 용액 150㎕를 넣고 혼합한 다음, 뚜껑을 닫은 후 37℃에서 10분간 방치함. 이때, 1개의 시료를 분석하기위해서는 시료 3반복과 blank를 포함해서 4개의 E-tube가 준비한다.
혈전용해활성 측정
① 상기 Fibrin 혼합제에 sodium borate buffer 용액 200㎕를 첨가하고 교반 후 5-15분간 실온에서 방치한다.
② 시료 1g을 100㎖의 sodium borate buffer 용액에 희석한 용액 25㎕를 Fibrin 혼합제 희석액에 첨가하여 교반한다.
③ 37℃에서 30분간 방치한 다음, 5초간 교반한다.
④ 37℃에서 30분 동안 다시 방치한다.
⑤ 각각의 E-tube에 0.2M TCA 0.5㎖을 첨가하여 가볍게 섞어서 반응을 중단한다.
⑥ 실온에 20분간 방치한다.
⑦ 원심분리 (15,000rpm, 10분)한다.
⑧ 상층액의 흡광도 측정 (275nm)한다.
⑨ 다음의 계산식에 의해 효소활성을 계산한다.
혈전용해활성도 (U/㎖) =
Figure 112009023287612-pat00001
At : 시료의 흡광r값 (275nm)
Ab : 시료를 넣지 않고 나머지는 모두 동일하게 제조한 공시험 시료 (blank)의 흡광값
0.01 : 1분간 흡광도가 0.01 증가한 효소의 활성
60 : 효소반응시간 (분)
1/0.1 에서 1 : 반응액 총량, 0.1 : 반응액중의 fibrinogen함량
D : 희석배수
3) 실험결과
상기와 같이 측정된 결과는 하기 [표 3] 내지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다. 즉, 버섯균사체 배양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나토균 배양물의 혈전용해효능 증진효과는 버섯의 품종별로 차이가있었다.
특별히, 본 실험예에서 사용한 균주중 아가리쿠스버섯, 느타리버섯, 영지버섯, 표고버섯, 운지버섯은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만을 분말화한 시료 (NKCP)에 비해 유의적인 증진효과를 보였다 .
[표 3: 아가리쿠스버섯균사체 추출물의 첨가가 나토균배양물의 혈전용해효능 증진효과]
구분1) 혈전용해 활성2)
(Fibrinolytic activity)
NKCP 17,022 ± 385b 3)
AB 4,722 ± 51c
NKCP-AB 23,132 ± 415a
1) NKCP :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AB : 아가리쿠스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NKCP-AB :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 (100kg)에 아가리쿠스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 1kg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2) 5롯트 시료를 3반복 분석한 결과의 평균치임
3) 통계처리: Duncan의 다중검정에 의한 0.05% 유의차 (서로 다른 영어 소문자는 유의성 있음)
[표 4 : 느타리버섯균사체 추출물의 첨가가 나토균배양물의 혈전용해효능 증진효과]
구분1) 혈전용해 활성2)
(Fibrinolytic activity)
NKCP 17,022 ± 385b 3)
PO 4,080 ± 43c
NKCP-PO 22,233 ± 348a
1) NKCP :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PO : 느타리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NKCP-AB :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 (100kg)에 느타리 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 1kg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2) 5롯트 시료를 3반복 분석한 결과의 평균치임
3) 통계처리: Duncan의 다중검정에 의한 0.05% 유의차 (서로 다른 영어 소문자는 유의성 있음)
[표 5 : 영지버섯균사체 추출물의 첨가가 나토균배양물의 혈전용해효능 증진효과]
구분1) 혈전용해 활성2)
(Fibrinolytic activity)
NKCP 17,022 ± 385b 3)
GL 3,162 ± 74c
NKCP-GL 22,893 ± 521a
1) NKCP :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GL : 영지버섯 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NKCP-GL :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 (100kg)에 영지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 1kg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2) 5롯트 시료를 3반복 분석한 결과의 평균치임
3) 통계처리: Duncan의 다중검정에 의한 0.05% 유의차 (서로 다른 영어 소문자는 유의성 있음)
[표 6 : 표고버섯균사체 추출물의 첨가가 나토균배양물의 혈전용해효능 증진효과]
구분1) 혈전용해 활성2)
(Fibrinolytic activity)
NKCP 17,022 ± 385b 3)
LE 3,583 ± 92c
NKCP-LE 21,552 ± 327a
1) NKCP :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LE : 표고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NKCP-LE :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 (100kg)에 표고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 1kg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2) 5롯트 시료를 3반복 분석한 결과의 평균치임
3) 통계처리: Duncan의 다중검정에 의한 0.05% 유의차 (서로 다른 영어 소문자는 유의성 있음)
[표 7 : 동충하초버섯균사체 추출물의 첨가가 나토균배양물의 혈전용해효능 증진효과]
구분1) 혈전용해 활성2)
(Fibrinolytic activity)
NKCP 17,022 ± 385a 3)
PJ 1,984 ± 82b
NKCP-PJ 17,433 ± 593a
1) NKCP :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PJ : 동충하초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NKCP-PJ :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 (100kg)에 동충하초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 1kg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2) 5롯트 시료를 3반복 분석한 결과의 평균치임
3) 통계처리: Duncan의 다중검정에 의한 0.05% 유의차 (서로 다른 영어 소문자는 유의성 있음)
[표 8 : 상황버섯균사체 추출물의 첨가가 나토균배양물의 혈전용해효능 증진효과]
구분 혈전용해 활성2)
(Fibrinolytic activity)
NKCP 17,022 ± 385a 3)
PL 991 ± 54b
NKCP-PL 17,367 ± 645a
1) NKCP :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PL : 상황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NKCP-PL :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 (100kg)에 상황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 1kg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2) 5롯트 시료를 3반복 분석한 결과의 평균치임
3) 통계처리: Duncan의 다중검정에 의한 0.05% 유의차 (서로 다른 영어 소문자는 유의성 있음)
[표 9 : 잎새버섯균사체 추출물의 첨가가 나토균배양물의 혈전용해효능 증진효과]
구분1) 혈전용해 활성2)
(Fibrinolytic activity)
NKCP 17,022 ± 385a 3)
GF 1,725 ± 62b
NKCP-GF 17,120 ± 425a
1) NKCP :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GF : 잎새버섯 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NKCP-GF :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 (100kg)에 잎새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 1kg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2) 5롯트 시료를 3반복 분석한 결과의 평균치임
3) 통계처리: Duncan의 다중검정에 의한 0.05% 유의차 (서로 다른 영어 소문자는 유의성 있음)
[표 10 : 운지버섯균사체 추출물의 첨가가 나토균배양물의 혈전용해효능 증진효과]
구분1) 혈전용해 활성2)
(Fibrinolytic activity)
NKCP 17,022 ± 385b 3)
CV 3,678 ± 75c
NKCP-CV 21,334 ± 378a
1) NKCP :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CV : 운지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NKCP-CV :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 (100kg)에 운지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 1kg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2) 5롯트 시료를 3반복 분석한 결과의 평균치임
3) 통계처리: Duncan의 다중검정에 의한 0.05% 유의차 (서로 다른 영어 소문자는 유의성 있음)
실험예 2 : 버섯 배양물의 농도에 따른 혈전용해활성의 측정
1) 실험내용
상기 실험예 1을 통하여, 혈전용해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영지버섯 배양물과 아가리쿠스버섯 배양물을 각각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영지버섯 배양물과 아가리쿠스버섯 배양물의 농도 즉, 혼합 비율에 따른 혈전용해활성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나토균 배양물(100kg)에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영지버섯 배양물과 아가리쿠스버섯 배양물의 농축액(Brix 30) 각각을 0.5, 1, 2, 3, 4, 5kg 별로 각각 혼합한 다음, 이들 혼합물에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제일기공, J-004)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이에 대한 혈전용해효소 활성 측정은 상기 [실험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1]과 [표 12]에 나타내었다.
2) 실험결과
그 결과, 하기 [표 11]과 [표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버섯 배양물을 0.5kg(즉, 100:0.5의 비율) 혼합하였을 때는 혈전용해효능의 증가가 미흡하였고, 3kg(즉, 100:3의 비율) 이상 혼합하더라도 혈전용해효능은 크게 증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표 11 : 아가리쿠스버섯균사체 추출물의 농도별 첨가에 따른 혈전용해효능 증진효과]
구분1) 혈전용해 활성2)
(Fibrinolytic activity)
NKCP 17,022 ± 385b 3)
AB 4,722 ± 51c
NKCP-AB 0.5 18,332 ± 195b
NKCP-AB 1 23,132 ± 415a
NKCP-AB 2 24,352 ± 432a
NKCP-AB 3 24,300 ± 359a
NKCP-AB 4 24,122 ± 324a
NKCP-AB 5 24,532 ± 532a
1) NKCP :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AB : 아가리쿠스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NKCP-AB 0.5 :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 (100kg)에 아가리쿠스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 0.5kg을 난 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NKCP-AB 1 :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 (100kg)에 아가리쿠스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 1kg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NKCP-AB 2 :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 (100kg)에 아가리쿠스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 2kg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NKCP-AB 3 :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 (100kg)에 아가리쿠스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 3kg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NKCP-AB 4 :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 (100kg)에 아가리쿠스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 4kg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NKCP-AB 5 :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 (100kg)에 아가리쿠스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 5kg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2) 5롯트 시료를 3반복 분석한 결과의 평균치임
3) 통계처리: Duncan의 다중검정에 의한 0.05% 유의차 (서로 다른 영어 소문자는 유의성 있음)
[표 12 : 영지버섯균사체 추출물의 농도별 첨가가 나토균배양물의 혈전용해효능 증 진효과]
구분1) 혈전용해 활성2)
(Fibrinolytic activity)
NKCP 17,022 ± 385b 3)
GL 3,162 ± 74c
NKCP-GL 0.5 18,260 ± 152b
NKCP-GL 1 22,893 ± 521a
NKCP-GL 2 23,175 ± 253a
NKCP-GL 3 24,365 ± 152a
NKCP-GL 4 24,198 ± 160a
NKCP-GL 5 24,217 ± 231a
1) NKCP :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GL : 영지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NKCP-GL 0.5 :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 (100kg)에 영지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 0.5kg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NKCP-GL 1 :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 (100kg)에 영지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 1kg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NKCP-GL 2 :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 (100kg)에 영지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 2kg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NKCP-GL 3 :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 (100kg)에 영지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 3kg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NKCP-GL 4 :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 (100kg)에 영지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 4kg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NKCP-GL 5 : 나토균 배양물 농축액 (100kg)에 영지버섯균사체배양 추출 농축액 (Brix 30) 5kg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혼합하여 고형분이 35%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spray dry 한 시료
2) 5롯트 시료를 3반복 분석한 결과의 평균치임
3) 통계처리: Duncan의 다중검정에 의한 0.05% 유의차 (서로 다른 영어 소문자는 유의성 있음)
더불어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3에 따른 혼합 조성물의 혈전용해능에 대하여 임상시험을 하였고, 그 결과 단기복용(1회 4,000U 섭취) 및 장기복용(2,000U를 매일 1회 4주 섭취) 실험 모두에서 혈전용해가 현저히 우수하게 증진 되는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와 함께 혈장의 HDL-cholesterol수준을 증가시키고 TG/HDL-cholesterol을 감소시켜 항동맥 경화지수를 개선하는 항 동맥경화효과도 있음을 검증하였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나토균(Bacillus subtilis natto) 배양물과 버섯균 배양물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버섯균 배양물에 의해 나토균의 혈전용해능을 현저히 우수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바실러스 나토(Bacillus subtilis natto)균이 배양된 배양물 100 중량비에 대하여,
    아가리쿠스버섯( Agaricus blazei),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표고버섯(Lentinus edodes) 또는 운지버섯(Coriolus versicolor)의 균사체가 배양된 배양물이 1~2중량비로 포함된 혈전 용해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토균 배양물과 버섯균 배양물은,
    농축된 후 분말화된 분말가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전 용해용 조성물.
KR1020090033542A 2009-04-17 2009-04-17 나토균 배양물과 버섯균 배양물이 포함된 혈전 용해용 조성물 KR101078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542A KR101078306B1 (ko) 2009-04-17 2009-04-17 나토균 배양물과 버섯균 배양물이 포함된 혈전 용해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542A KR101078306B1 (ko) 2009-04-17 2009-04-17 나토균 배양물과 버섯균 배양물이 포함된 혈전 용해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043A KR20100115043A (ko) 2010-10-27
KR101078306B1 true KR101078306B1 (ko) 2011-10-31

Family

ID=4313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542A KR101078306B1 (ko) 2009-04-17 2009-04-17 나토균 배양물과 버섯균 배양물이 포함된 혈전 용해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3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030A (ko) * 2018-08-02 2020-02-12 재단법인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표고버섯 수확 후의 배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6343B (zh) * 2012-02-09 2013-09-11 谭曜 补气活血通络中药组合物
KR101469801B1 (ko) * 2014-05-09 2014-12-05 주식회사 웰솔루션 혈행개선 또는 모세혈관 활성증가용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663778B1 (ko) * 2014-05-20 2016-10-10 (주)에이치케이바이오텍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과 나토균 배양물이 포함된 혈압 강하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8128A (ja) * 2004-07-21 2006-02-02 Nippon Menaade Keshohin Kk 血栓症改善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8128A (ja) * 2004-07-21 2006-02-02 Nippon Menaade Keshohin Kk 血栓症改善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030A (ko) * 2018-08-02 2020-02-12 재단법인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표고버섯 수확 후의 배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128625B1 (ko) * 2018-08-02 2020-07-01 재단법인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표고버섯 수확 후의 배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043A (ko) 201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26972B (zh) 一种降解亚硝酸盐的酸菜直投发酵剂
CN104508119B (zh) 利用新菌株解淀粉芽孢杆菌cj 3‑27 及米曲霉cj kg 的韩式酱曲大酱的制造方法
KR101078306B1 (ko) 나토균 배양물과 버섯균 배양물이 포함된 혈전 용해용 조성물
CN101305785B (zh) 一种溶血栓豆豉的生产方法
CN107509901A (zh) 利用复配发酵剂制备风味食用菌汁的方法
KR101422078B1 (ko) 동충하초와 유산균을 이용한 혈행개선용 발효맥문동의 제조방법
Meshram et al. Produc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a potential fibrinolytic protease from endophytic Xylaria curta by solid substrate fermentation
CN105754876B (zh) 一种青稞米曲、青稞米曲产品及其制备方法
KR100788764B1 (ko) 대두액을 이용한 발효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CN104087637A (zh) 利用微生物发酵法制作植物蛋白多肽的方法
KR100578495B1 (ko) 청국장을 이용한 발효 두유의 제조방법
KR100736255B1 (ko) 전지활성생대두미세분말 또는 탈지대두분말의 고초균 및젖산균 발효에 의한 기능성 액상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56702A (ko) 쌀 함유 액체 메주로 만든 간장을 이용하여 제조한 조미용 간장
CN112741272B (zh) 一种高含量纳豆激酶的纳豆冻干粉的发酵方法
CN115777921A (zh) 一种复合菌种发酵的功能性果蔬浆及固体粉的制备方法
KR20000018859A (ko) 담자균 배양 곡물을 이용한 취반 제조법
CN109645344A (zh) 一种高含量纳豆激酶的纳豆冻干粉的制备方法
Luo et al. Effect of soybean varieties on the fibrinolytic activ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uchi
KR101220815B1 (ko) 곡류 분말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곡류 분말 발효물
CN116634890A (zh) 使用源自芽孢杆菌的酶组生物转化的功能性黑豆粉的生物转化工艺开发及其应用
KR20010103256A (ko) 모나스쿠스속 균류에 의해 발효된 곡물을 포함하는 다류의제조방법
OKAMURA-MATSUI et al. Fermented soybean with thrombosis preventing activity using mushroom mycelia as microbial source
KR100690507B1 (ko) 균사체 배양기술로 제조된 청국장을 이용한 기능성식품 및이의 제조방법
KR20120122263A (ko) 오가피추출물을 천연배지로 하여 획득한 오가피 발효물과, 이의 제조방법과, 이의 발효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물과, 이의 발효물로부터 추출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용 제제
CN116616414B (zh) 一种纳豆及纳豆活性肽的制备方法和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