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795B1 - 코일 부품 및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코일 부품 및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795B1
KR101077795B1 KR1020090047462A KR20090047462A KR101077795B1 KR 101077795 B1 KR101077795 B1 KR 101077795B1 KR 1020090047462 A KR1020090047462 A KR 1020090047462A KR 20090047462 A KR20090047462 A KR 20090047462A KR 101077795 B1 KR101077795 B1 KR 101077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in terminal
bobbin
thin wir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4999A (ko
Inventor
마사아키 이와쿠라
가쓰히로 이시가키
티앤 총 수
시게노리 가토
사토루 기타하라
겐이치 이노우에
히로유키 우에무라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42902A external-priority patent/JP45068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85926A external-priority patent/JP4697676B2/ja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4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01F27/2828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10Connecting leads to windings

Abstract

본 발명은 핀 단자와 코일과의 계선(繼線)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코일 부품 및 상기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 단부(103A)는, 세선(細線)(105)에 의해 핀 단자(104)의 기단부(104B) 근방에 묶여져서 세선 권취부(106)에 의해 고정된다. 납땜에 의해 땜납 필렛(107)이, 코일 단부(103A)의 단면(103B)과 핀 단자(104)의 선단부(104A)의 단면(104D)에 걸쳐서 형성되고 세선 권취부(106)를 덮도록 형성되거나, 코일 단부(203A)의 단면(203B)과 핀 단자(204)의 주위 면이면서 적어도 보빈에 대하여 코일 단부보다 돌출되어 있는 부분(204C)과의 사이에 걸쳐서 형성된다. 또한, 땜납이 코일 단부(103A)와 핀 단자(104)와의 간극에도 침입하므로, 코일 단부(103A)와 핀 단자(104)가 확실하게 계선된다.

Description

코일 부품 및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COIL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공진 트랜스나 초크로서 사용되는 코일 부품 및 관련되는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로 박형 텔레비전용의 공진 트랜스에 있어서, 보빈에 감은 리츠선(litz wire) 등의 연선(twisted wire)을 핀 단자에 에 의해 선을 잇는 경우, 연선의 단부를 핀 단자에 감고, 연선 단부가 감긴 핀 단자를 땜납 조(槽)에 가라앉혀서 땜납 필렛(fillet)을 형성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는, 단면이 원호형인 핀 단자가 연선의 선단부의 주위 면과 밀접하도록 세선으로 연선과 핀 단자를 고정하고, 세선으로 고정된 연선과 핀 단자를 땜납 조에 가라앉혀 납땜을 행하여 핀 단자와 연선을 잇는 구성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번호 평8-51043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연선 및 핀 단자의 계선(繼線) 구성에서는, 핀 단자와 연선 사이에 땜납 필렛이 쉽게 형성되지 않고, 또한 원호형의 핀 단자에 의해 연선이 간극없이 포위되므로, 핀 단자와 연선의 간극으로의 땜납의 침입이 저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핀 단자와 코일과의 계선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코일 부품 및 상기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지제(樹脂製)의 보빈과,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코일과, 상기 보빈에 수납되는 코어와, 상기 보빈에 설치되고 코일 단부가 땜납에 의해 계선되는 핀 단자를 가지는 코일 부품으로서, 상기 핀 단자의 외주 면이면서 상기 코일 단부에 대향하는 부분은, 상기 코일 단부의 외주 면 중 적어도 일부를 받아들이는 오목 면을 배제한 평면 또는 볼록 면 형상을 이루고, 상기 코일 단부는, 상기 핀 단자를 따르도록 상기 보빈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핀 단자의 선단부의 단면은 상기 코일 단부의 단면과 면 일치를 이루고, 상기 코일 단부와 상기 핀 단자의 선단부를 세선에 의해 묶어서 고정하는 세선 권취부가 설치되고, 상기 코일 단부의 단면과 상기 핀 단자의 선단부의 단면은 각각 상기 세선 권취부보다 상기 보빈에 대하여 돌출된 위치에 있고, 상기 핀 단자의 선단부의 단면과 상기 코일 단부의 단면에 걸쳐서 땜납 필렛이 형성되어 있는 코일 부품을 제공 한다.
핀 단자의 외주 면이면서 상기 코일 단부에 대향하는 부분은, 코일 단부의 외주 면 중 적어도 일부를 받아들이는 오목 면을 배제한 평면 또는 볼록 면 형상을 이루고, 코일 단부는 핀 단자를 따르도록 보빈으로부터 연장되고, 핀 단자의 선단부의 단면은 코일 단부의 단면과 면 일치를 이루고, 핀 단자의 선단부의 단면과 코일 단부의 단면에 걸쳐서 땜납 필렛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코일 단부가 핀 단자와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속된다. 또한, 땜납 필렛에 의해 코일과 핀 단자와의 기계적인 접속 강도가 강화된다.
또한, 코일 단부의 단면과 핀 단자의 선단부의 단면은 각각 세선 권취부보다 보빈에 대하여 돌출된 위치에 있으므로, 세선에 의해 체결되어 있지 않은 핀 단자와 코일 단부의 간극으로 땜납이 침입하기 용이하게 되므로, 코일과 핀 단자가 땜납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속된다. 또한, 코일이 복수의 선재(線材)를 꼬아서 연선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세선에 의해 체결되어 있지 않은 연선의 선재 사이의 간극에 코일 단부의 단면보다 땜납이 침입하기 용이하게 되므로, 코일과 핀 단자와의 전기적 접속이나 물리적 결합을 더욱 확실하게 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코일 부품은, 수지제의 보빈과,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코일과, 상기 보빈에 수납되는 코어와, 상기 보빈에 설치되고 코일 단부가 땜납에 의해 계선되는 핀 단자를 가지는 코일 부품으로서, 상기 코일 단부는, 상기 핀 단자를 따르도록 상기 보빈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핀 단자의 선단은, 상기 보빈에 대하여 상기 코일 단부보다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코일 단부와 상기 핀 단자를 세선 에 의해 묶어서 고정하는 세선 권취부가 설치되고, 상기 코일 단부의 단면이 상기 세선 권취부보다 상기 보빈에 대하여 돌출된 위치에 있고, 상기 코일 단부의 단면과 상기 핀 단자의 주위 면이면서 적어도 상기 코일 단부보다 돌출되어 있는 부분과의 사이에, 땜납 필렛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땜납 필렛이, 코일 단부의 단면과 핀 단자의 주위 면이면서 적어도 보빈에 대하여 코일 단부보다 돌출되어 있는 부분과의 사이에 걸쳐서, 핀 단자나 코일과의 접촉 면적을 넓게 취하도록 형성되므로, 코일 단부가 핀 단자와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이러한 필렛에 의해 코일과 핀 단자와의 기계적인 접속 강도가 강화된다. 또한, 코일 단부의 단면이 세선 권취부보다 보빈에 대하여 돌출함으로써, 세선에 의해 체결되어 있지 않은 핀 단자와 코일 단부와의 간극으로 땜납이 침입하기 용이하게 되므로, 코일과 핀 단자가 땜납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속된다. 또한, 코일이 복수 선재를 꼬아서 연선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세선에 의해 체결되어 있지 않은 연선의 선재 ㅅ사이 간극에 코일 단부의 단면보다 땜납이 침입하기 용이하게 되므로, 코일과 핀 단자와의 전기적 접속이나 물리적 결합을 더욱 확실하게 행한다.
여기서, 상기 핀 단자의 외주 면은, 상기 코일 단부의 외주 면 중 적어도 일부를 받아들이는 오목 면을 배제한 평면 또는 볼록 면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핀 단자의 외주 면과 코일 단부의 외주 면이 밀착하지 않고 땜납이 침입하기 위한 간극이 형성된다. 따라서, 핀 단자와 코일과의 납땜을 행할 때, 전술한 간극에 의해 코일의 피막을 양호한 효율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선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선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세선도 땜납과 접합되므로, 핀 단자와 코일과의 전기적 접속이 더욱 확실하게 행해진다.
또한, 상기 코일 및 상기 세선은, 구리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 및 세선은 구리선으로 이루어지고, 코일과 세선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열전도율이 동일하므로, 납땜을 행할 때 땜납 볼의 형성이 억제된다.
또한, 상기 세선 권취부는, 상기 세선이 간격을 두고 복수 턴(turn) 권취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선 권취부는, 세선이 간격을 두고 복수 턴 권취되어 형성되므로, 인접하는 세선의 턴은 서로 이격되어 있고, 턴과 턴 사이에 땜납이 침입 가능하므로, 핀 단자와 코일과의 전기적 접속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 단부 및 상기 핀 단자는,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이 실질적으로 원형이며, 상기 핀 단자는 상기 코일 단부보다 직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 단부 및 핀 단자는,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이 실질적으로 원형이며, 핀 단자는 코일 단부보다 직경이 작아서, 핀 단자 주위 면의 곡률이 커지므로, 핀 단자와 코일 단부 사이의 큰 간극을 제공할 수 있고, 납땜을 행할 때의 땜납의 열에 의한 코일의 피막을 양호한 효율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 단부의 단면은,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 단부의 단면은,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서, 코일 단부의 단면과 땜납의 접촉 면적이 증대하 므로, 핀 단자와의 납땜이 보다 확실하게 행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지제의 보빈과,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코일과, 상기 보빈에 수납되는 코어와, 상기 보빈으로부터 돌출하는 일단부와 타단부를 가지고 상기 일단부는 실장 기판에 실장되는 외부 단자 전극을 이루고, 상기 타단부는 외주 면이면서 상기 코일 단부에 대향하는 부분이 상기 코일 단부의 외주 면 중 적어도 일부를 받아들이는 오목 면을 배제한 평면 또는 볼록 면 형상을 이루고, 상기 코일이 땜납에 의해 상기 타단부에 계선되는 핀 단자를 가지는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핀 단자의 상기 타단부의 기단부(基端部)에 상기 코일을 안내하여 상기 코일을 상기 핀 단자를 따르도록 가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코일의 단말부를 가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핀 단자의 상기 타단부의 상기 기단부 측에서 상기 코일과 상기 핀 단자를 세선에 의해 묶어서 고정하는 세선 권취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코일 단부의 단면과 상기 핀 단자의 선단부의 단면이 면 일치되도록, 상기 세선 권취부보다 상기 코일의 단말부 측의 위치에서, 상기 코일 및 상기 핀 단자의 축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코일 및 상기 핀 단자를 동일 면에서 절단하여, 상기 코일의 절단면을 상기 코일 단부의 단면으로 하고 상기 핀 단자의 절단면을 상기 핀 단자의 선단부의 단면으로 하는 단계와, 적어도 상기 코일 단부의 단면과 상기 핀 단자의 선단부의 단면에 걸쳐서 땜납 필렛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코일 단부의 단면과 핀 단자의 선단부의 단면이 면 일치되도록, 세선 권취부보다 코일의 단말부 측의 위치에서, 코일 및 핀 단자의 축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 으로 코일 및 핀 단자를 동일 면에서 절단하여, 코일의 절단면을 코일 단부의 단면으로 하고 핀 단자의 절단면을 핀 단자의 선단부의 단면으로 하는 단계와, 적어도 코일 단부의 단면과 핀 단자의 선단부의 단면에 걸쳐 땜납 필렛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므로, 코일 단부가 핀 단자와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속된다. 또한, 땜납 필렛에 의해 코일과 핀 단자와의 기계적인 접속 강도가 강화된다. 또한, 코일의 절단면으로부터 세선 권취부까지의 세선에 의해 체결되어 있지 않은 코일의 간극에 땜납이 침입하기 용이하게 되므로, 코일과 핀 단자가 땜납에 의해 견고하게 접속된다.
또한, 본 발명의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은, 수지제의 보빈과,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코일과, 상기 보빈에 수납되는 코어와, 상기 보빈으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코일이 땜납에 의해 계선되는 핀 단자를 가지는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핀 단자의 기단부에 상기 코일을 안내하여 상기 코일을 상기 핀 단자를 따르도록 가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코일의 단말부를 가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핀 단자의 상기 기단부 측에서 상기 코일과 상기 핀 단자를 세선에 의해 묶어서 고정하는 세선 권취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세선 권취부보다 상기 코일의 단말부 측의 위치에서 상기 코일을 절단하여, 상기 코일의 절단면보다 상기 핀 단자의 단부를 상기 보빈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코일의 절단면과 상기 핀 단자의 주위 면이면서 적어도 상기 코일의 절단면보다 돌출되어 있는 부분과의 사이에 땜납 필렛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방법에 의하면, 땜납 필렛이, 코일 단부의 단면과 핀 단자의 주위 면 이면서 적어도 코일 단부보다 보빈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분과의 사이에 걸쳐서, 핀 단자 등과 코일과의 접촉 면적을 넓게 취하도록 형성되므로, 코일 단부가 핀 단자와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속된다. 또한, 이러한 필렛에 의해 코일과 핀 단자와의 기계적인 접속 강도가 강화된다. 또한, 코일의 절단면으로부터 세선 권취부까지의 세선에 의해 체결되어 있지 않은 코일의 간극에 땜납이 침입하기 용이하게 되므로, 코일과 핀 단자가 땜납에 의해 견고하게 접속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핀 단자와 코일과의 계선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코일 부품 및 상기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코일 부품(10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102)과, 보빈(102)에 권취되는 코일(103)(도 2a 등)과, 강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코어(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보빈(102)은 수지제이며, 중공(中空)의 보디부(102A)와, 쌍을 이루는 칼라부(102B, 102B)와, 코일(103)로 구성되는 도시하지 않은 1차 측 코일과 2차 측 코일을 절연하는 절연판(102F)과, 각각의 칼라부(102B, 102B)에 설치된 단자대(102C)로 이루어진다. 보디부(102A)에는 코어의 일부가 끼워진다. 단자대(102C)에는, 코일(103)과 계선되는 복수의 L자형의 핀 단자(104)가 꽂혀져 있고, 코일(103)을 핀 단자(104)에 안내하는 가이드 홈(102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코일(103)과, 후술하는 코일(103)과 핀 단자(104)와의 계선 부분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코일(103)과 핀 단자(104)와의 계선에 대하여 설명한다. 코일(103)은, 에나멜 선 등의 가는 절연 선재를 복수개 서로 꼬으고, 서로 꼬아진 선재의 주위를 절연 피막에 의해 피복한 반경 r101의 연선(리츠선)으로 이루어진다.
핀 단자(104) 각각은, 도전성 금속을 반경 r102의 원통형으로 성형하고 L자형으로 만들어지며, 단자대(102C)에 꽂혀지고 일단부가 도 1의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하고, 타단부가 보빈의 축 방향인 도 1의 좌측 아래쪽 또는 우측 위쪽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핀 단자(104)의 타단부는, 보빈(102)의 보디부(102A)에 권취된 코일(103)의 개수에 대응하여 코일(103)의 단부(103A)[이하, 코일 단부(103A)라고 칭함]와 계선되어 있다. 또한, 핀 단자(104)의 반경 r102는, 코일(103)의 반경 r101보다 작으며, 코일(103)과 비교하여 주위 면의 곡률이 크다.
코일 단부(103A)는, 핀 단자(104)의 길이 방향 X를 따르도록 단자대(102C)의 가이드 홈(102E)을 따라 직선적으로 안내되어 단자대(102C)로부터 연장되어 핀 단자(104)와 함께 설치되어 있다. 또한, 코일 단부(103A)의 단면(103B)으로부터 단자대(102C)의 면(102D)까지의 최단 거리는 핀 단자(104)의 선단부(104A)의 단면(104D)으로부터 단자대(102C)의 면(102D)까지의 최단 거리와 동일하며, 코일 단부(103A)의 단면(103B)과 핀 단자(104)의 선단부(104A)의 단면(104D)은 면 일치를 이룬다. 또한, 코일 단부(103A)의 단면(103B) 및 핀 단자(104)의 선단부(104A)의 단면(104D)은, 각각 코일(103) 및 핀 단자(104)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이면서 코일 및 핀 단자의 축 방향에 대하여 각각 수직을 이루고 있다. 함께 설치된 핀 단자(104)와 코일 단부(103A)는, 단자대(102C)에 꽂혀져 있는 핀 단자(104)의 기단부(104B) 근방을 세선(105)에 의해 묶어서 고정하는 세선 권취부(10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2a에서, 세선 권취부(106)는, 핀 단자(104)의 길이 방향 X를 따라 권취된 세선(105)의 4턴으로 이루어지고, 코일 단부(103A)의 단면(103B)에 가장 근접하는 세선(105)의 턴(105a)은, 코일 단부(103A)의 단면(103B) 및 핀 단자(104)의 선단부(104A)의 단면(104D)보다 길이 L 만큼 핀 단자(104)의 베이스부(104B) 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코일 단부(103A)의 단면(103B) 및 핀 단자(104)의 선단부(104A)의 단면(104D)은, 세선 권취부(106)보다 단자대(102C)에 대하여 길이 L 만큼 돌출되어 있다. 또한, 세선(105)은, 인접하는 턴이 길이 방향 X에서 서로 멀어지도록 권취되어 있다. 세선(105)은, 표면이 전기적 절연 피막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은 구리선이다.
또한, 핀 단자(104)와 코일(103)을 계선하기 위하여, 코일 단부(103A)와 핀 단자(104)에 걸쳐서 세선 권취부(106)를 덮도록 땜납 필렛(107)이 형성되어 있다. 땜납 필렛(107)은, 코일 단부(103A)의 단면(103B)과 핀 단자(104)의 선단부(104A)의 단면(104D)에 걸쳐서 형성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코일 단부(103A)의 주위 면과 핀 단자(104)의 선단부(104A)의 주위 면 사이에 양호하게 들어가서 형성되며, 세선 권취부(106)까지 도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땜납 필렛(107)이, 코일 단부(103A)의 단면(103B)과 핀 단자(104)의 선단부(104A)의 단면(104D) 사이에 걸쳐서 형성되므로, 코일(103)이 핀 단자(104)와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속된다. 또한, 땜납 필렛(107)에 의해 코일(103)과 핀 단자(104)와의 기계적인 접속 강도가 강화된다.
또한, 세선 권취부(106)가 코일 단부(103A)의 단면(103B)으로부터 길이 L 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 세선(105)에 의해 체결되어 있지 않은 코일(103)과 핀 단자(104)와의 간극으로 땜납이 침입하기 용이하게 된다. 또한, 코일(103) 자체에 대해서도, 세선(105)에 의해 체결되어 있지 않은 단면(103B)으로부터 세선 권취부(106)까지의 부분은, 선재 사이의 간극이, 세선 권취부(106)에 위치하는 코일(103)과 비교하여 넓게 제공되므로, 코일(103)의 선재 사이의 간극에 코일 단부의 단면보다 땜납이 침입하기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코일(103)과 핀 단자(104)가 땜납을 통하여 확실하게 계선된다.
또한, 핀 단자(104)와 코일 단부(103A)는, 세선 권취부(106)에 의해 서로 병설하도록 고정되어도, 핀 단자(104)의 주위 면(104C)과 코일 단부(103A)의 주위 면이 면 형상으로 밀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땜납의 열에 의해 코일(103)로부터 벗겨지는 절연 피막을 양호한 효율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코일 단부(103A)를 핀 단자(104)에 매지 않고 세선 권취부(106)에 의해 고정하므로, 핀 단자(106)를 단자대(102C)에 대하여 고 밀도로 꽂을 수 있다.
또한, 세선(105)이 전기적 절연 피막이 없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져서, 세선(105)도 땜납과 접합되므로, 핀 단자(104)와 코일(103)과의 전기적 접속이 보다 확실하게 행해진다. 또한, 세선(105)은, 동선의 표면이 드러나서, 땜납이 쉽게 부착되므로 땜납과의 접촉이 더욱 양호하게 된다.
또한, 세선(105)의 도전성 재료가, 코일(103)과 동일한 구리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세선(105) 및 코일(103)이 함께 동일한 열 전도율을 가지므로, 핀 단자(104)와 코일 단부(103A)와의 납땜을 행할 때 땜납 볼의 형성이 억제된다.
또한, 세선 권취부(106)는 세선(105)의 복수 턴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인접하는 세선(105)의 서로 이격된 턴 사이에 땜납이 침입할 수 있고, 핀 단자(104)와 코일(103)과의 전기적 접속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핀 단자(104)의 반경 r102는, 코일의 반경 r101보다 작으므로, 핀 단자(104)와 코일 단부(103A) 사이의 큰 간극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핀 단자(104)와 코일(103)과의 납땜을 행할 때, 땜납의 열에 의해 코일(103)의 피막을 양호한 효율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핀 단자(104)의 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핀 단자(104)의 코일 단부(103A)에 대향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코일(103)의 반경 r101의 원호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오목 면을 배제한 평면형 또는 볼록 면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된다. 따라서, 코일 단부(103A)에 대향하고 있지 않은 핀 단자(104)의 부분의 단면 형상은, 코일(103)의 반경 r102의 원호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오목 면을 가지는 형상을 하고 있어도 된다. 핀 단자(104)가 이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에 의해, 통상적으로 코일(103)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므로, 핀 단자(104)와 코일(103) 사이의 간극은 넓게 제공되고, 납땜을 행할 때의 코일의 피복을 양호한 효율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세선(105)은 구리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선재라도 된다. 또는, 세선(105)은 전기적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선재라도 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단부(103A)의 단면(103B') 및 핀 단자(104)의 선단부(104A)의 단면(104D')은, 코일(103), 핀 단자(104)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이면서 코일 및 핀 단자의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지 않고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단면(103B') 및 단면(104D')의 면적이 증대하여 땜납과의 접촉 면적이 증대하고, 코일(103)의 피막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선재의 단면의 면적도 증대하므로, 코일 단부(103A)를 핀 단자(104)에 확실하게 계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의 코일 부품에 있어서, 코일(103)은, 복수개의 USTC 선을 서로 꼬아서 이루어지는 연선이라도 된다. 또한, 코일(103)은, 연선 대신 표면이 절연성 재료로 피복된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단일 선재라도 된다.
다음으로,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보빈(102), 코일(103)(도 2a 등), 및 도시하지 않은 코어를 조립한다. 다음으로,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을 구성하는 코일(103)과 핀 단자(104)와의 계선 방법을 행한다. 먼저,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부(104A')가 절곡되어 있는 핀 단자 소체(104')(도 4b 참조)에, 코일(103)을 단자대(102C)의 가이드 부(102E)를 이용하여 안내한다. 그리고, 코일(103)의 단말부(103C)를 선단부(104A')에 매어서 가고정하여, 핀 단자 소체(素體)(104')를 따르게 하여 코일(103)을 배치하고, 핀 단자 소체(104')의 기단부(104B)에 지그를 사용하여 코일(103)을 가고정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 단자 소체(104')의 기단부(104B) 측에서, 코일(103)과 핀 단자 소체(104')를 묶어서 세선(105)에 의해 핀 단자 소체(104')의 길이 방향 X를 따라 복수 턴 감고, 핀 단자 소체(104')에 코일(103)을 고정하는 세선 권취부(106)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선 권취부(106)보다 도면의 우측에 있어서, 핀 단자(104)로 되는 핀 단자 소체(104')와 코일(103)을, 핀 단자 소체(104') 및 코일(103)의 축 방향으로 수직을 이루는 면에서 절단하여, 핀 단자(104)를 마무리하고 완성하여 단면(103B)이 형성된 코일 단부(103A)를 만든다. 이 절단에 의해 핀 단자(104)의 선단부(104A)의 단면(104D)은 코일 단부(103A)의 단면(103B)과 면 일치가 된다.
다음으로, 세선 권취부(106)에 의해 서로 고정된 핀 단자(104) 및 코일 단부(103A)를 땜납 조에 가라앉혀서 납땜을 행한다. 이 납땜에 의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땜납이 세선 권취부(106)를 덮고 핀 단자(104)와 코일 단부(103A)에 걸친 땜납 필렛(107)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형성된 땜납 필렛(107)은, 땜납이 코일 단부(103A)의 단면(103B)과 핀 단자(104)의 선단부(104A)의 단면에 걸쳐져 있다. 이 땜납 필렛(107)에 의해, 핀 단자(104)와 코일 단부(103A)가 계선된다.
본 실시예의 방법에 의하면, 땜납 필렛(107)이 코일 단부(103A)의 단면(103B)과 핀 단자(104)의 선단부(104A)의 단면(104D) 사이에 걸쳐서 형성되므로, 코일 단부(103A)가 핀 단자(104)와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속된다. 또한, 땜납 필렛(107)에 의해 코일(103)과 핀 단자(104)와의 기계적인 접속 강도가 강화된다. 또한, 코일(103)의 절단면(103C)으로부터 세선 권취부(106)까지의 세선(105)에 의해 코일 단부(103A)와 핀 단자(104)와의 간극으로 땜납이 침입하기 용이하게 되므로, 코일(103)과 핀 단자(104)가 땜납에 의해 견고하게 접속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코일 부품(201)은, 보빈(202), 보빈(202)에 권취되는 코일(203), 및 강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코어(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보빈(202)은 수지제이며, 중공의 보디부(202A), 쌍을 이루는 칼라부(202B), 및 한쪽 칼라부(202B)로부터 연장되는 단자대(202C)로 이루어진다. 보디부(202A)에는 코어의 일부가 끼워진다. 단자대(202C)에는, 보디부(202A)와는 반대 측에 코일(203)과 계선되는 복수의 핀 단자(204)가 꽂혀져 있고, 코일(203)을 핀 단자(204)에 안내하는 가이드 홈(202E)이 형성되어 있다.
도 9a와 도 9b를 참조하여, 코일(203)과 핀 단자(204)와의 계선에 대하여 설명한다. 코일(203)은, 에나멜 선 등의 가늘고 절연된 선재를 복수개 꼬으고, 꼬아진 선재의 주위를 절연 피막에 의해 피복한 반경 r201의 연선(리츠선)으로 이루어진다.
핀 단자(204) 각각은, 도전성 금속을 반경 r202의 원통형으로 성형한 것이며, 단자대(202C)의 면(202D)에 꽂혀져서 돌출되어 있다. 핀 단자(204)는, 보빈(202)의 보디부(202A)에 권취된 코일(203)의 개수에 대응하여 코일(203)의 단부(203A)[이하, 코일 단부(203A)라고 칭함]와 계선되어 있다. 또한, 핀 단자(204)의 반경 r202는, 코일(203)의 반경 r201보다 작으며, 코일(203)과 비교하여 주위 면의 곡률이 크다.
코일 단부(203A)는, 핀 단자(204)의 길이 방향 X를 따르도록 단자대(202C)의 가이드 홈(202E)을 따라 직선적으로 안내되어 단자대(202C)로부터 연장하여 핀 단자(204)와 함께 설치되어 있다. 또한, 코일 단부(203A)의 단면(203B)은, 핀 단자(204)의 선단부(204A)보다 단자대(202C)의 면(202D)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다. 함께 설치된 핀 단자(204)와 코일 단부(203A)는, 단자대(202C)에 꽂혀져 있는 핀 단자(204)의 기단부(204B) 근방을 세선(205)에 의해 묶어서 고정하는 세선 권취부(20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9a에서, 세선 권취부(206)는, 핀 단자(204)의 길이 방향 X를 따라 권취된 세선(205)의 4턴으로 이루어지고, 코일 단부(203A)의 단면(203B)에 가장 근접하는 세선(205)의 턴(205a)은, 코일 단부(203A)의 단면(203B)보다 길이 L 만큼 핀 단자(204)의 베이스부(204B) 측으로 위치하고 있다. 즉, 코일 단부(203A)의 단면(203B)은, 세선 권취부(206)보다 단자대(202C)에 대하여 길이 L 만큼 돌출되어 있다. 또한, 세선(205)은, 인접하는 턴이 길이 방향 X에서 서로 멀어지도록 권취되어 있다. 그리고, 세선(205)은, 표면이 전기적 절연 피막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은 구리 선이다.
또한, 핀 단자(204)와 코일(203)을 계선하기 위하여, 코일 단부(203A)와 핀 단자(204)에 걸쳐서, 세선 권취부(206)를 덮도록 땜납 필렛(207)가 형성되어 있다. 땜납 필렛(207)은, 코일 단부(203A)의 단면(203B)과 핀 단자(204)의 주위 면이면서 적어도 단면(203B)보다 선단(204A) 측에 위치하는 부분(204C)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코일 부품(201)에 의하면, 땜납 필렛(207)이, 코일 단부(203A)의 단면(203B)과 적어도 코일 단부(203A)보다 단자대(202C)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핀 단자(204)의 주위 면(204C)과의 사이에 걸쳐서, 핀 단자(204) 등과 코일(203)과의 접촉 면적을 넓게 취하도록 형성되므로, 코일(203)이 핀 단자(204)와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속된다. 또한, 이러한 필렛(207)에 의해 코일(203)과 핀 단자(204)와의 기계적인 접속 강도가 강화된다.
또한, 세선 권취부(206)가 코일 단부(203A)의 단면(203B)으로부터 길이 L 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 세선(205)에 의해 체결되어 있지 않은 코일(203)과 핀 단자(204)와의 간극으로 땜납이 침입하기 용이하게 된다. 또한, 코일(203) 자체에 대해서도, 세선(205)에 의해 체결되어 있지 않은 단면(203B)으로부터 세선 권취부(206)까지의 부분은, 선재 사이의 간극이, 세선 권취부(206)에 위치하는 코일(203)과 비교하여 넓게 제공되므로, 코일(203)의 선재끼리의 간극에 코일 단부의 단면보다 땜납이 침입하기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코일(203)과 핀 단자(204)가 땜납을 통하여 확실하게 계선된다.
또한, 핀 단자(204)와 코일 단부(203A)는, 세선 권취부(206)에 의해 서로 병설하도록 고정되어도, 핀 단자(204)의 주위 면(204C)과 코일 단부(203A)의 주위 면이 면 형상으로 밀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땜납의 열에 의해 코일(203)로부터 벗겨지는 절연 피막을 양호한 효율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코일 단부(203A)를 핀 단자(204)에 매지 않고 세선 권취부(206)에 의해 고정하므로, 핀 단자(204)를 단자대(202C)에 대하여 고 밀도로 꽂을 수 있다.
또한, 세선(205)이 전기적 절연 피막이 없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져서, 세선(205)도 땜납과 접합되므로, 핀 단자(204)와 코일(203)과의 전기적 접속이 더욱 확실하게 행해진다. 또한, 세선(205)은, 구리 선의 표면이 드러나므로, 땜납에 대하여 쉽게 부착되기 때문에 땜납과의 접촉이 더욱 양호하게 된다.
또한, 세선(205)의 도전성 재료가, 코일(203)과 동일한 구리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세선(205) 및 코일(203)이 함께 동일한 열전도율을 가지므로, 핀 단자(204)와 코일 단부(203A)와의 납땜를 행할 때 땜납 볼의 형성이 억제된다.
또한, 세선 권취부(206)는 세선(205)의 복수 턴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인접하는 세선(205)의 서로 이격된 턴 사이에 땜납이 침입할 수 있고, 핀 단자(204)와 코일(203)과의 전기적 접속을 더욱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핀 단자(204)의 반경 r202는, 코일(203)의 반경 r201보다 작으므로, 핀 단자(204)와 코일 단부(203A) 사이의 간극을 크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핀 단자(204)와 코일(203)과의 납땜을 행할 때, 땜납의 열에 의해 코일(203)의 피막을 양호한 효율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핀 단자(204)의 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코일(203)의 반경 r201의 원호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오목 면을 배제한 평면형 또는 볼록 면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된다. 핀 단자(204)가 이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에 의해, 통상적으로 코일(203)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므로, 핀 단자(204)와 코일(203) 사이의 간극은 넓게 제공되고, 납땜을 행할 때의 코일의 피복을 양호한 효율로 제거할 수 있다.
세선(205)은, 구리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선재라도 된다. 또는, 세선(205)은 전기적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선재라도 된다. 또한, 세선 권취부(206)를 구성하는 세선(205)의 턴 수는 1턴이라도 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단부(203A)의 단면(203B)은, 코일(203)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 즉 경사지게 형성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단면(203B)의 면적이 증대하여 땜납과의 접촉 면적이 증대하고, 코일(203)의 피막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선재의 단면의 면적도 증대하므로, 코일 단부(203A)를 핀 단자(204)에 확실하게 계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코일 부품에 있어서, 코일(203)은, 복수개의 USTC선을 서로 꼬아서 이루어지는 연선이라도 된다. 또한, 코일(203)은, 연선 대신 표면이 절연성 재료로 피복된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단일 선재라도 된다.
다음으로,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보빈(202), 코일(203)(도 9a 등), 및 도시하지 않은 코어를 조립한다. 다음으로,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을 구성하는 코일(203)과 핀 단자(204)와의 계선 방법으로 행한다. 먼저,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부(204A')가 절곡되어 있는 L자형 핀 단자 소체(204')(도 11b 참조)에, 코일(203)을 단자대(202C)의 가이드부(202E)를 이용하여 안내한다. 그리고, 코일(203)의 단말부(203C)를 선단부(204A')에 매어서 가고정하여, 핀 단자 소체(204')를 따르게 하여 코일(203)을 배치하고, 핀 단자 소체(204')의 기단부(204B)에 지그를 사용하여 코일(203)을 가고정한다.
다음으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 단자 소체(204')의 기단부(204B) 측에서, 코일(203)과 핀 단자 소체(204')를 묶어서 세선(205)에 의해 핀 단자 소체(204')의 길이 방향 X를 따라 복수 턴 감고, 핀 단자 소체(204')에 코일(203)을 고정하는 세선 권취부(206)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 단자 소체(204')의 선단이 코일(203)의 단면보다 돌출하도록, 선단부(204A')를 절단하고 제거하여 핀 단자(204)를 마무리하여 완성하고, 코일(203)은, 세선 권취부(206)보다 길이 L까지의 부분을 남겨서 단말부(203C)를 절단하고 제거하여 코일 단면(203B)을 형성하여, 코일 단부(203A)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세선 권취부(206)에 의해 서로 고정된 핀 단자(204) 및 코일 단부(203A)를 땜납 조에 가라앉혀서 납땜을 행한다. 이 납땜에 의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땜납이 세선 권취부(206)를 덮고 핀 단자(204)와 코일 단부(203A)에 걸친 땜납 필렛(207)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형성된 땜납 필렛(207) 은, 땜납이, 코일 단부(203A)의 단면(203B)과 핀 단자(204)의 주위 면이면서 적어도 코일(203)의 단면(203B)보다 돌출되어 있는 주위 면(204C)에 접촉되어 있다. 이 땜납 필렛(207)에 의해, 핀 단자(204)와 코일 단부(203A)가 계선된다.
본 실시예의 방법에 의하면, 땜납 필렛(207)이, 코일 단부(203A)의 단면(203B)과 핀 단자(204)의 주위 면(204C)이면서 적어도 코일의 단부보다 보빈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분과의 사이에 걸쳐서, 핀 단자(204) 등과 코일(203)의 접촉 면적을 넓게 취하도록 형성되므로, 코일 단부(203A)가 핀 단자(204)와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속된다. 또한, 이러한 필렛(7)에 의해 코일(203)과 핀 단자(204)와의 기계적인 접속 강도가 강화된다. 또한, 코일(203)의 절단면(203C)으로부터 세선 권취부(206)까지의 세선(205)에 의해 코일 단부(203A)와 핀 단자(204)와의 간극으로 땜납이 침입하기 용이하게 되므로, 코일(203)과 핀 단자(204)가 땜납에 의해 견고하게 접속된다.
본 발명에 의한 코일 부품 및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범위 내에서 각종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의 방법에서는, 핀 단자 소체(104', 204')는, 선단부가 L자형이 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핀 단자 소체는 봉형이라도 된다. 또한, 코일(103, 203)의 단말부(103C, 203C)는, 핀 단자 소체(104', 204')의 선단부(104A', 204A')에 지그를 사용하여 가고정해도 된다. 또는, 핀 단자 소체(104', 204')에 코일(103, 203)을 따르도록 하기 위하여, 지그를 이용하여 핀 단자 소체(104', 204')의 선단부 근방에 코일(103, 203)의 단말부(103C, 203C)를 함 께 설치한 후, 세선(105, 205)을 권취해도 된다. 또한, 세선 권취부(106, 206)는, 세선(105, 205)의 1턴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코일 단부의 단면(203B)은, 코일(203)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코일 부품(1)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의한 핀 단자와 코일과의 계선 구조 및 그 방법은, 핀 단자와 코일과의 계선을 필요로 하는 적절한 전자 부품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진 트랜스나 초크 등으로서 사용되는 코일 부품의 분야에 있어서 특히 유용하다.
도 1은 제1 실시예인 코일 부품 중, 코일이 권취된 보빈 및 핀 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제1 실시예인 코일 부품에 있어서, 코일과 핀 단자와의 계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선분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인 코일 부품에 있어서, 코일과 핀 단자와의 다른 계선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a는 제1 실시예인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중, 핀 단자 소체와 코일과의 가고정 단계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4b는 도 11a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인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중, 세선 권취부의 형성 단계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인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중, 핀 단자 소체와 코일과의 절단 및 제거 단계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인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중, 핀 단자와 코일 단부와의 납땜 단계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인 코일 부품 중, 코일이 권취된 보빈 및 핀 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a는 제2 실시예인 코일 부품에 있어서, 코일과 핀 단자와의 계선을 나타 낸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2a의 선분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인 코일 부품에 있어서, 코일과 핀 단자와의 다른 계선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a는 제2 실시예인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중, 핀 단자 소체와 코일과의 가고정 단계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예인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중, 세선 권취부의 형성 단계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예인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중, 핀 단자 소체와 코일과의 절단 및 제거 단계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예인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중, 핀 단자와 코일 단부와의 납땜 단계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102: 코일 부품 102, 202: 보빈
103, 203: 코일 103A, 203A: 코일 단부
103B, 203B, 104D: 단면 104, 204: 핀 단자
104A, 204A: 선단부 105, 205: 세선
106, 206: 세선 권취부 107, 207: 땜납 필렛

Claims (10)

  1. 수지제(樹脂製)의 보빈;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코일;
    상기 보빈에 수납되는 코어; 및
    상기 보빈에 설치되고 코일 단부가 땜납에 의해 계선(繼線)되는 핀 단자
    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으로서,
    상기 핀 단자의 외주 면이면서 상기 코일 단부에 대향하는 부분은, 상기 코일 단부의 외주 면 중 적어도 일부를 받아들이는 오목 면을 배제한 평면 또는 볼록 면 형상을 이루고,
    상기 코일 단부는 상기 핀 단자를 따르도록 상기 보빈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핀 단자의 선단부의 단면은 상기 코일 단부의 단면과 면 일치를 이루고,
    상기 코일 단부와 상기 핀 단자의 선단부를 세선(細線)에 의해 묶어서 고정하는 세선 권취부가 설치되고, 상기 코일 단부의 단면과 상기 핀 단자의 선단부의 단면은 각각 상기 세선 권취부보다 상기 보빈에 대하여 돌출된 위치에 있고,
    상기 핀 단자의 선단부의 단면과 상기 코일 단부의 단면에 걸쳐서 땜납 필렛(fillet)이 형성되어 있는, 코일 부품.
  2. 수지제의 보빈;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코일;
    상기 보빈에 수납되는 코어; 및
    상기 보빈에 설치되고 코일 단부가 땜납에 의해 계선되는 핀 단자
    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으로서,
    상기 코일 단부는, 상기 핀 단자를 따르도록 상기 보빈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핀 단자의 선단은, 상기 보빈에 대하여 상기 코일 단부보다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코일 단부와 상기 핀 단자를 세선에 의해 묶어서 고정하는 세선 권취부가 설치되고, 상기 코일 단부의 단면이 상기 세선 권취부보다 상기 보빈에 대하여 돌출된 위치에 있고,
    상기 코일 단부의 단면과 상기 핀 단자의 주위 면이면서 적어도 상기 코일 단부보다 돌출되어 있는 부분 사이에 땜납 필렛이 형성되어 있는, 코일 부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 단자의 외주 면은, 상기 코일 단부의 외주 면 중 적어도 일부를 받아들이는 오목 면을 배제한 평면 또는 볼록 면 형상을 포함하는, 코일 부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선은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및 상기 세선은 구리 선을 포함하는, 코일 부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선 권취부는, 상기 세선이 간격을 두고 복수 턴(turn) 권취되어 형성되는, 코일 부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단부 및 상기 핀 단자는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이 원형이며, 상기 핀 단자는 상기 코일 단부보다 직경이 작은, 코일 부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단부의 단면은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코일 부품.
  9. 수지제의 보빈,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코일, 상기 보빈에 수납되는 코어, 및 상기 보빈으로부터 돌출하는 일단부와 타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단부는 실장 기판에 실장되는 외부 단자 전극을 이루고, 상기 타단부는 외주 면이면서 상기 코일 단부에 대향하는 부분이 상기 코일 단부의 외주 면 중 적어도 일부를 받아들이는 오목 면을 배제한 평면 또는 볼록 면 형상을 이루고, 상기 코일이 땜납에 의해 상기 타단부에 계선되는 핀 단자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핀 단자의 상기 타단부의 기단부(基端部)에 상기 코일을 안내하여 상기 코일을 상기 핀 단자를 따르도록 가고정하는 단계;
    상기 코일의 단말부를 가고정하는 단계;
    상기 핀 단자의 상기 타단부의 상기 기단부 측에서 상기 코일과 상기 핀 단자를 세선에 의해 묶어서 고정하는 세선 권취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일 단부의 단면과 상기 핀 단자의 선단부의 단면이 면 일치로 되도록, 상기 세선 권취부보다 상기 코일의 단말부 측의 위치에서, 상기 코일 및 상기 핀 단자의 축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코일 및 상기 핀 단자를 동일 면에서 절단하여, 상기 코일의 절단 면을 상기 코일 단부의 단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핀 단자의 절단 면을 상기 핀 단자의 선단 부의 단면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적어도 상기 코일 단부의 단면과 상기 핀 단자의 선단부의 단면에 걸쳐서 땜납 필렛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10. 수지제의 보빈,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코일, 상기 보빈에 수납되는 코어, 및 상기 보빈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코일이 땜납에 의해 계선되는 핀 단자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핀 단자의 기단부에 상기 코일을 안내하여 상기 코일을 상기 핀 단자를 따르도록 가고정하는 단계;
    상기 코일의 단말부를 가고정하는 단계;
    상기 핀 단자의 상기 기단부 측에서 상기 코일과 상기 핀 단자를 세선에 의해 묶어서 고정하는 세선 권취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세선 권취부보다 상기 코일의 단말부 측의 위치에서 상기 코일을 절단하여, 상기 코일의 절단면보다 상기 핀 단자의 단부를 상기 보빈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코일의 절단면과 상기 핀 단자의 주위 면이면서 적어도 상기 코일의 절단면보다 돌출되어 있는 부분과의 사이에 땜납 필렛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KR1020090047462A 2008-05-30 2009-05-29 코일 부품 및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KR1010777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42902 2008-05-30
JP2008142902A JP4506878B2 (ja) 2008-05-30 2008-05-30 コイル部品およ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2008185926A JP4697676B2 (ja) 2008-07-17 2008-07-17 コイル部品およ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JP-P-2008-185926 2008-07-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999A KR20090124999A (ko) 2009-12-03
KR101077795B1 true KR101077795B1 (ko) 2011-10-28

Family

ID=41686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462A KR101077795B1 (ko) 2008-05-30 2009-05-29 코일 부품 및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7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999A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827B1 (ko) 코일 및 코일의 성형 방법
US9035523B2 (en) Coil for an electric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il
JP2008112753A (ja) 横型低背コイル部品及びその巻線端末のはんだ付け方法
CN108091472A (zh) 变压器
CN110853897B (zh) 线圈装置以及线圈装置的制造方法
KR102273354B1 (ko) 전자유도기 및 전자유도기의 제조 방법
JP2006121013A (ja) 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2009105342A (ja) 横型コイル部品及びボビン、並びに巻線端末の接続固定方法
JP4697676B2 (ja) コイル部品およ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2004521517A (ja) トランス
KR101077795B1 (ko) 코일 부품 및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JP4506878B2 (ja) コイル部品およ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US7741945B2 (en) Dry-type transformer with improved terminal construction and mounting system therefor
JPH1169690A (ja) 端子ピン付き捲き線部品
JPS5915166B2 (ja) チヨ−クコイルの製造方法
JP2009218425A (ja) コイル部品及び巻線端末の接続固定方法
JP3454577B2 (ja) トランス
KR920001563Y1 (ko) 코일 장치
US9899893B2 (en) Electric motor including terminal formed by electric swaging and electric swaging method
JPH07192945A (ja) カレントトランス
US11004594B2 (en) Surge voltage reduction member
US11211200B2 (en) Inductive communication coil design
CN109887723A (zh) 平衡-不平衡变压器及其制造方法
JP6996648B1 (ja) ケーブル接続構造体
US20230317364A1 (en) Coi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