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766B1 - 우편물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우편물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766B1
KR101077766B1 KR1020090013655A KR20090013655A KR101077766B1 KR 101077766 B1 KR101077766 B1 KR 101077766B1 KR 1020090013655 A KR1020090013655 A KR 1020090013655A KR 20090013655 A KR20090013655 A KR 20090013655A KR 101077766 B1 KR101077766 B1 KR 101077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pressure
pressure chamber
picked
mail
p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9316A (ko
Inventor
유우스께 미쯔야
요시히꼬 나루오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90129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12Suction bands, belts, or tables moving relatively to the pile
    • B65H3/124Suction bands or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3/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point-like light source; 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light source of unspecified shape
    • F21S13/02Devices intended to be fixed, e.g. ceiling lamp, wall lamp
    • F21S13/10Devices intended to be fixed, e.g. ceiling lamp, wall lamp with a standard, e.g. street 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16Controlling air-supply to pneumatic separa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Presence
    • B65H2511/514Particular portion of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5/00Physical ent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11/00 or B65H2513/00
    • B65H2515/30Forces; Stresses
    • B65H2515/34Pressure, e.g.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3Parts concerned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701/131Edges
    • B65H2701/1311Edges leading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66Envelope filling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축적된 우편물(P)을 각각 반송로(9)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장치(1)는, 픽업 위치(S)를 따라 운행하는 픽업 벨트(4)와, 픽업 위치(S)와의 사이에 픽업 벨트(4)가 개재된 상태로 픽업 위치(S)에 대향하는 부압 챔버(5)를 포함한다. 각각의 우편물(P)이 픽업 위치(S)로부터 픽업되어 반송 벨트(8a, 8b) 사이의 닙(8c)에 도달할 때, 공기가 부압 챔버(5)에 도입되어 그 내부의 부압을 제거한다.
부압 챔버, 우편물, 반송로, 픽업 벨트, 전자기 밸브

Description

우편물 이송 장치{MAIL FEEDING DEVICE}
본 발명은 복수의 축적된 우편물을 하나씩 이송하기 위한 우편물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멍을 갖는 벨트가 벨트의 반대측에 제공된 흡입 노즐을 사용하여 우편물을 하나씩 보유하여 우편물과 함께 이동됨으로써 우편물을 연속적으로 픽업하는 우편물 이송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미국특허 제5,391,051호 참조). 이 장치에서는, 부압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진공 탱크와 흡입 노즐 사이에 제공된다.
이런 구조에서, 각 우편물을 픽업하기 위해, 벨트가 운행되고,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고, 흡입 노즐이 작동되어 흡입력을 사용하여 벨트 상에 각 우편물을 보유한다. 또한, 연속적으로 우편물을 이송하기 위해, 솔레노이드 밸브는 각 우편물의 이송 타이밍에 따라 규칙적으로 폐쇄됨으로써, 이어서 이송된 우편물 사이에 간격을 제공한다.
그러나, 전술한 구조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폐쇄되어 흡입 노즐에 의한 흡입을 정지하더라도, 우편물이 흡입력에 의해 벨트에 보유된 곳에서 우편물에 가 해진 부압은 신속하게 제거될 수 없다. 따라서, 우편물을 고속으로 이송하기 위해 솔레노이드 밸브의 온/오프 사이클이 단축되더라도, 우편물에 가해진 부압이 신속하게 제거될 수 없기 때문에 우편물의 고속 이송은 달성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축적된 우편물을 소정 타이밍으로 하나씩 픽업할 수 있는 우편물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우편물 이송 장치는,
내부에 흡입 구멍이 형성되고, 가장 먼저 축적되고 픽업 위치에 위치된 하나의 우편물이 픽업되는 방향으로 축적된 우편물 중 하나를 따라 운행하도록 구성된 픽업 부재와,
상기 픽업 위치에 대향하는 개구를 갖는 부압 챔버로서, 픽업 위치와 부압 챔버 사이에 픽업 부재가 개재되고, 흡입 구멍을 통해 픽업 위치에 위치된 하나의 우편물에 부압을 가함으로써 상기 하나의 우편물이 픽업 부재에 보유되도록 하는 부압 챔버와,
상기 부압 챔버로부터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 수단과,
공기가 배기 수단에 의해 배기된 부압 챔버에 공기를 도입하여 부압 챔버의 내압을 대기압까지 상승시키도록 구성된 압력 조정 유닛과,
부압에 의해 픽업 부재 상에 보유되어 픽업 위치로부터 픽업된 하나의 우편물을 수용하고, 픽업된 우편물을 반송하도록 구성된 반송 섹션과,
픽업된 우편물이 반송로에 전달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기 섹션과,
상기 검출기 섹션이 픽업된 우편물이 반송로에 전달된 것을 검출한 후에, 압력 조정 유닛이 부압 챔버의 내압을 대기압까지 상승시키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픽업 위치에서 픽업되고, 부압 챔버의 부압에 의해 픽업 부재 상에 보유되고 픽업 위치에서 픽업된 우편물이 반송 섹션으로 전달된 후에, 부압 챔버 내에 공기가 도입되어 그 내부에 부압을 능동적으로 제거하기 때문에, 가장 먼저 언급된 우편물과 의도하지 않게 동시에 픽업된 후속 우편물이 부압 챔버의 부압을 받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축적된 우편물은 소정 타이밍으로 하나씩 신속하게 픽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 및 이점은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어느 정도 명백하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이점은 특히 본 명세서에 제시된 수단과 조합에 의해 실현 및 달성될 수 있다.
명세서에 포함되어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이하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것을 돕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 이송 장치(1){이하, 이송 장치(1)}를 상부로부터 취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이송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송 장치(1)는 입구 유닛(2), 공급 기구(3), 픽업 벨트(4, 픽업 부재), 부압 챔버(5), 흡입 챔버(6), 분리 롤러(7), 반송 벨트(8a, 8b), 센서(S1 내지 S6) 및 전체 이송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10)를 포함한다. 후술하는 모터(17)와 반송 벨트(8a, 8b)는 상호 작용하여 본 발명의 반송 섹션으로서 기능한다. 센서(S5)는 본 발명에서 검출 유닛으로 기능한다. 분리 롤러(7)에 연결되는, 후술하는 펌프(16)는 또한 본 발명에서 공기 공급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제어기(10)는 센서(S1 내지 S6)와, 공급 기구(3)에 통합된 플로어 벨트 및 백업 벨트(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11)와, 화살표(T)로 지시된 방향으로 픽업 벨트(4)를 운행시키는 모터(12)와, 부압 챔버(5)로부터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펌프(13, 배기 수단)와, 분리 롤러(7) 주변에 부압을 발생시키는 펌프(7)와, 반송 벨트(8a, 8b)를 운행시키는 모터(17)에 접속된다.
입구 유닛(2)은 복수의 우편물(P)을 축적되고 기립된 상태로 수용한다. 입구 유닛(2)에 수용된 우편물(P)은 입구 유닛(2)의 일측(도 1에서 좌측)으로, 그리고 공급 기구(3)에 의해 하나씩 픽업 위치(S)로 이동된다. 픽업 위치(S)에 공급되는 각 우편물(P)이 픽업될 때마다, 공급 기구(3)가 작동하여 유닛(2)의 일측에 축적된 후속 우편물(P)을 픽업 위치(S)까지 안내한다.
픽업 벨트(4)는 복수의 풀리(18)에 권취되어 순환 운행하도록 구성된다. 픽 업 벨트(4)의 일부는 픽업 위치(S)까지 안내된 각 우편물(P)과 접촉하게 되고, 각 우편물(P)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 즉 픽업 방향(T, 도 1에서 상향)으로 일정 속도로 운행하도록 되어 있다. 부압 챔버(5)는 픽업 벨트(4) 내측에 픽업 위치(S)와 대향하여, 픽업 벨트(4)가 부압 챔버와 픽업 위치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제공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 벨트(4)는 내부에 복수의 흡입 구멍(4a)이 형성되어 있다. 부압 챔버(5)는 픽업 벨트(4)의 반대측에 대향하는 개구(5a)를 구비한다. 이 구조에서, 픽업 벨트(4)를 운행시킴으로써 부압 챔버(5)로부터 공기가 배기되면, 부압 챔버(5)의 개구(5a)와 픽업 벨트(4)의 흡입 구멍(4a)를 통해 픽업 위치(S)에 위치된 각 우편물(P)에 부압이 가해짐으로써, 부압에 의해 픽업 벨트(4) 상에 각 우편물(P)을 보유한다. 따라서, 픽업 벨트(4)에 의해 보유된 각 우편물(P)은 픽업 벨트(4)의 운행에 따라 픽업 위치(S)로부터 픽업된다.
픽업 위치(S)로부터 픽업된 각 우편물(P)은 반송로(9)를 통해 도 1의 상향으로 반송되고 반송 섹션(8)으로 전달된다. 반송로(9)를 따라 제공된 센서(S1 내지 S6)는 투과 광학 센서이다(각 센서의 부품들 중 하나만 도시됨). 이 센서들은 각 우편물(P)이 광축을 가로지르는지를 검출하고{광축을 가로지를 때, "암(暗)"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 각 우편물(P)이 광축 상에 존재하지 않는지를 검출한다{광축 상에 우편물이 존재하지 않을 때, "명(明)"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 즉, 센서(S1 내지 S6)는 반송 방향에 대해 각 우편물(P)의 선단 및 후단 단부를 검출한다.
흡입 챔버(6)는 각 우편물(P)이 픽업되는 방향에 대해 픽업 벨트(4)의 상류 (도 1에서 하부 위치)에 제공되고, 픽업 위치(S)에 대향하는 개구(6a)를 갖는다. 송풍기(14)가 작동하면, 흡입 챔버(6)의 개구(6a)를 통해 공기가 배기되고, 그로 인해 픽업 위치(S)에서의 공기 유동이 야기된다. 공기 유동은 입구 유닛(2)에 수용되어 입구 유닛(2)의 전술한 일측(좌측)으로 이송된 각 우편물(P)을 신속하게 끌어당기도록 기능한다.
분리 롤러(7)는 우편물 픽업 방향에 대해 픽업 위치(S)의 하류에 제공되고, 반송로(9)가 그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픽업 벨트(4)에 대향한다. 분리 롤러(7)는 내부에 챔버(7a)가 형성된 사실상 원통형인 코어(7b)와, 코어(7b)의 외주연 상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사실상 원통형인 슬리브(7c)를 포함한다. 코어(7b)는 반송로(9)에 고정 개방된 개구(7d)를 구비한다. 슬리브(9c)는 복수의 흡입 구멍(7e)을 구비한다. 이 구조에 의해, 펌프(16)가 작동하여 코어(7b)의 챔버(7a)로부터 공기를 배기하면, 코어(7b) 둘레를 회전하는 슬리브(7c)의 흡입 구멍(7e)을 통해 분리 롤러(7)의 주연에서 부압이 발생한다.
즉, 모터(15)를 사용하여 우편물 픽업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분리 토크를 슬리브(7c)에 가하고, 펌프(16)를 사용하여 슬리브(7c)의 외주연 둘레에 부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선행 우편물이 픽업 위치(S)로부터 픽업될 때 선행 우편물(P)과 의도하지 않게 동시에 픽업된 일부 우편물(P)은 선행 우편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무단 벨트인 반송 벨트(8a)는 분리 롤러(7)와 대향하여, 그 사이에 반송로(9)를 개재한 상태로 인장된다(도 1에서 좌측). 또한, 반송 벨트(8b)는 반송 벨 트(8a)에 대향하여, 그 사이에 반송로(9)를 개재한 상태로 인장된다. 따라서, 분리 롤러(7)의 하류에 위치된 반송로(9)는 2개의 반송 벨트(8a, 8b) 사이에 형성된다. 픽업 위치(S)로부터 픽업된 각 우편물(P)의 전방 단부는 반송 벨트(8a, 8b)의 닙(8c)에 의해 물리게 되고, 반송 벨트(8a, 8b)(반송 섹션)에 의해 하류측으로 반송된다.
이제 입구 유닛(2)에 수용된 복수의 우편물(P)을 반송로(9)로 하나씩 이송하는 작동에 대해 설명된다.
복수의 우편물(P)이 입구 유닛(2)으로부터 이송 장치(1)에 공급되면, 이어서 공급 기구(3)에 의해 픽업 위치(S)로 공급되고, 픽업 벨트(4)에 의해 인출되어 반송로(9)로 이송된다. 반송로(9)를 통해 반송된 우편물(P)은 센서(S1 내지 S6)에 의해 반송 위치 및 상태가 모니터링된다.
각 우편물(P)이 픽업될 때, 펌프(13)가 작동되어 부압 챔버(5)로부터 공기를 배기하고, 그로 인해 픽업 벨트(4)의 표면 상에 부압을 발생시킨다. 또한, 픽업 위치(S)로 지향된 공기 유동은 항상 흡입 챔버(6)에 의해 입구 유닛(2) 내에 가장 먼저 축적된 우편물(P)(즉, 도 1에서 가장 좌측)에 가해진다. 즉, 가장 먼저 축적된 우편물이 신속하게 픽업 위치에 위치되고, 흡입력으로 픽업 벨트(4)에 의해 픽업된다.
픽업 위치(S)로부터 픽업된 우편물(P)은 반송 벨트(8a, 8b)의 닙(8c)으로 안내되고, 우편물의 전방 단부가 닙(8c)에 의해 물리면서 더욱 하류측으로 안내된다. 센서(S5)의 출력이 "명"에서 "암"으로 바뀌면, 픽업된 우편물(P)이 닙(8c)에 도달 했다는 사실이 검출된다. 이때 반송 벨트(8a, 8b)의 운행 속도는 픽업 벨트(4)보다 약간 더 빠른 값으로 설정되고, 이는 우편물(P)이 반송 벨트(8a, 8b)에 의해 잡아 당겨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 이상의 우편물(P)이 먼저 픽업 위치(S)로 이송된 우편물(P)과 동시에 픽업되면, 선행 우편물(P)이 분리 롤러(7)에 의해 후속 우편물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분리 롤러(7)의 주연 상에 부압이 생성되고, 픽업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슬리브(7c) 상에 분리 토크가 작용한다. 단일 운편물(P)이 정상적으로 픽업될 때, 분리 롤러(7)의 슬리브(7c)는 픽업 방향으로 회전한다. 반대로, 2개 이상의 우편물이 동시에 픽업될 때, 슬리브(7c)는 앞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2번째 이후 후속 우편물이 되돌아가서 첫번째 우편물로부터 분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겹쳐진 우편물(P)이 분리되어 하나씩 반송로(9)로 이송될 때, 부압 챔버(5) 내의 부압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고 픽업 벨트(4)를 간헐적으로 운행시킴으로써 인접 우편물(P)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다. 간격은 이송 장치(1)의 하류에 위치하고 반송로(9)에 접속된 처리 유닛(설명 및 도시되지 않음) 내의 우편물(P)의 처리 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특히, 하류에 위치한 처리 유닛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고 충분한 처리 시간을 부여하기 위해, 인접 우편물 사이의 간격을 소정 길이까지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픽업 벨트(4)를 간헐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간격을 형성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벨트를 가속 및 감속시키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아주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이 어렵고, 따라서 벨트가 가속 및 감속할 때 각 우편물과 벨트 사이에는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우편물 사이의 간격을 제어하도록 부압 챔버(5) 내의 부압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서, 부압 챔버(5)에 펌프(13)를 연결하는 파이프를 가로질러 전자기 밸브가 채택되어 온/오프 제어된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우편물(P)이 벨트 상에 남아 있는 곳에서는 펌프(13)에 의한 공기의 배기가 정지한 후에도 긴 시간 동안 부압 챔버(5) 내의 부압이 잔존하기 때문에, 부압 챔버(5) 내의 부압을 대기압으로 회복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전술한 방법 중 하나로 인접 우편물 사이의 간격을 소정 길이까지 제어하는 것은 어렵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부압 챔버(5)에 압력 조정 유닛을 부착함으로써, 인접 우편물 사이의 간격을 소정 길이로 설정하도록 부압 챔버(5) 내의 부압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정 유닛이 설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정 유닛(20)을 갖는 이송 장치(1)의 주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압력 조정 유닛(20)은 부압 챔버(5)에 공기를 이송하기 위한 흡입 파이프(22)와, 흡입 파이프(22)를 가로질러 제공된 전자기 밸브(24)(온/오프 밸브)를 포함한다. 전자기 밸브(24)는 제어기(10)에 의해 온/오프 제어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서, 펌프(13)는 항상 부압 챔버(5)의 내압을 음의 값으로 유지하도록 작동되고, 전자기 밸브(24)는 어떤 우편물(P)도 부압에 의해 픽업 벨트(4)에 부착되지 않을 때 개방된다. 흡입 파이프(22)는, 전자기 밸브(24)가 개 방될 때 펌프(13)에 의해 내압이 부압으로 유지된 부압 챔버(5) 내로 흡입 파이프(22)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양이 펌프(13)에 의해 배기되는 공기 양보다 훨씬 많도록, 큰 직경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픽업 벨트(4)에 부착되고 반송로(9)로 이송된 우편물(P)의 전방 단부가 센서(S5)에 도달할 때, 제어기(10)는 우편물(P)이 반송 벨트(8a, 8b)의 닙(8c)에 전달되었다고 판단하고, 전자기 밸브(24)를 폐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이 타이밍을 "제1 타이밍"이라 한다. 이 처리는 선행 우편물(P)이 반송 벨트(8a, 8b)의 닙(8c)에 의해 보유되고 신뢰성 있게 하류측으로 반송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선행 우편물(P)이 픽업 벨트(4)에 보유되어 있는 동안 후속 우편물이 픽업 벨트(4)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2개 이상의 우편물(P)이 동시에 픽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행 우편물과 후속 우편물(P) 사이의 간격의 검출시에, 제어기(10)는 전자기 밸브(24)를 개방하여 후속 우편물(P)이 픽업 벨트(4)에 보유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에 따라, 후속 우편물의 픽업이 개시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이 타이밍을 "제2 타이밍"이라 한다. 전술한 간격은 전자기 밸브(24)의 개방 타이밍을 조정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센서(S1 내지 S4) 중 하나가 "명"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할 때, 선행 우편물과 후속 우편물 사이에 간격이 검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우편물이 픽업 벨트(4)에 부착되지 않은 제1 타이밍에 전자기 밸브(24)를 개방함으로써, 공기가 흡입 파이프(22)를 통해 부압 챔버(5)로 능동적으로 도입된다. 이는 부압 챔버(5) 내의 부압을 신속하게 소 멸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로 인해 우편물(P) 사이의 간격이 소정 길이로 정밀하게 설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우편물(P)의 픽업 사이클은 단축될 수 있고, 이는 우편물(P)의 고속 픽업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5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압력 조정 유닛(20) 내에 통합된 전자기 밸브(24)의 온/오프 타이밍과 부압 챔버(5)의 내압 변화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로부터, 전자기 밸브(24)가 제2 타이밍에서 폐쇄된 직후에 부압 챔버(5)의 내압이 급격히 감소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는 펌프(13)가 항상 부압 챔버(5)로부터 공기를 배기하도록 작동되기 때문이다. 펌프(13)는 부압 챔버(5)의 내압이 과도하게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제 밸브(13a)(압력 밸브)를 구비한다. 따라서, 펌프(13)가 항상 작동되더라도, 부압 챔버(5)의 내압은 영구적으로 감소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전자기 밸브(24)가 제1 타이밍에서 개방된 직후에, 부압 챔버(5)의 내압이 비교적 완만하게 대기압에 근접한다는 것이 도 5의 그래프로부터 명백하다. 이는 전자기 밸브(24)가 개방되어 공기를 부압 챔버(5)로 유동시키는 동안, 부압 챔버(5) 내의 공기가 펌프(13)에 의해 배기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1 실시예에서 부압 챔버(5)의 내압은 온/오프 밸브가 펌프의 흡입 파이프를 가로질러 제공되는 종래의 경우보다 더 신속하게 대기압까지 상승될 수 있다. 즉, 우편물(P)이 챔버(5)의 개구(5a)를 차단하더라도, 본 실시예의 압력 조정 유닛(20)은 부압 챔버(5)의 내압을 즉시 대기압까지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그로 인해 각 우편물(P)의 고속 픽업이 달성될 수 있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정 유닛(30)을 갖는 이송 장치(1)의 주요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압력 조정 유닛(30)을 갖는 이송 장치(1)는 제1 실시예의 압력 조정 유닛(20)을 갖는 이송 장치(1)와 기본 구조 및 작동이 유사하므로, 제1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 성분은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압력 조정 유닛(30)은 부압 챔버(5)로부터 공기를 배기하기 위해 펌프(13)의 배기 포트를 챔버(5)에 연결하는 배기 파이프(22)와, 배기 파이프(32)를 가로질러 제공된 전자기 밸브(34)(온/오프 밸브)를 포함한다. 압력 조정 유닛(30)은 펌프(13)의 배기 공기를 부압 챔버(5) 내에 능동적으로 도입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압력 조정 유닛(20)과 상이하다.
제2 실시예에서, 제어기(10)는 전자기 밸브(24)와 동일한 타이밍에 전자기 밸브(34)의 온/오프 제어를 실행한다. 그러나, 제2 실시예에서, 전자기 밸브(34)의 개방시, 공기는 제1 실시예보다 부압 챔버(5)에 더욱 능동적으로 도입되고, 따라서 부압 챔버(5) 내의 압력은 제1 실시예보다 더 신속하게 대기압까지 상승할 수 있다.
도 7은 압력 조정 유닛(30)의 전자기 밸브(34)의 온/오프 타이밍과 부압 챔버(5)의 내압 변화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로부터, 전자기 밸브(34)가 개방된 직후에 부압 챔버(5)의 내압은 도 5에 도시된 경우보다 대기압까지 더 신속하게 상승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즉, 제2 실시예에서, 펌프(13)의 배기 공기는 전자기 밸브(34)의 개방시 부압 챔버(5) 내로 갑자기 유동하고, 그 결과 부압 챔버(5) 내의 압력이 즉시 대기압까지 상승한다.
도 8은 전술한 제2 실시예의 수정예에 따른 압력 조정 유닛(30')을 갖는 이송 장치(1)의 주요부를 도시하고 있다. 이 수정예에서는, 부압 챔버(5)에 펌프(13)의 흡입 포트를 연결하는 흡입 파이프(36)를 가로질러 전자기 밸브(38)가 추가로 제공된다. 흡입 파이프(36)를 가로질러 제공된 전자기 밸브(38) 외에, 수정예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유사한 구성 성분은 설명하지 않는다.
수정예에서, 우편물(P)을 픽업할 때, 제어기(10)는 배기 파이프(32)의 전자기 밸브(34)를 폐쇄하고 흡입 파이프(36)의 전자기 밸브(38)를 개방함으로써, 픽업 벨트(4)가 흡입력에 의해 우편물(P)을 보유하게 하고 우편물을 반송로(9)로 이송한다.
픽업된 우편물(P)의 전방 단부가 반송 벨트(8a, 8b)의 닙(8c)에 도달하는 제1 타이밍에, 제어기(10)는 배기 파이프(32)의 전자기 밸브(34)를 개방하고 흡입 파이프(36)의 전자기 밸브(38)를 폐쇄한다. 결과적으로, 제2 실시예에서보다 부압 챔버(5) 내의 압력이 더욱 신속하게 대기압으로 복귀된다.
또한, 우편물(P)과 후속 우편물 사이에 간격이 검출되는 제2 타이밍에, 제어기(10)는 배기 파이프(32)의 전자기 밸브(34)를 폐쇄하고 흡입 파이프(36)의 전자기 밸브(38)를 개방한다. 결과적으로, 부압 챔버(5) 내의 공기는 즉시 배기되고, 후속 우편물(P)이 즉시 픽업된다. 따라서, 수정예에서는 2개의 전자기 밸브(34, 38)가 반대 방식으로 작동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압력 조정 유닛(30')의 전자기 밸브(34, 38)의 온/오프 타이밍과 부압 챔버(5)의 내압 변화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 그 래프로부터, 전자기 밸브(34)가 개방되고 전자기 밸브(38)가 폐쇄된 직후에, 부압 챔버(5)의 내압은 도 7에 도시된 경우보다 더욱 신속하게 대기압으로 상승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즉, 압력 조정 유닛(30')을 사용하는 경우에, 펌프(13)의 배기 공기는 전자기 밸브(34)의 개방시에 부압 챔버(5) 내로 갑자기 유동하고, 챔버(5) 내의 공기의 배기는 전자기 밸브(38)의 폐쇄시에 정지한다. 결과적으로, 부압 챔버(5) 내의 압력은 더욱 신속하게 대기압까지 상승한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정 유닛(40)을 갖는 이송 장치(1)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압력 조정 유닛(40)은, 펌프(13)의 배기 공기를 부압 챔버(5)로 도입하는 대신에, 전술한 제1 타이밍에서 펌프(16)의 배기 공기가 부압 챔버(5)에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점은 도 6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압력 조정 유닛(30)과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제3 실시예에서는, 코어(7b)의 챔버(7a)로부터 공기를 배기하는데 사용되는 펌프(16)의 배기 공기가 또한 부압 챔버(5)의 내압을 대기압으로 복귀시키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흡입 챔버(6)로부터 공기를 배기하는데 사용되는 송풍기(14)의 배기 공기가 또한 부압 챔버(5)의 내압을 대기압으로 복귀시키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전용 공기 공급 유닛이 부압 챔버(5)에 연결될 수 있다.
우편물(P)을 이송할 때, 이송 장치(1)의 제어기(10)는 펌프(16)의 배기 파이프(42)를 가로질러 제공된 전자기 밸브(44)(온/오프 밸브)를 폐쇄하고, 펌프(13)가 부압 챔버(5)로부터 공기를 배기하도록 한다. 이때, 분리 롤러(7) 둘레에 부압을 발생시키는 펌프(16)가 계속해서 공기 배기를 하고, 이렇게 배기된 공기는 해제 밸브(16a)를 통해 배출된다.
그 후, 제어기(10)는 전술한 제1 타이밍에 전자기 밸브(44)를 개방함으로써 펌프(16)의 배기 공기를 부압 챔버(5) 내에 도입한다. 결과적으로, 제2 실시예와 동일한 이점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제1 타이밍에서, 부압 챔버(5)의 내압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신속하게 대기압으로 복귀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정 유닛(50)을 갖는 우편물 이송 장치(1)의 주요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압력 조정 유닛(50)은 제2 및 제3 실시예의 압력 조정 유닛(30, 40)을 조합하여 얻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부압 챔버(5)로부터 공기를 배기하는데 사용되는 펌프(13)의 배기 파이프(32)는 부압 챔버(5)에 연결되고, 전자기 밸브(34)는 배기 파이프(32)를 가로질러 제공된다. 또한, 분리 롤러(7)로부터 공기를 배기하는데 사용되는 펌프(16)의 배기 파이프(42)는 부압 챔버(5)에 연결되고, 전자기 밸브(44)는 배기 파이프(42)를 가로질러 제공된다. 제4 실시예에서도 당연히 펌프(16) 대신에 공기 공급 장치로 작용하는 다른 장치가 부압 챔버(5)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는, 우편물(P)을 이송할 때, 제어기(10)는 2개의 전자기 밸브(34, 44)를 폐쇄하고, 펌프(13)가 부압 챔버(5)로부터 공기를 배기하도록 하고, 픽업 벨트(4)를 운행시켜 우편물(P)을 픽업한다. 그 후, 제어기(10)는 전술한 제1 타이밍에서 2개의 전자기 밸브(34, 44)를 개방시켜 부압 챔버(5)의 내압을 즉시 대기압으로 복귀시킴으로써, 후속 우편물(P)이 흡입력에 의해 픽업 벨트(4) 상에 보 유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전자기 밸브(34, 44)가 전술한 제1 타이밍에서 동시에 개방되어 부압 챔버(5) 내에 많은 양의 공기를 도입함으로써, 부압 챔버(5)의 내압이 신속하게 대기압으로 복귀될 수 있다.
또는, 2개의 전자기 밸브(34, 44)는 전술한 제1 타이밍에서 순차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즉, 2개의 전자기 밸브(34, 44)를 개방하는 시간 사이에 시간 차가 부여될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부압 챔버(5)의 내압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적으로 대기압으로 복귀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정 유닛(60)을 갖는 우편물 이송 장치(1)의 주요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압력 조정 유닛(60)은 제4 실시예의 압력 조정 유닛(50)에 도 8에 도시된 압력 조정 유닛(30')의 구조를 추가함으로써 얻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압력 조정 유닛(60)은 제1 타이밍에서 부압 챔버(5)의 내압을 즉시 대기압으로 복귀시킬 수 있고, 이송 장치(1)의 처리 효율을 최상으로 만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타이밍에서, 2개의 전자기 밸브(34, 44)가 개방되고, 펌프(13)의 흡입 파이프(36)를 가로지르는 전자기 밸브(38)는 폐쇄됨으로써, 챔버(5)로부터의 공기 배기를 정지한 상태로 많은 양의 공기가 부압 챔버(5) 내로 도입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부압 챔버(5)의 내압은 즉시 대기압으로 복귀될 수 있다.
도 14는 압력 조정 유닛(60)이 사용될 때 발생하는 부압 챔버(5)의 내압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제5 실시예에서도, 2개의 전자기 밸브(34, 44)는 제1 타 이밍에서 순차적으로 개방될 수 있고, 따라서 제4 실시예에서처럼 이송 장치(1)의 사용의 자유도가 높다. 또한, 2개의 전자기 밸브(34, 44)가 제1 타이밍에서 단계적으로 개방될 때, 제5 실시예의 부압 챔버(5)의 내압은 제4 실시예보다 더 신속하게 대기압으로 복귀될 수 있다는 것이 도 12 및 도 14로부터 이해될 수 있다. 이는 제5 실시예에서 2개의 전자기 밸브(34, 44)가 개방될 때 흡입측 전자기 밸브(38)가 폐쇄되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픽업 벨트(4)에 가해지는 부압이 제거되어 우편물(P)을 보유하는 것이 정지될 때, 공기가 부압 챔버(5)에 능동적으로 도입됨으로써, 부압을 즉시 제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압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픽업 벨트(4)가 잔류 부압에 의해 후속 우편물을 원치 않게 보유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는, 각 우편물(P)이 소정의 타이밍에서 픽업 벨트(4)에 의해 보유될 수 있고, 따라서 우편물(P)의 픽업 사이클이 단축될 수 있고, 연속하는 우편물(P) 사이에 간격이 신뢰성 있게 설정될 수 있다.
추가적인 이점 및 수정은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넓은 태양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되고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 및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반적인 발명의 개념의 사상과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과 그 등가물에 의해 한정되는 것과 같은 다양한 수정예가 가능하다.
예컨대, 전술한 제4 및 제5 실시예에서는, 제1 타이밍에서 부압 챔버(5)로부터 공기를 배기하는데 사용되는 펌프(13)의 배기 공기가 챔버(5)로 복귀되고, 또한 공기가 챔버(5)에 연결된 다른 공기 공급 장치{예컨대, 펌프(16)}를 통해 챔버에 공급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런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공기 공급 장치가 더 많은 양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챔버(5)에 연결될 수 있다.
추가로, 전술한 실시예들은 픽업 위치(S)에 공급된 각 우편물(P)을 픽업하기 위한 픽업 부재로서 무단 픽업 벨트(4)를 채택하지만, 다른 형태의 픽업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이 픽업 부재는 우편물이 픽업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흡입 구멍을 갖는 로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편물 이송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우편물 이송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우편물 이송 장치 내에 포함된 픽업 벨트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정 유닛을 갖는 우편물 이송 장치의 주요부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도 4의 압력 조정 유닛이 사용될 때 발생되는 부압 챔버의 내압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정 유닛을 갖는 우편물 이송 장치의 주요부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도 6의 압력 조정 유닛이 사용될 때 발생되는 부압 챔버의 내압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8은 도 6의 압력 조정 유닛의 수정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도 8의 압력 조정 유닛이 사용될 때 발생되는 부압 챔버의 내압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정 유닛을 갖는 우편물 이송 장치의 주요부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정 유닛을 갖는 우편물 이송 장치의 주요부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12는 도 11의 압력 조정 유닛이 사용될 때 발생되는 부압 챔버의 내압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정 유닛을 갖는 우편물 이송 장치의 주요부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14는 도 13의 압력 조정 유닛이 사용될 때 발생되는 부압 챔버의 내압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송 장치
2 : 입구 유닛
3 : 공급 기구
4 : 픽업 벨트
5 : 부압 챔버
6 : 흡입 챔버
7 : 분리 롤러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흡입 구멍이 내부에 형성되고, 가장 먼저 축적되고 픽업 위치에 위치된 하나의 우편물이 픽업되는 방향으로 축적된 우편물 중 하나를 따라 운행하도록 구성된 픽업 부재와,
    상기 픽업 위치에 대향하는 개구를 갖는 부압 챔버로서, 픽업 위치와 부압 챔버 사이에 픽업 부재가 개재되고, 흡입 구멍을 통해 픽업 위치에 위치된 하나의 우편물에 부압을 가함으로써 상기 하나의 우편물이 픽업 부재에 의해 보유되도록 하는 부압 챔버와,
    상기 부압 챔버로부터 공기를 배기하는 제1 배기 수단과,
    상기 제1 배기 수단에 의해 공기가 배기된 상기 부압 챔버에 공기를 도입하여 상기 부압 챔버의 내압을 대기압까지 상승시키도록 구성된 압력 조정 유닛과,
    부압에 의해 픽업 부재 상에 보유되어 픽업 위치로부터 픽업된 하나의 우편물을 수용하고, 픽업된 우편물을 반송하도록 구성된 반송 섹션과,
    픽업된 우편물이 반송로에 전달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기 섹션과,
    상기 검출기 섹션이 픽업된 우편물이 반송로에 전달된 것을 검출한 후에, 상기 압력 조정 유닛이 상기 부압 챔버의 내압을 대기압까지 상승시키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조정 유닛은 상기 부압 챔버에 공기를 도입하도록 구성된 공기 공급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부압 챔버에 상기 공기 공급 유닛을 연결하는 공기 공급 파이프를 가로질러 공급된 온/오프 밸브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압력 조정 유닛은 상기 부압 챔버에 상기 제1 배기 수단의 배기 포트를 연결하는 배기 파이프와, 상기 배기 파이프를 가로질러 제공된 온/오프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배기 파이프를 가로질러 제공된 상기 온/오프 밸브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우편물 이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정 유닛은 상기 부압 챔버에 상기 제1 배기 수단의 흡입 포트를 연결하는 흡입 파이프를 가로질러 제공된 온/오프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흡입 파이프의 상기 온/오프 밸브와 상기 배기 파이프의 상기 온/오프 밸브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우편물 이송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배기 파이프의 상기 온/오프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흡입 파이프의 상기 온/오프 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배기 파이프의 상기 온/오프 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흡입 파이프의 상기 온/오프 밸브가 폐쇄되도록,
    2개의 온/오프 밸브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우편물 이송 장치.
  7. 흡입 구멍이 내부에 형성되고, 가장 먼저 축적되고 픽업 위치에 위치된 하나의 우편물이 픽업되는 방향으로 축적된 우편물 중 하나를 따라 운행하도록 구성된 픽업 부재와,
    상기 픽업 위치에 대향하는 개구를 갖는 부압 챔버로서, 픽업 위치와 부압 챔버 사이에 픽업 부재가 개재되고, 흡입 구멍을 통해 픽업 위치에 위치된 하나의 우편물에 부압을 가함으로써 상기 하나의 우편물이 픽업 부재에 의해 보유되도록 하는 부압 챔버와,
    상기 부압 챔버로부터 공기를 배기하는 제1 배기 수단과,
    상기 제1 배기 수단에 의해 공기가 배기된 상기 부압 챔버에 공기를 도입하여 상기 부압 챔버의 내압을 대기압까지 상승시키도록 구성된 압력 조정 유닛과,
    부압에 의해 픽업 부재 상에 보유되어 픽업 위치로부터 픽업된 하나의 우편물을 수용하고, 픽업된 우편물을 반송하도록 구성된 반송 섹션과,
    픽업된 우편물이 반송로에 전달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기 섹션과,
    상기 검출기 섹션이 픽업된 우편물이 반송로에 전달된 것을 검출한 후에, 압력 조정 유닛이 부압 챔버의 내압을 대기압까지 상승시키도록 구성된 제어기와,
    상기 부압 챔버의 부압에 의해 픽업 부재 상에 보유되고 픽업 위치로부터 픽업된 상기 하나의 우편물과 의도하지 않게 동시에 픽업된 적어도 하나의 우편물에 부압을 가하도록 구성된 분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조정 유닛은 상기 부압 챔버에 공기를 도입하도록 구성된 공기 공급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공급 유닛은 상기 분리 유닛을 통해 부압을 발생시키는 제2 배기 수단으로부터 배기된 공기를 사용하는, 우편물 이송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정 유닛은 상기 부압 챔버에 상기 제1 배기 수단의 배기 포트를 연결하는 배기 파이프와, 상기 배기 파이프를 가로질러 제공된 온/오프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배기 파이프를 가로질러 제공된 상기 온/오프 밸브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우편물 이송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 챔버의 부압에 의해 픽업 부재 상에 보유되고 픽업 위치로부터 픽업된 상기 하나의 우편물과 의도하지 않게 동시에 이송된 적어도 하나의 우편물에 부압을 가하도록 구성된 분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공급 유닛은 상기 분리 유닛을 통해 부압을 발생시키는 제2 배기 수단으로부터 배기된 공기를 사용하는, 우편물 이송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정 유닛은 상기 부압 챔버에 상기 제1 배기 수단의 흡입 포트를 연결하는 흡입 파이프를 가로질러 제공된 온/오프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배기 파이프를 가로질러 제공된 상기 온/오프 밸브와, 상기 흡입 파이프를 가로질러 제공된 상기 온/오프 밸브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우편물 이송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 챔버의 부압에 의해 픽업 부재 상에 보유되고 픽업 위치로부터 픽업된 상기 하나의 우편물과 의도하지 않게 동시에 이송된 적어도 하나의 우편물에 부압을 가하도록 구성된 분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공급 유닛은 상기 분리 유닛을 통해 부압을 발생시키는 제2 배기 수단으로부터 배기된 공기를 사용하는, 우편물 이송 장치.
  12. 삭제
KR1020090013655A 2008-06-11 2009-02-19 우편물 이송 장치 KR1010777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53037A JP5403951B2 (ja) 2008-06-11 2008-06-11 紙葉類取り出し装置
JPJP-P-2008-153037 2008-06-1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239A Division KR101204554B1 (ko) 2008-06-11 2011-04-11 우편물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316A KR20090129316A (ko) 2009-12-16
KR101077766B1 true KR101077766B1 (ko) 2011-10-27

Family

ID=41110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655A KR101077766B1 (ko) 2008-06-11 2009-02-19 우편물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954805B2 (ko)
EP (1) EP2133296B1 (ko)
JP (1) JP5403951B2 (ko)
KR (1) KR1010777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0812B2 (ja) * 2007-08-29 2012-06-13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取り出し装置
JP5403951B2 (ja) * 2008-06-11 2014-01-29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取り出し装置
JP5550254B2 (ja) 2009-04-23 2014-07-16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取り出し装置
JP5388915B2 (ja) * 2010-03-16 2014-01-15 株式会社東芝 流路開閉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JP5509125B2 (ja) * 2011-03-02 2014-06-04 株式会社東芝 紙葉類の取出し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紙葉類処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9229A (ja) * 1998-10-02 2000-04-18 Nec Corp 紙葉類の供給装置
US20020101022A1 (en) 2001-01-30 2002-08-01 Wayne Blackwell Singulation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56187A (en) * 1955-11-18 1958-10-14 Pitney Bowes Inc Workpiece feeding device
JPS5771148U (ko) * 1980-10-15 1982-04-30
JPS59146337U (ja) * 1983-03-16 1984-09-29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取出装置
JPS63176236A (ja) * 1986-12-30 1988-07-20 アマルガメ−テツド ワイヤレス(オ−ストララシア)リミツテツド 移送装置
JP2851650B2 (ja) * 1989-10-04 1999-01-27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給紙装置
FR2696163B1 (fr) 1992-09-25 1994-11-04 Cga Hbs Dépileur d'articles plats incluant un dispositif de retaquage.
JP4572161B2 (ja) * 2005-11-15 2010-10-27 日本電気株式会社 紙葉類供給装置及び紙葉類供給方法
EP1837296B1 (en) * 2006-03-24 2013-08-28 Kabushiki Kaisha Toshiba Device and method for taking out sheets
KR100902983B1 (ko) 2006-05-11 2009-06-15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
JP5403951B2 (ja) * 2008-06-11 2014-01-29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取り出し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9229A (ja) * 1998-10-02 2000-04-18 Nec Corp 紙葉類の供給装置
US20020101022A1 (en) 2001-01-30 2002-08-01 Wayne Blackwell Singulation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42580A1 (en) 2011-06-16
US7954805B2 (en) 2011-06-07
EP2133296B1 (en) 2018-10-24
JP2009298514A (ja) 2009-12-24
EP2133296A3 (en) 2011-07-13
US8181954B2 (en) 2012-05-22
KR20090129316A (ko) 2009-12-16
JP5403951B2 (ja) 2014-01-29
US20090309292A1 (en) 2009-12-17
EP2133296A2 (en)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766B1 (ko) 우편물 이송 장치
KR100902983B1 (ko) 지엽류 분리 취출 장치
US8201819B2 (en) Valve device and paper sheet pickup apparatus
US6186491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US8096546B2 (en) Paper sheet pickup device
KR101110473B1 (ko) 밸브 유닛 및 용지 취출 장치
KR20110104426A (ko) 유로 개폐 기구 및 시트 취급 장치
JP5367463B2 (ja) 紙葉類取り出し装置
JP3184858U (ja) 扁平な物品を分離するための分離器装置、およびそれを含む郵便選別機
JP2008273666A (ja) 紙葉類取り出し装置
JP2008280139A (ja) 紙葉類分離取り出し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9227460A (ja) 紙葉類処理装置
KR101109266B1 (ko) 지엽류 공급 장치
KR101204554B1 (ko) 우편물 이송 장치
JP2007326713A (ja) 紙葉類分離取り出し装置
KR101040840B1 (ko) 시트 취출 장치
JP5487332B2 (ja) 紙葉類取り出し装置
JPH08290124A (ja) 紙葉類取出装置、紙葉類取出装置を備えた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紙葉類取出方法
JP2000264491A (ja) 紙葉類の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JPH11334907A (ja) 紙葉類分離機構
JPH10310327A (ja) ボビン搬送装置
JP2004012232A (ja) 透明部分を有するワークの検出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