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716B1 - 내연기관의 윤활유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불순물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윤활유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불순물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716B1
KR101077716B1 KR1020067002799A KR20067002799A KR101077716B1 KR 101077716 B1 KR101077716 B1 KR 101077716B1 KR 1020067002799 A KR1020067002799 A KR 1020067002799A KR 20067002799 A KR20067002799 A KR 20067002799A KR 101077716 B1 KR101077716 B1 KR 101077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cap
intermediate lead
centrifuge
housing
faste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2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1823A (ko
Inventor
디터 바우만
Original Assignee
헹스트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헹스트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헹스트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60061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4Combinations of filters with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01D29/21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4Combinations of filters with settling tanks
    • B01D36/045Combination of filters with centrifugal separa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005Centrifugal separators or filters for fluid circulation systems, e.g. for lubricant oil circul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2Casings; L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0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 F01M2001/1028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urification
    • F01M2001/1035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urification comprising centrifugal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0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 F01M2001/105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characterised by the layout of the purification arrangements
    • F01M2001/1057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characterised by the layout of the purification arrangements comprising a plurality of filters, parallel or s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윤활유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거 장치(1)는 하부에 필터 인서트(2); 그리고 그 상부에는 관류하는 윤활유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로터(31)를 구비한 원심 분리기(3);를 포함하고 있되, 상기 필터 인서트(2) 및 상기 원심 분리기(3)는 본원의 제거 장치(1)가 작동할 시에 밀폐되며 탈착가능한 상부의 나사 캡(41) 및 고정하는 하부 하우징부(42)를 구비한 공통의 2개 편으로 된 하우징(4) 내에 상하로 적층되어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4) 내에서 필터 인서트(2)와 원심 분리기(3) 사이에는 탈착식 중간 리드(5)가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하우징(4)이 개방된 상태에서 이 하우징(4)으로부터 상기 원심 분리기(3), 상기 중간 리드(5), 및 상기 필터 인서트(2)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제거 장치(1)에 따라, 상기 나사 캡(41)과 상기 중간 리드(5)는 축방향 견인력 또는 축방향 견인력 및 압축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호간에 맞물리며 탈거 가능한 체결 수단들(45, 54; 34, 43')을 포함한다.
나사캡, 중간 리드, 원심 분리기, 필터 인서트, 원심 분리기 로터

Description

내연기관의 윤활유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불순물 제거 장치 {DEVICE FOR ELIMINATING IMPURITIES FROM THE LUBRICATING OIL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윤활유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불순물 제거 장치는 하부에 필터 인서트와 이 위에 관류하는 윤활유를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는 로터를 구비한 원심 분리기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인서트 및 상기 원심 분리기는 본원의 장치가 작동할 시에 밀폐되며, 탈착가능한 상부의 나사 캡 및 고정된 하부 하우징부를 구비한 공통의 2개 편으로 된 하우징(common two-piece housing) 내에 상하로 적층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내에서 필터 인서트와 원심 분리기 사이에는 탈착식 중간 리드가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태에서 이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원심 분리기, 상기 중간 리드 및 상기 필터 인서트가 탈거될 수 있다.
전술한 종류의 불순물 제거 장치는 독일특허 제43 06 43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공지된 장치에서, 나사 캡이 하우징의 탈착식 부재로서 풀림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우선적으로 오로지 나사 캡만이 자신의 나사산에 따라 하우징의 고정 부재로부터 떨어져서 상부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하우징의 상부 부분에 배치되는 원심 분리기의 로터는 자신의 위치를 유지한다. 상기 하우징 캡을 제거한 후에, 상기 원심 분리기의 로터는 자신의 하부 베어링에 위치한다. 다음 뒤이은 순서로서 원심 분리기 로터가 제거될 수 있다. 그 후에 중간 리드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다. 상기 중간 리드는 하우징의 하부 부분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탈거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중간 리드와 상기 필터 인서트 사이에 탈착식 체결 수단들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중간 리드는 자신의 하부에 배치된 필터 인서트를 상부방향으로 함께 이동시킨다. 중간 리드 및 필터 인서트로 이루어진 조합체를 제거한 후에, 상기 필터 인서트는 비틀거나 축방향으로 견인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중간 리드로부터 빼내어 탈거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새 필터 인서트를 상기 중간 리드 내에 끼워 상기 탈착식 체결 수단을 통해 상기 중간 리드와 체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순물 제거 장치의 조립은 분해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우선적으로 중간 리드를 필터 인서트와 함께 하우징의 하부 부분 내로 삽입한다. 그런 후에, 원심 분리기 로터는 그 하부 베어링과 함께 상기 중간 리드 상에 안착된다. 최종의 순서로서, 나사 캡을 풀되, 상기 원심 분리기 로터의 상부 베어링의 설정 위치는 상기 나사 캡의 상부 내측 단부의 중심에 오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공지된 불순물 제거 장치의 분해 및 조립은 명백하게 상대적으로 복잡하면서도 번거롭다. 더욱이, 분해 시에 오일이 묻은 부재들을, 특히 중간 리드를 손으로 잡거나 혹은 적합한 공구로 포착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의 손에 의한 오염과 더불어, 상기 중간 리드의 충분히 견고한 포착이 도포된 오일 표면으로 인해 어렵다는 추가의 문제가 야기된다. 그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력 및 경우에 따라 존재하는 진공에 대항하여 하우징의 하부 부분으로부터 중간 리드를 탈거하는 점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최초에 언급한 종류의 불순물 제거 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단점들을 회피하고, 무엇보다 분해 및 조립이 특히 필터 인서트 및/또는 원심 분리기 로터의 교체와 관련하여 더욱 용이하고 더욱 신속하면서도 더욱 청결하게 개시되는 상기와 같은 불순물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최초에 언급한 종류의 불순물 제거 장치에 있어서, 나사 캡 및 중간 리드가 상호간에 맞물릴 수 있으며 축방향 견인력 혹은 축방향 견인력 및 압축력을 전달하기 위한 탈착식 체결 수단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불순물 제거 장치를 이용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나사 캡을 풀림 회전시킬 시에, 동시에 중간 리드와 그 사이에 위치하는 원심 분리기가 상기 나사 캡과 함께 필터 하우징의 고정 부재에 상대적으로 상부방향으로, 다시 말해 풀림 방향으로 이동하는 점이 달성된다. 상기 나사 캡이 풀림 회전되면, 이 나사 캡은 중간 리드 및 원심 분리기와 함께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되, 동시에 상기 중간 리드 및 상기 원심 분리기도 하우징으로부터 탈거된다. 앞서 상술한 추가의 단점들과 결부되는 원심 분리기 및 중간 리드의 별도의 탈거는 이제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다. 이에 이어서, 하우징 내 하부에 있는 필터 인서트에 대해 자유로이 접근할 수 있다. 나사 캡과 중간 리드 사이의 체결 수단들은 탈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두 부재들은 하우징으로부터 함께 탈거한 후에 상호간에 분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심 분리기 로터에 대한 접근이 가능케 된다. 그와 반대로 사전 조립된 유닛이 중간 리드, 로터 및 나사 캡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원의 불순물 제거 장치의 하우징과 유일의 나사 체결과정으로 함께 다시 체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원의 불순물 제거 장치의 분해 및 조립은 개략화 및 가속화되고, 작업자는 더욱 청결한 작업을 할 수 있다. 상기 체결 수단들이 축방향 압축력을 전달할 수 있는 용도로 설계된다면, 중간 리드의 양측의 압력 차이에 따라 나사 캡 쪽 방향으로 상기 중간 리드 상에 작용하는 힘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체결 수단들이 활용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체결 수단들은 중간 리드에 상대적으로 나사 캡을 그 풀림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맞물리게 되며, 그리고 중간 리드에 상대적으로 상기 나사 캡을 그 고정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그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경우 상기 체결 수단들은 단순한 회전 운동을 통해 소요에 따라 맞물리게 하거나 그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맞물림을 생성하고 해제하기 위해 실제로 스냅식 체결부에서처럼 이를 체결하거나 해제해야만 할 때와 같이 힘을 소모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견인력을 전달하기 위한 맞물림은 오로지 실제로 필요할 때에만, 즉 본원의 불순물 제거 장치를 분해할 시에만 체결되기만 하면 된다. 이러한 맞물림은 나사 캡을 하우징의 고정 부재로부터 풀기 위해 여하히 요구되는 점으로서 단순히 나사 캡을 풀림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동시에, 나사 캡을 풀림 회전시킬 시에, 중간 리드는 목표되는 방식으로 하우징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나사 캡이 이탈됨과 더불어 함께 이탈된다. 그럼으로써 하우징으로부터 중간 리드의 간단한 제거가 가능한데, 왜냐하면 상기 중간 리드는 나사 캡을 탈거할 시에 동시에 하우징으로부터 함께 이탈되고 작업자는 별도로 하우징으로부터 탈거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나사 캡으로부터 중간 리드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나사 캡의 고정 회전 방향으로 짧게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며, 그럼으로써 중간 리드 및 나사 캡 사이의 체결 수단들의 맞물림은 해제되고 중간 리드는 나사 캡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런 후에, 예컨대 소모된 원심 분리기 로터를 제거하고, 새 로터로 교체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중간 리드는 마찬가지로 용이한 방식으로 간단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체결 수단들을 통해 나사 캡과 체결하여, 로터 및 나사 캡과 함께 사전 조립된 유닛으로서 하우징 내에 끼우고 나사 캡을 고정 회전시킴으로써 하우징 내에 고정시킨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나사 캡 및 중간 리드에서 회전식 체결 수단으로서 형성되는 그들의 체결 수단들은 베이어닛 조인트 모양으로 혹은 짧은 나사로서 설계된다. 이러한 경우 나사 캡 및 중간 리드의 체결 및 분리를 위한 바람직하게는 짧은 회전 이동거리가 달성되며, 이는 신속한 작업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제안에 따라, 중간 리드는 벨(bell) 형상을 가지며, 그 외주면 상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rib)들을 포함하되, 이들 리브들은 각각 체결 수단으로서 원주방향으로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확대부 혹은 개구를 구비하여 형성되며, 그리고 나사 캡은 자신의 하부 테두리에 체결 수단으로서 나사 캡 자신의 풀림 회전방향으로 향하는 후크 혹은 노즈부를 포함하되, 이러한 후크 또는 노즈부는 중간 리드에 상대적으로 풀림 회전 방향으로 나사 캡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확대부 혹은 개구와 맞물리며, 중간 리드에 상대적으로 고정 회전 방향으로 나사 캡을 회전시키면 그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나사 캡은 오로지 자신의 원주에 걸쳐 분포되는 방식으로 나사 캡 자신의 선단 테두리에 복수의, 예컨대 3개 혹은 4개의 후크나 노즈부만이 필요할 뿐이며, 이는 나사 캡의 제조 시에 오로지 매우 적은 추가 비용만을 요구한다. 또한, 중간 리드의 측면에서 상기 후크나 노즈부와 상호 작용하는 체결 수단으로서 확대부 혹은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비용도 상대적으로 적으며, 그럼으로써 중간 리드의 제조를 위해 본원의 불순물 제거 장치의 가격을 상승시킬 만큼의 상당한 추가 비용은 발생하지 않는다.
일 개선예에 따라서는, 확대부 혹은 개구를 포함하는 리브들은 동시에 중간 리드를 보강하고 하우징의 내부의 유압에 의해 중간 리드 하부에서 야기되는 힘을 나사 캡 상으로 유도하기 위한 안정화 및 힘 유도 리브로서 이용된다. 그에 따라 상기 리브들은 2가지 기능을 가지며, 그럼으로써 가능한 한 많은 기능들을 달성할 시에 소재 및 제조 비용은 가능한 적게 유지된다.
상기 중간 리드의 체결 수단들은 상기 중간 리드의 외주면 상의 리브들 영역 대신에 또 다른 위치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바람직한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간 리드는 벨 형상을 가지며, 그리고 반경방향의 외부에서 중간 리드 자신의 상부측 상에는 상부방향으로 향하면서 원주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베인(vane)들을 포함하되, 이들 베인들은 체결 수단으로서 각각 원주방향으로 향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확대부 혹은 개구를 구비하여 혹은 반경방향에서 하부방향으로 요입된 함몰부를 구비하여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나사 캡은 자신의 하부 테두리에 체결수단으로서 나사 캡 자신의 풀림 회전 방향으로 향하거나 반경방향에서 내부방향으로 향하는 후크나 노즈부를 포함하되, 이러한 후크나 노즈부는 중간 리드에 상대적으로 나사 캡의 풀림 회전 방향으로 나사 캡을 회전시킴으로써 중간 리드의 체결 수단들과 맞물리며, 그리고 중간 리드에 상대적으로 나사 캡의 고정 회전 방향으로 나사 캡을 회전시킴으로써 그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러한 설계는 중간 리드에서의 체결 수단들이 중간 리드의 상부 영역에서 가능한 한 상부에 위치한다는 특별한 장점을 가지며, 이는 바람직하게 높이가 낮은 나사 캡의 사용을 허용한다.
하우징 내에 중간 리드를 사전에 삽입한 후에 나사 캡을 조여 고정할 시에 그들의 체결 수단들이 축방향에서 상호간에 마주보게 위치되어 고정되는 점을 회피하기 위해, 일측에서 나사 캡의 체결 수단들과 타측에서 중간 리드의 체결 수단들을 구비한 베인들은 이미 중간 리드가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 있고, 고정 하우징부 상에 나사 캡을 안착시킬 시에, 중간 리드 및 나사 캡이 상호간에 나사식으로 맞물리기 전에 축방향에서 상호간에 중첩되는 방식으로, 배치 및 형성되어 있는 점이 제공된다.
본원의 불순물 제거 장치의 용이하면서도 신속한 조립을 위해, 이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본원의 장치의 부재들을 사전 조립된 어셈블리로 조립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베인들은 반경방향의 외부에, 이동 유격을 가지면서 나사 캡의 내부에 일치하는 가이드 윤곽을 갖는다. 이러한 가이드 윤곽 덕분에, 중간 리드는 중간 리드 자신에 의해 지지되는 원심 분리기 로터와 함께 정확하게 축방향으로 나사 캡 내에 삽입될 수 있되, 로터 샤프트의 상부 축단은 정확하게 나사 캡의 상부 내측의 중심에 위치하는 축 수납부 내에 도달하는 점이 보장된다.
중간 리드의 하부에는 본원의 장치가 작동할 시에 상당한 윤활유 압력이 존재하며, 그에 반해 상기 중간 리드 위쪽의 영역은 무압 상태이다. 이와 같은 압력 차이에 의해 야기되어 상기 중간 리드 상에 작용하는 힘을 흡수하여 나사 캡 내로 유도하기 위해, 베인들의 표면 또는 그 옆에 각각 중간 리드로부터 반경방향에서 외부방향으로 돌출된 계단부가 제공되며, 이 계단부 상에는 나사 캡이 조여진 상태에서 각각의 구간이 나사 캡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직립해 있다.
본원의 불순물 제거 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원주방향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회전 이동에 대항하여 중간 리드를 고정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계단부들의 적어도 일 부분은 나사 캡의 풀림 회전방향으로 향하는 자신의 단부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각각의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장자리들은 조립된 상태에서 나사 캡에 상대적인 중간 리드의 자기 회전에 대항하여 회전 차단부를 형성하지만, 그러나 상기와 같은 회전 차단부는 나사 캡을 풀 시에 수작업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용이하게 극복될 수 있다.
무엇보다 나사 캡의 하부 가장자리가 직선의 연속 윤곽을 포함하지 않을 때, 나사 캡을 고정 회전시킬 시 상기 하부 가장자리가 계단부들 상에 고정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나사 캡의 고정 회전 방향에서 볼 때 중간 리드에서 적어도 가장자리를 가지는 계단부 전방에 나사 캡의 하부 가장자리용으로 상기 계단부의 가장자리의 높이에 위치하여 연속되거나 끊어진 각각의 활주 경사면(sliding ramp)이 제공된다.
베인들 및 중간 리드를 전체적으로 더욱 안정적이면서도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안되는 점에 따라, 상기 베인들은 연속되는 원형의 칼라부(collar)를 통해 상호간에 연결되어 있거나, 혹은 연속되는 원형의 칼라부에 통합되어 있다.
나사 캡을 고정 하우징부로부터 풀 시에, 맞물림 상태에 위치하는 체결 수단들을 통해 상기 나사 캡과 체결된 중간 리드와 이 중간 리드와 체결된 원심 분리기 로터가 원하지 않는 방식으로 자동으로 떨어져서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일측에서 나사 캡의 체결 수단들 및/또는 타측에서 중간 리드의 체결 수단들이 상호간에 맞물리게 되는 자신들의 표면에 맞물림 위치를 보장하는 경사부 또는 계단부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수작업으로 용이하게 극복될 수 있는 충분히 효율적인 풀림 고정이 제공된다.
일측에서 나사 캡은 중간 리드로부터 힘을 흡수하고 상기 중간 리드 상에 인가해야 하며, 그리고 타측에서 상기 나사 캡은 가능한 한 경량이어야 하기 때문에, 추가로 상기 나사 캡은 적어도 자신의 체결 수단들의 영역에서 자신의 내주면에 보강 리브들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리브들은 바람직하게는 캡의 축방향으로 향하는 주요 하중 방향에 상응하게 연장된다.
본원의 앞서 기술한 불순물 제거 장치의 제1 버전에 따라 상호간 관계에서 중간 리드 및 필터 인서트는 본원의 장치의 비체결된 개별 부재들이며, 그리고 상기 중간 리드 및/또는 필터 인서트는 체결 수단 없이 설계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원심 분리기 및 중간 리드와 함께 나사 캡을 탈거한 후에, 이에 이어서 필터 인서트는 단독으로 하우징으로부터 탈거한다; 이는 예컨대 순수 수작업으로 혹은 적합한 수작업 공구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인서트를 하우징으로부터 함께 탈거할 수 있는 모듈러 유닛 내에 포함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체되는 방법에 따라, 중간 리드 및 필터 인서트는 상호간에 맞물릴 수 있으면서 탈착이 가능하며 축방향 견인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 체결 수단들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작업자는 오로지 외부가 대개 청결한 나사 캡을 잡고 회전시키기만 하면 된다; 본원의 장치에 포함되며 하우징으로부터 탈거해야만 하는 오일이 도포된 추가의 부재들은 탈거를 위해 포착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상기 나사 캡은 원심 분리기 및 중간 리드와 더불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필터 인서트를 동일한 이동방향, 즉 상부방향으로 함께 이동시킨다. 그런 다음 나사 캡, 원심 분리기, 중간 리드 및 필터 인서트로 이루어져 하우징으로부터 탈거된 유닛은 간단한 유형 및 방식으로 분해할 수 있으며, 원심 분리기 로터 및/또는 필터 인서트를 교환한 후에 다시 조립하여 함께 상기 하우징 내에 내장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체결 수단들은 스냅식 체결 수단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수단들은 필터 하우징의 필터 인서트 및 나사 캡 사이의 체결부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바람직하게는 이미 스냅식 체결 수단들을 구비한 통상적인 필터 인서트는 본 발명에 따른 불순물 제거 장치 내에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개선예에 따라, 상기 제2 체결 수단들은 필터 인서트의 측면에서는 반경방향에서 외부방향으로 향하거나 내부방향으로 향하는 래치 노즈부를 구비한 래치 후크의 림(rim)부에 의해, 그리고 중간 리드의 측면에서는 이 중간 리드의 내주면에 혹은 그 외주면에 언더커팅 가공된 링(ring)부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2 체결 수단들은 또한 스냅식 체결 수단 대신에 대체되는 방법에 따라 회전식 체결 수단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식 체결 수단들은 무엇보다 체결부를 형성하거나 해제하기 위해 오로지 매우 극미한 힘만을 요구하는 회전 이동을 제공하기만 하면 되는 장점을 가지며, 이는 또한 수작업으로 완벽하게 실시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라, 회전식 체결 수단으로서 형성된 제2 체결 수단들은 베이어닛 조인트 모양으로 혹은 짧은 나사로서 형성된다. 그에 따라 중간 리드 및 필터 인서트를 결합 및 분리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짧은 회전 이동거리가 달성되며, 이는 본 실시예에서 신속한 작업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이 본원의 장치를 중간 리드 및 필터 인서트 사이에 회전식 체결 수단들을 구비하여 설계할 시에, 이미 공지된 체결 수단들을 구비한 통상적인 필터 인서트들을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원의 장치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라, 필터 인서트 측의 체결 수단들은 스냅 후크들에 있어 필터 인서트의 상부 면판(face plate)에 제공되는 그들의 동심 림부에 의해 형성되며, 그리고 중간 리드의 대응하는 체결 수단들은 캠 세그먼트들을 구비하여 중간 리드 상부 부분의 하측면에 동심으로 배치된 링부에 의해 형성되되, 고정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정가능한 제1 회전 위치에서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스냅 후크들의 림부는 축방향에서 캠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는 링부 내로 그리고 그 외부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리고 풀림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정가능한 제2 회전 위치에서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스냅 후크들에 있어 상기 링부 내로 이동된 그들의 림부는 축방향에서 캠 세그먼트들을 구비한 링부의 외부로 이동될 수 없다. 이와 같은 본원의 장치의 구성의 경우, 오로지 중간 리드의 내측면에서만 변경 및 적응을 실시하기만 하면 되며,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형 및 방식으로 일측의 중간 리드와 타측의 필터 인서트 사이의 회전식 체결부가 형성 및 해제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인서트의 측면에는 지금까지 통상적인 필터 인서트들과 비교하여 어떠한 변경도 필요하지 않으며, 그럼으로써 새로운 종류의 체결부로의 전환은 매우 극미한 기술 비용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나사 캡을 그 풀림 회전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제1 체결 수단들뿐 아니라 제2 체결 수단들은 상호간에 맞물리게 된다. 다시 말해 하우징의 고정부로부터 나사 캡을 푸는 과정 동안 그리고 그 푸는 과정을 종료할 시에, 목표되는 방식으로 나사 캡 및 중간 리드 사이뿐 아니라 중간 리드 및 필터 인서트 사이에 강제적으로 맞물림이 존재한다. 그런 다음, 나사 캡, 원심 분리기, 중간 리드 및 필터 인서트로 이루어져 하우징으로부터 탈거된 유닛은 간단한 유형 및 방식으로 반대되는 회전 방향으로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비틀어 회전시킴으로써 분리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상기와 같이 반대되는 비틀림 회전을 통해, 나사 캡 및 중간 리드 사이뿐 아니라 중간 리드 및 필터 인서트 사이의 체결 수단들간 맞물림이 해제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체결부 맞물림을 해제한 후에, 고정 하우징부로부터 탈거된, 본원의 장치의 모든 부재들은, 즉 필터 인서트, 중간 리드, 원심 분리기 로터 및 나사 캡은 상호간에 분리될 수 있다. 그런 다음 필터 인서트 및/또는 원심 분리기 로터를 새 걸로 교환한 후에, 조립은 그 역순으로 그리고 반대되는 회전방향으로 실시한다. 그런 후에, 나사 캡, 원심 분리기, 중간 리드 및 필터 인서트로 이루어진 새로운 사전 조립된 유닛이 제공되는데, 이러한 유닛은 하우징의 하부 부분 내로 삽입하고 나사 캡을 회전시킴으로써 나머지 하우징 부분과 체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나사 캡을 그 고정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앞서 형성된 체결부 맞물림이 해제되는데, 왜냐하면 상기와 같은 체결부 맞물림은 상기 나사 캡을 조이는 동안, 그리고 상기 나사 캡이 조여 고정된 상태에서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한 제1 개선예에 따라, 링부는 중간 리드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중간 리드를 제작할 시에 중간 리드 내부에서의 조립 작업이 회피된다.
이와 관련한 대체되는 제2 개선예에 따라, 링부는 별도의 구성품으로서 회전 및 탈착이 불가능하게 중간 리드 내에 삽입된다. 이러한 중간 리드는 본 실시예에서 우선적으로 리세스부를 구비하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성형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이어서 상기 리세스부 내에 상기 링부가 형성될 수 있되, 본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두 부재들을 회전 및 탈착이 불가능하게 상호간에 체결할 수 있도록 상호간 용접 혹은 접착 혹은 걸쇠 체결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라 일측의 링부와 타측의 중간 리드를 상이한 소재로 제조하되, 항시 각각의 기능에 특히 우수한 방식으로 적합한 특성을 갖는 소재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장치에 대해 바람직하기로는, 나사 캡, 중간 리드, 필터 인서트의 상부 면판 및/또는 별도의 구성품으로서 설계되고 캠 세그먼트들을 구비한 링부는 각각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일체형 사출성형품이다. 그에 따라 저렴한 양산을 허용하면서도 본원의 장치의 경량화를 가능케 한다.
대체되는 방법에서, 나사 캡, 중간 리드, 및/또는 별도의 구성품으로서 설계되고 캠 세그먼트들을 구비한 링부는 각각 경금속으로 제조된 일체형 다이캐스팅 주조품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또한 저렴한 양산이 가능하되, 상기 부재들은 비록 그 무게가 더욱 많이 나가긴 하지만 그래도 더욱 높은 강성 및 내열성을 갖는다.
본원의 장치의 개별 부재들에 대해 상이한 소재를 이용한 혼합 구성도 또한 가능하다.
본원의 불순물 제거 장치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 본원의 장치는 관통되고, 로터로부터 유출되는 윤활유의 관류를 허용하며 중간 리드의 일 부분을 형성하는 원심 분리기 바닥부를 구비하여 설계되며;
- 상기 원심 분리기 바닥부는 자신의 중심에 로터의 하부의 피벗 베어링 혹은 바닥 축단을 위한 수납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 상기 원심 분리기 바닥부는 자신의 외주면에 적어도 이 외주면의 상부 부분에 환형으로 수나사부를 구비하여 설계되어 있으며, 이 수나사부는 상부의 하우징부의 내부에 형성된 대응하는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은 본원의 장치의 실시예에 따라, 나사 캡을 풀 시에, 동시에 이미 중간 리드와 그 사이에 위치하는 원심 분리기가 상기 나사 캡과 함께 필터 하우징의 고정부에 상대적으로 상부방향 쪽으로 이동된다. 나사 캡이 풀리면, 이 나사 캡은 중간 리드 및 원심 분리기와 함께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되, 동시에 상기 중간 리드 및 원심 분리기도 하우징으로부터 탈거된다. 추가로 앞서 기술한 단점들과 결부되는, 원심 분리기 로터 및 중간 리드의 별도의 탈거는 본 실시예에 따라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다. 이에 이어서 또한 하우징 내 하부에 위치하는 필터 인서트에 대해서도 접근할 수 있다. 나사 캡과 중간 리드 사이의 체결 수단들은 용이하게 풀 수 있는 나사 체결부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두 부재들은 하우징으로부터 함께 탈거한 후에 상호간의 나사 체결부를 풀어 상호간에 분리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원심 분리기 로터에 대한 접근도 가능해진다. 그와 반대로, 중간 리드, 로터 및 나사 캡으로 이루어진 사전 조립된 유닛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단 일회의 나사 체결 과정으로 본원의 장치의 하우징과 다시 함께 체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원의 장치의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도 또한 본원의 장치의 분해 및 조립이 개략화 및 가속화되며, 그리고 작업자의 더욱 청결한 작업이 가능하다. 그와 더불어, 본원의 장치의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 바랍직하게는 원심 분리기 로터의 회전축의 위치 톨러런스에 대한 더욱 높은 정밀도가 달성된다. 이와 같이 위치 톨러런스에 대해 개선된 정밀도는 본 실시예에서 무엇보다 상이한 구성품들 간에 위치 톨러런스의 정밀도를 결정하는 오로지 하나의 인터페이스만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탈착식 나사 캡과 원심 분리기의 원심 분리기 바닥부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원심 분리기 바닥부는 나사 캡 내에 나사 체결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오로지 원심 분리기 바닥부 및 나사 캡의 두 나사산들의 치수 톨러런스만이 원심 분리기 로터의 회전축의 위치 편차원을 야기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원의 장치는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장치들과 비교하여 상기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더욱 적게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원심 분리기 로터의 회전축의 위치 및 경로에 대해 그에 상응하게 증가한 정밀도가 달성된다. 이와 같이 더욱 높은 정밀도는 원심 분리기 로터의 매우 적은 마찰의 작동을 보장하며, 그럼으로써, 로터의 반사 노즐로부터 제공된 구동 에너지는 거의 대부분이 원심 분리기 로터의 회전을 위해 활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베어링 마찰에 의해서는 불필요하게 소모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원심 분리기의 처리량을 증가시킬 필요도 없이, 원심 분리기의 높은 효율이 보장된다.
본원의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원심 분리기 바닥부와 중간 리드는 상호간에 일체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로써, 무엇보다 본원의 장치를 조립할 시에 본원의 장치의 개략화 및 가속화된 조립이 달성된다. 이러한 점은 원심 분리기 바닥부 및 중간 리드가 통합되어 상대적으로 복잡하며 그에 따라 그 제조 시에 약간 비용이 소요되는 조합된 구성품으로는 달성하지 못한다.
대체되는 방법에서, 원심 분리기 바닥부와 중간 리드는 각각 별도의 구성품으로서 설계되며, 그리고 축방향에서 상호간에, 축방향 견인력 혹은 축방향 견인력 및 압축력을 전달하는 밀봉되는 플러그 타입 체결부나 혹은 나사 체결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은 직접적으로 혹은 삽입된 중간편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개별 구성품들은 자신들의 보다 낮은 복잡성의 형상을 바탕으로 더욱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지만, 그러나 그에 따라 본원의 장치의 조립 시에 추가의 조립 단계가 필요하다.
원심 분리기 바닥부와 중간 리드가 각각 별도의 구성품으로서 설계되는 방식으로 본원의 장치를 설계하는 경우, 추가로 원심 분리기 바닥부와 중간 리드 사이에 중간편으로서 그 축방향이 중공을 이루는 어댑터편이 삽입된다. 이 어댑터편의 하부 부분은 중간 리드와 중심 결정되어 맞물려 있으며, 그리고 그 상부 부분은 원심 분리기 바닥부와 중심 결정되어 맞물려 있되, 상기 어댑터편의 외주면은 그 상부 부분 및/또는 하부 부분에 볼록한 윤곽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볼록한 윤곽은 축방향에 상대적으로 어댑터편의 제한된 요동을 허용한다. 상기 어댑터편은 축방향 견인력을 전달하면서 보상 부재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보상 부재는 중간 리드의 중심축과 원심 분리기의 중심축의 상호간에 상대적인 요동뿐 아니라 그 측면 오프셋을 보상한다. 본원의 장치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항시 원심 분리기의 로터의 평활한 작동이 보장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로터의 작동력은 목표되는 방식으로 회전을 생성하는데 이용되며, 그리고 오로지 상기 작동력의 극미한 부분만이 베어링 마찰을 극복하는데 이용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비록 본원의 장치의 개별 구성품들에서 어느 정도의 제조 및 조립 톨러런스가 발생하더라도 원심 분리기의 높은 효율이 보장된다. 상기 어댑터편이 오로지 자신의 상부 부분에서만 볼록한 윤곽을 갖는 점에 한해서, 요동은 오로지 원심 분리기의 축방향에 상대적으로만 가능하다; 그런 다음 이와 같은 실시예의 경우 적합하게는 원심 분리기의 하부 베어링은 일정한 분절을 구비하여 설계되는데, 이는 예컨대 앞서 언급한 DE 199 11 212 A1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다. 상기 어댑터편이 자신의 상부 부분뿐 아니라 하부 부분에도 볼록한 윤곽을 갖는다면, 상기 어댑터편의 요동은 필터 인서트의 축방향에 대해 상대적이면서도 원심 분리기의 축방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단지 어댑터편만을 이용하여 모든 방향 편차 및 방향 오프셋이 보상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원심 분리기의 하부의 로터 베어링은 분절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그에 상응하게 더욱 간단하게 설계될 수 있다.
어댑터편을 구비한 본원의 장치의 개선에 따라, 상기 어댑터편은 자신의 하부 부분과 상부 부분 사이의 자신의 외주면에 돌출된 견부나 칼라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견부나 칼라부는 무엇보다 어댑터편의 계획된 조립 위치를 고정하는데 이용되며, 그럼으로써 어댑터편을 그 설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특수한 보조 수단들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어댑터편에 대해 제공되는 점에 따라, 상기 어댑터편은 자신의 하부 부분에 축방향으로 향하며 래치 노즈부들을 구비한 복수의 탄성 래치 아암을 포함하되, 이들 래치 아암들을 이용하여 상기 어댑터편은 중간 리드 내의 오일 통로 개구부 내에 맞물림 삽입될 수 있다. 래치 노즈부들을 구비한 상기 래치 아암을 통해 중간 리드에 대한 어댑터편의 조립은 매우 간단해지는데, 왜냐하면 간단한 삽입만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이다. 삽입 후에, 상기 어댑터편은 충분히 확실하게 중간 리드 내에 고정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나사 캡과 하부 하우징부의 상호간 탈착식 체결을 위해, 상기 나사 캡은 수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하우징부는 상기 수나사부에 적합한 암나사부를 구비하여 설계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나사 캡이 암나사부를, 그리고 상기 하부 하우징부가 그 암나사부에 적합한 수나사부를 구비하여 설계되어 있다. 나사 캡에 수나사부가 제공된다면, 나사 캡의 내주면은 원심 분리기 바닥부와의 나사 체결을 위한 암나사부 배체를 위해 제공된다. 만일 나사 캡에 나사 캡 및 하부 하우징부를 탈착식으로 체결하기 위한 암나사부가 제공된다면, 상기 암나사부는 목적에 적합하게는 나사 캡의 완전 하부에 위치한다; 그 외에도 원심 분리기 바닥부와의 나사 체결을 위해 보다 작은 직경의 추가의 암나사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일측에서는 원심 분리기 바닥부가 충분히 안정적이면서도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고, 타측에서 상기 원심 분리기 바닥부가 원심 분리기 로터로부터 유출된 윤활유의 유도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원심 분리기 바닥부는 바람직하게는 수납부로부터 원심 분리기 바닥부의 외주면까지 그곳에 제공되는 수나사부를 구비하여 연장되면서 원주방향에서 상호간에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아암들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추가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아암들은 평면으로 형성되되, 아암들의 평면은 각각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위치된다.
중간 리드는 원심 분리기가 배치되는 필터 하우징의 공간으로부터 필터 인서트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공간을 분리하며, 그리고 상기 두 공간들 내부에는 윤활유의 상이한 압력비가 존재하기 때문에, 두 하우징 공간들의 확실한 밀봉은 중간 리드에 의해 보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 목적에 적합하게는 반경방향 및/또는 축방향 실링이 중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중간 리드는 하우징의 하부 부분 내에 삽입된다. 이와 관련하여 목적에 적합하게는 상기 실링의 배치 및 형상은 하부 하우징부에서 필터 인서트의 영역에 존재하는 더욱 높은 윤활유 압력이 실링의 밀봉 작용을 촉진 및 강화시킬 수 있도록 선택한다. 동시에 그럼에도 용이한 조립이 유지되는데, 왜냐하면 상기 중간 리드는 하우징의 하부 부분에 용이하게 삽입되기 때문이다.
본원의 장치의 축방향에서 볼 때 중간 리드를 목표되는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추가로 제안되는 점에 따라, 하우징이 밀폐된 경우 중간 리드는 자신의 외주면에서 하부 하우징부의 내주면 내 계단부의 상측면에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간단한 수단들을 이용하지만 매우 신뢰되는 방식으로 축방향에서 하부 방향으로 중간 리드의 위치의 바람직한 고정이 보장된다. 축방향에서 상부방향으로 중간 리드의 위치를 고정하는 점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 나사 캡에 의해 제공된다.
본원의 장치의 앞서 설명한 실시예를 바탕으로, 바람직하게는 원심 분리기, 원심 분리기 바닥부, 중간 리드 및 나사 캡은 하부의 하우징과 나사 체결될 수 있는 사전 조립된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사전 조립, 예컨대 이미 공급자에게서 사전 조립이 실행될 수 있으며, 또한 이미 원심 분리기를 포함하는 사전 조립된 유닛은 그 자체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추가의 조립 단계에서 오로지 필터 인서트만을 하우징의 하부 부분 내에 삽입하기만 하면 되고, 경우에 따라 중간 리드를 삽입하고, 그런 다음 사전 조립된 유닛을 하부 하우징부와 나사 체결한다. 이와 관련하여, 또한 중간 리드 및 필터 인서트 사이에 그에 상응하게 탈착 가능한 체결 수단들이 존재한다면, 필터 인서트를 사전 조립된 유닛 내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본원의 장치의 실시예에서 제안되는 점에 따라, 나사 캡과 고정 하우징부 사이의 나사 체결부와 나사 캡과 원심 분리기 바닥부 사이의 나사 체결부는 동일 방향의 나사산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나사산들은 둘 모두 오른손 나사이거나 둘 모두 왼손 나사일 수 있되, 풀림 및 고정 회전에 대해 습관화된 작동 방향을 이유로 오른손 나사가 선호된다.
대체되는 방법에서, 나사 캡과 고정 하우징부 사이의 나사 체결부와 나사 캡과 원심 분리기 바닥부 사이의 나사 체결부는 반대 방향의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엇보다 고정 하우징부로부터 나사 캡을 풀림 회전시킬 시에 나사 캡과 원심 분리기 바닥부 사이의 나사 체결부는 바람직하지 못하게 풀림 회전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그와 반대로 최대한 고정 회전되며, 그럼으로써 이러한 경우 중간 리드는 목표되는 바와 같이 나사 캡이 풀림 회전될 시에 상기 나사 캡과 체결된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목표되는 방식으로 개별 부재들의 목표되는 결속을 제공하는 추가의 가능한 조치에 따라, 나사 캡과 원심 분리기 바닥부 사이의 나사 체결부는 나사 캡과 고정 하우징부 사이의 나사 체결부의 풀림 토크보다 더욱 큰 풀림 토크를 갖는다.
동일한 목적에 이용되는 추가의 조치에 따라서는, 나사 캡과 원심 분리기 바닥부 사이의 나사 체결부는 중간 리드와 고정 하우징부 사이의 풀림 토크보다 더욱 큰 풀림 토크를 갖는다.
추가되거나 대체되는 방법에 따라, 적어도 나사 캡과 원심 분리기 바닥부 사이의 나사 체결부에 대해, 탈착식 풀림 회전 고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풀림 회전 고정 장치는 예컨대 록크 링일 수 있거나 혹은 나사 체결부 내에 맞물리는 록킹 나사이거나 록킹 핀일 수 있다.
또한, 원심 분리기 바닥부를 갖는 본원의 장치의 실시예에서, 제1 버전에서 상호간 관계와 관련하여 중간 리드 및 필터 인서트는 본원의 장치의 비체결된 개별 부재들이며, 그리고 중간 리드 및/또는 필터 인서트는 체결 수단 없이 설계된다. 원심 분리기, 원심 분리기 바닥부 그리고 중간 리드와 함께 나사 캡을 탈거한 후에, 이에 이어서 본 실시예에 따라 필터 인서트 자체를 하우징으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이는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예컨대 순수하게 수작업으로 혹은 적합한 수작업 공구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앞서 제시한 버전에 대체되는 방법에 따라, 중간 리드 및 필터 인서트는 상호간에 맞물릴 수 있으면서 탈착 가능하며 축방향 견인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 체결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필터 인서트는 나사 캡을 풀림 회전시킬 시에 이미 하우징으로부터 탈거하고, 그런 다음 하우징 외부에서 중간 리드로부터 분리하여 새 필터 인서트로 교환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설치는 그와 반대로 마찬가지로 유닛으로서 이루어지며, 그럼으로써 새 필터 인서트의 삽입 또한 용이하다.
이와 같이 중간 리드 및 필터 인서트 사이의 탈착식 체결부는 상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제1 개선예에 따라 상기 제2 체결 수단들은 스냅식 체결 수단으로서 형성된다.
대체되는 제2 개선예에 따라, 제2 체결 수단들은 나사 체결부로서, 혹은 베이어닛 조인트로서, 혹은 회전식 체결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의 상세 설명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제2 체결 수단들은 추가로 위에서 원심 분리기 바닥부를 포함하지 않는 본원의 장치의 실시예(청구항 제3항 내지 제25항)와 관련되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심 분리기를 구비하는 본원의 장치를 가능한 한 간단하면서도 저렴하게 대량으로 그리고 경량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안되는 점에 따라, 하우징, 원심 분리기 바닥부, 중간 리드 및 어댑터편은 플라스틱 혹은 경금속을 이용하여 사출 기술에 따라 제조한 부품이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1은 내연기관의 윤활유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1 장치에 있어서, 앞서 장치 하우징 내에 삽입된 중간 리드와 여전히 느슨하게 풀린 상태의 나사 캡을 구비한 상기 제1 장치를 부분 절개하여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따른 장치에서 나사 캡을 고정 회전시킨 상태의 상기 장치를 부분 절개하여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에 따른 장치에서 나사 캡을 고정 회전시킨 상태의 상기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적으로 측면도이며, 부분적으로 수직 단면도이며, 부분적으로 절개도이다.
도3a는 도3에서 원으로 표시된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4는 도1에 따른 장치에서 나사 캡을 풀림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안의 상태를 갖는 상기 장치를 부분 절개하여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에 따른 상태를 갖는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적으로 측면도이며, 부분적으로 수직 단면도이며, 부분적으로 절개도이다.
도5a는 도5에서 원으로 표시된 부분을 도5와 비교하여 변경된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부분적으로는 정면도이다.
도7은 도6에 따른 장치를 도6의 절결선(VII-VII)을 따라 절결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부분적으로는 정면 도이다.
도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부분적으로는 정면도이다.
도10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11은 도10에 따른 장치를 도10의 절견선(XI-XI)을 따라 절결하여 나타낸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1로부터 알 수 있듯이, 내연기관의 윤활유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1)의 도시된 실시예는 하부의 고정 하우징부(42)와 상부의 나사 캡(41)으로 형성된 하우징(4)을 구비한다. 상기 나사 캡(41)은 밀봉 링을 통해 밀봉되는 나사 체결부(43.1, 43.2)를 이용하여 고정 하우징부(42) 내에 나사 체결될 수 있되, 도1에는 나사 캡(41)이 완전하게 풀림 회전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4) 내에서 이 하우징의 하부 부분 내에 본 실시예에서는 확인할 수 없는 필터 인서트(2)가 배치된다(도3 비교). 상기 필터 인서트(2)와 일렬로 하여 상기 하우징(4)의 상부 부분에서 상기 필터 인서트(2) 위쪽에 원심 분리기(3)가 제공되어 있으며(도3 비교), 이 원심 분리기 중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개략화의 이유에서 오로지 로터 축(32)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 로터 축 상에는 원심 분리기 로터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의 내부는 벨 모양의 중간 리드(5)에 의해 하부의 영역(40)과 상부의 영역(40')으로 분리된다. 상기 중간 리드(5)는 필터 인서트의 상부에 그리고 원심 분리기(3)의 로터(31)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부 부분(50)를 포함한다. 상기 중간 리드(5)의 상부 부분(50)의 반경방향의 외측 테두리부로부터 주변 벽부(51)는 하부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주변 벽부는 자신의 하단부에 밀봉 링(51')을 이용하여 밀봉되는 방식으로 고정 하우징부(42) 내에 삽입된다.
중간 리드(5)의 하부에는 본원의 장치(1)가 작동될 때 작동 유압이 존재한다; 중간 리드(5)의 상부에는 원심 분리기 로터로부터 유출되는 오일에 대한 유출구로서 무압의 영역(40')이 위치하되, 상기 영역(40')은 통상적으로 해당하는 내연기관의 오일 섬프와 연통된다.
상기 중간 리드(5)의 상부 부분(50)의 상측면 중심에는 로터 축(32)의 하단부가 고정된다. 상기 로터 축(32)의 상단부는 나사 캡(41)의 내측면의 상단부 영역 내 중심에 고정된다.
상기 나사 캡(41)의 하단부와 상기 중간 리드(5)의 외주면 사이에는 체결 수단들(45, 54)이 제공된다. 이러한 체결 수단들(45)은 나사 캡(41)의 측면에서는 원주 방향과 나사 캡의 풀림 회전 방향으로 향해 있는 후크들(44)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후크는 나사 캡(41)의 하부 가장자리에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중간 리드(5)의 측면에서 볼 때, 외측면 상에서 중간 리드의 주변 벽부(51)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개구들(54)을 구비한 베인들(56)이 이 베인들의 반경방향의 외측면에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개구들(54) 및 상기 후크들(44)은 체결 수단을 형성하며, 이러한 체결 수단들은 나사 캡(41) 및 중간 리드(5)의 상호간에 상대적인 각각의 회전 상태에 따라 맞물림을 해제하거나 맞물림을 형성한다.
고정 회전 방향에서 나사 캡(41)이 체결 수단들(45) 바로 옆에서 볼 때 보강 리브들(49')이 나사 캡(41)에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리브들(49')은 나사 캡(41)의 풀림 회전 방향에서 상기 후크들(44)로 이어진다. 고정 회전 방향으로 향해 있는 상기 리브들의 측면(45')에서 리브들(49')의 배치부는 매끄럽게 수직으로 연장되는 표면을 형성한다.
도1에서 풀림 회전된 나사 캡(41)에서 이 나사 캡의 하부의 영역에서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체결 수단들(45)은 약간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럼으로써 상기 나사 캡(41)의 하부 가장자리(49)는 본 실시예에 따라 나사 캡(41)의 나사산(43.1)의 하부 가장자리보다 약간 더욱 깊게 위치하게 된다. 동시에 나사 캡(41)의 체결 수단들(45)과 중간 리드(5)의 베인들(56)은 하우징 내에 중간 리드(5)가 이미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하우징부(42) 상에 나사 캡(41)이 안착될 시에 나사 맞물림 전에 상호간에 축방향으로 중첩되는 방식으로 배치 및 형성되어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확실하게, 나사 캡(41)을 조여 고정하는 동안 나사 캡의 하부 가장자리는 축방향에서 볼 때 상부로부터 베인들(56)의 상단부 상에 안착할 수도 있는 점은 회피되며, 그럼으로써 그에 따라 나사 캡을 고정 회전시킬 시에 야기되는 끼임(jamming)도 회피된다. 오히려, 나사산들(43.1, 43.2)의 나사 맞물림은 상기 체결 수단들(45)이 원주방향에서 볼 때 중간 리드(5)의 각각 인접한 두 베인들(56) 사이에 위치할 때 비로소 이루어질 수 있다.
도2에는 나사 캡(41)이 하우징(4)의 고정 부재와 견고하게 나사 체결되어 있는 상태의 본원의 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위치는 나사 캡(41)을 그 고정 회전 방향(41'')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나사 캡(41)을 고정 회전시킬 시에 각각 리브 배치부(49')의 매끄러운 측면(45')은 원주방향에서 베인들(56)에 인접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체결 수단들(45, 54)은 맞물림이 해제되는데, 왜냐하면 나사 캡(41)을 고정 회전시킬 시에 상기와 같은 체결 수단들(45, 54)의 상호간에 상대적인 회전은 맞물림이 형성되지 않거나 혹은 우선적으로 존재하는 맞물림이 해제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 수단들(45, 54)은 축방향으로 어떤 힘도 전달할 수 없으며, 이는 본원의 장치(1)의 조립 시에 그리고 그 조립된 상태에서 요구되지 않는다.
본원의 장치(1)의 조립된 상태에서, 나사 캡(41)은 자신의 하부 가장자리(49)로써 계단부(59) 상에 직립된다. 상기 계단부(59)는 풀림 회전 방향에서 베인들(56) 바로 옆에서 중간 리드(5)에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상기 중간 리드(5)로부터 반경방향에서 외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4개의 계단부들(59) 중에 상호간에 마주보고 있는 2개의 계단부는 풀림 회전방향으로 향해 있는 그들의 단부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작은 가장자리(59')를 구비하되, 이 가장자리는 조립된 상태에서 중간 리드(5)의 자기 회전에 대항하는 회전 고정부로서 이용된다. 상기 나사 캡(41)이 자신이 고정 회전될 시에 상기 가장자리들(59')에 걸려 고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장자리(59')를 구비한 각각의 계단부(59) 전방에는 활주 경사면(59'')이 상기 중간 리드(5)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활주 경사면(59'')은 본 실시예에서 각각 3개의 경사면 구간으로 구성되지만, 그러나 이들 경 사면 구간들의 상호간 간격은 각각 나사 캡의 리브들(49') 하부에서 상기 나사 캡(41)의 하부 가장자리(49)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측정한 그 길이보다 작다.
각각의 계단부(59) 아래에는 안정성의 이유에서 상기 계단부(59)를 지지하는 각각의 리브(56')가 중간 리드(5)에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도시된 것 대신에, 중간 리드(5)의 측면 상의 체결 수단들(54)은 대체되는 방법에 따라 상기 리브들(56') 내에 혹은 그에 인접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3은 무엇보다 하우징(4) 내에서 상부의 원심 분리기(3)와 하부의 필터 인서트(2)에 대한 배치를 분명하게 도시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4)은 고정하는 하부 하우징부(42)와 나사산들(43.1, 43.2)을 통해, 상기 하부 하우징부(42)와 체결되고 풀림 회전될 수 있는 나사 캡(41)을 구비하여 설계되어 있다. 상기 중간 리드(5)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4)의 내부는 필터 인서트(2)를 수납하는 하부의 하우징 영역(40)과 원심 분리기(3)를 수납하는 상부의 하우징부(40')로 구분된다. 벨 모양의 중간 리드(5)는 부분적으로는 정면도로, 부분적으로는 단면도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만곡된 상부 부분(50)뿐 아니라 이 상부 부분에 하부방향으로 이어지는 원주 영역(5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원주 영역(51)의 아래에는 밀봉 링(51')이 반경방향에서 외부방향으로 향해 있는 상기 원주 영역의 그루브 내에 삽입되며, 그에 따라 상기 중간 리드(5)는 상기 하우징(4)의 하부 부분(42) 내에 밀봉하는 방식으로 위치한다.
중간 리드(5)의 상부 부분(50)의 하측면에는 본 실시예에 따라 중간 리드(5)와 일체형으로 중심 결정 링(53')이 배치된다. 이 중심 결정 링(53')은 필터 인서트(2)의 상부 면판(22)의 상측면에서 수많은 통상의 필터 인서트들이 포함하고 있는 것과 같은 래치 후크 림부(23)와 상호 작용하며, 그리고 상기 림부(23) 및 중심 결정 링(53')을 이용하여 축방향 견인력을 전달하지 않는 방식으로 상기 필터 인서트(2)를 중심 결정한다; 상기 부재들(23, 53')은 본 실시예에서 순수한 중심 결정부로서 형성된다.
원심 분리기(3)는 로터 축(3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원심 분리기 로터(31)를 구비한다. 상기 로터 축(32)은 자신의 하단부로써 중간 리드(5)의 상측면 내에 적합한 중심 리세스부 내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로터 축(32)은 자신의 상단부를 이용하여서는 나사 캡(41)의 내측면에 적합한 중심 리세스부 내에 안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나사 캡(41)과 중간 리드(5) 사이에 제공된 체결 수단들(45, 54)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들 체결 수단들은 나사 캡(41)을 회전시킴으로써 선택적으로 맞물리거나 그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다. 완전하게 회전 불가능한 나사 캡(41)을 구비한 본원의 장치에 대해 도3에서 도시한 상태에서는, 상기 체결 수단들(45, 54)은 맞물림이 해제된 위치에 위치한다.
본원의 장치(1)의 작동 시에, 정화될 윤활유는 미도시된 유입구를 통해 우선적으로 하부의 하우징 영역(40)으로 유입되고, 이곳으로부터 반경방향에서 외부방향에서 내부방향으로 필터 직물 몸체(21)를 관류하게 된다. 상기 필터 직물 몸체(21)를 관류하는 윤활유의 일 부분은 상부방향으로 향하여 원심 분리기(3) 내에 도달하며, 이곳으로부터 원심 분리기 로터(31)를 벗어난 후에 상부의 하우징 영역 (40')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하우징 영역(40')은 무압 상태이며, 그리고 미도시한 재순환 라인을 통해 해당하는 내연기관의 오일 섬프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상부의 하우징 영역(40')과 반대로, 중간 리드(5) 아래의 하우징 영역(40) 내에는 완전한 유압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압력 차이에 의해 생성되어 축방향에서 상부방향으로 상기 중간 리드(5) 상에 작용하는 힘을 흡수 및 유도하기 위해, 상기 중간 리드(5)는 자신의 상부 부분(50)에서 반경방향의 외부에 외부방향으로 돌출된 계단부들(59)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계단부들(59) 상에는 나사 캡(41)이 나사 체결된 상태에서 자신의 하부 가장자리(49)를 이용하여 직립해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중간 리드(5)는 자신의 위치에 고정되며, 그리고 상기와 같은 압력 차이에 의해 생성된 힘을 완벽하게 흡수하여 상기 나사 캡(41) 상에 전달할 수 있다. 이로부터 축방향에서 상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은 나사 체결부(43.1, 43.2)의 전면에 걸쳐 하우징(4)의 고정 부재(42) 상으로 유도된다.
도3a는 맞물림이 해제된 체결 수단들(45, 54)을 포함하여 도3에서 원으로 표시한 영역을 확대도로 도시하고 있다. 최좌측에는 베인들(56) 중 어느 하나의 하부 부분이 대부분이 나사 캡(41)에 덮여 있으면서 체결 수단(54)을 형성하는 리세스부를 구비하여 도시되어 있다. 도3a의 우측에는 나사 캡(41)의 체결 수단들(45) 중 하나의 체결 수단이 위치하며, 이 체결 수단은 자신의 매끄러운 측면(45')으로써, 다시 말해 맞물림이 없이 인접된 베인(56)에 인접하여 있다. 체결 수단(45)의 후크(44)는 우측방향으로 향하면서 나사 캡(41)의 내주면에 은폐되어 위치해 있다.
상기 나사 캡(41)의 하부 가장자리(49)는 중간 리드(5)의 계단부(59) 상에 직립된다. 상기 계단부(59)의 우측 단부에 상승된 가장자리(59')는 중간 리드(50)가 회전 불가능한 나사 캡(41)에 상대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게 자기 회전 이동되는 것을 예방한다.
도3a의 상부에는 재차 나사 캡(41)의 소형 부재가 나사산(43.1)을 구비하여 도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3a에서 하부에서 계단부(59) 아래에 재차 중간 리드(5)의 주변 벽부의 외측면 상에 위치한 리브들(56') 중 어느 한 리브의 일 구간을 확인할 수 있다.
도4는 나사 캡의 풀림 회전 방향(41')을 2-3회 회전수만큼 나사 캡(41)을 회전시킨 후 본원의 장치(1)를 도1 및 도2에 상응하게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나사 캡(41)을 회전시킴으로써 나사 캡(41) 측 체결 수단들(45)의 후크들(44)은 중간 리드 측 체결 수단들과 맞물리게 된다. 나사 캡(41)의 4개의 체결 수단들(45) 중 2개는 도4의 절개 도면으로부터 확인할 수 없지만, 그러나 확인 가능한 체결 수단들(45)과 동일하게 중간 리드(5)의 추가의 체결 수단들(54)과 맞물려 있다.
나사 캡(41)의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부터 출발하여, 나사 캡을 최초 1/4만큼 풀림 회전 방향(41')으로 회전시키면, 오로지 나사 캡(41)만이 이동된다; 이때까지 중간 리드(5)의 회전은 여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런 다음 풀림 회전 방향(41')으로 나사 캡(41)을 추가로 회전시키면, 후크들(44)이 베인들(56) 내에서 체결 수단들(54)을 형성하는 개구부들 내로 삽입되며, 그럼으로써 맞물림이 형성된다. 이때, 나사 캡(41)을 그 풀림 회전 방향(41')으로 추가로 회전시키더라도 더 이상 어떠한 변화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나사 캡(41)을 추가로 회전시키면, 이 나사 캡은 하우징(4)의 고정 부재(42)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나사 캡(41) 및 중간 리드(5) 사이의 체결 수단들(45, 54)의 맞물림을 바탕으로 상기 나사 캡(41)은 원심 분리기(3) 및 중간 리드(5)를 상부방향으로 함께 이동시킨다. 이때 중간 리드(5)은 진공에 대항하여 완전하게 고정 하우징부(42)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맞물림의 해제가 너무 쉽게, 그에 따라 원하지 않는 방식으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점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체결 수단들(45)의 후크들(44)은 상부방향으로 향하는 각각의 계단부(47)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계단부(47)에 의해, 축방향 견인력을 인가하더라도 맞물림은 자동으로 해제될 수 없다. 맞물림을 해제하려면 목표되는 방식으로 회전 이동이 생성되어야 한다.
하우징부(42)로부터 나사 캡(41), 원심 분리기(3) 및 중간 리드(5)로 이루어진 어셈블리를 탈거한 후에, 이어서 필요에 따라 필터 인서트(2) 자체를 간단하게 하우징부(42)로부터 상부방향으로 탈거할 수 있다.
나사 캡(41)으로부터 중간 리드(5)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이전의 회전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두 부재들을 상호간에 약간 비틀어 회전시키기만 하면 된다. 그럼으로써 체결 수단들(45, 54)은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우선적으로 나사 캡(41)이 중간 리드(5)로부터 축방향으로 제거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경우에 따라 필요한 원심 분리기 로터(31)의 교환을 위해 원심 분리기(3)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의 장치(1)의 개별 부재들의 조립은, 우선적으로 필터 인서트(2) 자체를 하우징부(42) 내에 내장하고, 그 다음에 나사 캡(41), 원심 분리기(3) 및 중간 리 드(5)로 이루어진 사전 조립된 유닛을 형성하고, 그런 후에 이 유닛을 하우징부(42)와 함께 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역순으로 그리고 그 반대의 회전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사 캡(41) 내의 해당하는 리세스부 내에 로터 축(32)의 상단부를 삽입할 시에 난점을 회피하기 위해, 각각의 베인(56)은 반경방향의 외부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윤곽(58)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가이드 윤곽은 극미한 이동 유격으로써 나사 캡(41)의 하부 부분의 내부에 맞춰 조정된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 윤곽(58)을 통해, 중간 리드(5) 및 나사 캡(41)을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원심 분리기(3)와 함께 조립할 시에,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점이 보장된다. 오히려, 정확하게 축방향으로 정렬됨으로써 강제적인 조립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점은 상기 가이드 윤곽(58)에 의해 달성된다. 그에 따라 동시에 로터 축(32)의 상단부가 항시 목적에 적합하게 나사 캡(41)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해당하는 리세스부 내에 도달하는 점이 보장된다.
대체되는 방법에 따라, 필터 인서트(2), 중간 리드(5) 및 원심 분리기(3)는 또한 개별적으로 연속해서 하우징부(42) 내에 삽입하고, 그런 다음 나사 캡(41)을 상기 하우징부(42)와 나사 체결할 수도 있다.
도5는 이미 도4에 도시한 나사 캡(41)의 회전 상태를 갖는 본원의 장치(1)를 도3과 동일한 도식방법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5로부터 알 수 있듯이, 나사 캡(41)은 도3의 위치와 비교하여 풀림 회전 방향(41')으로 2-3회 회전수만큼 회전되어 있다. 이와 같은 회전 시에, 제1 1/4회전을 통해서는 오로지 나사 캡(41)만이 회전 되는데, 왜냐하면 나사 캡의 회전은 아직 중간 리드(5) 상에 전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제1 1/4회전 이상으로 나사 캡(41)을 추가로 회전시키면, 상기 나사 캡은 체결 수단들(54) 내로 후크들(44)이 삽입됨에 따라 중간 리드(5)를 풀림 회전 방향으로 함께 이동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중간 리드(5)는 나사 캡(41)을 추가로 풀림 회전시킬 시에 함께 회전하면서 체결 수단들(45, 54)의 맞물림을 바탕으로 상부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이와 관련하여 필터 인서트(2)에 상대적으로, 중간 리드(5)는 중심 결정 수단들(23, 53')의 회전 자유도를 바탕으로 자유로이 회전될 수 있으며, 필터 인서트(2)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이탈될 수 있다.
도5a는 중간 리드(5)의 상부 부분(50)의 하측면에 체결 수단(53)이 배치되어 있는 본원의 장치(1)의 실시예에 대해 도5에 원으로 표시한 부분에 따른 단면도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체결 수단들(53)은 필터 인서트(2)의 상부 면판(22)의 상측면에 위치하는 체결 수단들(23)과 탈착 가능하게 맞물린다. 이와 같은 체결 수단들(23, 53)을 이용하여 축방향 견인력은 중간 리드(5)로부터 필터 직물 몸체(21)를 구비한 필터 인서트(2) 상으로 인가된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는 스냅식 체결부로서 설계된다. 필터 인서트(2)의 측면의 체결 수단들(23)은 본 실시예에 따라 래치 노즈부들을 구비한 래치 후크들의 림부에 의해 형성된다. 중간 리드(5)의 측면에서 상기 체결 수단들(53)은 나머지 중간 리드(5)와 일체형이며 내부에서 중간 리드의 중심에 배치되며 언더커팅 가공된 링부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링부는 반경방향의 외부에서 필터 인서트(2)의 체결 수단들(23)을 둘러싸면서 상기 필터 인서트(2)와 함께 탈착 가능한 스냅식 체결부를 형성한다. 대체되는 방법에 따라, 상기 체결 수단들(23, 53)은 회전식 체결부로서, 예컨대 베이어닛 조인트 혹은 신속 체결 나사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나사 캡(41)과 중간 리드(5) 사이의 체결 수단들(45, 54)의 맞물림과 중간 리드(5)와 필터 인서트(2) 사이의 스냅식 체결 수단들(23, 53)의 맞물림을 바탕으로, 상기 나사 캡(41)은 자신이 풀림 회전될 시에 본 실시예에서는 원심 분리기(3) 및 중간 리드(5)뿐 아니라 필터 인서트(2)도 함께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어셈블리를 하우징부(42)로부터 탈거한 후, 중간 리드(5)로부터 필터 인서트(2)의 분리는 간단하게 상기 체결 수단들(23, 53)의 맞물림을 해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런 후에 필터 인서트(2)는 축방향에서 하부방향으로 중간 리드(5)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도6은 내연기관의 윤활유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1)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원의 장치(1)는 그 하부 영역에 본질적인 부재들로서 필터 인서트(2)를, 그리고 하부 영역에 원심 분리기(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필터 인서트(2) 중에 오로지 상부의 단부 영역만이 볼 수 있다. 상기 필터 인서트(2) 및 상기 원심 분리기(3)는 공통의 하우징(4) 내에 상하로 적층되어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4)은 나사 캡(41)과 하부의 고정 하우징부(42)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하우징부(42)는 자신의 상단부에 암나사부(43.2)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 캡(41)은 자신의 하단부에 수나사부(43.1)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두 나사산들(43.1, 43.2)을 이용하여 상기 나사 캡(41) 및 상기 하부 하우징부(42)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간에 밀봉되는 방식으로 나사 체결된다. 유지 보수의 목적으로, 무엇보다 필터 인서트(2) 및/또는 원심 분리기(3)의 로터(31)를 교환하기 위해, 나사 캡(41)은 하부 하우징부(42)로부터 풀릴 수 있다. 본원의 장치(1)를 사용할 시에, 본원의 장치는 하부 하우징부(42)를 이용하여 미도시된 유형 및 방식으로 내연기관과, 무엇보다 내연기관의 엔진 블록과 연통된다.
하우징(4)의 나사 캡(41) 내에 장치되는 원심 분리기(3)는 로터(31)와 더불어 원심 분리기 바닥부(33)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원심 분리기 바닥부는 별 모양으로 복수의 평평한 아암들(33')을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심 분리기 바닥부(33)는 자신의 상부의 외부 영역에 수나사부(34)를 구비한 환상의 밀폐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나사부(34)는 나사 캡(41)의 내주면에 제공되는 적합한 대응하는 암나사부(43')와 나사 체결된다. 상기 나사 캡(41)으로부터 원심 분리기 바닥부(33)가 바람직하지 못하게 풀림 회전되는 점은 필요에 따라 탈착 가능한 별도의 풀림 회전 고정부(도10과 도11 비교)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원심 분리기 바닥부(33)의 중심에는 원심 분리기 로터(31)의, 본 실시예에서는 미도시한 하부의 피벗 베어링용 베어링 수납부(35)가 위치한다. 원심 분리기 로터(31)의 제2 상부 피벗 베어링은 상부에서 나사 캡(41)의 중심에 위치하며 상기 나사 캡(41)에 의해 은폐된다.
상기 원심 분리기 바닥부(33)가 나사 캡(41) 내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원심 분리기 로터(31)의 베어링 수납부(35)의 위치와 그에 따른 원심 분리기 로터 (31)의 회전 축(30)의 위치는 오로지 나사산들(34, 43')을 이용한 나사 체결부의 톨러런스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원심 분리기 로터(31)의 베어링 수납부(35)와 그에 따른 하부 베어링의 정확한 위치 결정이 보장되며, 그럼으로써 매우 마찰이 적은 방식으로 상기 원심 분리기 로터(31)가 지지된다.
하부 하우징부(42) 내에는 필터 인서트(2)가 배치된다. 이 필터 인서트(2) 위쪽에는 중간 리드(5)가 위치하며, 이 중간 리드(5)는 필터 인서트(2)가 위치하는 하우징(4)의 하부 공간(40)과 원심분리기(3)용 필터 하우징(4)의 상부 공간(40')을 상호간에 분리한다. 본원의 장치(1)에 대하여 도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원심 분리기 바닥부(33)와 중간 리드(5)는 일체형 구성품으로 통합되어 있다. 상기 중간 리드(5)는 자신의 외주면에 레이디얼 실링(55)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레이디얼 실링(55)에 의해 하우징(4)의 하부 공간(40)과 상부 공간(40')이 목표되고 윤활유가 밀봉되는 방식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레이디얼 실링(55) 상부에서 중간 리드(5)는 자신의 외주면으로써, 반경방향에서 외부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57)을 통해, 하부 하우징부(42)의 내주면에 제공되어 상부방향으로 향해 있는 계단부(47') 상에서 지지되며, 그럼으로써 중간 리드(5)의 위치는 축방향에서 고정된다.
상기 중간 리드(5)는 자신의 하측면에 본 실시예에 따라 중심 결정 링(53')을 포함하며, 이 중심 결정 링은 필터 인서트(2)의 상부 면판(22)으로부터 돌출된 아암들의 적합하게 배치된 림부(25)와 상호 작용한다. 그에 따라, 필터 인서트(2)는 중간 리드(5)에 상대적으로 중심 결정된다; 이러한 경우 중심 결정 수단들(25, 53')은 축방향 견인력을 전달하지 않는다.
필터 인서트(2)는 통상적인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첩되고 중공 실린더로 만곡된 필터 직물 몸체(21)로 구성된다. 이러한 필터 직물 몸체(21)는 하부 및 상부에서 각각의 면판(22)으로 덮여 있다.
필터 인서트(2)의 축방향(20)은 본 실시예에 따라 원심 분리기(3)의 축방향(30)과 일직선을 이룬다.
원심 분리기(3)의 로터(31)로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해, 중간 리드(5)의 중심에 제공된 통로 개구부(52)가 이용된다. 이와 같은 통로 개구부(52)를 통해 압력 하에 있는 윤활유는 원심 분리기 로터(31)의 여기서는 미도시한 유입구 쪽으로 유입된다. 2개 혹은 그 이상의 반사 노즐(32')을 통해, 윤활유는 원심 분리기 로터(31)로부터 유출되면서, 상기 원심 분리기 로터를 축(30)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반사 노즐들(32')로부터 유출되는 윤활유는 무압 상태에서 중력 작용하에 원심 분리기 바닥부(33)의 아암들(33') 사이에서 하부방향으로 떨어지고, 본 실시예에서는 오로지 극미한 부분만을 볼 수 있는 유도 채널(46)을 통해 예컨대 해당하는 내연기관의 오일 섬프 내에 도달하게 된다. 원심 분리기(3)를 통한 오일 정화 전에 우선적으로 내연기관의 윤활유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보장하기 위해서, 통로 개구부(52)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공동부(52') 내에 밸브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는 필터 인서트(2)의 영역 내에 사전 지정된 최소 윤활유 압력이 초과될 때 비로소 원심 분리기(3)로의 오일 공급을 허용한다.
도7은 도6의 본원의 장치(1)를 도6의 절결선(VII-VII)을 따라 절결하여 횡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7은 무엇보다 본원의 장치(1)의 하우징 (4)이 본질적으로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7의 상부 좌측에는 예컨대 내연기관의 오일 섬프로 이어지는 윤활유 유도 채널(46)의 일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
도7의 중심에는 통로 개구부(52)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통로 개구부(52)에 횡방향으로 중공 실린더의 공동부(52')가 연장되어 있다. 상기 공동부는 지정된 최소 윤활유 압력이 초과된 후에 비로소 원심 분리기(3)로의 오일 공급을 허용하는 앞서 언급한 밸브를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좌측, 우측,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원심 분리기 바닥부(33)의 아암들(33')이 연장되어 있는데, 이들은 또한 반경방향에서 내부로부터 외부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점에 따라, 원심 분리기(3)의 로터(31)로부터 배출된 후에 무압 상태로 유출되는 윤활유를 위한 매우 큰 흐름 횡단면이 존재하며, 그럼으로써 오로지 중력 작용 하에서만 윤활유의 신속한 유출이 보장된다.
도7의 후방의 배경에서 하부 하우징부(42) 내부에는 중간 리드(5)가 위치한다.
도8에 따른 실시예의 본원의 장치(1)는 마찬가지로 내연기관의 윤활유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장치(1)는 또한 본질적인 부재로서 자신의 하부 영역에 필터 인서트(2)를, 그리고 자신의 상부 영역에 원심 분리기(3)를 포함한다. 필터 인서트(2) 중에는 오로지 그 상부의 단부 영역만이 도시되어 있다. 필터 인서트(2)와 원심 분리기(3)는 또한 본 실시예에 따라 공통의 하우징(4) 내에서 상호간에 상하로 적층되어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4)은 상부에 나사 캡(41) 을, 그리고 하부에 고정 하우징부(4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나사 캡(41)과 상기 하우징부(42)는 추가로 앞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나사산을 이용하여 밀봉되는 방식으로 상호간에 나사 체결된다. 유지 보수의 목적에서 나사 캡(41)은 해당하는 미도시된 내연기관과 연통된 하부 하우징부(42)로부터 풀 수 있다.
하우징(4)의 내부에서, 필터 인서트(2)의 상부에는 본 실시예에 따라 중간 리드(5)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중간 리드는 하부 하우징부(42) 내에 삽입된다. 도6과 도7에 따른 본원의 장치와는 상이하게 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중간 리드(5)는 자신의 하측면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래치 칼라부(53)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래치 칼라부는 필터 인서트(2)의 상부 면판(22)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래치 아암들(25)과 맞물린다. 이와 같이 중간 리드(5) 및 필터 인서트(2) 사이의 스냅식 체결 수단들(25, 53)의 추가의 맞물림을 바탕으로, 나사 캡(41)은 풀림 회전될 시에 본 실시예에 따라서는 원심 분리기(3), 원심 분리기 바닥부(33) 및 중간 리드(5)뿐 아니라 필터 인서트(2)도 상부방향으로 함께 이동시킨다. 하우징부(42)로부터 상기와 같은 어셈블리를 탈거한 후에, 중간 리드(5)로부터 필터 인서트(2)의 분리는 간단히 상기 체결 수단들(25, 53)을 풀기만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런 후에 필터 인서트(2)는 축방향에서 하부방향으로 중간 리드로(5)부터 탈거할 수 있다.
상기 상부의 면판(22)은 자신의 하측면에서 공지된 유형 및 방식으로 유체를 밀봉시키면서 필터 직물 몸체(21)와 체결된다.
중간 리드(5)는 자신의 중심에 통로 개구부(52)를 구비하며, 이 통로 개구부 는 하우징(4)의 하부 공간(40)으로부터 원심 분리기(3) 쪽 상부방향으로 오일을 전달하기 위한 오일 채널로서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개구부(52) 내로는 축방향에서 중공 채널(66)을 형성하는 어댑터편(6)이 삽입된다. 상기 중공 채널(66)은 오일 채널(52)의 연장부이다. 상기 어댑터편(6)은 자신의 높이의 대략 절반의 높이에 걸쳐 자신의 하부 부분(62)으로써 중간 리드(5) 내에 안착되며, 이 중간 리드의 중심 통로 개구부(53) 내에 고정된다. 어댑터편(6)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어댑터편의 하측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탄성 래치 아암들(65)이 이용된다. 이들 래치 아암들(65)은 외부방향으로 향해 있는 래치 노즈부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어댑터편(6)은 상기 래치 아암들(65)을 이용하여 상부로부터 중간 리드(5)의 중심 통로 개구부(53)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래치 아암들(65)이 탄성 확장된 후에 상기 통로 개구부(53) 내에 맞물려 고정된다. 이때 어댑터편(6)의 대략 중간 높이에 제공되어 외부방향으로 돌출된 소형의 칼라부(64)는 삽입 제한부 혹은 정지부로서 이용된다.
어댑터편(6)의 둘레에는 중간 리드(5)의 부분으로서 형성된 칼라부(51'')가 연장되어 있다.
어댑터편(6)의 상부 부분(61)은 자신의 외주면(60)에 볼록한 윤곽을 구비하며, 그럼으로써 어댑터편(6) 상에 안착된 원심 분리기 바닥부(33)가 어댑터편(6)에 상대적으로 제한되는 방식으로 요동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원심 분리기(3)의 중심 축(30)을 필터 인서트(2) 및 중간 리드(5)의 중심 축(20)에 상대적으로 톨러런스 보상을 목적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어댑터편(6)의 확실한 축방향 체결 및 확실한 밀봉은 중간 리드(5)뿐 아니라 원심 분리기 바닥부(33)에 대항하여 어댑터편의 밀봉 링(63, 63')을 통해 확보된다.
보충되는 방법에 따라, 상기 어댑터편(6)의 하부 부분(62)은 자신의 외주면에 볼록한 윤곽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톨러런스 보상을 위해 필요한 점에 한 해 상기 어댑터편(6)은 중간 리드(5)에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로 요동된다.
원심 분리기 바닥부(33)는 어댑터편(6) 상에 안착되는 자신의 중심 부재로부터 출발하여 외부 및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아암들(33')의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아암들은 원심 분리기(3)로부터 유출되는 윤활유를 위해 자신들의 사이에 충분히 큰 흐름 횡단면을 허용한다. 중간 리드(5)의 상부에서 하우징(4)의 내부의 우측 부재 내에 오일 유도 채널(46)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오일 유도 채널을 통해 원심 분리기(3) 내에서 정화된 윤활유는 무압 상태로 유출되어, 예컨대 대응하는 내연기관의 오일 섬프 내로 공급된다.
원심 분리기(3)는 본 실시예에 따라서도 또한 공지된 구조에 따라 원심 분리기 로터(31)를 구비하며, 이 로터의 바닥부에는 2개의 반사 노즐(32')이 제공된다. 원심 분리기(3)로 향하는 윤활유의 공급은 중심 통로 개구부(52)와 어댑터편(6)의 중공 내부(66)를 통해 원심 분리기 로터(31)의 내부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의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원심 분리기 로터(31)의 하부 베어링은 원심 분리기 바닥부(33)의 일 부분이며 어댑터편(6)의 상부에서 어댑터편으로부터 이격되어 위 치하는 베어링 수납부(35) 내에 수납된다.
나사 캡(41)은 동시에 원심 분리기(3)의 외부 부재를 형성한다. 유지 보수를 위해 원심 분리기 로터(31)를 원심 분리기(3)로부터 탈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하우징(4)의 나사 캡(41)을 하우징의 하부 부분(42)으로부터 풀어야 한다. 이때, 수나사부(34)를 통해 나사 캡(41) 내의 암나사부(43')와 나사 체결되어 있는 원심 분리기 바닥부(33)는 하부 하우징부(42)로부터 함께 탈거된다. 이와 관련하여 어댑터편(6)을 통해서, 나사 캡(41)을 풀 시에 중간 리드(5)와 이에 맞물린 필터 인서트(2)도 하부 하우징부(42)로부터 탈거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축방향 견인력이 전달된다. 그런 다음 필터 인서트(2)에 대해 직접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나사 캡(41)으로부터 원심 분리기 바닥부(33)를 푼 후에, 소모된 원심 분리기 로터(31)를 교환할 수 있다.
도9에 따른 본원의 장치(1)의 실시예는 광역적 의미에서 도8에 따른 장치(1)와 일치한다. 도9에 따른 장치(1)의 경우에도, 중간 리드(5)는 하부 하우징부(42) 내에 삽입된다. 이러한 경우 밀봉은 중간 리드(5)의 외주면에 제공된 원형의 밀봉 링(55)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4)이 밀폐된 상태에서 중간 리드(5)를 확실하게 자신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중간 리드(5)는 본 실시예에 따라 자신의 상측면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지지 웨브들(56'')의 림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적합한 맞은편 위치에서, 원심 분리기 바닥부(33)에는 원형의 지지 링(36'')이 제공되며, 이 지지 링의 하측면은 본원의 장치(1)가 조립되면 상기 지지 웨브(56'')의 상부 가장자리와 인접하게 된다. 그에 따라 중간 리드(5)는 자신의 사전 지정된 위치를 더 이상 벗어날 수 없게 된다.
도9에 대한 추가의 개별 부재들과 관련하여서는 도8의 명세 내용이 참조된다.
도10은 본질적인 부분에서 도6 내지 도9에 따른 장치(1)와 일치하는 본원의 장치(1)의 제5 실시예를 부분 종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도10에 따른 본원의 장치의 실시예에 따라 원심 분리기 바닥부(33)와 나사 캡(41) 사이에 나사 체결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추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아암들(33')을 포함하는 원심 분리기 바닥부(33)는 자신의 상부의 단부 영역에 수나사부(34)를 구비한 원형의 환상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수나사부(34)를 이용하여, 원심 분리기 바닥부는 나사 캡(41)의 적합한 대응하는 암나사부(43')와 나사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나사 체결부(34, 43')가 원하지 않는 방식으로 풀리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라 탈착 가능한 풀림 회전 고정부로서 록크 링(36)이 제공된다.
상기 록크 링(36)은 자신의 외주면에 수나사부(36.1)를 포함한다. 암나사부(43')의 하부에서 나사 캡(41) 내에는 직경이 더욱 큰 제2 암나사부(43.3)가 제공되는데, 이 제2 암나사부는 상기 나사선(36.1)에 일치하며, 그리고 원심 분리기 바닥부(33)가 앞서 나사 캡(41)과 나사 체결된 후에 상기 제2 암나사부에는 록크 링(36)이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나사 체결된다. 록크 링(36)에 의해서는, 본원의 장치(1)가 작동될 때 그리고 나사 캡(41)을 풀림 회전시키거나 고정 회전시킬 시에 원심 분리기 바닥부(33)와 나사 캡(41) 사이의 나사 체결부(34, 43')가 항시 원하 지 않는 풀림에 대항하여 고정된다. 오로지 나사 캡(41)을 풀 때에만 상기 록크 링(36)을 풀 수 있으며, 그런 후에 원심 분리기 바닥부(33)는 나사 캡(41)으로부터 풀어 탈거할 수 있다.
도11은 오로지 도10의 절견선(XI-XI)을 따라 본원의 장치를 절결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만을 도시하고 있다. 최우측에는 반경방향에서 외부로부터 내부방향으로 볼 때 우선적으로 본원의 장치(1)의 하부의 고정 하우징부(42)가 절개되어 도시되어 있다. 그 다음으로 나사 캡(41)이 이어지며 그리고 반경방향에서 추가로 내부에 록크 링(36)이 마지막으로 도시되어 있되, 전술한 3개의 부재들은 도10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호간에 나사 체결된다.
상기 록크 링(36)은 자신의 내주면에 반경방향에서 내부 방향으로 개방되고 축방향에서 하부방향으로 개방된 적어도 2개의 리세스부(36.1)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리세스부들은 록크 링(36)을 돌려 고정시키고 풀기 위한 나사 조임 공구를 안착시켜 맞물리기 위해 이용된다. 상기 록크 링(36)은 도6 내지 도9에 따른 모든 장치들(1)에서 이용할 수 있다.
도11에 따른 나사 캡(41) 및 하우징부(42)의 내부(40')에는 원심 분리기 바닥부의 아암들(33') 중 몇 개를 확인할 수 있다. 도11에서 후방의 배경에서 하우징부(42)의 내부(40')에는 중간 리드(5)가 위치한다.

Claims (47)

  1. 내연기관의 윤활유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1)로서, 상기 장치(1)는 하부에 필터 인서트(2), 그리고 그 상부에는 관류하는 윤활유를 이용하여 구동 가능한 로터(31)를 구비한 원심 분리기(3)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인서트(2) 및 상기 원심 분리기(3)는 공통의 2개 편으로 된 하우징(4) 내에 상호간에 상하로 적층되어 배치되고, 공통의 2개 편으로 된 하우징(4)은 상기 장치(1)의 작동 중에 밀폐되고, 탈착가능한 상부 나사 캡(41) 및 고정된 하부 하우징부(42)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4) 내에서 필터 인서트(2)와 원심 분리기(3) 사이에 탈거 가능한 중간 리드(5)가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4)이 개방된 상태에서 이 하우징으로부터 원심 분리기(3), 중간 리드(5) 및 필터 인서트(2)를 탈거할 수 있는 상기 불순물 제거 장치(1)에 있어서,
    상기 나사 캡(41) 및 상기 중간 리드(5)는, 상호간에 맞물릴 수 있으면서 축방향 견인력 혹은 축방향 견인력 및 압축력을 전달하기 위한 탈착 가능한 체결 수단들(45, 54; 34, 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들(45, 54, 34, 43')은 중간 리드(5)에 대해 나사 캡(41)을 그의 풀림 회전 방향(41')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맞물리며, 그리고 중간 리드(5)에 대해 나사 캡(41)을 그의 고정 회전 방향(41'')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그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나사 캡(41) 및 중간 리드(5)를 연결하고 회전식 체결 수단으로서 형성된 그들의 체결 수단들(45, 54)은 베이어닛 조인트 모양으로 혹은 짧은 나사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리드(5)는 벨 형상을 가지며, 자신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들(56')을 포함하며, 이들 리브들은 각각 체결 수단(54)으로서 원주방향으로 향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확대부 혹은 개구를 구비하여 형성되며,
    상기 나사 캡(41)은 자신의 하부 테두리에 체결 수단(45)으로서 자신의 풀림 회전 방향(41')으로 향해 있는 후크(44) 또는 노즈부를 포함하며, 이들 후크 또는 노즈부는 중간 리드(5)에 대해 나사 캡(41)을 그의 풀림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확대부 혹은 개구(54)와 맞물릴 수 있고, 그리고 중간 리드(5)에 대해 나사 캡(41)을 그의 고정 회전 방향(41'')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그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부 혹은 개구(54)를 포함하는 리브들(56')은 동시에 상기 중간 리드(5)를 보강하고 하우징(4)의 내부의 오일 압력에 의해 중간 리드(5)의 아래에서 야기되는 힘을 나사 캡(41) 상으로 유도하기 위한 안정화 및 힘 유도 리브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리드(5)는 벨 형상을 가지고, 반경방향의 외부에서, 중간 리드(5)의 상측면에 복수의 축방향 연장 베인들(56)을 포함하며, 복수의 축방향 연장 베인들(56)은 상부방향으로 향하고 원주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되며, 이들 베인들은 각각 체결 수단(54)으로서 원주방향으로 향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확대부 혹은 개구를 구비하거나 혹은 반경방향에서 내부방향으로 요입된 함몰부를 구비하여 형성되며,
    상기 나사 캡(41)은 자신의 하부 테두리에 체결 수단(45)으로서 자신의 풀림 회전 방향(41')으로 혹은 반경방향에서 내부방향으로 향해 있는 후크(44) 혹은 노즈부를 포함하며, 이들 후크(44) 혹은 노즈부는 중간 리드(5)에 대해 나사 캡(41)을 그의 풀림 회전 방향(41')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중간 리드(5)의 체결 수단들(54)과 맞물릴 수 있고, 그리고 중간 리드(5)에 대해 나사 캡(41)을 그의 고정 회전 방향(41'')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그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일측에서 나사 캡(41)의 체결 수단들(45)을 구비하고 타측에서 중간 리드(5)의 체결 수단들(54)을 구비하는 베인들(56)은, 중간 리드(5)가 하우징(4) 내에 이미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된 하우징부(42) 상에 나사 캡(41)이 안착될 시에 중간 리드 및 나사 캡이 나사로 맞물리기 전에 상호간에 축방향에서 중첩되는 방식으로 배치 및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들(56)은 반경방향의 외부에서 가이드 윤곽(58)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 윤곽(58)은 이동 유격(motional play)으로 나사 캡(41)의 내부에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들(56) 각각에 또는 그 옆에 계단부(59)가 제공되고, 이 계단부(59)는 중간 리드(5)로부터 반경방향에서 외부방향으로 돌출되고, 계단부는 나사 캡(41)이 조여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나사 캡의 각각의 하부 가장자리(49)의 부분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부들(59) 각각의 적어도 일 부분은 나사 캡(41)의 풀림 회전 방향으로 향해 있는 자신의 단부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가장자리(5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나사 캡(41)의 고정 회전 방향(41'')에서 볼 때 중간 리드(5) 측에서 적어도 가장자리(59')를 포함하는 각각의 계단부(59) 전방에, 나사 캡(41)의 하부 가장자리(49)용으로 상기 가장자리(59')의 높이에 위치하며 연속되거나 끊어진 활주 경사면(59'')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12.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들(56)은 연속되는 원형의 칼라부를 통해 상호간에 체결되거나, 또는 연속되는 원형의 칼라부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13.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측에 있는 확대부 또는 개구(54) 및 타측에 있는 후크(44) 또는 노즈부 중 하나 이상은, 상호간에 맞물리는 그들의 표면에 맞물림 위치를 고정시키는 경사부 또는 계단부(47)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14.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캡(41)은 적어도 자신의 체결 수단들(45)의 영역에서 자신의 내주면에 보강 리브들(49')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15.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호간 관계와 관련하여, 중간 리드(5)와 필터 인서트(2)는 상기 장치(1)의 비체결된 개별 부재들이며, 상기 중간 리드(5) 및 상기 필터 인서트(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체결 수단 없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16.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사 캡(41) 및 중간 리드(5)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각각 플라스틱을 소재로 한 일체형 사출 성형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17.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사 캡(41) 및 중간 리드(5)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각각 일체형 다이캐스팅 제조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장치(1)는, 로터(31)로부터 유출되는 윤활유의 관류를 허용하며 중간 리드(5)의 일 부분을 형성하는 관통식 원심 분리기 바닥부(33)를 구비하여 설계되며, 상기 원심 분리기 바닥부(33)는 자신의 중심에 로터(31)의 하부의 피벗 베어링 혹은 바닥 축단을 위한 수납부(35)를 포함하며, 상기 원심 분리기 바닥부(33)는 자신의 외주면에 적어도 이 외주면의 상부 부분에 환형으로 수나사부(34)를 구비하여 설계되어 있으며, 이 수나사부는 나사 캡(41)의 내부의 대응하는 암나사부(43') 내로 나사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 분리기 바닥부(33)와 상기 중간 리드(5)는 상호간에 일체형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 분리기 바닥부(33)와 상기 중간 리드(5)는 각각 별도의 구성품으로서 설계되며, 축방향에서 상호간에, 밀봉되며 축방향 견인력 혹은 축방향 견인력 및 압축력을 전달하는 플러그 타입 체결부 또는 나사 체결부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 분리기 바닥부(33)와 상기 중간 리드(5) 사이에 축방향으로 중공을 형성하는 어댑터편(6)이 삽입되며, 이 어댑터편의 하부 부분(62)은 상기 중간 리드(5)와 중심 결정되어 맞물리며, 상기 어댑터편의 상부 부분(61)은 상기 원심 분리기 바닥부(33)와 중심 결정되어 맞물리며, 상기 어댑터편(6)의 외주면(60)은 이 어댑터편의 상부 부분(61) 및 하부 부분(6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 내에 볼록한 윤곽을 가지며, 이 볼록한 윤곽은 축방향에 대해 상기 어댑터편(6)의 제한된 요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편(6)은 자신의 외주면(60)에 자신의 하부 부분(62) 및 상부 부분(61) 사이에 돌출된 견부나 칼라부(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편(6)은 자신의 하부 부분(62) 내에 축방향으로 향해 있으면서 래치 노즈부들(65')을 구비한 복수의 탄성 래치 아암들(65)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 아암들을 이용하여 상기 어댑터편(6)은 중간 리드(5) 내 오일 통로 개구부(52) 내에 맞물림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24. 제18항에 있어서, 나사 캡(41)과 하부 하우징부(42)를 상호간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해, 상기 나사 캡(41)은 수나사부(43.1)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부(42)는 그에 대응하는 암나사부(43.2)를 구비하여 설계되거나, 혹은 상기 나사 캡(41)은 암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부(42)는 그에 대응하는 수나사부를 구비하여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 분리기 바닥부(33)는 반경방향에서 수납부(35)로부터 수나사부(34)를 구비한 원심 분리기 바닥부 외주면까지 연장되며 원주방향에서 상호간에 이격된 복수의 아암들(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들(33')은 편평하며, 상기 아암들의 편평한 면은 각각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2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리드(5)는 반경방향 및 축방향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의 실링(55)의 중간 층이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하우징(4)의 하부 부분(42)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28. 제18항에 있어서, 하우징(4)이 밀폐된 경우, 상기 중간 리드(5)는 자신의 외주면(57)에서 하부 하우징부(42)의 내주면에 제공된 계단부(47')의 상측면에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2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 분리기(3), 상기 원심 분리기 바닥부(33), 상기 중간 리드(5) 및 상기 나사 캡(41)은 하부 하우징부(42)와 나사 체결될 수 있는 사전 조립된 유닛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3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캡(41)과 상기 고정 하우징부(42) 사이의 나사 체결부(43.1, 43.2)와, 상기 나사 캡(41)과 상기 원심 분리기 바닥부(33) 사이의 나사 체결부(34, 43')는 동일 방향의 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3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캡(41)과 상기 고정 하우징부(42) 사이의 나사 체결부(43.1, 43.2)와 상기 나사 캡(41)과 상기 원심 분리기 바닥부(33) 사이의 나사 체결부(34, 43')는 반대 방향의 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캡(41)과 상기 원심 분리기 바닥부(33) 사이의 나사 체결부(34, 43')는 상기 나사 캡(41)과 상기 고정 하우징부(42) 사이의 나사 체결부(43.1, 43.2)의 풀림 토크보다 큰 풀림 토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캡(41)과 상기 원심 분리기 바닥부(33) 사이의 나사 체결부(34, 43')는 상기 중간 리드(5)와 상기 고정 하우징부(42) 사이의 풀림 토크보다 큰 풀림 토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34. 제18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나사 캡(41)과 상기 원심 분리기 바닥부(33) 사이의 나사 체결부(34, 43')에 탈착 가능한 풀림 회전 고정부(36)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3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리드(5)와 상기 필터 인서트(2)는 상기 장치(1)에서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비체결되고 체결 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개별 부재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3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리드(5)와 상기 필터 인서트(2)는 상호간에 맞물릴 수 있으며 축방향 견인력을 전달하기 위한 탈착 가능한 제2 체결 수단들(23, 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 수단들(23, 53)은 스냅식 체결 수단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 수단들(23, 53)은 나사 체결부로서 혹은 베이어닛 조인트로서 혹은 회전식 체결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3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 상기 원심 분리기 바닥부(33), 상기 중간 리드(5) 및 상기 어댑터편(6)은 플라스틱을 소재로 사출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순물 제거 장치.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KR1020067002799A 2003-08-13 2004-08-11 내연기관의 윤활유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불순물제거 장치 KR101077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312484.7 2003-08-13
DE20312484U DE20312484U1 (de) 2003-08-13 2003-08-13 Vorrichtung zum Abtrennen von Verunreinigungen aus dem Schmieröl einer Brennkraft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823A KR20060061823A (ko) 2006-06-08
KR101077716B1 true KR101077716B1 (ko) 2011-10-27

Family

ID=33547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2799A KR101077716B1 (ko) 2003-08-13 2004-08-11 내연기관의 윤활유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불순물제거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867158B2 (ko)
EP (1) EP1654049B1 (ko)
JP (1) JP4693773B2 (ko)
KR (1) KR101077716B1 (ko)
CN (1) CN100453143C (ko)
AT (1) ATE454932T1 (ko)
BR (1) BRPI0413541B1 (ko)
DE (2) DE20312484U1 (ko)
WO (1) WO20050187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312484U1 (de) * 2003-08-13 2004-12-23 Hengst Gmbh & Co.Kg Vorrichtung zum Abtrennen von Verunreinigungen aus dem Schmieröl einer Brennkraftmaschine
DE202005014353U1 (de) * 2005-09-09 2007-01-18 Hengst Gmbh & Co.Kg Zentrifuge
DE202007017614U1 (de) * 2007-12-14 2009-04-30 Mann + Hummel Gmbh Ölfilter
GB2467330A (en) * 2009-01-29 2010-08-04 Mann & Hummel Gmbh A self-powered centrifugal separator
US9266070B2 (en) 2009-03-27 2016-02-23 Bioneer Corporation Oil pu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ith porous membrane
GB2477791B (en) * 2010-02-15 2014-08-27 Mann & Hummel Gmbh Centrifugal separator with snap fit separation cone
US20110263405A1 (en) * 2010-04-22 2011-10-27 Specialist Process Technologies Limited Separator
KR101138329B1 (ko) * 2010-08-12 2012-04-2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패스 윤활시스템을 위한 펠톤형 원심여과기
WO2012081025A2 (en) * 2010-12-16 2012-06-21 Amiad Water Systems Ltd. Filtration system and components there for
KR101262653B1 (ko) 2011-11-24 2013-05-10 유명기 원심력을 이용한 집진기
KR101262652B1 (ko) 2011-11-24 2013-05-10 유명기 집진기용 가이드베인 및 그를 이용한 집진기
DE202014104029U1 (de) * 2014-08-28 2014-10-20 Hengst Se & Co. Kg Filter, der an einem Anschlussflansch anbaubar ist, und Filtereinsatz
WO2015150443A1 (de) * 2014-04-04 2015-10-08 Hengst Se & Co. Kg Filter für das schmieröl einer brennkraftmaschine und filtereinsatz für den filter
DE102014110583A1 (de) 2014-07-28 2016-01-28 Hengst Se & Co. Kg Vorrichtung zum Abtrennen von Verunreinigungen aus dem Schmieröl einer Brennkraftmaschine
JP6511522B2 (ja) * 2015-06-19 2019-05-15 東京濾器株式会社 オイルセパレータ
DE102018004158A1 (de) * 2018-05-18 2019-11-21 Mann+Hummel Gmbh Zwischendeckel eines Filtergehäuses eines Filters zur Reinigung von flüssigen Fluiden und Filtereinsatz
CN110872963A (zh) * 2018-08-29 2020-03-10 曼胡默尔滤清器(上海)有限公司 一种用于分离内燃机润滑油污物的装置
CN110624307B (zh) * 2019-11-05 2021-05-04 山东奥莱斯特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工业废物废渣处理利用机械
CN111672198A (zh) * 2020-05-28 2020-09-18 金川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重油过滤器
CN112496854A (zh) * 2020-11-26 2021-03-16 厦门艺琉如机械有限公司 一种龙门铣床用润滑系统废油回收装置
DE102021200829A1 (de) * 2021-01-29 2021-03-18 Mahle International Gmbh Fluidzelle und Andockst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7052A1 (de) 2002-07-12 2004-01-22 Heng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abtrennen von verunreinigungen aus dem schmieröl einer brennkraft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5032A (en) * 1977-06-17 1979-08-21 Dana Corporation Disposable centrifugal separator with baffle means
GB2160449B (en) * 1984-05-04 1988-09-21 Ae Plc Oil cleaning assemblies for engines
DE4306431C2 (de) * 1993-03-02 2000-04-20 Hengst Walter Gmbh & Co Kg Vorrichtung zum Abtrennen von Verunreinigungen aus dem Schmieröl einer Brennkraftmaschine
FR2725917B1 (fr) * 1994-10-19 1997-11-21 Moatti Filtration Ensemble de traitement d'un fluide par filtration et centrifugation
GB2298037B (en) * 1995-02-18 1999-07-28 Glacier Metal Co Ltd Temperature regulating liquid conditioning arrangements
GB2314036B (en) * 1996-06-10 2000-02-02 Fram Europ Centrifugal filter
SE521062C2 (sv) * 1999-03-08 2003-09-30 Alfa Laval Corp Ab Drivenhet för en centrifugrotor hos en centrifugalseparator
DE10110381B4 (de) * 2001-03-03 2013-12-19 Mahle Filtersysteme Gmbh Vorrichtung zum Abtrennen von Verunreinigungen aus einem Schmieröl einer Brennkraftmaschine
DE20201418U1 (de) * 2001-05-03 2002-09-19 Ing. Walter Hengst GmbH & Co. KG, 48147 Münster Vorrichtung zum Abtrennen von Verunreinigungen aus dem Schmieröl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124463A1 (de) * 2001-05-19 2003-01-30 Mahle Filtersysteme Gmbh Vorrichtung zum Abtrennen von Verunreinigungen aus einem Schmieröl einer Brennkraftmaschine
DE20312484U1 (de) * 2003-08-13 2004-12-23 Hengst Gmbh & Co.Kg Vorrichtung zum Abtrennen von Verunreinigungen aus dem Schmieröl einer Brennkraftmas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7052A1 (de) 2002-07-12 2004-01-22 Heng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abtrennen von verunreinigungen aus dem schmieröl einer brennkraft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823A (ko) 2006-06-08
US20070232475A1 (en) 2007-10-04
US7867158B2 (en) 2011-01-11
DE502004010640D1 (de) 2010-03-04
EP1654049B1 (de) 2010-01-13
JP4693773B2 (ja) 2011-06-01
BRPI0413541B1 (pt) 2014-12-09
EP1654049A1 (de) 2006-05-10
CN1835785A (zh) 2006-09-20
JP2007501911A (ja) 2007-02-01
WO2005018775A1 (de) 2005-03-03
DE20312484U1 (de) 2004-12-23
BRPI0413541A (pt) 2006-10-17
ATE454932T1 (de) 2010-01-15
CN100453143C (zh) 200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716B1 (ko) 내연기관의 윤활유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불순물제거 장치
US11033842B2 (en) Filter insert for a filter having a filter bypass valve, and a method of using the filter insert
US20050236322A1 (en) Device for separating impurities from the lubricating oil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90118111A1 (en) Impulse Centrifuge for the Purification of the Lubricating Oil from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764420B2 (en) Eccentric-screw pump with replaceable rotor and stator
US6296765B1 (en) Centrifuge housing for receiving centrifuge cartridge and method for removing soot from engine oil
EP1832795B1 (en) Rotary joint and housing segments of rotary joint
EA019128B1 (ru) Штифт для прикрепления вкладыша
BR112012015872B1 (pt) Filtro para líquidos
US9458757B2 (en) Motor vehicle coolant pump
KR100988442B1 (ko) 내연 기관용 캠 샤프트 지지 구조
JPH02503769A (ja) カップリング装置
US10920896B2 (en) Top entry axial flow regulator
US20050187091A1 (en) Disposable centrifuge rotor
JP4207047B2 (ja) 内燃機関のカムシャフト支持構造
US8043201B2 (en) Centrifuges for a lubricant oil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 modular housing system having various bases, lids and rotors
US9616430B2 (en) Centrifugal separator and rotor having an external hub to shaft connection
US20090218269A1 (en) Oil filter
US7527732B2 (en) Housing closure for a filter
US20190176064A1 (en) Liner for a Filter Sub-Assembly
RU43329U1 (ru) Шаровый кран
CN116357429A (zh) 包括涡轮的窜气过滤组件
CN114876949A (zh) 一种可拆卸滑动部件的轴承
UA99771C2 (uk) Штифт для прикріплення вкладиша насоса (варіанти) і корпус насоса (варіан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