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866B1 - 수처리장의 도류벽 무앙카 설치 공법 - Google Patents

수처리장의 도류벽 무앙카 설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866B1
KR101076866B1 KR1020110040092A KR20110040092A KR101076866B1 KR 101076866 B1 KR101076866 B1 KR 101076866B1 KR 1020110040092 A KR1020110040092 A KR 1020110040092A KR 20110040092 A KR20110040092 A KR 20110040092A KR 101076866 B1 KR101076866 B1 KR 101076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ter
treatment plant
partition wall
wat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심인하
Original Assignee
심인하
수엔비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인하, 수엔비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심인하
Priority to KR1020110040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8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E02D23/08Lowering or sinking cais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ㆍ하수 처리장에서 물이 정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또는 물이 일정한 속도로 흐르게 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수처리장의 도류벽 무앙카 설치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처리장의 내부에 도류벽 시공시 판재 형태의 간벽을 적용하여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단가를 낮추고, 간벽과 접하는 구조물측과 바닥측 및 벽체측에 라이닝 부재를 개재하는 동시에 PE 웰딩(PE Welding) 방식으로 접합하여 수분침투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도류벽 시공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라이닝 처리와 간벽 구축 등과 관련한 전체적인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라이닝 부재를 통한 누수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는 한편, 구조물측에 지지되면서 양방향 체결이 가능한 PE 밴드를 채용하여 구조물과 간벽을 체결하는 새로운 형태의 간벽 구축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다수의 간벽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계적인 시공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작업을 신속하게 마칠 수 있는 수처리장의 도류벽 무앙카 설치 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처리장의 도류벽 무앙카 설치 공법{Flow guiding wall for water treatment plant}
본 발명은 수처리장의 도류벽 무앙카 설치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ㆍ하수 처리장에서 물이 정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또는 물이 일정한 속도로 흐르게 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도류벽을 앙카볼트의 사용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수처리장의 도류벽 무앙카 설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ㆍ하수 처리장이나 수도물 처리장 등과 같은 수처리장에는 물의 처리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물의 흐름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유도하는 도류벽이 설치된다.
이러한 도류벽은 수처리장 내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면서 물의 흐름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유도하여 수처리장에서 흐르는 물과 약품 간의 체류시간을 늘려서 처리 효과를 극대화하고, 기타 불순물의 침전시간 또한 증대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보통 도류벽은 수처리장의 건설과 함께 시공되는 일체형 콘크리트 방식으로 설치되거나, 일정 크기로 미리 제작된 후에 구조물 내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크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시공된다.
그러나, 콘크리트 재질로 시공되는 도류벽의 경우, 수질환경을 저해하는 물질을 발생시켜 수질을 오염시킬 뿐 아니라, 시공이 어렵고 공사기간도 길며 소정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약 20cm 정도로 다소 두껍게 시공되는 관계로 수처리장의 담수능력이 떨어지며, 품질관리 및 유지보수상의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콘트리트 도류벽은 그 수명이 약 15년 정도로 비교적 짧은 편이며, 수명이 다하여 재시공하는 경우, 철거작업에 많은 인원과 장비를 동원해야 하는 등 시간이나 비용면에서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중공의 패널을 사용하여 도류벽을 구축하는 시공방식이 점차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패널형 도류벽의 경우, 강도 유지를 위해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갖는 패널들을 시공할 때 접합철물(볼팅 구조)의 사용이 필수적이고, 이러한 접합철물의 사용으로 인해 누수발생 문제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패널을 사용하는 도류벽은 접합시공에 많은 어려움과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등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고, 또 구조물을 이용하여 연속벽 형태의 도류벽을 구축하는 경우, 구조물과 도류벽 간의 접합 시공시 용접작업이 수반되는 등 시공이 매우 까다롭고,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측에 브라켓 등의 접합철물을 이용하여 도류벽을 설치하는 경우, 접합철물을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구조물 표면에 처리된 합성수지 시트에 구멍을 형성시키고 고정할 수 밖에 없고, 결국 이때의 구멍을 통해 누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는 도류벽을 설치함에 있어 수질환경을 저해 방지 및 시공방식의 간편화, 앙카 및 볼트 등의 접합철물를 배제하며 시공되는 도류벽 구조가 등록특허 제10-0953668호(접합형 간벽장치 ㅁ미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 도류벽, 2010.04.12.등록)가 개시된 바 있다.
이는 합성수지 시트를 처리한 라이닝 처리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합수단을 매개로 하여 간벽 연결부에 연결되는 시트 또는 판재로 된 간벽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도류벽 또한 여러가지 문제점이 제기된다.
즉, 합성수지 시트로 라이닝 처리된 구조물 벽체나 기둥 등에 시트 또는 판재로 된 간벽을 연결함에 있어, 각 간벽을 전부 용접으로 접합하여 연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에 따른 시공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는 가장 큰 문제가 있고, 또한 용접 접합이기 때문에 장시간이 지나면 이음부가 약해져 누수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수처리장의 내부에 도류벽 시공시 판재 형태의 간벽을 적용하여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단가를 낮추고, 간벽과 접하는 구조물측과 바닥측 및 벽체측에 라이닝 부재를 개재하는 동시에 앙카 등의 체결구조 없이 PE 웰딩(PE Welding) 방식으로 접합하여 수분침투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도류벽 시공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라이닝 처리와 간벽 구축 등과 관련한 전체적인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라이닝 부재를 통한 누수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는 수처리장의 도류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물측에 지지되면서 양방향 체결이 가능한 PE 밴드를 채용하여 구조물과 간벽을 체결하는 새로운 형태의 간벽 구축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다수의 간벽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계적인 시공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작업을 신속하게 마칠 수 있는 수처리장의 도류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처리장의 도류벽 무앙카 설치 공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수처리장의 도류벽은 수처리장의 저수조 내에 설치되어 물의 흐름을 유도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구조물과 함께 설치되면서 가장자리 부분이 채널형 플라스틱 마감재로 감싸여 있는 복수의 간벽을 포함하며, 상기 간벽은 구조물을 사이에 두고 양옆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양쪽에 체결편을 가지면서 구조물을 감싸는 한 쌍의 플라스틱 밴드에 의해 체결되어 구조물과 일체식 구조를 이루며, 상기 간벽의 측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구조물의 표면에 부착되는 라이닝 부재와 저수조의 바닥에 설치되는 라이닝 부재에 접합되어 기밀이 유지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연속적인 간벽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완벽한 수밀구조를 확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플라스틱 밴드는 "ㄷ"자 모양의 몸체와 이 몸체의 양쪽 단부에서 연장되는 체결편을 가지는 형태로 구성하여, 구조물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대칭형태로 조합한 후, 서로 나란하게 위치되는 체결편을 이용하여 그 사이에 위치되는 간벽의 단부와 함께 볼트 및 너트 체결구조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간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되는 플라스틱 마감재는 PE 재질로 제작하여, 라이닝 부재와의 접합시 PE 웰딩 방식으로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벽의 경우, PHP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바를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하는 동시에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는 플라스틱 마감재를 통해 하나의 플레이트 형태가 되도록 조합한 구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처리장의 도류벽 무앙카 설치 공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수처리장 내의 도류벽 시공시 간벽 구축 및 이와 연계한 라이닝 처리 등의 시공이 용이하여 도류벽 시공과 관련한 전체적인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간벽과 구조물 사이 뿐만 아니라 간벽과 바닥측 및 벽체측에 개재되는 라이닝 부재와 간벽을 PE 웰딩(PE Welding) 방식으로 접합하며 기밀을 유지함으로써, 종전과 같이 라이닝 부재에 구멍을 뚫는 등의 작업을 배제할 수 있는 등 완벽한 기밀 효과를 도모할 수 있으며, 결국 라이닝 처리된 후의 구조물 표면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구조물의 양편으로 배치되는 간벽을 용접방식이 아닌 PE 밴드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구조물측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연속으로 설치되는 간벽의 연계적인 시공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는 등 전체적인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가격이 비싼 패널류를 대신하여 여러 개의 바를 일체식으로 조합한 판재 형태의 간벽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시공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등 매우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의 도류벽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의 도류벽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의 도류벽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2의 "A" 부위 확대구성도
도 5는 도 1의 "B" 부위 확대구성도
도 6는 도 3의 "C" 부위 확대구성도
도 7는 도 3의 "D" 부위 확대구성도
도 8은 도 3의 "E" 부위 확대구성도
도 9는 도 1의 "F" 부위 확대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의 도류벽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의 도류벽을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류벽은 수처리장에서 물의 흐름을 지그재그 형태로 유도하는 수단으로서, 저수조에 설치되는 도류벽 뿐만 아니라, 별도의 도면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정수장 침전지에 시공되는 저수조의 벽체 라이닝 부재 사이를 가로질러 시공되며, 물의 흐름을 일정하게 하는 정류벽, 침전지의 중앙을 가로질러 설치되면서 물의 좌우 유동을 차단하여 침전 효율을 높이는 간벽, 대형 물탱크 구조물을 가로질러 라이닝 부재 사이에 연결 시공되는 간벽 등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형태이든 합성수지 시트로 되어 있는 라이닝 부재가 마감 처리되어 있는 구조물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도류벽을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수처리장 등의 저수조(10)에 사각 기둥형태의 구조물(11)과 함께 설치되는 복수의 간벽(13)이 마련되고, 이때의 간벽(13)은 구조물(11) 사이사이에서 나란하게 일렬로 배치되면서 전체적으로 하나의 도류벽 구조체를 이루게 된다.
상기 간벽(13)은 PE 나 PT, FRP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바를 소정의 면적을 갖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태로 조합시킨 구조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다수의 바를 폭방향으로 서로 맞대면서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하여, 사각의 플레이트 형태로 조합하고, 이렇게 조합한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채널형의 플라스틱 마감재(12), 즉 "ㄷ"자 모양의 단면을 갖는 PE 재질 등의 마감재(12)를 볼트 및 너트 체결구조로 결합함으로써, 가장자리 부분이 PE 재질 등의 마감재(12)로 둘러싸인 사각 플레이트 모양의 간벽(13)이 완성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플라스틱 마감재(12)의 내측 벽면에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받침턱(1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간벽(13)의 단부가 플라스틱 마감재(12)의 내측에 끼워질 때 받침턱(18)에 밀착되면서 받쳐지게 되며, 이때의 플라스틱 마감재(12)의 바닥과 간벽 단부 사이에는 공간부(19)가 조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수조(10)의 바닥쪽으로 위치되는 간벽(13)의 단부에 결합되는 플라스틱 마감재(12)의 경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벽 단부와 내측 바닥면 사이에 조성되어 있는 공간부(19)를 외부와 통하게 해주는 배수홀(20)이 갖추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간벽(13)측으로 스며든 물이 아래쪽의 공간부(19)로 내려온 후에 배수홀(20)을 통해 밖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간벽(13) 내부의 물은 항상 하부로 흐르게 되므로 그 자리에서 체류되어 사수로 변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간벽(13)의 경우에 길다란 여러 개의 바를 조합시킨 형태로 이루어지는 관계로 구조적인 보강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간벽(13)의 상하 높이 중간쯤 되는 위치에 보강수단을 덧대어 물의 압력 등에 의한 하중에도 견고한 구조적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간벽(13)의 상하 높이 중간 위치에서 좌우 폭방향으로 수평배치되는 동시에 간벽(13)을 사이에 두고 양면에 위치되는 2개의 나란한 앵글 모양의 보강부재(17)가 마련되고, 이때의 보강부재(17)가 간벽(13)의 두께를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 체결구조에 의해 간벽(13)과 함께 결합되므로서, 상기 간벽(13)은 보강부재(17)의 보완을 통해 구조적인 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저수조(10) 내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사각 기둥 형태의 구조물(11)과 이것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벽체 구조물 형태로 시공되는 간벽(13)을 제공하며, 이때의 간벽(13)과 구조물(11) 간의 효율적인 연계 시공 방식 또한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11)과 간벽(13)을 일체식으로 묶어주기 위한 수단으로 한 쌍의 플라스틱 밴드(15)가 마련되고, 이때의 플라스틱 밴드(15)의 몸체는 "ㄷ"자 모양을 하면서 소정의 폭을 가지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며, 몸체의 양쪽 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편(14)이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간벽(13)은 구조물(1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대칭형태로 조합되고, 즉 서로의 내측을 마주본 상태에서 "ㄷ"자 모양의 몸체를 이용하여 사각 기둥형태로 되어 있는 구조물(11)을 양편에서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된 상태에서 간벽(13)이 위치되는 양옆으로는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체결편(14)이 각각 나란하게 위치되며, 이때의 체결편(14) 사이 내측으로 간벽(13)의 단부, 즉 간벽(13)의 가장자리를 마감하고 있는 플라스틱 마감재(12)가 삽입된 상태에서 함께 볼트 및 너트로 체결되므로서, 하나의 구조물(11)과 양옆의 각 간벽(13)은 일체식 구조를 이루며 함께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의 구조물(11)의 표면에는 라이닝 부재(16a)가 코팅되거나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플라스틱 밴드(15)는 라이닝 부재(16a)의 표면을 감싸는 형태가 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한 쌍의 플라스틱 밴드(15)를 이용하여 구조물(11)과 간벽(13)을 이어주는 시공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하나의 구조물(11)에 대해 그 양옆으로 간벽(13)을 연결 시공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되고, 결국 구조물(11)과 연계하여 간벽(13)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작업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등 전체적인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조물(11)과 간벽(13)을 잡아주는 플라스틱 밴드(15)의 경우는 PE 재질을 적용할 수 있으며, 구조물 상단부 및 하단부, 그리고 중간 높이에 각각 1개씩 적어도 3개 정도를 마련하여 3곳 정도 결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는 간벽(13)과 저수조(10)의 벽체면, 또 간벽(13)과 구조물(11)이 서로 맞닿는 부분, 또 저수조(10)의 바닥면과 바닥면에 맞닿는 간벽(13)의 하단 부분을 통한 누수문제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물(11)의 벽면을 싸고 있는 라이닝 부재(16a)와 간벽(13)의 가장자리를 마감하는 PE 재질 등의 플라스틱 마감재(12)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이들 간의 경계를 따라 전체 또는 일정부분 밀착구간에 걸쳐서 플라스틱 용접, 즉 PE 웰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구조물(11)과 간벽(13) 간의 연결부위에 대한, 즉 라이닝 부재(16a)와 플라스틱 마감재(12) 간의 경계부위에 대한 기밀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PE 웰딩 작업은 플라스틱 밴드(15)와 간벽(13)의 체결상태, 즉 간벽(13)이 안정되게 구조물로서 세워진 상태에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조(10)의 바닥과 간벽(13)의 하단 가장자리를 마감하는 PE 재질 등의 플라스틱 마감재(12) 사이에도 라이닝 부재(16b)가 설치되고, 이때에도 역시 이들 간의 경계를 따라 전체 또는 밀착된 일부구간에 걸쳐 PE 웰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간벽(13)의 하단부위에 대한 기밀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간벽(13)의 하단과 저수조(10)의 바닥 간의 기밀처리시 라이닝 부재(16b) 상에 간벽(13)의 하단 플라스틱 마감재(12)를 저수조(10)의 바닥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직접 PE 웰딩 처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게 된다.
이렇게 간벽(13)의 구조물측 연결부위인 측단부와 저수조 바닥측 연결부위인 하단측을 PE 웰딩 방식으로 기밀시공을 수행함으로써, 종전과 같이 라이닝 부재에 앙카를 설치하기 위해 구멍을 뚫는다거나 하는 등의 라이닝 훼손 문제를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완벽한 기밀시공이 가능하여 라이닝 처리된 후의 구조물 표면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조(10)의 가장 내측으로 설치되는 플라스틱 밴드(15)는 한쪽의 가장자리에만 간벽(13)을 체결시키면 되므로, 그 형상을 달리할 수 있다.
즉, 상기 "ㄷ"자 모양의 몸체와 이 몸체의 양쪽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체결편(14)을 가지는 형태의 한 쌍의 플라스틱 밴드(15)를 하나의 일체형으로 형성하며, 이때 한쪽 체결편를 삭제하여 폐곡화시켜 마감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최종 설치 후 외관을 깔끔하게 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도류벽 설치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의 도류벽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조(10)의 내부에는 벽체를 비롯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사각기둥 형태로 된 다수의 구조물(11)과 이때의 각 구조물(11) 사이사이에 플라스틱 밴드(15)로 연결되면서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간벽(13)의 일체식 구조로 이루어진 단위 벽체 구조물(100)들이 하나 걸러 하나씩 서로 좌우 엇배열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하나의 단위 벽체 구조물(100)의 한쪽 측단은 저수조(10)의 한쪽 벽면에 고정되는 동시에 다른 한쪽 측단은 저수조(10)의 다른 한쪽 벽면과 거리를 유지하는 구조로 설치되고, 반대로 그 다음의 다른 하나의 단위 벽체 구조물(100)의 한쪽 측단은 저수조(10)의 다른 한쪽 벽면에 고정되는 동시에 다른 한쪽 측단은 저수조(10)의 한쪽 벽면과 거리를 유지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러한 설치 형태가 반복되면서 다수의 단위 벽체 구조물(100)은 전체적으로 서로 엇배열되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저수조(10)의 벽면 또는 바닥면에 고정되는 단위 벽체 구조물(100)의 간벽(13)은 플라스틱 밴드(15)를 통해 구조물과 양쪽으로 연결되므로서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렇게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저수조 벽면 또는 바닥측과 PE 재질 등의 플라스틱 마감재(12)를 라이닝 부재(16b)에 PE 웰딩으로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볼 때 저수조(10) 내의 단위 벽체 구조물(100)들은 앙카 등이 필요없이 간벽(13)의 측단을 통한 저수조 벽체측 지지구조 및 간벽(13)의 하단을 통한 저수조 바닥측 지지구조를 이용하여 견고한 고정상태 및 완벽한 기밀상태를 유지하면서 설치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저수조(10) 내의 물의 흐름은 각 단위 벽체 구조불(100)의 배치 특성에 따라 지그재그 방향의 흐름형태를 보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수처리장 내에서 이러한 단위 벽체 구조물(100), 즉 도류벽의 지그재그 설치 형태에 따라 물의 흐름은 지그재그 방식으로 유도될 수 있게 되고, 결국 수처리장에서 흐르는 물과 약품 간의 체류시간이 늘어나면서 처리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동시에 기타 불순물의 침전시간 또한 늘어나면서 전체적인 수처리 효율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도류벽 무앙타 설치 공법은 플라스틱 밴드를 활용하여 구조물과 간벽을 연계적으로 결속시키는 시공 방식을 채용하고, 또 PE 웰딩(PE Welding) 방식으로 간벽과 구조물, 간벽과 바닥측 및 벽체측을 마감 처리하는 기밀 시공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도류벽 시공과 관련한 전체적인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완벽한 기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10 : 저수조 11 : 구조물
12 : 플라스틱 마감재 13 : 간벽
14 : 체결편 15 : 플라스틱 밴드
16a,16b : 라이닝 부재 17 : 보강부재
18 : 받침턱 19 : 공간부
20 : 배수홀 21 : 간벽고정용 브라켓

Claims (6)

  1. 수처리장의 저수조(10) 내에 설치되어 물의 흐름을 유도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저수조(10)의 내부에 사각기둥 형태로 된 구조물(11)과 함께 설치되면서 가장자리 부분이 채널형 플라스틱 마감재(12)로 감싸여 있는 복수의 간벽(13)을 포함하되,
    상기 간벽(13)은 구조물(11)을 사이에 두고 양옆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양쪽에 체결편(14)을 가지면서 구조물(11)을 감싸는 한 쌍의 플라스틱 밴드(15)에 의해 체결되어 구조물(11)과 일체식 구조를 이루며, 상기 간벽(13)의 측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구조물(11)의 표면에 부착되는 라이닝 부재(16a)와 저수조(10)의 바닥에 설치되는 라이닝 부재(16b)에 접합되어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되고,
    상기 한 쌍의 플라스틱 밴드(15)는 "ㄷ"자 모양의 몸체와 이 몸체의 양쪽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체결편(14)을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구조물(1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대칭형태로 조합된 후, 서로 나란하게 위치되는 체결편(14)을 이용하여 그 사이에 위치되는 간벽(13)의 단부와 함께 볼트 및 너트 체결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의 도류벽 무앙카 설치 공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벽(13)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되는 플라스틱 마감재(12)는 PE 재질로 이루어져, 라이닝 부재(16a,16b)와의 접합시 PE 웰딩 방식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의 도류벽 무앙카 설치 공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벽(13)은 PHP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바를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하는 동시에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는 플라스틱 마감재(12)를 통해 하나의 플레이트 형태로 조합시켜서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의 도류벽 무앙카 설치 공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간벽(13)의 상하 높이 중간 위치에서 좌우 폭방향으로 수평배치되어 간벽(13)을 사이에 두고 그 양면에서 함께 체결되는 보강부재(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의 도류벽 무앙카 설치 공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벽(13)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되는 플라스틱 마감재(12)의 내측 벽면에는 간벽 단부를 지지하는 받침턱(18)이 구비되어, 간벽 단부와 내측 바닥면 사이에는 물의 배수를 위한 공간부(19)가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의 도류벽 무앙카 설치 공법.
KR1020110040092A 2011-04-28 2011-04-28 수처리장의 도류벽 무앙카 설치 공법 KR101076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092A KR101076866B1 (ko) 2011-04-28 2011-04-28 수처리장의 도류벽 무앙카 설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092A KR101076866B1 (ko) 2011-04-28 2011-04-28 수처리장의 도류벽 무앙카 설치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6866B1 true KR101076866B1 (ko) 2011-10-25

Family

ID=45033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092A KR101076866B1 (ko) 2011-04-28 2011-04-28 수처리장의 도류벽 무앙카 설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86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325B1 (ko) 2012-11-05 2013-04-23 주식회사 복주 물저장탱크 내의 도류벽 설치구조
KR101286255B1 (ko) * 2013-03-14 2013-07-15 주식회사 성지기공 수처리장의 도류벽 조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90350B1 (ko) * 2018-10-30 2019-09-30 (주)아쿠아 물 저장시설의 사수방지를 위한 pdf패널 도류벽 구조
KR102205418B1 (ko) * 2020-01-06 2021-01-21 수엔비텍 주식회사 슬라이드식 출입문을 구비한 수처리장치의 무앙카 도류벽
KR102428758B1 (ko) 2022-04-05 2022-08-05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내오존성이 강화된 도류패널 및 그 도류패널을 이용한 수처리장의 슬러지 잔류방지 도류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668B1 (ko) * 2009-10-19 2010-04-20 주식회사 젠트로 접합형 간벽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 도류벽
KR100990197B1 (ko) * 2010-05-26 2010-10-29 최희선 무 용접 패널 도류벽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668B1 (ko) * 2009-10-19 2010-04-20 주식회사 젠트로 접합형 간벽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 도류벽
KR100990197B1 (ko) * 2010-05-26 2010-10-29 최희선 무 용접 패널 도류벽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325B1 (ko) 2012-11-05 2013-04-23 주식회사 복주 물저장탱크 내의 도류벽 설치구조
KR101286255B1 (ko) * 2013-03-14 2013-07-15 주식회사 성지기공 수처리장의 도류벽 조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90350B1 (ko) * 2018-10-30 2019-09-30 (주)아쿠아 물 저장시설의 사수방지를 위한 pdf패널 도류벽 구조
KR102205418B1 (ko) * 2020-01-06 2021-01-21 수엔비텍 주식회사 슬라이드식 출입문을 구비한 수처리장치의 무앙카 도류벽
KR102428758B1 (ko) 2022-04-05 2022-08-05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내오존성이 강화된 도류패널 및 그 도류패널을 이용한 수처리장의 슬러지 잔류방지 도류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6866B1 (ko) 수처리장의 도류벽 무앙카 설치 공법
KR100953668B1 (ko) 접합형 간벽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 도류벽
KR101055856B1 (ko) 거더 일체형 복공판 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
KR101693264B1 (ko) 콘크리트 일체 타설 철골-콘크리트 합성 프레임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369998B1 (ko) 철골기둥 접합용 철골 일체형 합성pc기둥과 이를 이용한 복합기둥 시공방법
KR100945593B1 (ko) 라이닝 처리된 구조물의 간벽장치
KR20090095126A (ko) 물탱크
KR101286255B1 (ko) 수처리장의 도류벽 조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39535B1 (ko) 파일기초를 이용한 구조물기초
JP2011241547A (ja) 束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物
JP2010229733A (ja) 鋼管による橋梁用床版と橋梁用床版構造および鋼管
RU128647U1 (ru) Бассейн
KR101134148B1 (ko) 정수 및 폐수처리용 저류조의 스테인레스 벽체 패널
JP2016037710A (ja) 板パネル固定構造物
JP6300563B2 (ja) 防水板
CN209924545U (zh) 一种装配式可转移抗爆结构
JP5479213B2 (ja) 床下点検構造
KR101172875B1 (ko) 수로에 설치되는 조립식 벽체 구조
KR101304440B1 (ko) 접합 부재가 불필요한 도류벽
KR101168005B1 (ko) 정수장용 도류벽의 설치구조
KR101666981B1 (ko) 선조립형 철근 구조물의 결합구조
JP6816941B2 (ja) 免震建物の基礎構造
JP5237879B2 (ja) 山岳地帯における既設擁壁の嵩上げ構造及び工法
KR20110103266A (ko) 개착 타입 터널 시공방법과 이에 적용되는 시공구조체
JP2014218830A (ja) 配水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