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753B1 - 친환경적 선박 계류구조 - Google Patents

친환경적 선박 계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753B1
KR101076753B1 KR1020110034988A KR20110034988A KR101076753B1 KR 101076753 B1 KR101076753 B1 KR 101076753B1 KR 1020110034988 A KR1020110034988 A KR 1020110034988A KR 20110034988 A KR20110034988 A KR 20110034988A KR 101076753 B1 KR101076753 B1 KR 101076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mooring line
steel pipe
concrete
shore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택곤
Original Assignee
씨엘비마린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엘비마린 (주) filed Critical 씨엘비마린 (주)
Priority to KR1020110034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4Mooring posts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을 계류시키기 위한 기술로서, 자연 상태의 해안선을 따라 다수의 선박을 종방향으로 계류하기 위해 상기 해안선에 계선 구조물을 마련하되, 상기 계선 구조물은, 터파기가 이루어진 함몰부에 하단부는 암반층까지 도달되도록 하며, 상단부는 함몰 바닥면보다 높게 돌출되고, 내부에 보강 콘크리트가 주입되어 내부가 채워지는 강관파일; 상기 강관파일 상단면에 결합되는 연결플랜지; 상기 연결플랜지와 체결되며 상부는 지면보다 높게 돌출되고 내부에는 보강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계선주; 상기 함몰부를 채우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해안선으로부터 떨어져 상기 계선주와 로우프로 구속될 기준 선박을 배치하되, 상기 기준 선박의 선미와 상기 계선주가 상기 로우프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기준 선박의 선수는 닻을 내려 고정되게 하고, 상기 기준 선박의 양측면에는 펜더를 연결시킨 후 상기 펜더의 외측면에 다른 선박을 연결시키도록 하여 상기 해안선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공간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 선박 계류구조이다.

Description

친환경적 선박 계류구조{ECO-FRIENDLY VESSEL MOORING STRUCTURE}
본 발명은 선박을 계류시키기 위한 기술로서, 특히 자연 상태의 해안선을 따라 선박을 효율적으로 정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친환경적 선박 계류 구조에 대한 것이다.
글로벌화로 인해 전 세계는 서로간 무역을 통해서 이익을 창출하여 경제발전을 달성하고 있다. 특히나 대한민국은 천연자원이 부족하고 인구도 많지 않기 때문에 전 세계 나라들과의 무역이 없었다면 단기간에 지금과 같은 눈부신 경제성장을 달성할 수 없었을 것이다.
대부분의 수출입 물동량은 선박을 통한 바닷길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고, 대한민국에는 세계적인 항구들이 다수 형성되었다. 대표적으로 부산항, 인천항, 광양항 등이 있으며, 대규모 컨테이너선들이 항구에 접안하여 선적과 하역을 하게 된다.
점차 대형화되어가는 컨테이너선과 같은 선박들이 항구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컨테이너선 전용부두가 건설되었고, 이러한 전용부두에는 여객선이나 기타 작은 선박들은 접안할 수 없는 실정이다.
즉, 여객선을 위한 여객선 부두가 형성되며, 군함을 위한 군용부두가 별도로 마련된다.
이에 비교하여 비교적 소형이면서 특정한 카테고리에 들어가지 않는 선박들은 사실상 부두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없게 되었다.
모든 선박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부두를 확장한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접안시설을 갖춘 부두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많은 부지를 확보해야 하고, 천문학적인 건설비용과 건설에 소요되는 장기간의 시간이 문제가 된다. 또한, 이러한 대구모 부두를 건설함에 있어서는 갯벌의 훼손과 같은 환경문제를 야기하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즉, 새로운 부두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자연 상태의 해안선을 해치면서 수심이 낮은 곳을 매립하여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배후시설이나 접안시설을 만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항구에는 선박을 계류시키기 위한 계선주들이 많이 설치된다. 계선주에는 곡주(bollard), 직주(bitt),혼형(horn), QRH(Quick Release Hook) 등이 있다. 이중 가장 일반적이고 흔한 것이 곡주이다.
일반적인 콘크리트 부두에 설치되는 계선주의 구조 및 시공방법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0-0121126호(2010.11.17 공개)의 "계선주의 시공방법"이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계선주의 시공방법에 대한 시공완료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부두(1)에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앵커홀(10)을 형성시키고, 계선주(30)를 설치하기 위해 앵커홀 둘레를 소정깊이로 파내어 재치공간(20)을 형성시키는 터파기 작업을 하도록 한다. 이후 재치공간(20)에 계선주(30)를 위치시키고 앵커홀(10)에 앵커볼트(40)를 박아 계선주(30)를 고정하도록 한다. 이후 재치공간에 콘크리트를 채워 넣어 계선주를 시공하도록 한다.
이처럼 기존에 알려진 계선주 시공방법은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부두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계선주를 고정 설치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었다. 즉, 콘크리트가 이미 단단한 기초를 이루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의 방식과 같이 앵커볼트로 계선주를 고정 설치하면 문제될 것이 없었으나, 콘크리트 기초가 없는 불특정 지역의 해안선을 따라 계선주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존 방식은 부적합하다.
도 2는 일반적으로 항구에 선박을 계류시키는 방식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로 형성된 항구의 선단에 계선주(30)들이 설치되며, 항구에 정박하고자 하는 선박(B)은 항구와 나란히 배치되어 다수의 로프(R)를 이용하여 선박(B)과 계선주(30)를 연결시켜 선박(B)들이 계류될 수 있도록 한다.
항구의 접안시설에 선박을 계류할 때에 선박을 횡방향으로 하여 로우프로 계선주와 연결하도록 하기 때문에 공간 이용효율이 지극히 낮아 많은 선박을 계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계선주 시공방법은 환경문제를 야기하고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어 선주들이 저렴하면서 자유롭게 항구를 이용할 수 없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0-0121126호(2010.11.17 공개)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자연 상태의 해안선을 따라 계선주를 포함하는 계선 구조물을 설치하여 환경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공간 이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친환경적 선박 계류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삭제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친환경적 선박 계류구조는, 자연 상태의 해안선을 따라 다수의 선박을 종방향으로 계류하기 위해 상기 해안선에 계선 구조물을 마련하되, 상기 계선 구조물은, 터파기가 이루어진 함몰부에 하단부는 암반층까지 도달되도록 하며, 상단부는 함몰 바닥면보다 높게 돌출되고, 내부에 보강 콘크리트가 주입되어 내부가 채워지는 강관파일; 상기 강관파일 상단면에 결합되는 연결플랜지; 상기 연결플랜지와 체결되며 상부는 지면보다 높게 돌출되고 내부에는 보강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계선주; 상기 함몰부를 채우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해안선으로부터 떨어져 상기 계선주와 로우프로 구속될 기준 선박을 배치하되, 상기 기준 선박의 선미와 상기 계선주가 상기 로우프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기준 선박의 선수는 닻을 내려 고정되게 하고, 상기 기준 선박의 양측면에는 펜더를 연결시킨 후 상기 펜더의 외측면에 다른 선박을 연결시키도록 하여 상기 해안선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공간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기초가 형성되지 않은 자연 상태의 해안선을 따라 충분한 강도를 발휘할 수 있는 계선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렇게 설치되는 계선주를 이용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공간 이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선박 계류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계선주의 시공방법에 대한 시공완료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으로 항구에 선박을 계류시키는 방식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선 구조물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강관파일과 연결플레이트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선 구조물의 시공공법에 대한 작업 공정도.
도 6은 보강 콘크리트 주입단계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한 작업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 계류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자연 상태의 해안선을 따라 선박을 종방향으로 계류시키기 위해 계선주를 설치하며, 이러한 계선주를 활용하여 친환경적으로 선박들을 계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선 구조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선 구조물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강관파일과 연결플레이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의 계선 구조물은 강관파일(100), 연결플랜지(200), 계선주(300) 및 콘크리트(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연 상태의 해안선을 따라 소정의 지점을 선정하여 계선주(300)를 시공할 터파기를 하여 함몰부(500)를 형성시킨다. 그리고 함몰부(500) 바닥면을 천공하여 강관파일(100)이 직립되게 설치되도록 한다.
강관파일(100)의 설치를 위해 천공작업을 할 때에는 강관파일(100)의 하단부가 암반층(90)까지 도달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굴착하도록 한다. 강관파일(100)은 내부가 빈 길다란 파이프와 같은 것이며, 강관파일(100)의 상단부는 함몰부(500) 바닥면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한다.
강관파일(100)의 상단면에는 연결플랜지(200)가 결합된다. 연결플랜지(200)는 원판 혹은 사각판상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사각판상 형태의 연결플랜지가 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연결플랜지(200)에는 강관파일(100) 내부와 연통되도록 천공된 천공부(210)가 형성되며, 강관파일(100)에 대해 연결플랜지(200)는 용접하여 일체가 되게 결합시키도록 한다.
터파기가 이루어진 함몰부(500)에 설치되는 강관파일(100)은 하나가 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 규격의 함몰부(500)에 두 개의 강관파일(100)이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두 개의 강관파일(100)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각 강관파일(100)의 상단면에 결합되는 연결플랜지(200)가 마련된다. 즉, 하나의 연결플랜지(200)를 이용하여 두 강관파일(100)을 연결시키는 구조가 되어 전체적인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두 개 이상의 강관파일(100)이 함몰부(500)에 설치될 수 있고, 각 강관파일(100)의 상단면에는 독립적인 연결플랜지(200)가 결합될 수도 있다.
연결플랜지(200) 상면에 계선주(300)가 위치되어 볼트(310)를 이용하여 체결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계선주는 곡주인 것으로 하며, 바람직하게 곡주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비어있는 것으로 한다.
연결플랜지(200)와 결합되어 강관파일(100)과 일체가 되는 계선주(300)의 상부는 지면보다 높게 돌출된다.
그리고 계선주(300)의 하부면에는 연결플랜지(200)의 천공부(210)와 연통되는 하부개구부(320)가 형성되며, 계선주(300)의 상단부에는 상부개구부(330)가 형성된다. 계선주(300)는 곡주가 아닌 직주와 같은 것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선 구조물은 터파기로 지면보다 낮게 형성된 함몰부(500)에 강관파일(100), 연결플랜지(200), 계선주(300)를 형성시킨 후 최종적으로 지면과 동일한 높이로 콘크리트(400)를 타설하여 함몰부(500)의 빈 공간을 채우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콘크리트(400)를 타설할 때에는 함몰부(500)에 철근들을 배치하여 콘크리트(400)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지면 본 실시예의 계선 구조물이 완성된다.
한편, 더욱 바람직하게 강관파일(100)과 계선주(300)의 내부 빈 공간에는 보강 콘크리트(400a)를 주입하여 내부가 채워지도록 한다. 강관파일(100)과 계선주(300)는 서로 연통되게 결합되기 때문에 계선주(30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부개구부(320)를 통해서 보강 콘크리트(400a)를 투입하게 되면 보강 콘크리트가 낙하되어 강관파일(100)과 계선주(300)의 내부를 채우게 된다.
또는 강관파일(100)을 설치한 후 1차적으로 강관파일(100) 내부에 보강 콘크리트(400a)를 주입한 다음 계선주(300) 내부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보강 콘크리트(400a)가 더 주입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선 구조물은 별도의 콘크리트가 없는 상태에서 해안선을 따라 적당한 위치에 선박 계류를 위한 계선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길다란 강관파일(100)을 박아 암반층(90)까지 도달되도록 하고 강관파일(100)의 상부측 일부는 터파기된 함몰부(500) 바닥면보다 높게 위치되게 하여 연결플랜지(200)를 이용하여 계선주(300)를 일체로 결합되게 한다. 따라서 콘크리트(400)가 채워지는 함몰부(500)에서 강관파일(100)의 상부 및 계선주(300)의 하부는 콘크리트(400)로 둘러싸이면서 견고한 결합상태를 이루게 되어 충분한 강도를 가지게 된다.
또한, 강관파일(100) 및 계선주(300) 내부로 보강 콘크리트(400a)를 채워넣도록 함으로써 계선주(300)와 강관파일(100)간 보다 견고한 결합을 달성하고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계선 구조물에 대한 시공공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선 구조물의 시공공법에 대한 작업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보강 콘크리트 주입단계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한 작업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선 구조물의 시공공법은 언급한 계선 구조물을 만들기 위한 시공공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계선 구조물의 시공공법은 크게 터파기 단계(S1), 강관파일 설치단계(S2), 연결플랜지 결합단계(S3), 계선주 결합단계(S4) 및 콘크리트 타설단계(S5)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보강 콘크리트 주입단계(S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계선 구조물의 시공공법은 자연 상태의 해안선을 따라 선박을 종방향으로 계류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지며, 특히 자연훼손이 최소화될 수 있는 친환경적 시공공법이다.
먼저 터파기 단계(S1)는 소정의 지점을 선택하여 함몰부(500)가 형성되도록 굴착하는 단계를 말한다. 즉, 자연 상태의 해안선과 인접한 곳을 선정하여 소정 깊이와 넓이로 굴착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깊이가 1300mm 이고 가로 길이가 2400mm, 세로길이가 1500mm 정도로 굴착하여 터파기를 한다.
터파기를 통해 형성되는 함몰부(500)에 강관파일(100)을 직립되게 설치하는 강관파일 설치단계(S2)가 이어진다.
강관파일 설치단계(S2)에서는 소정의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함몰부(500) 바닥면으로부터 깊게 천공한 후 중공의 강관파일(100)을 박아 넣도록 한다. 특히, 강관파일(100)의 하단부는 암반층(90)에 도달될 수 있을 정도로 삽입되게 하며, 강관파일(100)의 상단부는 함몰부(500) 바닥면보다 높게 돌출되는 형태가 되도록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 콘크리트 주입단계(S6)는 최종적으로 계선주의 결합이 완료되고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진 후 실시되는 것으로 하지만, 보강 콘크리트 주입단계는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강관파일 설치단계(S2) 후 강관파일(100) 내부를 채우는 1차 보강 콘크리트 주입단계(S2-1)가 먼저 이루어질 수 있다.
함몰부(500)에 강관파일(100)을 설치한 다음에는 강관파일(100)의 상단면에 연결플랜지(200)를 결합시키도록 한다. 물론, 연결플랜지(200)가 결합된 상태의 강관파일(100)을 준비하여 함몰부(500)에 강관파일(100)을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연결플랜지(200)는 사각 판상의 부재로서 강관파일(100)의 상단면에 용접 결합되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연결플랜지(200)에는 천공부(210)가 형성되어 강관파일(100) 내부와 연통되도록 한다.
이어서 준비된 계선주(300)를 연결플랜지(200) 상면에 올려 볼트(310)를 이용하여 서로 고정 연결시키도록 하는 계선주 결합단계(S4)가 뒤따른다. 연결플랜지(200)와 결합되는 계선주(300)의 상단부는 지면보다 높게 돌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계선주(300)는 내부가 비어있으며, 상하로 개구되어 강관파일(100) 내부와 연통되도록 한다. 즉, 계선주(300)의 상단부에 상부개구부(330)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하부개구부(320)가 형성된다.
이어서 콘크리트 타설단계(S5)가 이어지는데, 함몰부(500)에 콘크리트(400)를 채워 강관파일(100)과 계선주(300) 주위가 콘크리트(400)로 둘러싸이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을 만들어 철근을 함몰부(500)에 배근한 후 콘크리트(400)를 채워넣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계선주 결합단계(S4) 또는 콘크리트 타설단계(S5) 후에 계선주(300)와 강관파일(100) 내부에 보강 콘크리트(400a)를 주입하는 보강 콘크리트 주입단계(S6)가 실시되도록 한다.
보강 콘크리트 주입단계(S6)를 통해 강관파일(100) 내부와 계선주(300) 내부를 보강 콘크리트(400a)로 채우게 되면 전체적인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암반층(90)과 연결되는 강관파일(100)의 하부에서 암반층(90)과 보강 콘크리트(400a)가 결합을 형성하기 때문에 견고함을 더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강관파일(100)의 하단부 외면에 다수의 통공(미도시)을 형성시켜서 주입된 보강 콘크리트의 일부가 통공을 통해 강관파일 외부로 빠져나가 암반층과 결합을 형성하도록 함이 좋다.
한편, 계선주(300)와 강관파일(100) 내부에 대한 보강 콘크리트(400a) 주입시 단계적으로 보강 콘크리트를 채울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강관파일(100)에 대한 보강 콘크리트 주입을 위한 1차 보강 콘크리트 주입단계(S2-1)를 먼저 실시하고, 이후 계선주의 결합단계(S4)나 콘크리트 타설단계(S5) 후에 계선주(300) 내부에 대한 2차 보강 콘크리트 주입단계(S6-1)를 실시할 수도 있다.
첨부되는 도 6은 보강 콘크리트 주입단계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한 작업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언급한 바와 같이 1차 보강 콘크리트 주입단계(S2-1)는 강관파일 설치단계(S2) 후에 이루어지고, 2차 보강 콘크리트 주입단계(S6-1)는 콘크리트 타설단계(S5) 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시공되는 계선 구조물을 이용한 친환경적 선박 계류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 계류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선박 계류구조는 이미 설명한 계선 구조물 및 계선 구조물의 시공공법을 통해 완성된 계선주를 이용하여 선박을 종방향으로 계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특히, 본 발명의 선박 계류구조는 자연 상태의 해안선을 따라 다수의 선박을 효과적으로 계류할 수 있으며, 환경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는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의 선박 계류구조는 먼저 해안선을 따라 계선주(300)를 시공하도록 하며, 해안선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되는 선박을 로우프(R)를 이용하여 계선주(300)와 연결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계선주(300)와 로우프(R)로 직접 연결되는 선박을 기준 선박(B1)이라 부르도록 하며, 기준 선박(B1)의 선미가 해안선과 마주보도록 위치시켜서, 기준 선박(B1)의 선미와 계선주(300)가 로우프(R)로 연결되도록 한다.
기준 선박(B1)의 선수는 닻을 내려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기준 선박(B1)의 고정이 완료되면, 기준 선박(B1)의 양측면에 소정의 펜더(600)를 연결시키도록 한다.
펜더(600)는 선박의 접안시 등에 사용되는 충격완화수단을 의미하며, 탄성을 갖는 소재나 에어를 충진한 것 등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준 선박(B1)의 양측으로 다른 선박(B)들을 접안시키기 위해 기준 선박(B1)의 양측에 길다란 펜더(600)를 연결하도록 하고, 펜더(600)의 외측면에 다른 선박(B)을 위치시켜서 펜더(600)와 연결하거나 기준 선박(B1)과 다른 선박(B)을 결속시키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연 상태의 해안선을 살려두면서 계선주를 이용하여 해안선에 대해 종방향으로 선박들을 효과적으로 계류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부산항 등과 같은 대형 항구에 각종 규제나 기타 경제적 여건으로 인해 항구에 정박할 수 없는 소형 선박 또는 전용 부두가 없는 선박들을 대형 항구와 인접한 해안선을 따라 정박시킬 수 있고 횡방향이 아닌 종방향으로 선박을 정박시킴으로써 공간 이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 계류구조는 계선주의 시공만으로도 선박들을 계류할 수 있어 자연훼손을 거의 일으키지 않으며, 공사 비용도 저렴하기 때문에 선박을 계류시키고자 하는 선주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선박 계류구조에서 해안선을 따라 설치되는 계선주(300)는 이미 언급된 계선 구조물의 시공공법에 따라 설치된다. 즉, 터파기 단계(S1), 강관파일 설치단계(S2), 연결플랜지 결합단계(S3), 계선주 결합단계(S4), 콘크리트 타설단계(S5), 보강 콘크리트 주입단계(S6)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시공되는 것으로 한다.
즉, 한 지점에 형성되는 계선주(300)를 이용하여 다수의 선박들을 계류시키고자 하기 때문에 계선주는 충분한 강도를 유지해야 한다.
더구나 본 발명에서는 자연 상태의 해안선을 살려두고자 하기 때문에 넓은 면적에 걸친 콘크리트 기초공사를 배제해야 한다.
이를 위해 소정의 터파기를 통해 함몰부(500)를 형성시키고, 함몰부에 강관파일(100)을 박아 강관파일(100)의 하단부가 암반층(90)까지 도달되도록 한다. 그리고 강관파일(100)의 상단부는 함몰부(500) 바닥면보다 높게 돌출되게 하고, 강관파일(100) 상단면에 연결플랜지(200)를 결합한다.
연결플랜지(200) 상면에 계선주(300)를 결합시킨 후 함몰부(500)를 콘크리트로 채워 양생시키도록 하면 충분한 강도를 발휘할 수 있는 계선주(300)를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해안선을 따라 선박을 종방향으로 계류할 수 있고, 특히 중소형 선박들을 저렴한 비용으로 정박시키기에 적합한 바,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높은 기술이다.
100 : 강관파일 200 : 연결플랜지
210 : 천공부 300 : 계선주
310 : 볼트 320 : 하부개구부
330 : 상부개구부 400 : 콘크리트
400a: 보강 콘크리트 500 : 함몰부
600 : 펜더 90 : 암반층
B1 : 기준 선박 R : 로우프
S1 : 터파기 단계 S2 : 강관파일 설치단계
S3 : 연결플랜지 결합단계 S4 : 계선주 결합단계
S5 : 콘크리트 타설단계 S6 : 보강 콘크리트 주입단계

Claims (6)

  1. 자연 상태의 해안선에 터파기를 하여 함몰부를 형성하되,
    상기 터파기는 자연 상태의 해안선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자연 상태의 해안선 일부에 대하여 행하여지며,
    상기 자연 상태의 해안선은 상기 터파기된 부위를 제외하고는 자연 상태의 해안선이 유지되며,
    상기 터파기가 이루어진 함몰부의 바닥면에 대하여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천공을 수행하되 상기 천공은 암반층까지 도달되도록 천공되며, 아울러 하나의 함몰부의 바닥면에 대하여 두 개의 천공이 수행되며,
    상기 천공마다 중공의 강관파일이 직립되게 설치되어 하나의 함몰부에 대하여 두 개의 강관파일이 수직상으로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설치된 두 개의 강관파일의 상단부 각각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되 함몰부의 바닥면보다 높지만 지면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설치된 두 개의 강관파일의 하단부 각각은 암반층까지 도달되며,
    상기 두 개의 강관파일 내부와 각각 연통되도록 천공된 두 개의 원형의 천공부가 형성된 판상의 연결플랜지가 상기 두 개의 강관파일 상단면에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되어 수평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연결플랜지의 상면에 계선주가 마련되되,
    상기 계선주는 상기 연결플랜지와 볼트에 의하여 볼트체결되며,
    상기 계선주의 하부에는 상기 연결플랜지의 천공부와 연통되는 하부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계선주의 상부에는 보강 콘크리트의 주입을 위한 상부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계선주의 상부는 수평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계선주의 하부는 상기 계선주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곡주 형태이며,
    상기 상부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계선주의 상부는 지면보다 높게 돌출되며,
    상기 연결플랜지와 연결되는 상기 계선주의 하부는 지면보다 낮게 위치되며,
    상기 함몰부에 강도 향상을 위하여 철근들이 배치되며,
    상기 함몰부를 채우되 상기 강관파일의 상부, 상기 연결플랜지, 상기 볼트 상기 계선주의 하부, 및 상기 철근들이 내부에 매립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며 ;
    상기 계선주의 상부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계선주의 내부에 보강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상기 두 개의 강관파일의 내부, 상기 연결플랜지의 천공부, 및 상기 계선주의 내부가 보강 콘크리트로 채워지며,
    상기 해안선으로부터 떨어져 상기 계선주에 구속될 기준 선박의 선미가 상기 계선주와 마주보도록 배치하되,
    상기 기준 선박의 선수는 닻을 내려 고정되게 하고, 상기 기준 선박의 선미는 로우프로 상기 계선주에 연결시켜 상기 기준 선박이 상기 계선주에 계류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 선박의 양측면에는 펜더를 연결시킨 후 상기 펜더의 외측면에 다른 선박을 연결시키도록 하여
    상기 해안선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공간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 선박 계류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10034988A 2011-04-15 2011-04-15 친환경적 선박 계류구조 KR101076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988A KR101076753B1 (ko) 2011-04-15 2011-04-15 친환경적 선박 계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988A KR101076753B1 (ko) 2011-04-15 2011-04-15 친환경적 선박 계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6753B1 true KR101076753B1 (ko) 2011-10-26

Family

ID=45033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988A KR101076753B1 (ko) 2011-04-15 2011-04-15 친환경적 선박 계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7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687B1 (ko) * 2017-05-18 2017-10-26 주식회사 유신 하부 연통형 계선주를 이용한 계선주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687B1 (ko) * 2017-05-18 2017-10-26 주식회사 유신 하부 연통형 계선주를 이용한 계선주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7741B2 (en) Earth retaining system such as a sheet pile wall with integral soil anchors
EP3436640B1 (en) Seabed base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same
CN103321241A (zh) 深水开敞式组合基础码头及其施工方法
CA2708933C (en) Modular offshore platform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JP5136589B2 (ja) 水中構造物の補強梁と補強工法
AU2019203298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underwater scour prevention
KR101076753B1 (ko) 친환경적 선박 계류구조
KR101524244B1 (ko) 뒷채움 사석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드를 구비한 항만 안벽 구조물의 시공 방법
JP2005139680A (ja) 矢板式護岸構造物およびその工法
KR20110046209A (ko) 교량 교각기초 보강 및 세굴방지 시공 방법 및 그 구조물
JP2010180684A (ja) 立体ラーメン構造の桟橋と施工方法
US10214870B2 (en) Buoyancy compensated erosion control module
KR20220068125A (ko) 인터로킹블록 및 인터로킹블록을 이용한 항만구조물 및 인터로킹블록을 이용한 항만구조물의 축조방법
JP4551985B2 (ja) 岸壁構造体及びその形成方法
KR20150049623A (ko) 가설상판을 이용한 해상 재킷 구조물 시공방법
KR101099692B1 (ko) 계선주의 시공방법
KR101961655B1 (ko) 항타 말뚝과 박스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결합한 해상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142024B1 (ko) 항만용 블록 및 항만용 블록 시공 방법
RU145661U1 (ru) Шпунтовой больверк
KR102383736B1 (ko) 크레인 레일기초 일체형 케이슨 및 시공 방법
KR101326773B1 (ko) 부등침하에 대응이 용이한 항만구조물
JP6659430B2 (ja) 防波構造物の改良方法
JP4773584B1 (ja) 矢板式係船岸の改良工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仮設支持枠体
EP2189576A1 (en) Foundation system for marine structures in deep water
KR101153406B1 (ko) 프리캐스트 블록 및 팩을 이용한 해상 구조물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