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069B1 - 오일필터 조립체용 센터로드 - Google Patents

오일필터 조립체용 센터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069B1
KR101076069B1 KR1020080120082A KR20080120082A KR101076069B1 KR 101076069 B1 KR101076069 B1 KR 101076069B1 KR 1020080120082 A KR1020080120082 A KR 1020080120082A KR 20080120082 A KR20080120082 A KR 20080120082A KR 101076069 B1 KR101076069 B1 KR 101076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enter rod
seating portion
filter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1180A (ko
Inventor
두재균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0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069B1/ko
Publication of KR20100061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4Supports for the filtering elements
    • B01D2201/0415Details of supporting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05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internal-combustion engine lubrication or fue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F01M2011/031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센터로드는, 필터 캐리어의 체결링에 결합되어, 필터 내부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센터로드에 있어서, 바 형상의 몸체와, 횡단면이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상단에 구비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둘 이상의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에는, 이웃하는 두 개의 후크 사이의 이격공간과 연결되어 하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센터로드는, 기준치 이상의 강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되면서도, 필터 캐리어의 체결링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후크가 휘어질 때 상기 후크에 크랙이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후크 파손이 방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오일필터, 센터로드, 후크, 휨, 변위, 크랙, 파손

Description

오일필터 조립체용 센터로드 {Center rod for oil filter assembly}
본 발명은 오일필터 조립체에 포함되는 센터로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필터 캐리어와의 결합 과정에서 후크에 크랙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는 센터로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에는 실린더와 피스톤간의 접동 부분, 크랭크 샤프트 및 캠 샤프트와 같이 회전운동을 하는 부분 등의 마찰 부분은 금속끼리 직접 접촉하면서 마찰열이 발생하여 결국 접촉면이 마모되거나 눌러 붙는 현상이 일어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고자 엔진의 각 마찰부나 습동부에 오일이 공급/순환된다.
엔진의 각 마찰부에 공급되는 오일은 엔진의 하부에 취부되는 오일 팬에 저장되고, 오일 팬에 저장된 오일은 엔진의 시동과 동시에 오일펌프의 펌핑 작동에 의해 엔진의 각 접촉부분으로 펌핑되어 순환 공급된다.
이때, 상기 오일펌프에서 펌핑되는 오일은 오일필터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다음에 엔진의 각 윤활부로 공급되는데, 이 과정에서 오일필터는 엔진의 각 접동부분에서 발생된 쇠가루나 연소과정에서 발생된 카본 등을 걸러내게 된다.
최근에는 오일필터 내부의 여과 엘리먼트만을 교환하고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은 계속 사용하는 엘리먼트 교환식 오일필터가 친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오일필터 조립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오일필터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오일필터 조립체에 포함되는 센터로드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오일필터 조립체는, 오일필터(1)가 내부에 위치되는 하우징(10) 및 캡(20)과, 상기 캡(20)의 내측 상단에 결합되며 하측에 체결링(32)이 형성되는 필터 캐리어(30)와, 상기 필터 캐리어(30)의 하단에 결합되는 센터로드(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터로드(40)는, 바 형상의 몸체(42)와, 상기 몸체(42)의 상단에 형성되는 안착부(44)와, 상기 안착부(44)에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후크(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 캐리어(30)의 체결링(32)은 하측단이 안착부(44)에 접촉되고 상측단이 후크(46)의 걸림턱(47)에 걸리도록 상기 후크(46)에 체결된다. 또한, 필터(1)는 필터 캐리어(30)와 센터로드(40)를 감싸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터(1)를 교체하기 위하여 캡(20)을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상기 캡(20)에 결합된 필터 캐리어(30)뿐만 아니라, 센터로드(40) 및 필터(1)가 함께 하우징(10)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된다.
각 후크(46)를 체결링(32) 내부로 삽입시킬 때 상기 후크(46)는 끝단이 가운데로 모이는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후크(46)에 미세한 크랙이 생기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크랙은 후크(46)가 안착부(44)에 결합되는 부위 즉, 후크(46)의 하단에 주로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와 같이 후크(46)에 미세한 크랙이 발생되면, 사용자가 캡(20)을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시킬 때 후크(46)가 파손되어, 센터로드(40)가 하우징 내부에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크(46)를 탄성이 높은 재료 즉, 잘 휘어지는 재료로 제작하면 후크(46)의 파손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으나, 상기 센터로드(40)는 기준치 이상의 강도를 가져야하므로 재질 변경을 통하여 후크(46)의 크랙을 방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기준치 이상의 강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되면서도, 필터 캐리어의 체결링에 결합되기 위하여 후크가 휘어질 때 상기 후크에 크랙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는 센터로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센터로드는,
필터 캐리어의 체결링에 결합되어, 필터 내부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센터로드에 있어서,
바 형상의 몸체와, 횡단면이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상단에 구비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둘 이상의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에는, 이웃하는 두 개의 후크 사이의 이격공간과 연결되어 하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은, 상기 안착부의 하측단까지 연장된다.
상기 슬릿의 길이는 상기 후크의 높이보다 길게 설정된다.
상기 안착부는, 하단면 일부가 상기 몸체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한 센터로드는, 기준치 이상의 강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되면서도, 필터 캐리어의 체결링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후크가 휘어질 때 상기 후크에 크랙이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후크 파손이 방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센터로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센터로드가 장착된 오일필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센터로드(100)는, 하우징(10)과 캡(20) 내부에 필터(1)를 장착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바 형상의 몸체(110)와, 횡단면이 상기 몸체(110)의 중심축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110)의 상단에 구비되는 안착부(120)와, 상기 안착부(12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둘 이상의 후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크(130)는 캡(20)의 내부 상측에 결합되는 상기 필터 캐리어(30)(더 명확하게는 필터 캐리어(30)의 하측에 구비되는 체결링(32))에 체결되고, 몸체(110)는 필터(1)의 가운데 부위를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120) 는 외주면이 후크(130)의 외측면보다 측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바, 상기 체결링(32)은 후크(130)와 결합되었을 때 하측단이 상기 안착부(120)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센터로드(100)는, 이웃하는 두 개의 후크(130) 사이의 이격공간과 연결되어 하향으로 연장되는 슬릿(122)이 안착부(120)에 형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안착부(120)에 후크(130) 길이방향으로의 슬릿(122)이 형성되면, 후크(130)가 체결링(32)의 내부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후크(130)뿐만 아니라 안착부(120) 역시 몸체(110)의 중심축을 향해 휘어지게 되므로, 상기 후크(130)는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후크(46)보다 덜 휘어지더라도 체결링(32)에 충분히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후크(130)가 기준치 이상의 강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더라도, 구조적으로 후크(130)의 끝단 변위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130)가 체결링(32)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휨응력은 후크(130)에만 집중되지 아니하고 안착부(120)에도 분산되는바, 상기 후크(130)에 크랙이 형성되는 현상이 현저히 감소되고, 이에 따라 후크(130)의 파손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슬릿(122)이 길게 형성될수록 상기 안착부(120)가 더 많이 휘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후크(130)의 파손 우려가 더욱 감소되는바, 상기 슬릿(122)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120)의 하측단까지 연장됨이 바람직 하다.
물론, 상기 슬릿(122)이 길게 형성되기 위해서는 그만큼 안착부(120)의 높이가 높아야 되므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안착부(120)는 종래의 안착부(44)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포함되는 안착부(120)가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안착부(44)와 같이 높이가 낮게 형성되면, 상기 안착부(120)에 슬릿(122)을 형성하더라도 안착부(120)의 휨 현상이 두드러지게 발생하지 아니하고, 이에 따라 후크(130)의 파손 방지 효과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120)는 상기 후크(130)보다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릿(122)의 길이 역시 상기 후크(130)의 높이보다 길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부(120)의 하단면 전체가 몸체(110)에 연결되면, 슬릿(122)이 안착부(120)의 하측면까지 길게 연장된다고 하더라도 안착부(120)의 휨 변위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센터로드(100)는, 상기 안착부(120)가 더욱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120)의 하단면 일부만이 상기 몸체(1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부(120)와 몸체(110)가 연결되는 부위가 너무 좁으면, 상기 후크(130)가 체결링(32)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안착부(120)가 휘어질 때 상기 안착부(120)와 몸체(110) 간의 연결부위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120)와 몸체(110)가 연결되는 부위는 센터로드(100)의 재질이나 안착부(120)의 길이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센터로드(100)와 같이 안착부(120)에 슬릿(122)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120)가 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면, 상기 후크(130)의 폭을 넓히더라도 상기 후크(130)의 휨 변위를 원하는 만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센터로드(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30)의 폭을 넓힘으로써 후크(130)와 체결링(32) 간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오일필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오일필터 조립체에 포함되는 센터로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센터로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센터로드가 장착된 오일필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필터 10 : 하우징
20 : 캡 30 : 필터 캐리어
32 : 체결링 100 : 센터로드
110 : 몸체 120 : 안착부
122 : 슬릿 130 : 후크

Claims (4)

  1. 필터 캐리어(30)의 체결링(32)에 결합되어, 필터(1) 내부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센터로드(100)에 있어서,
    바 형상의 몸체(110)와, 횡단면이 상기 몸체(110)의 중심축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110)의 상단에 구비되는 안착부(120)와, 상기 안착부(12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둘 이상의 후크(130)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120)에는, 이웃하는 두 개의 후크(130) 사이의 이격공간과 연결되어 하향으로 연장되는 슬릿(122)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122)은, 상기 안착부(120)의 하측단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로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20)는, 하단면 일부가 상기 몸체(11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로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122)의 길이는 상기 후크(130)의 높이보다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로드.
KR1020080120082A 2008-11-28 2008-11-28 오일필터 조립체용 센터로드 KR101076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082A KR101076069B1 (ko) 2008-11-28 2008-11-28 오일필터 조립체용 센터로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082A KR101076069B1 (ko) 2008-11-28 2008-11-28 오일필터 조립체용 센터로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180A KR20100061180A (ko) 2010-06-07
KR101076069B1 true KR101076069B1 (ko) 2011-10-21

Family

ID=42361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082A KR101076069B1 (ko) 2008-11-28 2008-11-28 오일필터 조립체용 센터로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0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4189U (ko) * 1986-12-25 1988-07-06
JPH1071306A (ja) 1996-06-27 1998-03-17 Tenetsukusu:Kk エンジン用組合せ式オイルフィルタ
US20070241047A1 (en) * 2006-04-13 2007-10-18 Wix Filtration Corp. Filter Element
JP2008069685A (ja) 2006-09-13 2008-03-27 Toyo Roki Mfg Co Ltd オイルフィル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4189U (ko) * 1986-12-25 1988-07-06
JPH1071306A (ja) 1996-06-27 1998-03-17 Tenetsukusu:Kk エンジン用組合せ式オイルフィルタ
US20070241047A1 (en) * 2006-04-13 2007-10-18 Wix Filtration Corp. Filter Element
JP2008069685A (ja) 2006-09-13 2008-03-27 Toyo Roki Mfg Co Ltd オイルフィル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180A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4561B2 (ja) 内燃機関のピストンのためのピストンピン支承装置
EP2206909A1 (en) Pist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N101263294A (zh) 用于内燃机的活塞
JP2011529152A5 (ko)
KR20190073994A (ko) 오일팬용 드레인플러그
KR101076069B1 (ko) 오일필터 조립체용 센터로드
KR102186278B1 (ko) 내연기관용 피스톤
KR101837209B1 (ko) 내연기관용 피스톤의 핀 보스
CN104832540A (zh) 用于发动机的轴瓦和具有该轴瓦的发动机
KR101330927B1 (ko) 왕복 피스톤 압축기
CN203488554U (zh) 轴瓦和具有该轴瓦的发动机
EP2998594A1 (en) Connecting rod
CN213270011U (zh) 可防止惰轮轴松脱的外装式铝制机油泵
CN202900435U (zh) 一种汽车发动机机油环的环体
CN110242438B (zh) 内燃机的活塞组件
JP2010101225A (ja) 内燃機関のシリンダブロック構造
CN216407095U (zh) 一种安装于刮油箱的刮油环结构
CN101699042A (zh) 组合式机油滤清器
CN205400918U (zh) 一种裙部带仿生结构的内燃机活塞
JP2013083321A (ja) ピストン
CA3118030C (en) Piston and cylinde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204082484U (zh) 连杆结构及其包括该连杆结构的往复式制冷压缩机
CN109869239A (zh) 一种发动机活塞
CN201297139Y (zh) 深井用悬绳器
CN210113409U (zh) 一种游梁式抽油机的连杆与横梁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