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882B1 - 나노섬유 복합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노섬유 복합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882B1
KR101075882B1 KR1020090103931A KR20090103931A KR101075882B1 KR 101075882 B1 KR101075882 B1 KR 101075882B1 KR 1020090103931 A KR1020090103931 A KR 1020090103931A KR 20090103931 A KR20090103931 A KR 20090103931A KR 101075882 B1 KR101075882 B1 KR 101075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fiber
yarn
composite yarn
polymer
we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7340A (ko
Inventor
김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KR1020090103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882B1/ko
Publication of KR20110047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Treatment of filament-forming or like material
    • D01D1/02Preparation of spinning solu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15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 D01D5/003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polymer solution or dispersio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D01D5/0076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llecting device, e.g. drum, wheel, endless belt, plate or grid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42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by cutting films into narrow ribbons or filaments or by fibrillation of film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by ultrason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electro-spinn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섬유 복합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방사에 의해 제조되는 직경 1㎛ 미만으로 구성된 나노섬유를 라미네이션(lamination)한 후, 슬리팅(sliting)하여 나노섬유로 구성된 테이프사(tape filament)를 제조하고 이 나노섬유 테이프사를 합사 후 연사기에 의해 연사하여 나노섬유가 함유된 복합사를 제조하는 나노섬유 복합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방사, 나노섬유, 라미네이션, 슬리팅, 나노섬유 테이프사

Description

나노섬유 복합사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Composite Yarn including Nanofibers}
본 발명은 나노섬유 복합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방사에 의해 제조되는 섬유직경 1㎛ 미만의 고분자 나노섬유로 구성된 방사 웹을 라미네이팅한 후 슬리팅하여 나노섬유 테이프사를 제조하고 이를 합사, 연사기에 의해 연사하여 나노섬유가 함유된 복합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노섬유(nanofiber)는 직경 1㎛ 미만의 섬유상 물질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 분리법(phase separation), 자기 증식(self-assembly), 화학적 기상증착법 (CVD) 또는 전기방사(electrospinning)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나노섬유의 제조가 가능하다. 그러나 제조의 편리성이나 양산성 및 최종 제품의 응용성 측면에서 전기방사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기방사는 고분자 용액에 고전압의 전계(電界)를 가해 직경 1㎛ 미만의 섬유상 물질을 웹(web)이나 3차원의 부직포상(non-woven fabric)으로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제조되는 나노섬유는 대기나 수질정화용 필터소재, 메디컬(medical) 용 유착방지제, 드레싱용 소재, 와이핑 직물(wiping cloth), 인조피혁 및 에너지 저장용 탄소나노섬유, 유/무기 혼합방사에 의한 무기나노섬유 등의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나노섬유로 구성된 부직포 고유의 물성을 고려하면 고강도용 소재나 다양한 응용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나노섬유로 구성된 필라멘트(filament)를 제조하게 되면 제직이나 편직 등 다양한 2차 가공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나노섬유의 용도를 크게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종래 나노섬유를 이용하여 필라멘트를 제조하기 위한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37887 및 10-2006-12513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종래기술들은 집속장치(collector)상에 일정한 홈이 형성된 앤드레스 벨트(endless belt)상에 전기방사에 의해 리본형태의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여 이 집속장치로부터 이격시킨 후 집속, 연신 및 권취하여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방법들은 나노섬유를 제조할 때 집속장치의 홈과 홈 사이에 나노섬유를 방사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방사설비가 필요하게 되고, 또한, 제직이나 편직 등 2차 가공시 나노섬유 필라멘트만을 사용할 경우 적절한 강도를 유지하기 곤란하고 또한 양산성,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도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제직 및 편직성이 우수하며 강신도 등의 물성이 양호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고분자 나노섬유를 함유한 복합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사 제조에 관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나노섬유의 용도를 더욱 확장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a) 섬유 성형성 고분자 물질을 용매에 용해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방사용액을 방사방법에 의하여 방사하여 평균직경 1㎛ 미만으로 구성되는 고분자 나노섬유 웹을 얻는 단계; (c) 상기 나노섬유 웹을 라미네이팅하여 고분자 멤브레인을 얻는 단계; (d) 상기 고분자 멤브레인을 슬리팅하여 나노섬유 테이프사를 얻는 단계; 및 (e) 상기 나노섬유 테이프사를 합사 및 연사하여 나노섬유 복합사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복합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나노섬유가 함유된 복합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섬유 성형성 고분자 물질을 적당한 용매에 용해하여 방사가 가능한 농도로 만든 다음, 전기방사 장치를 사용하여 직경 1㎛ 미만으로 구성된 나노섬유를 평량 0.5∼100gsm(gram per square meter)이 되도록 제조한다. 여기서 평량이란 고분자의 단위 면적당 방사량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고분자로는 예를 들면,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나일론(nylon), 니트로셀룰로오스(nitrocellulose), PU(polyurethane), PC(polycarbonate), PS(polystryene), PAN(polyacrylonitrile), PLA(polylatic acid), PLGA,(polylactic-co-glycolic acid) PEI(polyethyleneimine), PPI(polypropyleneimine), PMMA(Polymethylmethacrylate), PVC(polyvinylcholride), PVAc(polyvinylacetate),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 공중합체(Polystylene divinylbenzene copolymer), PVC(poly vinyl chloride), PVA(poly vinyl alcohol), PVAc (polyvinyl acetate), PVP( poly vinyl pyrrolidone) 등을 단독 내지 2종 이상으로 복합화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전기방사에 의해 섬유상으로 제조가 가능한 섬유 성형성 고분자라면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고분자를 불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고분자는 특별히 상기한 고분자 물질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용매는 디메틸 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DMF), 디메틸 아세트마아미드(di-methylacetamide, DMAc), THF(tetrahydrofuran), 아세톤(Acetone), 알코올(Alcohol)류, 클로로포름(Chloroform), DMSO(dimethyl sulfoxide),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초산(acetic acid), 개미산(formic acid), NMP(N-Methylpyrrolidone), 불소계 알콜류, 및 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방사방법으로는 전기방사(electrospinning), 전기분사(electrospray), 전기분사방사(electroblown spinning), 원심전기방사(centrifugal electrospinning), 및 플래쉬 전기방사(flash-electrospinning)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고분자의 평량이 0.5gsm 이하로 되면 취급성이 떨어지고 슬리팅 공정이 불안정하게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100gsm을 초과하면 후속하는 라미네이팅 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공정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합사 및 연사 공정 후 얻어지는 최종 복합사가 굵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나노섬유 방사 웹의 라미네이팅은 가압, 컬렌더링, 열처리, 롤링, 열접합, 초음파 접합, 심 실링 테이프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섬유 테이프사의 제조는 커팅, 슬리팅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나노섬유 테이프사의 폭을 0.1mm 미만으로 슬리팅을 할 경우 원활하게 절단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장력 및 꼬임 부여시 사절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또한, 나노섬유 테이프사의 폭을 10mm를 초과하여 슬리팅할 경우, 연사 단계시 꼬임이 불균일하게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상기 나노섬유 테이프사는 평량 0.5∼100gsm, 폭이 0.1∼10m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사 및 연사단계에서 심사가 바깥면에 돌출되어 형성되지 않도록 무장력의 심사와 장력이 부여된 나노섬유 테이프사를 합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심사로는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나 실크, 면, 나노섬유 테이프사, 한지 등 용도 에 맞게 다양한 종류의 실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나노섬유 테이프사는 10∼100g중의 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상기 심사와 합사되도록 한다. 만약 장력이 10g 미만으로 합사 및 연사가 진행될 경우, 심사가 부분적으로 돌출될 확률이 높아져, 제직시 종광과 바디와의 마찰이 일어나거나, 편직시 편침과의 마찰이 발생하여 제직 및 편성 효율이 급격하게 저하할 우려가 있고, 장력이 100g을 초과할 경우, 합사시 사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상기 나노섬유 테이프사에 장력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업디스크 텐셔와 다운디스크 텐셔사이로 나노섬유 테이프사를 통과시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사시 무장력의 심사와 10∼100g의 장력이 부여된 나노섬유 테이프사를 별도의 보빈에 권취한 후 연사단계를 거칠 수 있으며, 무장력의 심사와 장력이 부여된 나노섬유 테이프사를 합사한 후 연속적으로 연사단계를 거칠 수도 있다. 또한, 나노섬유 테이프사와 나노섬유 테이프사를 각각 합사하여 연속적으로 연사단계를 거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이때 나노섬유 테이프사는 동종의 고분자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은 물론 이종의 나노섬유 테이프사를 각각 합사할 수도 있다.
상기 연사단계는 연사기를 이용하여 상기 합사중 나노섬유 테이프사가 심사를 균일하게 피복함과 동시에 꼬임을 부여하여 나노섬유 피복사를 제조하는 공정이다.
본 발명에 의한 나노섬유가 함유된 복합사는 심사가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나노섬유 테이프사를 균일하게 피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균제도가 양호하 여 우수한 제직성 및 편직성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촉감이 부드럽고 외관이 양호한 직물 및 편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나노섬유를 방사 후 슬리팅하여 얻은 나노섬유 테이프사를 기존의 연사기를 이용하여 복합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기성장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제조코스트의 절감은 물론, 취급성, 양산성 및 균일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섬유가 함유된 복합사의 제조방법은 먼저, 섬유 성형성 고분자를 적절한 용매에 용해하여 방사 가능한 농도로 용액을 제조하고, 방사구로 이송한 후 노즐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평량 0.5-100gsm이 되도록 전기방사를 하고, 이를 라미네이팅한 후 폭이 0.1-10mm가 되도록 슬리팅하여 나노섬유로 구성된 테이프사를 얻는다.
이렇게 얻어진 나노섬유 테이프사는 나노섬유 테이프사끼리 또는 심사와 함께 합사 및 연사하여 나노섬유가 함유된 복합사를 제조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섬유가 함유된 복합사의 제조방법의 전체적인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방사용액의 제조
고분자를 적당한 용매를 사용하여 방사 가능한 농도로 용해하여 방사용액을 준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분자 물질로는 열경화성이나 열가소성 고분자를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가 형성되는 고분자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방사용액 제조에 있어서 고분자 물질의 함량은 약 5∼50중량%가 적당하며, 5중량% 미만의 경우 나노섬유를 형성하기 보다는 비드(bead)상으로 분사되어 멤브레인을 구성하기 어려우며, 50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방사용액의 점도가 너무 높아 방사성이 불량하여 섬유를 형성하기 곤란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방사용액의 제조는 특별한 제약은 없으나, 섬유상 구조를 형성하기 쉬운 농도로 하여 섬유의 형상(morphology)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나노섬유 웹의 형성
상기 방사용액을 정량펌프를 사용하여 방사팩(spin pack)으로 이송하고, 이때 고전압 조절장치를 사용하여 방사팩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기방사를 실시한다. 이때 사용되는 전압은 0.5kV∼100kV까지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집전판은 접지를 하거나 (-)극으로 대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전기전도성 금속, 박리지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전판의 경우 방사시 섬유의 집속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포집장치(suction collector)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방사팩과 집전판까지의 거리는 5∼50㎝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시 토출량은 정량펌프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토출하여 방사하고, 방사시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챔버(chamber)내에서 상대습도 30-80%의 환경에서 방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나노섬유 웹의 라미네이팅
상기 제조된 고분자 나노섬유 웹을 압착, 롤링, 열접합, 초음파 접합, 심 실링 테이프(Sim sealing tape)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라미네이팅하여 평량 0.5∼ 100gsm이 되도록 고분자 멤브레인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라미네이팅은 방사된 개개의 섬유가 단독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열처리나 초음파 등의 방법으로 압착 고정하여 나노섬유 방사 웹을 필름화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평량이 0.5gsm 미만의 경우 취급시 또는 슬리팅시 불량이 발생할 확률이 높고, 100gsm을 초과할 경우 제조비용이 상승하므로 평량은 0.5∼100gsm이 적당하다.
또한, 라미네이팅은 열처리를 동반하면서 수행할 수 있는데 사용된 고분자가 용융되지 않는 범위인 20∼250℃의 온도범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미만의 경우 열처리 온도가 너무 낮아 나노섬유간 융착이 불안정하거나 유리전이 온도가 높은 고분자의 경우 나노섬유간 융착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후속하는 테이프사 제조시 슬리팅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열처리 온도가 250℃ 초과시 나노섬유를 구성하는 고분자가 용융되어 섬유상 구조를 상실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나노섬유 테이프사의 제조
라미네이팅된 나노섬유 고분자 멤브레인을 커터나 슬리터 등을 이용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폭 0.1∼10mm가 되도록 슬리팅하여 나노섬유로 구성된 테이프사를 제조한다. 나노섬유 테이프사의 폭을 0.1 mm 미만으로 하고자 할 경우에는 폭이 너무 작아 슬리터를 사용하여 원활하게 절단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장력 및 꼬임 부여시 사절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또한, 그 폭을 10mm 초과로 슬리팅할 경우 연사 단계에서 꼬임이 불균일하게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나노섬유 테이프사는 평량 0.5∼100gsm, 폭이 0.1∼10mm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노섬유 복합사의 제조
합사 및 연사단계에서는 심사가 바깥 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무장력의 심사와 장력이 부여된 나노섬유 테이프사를 합사하는 것이 좋다. 심사로는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나 실크, 면 등의 방적사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실을 용도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노섬유 테이프사는 10∼100g의 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심사와 합사되도록 한다. 만약 장력이 10g미만으로 합사 및 연사가 진행될 경우, 심사가 부분적으로 돌출될 확률이 높아져 제직시 종광과 바디와의 마찰이 일어나거나 또는 편직시 편침과의 마찰이 발생하여 제직 및 편성효율이 급격하게 저하할 우려가 있고, 장력이 100g을 초과할 경우 합사시 사절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나노섬유 테이프사에 장력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업디스크 텐셔와 다운디스크 텐셔사이로 나노섬유 테이프사를 통과시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사시 무장력의 심사와 10∼100g의 장력이 부여된 나노섬유 테이프사를 별도의 보빈에 권취한 후 연사단계를 거칠 수 있으며, 무장력의 심사와 장력이 부여된 나노섬유 테이프사를 합사한 후 연속적으로 연사단계를 거칠 수도 있다.
한편, 나노섬유 테이프사와 나노섬유 테이프사를 각각 합사하여 연속적으로 연사단계를 거칠 수도 있다. 이때 나노섬유 테이프사는 동종의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은 물론 이종의 나노섬유 테이프사를 각각 합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실 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실시예)
1. PAN 나노섬유 테이프사의 제조
분자량 200,000인 미쯔이 화학사(Mitsui Chemical Co. Ltd)의 PAN(polyacrylonitrile)을 20중량%가 되도록 용매 DMAc에 용해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방사용액을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방사노즐로 이송하고 인가전압 25kV, 방사구와 집전체와의 거리 20㎝, 토출량 분당 0.05cc/g·holl으로 30℃, 상대습도 60%, 상압의 조건에서 방사를 실시하여 나노섬유 방사 웹을 얻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라 얻어진 PAN 나노섬유 방사 웹의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것으로, 나노섬유 방사 웹은 평균직경이 약 500㎚인 균일한 나노섬유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나노섬유 방사 웹의 평량은 약 5gsm이었으며, 상기 나노섬유 방사 웹에 대해 100℃로 가열된 롤러를 이용하여 100g/cm2의 압력으로 라미네이팅을 실시하여 약 50㎛ 두께의 PAN 멤브레인을 제작한 다음, 슬리터를 사용하여 폭 2mm가 되도록 상기 멤브레인을 슬리팅하여 PAN 나노섬유 테이프사를 얻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라 슬리팅하여 얻어진 PAN 나노섬유 테이프사의 디지털 이미지를 나타낸다.
2. PAN 나노섬유로 구성된 복합사의 제조
이어서, 상기에서 얻어진 PAN 나노섬유 테이프사를 각각 공급하여 합사한 후 동일한 보빈에 권취하였으며, 합사시 나노섬유 테이프사는 사절이 발생하지 않았다. 상기 보빈에 권취된 나노섬유 테이프사의 합사를 연사기를 사용하여 나노섬유만으로 구성된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도 4a는 나노섬유 테이프사를 합사 및 연사하여 얻어지는 나노섬유만으로 구성된 복합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한편, 상기에서 얻어진 PAN 나노섬유 테이프사와 75d(denier)인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각각 공급하여 합사한 후 동일한 보빈에 권취하였다. 이때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는 무장력 상태로 공급되었고, 상기 나노섬유 테이프사는 25g의 장력을 부여하면서 공급하였으며, 합사시 나노섬유 테이프사의 사절이 발생하지 않았다.
상기 보빈에 권취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와 나노섬유 테이프사의 합사를 연사기를 이용하여 PAN 나노섬유로 구성된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나노섬유 복합사는 표면이 매끄럽고 외관이 우수하였으며, 심사인 폴리에스테르사가 표면으로 돌출된 부분이 관찰되지 않았다.
도 4b는 상기 나노섬유 테이프사가 심사인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싱글 커버링하여 얻어지는 나노섬유 복합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4c는 중간사로 나일론사를 이용하여 나노섬유 테이프사가 심사인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더블 커버링하여 얻어지는 나노섬유 복합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섬유가 함유된 복합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나노섬유 웹의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나노섬유 테이프사의 디지털 이미지 사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나노섬유 테이프사를 사용하여 나노섬유 복합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나노섬유 테이프사만으로 구성된 복합사, 도 4b는 심사에 나노섬유 테이프사가 싱글 커버링되어 구성된 복합사, 도 4c는 심사, 중간사 및 나노섬유가 더블 커버링되어 구성된 복합사를 각각 나타낸 도이다.

Claims (8)

  1. (a)섬유 성형성 고분자 물질을 용매에 용해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상기 방사용액을 방사방법에 의하여 방사하여 평균직경 1㎛ 미만으로 구성되는 고분자 나노섬유 웹을 얻는 단계;
    (c)상기 나노섬유 웹을 라미네이팅하여 고분자 멤브레인을 얻는 단계;
    (d)상기 고분자 멤브레인을 슬리팅하여 나노섬유 테이프사를 얻는 단계; 및
    (e)상기 나노섬유 테이프사를 합사 및 연사하여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복합사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복합사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성형성 고분자 물질은 열가소성 고분자 (thermoplastic polymer) 및 열경화성 고분자 (thermosetting polymer)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복합사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얻어지는 나노섬유의 평량은 0.5∼100gs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복합사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테이프사의 폭은 0.1∼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복합사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팅은 20-250℃의 온도범위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복합사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사 및 연사 단계는 2 이상의 동종 또는 이종 고분자 물질의 나노섬유 테이프사끼리 합사 및 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복합사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사 및 연사 단계는 상기 나노섬유 테이프사와 심사를 합사 및 연사하여 싱글 커버링 또는 더블 커버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복합사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합사 및 연사 단계는 상기 나노섬유 테이프사와 심사의 합사시 나노섬유 테이프사에는 10∼100g의 장력을 부여하고, 심사는 무장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20090103931A 2009-10-30 2009-10-30 나노섬유 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1075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931A KR101075882B1 (ko) 2009-10-30 2009-10-30 나노섬유 복합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931A KR101075882B1 (ko) 2009-10-30 2009-10-30 나노섬유 복합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340A KR20110047340A (ko) 2011-05-09
KR101075882B1 true KR101075882B1 (ko) 2011-10-25

Family

ID=44238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931A KR101075882B1 (ko) 2009-10-30 2009-10-30 나노섬유 복합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88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9065A1 (ko) * 2014-12-17 2016-06-2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나노섬유 복합사를 이용한 치과용 코드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7204563A1 (ko) * 2016-05-24 2017-11-30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세포배양 지지체용 원사, 이를 포함하는 세포배양 지지체용 원단
WO2017204564A1 (ko) * 2016-05-25 2017-11-3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세포배양 지지체용 원사, 이를 포함하는 합연사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
CN109196152A (zh) * 2016-06-13 2019-01-11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细胞培养支架用纱线及包含其的织物
KR102542019B1 (ko) * 2022-12-06 2023-06-15 (주)씨와이씨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고강도 가발 원사용 나노섬유 복합사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074B1 (ko) * 2011-09-08 2013-09-16 주식회사 아모메디 탄소나노섬유 스트랜드의 제조방법
KR101448912B1 (ko) 2012-03-06 2014-10-1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무광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588118B1 (ko) * 2014-05-13 2016-02-03 한국과학기술원 코어〔Core, 고분자〕­쉘〔Shell, 금속박막〕 구조를 갖는 전도성 극세사 나노섬유와 전도성 일반사가 서로 꼬여서 만들어진 전도성 트위스트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758204B1 (ko) 2015-07-28 2017-07-1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나노섬유 기반 복합 가연사 및 그의 제조방법
CN111434845A (zh) * 2019-01-14 2020-07-21 闽江学院 一种提高含纳米纤维纱线断裂强度的方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3580B2 (en) 2014-12-17 2021-05-25 Amogreentech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cord
KR20160074728A (ko) * 2014-12-17 2016-06-2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나노섬유 복합사를 이용한 치과용 코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75867B1 (ko) * 2014-12-17 2016-11-2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나노섬유 복합사를 이용한 치과용 코드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6099065A1 (ko) * 2014-12-17 2016-06-2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나노섬유 복합사를 이용한 치과용 코드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7204563A1 (ko) * 2016-05-24 2017-11-30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세포배양 지지체용 원사, 이를 포함하는 세포배양 지지체용 원단
CN109154111A (zh) * 2016-05-24 2019-01-04 阿莫生命科学有限公司 细胞培养支架用纱线、包含其的细胞培养支架用织物
CN109154111B (zh) * 2016-05-24 2022-03-04 阿莫生命科学有限公司 细胞培养支架用纱线、包含其的细胞培养支架用织物
CN109196151A (zh) * 2016-05-25 2019-01-11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细胞培养支架用纱线、包含其的合股捻线及包含其的织物
US20190203178A1 (en) * 2016-05-25 2019-07-04 Amogreentech Co., Ltd. Yarn for cell culture scaffold, ply yarn comprising same and fabric comprising the same
WO2017204564A1 (ko) * 2016-05-25 2017-11-3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세포배양 지지체용 원사, 이를 포함하는 합연사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
CN109196151B (zh) * 2016-05-25 2022-02-01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细胞培养支架用纱线、包含其的合股捻线及包含其的织物
CN109196152A (zh) * 2016-06-13 2019-01-11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细胞培养支架用纱线及包含其的织物
CN109196152B (zh) * 2016-06-13 2021-10-22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细胞培养支架用纱线及包含其的织物
US11946031B2 (en) 2016-06-13 2024-04-02 Amogreentech Co., Ltd. Yarn for cell culture scaffold and fabric comprising the same
KR102542019B1 (ko) * 2022-12-06 2023-06-15 (주)씨와이씨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고강도 가발 원사용 나노섬유 복합사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340A (ko) 2011-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5882B1 (ko) 나노섬유 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1758204B1 (ko) 나노섬유 기반 복합 가연사 및 그의 제조방법
US7332050B2 (en) Electronic spinning apparatus, and a process of preparing nonwoven fabric using the same
US7799262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inuous filament by electrospinning
KR100491228B1 (ko)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101309074B1 (ko) 탄소나노섬유 스트랜드의 제조방법
US1101358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cord
WO200613514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inuous filament by electrospinning and continuous filament manufactured thereby
KR20110095753A (ko) 자가융착형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87031A (ko) 분리 개섬이 가능한 나노 장섬유 또는 극세사의 제조방법
KR100665608B1 (ko) 전기방사를 이용한 연속상 매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매트
KR100607416B1 (ko) 전기방사를 이용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제조된 연속상 필라멘트
KR100595489B1 (ko) 나노섬유로 구성된 고강력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JP4964845B2 (ja) ナノファイバーの合糸方法及び装置
JP7176850B2 (ja) 海島型複合繊維束
KR100702870B1 (ko) 전기방사를 이용한 연속상 매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매트
KR100658499B1 (ko) 나노섬유가 코팅된 매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매트
KR101235078B1 (ko) 고강도 복합 나노 섬유 집합체의 제조 방법
KR100763872B1 (ko) 전기방사를 이용한 연속상 매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매트
KR101866340B1 (ko) 공기투과성 및 방수성이 있는 의류용 원단
KR100607415B1 (ko) 전기방사를 이용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제조된 연속상 필라멘트
KR20120071639A (ko) 부직포의 제조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를 위한 장치
CN111516331A (zh) 一种静电纺纳米空气过滤材料的制备方法
KR101319540B1 (ko) 투습방수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