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082B1 - 온열매트용 부직포의 열선 장착기 및 이를 이용한 열선 장착방법 - Google Patents

온열매트용 부직포의 열선 장착기 및 이를 이용한 열선 장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082B1
KR101075082B1 KR1020110086476A KR20110086476A KR101075082B1 KR 101075082 B1 KR101075082 B1 KR 101075082B1 KR 1020110086476 A KR1020110086476 A KR 1020110086476A KR 20110086476 A KR20110086476 A KR 20110086476A KR 101075082 B1 KR101075082 B1 KR 101075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ving
frame
hot wire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춘영
Original Assignee
조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춘영 filed Critical 조춘영
Priority to KR1020110086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0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33Heating devices using lamps
    • H05B3/0071Heating devices using lamps for domest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05B2203/004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using zigzag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받침판이 상하로 움직이게 설치되고,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는 고정판과 이동판이 설치되되, 상기 고정판의 단부에는 이동판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고정분기편이 형성되고 고정분기편의 저면에는 열선걸이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의 단부에는 고정판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이동분기편이 형성되어 고정분기편의 사이사이로 삽입되게 설치되고 이동분기편의 저면에는 열선걸이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은 전후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판보다 상부에는 상하로 작동되는 누름대이 설치된 구조를 갖는 온열매트용 부직포의 열선 장착기 및 이를 이용한 열선 장착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온열매트용 부직포의 열선 장착기 및 이를 이용한 열선 장착방법{HEATING COILS SETTING APPARATUS OF FELT FOR HEATING MAT AND HEATING COILS SETTING METHOD}
본 발명은 온열매트용 부직포의 열선 장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열매트의 부직포 상에 지그재그로 배열 및 장착되는 열선을 자동화 방식을 이용하여 한 번의 작업으로 신속하게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개발된 온열매트용 부직포의 열선 장착기 및 이를 이용한 열선 장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찜질용이나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온열매트는 부직포 상에 열선을 대략 지그재그 형상으로 봉착시키고, 이 부직포의 상하면에 쿠션재, 커버 및 원적외선 방사체 등을 적층하여 온열효과 및 찜질효과를 구현하고 있다.
이러한 온열매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부직포 상에 열선을 봉착시키는 종래의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부직포를 상판과 하판 사이에 압착하여 물결형상으로 굴곡되도록 한 후, 두 명의 작업자가 서로 마주 본 상태에서 한 명의 작업자가 열선이 꿰어진 대형 바늘을 부직포의 굴곡부를 통해 밀어 넣어 상대편 작업작에게 보내면, 상대편 작업자는 다시 반대쪽의 작업자에게 대형 바늘을 밀어 넣는 수작업으로 열선을 봉착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수작업으로 인해, 종래에는 부직포 상에 열선을 봉착하는 작업 시간 및 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결국은 온열매트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0171768호와 제0393603호에는 전열선의 봉착작업을 자동을 수행할 수 있는 전열매트용 전열선 봉착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 개시된 전열선 봉착기는 열선을 부직포에 꿰매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작업이 복잡하고 자동화 상에 에러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작업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열선을 온열매트용 부직포 상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하여 한 번에 부착하되, 자동화 방식으로 한 번에 부착하여 열선 장착 시간을 단축하고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온열매트용 부직포의 열선 장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온열매트용 부직포의 열선 장착기를 이용하여 온열매트용 부직포에 열선을 장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수직대와 수평대로 틀을 형성하는 골조; 상기 골조의 중간에 설치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부직포가 놓이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받침판이동수단; 상기 골조의 상부 전방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후단부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고정분기편이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각각이 고정분기편의 저면에는 열선걸이부재가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판; 상기 골조의 상부에서 상기 고정판의 후방에 근접하게 설치되고 후방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고정분기편의 사이사이로 삽입되게 다수의 이동분기편이 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각각의 이동분기편의 저면에는 열선걸이부재가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이동판; 상기 이동판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이동판이동수단; 상기 골조의 상부에서 상기 이동판보다 상부에 설치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대; 및 상기 누름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누름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테이프가 부착된 부직포를 올려놓고 상기 고정판의 열선걸이부재와 이동판의 열선걸이부재에 걸리도록 열선을 설치한 상태에서 작동시키면, 먼저 상기 이동판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열선의 일부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열선이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되도록 하고, 받침판가 상승하면서 부직포가 열선에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한 후, 누름대가 하강하면서 열선을 눌러 열선이 열선걸이부재에서 이탈되어 부직포의 테이프에 접착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매트용 부직포의 열선 장착기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이동수단은,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서 상기 골조에 고정되게 설치된 다수의 받침판용 실린더와, 상기 받침판의 하면에 고정되는 받침판용 실린더의 로드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판이동수단은, 상기 골조의 상부에서 전방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봉과, 상기 골조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회전봉의 일부분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피동스프로킷과,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피동스프로킷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1체인과, 상기 회전봉의 단부에 설치된 중계스프로킷과, 상기 골조의 후방에 설치된 종동스프로킷과, 상기 중계스프로킷과 종동스프로킷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2체인과, 상기 이동판의 측단부에서 연장되어 제2체인의 일부분에 고정되는 체인고정대와, 상기 골조 상에 제2체인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봉과, 상기 이동판의 상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가이드봉에 결합되어 가이드봉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누름수단은, 상기 골조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의 누름대용 실린더와, 상기 누름대의 상면에 고정되는 누름대용 실린더의 로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골조의 측면에는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수평봉이 설치되고, 상기 받침판의 측면에는 상기 수평봉에 결합되는 수평연결대가 형성되며, 상기 골조의 수직대에는 수직하게 랙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봉의 단부에는 상기 랙에 이맞물림되는 피니언이 설치되어, 상기 받침판용 실린더가 작동되면 수평봉이 피니언과 함께 랙을 따라 이동하면서 받침판이 수평 상태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온열매트용 부직포가 올려지는 받침판이 설치되고,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는 고정판과 전후로 왕복 이동되는 이동판이 설치되되, 상기 고정판의 단부에는 이동판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고정분기편이 형성되고 고정분기편의 저면에는 열선걸이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의 단부에는 고정판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이동분기편이 형성되어 고정분기편의 사이사이로 삽입되게 설치되고 이동분기편의 저면에는 열선걸이부재가 형성되게 구성되며, 상기 이동판보다 상부에는 상하로 작동되는 누름대이 설치된 구조를 갖는 열선 장착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받침판 상에 양면 테이프가 상면에 부착된 온열매트용 부직포를 올려놓는 단계; 상기 고정판의 열선걸이부재와 이동판의 열선걸이부재에 걸리도록 열선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이동판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열선의 일부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열선이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받침판를 상승시키거나 고정판 및 이동판을 하강시켜 부직포가 열선의 하부에 근접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누름대이 하강하면서 열선을 눌러 열선이 열선걸이부재에서 이탈되어 부직포의 상면에 형성된 양면 테이프에 접착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열선이 접착된 부직포를 열선 장착기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매트용 부직포의 열선 장착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온열매트용 부직포의 열선 장착기를 이용하여 부직포에 열선을 부착하게 되면 자동화 방식으로 열선을 부착할 뿐만 아니라 열선이 부직포 상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한 번에 부착되기 때문에 열선 장착 시간을 단축하고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열매트용 부직포의 열선 장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열매트용 부직포의 열선 장착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열매트용 부직포의 열선 장착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에서 이동판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5의 (a)와 (b)는 본 발명에서 받침판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6의 (a)와 (b)는 본 발명에서 누름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7의 (a)와 (b)는 본 발명에서 열선의 지그재그 배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8은 열선이 접착되기 전의 온열매트용 부직포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열선이 접착된 온열매트용 부직포를 나타낸 평면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열매트용 부직포의 열선 장착기는 네 모퉁이를 지지하는 다수의 수직대(12)와 수직대(12)를 연결하는 수평대(14)로 구성되어 대략 사각틀을 형성하는 골조(10)를 갖는다.
골조(10)의 중간에는 수평하게 받침판(100)이 설치되며, 이 받침판(100)은 받침판이동수단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받침판(100)은 상면에 온열매트용 부직포(F)를 올려놓기 위한 것으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받침판이동수단은, 받침판(100)의 하부에서 골조(10)에 고정되게 설치된 다수의 받침판용 실린더(200)와, 받침판(100)의 하면에 고정되는 받침판용 실린더의 로드(210)로 구성된다. 즉, 받침판용 실린더(200)의 로드(210)가 신장 또는 축소되는 작동에 의해 받침판(100)이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받침판용 실린더(200)는 받침판(100)의 네 모퉁이게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받침판(100)을 안정적으로 승강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판(100)의 안정적인 승강 작동을 위해 골조(10)의 측면에는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수평봉(220)이 설치되고, 받침판(100)의 측면에는 수평봉(220)에 결합되는 수평연결대(230)가 형성되며, 골조(10)의 수직대(12)에는 수직하게 랙(240)이 설치되고, 수평봉(220)의 단부에는 랙(240)에 이맞물림되는 피니언(250)이 설치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받침판용 실린더(200)가 작동되면 수평봉(220)이 피니언(250)과 함께 랙(240)을 따라 이동하면서 받침판(100)이 수평 상태로 균일한 속도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돕게 된다.
다음으로, 골조(10)의 상부에는 열선(W)을 한 번의 작업으로 지그재그로 배열하기 위한 고정판(300)과 이동판(310)이 설치된다.
고정판(300)은 골조(10)의 상부 전방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후단부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고정분기편(302)이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각각이 고정분기편(302)의 저면에는 열선걸이부재(304)가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열선걸이부재(304)는 롤러 형태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판(310)은 골조(10)의 상부에서 고정판(300)의 후방에 근접하게 설치되고 이동판이동수단에 의해 후방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부에는 고정분기편(302)의 사이사이로 삽입되게 다수의 이동분기편(312)이 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각각의 이동분기편(312)의 저면에는 열선걸이부재(314)가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열선걸이부재(314)는 롤러 형태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판이동수단은, 골조(10)의 상부 전방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봉(400)과, 골조(10)의 상부에 설치된 정.역회전 구동모터(410)와, 구동모터(410)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구동스프로킷(412)과, 회전봉(400)의 일부분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피동스프로킷(414)과, 구동스프로킷(412)과 피동스프로킷(414)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1체인(416)과, 회전봉(400)의 단부에 설치된 중계스프로킷(420)과, 골조(10)의 후방에 설치된 종동스프로킷(422)과, 중계스프로킷(420)과 종동스프로킷(422)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2체인(424)과, 이동판(310)의 측단부에서 연장되어 제2체인(424)의 일부분에 고정되는 체인고정대(4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구동모터(410)가 정회전으로 작동되면 구동스프로킷(412)가 회전하면서 제1체인(416)을 통해 피동스프로킷(414)으로 동력이 전달되고, 피동스프로킷(414)이 회전봉(400)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회전봉(400)의 단부에 설치된 중계스프로킷(420)이 회전하면서 제2체인(424)을 통해 종동스프로킷(422)에 연결되어 트랙 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면 제2체인(424)에 연결된 체인고정대(426)가 제2체인(424)과 함께 이동하면서 이동판(31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물론, 구동모터(410)가 역회전으로 작동되면 이동판(310)은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계속해서, 골조(10) 상에는 제2체인(424)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봉(430)이 설치되고, 가이드봉(430)에는 슬라이더(432)가 가이드봉(43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슬라이더(432)는 이동판(310)의 상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이동판(31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때 가이드봉(430)을 따라 안내되면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골조(10)의 상부에는 이동판(310)보다 상부에 열선(W)을 눌러 받침판(100)에 놓여진 부직포(F)에 밀착시키는 누름대(500)가 설치된다. 이 누름대(500)는 누름수단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누름수단은, 골조(10)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의 누름대용 실린더(510)와, 누름대(500)의 상면에 고정되는 누름대용 실린더의 로드(512)로 구성된다. 즉, 누름대용 실린더(510)의 로드(512)가 신장 또는 축소되는 작동에 의해 누름대(500)이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누름대(500)와 누름수단은 골조(10)의 상부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되어 열선(W)의 전방과 후방을 동시에 안정적으로 누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골조(10)의 일부분에는 컨트롤러(20)가 설치되어 받침판이동수단과 이동판이동수단과 누름수단의 작동을 컨트롤 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온열매트용 부직포의 열선 장착기의 작동 및 이를 이용한 열선 장착방법을 설명한다.
온열매트용 부직포(F)에 열선(W)을 부착하려면, 준비되어 있는 열선 장착기의 받침판(100) 상에 온열매트용 부직포(F)를 올려놓고, 고정판(300)의 열선걸이부재(304)와 이동판(310)의 열선걸이부재(314)에 걸리도록 열선(W)을 설치한다. 이때, 부직포(F)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테이프(T)가 전방, 후방, 중간에 위치하는 부직포(F)를 준비해야 하며, 열선(W)은 고정판(300)과 이동판(310)의 열선걸이부재(304)(314)에 걸때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한다. 물론, 열선(W)의 배치는 부직포(F)에 놓여지는 열선(W)의 배열 위치에 따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부직포(F)와 열선(W)의 설치가 완료되면 열선 장착기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이동판이동수단과 받침판이동수단과 누름수단이 순차적으로 작동되면서 부직포(F) 상에 열선(W)이 지그재그 형태로 부착된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7의 (a)와 같이 고정판(300)과 이동판(310)의 열선걸이부재(304)(314)에 열선(W)이 걸리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먼저 이동판이동수단을 작동시켜 이동판(310)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열선(W)의 일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한다. 즉, 도 4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410)가 정회전으로 작동되면서 모터축에 결합된 구동스프로킷(412)이 회전하게 되고, 구동스프로킷(412)의 동력은 제1체인(416)을 통해 피동스프로킷(414)으로 전달되며, 피동스프로킷(414)과 함께 회전봉(400)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봉(400)의 단부에 설치된 중계스프로킷(420)이 회전하면서, 중계스프로킷(420)과 종동스프로킷(422)을 연결하고 있는 제2체인(424)이 일방향으로 트랙 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면 제2체인(424)에 연결된 체인고정대(426)가 제2체인(424)과 함께 이동하면서 이동판(31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동판(310)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선(W)은 지그재그 방식으로 한번에 배열된다.
열선(W)의 배치가 완료된 후에는 받침판이동수단을 작동시켜 받침판(10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 받침판(100)의 부직포(F)가 열선(W)의 하부에 근접하게 놓이도록 한다. 즉, 도 5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이동수단을 구성하는 받침판용 실린더(200)의 로드(210)가 신장되면서 받침판(100)를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받침판(100)이 상승하는 방식에 의해 부직포(F)가 열선(W)의 하부에 근접하게 놓이도록 작동되지만, 고정판(300) 및 이동판(310)이 하강하면서 부직포(F)가 열선(W)의 상부에 근접하게 놓이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부직포(F)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누름수단을 작동시켜 누름대(500)이 하강하면서 열선(W)을 눌러 열선(W)이 열선걸이부재(304)(314)에서 이탈되어 부직포(F)의 상면에 형성된 양면 테이프(T)에 접착되도록 한다. 즉, 도 6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수단을 구성하는 누름대용 실린더(510)의 로드(512)가 신장되면서 누름대(50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부직포(F) 상에 열선(W)을 부착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선(W)이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 부착된 부직포(F)가 생산되고, 열선(W) 부착 작업이 완료된 부직포(F)는 열선 장착기에서 분리시킨 후, 새로운 부직포(F)를 받침판(100) 상에 준비하면 된다. 이때 이동판이동수단과 받침판이동수단과 누름수단은 상술한 작동 순서와 반대로 작동되면서 열선(W) 부착 준비를 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골조 12: 수직대
14: 수평대 100: 받침판
200: 받침판용 실린더 210: 로드
220: 수평봉 230: 수평연결대
240: 랙 250: 피니언
300: 고정판 302: 고정분기편
304: 열선걸이부재 310: 이동판
312: 이동분기편 314: 열선걸이부재
400: 회전봉 410: 구동모터
412: 구동스프로킷 414: 피동스프로킷
416: 제1체인 420: 중계스프로킷
422: 종동스프로킷 424: 제2체인
426: 체인고정대 430: 가이드봉
432: 슬라이더 500: 누름대
510: 누름대용 실린더 512: 로드

Claims (4)

  1. 수직대와 수평대로 틀을 형성하는 골조;
    상기 골조의 중간에 설치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부직포가 놓이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받침판이동수단;
    상기 골조의 상부 전방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후단부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고정분기편이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각각이 고정분기편의 저면에는 열선걸이부재가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판;
    상기 골조의 상부에서 상기 고정판의 후방에 근접하게 설치되고 후방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고정분기편의 사이사이로 삽입되게 다수의 이동분기편이 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각각의 이동분기편의 저면에는 열선걸이부재가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이동판;
    상기 이동판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이동판이동수단;
    상기 골조의 상부에서 상기 이동판보다 상부에 설치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대; 및
    상기 누름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누름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테이프가 부착된 부직포를 올려놓고 상기 고정판의 열선걸이부재와 이동판의 열선걸이부재에 걸리도록 열선을 설치한 상태에서 작동시키면, 먼저 상기 이동판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열선의 일부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열선이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되도록 하고, 받침판가 상승하면서 부직포가 열선에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한 후, 누름대가 하강하면서 열선을 눌러 열선이 열선걸이부재에서 이탈되어 부직포의 테이프에 접착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매트용 부직포의 열선 장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이동수단은,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서 상기 골조에 고정되게 설치된 다수의 받침판용 실린더와, 상기 받침판의 하면에 고정되는 받침판용 실린더의 로드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판이동수단은, 상기 골조의 상부에서 전방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봉과, 상기 골조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회전봉의 일부분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피동스프로킷과,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피동스프로킷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1체인과, 상기 회전봉의 단부에 설치된 중계스프로킷과, 상기 골조의 후방에 설치된 종동스프로킷과, 상기 중계스프로킷과 종동스프로킷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2체인과, 상기 이동판의 측단부에서 연장되어 제2체인의 일부분에 고정되는 체인고정대와, 상기 골조 상에 제2체인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봉과, 상기 이동판의 상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가이드봉에 결합되어 가이드봉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누름수단은, 상기 골조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의 누름대용 실린더와, 상기 누름대의 상면에 고정되는 누름대용 실린더의 로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매트용 부직포의 열선 장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의 측면에는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수평봉이 설치되고, 상기 받침판의 측면에는 상기 수평봉에 결합되는 수평연결대가 형성되며, 상기 골조의 수직대에는 수직하게 랙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봉의 단부에는 상기 랙에 이맞물림되는 피니언이 설치되어, 상기 받침판용 실린더가 작동되면 수평봉이 피니언과 함께 랙을 따라 이동하면서 받침판이 수평 상태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매트용 부직포의 열선 장착기.
  4. 온열매트용 부직포가 올려지는 받침판이 설치되고,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는 고정판과 전후로 왕복 이동되는 이동판이 설치되되, 상기 고정판의 단부에는 이동판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고정분기편이 형성되고 고정분기편의 저면에는 열선걸이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의 단부에는 고정판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이동분기편이 형성되어 고정분기편의 사이사이로 삽입되게 설치되고 이동분기편의 저면에는 열선걸이부재가 형성되게 구성되며, 상기 이동판보다 상부에는 상하로 작동되는 누름대이 설치된 구조를 갖는 열선 장착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받침판 상에 양면 테이프가 상면에 부착된 온열매트용 부직포를 올려놓는 단계;
    상기 고정판의 열선걸이부재와 이동판의 열선걸이부재에 걸리도록 열선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이동판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열선의 일부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열선이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받침판를 상승시키거나 고정판 및 이동판을 하강시켜 부직포가 열선의 하부에 근접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누름대이 하강하면서 열선을 눌러 열선이 열선걸이부재에서 이탈되어 부직포의 상면에 형성된 양면 테이프에 접착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열선이 접착된 부직포를 열선 장착기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매트용 부직포의 열선 장착방법.
KR1020110086476A 2011-08-29 2011-08-29 온열매트용 부직포의 열선 장착기 및 이를 이용한 열선 장착방법 KR101075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476A KR101075082B1 (ko) 2011-08-29 2011-08-29 온열매트용 부직포의 열선 장착기 및 이를 이용한 열선 장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476A KR101075082B1 (ko) 2011-08-29 2011-08-29 온열매트용 부직포의 열선 장착기 및 이를 이용한 열선 장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5082B1 true KR101075082B1 (ko) 2011-10-19

Family

ID=45033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476A KR101075082B1 (ko) 2011-08-29 2011-08-29 온열매트용 부직포의 열선 장착기 및 이를 이용한 열선 장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0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431B1 (ko) * 2014-10-31 2015-12-03 오병희 패널의 전열선 부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431B1 (ko) * 2014-10-31 2015-12-03 오병희 패널의 전열선 부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92194B (zh) 全自动布料铺剪一体机
CN103750585B (zh) 车缝辅助夹具及装置
CN203905418U (zh) 自动地砖平铺机
CN109769679B (zh) 一种海绵撕块填充装置
KR101075082B1 (ko) 온열매트용 부직포의 열선 장착기 및 이를 이용한 열선 장착방법
CN209836646U (zh) 饰品面料的裁剪装置
CN102587102B (zh) 服装小件折边模压熨烫成型设备
KR101109058B1 (ko) 전기 매트 제조장치
CN210389408U (zh) 一种实用型纺织品裁片机
KR101064587B1 (ko) 미싱용 봉제틀 교환장치
CN207645496U (zh) 一种全自动多层拉布机
CN105235434A (zh) 一种板材压花机
CN105082852A (zh) 一种自动板材压花机
CN115030597A (zh) 一种防变形石材骨灰存放架
CN211547018U (zh) 一种针纺织品生产用整烫装置
CN210679776U (zh) 一种插头多机种热熔旋铆装置
CN201235622Y (zh) Fpc压钢片装置
CN218836389U (zh) 维护方便的便携控制板生产用热压焊机
CN210362542U (zh) 一种珍珠棉自动贴合机
CN219108808U (zh) 一种服装压合机
CN217839437U (zh) 一种布料熨烫装置
CN214362281U (zh) 一种涤纶布加工用整平装置
KR200402160Y1 (ko) 부직포 탈거수단을 구비한 열선 봉착장치
CN204109354U (zh) 一种用于焊接床垫拉带的装置
KR101369439B1 (ko) 전기매트용 열선 자동 정렬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