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066B1 - 스테레오 카메라 및 그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스테레오 카메라 및 그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066B1
KR101075066B1 KR1020100128020A KR20100128020A KR101075066B1 KR 101075066 B1 KR101075066 B1 KR 101075066B1 KR 1020100128020 A KR1020100128020 A KR 1020100128020A KR 20100128020 A KR20100128020 A KR 20100128020A KR 101075066 B1 KR101075066 B1 KR 101075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lens
right eye
left eye
actual
minim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주)투데이씨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투데이씨앤티 filed Critical (주)투데이씨앤티
Priority to KR1020100128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1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 G03B35/20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using two or more proj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 간의 줌, 포커스 또는 조리개의 차를 보정하도록 개선한 스테레오 카메라의 보정 장치 및 그 보정 방법을 개시하며,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는, 좌안 렌즈를 구동하는 좌안 렌즈 구동부; 우안 렌즈를 구동하는 우안 렌즈 구동부; 및 상기 좌안 렌즈 구동부와 상기 우안 렌즈 구동부에 보정값을 제공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부는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포커스가 최소로 조절된 상태의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 간의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의 차이를 보정값으로 정하고 상기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가 더 가까운 쪽의 실사용 최소 포커스 거리를 자신의 상기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와 상기 보정값을 더한 값으로 조절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테레오 카메라 및 그 보정 방법{Stereo camera and corre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테레오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 간의 줌, 포커스 또는 조리개의 차를 보정하도록 개선한 스테레오 카메라의 보정 장치 및 그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테레오 이미지 시스템이 차세대 이미지 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스테레오 이미지 시스템은 스테레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와 스테레오 이미지를 촬영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이 중 스테레오 영상을 촬영하여 획득하는 장치인 스테레오 카메라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스테레오 입체 카메라는 좌안과 우안에 해당하는 두 개의 이미지 획득 장치를 포함하며 이들로부터 얻은 두 개의 이미지는 차이가 존재하며 이를 좌우 영상의 양안 시차라고 한다. 이러한 양안 시차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일반적인 스테레오 카메라는 수동으로 좌안과 우안에 해당하는 두 개의 렌즈를 하나씩 조절하는 수동식 시스템과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두 개의 렌즈를 동시에 제어하는 전동식 시스템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스테레오 카메라는 좌안과 우안에 해당하는 두 개의 렌즈 간에 미세한 차이를 갖는다. 즉, 두 개의 렌즈는 줌, 포커스, 조리개를 조절함에 있어서 기계적인 문제점으로 인한 미세한 차이를 갖는다. 포커스는 촛점거리를 조절하는 것이며, 줌은 화각을 조절하는 것이고, 조리개는 노출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즉,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는 촛점거리, 화각 및 노출에 있어서 미세한 차이를 갖는다.
상술한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의 줌, 포커스 및 조리개의 미세한 차이는 양질의 스테레오 이미지를 구현하는데 제한으로 작용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제시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 간의 미세한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포커스의 차를 보정하도록 개선한 스테레오 카메라 및 그의 보정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 간의 미세한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줌의 차를 보정하도록 개선한 스테레오 카메라 및 그의 보정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 간의 미세한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조리개의 차를 보정하도록 개선한 스테레오 카메라 및 그의 보정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는, 좌안 렌즈를 구동하는 좌안 렌즈 구동부; 우안 렌즈를 구동하는 우안 렌즈 구동부; 및 상기 좌안 렌즈 구동부와 상기 우안 렌즈 구동부에 보정값을 제공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부는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포커스가 최소로 조절된 상태의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 간의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의 차이를 보정값으로 정하고 상기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가 더 가까운 쪽의 실사용 최소 포커스 거리를 자신의 상기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와 상기 보정값을 더한 값으로 조절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의 보정 방법은,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의 포커스를 최소로 조절하여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실제 최소 포커스거리를 얻는 단계;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상기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의 차이를 보정값으로 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가 더 가까운 쪽의 실사용 최소 포커스 거리를 자신의 상기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와 상기 보정값을 더한 값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는, 좌안 렌즈를 구동하는 좌안 렌즈 구동부; 우안 렌즈를 구동하는 우안 렌즈 구동부; 및 상기 좌안 렌즈 구동부와 상기 우안 렌즈 구동부에 보정값을 제공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부는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포커스가 최대로 조절된 상태의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 간의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의 차이를 보정값으로 정하고 상기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가 더 먼 쪽의 실사용 최대 포커스 거리를 자신의 상기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에 상기 보정값을 뺀 값으로 조절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의 보정 방법은,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의 포커스를 최대로 조절하여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를 얻는 단계;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상기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의 차이를 보정값으로 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가 더 먼 쪽의 실사용 최대 포커스 거리를 자신의 상기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에 상기 보정값을 뺀 값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는, 좌안 렌즈를 구동하는 좌안 렌즈 구동부; 우안 렌즈를 구동하는 우안 렌즈 구동부; 및 상기 좌안 렌즈 구동부와 상기 우안 렌즈 구동부에 보정값을 제공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부는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줌이 최소로 조절된 상태의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 간의 실제 최소 화각의 차이를 보정값으로 정하고 상기 실제 최소 화각이 더 작은 쪽의 실사용 최소 화각을 자신의 상기 실제 최소 화각과 상기 보정값을 더한 값으로 조절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의 보정 방법은,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의 줌을 최소로 조절하여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실제 최소 화각을 얻는 단계;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상기 실제 최소 화각의 차이를 보정값으로 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 최소 화각이 더 작은 쪽의 실사용 최소 화각을 자신의 상기 실제 최소 화각과 상기 보정값을 더한 값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는, 좌안 렌즈를 구동하는 좌안 렌즈 구동부; 우안 렌즈를 구동하는 우안 렌즈 구동부; 및 상기 좌안 렌즈 구동부와 상기 우안 렌즈 구동부에 보정값을 제공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부는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줌이 최대로 조절된 상태의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 간의 실제 최대 화각의 차이를 보정값으로 정하고 상기 실제 최대 화각이 더 큰 쪽의 실사용 최대 화각을 자신의 상기 실제 최대 화각에 상기 보정값을 뺀 값으로 조절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의 보정 방법은,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의 줌을 최대로 조절하여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실제 최대 화각을 얻는 단계;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상기 실제 최대 화각의 차이를 보정값으로 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 최대 화각이 더 큰 쪽의 실사용 최대 화각을 자신의 상기 실제 최대 화각에 상기 보정값을 뺀 값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는, 좌안 렌즈를 구동하는 좌안 렌즈 구동부; 우안 렌즈를 구동하는 우안 렌즈 구동부; 및 상기 좌안 렌즈 구동부와 상기 우안 렌즈 구동부에 보정값을 제공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부는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조리개가 최소로 조절된 상태의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 간의 실제 최소 노출값의 차이를 보정값으로 정하고 상기 실제 최소 노출값이 더 작은 쪽의 실사용 최소 노출값을 자신의 상기 실제 최소 노출값과 상기 보정값을 더한 값으로 조절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의 보정 방법은,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의 조리개를 최소로 조절하여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실제 최소 노출값을 얻는 단계;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상기 실제 최소 노출값의 차이를 보정값으로 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 최소 노출값이 더 작은 쪽의 실사용 최소 노출값을 자신의 상기 실제 최소 노출값과 상기 보정값을 더한 값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는, 좌안 렌즈를 구동하는 좌안 렌즈 구동부; 우안 렌즈를 구동하는 우안 렌즈 구동부; 및 상기 좌안 렌즈 구동부와 상기 우안 렌즈 구동부에 보정값을 제공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부는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조리개가 최대로 조절된 상태의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 간의 실제 최대 노출값의 차이를 보정값으로 정하고 상기 실제 최대 노출값이 더 큰 쪽의 실사용 최대 노출값을 자신의 상기 실제 최대 노출값에 상기 보정값을 뺀 값으로 조절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의 보정 방법은,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의 조리개를 최대로 조절하여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실제 최대 노출값을 얻는 단계;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상기 실제 최대 노출값의 차이를 보정값으로 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 최대 노출값이 더 큰 쪽의 실사용 최대 노출값을 자신의 상기 실제 최대 노출값에 상기 보정값을 뺀 값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 간의 미세한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포커스, 줌 및 조리개의 차를 보정함으로써 양질의 스테레오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의 보정 방법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테레오 카메라는 좌안 렌즈(10)와 우안 렌즈(12)를 포함하며, 좌안 렌즈(10)를 구동하는 좌안 렌즈 구동부(14)와 우안 렌즈(12)를 구동하는 우안 렌즈 구동부(16)를 포함하고, 좌안 렌즈 구동부(14) 및 우안 렌즈 구동부(18)를 제어하기 위한 보정값을 제공하는 보정부(18) 및 좌안 렌즈(10)와 우안 렌즈(12)에서 촬영한 이미지로서 스테레오 이미지를 생성하는 스테레오 이미지 프로세서(2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좌안 렌즈 구동부(14)는 좌안 렌즈(10)에 대한 포커스(Focus), 줌(Zoom) 및 조리개 구동을 수행하며, 우안 렌즈 구동부(16)는 우안 렌즈(12)에 대한 포커스(Focus), 줌(Zoom) 및 조리개 구동을 수행한다.
좌안 렌즈(10)와 우안 렌즈(12)는 각각 좌안 렌즈 구동부(14) 및 우안 렌즈 구동부(16)에 의하여 구동됨에 있어서 미세한 차이점을 갖는다. 즉, 두 개의 렌즈는 포커스 거리 조절을 위한 포커스, 화각 조절을 위한 줌 및 노출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 조절에 있어서 미세한 차이를 갖는다.
즉, 좌안 렌즈(10)와 우안 렌즈(12)의 최소 또는 최대 포커스 거리가 미세한 차이를 갖는다. 그리고, 좌안 렌즈(10)와 우안 렌즈(12)의 최소 또는 최대 화각도 미세한 차이를 갖는다. 또한, 좌안 렌즈(10)와 우안 렌즈(12)의 최소 또는 최대 노출값도 미세한 차이를 갖는다. 상술한 좌안 렌즈(10)와 우안 렌즈(12) 간의 포커스 거리, 화각 및 노출값의 미세한 차이는 양질의 스테레오 이미지를 구현하는데 제한으로 작용하므로 이들의 조절이 필요하다.
도 2를 참조하여 포커스, 줌 및 조리개 조절에 따른 포커스 거리, 화각 및 노출값의 보정에 대하여 각각 설명한다.
<포커스>
도 2에서 좌안 렌즈(10)의 그래프(L)에 적용하여 기재된 a는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이고, b는 좌안 렌즈(10)의 실사용 최소 포커스 거리이며, c는 좌안 렌즈(10)의 실사용 최대 포커스 거리이고, d는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이다. 여기에서 좌안 렌즈(10)의 실사용 최대 포커스 거리 c와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 d는 동일한 것으로 표시된다.
또한, 도 2에서 우안 렌즈(12)의 그래프(R)에 적용하여 기재된 e는 우안 렌즈(10)의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이고, f는 우안 렌즈(12)의 실사용 최소 포커스 거리이며, g는 우안 렌즈(12)의 실사용 최대 포커스 거리이고, h는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이다. 여기에서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 e와 실사용 최소 포커스 거리 f는 동일한 것으로 표시된다.
여기에서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와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는 물리적으로 조절되는 좌안 렌즈(10)와 우안 렌즈(12)의 최대 포커스 거리를 의미하며, 실사용 최대 포커스 거리와 실사용 최소 포커스 거리는 이미지를 촬영하는데 사용되는 최대 및 최소 포커스 거리를 의미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는 두 개의 렌즈 중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가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보다 가까운 것으로 예시하고, 두 렌즈 중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보다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가 먼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가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우안 렌즈(12)의 포커스 거리를 물리적으로 더 가깝게 구동할 수 없다. 그러므로, 좌안 렌즈(10)와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의 차를 보정값(△min)으로 정하고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 a에 보정값(△min)을 더하여 좌안 렌즈(10)의 실사용 최소 포커스 거리 b로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보다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상술한 방법으로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보다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가 먼 경우, 우안 렌즈(12)의 포커스 거리를 물리적으로 더 멀게 구동할 수 없다. 그러므로, 좌안 렌즈(10)와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의 차를 보정값(△max)으로 정하고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 h에 보정값(△max)을 빼서 우안 렌즈(12)의 실사용 최대 포커스 거리 g로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가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보다 먼 경우에도 상술한 방법으로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를 보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안 렌즈(10)와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 및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를 실사용 최대 포커스 거리 및 실사용 최소 포커스 거리로 보정함으로써 이들의 중간 값은 스케일 조정에 따라 비례하여 보정될 수 있다.
<줌>
도 2에서 좌안 렌즈(10)의 그래프(L)에 적용하여 기재된 a는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소 화각이고, b는 좌안 렌즈(10)의 실사용 최소 화각이며, c는 좌안 렌즈(10)의 실사용 최대 화각이고, d는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대 화각이다. 여기에서 좌안 렌즈(10)의 실사용 최대 화각 c와 실제 최대 화각 d는 동일한 것으로 표시된다.
또한, 도 2에서 우안 렌즈(12)의 그래프(R)에 적용하여 기재된 e는 우안 렌즈(10)의 실제 최소 화각이고, f는 우안 렌즈(12)의 실사용 최소 화각이며, g는 우안 렌즈(12)의 실사용 최대 화각이고, h는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대 화각이다. 여기에서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소 화각 e와 실사용 최소 화각 f는 동일한 것으로 표시된다.
여기에서 실제 최소 화각과 실제 최대 화각은 물리적으로 조절되는 좌안 렌즈(10)와 우안 렌즈(12)의 최대 화각을 의미하며, 실사용 최대 화각과 실사용 최소 화각은 이미지를 촬영하는데 사용되는 최대 및 최소 화각을 의미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는 두 개의 렌즈 중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소 화각이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소 화각보다 작은 것으로 예시하고, 두 렌즈 중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대 화각보다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대 화각이 큰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소 화각이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소 화각보다 작은 경우, 우안 렌즈(12)의 화각을 물리적으로 더 작게 구동할 수 없다. 그러므로, 좌안 렌즈(10)와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소 화각의 차를 보정값(△min)으로 정하고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소 화각 a에 보정값(△min)을 더하여 좌안 렌즈(10)의 실사용 최소 화각 b로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소 화각보다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소 화각이 작은 경우에는 상술한 방법으로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소 화각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대 화각보다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대 화각이 큰 경우,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대 화각을 물리적으로 더 크게 구동할 수 없다. 그러므로, 좌안 렌즈(10)와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대 화각의 차를 보정값(△max)으로 정하고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대 화각 h에 보정값(△max)을 빼서 우안 렌즈(12)의 실사용 최대 화각 g로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대 화각이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대 화각보다 큰 경우에도 상술한 방법으로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대 화각을 보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안 렌즈(10)와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대 화각 및 실제 최소 화각을 실사용 최대 화각 및 실사용 최소 화각으로 보정함으로써 이들의 중간 값은 스케일 조정에 따라 비례하여 보정될 수 있다.
<조리개>
도 2에서 좌안 렌즈(10)의 그래프(L)에 적용하여 기재된 a는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소 노출값이고, b는 좌안 렌즈(10)의 실사용 최소 노출값이며, c는 좌안 렌즈(10)의 실사용 최대 노출값이고, d는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대 노출값이다. 여기에서 좌안 렌즈(10)의 실사용 최대 노출값 c와 실제 최대 노출값 d는 동일한 것으로 표시된다.
또한, 도 2에서 우안 렌즈(12)의 그래프(R)에 적용하여 기재된 e는 우안 렌즈(10)의 실제 최소 노출값이고, f는 우안 렌즈(12)의 실사용 최소 노출값이며, g는 우안 렌즈(12)의 실사용 최대 노출값이고, h는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대 노출값이다. 여기에서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소 노출값 e와 실사용 최소 노출값 f는 동일한 것으로 표시된다.
여기에서 실제 최소 노출값과 실제 최대 노출값은 물리적으로 조절되는 좌안 렌즈(10)와 우안 렌즈(12)의 최대 노출값을 의미하며, 실사용 최대 노출값과 실사용 최소 노출값은 이미지를 촬영하는데 사용되는 최대 및 최소 노출값을 의미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는 두 개의 렌즈 중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소 노출값이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소 노출값보다 작은 것으로 예시하고, 두 렌즈 중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대 노출값보다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대 노출값이 큰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소 노출값이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소 노출값보다 작은 경우, 우안 렌즈(12)의 노출값을 물리적으로 더 작게 구동할 수 없다. 그러므로, 좌안 렌즈(10)와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소 노출값의 차를 보정값(△min)으로 정하고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소 노출값 a에 보정값(△min)을 더하여 좌안 렌즈(10)의 실사용 최소 노출값 b로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소 노출값보다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소 노출값이 작은 경우에는 상술한 방법으로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소 노출값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대 노출값보다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대 노출값이 큰 경우, 우안 렌즈(12)의 노출값을 물리적으로 더 크게 구동할 수 없다. 그러므로, 좌안 렌즈(10)와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대 노출값의 차를 보정값(△max)으로 정하고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대 노출값 h에 보정값(△max)을 빼서 우안 렌즈(12)의 실사용 최대 노출값 g로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대 노출값이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대 노출값보다 먼 경우에도 상술한 방법으로 좌안 렌즈(10)의 실제 최대 노출값을 보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안 렌즈(10)와 우안 렌즈(12)의 실제 최대 노출값 및 실제 최소 노출값을 실사용 최대 노출값 및 실사용 최소 노출값으로 보정함으로써 이들의 중간 값은 스케일 조정에 따라 비례하여 보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 간의 미세한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포커스, 줌 및 조리개의 차를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 카메라는 양질의 스테레오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10 : 좌안 렌즈 12 : 우안 렌즈
14 : 좌안 렌즈 구동부 16 : 우안 렌즈 구동부
18 : 보정부 20 : 스테레오 이미지 프로세서

Claims (12)

  1. 좌안 렌즈를 구동하는 좌안 렌즈 구동부;
    우안 렌즈를 구동하는 우안 렌즈 구동부; 및
    상기 좌안 렌즈 구동부와 상기 우안 렌즈 구동부에 보정값을 제공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부는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포커스가 최소로 조절된 상태의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 간의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의 차이를 보정값으로 정하고 상기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가 더 가까운 쪽의 실사용 최소 포커스 거리를 자신의 상기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와 상기 보정값을 더한 값으로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카메라.
  2.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의 포커스를 최소로 조절하여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실제 최소 포커스거리를 얻는 단계;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상기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의 차이를 보정값으로 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가 더 가까운 쪽의 실사용 최소 포커스 거리를 자신의 상기 실제 최소 포커스 거리와 상기 보정값을 더한 값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보정 방법.
  3. 좌안 렌즈를 구동하는 좌안 렌즈 구동부;
    우안 렌즈를 구동하는 우안 렌즈 구동부; 및
    상기 좌안 렌즈 구동부와 상기 우안 렌즈 구동부에 보정값을 제공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부는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포커스가 최대로 조절된 상태의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 간의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의 차이를 보정값으로 정하고 상기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가 더 먼 쪽의 실사용 최대 포커스 거리를 자신의 상기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에 상기 보정값을 뺀 값으로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카메라.
  4.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의 포커스를 최대로 조절하여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를 얻는 단계;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상기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의 차이를 보정값으로 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가 더 먼 쪽의 실사용 최대 포커스 거리를 자신의 상기 실제 최대 포커스 거리에 상기 보정값을 뺀 값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보정 방법.
  5. 좌안 렌즈를 구동하는 좌안 렌즈 구동부;
    우안 렌즈를 구동하는 우안 렌즈 구동부; 및
    상기 좌안 렌즈 구동부와 상기 우안 렌즈 구동부에 보정값을 제공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부는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줌이 최소로 조절된 상태의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 간의 실제 최소 화각의 차이를 보정값으로 정하고 상기 실제 최소 화각이 더 작은 쪽의 실사용 최소 화각을 자신의 상기 실제 최소 화각과 상기 보정값을 더한 값으로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카메라.
  6.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의 줌을 최소로 조절하여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실제 최소 화각을 얻는 단계;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상기 실제 최소 화각의 차이를 보정값으로 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 최소 화각이 더 작은 쪽의 실사용 최소 화각을 자신의 상기 실제 최소 화각과 상기 보정값을 더한 값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보정 방법.
  7. 좌안 렌즈를 구동하는 좌안 렌즈 구동부;
    우안 렌즈를 구동하는 우안 렌즈 구동부; 및
    상기 좌안 렌즈 구동부와 상기 우안 렌즈 구동부에 보정값을 제공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부는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줌이 최대로 조절된 상태의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 간의 실제 최대 화각의 차이를 보정값으로 정하고 상기 실제 최대 화각이 더 큰 쪽의 실사용 최대 화각을 자신의 상기 실제 최대 화각에 상기 보정값을 뺀 값으로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카메라.
  8.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의 줌을 최대로 조절하여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실제 최대 화각을 얻는 단계;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상기 실제 최대 화각의 차이를 보정값으로 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 최대 화각이 더 큰 쪽의 실사용 최대 화각을 자신의 상기 실제 최대 화각에 상기 보정값을 뺀 값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보정 방법.
  9. 좌안 렌즈를 구동하는 좌안 렌즈 구동부;
    우안 렌즈를 구동하는 우안 렌즈 구동부; 및
    상기 좌안 렌즈 구동부와 상기 우안 렌즈 구동부에 보정값을 제공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부는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조리개가 최소로 조절된 상태의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 간의 실제 최소 노출값의 차이를 보정값으로 정하고 상기 실제 최소 노출값이 더 작은 쪽의 실사용 최소 노출값을 자신의 상기 실제 최소 노출값과 상기 보정값을 더한 값으로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카메라.
  10.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의 조리개를 최소로 조절하여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실제 최소 노출값을 얻는 단계;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상기 실제 최소 노출값의 차이를 보정값으로 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 최소 노출값이 더 작은 쪽의 실사용 최소 노출값을 자신의 상기 실제 최소 노출값과 상기 보정값을 더한 값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보정 방법.
  11. 좌안 렌즈를 구동하는 좌안 렌즈 구동부;
    우안 렌즈를 구동하는 우안 렌즈 구동부; 및
    상기 좌안 렌즈 구동부와 상기 우안 렌즈 구동부에 보정값을 제공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부는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조리개가 최대로 조절된 상태의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 간의 실제 최대 노출값의 차이를 보정값으로 정하고 상기 실제 최대 노출값이 더 큰 쪽의 실사용 최대 노출값을 자신의 상기 실제 최대 노출값에 상기 보정값을 뺀 값으로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카메라.
  12.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의 조리개를 최대로 조절하여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실제 최대 노출값을 얻는 단계;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상기 실제 최대 노출값의 차이를 보정값으로 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 최대 노출값이 더 큰 쪽의 실사용 최대 노출값을 자신의 상기 실제 최대 노출값에 상기 보정값을 뺀 값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보정 방법.
KR1020100128020A 2010-12-15 2010-12-15 스테레오 카메라 및 그 보정 방법 KR101075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020A KR101075066B1 (ko) 2010-12-15 2010-12-15 스테레오 카메라 및 그 보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020A KR101075066B1 (ko) 2010-12-15 2010-12-15 스테레오 카메라 및 그 보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5066B1 true KR101075066B1 (ko) 2011-10-19

Family

ID=4503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020A KR101075066B1 (ko) 2010-12-15 2010-12-15 스테레오 카메라 및 그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06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2058A (ja) 2001-08-06 2003-02-21 Nippon Hoso Kyokai <Nhk> 立体画像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2058A (ja) 2001-08-06 2003-02-21 Nippon Hoso Kyokai <Nhk> 立体画像撮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8659B2 (ja) 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139893A (ja) 合焦検出装置
US8698878B2 (en) 3-D auto-convergence camera
JP5597525B2 (ja) 立体映像撮像装置および立体映像撮像方法
JP2012226213A5 (ko)
JP2015200847A5 (ko)
WO2016035643A1 (ja) 撮影装置、撮影装置本体、及びレンズ鏡筒
JP2018037772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0250805B2 (en) Imaging device for performing DFD processing at appropriate timing
JP2011013645A (ja) 撮像装置
JP2015018225A (ja) 光学機器、交換レンズ及び像ぶれ補正方法
JP6154080B2 (ja) 撮影装置、撮影装置本体、及びレンズ鏡筒
JP6917536B2 (ja) 撮像装置
JP2011250022A (ja) カメラシステム
KR101075066B1 (ko) 스테레오 카메라 및 그 보정 방법
JP6373145B2 (ja) 撮像装置および電子補正方法
JP2008020543A (ja) 撮像装置
US20150294442A1 (en) Camera system and imaging method
JP2011257541A (ja) 立体カメラ用レンズシステム
US20140043437A1 (en) Image pickup apparatus, image pickup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image pickup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12017585A1 (ja) 撮像装置
US11265486B2 (en) Focus tracking system and method
JP2013046395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3057740A (ja) 立体映像撮影システム及びレンズ装置
JP5879509B2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