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525B1 - 내염성이 강한 실링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염성이 강한 실링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525B1
KR101074525B1 KR1020110054780A KR20110054780A KR101074525B1 KR 101074525 B1 KR101074525 B1 KR 101074525B1 KR 1020110054780 A KR1020110054780 A KR 1020110054780A KR 20110054780 A KR20110054780 A KR 20110054780A KR 101074525 B1 KR101074525 B1 KR 101074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ing
sealing agent
molding
molding material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병선
Original Assignee
권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병선 filed Critical 권병선
Priority to KR1020110054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5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8Adding charges, i.e.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261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ultrasonic or 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38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29C2035/082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IR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83/00Use of polymers hav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0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 B29K2105/0014Cataly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rosslinked or vulcan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26Sealing devices, e.g. packaging for pistons or pip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26Sealing devices, e.g. packaging for pistons or pipe joints
    • B29L2031/265Packings, Gask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염성이 강한 실링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리콘고무를 주재로 하고, 상기 실리콘고무에 경화 및 가교를 위한 첨가제와, 촉매제를 혼합하여 성형재를 조성하는 배합단계와, 상기 성형재를 상온에서 일정 시간동안 방치하여 경화를 유도하는 1차 경화단계와, 상기 성형재를 금형에 투입하여 실링제를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실링제를 가열된 혼합용액이 담긴 오븐에 투입하고, 초음파 진동에 의하여 실링제를 경화시키는 2차 경화단계와, 상기 실링제를 전자기파에 의한 복사열로 건조 경화하는 3차 경화단계와, 그리고 상기 실링제를 냉각시키는 냉각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하수도의 수전금구, 정수기, 비데, 연수기 등과 같이 염소가 함유된 수돗물을 취급하는 분야에서 극성분자인 실리콘에 알킬계 과산화물, 2,5-dimethyl-2,5-bis(t-butylperoxy)hexane을 첨가하여 실링제의 블루밍 현상을 방지하고, 영구압축변형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실링효과를 극대화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내염성이 강한 실링제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내염성이 강한 실링제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EALING MATERIAL}
본 발명은 내염성이 강한 실링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하수도의 수전금구, 정수기, 비데, 연수기 등과 같이 염소가 함유된 수돗물을 취급하는 분야에서 극성분자인 실리콘에 알킬계 과산화물, 2,5-dimethyl-2,5-bis(t-butylperoxy)hexane을 첨가하여 실링제의 블루밍 현상을 방지하고, 영구압축변형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실링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을 사용하는 상하수도의 수전금구, 정수기, 비데, 연수기 등에서 실링, 수밀성을 보장하기 위해 실링제, 패킹, 개스킷 등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실링제는 보통 일정한 탄성과 밀폐성이 보장되는 고무 소재를 원료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고무소재, 특히 실리콘고무는 긴 선형 고분자로 두 개의 실록산 폴리머 사이에 새로운 탄소결합을 형성하여 가교(架橋)를 이룸으로써 3차원 망상구조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가교시키는 황의 기계적 성질을 가하기 위한 충진재로서 카본을 사용하게 되나, 이럴 경우 고무류의 경도가 커지면서 탄성을 잃게 된다.
따라서 고무소재에 오일을 첨가하여 경도를 떨어뜨리고, 이때 첨가되는 오일의 양이 많을수록 탄성의 회복 정도는 커지게 되며,
여기서 산화방지제, 내오존첨가제 등을 넣어 주면 실리콘고무의 성질과 내구력을 더욱 증대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고무류는 사용하지 않더라도 고무 내부에 첨가되어 있는 오일이 고무의 표면으로 빠져나오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블루밍 현상이라고 한다.
이러한 블루밍 현상은 상온에서는 아주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제품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유체나 고온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열의 작용에 의하여 고무 내부의 오일을 빨리 빠져나오게 된다.
또한 고무 내부의 오일이 빠져나게 되면
첫째, 고무의 경도가 상승하게 되면서 고무가 딱딱해져 탄성을 잃게 되고,
둘째, 고무 내부의 오일이 빠져나오면서 빠져나간 오일의 양만큼 수축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경도가 증가하여 탄성을 잃고, 고무의 수축 변형으로 누수 현상이 발생하여 제품의 치명적인 하자를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하수도의 수전금구, 정수기, 비데, 연수기 등과 같이 염소가 함유된 수돗물을 취급하는 분야에서 극성분자인 실리콘에 알킬계 과산화물, 2,5-dimethyl-2,5-bis(t-butylperoxy)hexane을 첨가하여 실링제의 블루밍 현상을 방지하고, 영구압축변형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실링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 경화 또는 건조단계에서는 과산화물의 성형 특성에 따라 최적화된 성형조건을 부여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보장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실링제는 착색이 가능하며, 광범위한 온도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필러의 충진이 가능하여 사용범위를 다양화하여 제품의 실용성을 높이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염성이 강한 실링제의 제조방법은
(a) 실리콘고무를 주재로 하고, 상기 실리콘고무에 경화 및 가교를 위한 첨가제와, 촉매제를 혼합하여 성형재를 조성하는 배합단계;
(b) 상기 성형재를 상온에서 일정 시간동안 방치하여 경화를 유도하는 1차 경화단계;
(c) 상기 성형재를 금형에 투입하여 실링제를 성형하는 성형단계;
(d) 상기 실링제를 가열된 물이 담긴 오븐에 투입하여 실링제를 경화하고, 초음파 진동에 의하여 실링제를 세정하기 위한 2차 경화단계;
(e) 상기 실링제를 전자기파에 의한 복사열로 건조 경화하는 3차 경화단계; 및
(f) 상기 실링제를 냉각시키는 냉각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첨가제는 2,5-dimethyl-2,5-bis(t-butylperoxy)hexane, 알킬계 과산화물과 황이고,
상기 촉매제는 아민계열의 질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실링제를 건조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경화수단은 내부에 컨베이어가 구비된 경화조와, 상기 경화조에는 전자기파를 조사하기 위한 경화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경화조 내부의 온도는 150℃ ~ 180℃ 범위에서 유지되고,
상기 경화램프는 0.5MHz ~ 1MHz 진동주파수를 갖는 중적외선 파장대의 전자기파를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오븐에는 계면활성제가 더 첨가되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실리콘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염성이 강한 실링제의 제조방법은 상하수도의 수전금구, 정수기, 비데, 연수기 등과 같이 염소가 함유된 수돗물을 취급하는 분야에서 극성분자인 실리콘에 알킬계 과산화물, 2,5-dimethyl-2,5-bis(t-butylperoxy)hexane을 첨가하여 실링제의 블루밍 현상을 방지하고, 영구압축변형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실링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각 경화 또는 건조단계에서는 과산화물의 성형 특성에 따라 최적화된 성형조건을 부여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실링제는 착색이 가능하며, 광범위한 온도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필러의 충진이 가능하여 사용범위를 다양화하여 제품의 실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염성이 강한 실링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흐름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실링제가 제조되는 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
본 발명에 따른 내염성이 강한 실링제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염성이 강한 실링제의 제조방법은
(a) 실리콘고무를 주재로 하고, 상기 실리콘고무에 경화 및 가교를 위한 첨가제와, 촉매제를 혼합하여 성형재(1)를 조성하는 배합단계(S100);
(b) 상기 성형재(1)를 상온에서 일정 시간동안 방치하여 경화를 유도하는 1차 경화단계(S200);
(c) 상기 성형재(1)를 금형(10)에 투입하여 실링제(3)를 성형하는 성형단계(S300);
(d) 상기 실링제(3)를 가열된 물(20)이 담긴 오븐(30)에 투입하고, 초음파 진동에 의하여 실링제(3)를 경화시키는 2차 경화단계(S400);
(e) 상기 실링제(3)를 전자기파에 의한 복사열로 건조 경화하는 3차 경화단계(S500); 및
(f) 상기 실링제(3)를 냉각시키는 냉각단계(S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염성이 강한 실링제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a)단계(S100)는
주재인 실리콘고무에 첨가제와 촉매제를 혼합하여 성형재(1)를 조성하기 위한 공정이다.
우선 상기 (a)단계(S100)에서 상기 성형재(1)는 긴 선형 고분자인 실리콘고무에서 두 개의 실록산 폴리머 사이에 새로운 탄소결합을 형성하여 가교(架橋)를 이루게 되고,
이때 경화제로는 주로 유기 과산화물(peroxides)을 이용하여 경화를 시키게 된다.
상기 경화제인 유기 과산화물로는 성형온도가 60℃ ~ 120℃로 낮은 Bic(2,4-dichlorobenzoy) peroxides, 아실계 과산화물과,
성형온도가 60℃ ~ 120℃로 높은 2,5-dimethyl-2,5-bis(t-butylperoxy)hexane, 알킬계 과산화물이 있다.
상기 과산화물 중에서 아실계 과산화물은 분해생성물이 잔류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분해 생성물이 실링제(3) 표면에 노출되는 블루밍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영구압축변형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과산화물 중에서 알킬계 과산화물은 분해생성물의 휘산성(휘발성)이 커 블루밍 현상이 방지되고, 또한 영구압축변형이 적다는 장점을 갖게 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경화제로 알킬계 과산화물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알킬계 과산화물은 열풍 건조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실링제(3)의 건조나 경화를 위한 특별한 성형조건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기 주재인 실리콘고무는 NR(천연고무), NBR(Nitile Butadien Rubber,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또는 CR(Chloroprene Rubber, 크로로프렌 고무) 등으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성형재(1)에는 촉매제로 아민계열의 질산화물이 첨가되어 혼합되는데,
상기 아민계열의 질산화물을 사용하여 상기 실리콘고무와 과산화물의 반응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염성이 강한 실링제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b)단계(S200)는
상기 성형재(1)를 상온에서 일정한 시간동안 방치하여 경화를 유도하는 공정이다.
상기 (b)단계(S200)는 실리콘고무와 과산화물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선 실리콘고무의 경화가 일어나거나, 또는 과산화물이 부패하는 온도를 회피하여 적당한 온도와 시간으로 예비공정이 수행되는 것인 바람직하고,
이러한 예비공정에 필요한 시간을 유도시간(scorch time)이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예비공정은 18℃ ~ 24℃의 상온, 50% 내지 60%의 습도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게 되면, 경화제에 의하여 폴리머들이 1차 경화가 일어나고,
이러한 유도시간 동안에는 성형재(1)의 점도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으나, 경화가 시작되면 급격히 점도가 상승하여 최대치에 이르게 된다.
이렇게 최대치에 이른 점도는 실리콘고무의 특성과 경화제인 과산화물 등의 특성에 따라 어느 정도 유지되거나, 감소하기 시작하게 되는데,
이때가 그 상태의 조건에서 실리콘고무의 내구성을 나타내게 되고, 따라서 실리콘고무의 점도가 떨어지기 전에 상기 (b)단계(S200)에 의한 1차 경화 반응을 종결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염성이 강한 실링제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c)단계(S300)는
상기 (b)단계(S200)에서 1차 경화공정을 거친 성형재(1)를 금형에 투입하여 실링제(3)를 성형하고, 또한 경화를 위한 공정이다.
상기 (c)단계(S300)에서 상기 금형(10)은 상부 및 하부금형(10A)(10B)이 경첩과 같은 연결부재(13)로 일측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및 하부금형(10A)(10B)에는 제품에서 요구되는 형상을 갖는 캐비티(11)가 상호 대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금형(10A)(10B)의 내부에는 히팅수단(15)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캐비티(11)에 절단된 성형재(1)를 투입한 후, 상기 상부 및 하부금형(10A)(10B)을 닫고,
상기 히팅수단(15), 즉 절연선이나 히터를 이용하여 각 금형에 열원을 공급하여 성형재(1)를 가열하여 제품을 성형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 및 하부금형(10A)(10B)의 히팅온도는 상기 상부금형(10A)의 히팅온도는 190℃ ± 10℃, 하부금형(10B)의 히팅온도는 165℃ ± 10℃로 설정되고,
또한 상기 금형(10) 내부의 설정 압력은 130 ~ 140kgf/cm2로 유지하여 최적의 성형 압력 조건을 유지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균질하게 하여 보다 품격 높은 제품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금형의 히팅온도와 금형 내부 압력에 의하여 실링제(3)의 성형은 물론이고, 경화반응을 일어나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금형(10)에서 실링제(3)를 취출하여 냉각시키기 전에 금형 내부에는 성형재(1)에 첨가된 오일이 연소되어 배출되는 가스나, 또는 황의 탈류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공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금형(10) 내부의 압력은 130 ~ 140kgf/cm2에서 순간적으로 금형 내부의 압력을 110kgf/cm2 ~ 120kgf/cm2 정도로 감압하여 배출가스를 상부 및 하부금형(10A)(10B)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금형(10) 내부의 압력의 감압 시 상부금형(10A)과 하부금형(10B)에는 텐션부재(미도시)가 탄성 지지하게 되고,
따라서 배출가스가 상부금형(10A)과 하부금형(10B) 틈새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각 금형(10A)(10B)의 분리를 방지하여 장치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염성이 강한 실링제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d)단계(S400)는
상기 (c)단계(S300)(S200)에서 성형된 실링제(3)를 일정 온도로 가열된 상태의 물이 담긴 오븐(30)에 투입하여 경화시키고, 초음파 진동에 의하여 실링제(3) 표면의 이물질들을 세정하기 위한 공정이다.
상기 (d)단계(S400)는 물이 담긴 오븐(30)에 실링제(3)를 투입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오븐(30)에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초음파발생수단(31)이 구비되어 상기 초음파발생수단(31)에서 발진된 초음파가 실링제(3) 내부로 침투하여 소재의 원자 또는 분자를 자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초음파발생수단(31)으로부터 발진되는 초음파는 60kHz 정도의 진동주파수를 가지게 되는데,
이는 본 발명에서 설정된 진동주파수보다 작은 진동주파수를 인가되는 경우에는 실링제(3)의 세정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이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또한 설정된 진동주파수보다 큰 진동주파수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실링제(3)의 원자 또는 분자의 운동을 지나치게 활성화시켜 실링제(3)의 온도 상승 및 물리적인 변형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초음파의 진동주파수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초음파 진동주파수를 60kHz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실링제(3)의 세정작업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또한 실링제(3)의 물리적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오븐에 담긴 물(20)은 온도는 80℃ ~ 90℃로 가열된 상태이므로 상기 실링제(3)는 초음파에 의하여 세정될 뿐만 아니라 물의 온도에 의하여 2차 경화가 일어나게 된다.
또한 상기 물(20)에는 계면활성제인 실리콘오일이 첨가되어 혼합되는데,
상기 실리콘오일은 온도에 의한 점도의 변화가 없고, 또한 표면장력이 작아 이형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실링제(3) 표면의 미세 크릭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극성에 대하여 난용성이라는 특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오븐(30)은 상기 혼합용액(20)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전열선과 같은 가열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혼합용액(20)이 설정온도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염성이 강한 실링제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e)단계(S500)는
상기 실링제(3)를 전자기파에 의한 복사열로 건조 경화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e)단계(S500)에서는 상기 실링제(3)를 건조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수단(4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경화수단(40)은 내부에 컨베이어(43)가 구비된 경화조(41)와,
상기 경화조(41)에는 전자기파를 조사하기 위한 경화램프(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경화조(41) 내부의 온도는 150℃ ~ 180℃ 범위에서 유지되고,
상기 경화램프(45)는 0.5MHz ~ 1MHz 진동주파수를 갖는 중적외선 파장대의 전자기파를 조사하게 된다.
즉 상기 (d)단계(S400)를 거쳐 세정 및 경화된 실링제(3)를 상기 컨베이어(43)에 운반하고,
상기 컨베이어(43)가 실링제(3)를 이송하면서 상기 경화램프(45)와, 경화조(41) 내부의 온도에 의하여 완전한 경화가 일어나게 된다.
또한 상기 경화수단(40)에 의한 잔자기파를 이용하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알킬계 과산화물을 열풍에 의한 건조에 취약하여 열풍에 의한 건조에 취약하고,
따라서 전자기판의 복사열을 이용하여 경화를 시키게 되며,
또한 중적외선, 2㎛ ~ 7㎛ 파장으로 비교적 긴 파장대의 사용하여 실링제(3)의 표면은 물론, 심부까지 경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경화조(41) 내부의 온도를 150℃ ~ 180℃ 범위에서 유지하는 것은 상기 실링제(3)의 표면 경화를 위한 것으로 보다 경화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염성이 강한 실링제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f)단계(S600)는
상기 경화수단(40)에서 배출된 실링제(3)를 공기 중에서 서서히 냉각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f)단계(S600)는 상기 실링제(3)의 경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방지하여 실링효과를 보장하고, 또한 실링제(3)의 균열이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 중에서 서서히 냉각시킴으로써 급격한 냉각에 의한 실링제(3)의 물리 화학적인 변형을 방지하여 제품의 성능을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a)단계(S100) 내지 (f)단계(S600)를 거쳐 제조된 실링제(3)는 상하수도의 수전금구, 정수기, 비데, 연수기 등에서 실링, 수밀성을 보장하기 위해 실링제, 패킹, 개스킷 등의 용도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그 형태는 링 또는 원반 형태인 것이 대부분이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목적이나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내염성이 강한 실링제의 제조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성형재 3 : 실링제
10 : 히팅금형 10A : 상부금형
10B : 하부금형 11 : 캐비티
13 : 연결부재 15 : 히팅수단
20 : 물
30 : 오븐 31 : 초음파발진수단
40 : 경화수단 41 : 경화조
43 : 컨베이어 45 : 경화램프

Claims (4)

  1. (a) 실리콘고무를 주재로 하고, 상기 실리콘고무에 경화 및 가교를 위한 첨가제와, 촉매제를 혼합하여 성형재를 조성하는 배합단계;
    (b) 상기 성형재를 상온에서 일정 시간동안 방치하여 경화를 유도하는 1차 경화단계;
    (c) 상기 성형재를 금형에 투입하여 실링제를 성형하는 성형단계;
    (d) 상기 실링제를 가열된 물이 담긴 오븐에 투입하여 실링제를 경화하고, 초음파 진동에 의하여 실링제를 세정하기 위한 2차 경화단계;
    (e) 상기 실링제를 전자기파에 의한 복사열로 건조 경화하는 3차 경화단계; 및
    (f) 상기 실링제를 냉각시키는 냉각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첨가제는 2,5-dimethyl-2,5-bis(t-butylperoxy)hexane, 알킬계 과산화물과 황이고,
    상기 촉매제는 아민계열의 질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염성이 강한 실링제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실링제를 건조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경화수단은 내부에 컨베이어가 구비된 경화조와,
    상기 경화조에는 전자기파를 조사하기 위한 경화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경화조 내부의 온도는 150℃ ~ 180℃ 범위에서 유지되며,
    상기 경화램프는 0.5MHz ~ 1MHz 진동주파수를 갖는 중적외선 파장대의 전자기파를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염성이 강한 실링제의 제조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오븐에는 계면활성제가 더 첨가되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실리콘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염성이 강한 실링제의 제조방법.
KR1020110054780A 2011-06-07 2011-06-07 내염성이 강한 실링제의 제조방법 KR101074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780A KR101074525B1 (ko) 2011-06-07 2011-06-07 내염성이 강한 실링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780A KR101074525B1 (ko) 2011-06-07 2011-06-07 내염성이 강한 실링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4525B1 true KR101074525B1 (ko) 2011-10-17

Family

ID=45032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780A KR101074525B1 (ko) 2011-06-07 2011-06-07 내염성이 강한 실링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5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597B1 (ko) * 2018-10-23 2019-06-11 임재진 방화문용 패킹 제조방법
CN111674062A (zh) * 2020-05-28 2020-09-18 郑州翱翔医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预灌封注射器用橡胶锥头护帽的硅化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6393A (ja) * 2009-07-23 2011-02-10 Toagosei Co Ltd 硬化性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6393A (ja) * 2009-07-23 2011-02-10 Toagosei Co Ltd 硬化性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597B1 (ko) * 2018-10-23 2019-06-11 임재진 방화문용 패킹 제조방법
CN111674062A (zh) * 2020-05-28 2020-09-18 郑州翱翔医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预灌封注射器用橡胶锥头护帽的硅化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80463B (zh) 橡胶组合物、等离子体处理装置用密封材料
KR101419956B1 (ko) 고무 조성물, 그 제조 방법,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시일재 및 이것을 구비한 장치, 및 내dme용 고무 조성물
DE602005027767D1 (de) Dynamisches Vernetzungsverfahren von Elastomeren mit In-situ-Polymerisation
JP2006131905A (ja) マイクロ波活性シリコーンエラストマー
TW200602419A (en) Elastomeric compositions containing fluoropolymer blends
KR101074525B1 (ko) 내염성이 강한 실링제의 제조방법
JP2006342241A (ja) フッ素ゴムシール材
JP6611606B2 (ja) 架橋フルオロエラストマーの製造方法
JP2007154043A (ja) フッ素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よりなるシール材
JP2009221295A (ja) 付加硬化性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及びシリコーンゴム硬化物
JP2018080754A (ja) エンジン回りのガスケ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EP1325942A1 (en) Fluororubber compositions and articles thereof
JP2011161767A (ja) タイヤ製造用ブラダーおよび該タイヤ製造用ブラダーの製造方法
JPWO2007018005A1 (ja) シール材
JP7066010B2 (ja) パーフルオロエラストマー組成物、架橋パーフルオロエラストマー及び成形品
US20200269532A1 (en) Silicone based expandable tire curing bladder
CN111040317A (zh) 一种防污染模具的材料、其制备方法及其制备的密封环
KR20220029566A (ko) 가소제로서 폴리오가노실록산을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
KR100631077B1 (ko) 사출성형 금형 밀폐용 내열성 합성수지혼합물
JP6134293B2 (ja) 封止材
JP5824600B1 (ja) 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64581B1 (ko) 라텍스 폼의 제조방법
KR200145596Y1 (ko) 진공 컨테이너의 하부밀폐구조
KR20240018029A (ko) 컴프레서 방진부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컴프레서 방진 부재의 사출 성형 방법
JP2017071703A (ja) ゴム組成物、並びにそれからなる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