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433B1 - 형강 및 이를 이용한 복합거더 - Google Patents
형강 및 이를 이용한 복합거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74433B1 KR101074433B1 KR1020100125055A KR20100125055A KR101074433B1 KR 101074433 B1 KR101074433 B1 KR 101074433B1 KR 1020100125055 A KR1020100125055 A KR 1020100125055A KR 20100125055 A KR20100125055 A KR 20100125055A KR 101074433 B1 KR101074433 B1 KR 1010744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 flange
- support
- forming
- upper flan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8093 suppor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19 thick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형강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복합거더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복합거더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복합거더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복합거더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복합거더의 제4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복합거더의 제5 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복합거더의 제6 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복합거더의 제6 실시예의 사시도.
102 : 웹 103 : 하단 플랜지
110 : 지지 플랜지 120 : 상부 리브
121 : 배근 관통공 130 : 하부 리브
131 : 지지부재 설치공 210 : 상부 플랜지부 형성용 콘크리트
220 : 하부 플랜지부 형성용 콘크리트
Claims (12)
- 삭제
- 삭제
- 상단 플랜지(101), 웹(102), 하단 플랜지(10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복합거더를 형성하는 형강(100)에 있어서,
상부 플랜지부 형성용 콘크리트(21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단 플랜지(101)의 하측에 설치된 지지 플랜지(110);를 포함하고,
상부 플랜지부 형성용 콘크리트(210)에 매설되도록, 상기 지지 플랜지(110)의 상면 및 웹(102)의 측면에 간격을 두고 결합한 복수의 상부 리브(120)를 더 포함하며,
상부 플랜지부 형성용 콘크리트(210)의 배근이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상기 상부 리브(120)에는 배근 관통공(1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거더용 형강(100). - 상단 플랜지(101), 웹(102), 하단 플랜지(10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복합거더를 형성하는 형강(100)에 있어서,
상부 플랜지부 형성용 콘크리트(21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단 플랜지(101)의 하측에 설치된 지지 플랜지(11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랜지(110) 및 상부 플랜지부 형성용 콘크리트(210)를 상측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 플랜지(110)의 하면 및 웹(102)의 측면에 간격을 두고 결합한 복수의 하부 리브(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거더용 형강(100). - 제4항에 있어서,
하부 플랜지부 형성용 콘크리트(220)의 거푸집(10)을 지지하기 위한 거푸집 지지부재(11)가 설치되도록, 상기 하부 리브(130)에는 지지부재 설치공(1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거더용 형강(100).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리브(130)의 하단은 상기 하단 플랜지(103)의 상면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거더용 형강(100). - 상단 플랜지(101), 웹(102), 하단 플랜지(10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복합거더를 형성하는 형강(100)에 있어서,
상부 플랜지부 형성용 콘크리트(21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단 플랜지(101)의 하측에 설치된 지지 플랜지(110);를 포함하고,
상부 플랜지부 형성용 콘크리트(210)에 매설되도록, 상기 지지 플랜지(110)의 상면 및 웹(102)의 측면에 간격을 두고 결합한 복수의 상부 리브(120);
상기 지지 플랜지(110) 및 상부 플랜지부 형성용 콘크리트(210)를 상측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 플랜지(110)의 하면 및 웹(102)의 측면에 간격을 두고 결합한 복수의 하부 리브(13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리브(120) 및 하부 리브(130)는 동일지점의 상하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거더용 형강(100). -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형강(100);
상기 지지 플랜지(110)에 의해 저면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상부 플랜지부 형성용 콘크리트(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거더.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플랜지(101)의 폭에 비해 상기 상부 플랜지부 형성용 콘크리트(210)의 폭이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단 플랜지(101)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상기 상부 플랜지부 형성용 콘크리트(210)의 폭은 상호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거더.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플랜지(101)의 상면과 상기 상부 플랜지부 형성용 콘크리트(210)의 상면은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거더.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랜지(110)의 폭에 비해 상기 상부 플랜지부 형성용 콘크리트(210)의 폭이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플랜지(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상기 상부 플랜지부 형성용 콘크리트(210)의 폭은 상호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거더.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랜지(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상기 상부 플랜지부 형성용 콘크리트(210)의 저면은 외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거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5055A KR101074433B1 (ko) | 2010-12-08 | 2010-12-08 | 형강 및 이를 이용한 복합거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5055A KR101074433B1 (ko) | 2010-12-08 | 2010-12-08 | 형강 및 이를 이용한 복합거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74433B1 true KR101074433B1 (ko) | 2011-10-17 |
Family
ID=45032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5055A Expired - Fee Related KR101074433B1 (ko) | 2010-12-08 | 2010-12-08 | 형강 및 이를 이용한 복합거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7443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9126B1 (ko) * | 2014-11-25 | 2016-05-11 | 동부제철 주식회사 | 합성보 |
KR20160054900A (ko) * | 2014-11-07 | 2016-05-17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강콘크리트 합성 침목 및 이를 이용한 자갈궤도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6671B1 (ko) | 2007-05-25 | 2007-11-15 |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 강재 거더의 구속콘크리트 제작방법 |
KR100974305B1 (ko) | 2009-11-25 | 2010-08-06 | 이엔이건설주식회사 | 정모멘트 구간용 거더와 부모멘트 구간용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다경간 교량시공방법 |
KR100995459B1 (ko) * | 2010-02-25 | 2010-11-18 | (주)스틸콘이엔씨 |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 |
-
2010
- 2010-12-08 KR KR1020100125055A patent/KR10107443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6671B1 (ko) | 2007-05-25 | 2007-11-15 |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 강재 거더의 구속콘크리트 제작방법 |
KR100974305B1 (ko) | 2009-11-25 | 2010-08-06 | 이엔이건설주식회사 | 정모멘트 구간용 거더와 부모멘트 구간용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다경간 교량시공방법 |
KR100995459B1 (ko) * | 2010-02-25 | 2010-11-18 | (주)스틸콘이엔씨 |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54900A (ko) * | 2014-11-07 | 2016-05-17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강콘크리트 합성 침목 및 이를 이용한 자갈궤도 |
KR101673957B1 (ko) * | 2014-11-07 | 2016-11-08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강콘크리트 합성 침목 및 이를 이용한 자갈궤도 |
KR101619126B1 (ko) * | 2014-11-25 | 2016-05-11 | 동부제철 주식회사 | 합성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88941B1 (ko) |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 |
KR101203978B1 (ko) | 교량의 상부 구조물 | |
KR101107300B1 (ko) | 강판전단벽 | |
KR20080020067A (ko) | 층고 절감을 위한 철골 합성보 구조 | |
KR101509505B1 (ko) | 슬래브거더교 시공방법 및 그 교량 | |
KR100728106B1 (ko) |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 |
KR101196343B1 (ko) | 석재외장 콘크리트 아치형 슬래브 교량 | |
KR100812132B1 (ko) |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 |
KR101198376B1 (ko) | 에프씨엠 교량의 주두부 시공방법 | |
KR101599811B1 (ko) | 파형강판 결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1222206B1 (ko) |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 |
KR101243777B1 (ko) |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 긴장력이 도입된 파형강판 합성형 라멘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1074433B1 (ko) | 형강 및 이를 이용한 복합거더 | |
KR101023179B1 (ko) | 티형 리브드 슬래브,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 |
KR101358878B1 (ko) | 거더의 상부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거더 | |
KR20100042448A (ko) |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 |
KR101161364B1 (ko) | 개량형 합성보 | |
KR20120028762A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와 데크플레이트의 합성보 | |
KR20160101258A (ko) |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이용한 슬래브 일체형 아치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1191545B1 (ko) |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 |
KR100759041B1 (ko) | 건축물의 기둥과 철골보의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 |
KR101920681B1 (ko) | 프리텐션 합성보와 커넥팅 바를 이용하여 거푸집과 동바리의 사용을 생략한 소형 교량 구조 및 상기 소형 교량 구조의 시공방법 | |
KR101241400B1 (ko) | 아치형구조물 | |
KR101169003B1 (ko) | Psc 거더 라멘교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192038B1 (ko) | 합성 데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12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0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0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