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130B1 -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130B1
KR101074130B1 KR1020090038729A KR20090038729A KR101074130B1 KR 101074130 B1 KR101074130 B1 KR 101074130B1 KR 1020090038729 A KR1020090038729 A KR 1020090038729A KR 20090038729 A KR20090038729 A KR 20090038729A KR 101074130 B1 KR101074130 B1 KR 101074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raw material
outlet
drying tank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9672A (ko
Inventor
나광범
Original Assignee
나광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광범 filed Critical 나광범
Priority to KR1020090038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130B1/ko
Publication of KR20100119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01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 F26B23/02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incinerating volatiles in the dryer exhaust gases, the produced hot gases being wholly, partly or not recycled into the drying enclo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함수 물질의 건조와 분쇄가 동시에 진행 가능하고 함수 물질의 분쇄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건조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풍을 발생시켜 분사하는 연소기; 상기 연소기에 연결되어 상기 열풍이 유입되는 열풍 유입구, 원료가 투입되는 원료 투입구, 상기 열풍 유입구 및 원료 투입구와 연결되어 열풍 및 원료가 공급되는 제1공간부 및 상기 제1공간부로부터 개방된 제1출구를 포함하는 제1건조 탱크; 상기 제1공간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세라믹 볼; 및 상기 제1출구에 밀봉되도록 연통된 제2공간부 및 상기 제2공간부로부터 개방된 제2출구를 포함하는 제2건조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 유입구는 상기 제1건조 탱크의 내면으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원료 투입구는 상기 열풍 유입구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조 장치{Drying device}
본 발명은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함수율이 높은 물질을 건조시킴과 동시에 파쇄하는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유기재 또는 무기재를 건조시키는 데에는 건조 장치가 사용된다.
특히 함수율이 높은 폐기물은 그 처리 시, 상기 폐기물로부터 수분 함량을 낮추어야 할 뿐 아니라, 미분말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즉, 함수 물질의 함수율을 낮추고 분쇄하는 처리를 동시에 진행시킬 필요가 있으며, 또 작업 시의 에너지 효율을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함수 물질의 건조와 분쇄가 동시에 진행 가능한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함수 물질의 분쇄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건조 장 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함수 물질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풍을 발생시켜 분사하는 연소기; 상기 연소기에 연결되어 상기 열풍이 유입되는 열풍 유입구, 원료가 투입되는 원료 투입구, 상기 열풍 유입구 및 원료 투입구와 연결되어 열풍 및 원료가 공급되는 제1공간부 및 상기 제1공간부로부터 개방된 제1출구를 포함하는 제1건조 탱크; 상기 제1공간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세라믹 볼; 및 상기 제1출구에 밀봉되도록 연통된 제2공간부 및 상기 제2공간부로부터 개방된 제2출구를 포함하는 제2건조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 유입구는 상기 제1건조 탱크의 내면으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원료 투입구는 상기 열풍 유입구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건조 탱크의 상기 제1공간부를 향한 내면에 부착되고 상기 열풍의 진행방향을 따라 정렬된 라이닝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라이닝 패드는 상기 제1건조 탱크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열풍의 진행방향을 따라 경사지도록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출구에는 상기 제1출구의 경계로 부터 상기 열풍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제1공간부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 베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출구 및 상기 연소기에 연결된 다지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지 밸브는 상기 제2출구로부터 토출된 열풍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연소기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함수 원료의 건조와 분쇄가 동시에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또, 라이닝 패드에 의해 세라믹 볼에 의한 건조 탱크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소음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열풍의 기류를 가이드하고, 세라믹 볼이 탱크 내부에서 고루 운동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분쇄 및 건조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베인에 의해 열풍 기류의 방향을 조정하고, 세라믹 볼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어 건조 및 분쇄 효율의 조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2건조 탱크의 분리벽 구조로 인하여 함수 원료의 2차적 분쇄 및 건조가 더욱 높은 수준으로 이뤄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폐열을 다시 연소기에서 가열하여 건조장치로 공급함으로써 외부로 방출되는 배기에 의한 열손실을 최소로 줄이게 하여 열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원료의 건조 속도도 현저히 빠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건조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는 연소기(5), 제1건조 탱크(1), 제2건조 탱크(2) 및 복수의 세라믹 볼(3)을 포함한다.
상기 연소기(5)는 가스, 석유 등의 연료를 이용해 외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제1건조 탱크(1)의 방향으로 송풍시킨다. 이러한 연소기(5)는 도면에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버너와 같은 발열기구 및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건조 탱크(1)는 원판이 세워진 형태의 누워진 드럼 형상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내부에 제1공간부(13)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제1건조 탱크(1)의 구조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세워진 드럼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건조 탱크(1)는 상기 연소기(5)에 연결되어 열풍이 유입되는 열풍 유입구(11), 원료가 투입되는 원료 투입구(12)를 구비한다. 상기 열풍 유입구(11) 및 원료 투입구(12)는 상기 제1공간부(13)를 향해 개방되며, 열풍이 제1공간부(13) 의 저면을 향해 분사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열풍 유입구(11)는 제1건조 탱크(1)의 내면(17)으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이에 따라 연소기(5)로부터의 열풍은 제1건조 탱크(1)의 내면(17)을 따라 제1공간부(13) 내를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원료가 투입되는 원료 투입구(12)는 열풍 유입구(11)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원료 투입구(12)를 통해 투입된 원료가 제1공간부(13) 내에서 자중에 의해 하강할 때에 열풍 유입구(11)에서 유입된 열풍에 의해 강제 유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1건조 탱크(1)는 상부에 상기 제1공간부(13)로부터 개방된 제1출구(16)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공간부(13)로 유입된 열풍 및 원료는 상기 제1출구(16)를 통해 상기 제1건조 탱크(1)를 빠져 나가게 된다.
상기 제1공간부(13)에는 복수의 세라믹 볼(3)이 배치되어 있다. 이 세라믹 볼(3)은 상기 제1공간부(13)로 유입된 열풍에 의해 요동하기에 충분한 부피 및 무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열풍의 유입에 따라 함수율이 높은 원료는 건조되고 열풍에 의해 요동되는 세라믹 볼에 의해 분쇄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건조 탱크(1)의 상기 제1공간부(13)를 향한 내면(17)에는 라이닝 패드(6)를 더 부착할 수 있다.
이 라이닝 패드(6)는 세라믹 볼(3)에 의해 제1건조 탱크(1)가 충격을 받게 됨에 따라 그 내면(17)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착되는 것으로, 제1건조 탱크(1)의 내마모성을 더욱 높여줄 수 있다. 또한 제1건조 탱크(1)의 내면(17)에 세라믹 볼(3)이 부딪힘으로 인한 소음을 흡수하여 소음 저감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라이닝 패드(6)는 제1건조 탱크(1)의 내면(17)에 부착되는 제1패드부(62)와 이 제1패드부(62)로부터 연장되어 제1공간부(13)를 향해 돌출된 제1돌기부(61)를 포함한다.
도 1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라이닝 패드(6)가 연속하여 배치될 경우 상기 제1돌기부(61)는 열풍의 진행 경로를 따라 경사지도록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돌기부(61)는 열풍의 진행에 역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아니라 순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열풍의 흐름을 거스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1돌기부(61)에 의해 열풍은 가이드되어 제1공간부(13) 전체로 고루 퍼질 수 있게 되며, 제1돌기부(61)에 세라믹 볼(3)이 부딪혀 튀도록 함으로써 제1공간부(13) 전체에서 세라믹 볼(3)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풍으로 인한 건조 효율을 더욱 높이고, 세라믹 볼에 의한 원료의 분쇄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세라믹 볼(3)은 건조된 원료에 비하여 그 비중량이 약 2,200~3,000배 정도가 크다. 이 때문에 상기 제1공간부(13) 내에서 열풍 및 돌기부(61)에 의해 받게 되는 요동도 건조된 원료에 비해 훨씬 더 심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라 믹 볼(3)은 그 자체에 걸리는 막대한 힘 때문에 항상 제1건조 탱크(1)의 내면을 따라서 불규칙적인 요동을 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원료는 투입 초기에는 입경이 클 뿐 아니라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세라믹 볼(3)과 함께 상기 제1건조 탱크(1)의 내면을 따라서 선회를 하지만, 세라믹 볼(3)과의 충돌에 의한 분쇄 및 열풍에 의한 건조로 인하여 입자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그 비중량도 감소하게 된다.
한편, 제1공간부(13)로 계속 유입되는 열풍은 일단 제1건조 탱크(1)의 내면을 따라서 선회를 한 후에 제1출구(16)를 통해 제1건조 탱크(1) 밖으로 배출된다.
이 때, 건조 및 분쇄된 원료인 미립자 분체는 상기 세라믹 볼(3)과 건조가 덜 된 원료인 대입자 분체보다 비중량이 상대적으로 작아, 상기 상승기류를 타고 상기 제1건조 탱크(1) 밖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건조 과정에서 제1건조 탱크(1)의 내부 벽면에 부착되는 스케일은 세라믹 볼(3)의 선회 운동 시에 발생하는 마찰에 의하여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건조 탱크(1)의 제1출구(16)에는 제2건조 탱크(2)의 입구(22)가 상호 밀봉적으로 연결된다. 제2건조 탱크(2)는 내측에 제2공간부(21)를 구비하며, 이 제2공간부(21)는 상기 제1출구(16)를 통해 상기 제1공간부(13)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2건조 탱크(2)에는 제2출구(23)가 설치된다. 이 제2출구(23)를 통해 상기 제2공간부(21)로 유입된 열풍과 미립자 분체가 토출된다.
상기 제2공간부(21)는 제2건조 탱크(2)로 유입된 고온의 열풍과 미립자 분체가 일정 정도의 와류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정도의 부피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따라서, 미립자 분체는 제2공간부(21) 내에서 완전히 건조되어 제2출구(2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출구(23)는 상기 제2공간부(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입구(22)에 대향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출구(16)를 통해 제2공간부(21)로 유입된 미립자 분체인 원료가 곧바로 제2출구(23)를 통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세라믹 볼(3)이 제2공간부(21)로 유입될 경우에도 이 세라믹 볼(3)이 제2출구(23)를 통해 제2건조 탱크(2) 밖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따른 건조 장치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소기(5), 제1건조 탱크(1), 제2건조 탱크(2) 및 세라믹 볼(3)을 포함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는 전술한 도 1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따른 건조 장치는 제1출구(16)에 가이드 베인(7)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가이드 베인(7)은 제1출구(16)의 경계로부터 열풍의 진행방향을 따라 제1공간부(13)를 향해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가이드 베인(7)은 제1건조 탱크(1)의 내면에 부착되는 제2패드부(71)와 이 제2패드부(71)로부터 열풍의 진행방향을 따라 제1공간부(13)를 향해 돌출된 제2돌출부(72)를 포함한다. 상기 제2돌출부(72)는 열풍의 진행방향에 순방향이 되도록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출구(16)를 향해 연장되어 제1공간부(13)를 향해 경사지도록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 가이드 베인(7)에 의해 제1공간부(13) 내에서 요동하는 세라믹 볼(3)이 제1출구(16)를 벗어나 제2건조 탱크(2)로 유입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건조 탱크(1)의 내면(17)을 따라 선회한 열풍의 기류가 이 제2돌출부(72)에 부딪혀 다시 제1공간부(13)의 방향으로 유입되어 1회 더 선회토록 함으로써 제1공간부(13) 내에서의 건조 및 분쇄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따른 건조 장치는 도 2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 제1건조 탱크(1)에 또 다른 형태의 제2건조 탱크(2')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또 다른 형태의 제2건조 탱크(2')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2건조 탱크(2')는 상기 제1출구(16)에 밀봉 결합되는 입구(22')와, 내부의 제2공간부(21')와, 상기 제2공간부(21')로부터 개방된 제2출구(23')를 포함한다.
상기 제2건조 탱크(2')는 상기 제2공간부(21')에 설치되고 상기 제1출구(16')로부터 상기 제2출구(23')까지의 열풍의 기류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비된 제1분리벽(24') 및 제2분리벽(25')을 포함한다.
상기 제1분리벽(24')은 그 일단이 상기 입구(22') 부근까지 연장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이 제1분리벽(24')의 일단에 의해 상기 입구(22')는 제1입구(22a') 및 제2입구(22b')로 나뉘어 지고 상기 제2공간부(21')도 제2-1공간부(21a')와 제2-2공간부(21b')로 구획된다. 이 때 상기 제1분리벽(24')의 타단은 제2건조 탱크(2')의 상부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1공간부(21a')와 제2-2공간부(21b')는 상부에서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1입구(22a')의 횡단면적(W1)은 제2입구(22b')의 횡단면적(W2)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한다.
제1건조 탱크(1)에서 1차로 건조 및 분쇄된 원료의 분체는 이러한 제2건조 탱크(2')로 유입되어 최종 건조된다.
이 때, 열풍과 분체의 혼합류는 횡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제1입구(22a')를 통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인 제2-1공간부(21a')로 제2-2공간부(21b')보다 많은 양이 유입되고, 제2-2공간부(21b')로는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은 것과 열풍이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2공간부(21b')에는 제2분리벽(25')이 더 배치될 수 있는 데, 이 제2분리벽(25')은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제2건조 탱크(2')의 상부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그 일단이 제2입구(22b')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2분리벽(25')은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1분리벽(24')만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상기 분체는 제1건조 탱크(1)보다 제2건조 탱크(2')의 제2-1공간부(21a')에서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려지는 데, 이 제2-1공간부(21a')의 상부에서 공간이 넓어짐에 따라 속도가 더욱 떨어지게 된다. 또한, 분체는 제2분리벽(25')에 가로막혀 제2-2공간부(21b')로 떨어지게 되고, 이 중 미분말로 분쇄된 분체는 제2출구(23') 방향으로 상승되어 빠져나가게 된다.
한편, 상대적으로 입경이 크고 건조가 덜 된 분체는 제2-1공간부(21a') 내에 서 반복적으로 오르내리면서 건조가 이루어지며, 제2-1공간부(21a')로 일부 유입된 세라믹 볼(3)에 의해 분쇄도 진행될 수 있다.
제2-2공간부(21b')로 넘어간 분체의 경우에도 입경이 클 경우에는 제2입구(22b')를 통해 다시 제1건조 탱크(1)로 유입되어 건조 및 분쇄가 이뤄질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2건조 탱크(2')의 분리벽 구조로 인하여 분체의 건조율 및 분쇄율은 매우 높아질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건조장치에 있어서, 제2출구(23')에 싸이클론(4)이 더 연결되어 있다. 상기 싸이클론(4)은 원료 분체와 열풍인 가스를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그 상부 입구(41)가 제2건조 탱크(2')의 제2출구(23')에 연결되어 있고, 상단 중앙부로는 열풍 가스가 빠져 나갈 수 있도록 열풍 배출구(43)가 마련되어 있다. 하단에는 원료 분체가 토출될 수 있도록 로타리 밸브(42)가 설치되고 이 로타리 밸브(42)를 거쳐 건조 및 분쇄된 원료 분체가 배출되어 저장된다.
한편, 열풍 배출구(43)에는 송풍기(44)가 연결되어 열풍 가스를 싸이클론(4) 외측으로 뽑아내 주고, 이 송풍기(44)의 출력단에는 다지 밸브(45)가 설치된다. 다지 밸브(45)는 송풍기(44)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제1출력단(46)은 외부에, 제2출력단(47)은 연소기(5)에 연결된다. 제1출력단(46)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양과 제2 출력단(47)을 통해 연소기(5)로 공급되는 가스의 양은 4:6 정도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소기(5)의 종류의 용량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소기(5)는 LPG가스나 석유 등의 연료가 공급되는 연료 공급관(51)이 구비되어 있고 외기를 가열하는 것이 아니라 제2출력단(47)을 통해 공급된 폐열풍 가스를 다시 가열해 열풍을 생성하며 이를 제1건조 탱크(1)로 공급한다. 도 4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연소기(5)에는 송풍기가 구비되어 있거나 별도 설치되어 생성된 열풍을 제1건조 탱크(1)로 불어 넣어 준다.
이렇게 폐열풍 가스를 이용해 다시 가열하여 생성된 열풍은 고온 및 고습의 과열증기가 된다. 즉, 제2건조 탱크(2')로부터 토출되어 싸이클론(4)을 거쳐 분리된 폐열풍은 원료를 건조시킨 열풍에 더하여 원료에서 증발한 수분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 폐열풍에 연소기(5)의 가열 에너지를 가하여 과열증기화한 후 이를 다시 제1건조 탱크(1)로 공급해 원료의 건조에 사용한다. 이에 따라 외부로 방출되는 배기에 의한 열손실을 최소로 줄이게 하여 열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원료의 건조 속도도 현저히 빠르게 할 수 있다.
제1건조 탱크(1)로 유입되는 열풍의 온도가 대기압 하에서 포화온도(100℃)보다 현저히 높을 경우, 습도가 높은 열풍이 전열계수가 크게 됨은 물론 원료의 건조 속도가 빠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더욱 높은 효율의 건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수분을 함유한 원료의 건조 및 분쇄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5)

  1. 열풍을 발생시켜 분사하는 연소기; 상기 연소기에 연결되어 상기 열풍이 유입되는 열풍 유입구, 원료가 투입되는 원료 투입구, 상기 열풍 유입구 및 원료 투입구와 연결되어 열풍 및 원료가 공급되는 제1공간부 및 상기 제1공간부로부터 개방된 제1출구를 포함하는 제1건조 탱크; 상기 제1공간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세라믹 볼; 및 상기 제1출구에 밀봉되도록 연통된 제2공간부 및 상기 제2공간부로부터 개방된 제2출구를 포함하는 제2건조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 유입구는 상기 제1건조 탱크의 내면으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원료 투입구는 상기 열풍 유입구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건조 탱크의 상기 제1공간부를 향한 내면에 부착되고 상기 열풍의 진행방향을 따라 정렬된 라이닝 패드를 더 포함하는 건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 패드는 상기 제1건조 탱크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열풍의 진행방향을 따라 경사지도록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건조 장치.
  4. 열풍을 발생시켜 분사하는 연소기; 상기 연소기에 연결되어 상기 열풍이 유입되는 열풍 유입구, 원료가 투입되는 원료 투입구, 상기 열풍 유입구 및 원료 투입구와 연결되어 열풍 및 원료가 공급되는 제1공간부 및 상기 제1공간부로부터 개방된 제1출구를 포함하는 제1건조 탱크; 상기 제1공간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세라믹 볼; 및 상기 제1출구에 밀봉되도록 연통된 제2공간부 및 상기 제2공간부로부터 개방된 제2출구를 포함하는 제2건조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 유입구는 상기 제1건조 탱크의 내면으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원료 투입구는 상기 열풍 유입구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출구에는 상기 제1출구의 경계로부터 상기 열풍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제1공간부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 베인을 더 포함하는 건조 장치.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출구 및 상기 연소기에 연결된 다지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지 밸브는 상기 제2출구로부터 토출된 열풍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연소기로 공급하는 건조 장치.
KR1020090038729A 2009-05-01 2009-05-01 건조 장치 KR101074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729A KR101074130B1 (ko) 2009-05-01 2009-05-01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729A KR101074130B1 (ko) 2009-05-01 2009-05-01 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672A KR20100119672A (ko) 2010-11-10
KR101074130B1 true KR101074130B1 (ko) 2011-10-17

Family

ID=43405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729A KR101074130B1 (ko) 2009-05-01 2009-05-01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1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7911B (zh) * 2021-10-29 2022-04-29 气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全自动千级无尘室环保型芯片封装框架料盒清洗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4998B1 (ko) 1996-08-28 1999-06-15 서상기 슬러지 건조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JP2006064260A (ja) 2004-08-26 2006-03-09 Jfe Engineering Kk 乾燥方法及び乾燥設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4998B1 (ko) 1996-08-28 1999-06-15 서상기 슬러지 건조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JP2006064260A (ja) 2004-08-26 2006-03-09 Jfe Engineering Kk 乾燥方法及び乾燥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672A (ko) 201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12008A1 (ja) 乾燥コンベア装置ならびにそれを備えた火力発電システム
CA1271326A (en) Fluid bed hog fuel dryer
CN102419079B (zh) 固体颗粒物料复合分级干燥装置及方法
CN104677054A (zh) 倒置微波低温流化床干燥设备
KR20110031975A (ko) 조대 입자들이 비말 동반되는 배가스를 위한 분무 건조 흡착 공정
CN113322360A (zh) 高炉熔渣粒化和余热回收利用装置及方法
KR101074130B1 (ko) 건조 장치
ES2908340T3 (es) Tolva de secado, así como la planta de molienda y secado que la comprende
KR100938904B1 (ko) 건조 장치
CN107513395A (zh) 一种炼焦工业中炼焦煤干燥表面增粘装煤的方法与装置
CN109631593B (zh) 具有高效烟气脱硫的回转石灰窑预热器
JP2014141619A (ja) 改質炭の製造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火力発電プラント
US2847766A (en) Drier
JP7423204B2 (ja) 粉砕装置及びボイラシステム並びに粉砕装置の運転方法
JP3023081B2 (ja) 流動層装置
RU2290578C1 (ru) Способ сушк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и вихревой аппарат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398163C2 (ru) Способ тепломассообмена в вихревом псевдоожиженном слое и аппарат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940010659B1 (ko) 고함수 연소성 고체의 건조 및 연소장치
RU2101634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сушилка материалов, склонных к окускованию
AU2003203773C1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Particulate Material
SU1192216A1 (ru) Аппарат для получения гранулированных продуктов
CN104567280A (zh) 一种气流床-流化床耦合的褐煤干燥装置及方法
JP2000257845A (ja) ジェットバーナ式処理装置
NO165614B (no) Fremgangsmaate og toerker til toerking av fuktig treavfall.
PL23780B1 (pl) Sposób rozdrabiania materjalów stalych oraz urzadzenie sluzace do tego cel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