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904B1 -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904B1
KR100938904B1 KR1020090038728A KR20090038728A KR100938904B1 KR 100938904 B1 KR100938904 B1 KR 100938904B1 KR 1020090038728 A KR1020090038728 A KR 1020090038728A KR 20090038728 A KR20090038728 A KR 20090038728A KR 100938904 B1 KR100938904 B1 KR 100938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outlet
space
drying tank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광범
Original Assignee
나광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광범 filed Critical 나광범
Priority to KR1020090038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904B1/ko
Priority to JP2011553964A priority patent/JP5335939B2/ja
Priority to PCT/KR2010/002372 priority patent/WO2010126244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 F26B23/02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incinerating volatiles in the dryer exhaust gases, the produced hot gases being wholly, partly or not recycled into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fluid currents, e.g. issuing from a nozzle, e.g. pneumatic, flash, vortex or entrainment dryers
    • F26B17/107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fluid currents, e.g. issuing from a nozzle, e.g. pneumatic, flash, vortex or entrainment dryers pneumatically inducing within the drying enclosure a curved flow path, e.g. circular, spiral, helical; Cyclone or Vortex dr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8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air valves, movable baffles or nozzl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22Controlling the drying process in dependence on liquid content of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함수 물질의 건조와 분쇄가 동시에 진행 가능하고 함수 물질의 분쇄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건조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풍을 발생시켜 분사하는 연소기; 상기 연소기에 연결되어 상기 열풍이 유입되는 열풍 유입구, 원료가 투입되는 원료 투입구, 상기 열풍 유입구 및 원료 투입구와 연결되어 열풍 및 원료가 공급되는 제1공간부, 상기 제1공간부의 저면에 구비된 원추형 콘 베인 및 상기 제1공간부로부터 개방된 제1출구를 포함하는 제1건조 탱크; 상기 제1공간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세라믹 볼; 및 상기 제1출구에 밀봉되도록 연통된 제2공간부 및 상기 제2공간부로부터 개방된 제2출구를 포함하는 제2건조 탱크;를 포함하는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조 장치{Drying device}
본 발명은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함수율이 높은 물질을 건조시킴과 동시에 파쇄하는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유기재 또는 무기재를 건조시키는 데에는 건조 장치가 사용된다.
특히 함수율이 높은 폐기물은 그 처리 시, 상기 폐기물로부터 수분 함량을 낮추어야 할 뿐 아니라, 미분말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즉, 함수 물질의 함수율을 낮추고 분쇄하는 처리를 동시에 진행시킬 필요가 있으며, 또 작업 시의 에너지 효율을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함수 물질의 건조와 분쇄가 동시에 진행 가능한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함수 물질의 분쇄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건조 장 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함수 물질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풍을 발생시켜 분사하는 연소기; 상기 연소기에 연결되어 상기 열풍이 유입되는 열풍 유입구, 원료가 투입되는 원료 투입구, 상기 열풍 유입구 및 원료 투입구와 연결되어 열풍 및 원료가 공급되는 제1공간부, 상기 제1공간부의 저면에 구비된 원추형 콘 베인 및 상기 제1공간부로부터 개방된 제1출구를 포함하는 제1건조 탱크; 상기 제1공간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세라믹 볼; 및 상기 제1출구에 밀봉되도록 연통된 제2공간부 및 상기 제2공간부로부터 개방된 제2출구를 포함하는 제2건조 탱크;를 포함하는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건조 탱크는 상기 제1공간부를 향해 배치되어 상기 열풍의 기류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비된 가이드 베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건조 탱크는 상기 제2공간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출구로부터 상기 제2출구까지의 상기 열풍의 기류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비된 분리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열풍을 발생시켜 분사하는 연소기; 상기 연소기에 연결되어 상기 열풍이 유입되는 열풍 유입구, 원료가 투입 되는 원료 투입구, 상기 열풍 유입구 및 원료 투입구와 연결되어 열풍 및 원료가 공급되는 제1공간부 및 상기 제1공간부로부터 개방된 제1출구를 포함하는 제1건조 탱크; 상기 제1공간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세라믹 볼; 및 상기 제1출구에 밀봉되도록 연통된 제2공간부, 상기 제2공간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출구로부터 상기 제2출구까지의 상기 열풍의 기류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비된 분리벽 및 상기 제2공간부로부터 개방된 제2출구를 포함하는 제2건조 탱크;를 포함하는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출구 및 상기 연소기에 연결된 분기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기 밸브는 상기 제2출구로부터 토출된 열풍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연소기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함수 원료의 건조와 분쇄가 동시에 이뤄질 수 있다. 또, 콘 베인에 의한 선회류의 형성에 의해 함수 원료의 건조 효율과 분쇄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이드 베인에 의해 선회류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어 건조 및 분쇄 효율의 조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2건조 탱크의 분리벽 구조로 인하여 함수 원료의 2차적 분쇄 및 건조가 더욱 높은 수준으로 이뤄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폐열을 다시 연소기에서 가열하여 건조장치로 공급함으로써 외부로 방출되는 배기에 의한 열손실을 최소로 줄이게 하여 열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원료의 건조 속도도 현저히 빠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건조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는 연소기(5), 제1건조 탱크(1), 제2건조 탱크(2) 및 복수의 세라믹 볼(3)을 포함한다.
상기 연소기(5)는 가스, 석유 등의 연료를 이용해 외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제1건조 탱크(1)의 방향으로 송풍시킨다. 이러한 연소기(5)는 도면에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버너와 같은 발열기구 및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건조 탱크(1)는 내측에 제1공간부(13)를 형성하도록 구비된 원통상의 부재로서, 상기 제1공간부(13)를 향한 저면(17)에 원추형 콘 베인(1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1건조 탱크(1)는 원판면이 저면(17)에 대응되는 세워진 원통 구조를 갖는다.
이 제1건조 탱크(1)의 측벽(18)에는 상기 연소기(5)에 연결되어 상기 연소기(5)로부터 생성된 열풍이 유입되는 열풍 유입구(11)와 원료가 투입되는 원료 투 입구(12)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건조 탱크(1)의 측벽(18)에 제1관(19)이 설치된 후 이 제1관(19)의 단부가 상기 열풍 유입구(11)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료 투입구(12)는 상기 제1관(19)의 일부를 개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상기 열풍 유입구(11)로부터 상기 제1공간부(13)로 열풍이 유입됨에 따라 원료 투입구(12)로 투입되는 함수율이 높은 원료는 열풍에 의해 강제적으로 상기 제1공간부(13)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제1건조 탱크(1)는 상기 저면(17)의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1공간부(13)로부터 개방된 제1출구(16)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공간부(13)로 유입된 열풍 및 원료는 상기 제1출구(16)를 통해 상기 제1건조 탱크(1)를 빠져 나가게 된다.
상기 제1공간부(13)에는 복수의 세라믹 볼(3)이 배치되어 있다. 이 세라믹 볼(3)은 상기 제1공간부(13)로 유입된 열풍에 의해 요동하기에 충분한 부피 및 무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관(19)으로부터 유입된 열풍은 제1건조 탱크(1)의 측벽(18) 방향으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콘 베인(14)에 부딪힘에 따라 상기 제1공간부(13)에서 제1건조 탱크(1)의 측벽(18)의 내측 벽면을 따라 선회하는 선회류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콘 베인(14)은 열풍이 선회류를 형성하도록 도와줌과 동시에 열풍의 기류가 상승하도록 한다.
이 열풍의 선회류에 따라 상기 열풍과 동시에 제1공간부(13)로 투입된 원료 도 열풍과 같이 제1공간부(13)에서 선회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열풍의 선회류는 상기 제1공간부(13)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세라믹 볼(3)을 요동시키기 때문에 이 세라믹 볼(3)이 원료를 타격하여 분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공간부(13)로 투입된 함수율이 높은 원료는 상기 열풍에 의해 건조됨과 동시에 상기 세라믹 볼(3)에 의해 분쇄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볼(3)은 건조된 원료에 비하여 그 비중량이 약 2,200~3,000배 정도가 크다. 이 때문에 상기 제1공간부(13) 내에서 열풍에 의해 발생하는 선회류에 의한 원심력도 건조된 원료에 비해 훨씬 더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세라믹 볼(3)은 그 자체에 걸리는 막대한 원심력 때문에 항상 제1건조 탱크(1)의 내측 벽면, 즉, 측벽(18)을 따라서 유동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원료는 투입 초기에는 입경이 클 뿐 아니라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세라믹 볼(3)과 함께 상기 제1건조 탱크(1)의 내측 벽면을 따라서 선회를 하지만, 세라믹 볼(3)과의 충돌에 의한 분쇄 및 열풍에 의한 건조로 인하여 입자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그 비중량도 감소하게 된다.
한편, 제1공간부(13)로 계속 유입되는 열풍은 일단 제1건조 탱크(1)의 내측 벽면을 따라서 선회를 한 후에 제1공간부(13) 하부 중앙에 위치한 원추형인 콘 베인(14)을 감아 돌면서 상승해 제1출구(16)를 통해 제1건조 탱크(1) 밖으로 배출된다.
이 때, 건조 및 분쇄된 원료인 미립자 분체는 상기 세라믹 볼(3)과 건조가 덜 된 원료인 대입자 분체보다 비중량이 상대적으로 작아, 상기 상승기류를 타고 상기 제1건조 탱크(1) 밖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건조 과정에서 제1건조 탱크(1)의 내부 벽면에 부착되는 스케일은 세라믹 볼(3)의 선회 운동 시에 발생하는 마찰에 의하여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1공간부(13)로 유입된 원료와 세라믹 볼(3)이 보다 효과적으로 충돌을 일으킬 수 있도록 상기 제1공간부(13)에는 기류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가이드 베인(15)을 설치한다.
이 가이드 베인(15)은 제1건조 탱크(1)의 제1공간부(13)를 향한 측벽(18)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데, 제1건조 탱크(1)의 측벽면 형상에 맞추어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건조 탱크(1)의 측벽(18) 외부에는 상기 가이드 베인(15)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 조절기(16)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기(16)는 상기 가이드 베인(15)의 중간 지점에 연결되어 이를 중심으로 가이드 베인(15)이 소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수동식 손잡이를 구비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며, 별도의 구동 장치에 연결하여 자동으로 가이드 베인(15)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건조 탱크(1)의 제1출구(16)에는 제2건조 탱크(2)의 입구(22)가 상호 밀봉적으로 연결된다. 제2건조 탱크(2)는 내측에 제2공간부(21)를 구비하며, 이 제2공간부(21)는 상기 제1출구(16)를 통해 상기 제1공간부(13)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2건조 탱크(2)에는 제2출구(23)가 설치된다. 이 제2출구(23)를 통해 상기 제2공간부(21)로 유입된 열풍과 미립자 분체가 토출된다.
상기 제2공간부(21)는 제2건조 탱크(2)로 유입된 고온의 열풍과 미립자 분체 가 일정 정도의 와류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정도의 부피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미립자 분체는 제2공간부(21) 내에서 완전히 건조되어 제2출구(2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출구(23)는 상기 제2공간부(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입구(22)에 대향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출구(16)를 통해 제2공간부(21)로 유입된 미립자 분체인 원료가 곧바로 제2출구(23)를 통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세라믹 볼(3)이 제2공간부(21)로 유입될 경우에도 이 세라믹 볼(3)이 제2출구(23)를 통해 제2건조 탱크(2) 밖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따른 건조 장치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연소기(5), 제1건조 탱크(1'), 제2건조 탱크(2') 및 세라믹 볼(3)을 포함한다.
연소기(5)는 전술한 도 1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건조 탱크(1')는 원판이 세워진 형태의 누워진 드럼 형상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내부에 제1공간부(13')가 설치된다.
상기 제1건조 탱크(1')는 상기 연소기에 연결되어 열풍이 유입되는 열풍 유입구(11'), 원료가 투입되는 원료 투입구(12')를 구비한다. 상기 열풍 유입구(11') 및 원료 투입구(12')는 상기 제1공간부(13')를 향해 개방되며, 열풍이 제1공간 부(13')의 저면을 향해 분사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제1공간부(13')의 상부는 개구되어 제1출구(16')를 형성한다.
상기 제1공간부(13')에는 복수의 세라믹 볼(3)이 위치한다.
제2건조 탱크(2')는 상기 제1출구(16')에 밀봉 결합되는 입구(22')와, 내부의 제2공간부(21')와, 상기 제2공간부(21')로부터 개방된 제2출구(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건조 탱크(2')는 상기 제2공간부(21')에 설치되고 상기 제1출구(16')로부터 상기 제2출구(23')까지의 열풍의 기류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비된 제1분리벽(24') 및 제2분리벽(25')을 포함한다.
상기 제1분리벽(24')은 그 일단이 상기 입구(22') 부근까지 연장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이 제1분리벽(24')의 일단에 의해 상기 입구(22')는 제1입구(22a') 및 제2입구(22b')로 나뉘어 지고 상기 제2공간부(21')도 제2-1공간부(21a')와 제2-2공간부(21b')로 구획된다. 이 때 상기 제1분리벽(24')의 타단은 제2건조 탱크(2')의 상부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1공간부(21a')와 제2-2공간부(21b')는 상부에서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1입구(22a')의 횡단면적(W1)은 제2입구(22b')의 횡단면적(W2)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한다.
제1건조 탱크(1')에서 1차로 건조 및 분쇄된 원료의 분체는 이러한 제2건조 탱크(2')로 유입되어 최종 건조된다.
이 때, 열풍과 분체의 혼합류는 횡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제1입구(22a')를 통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인 제2-1공간부(21a')로 제2-2공간부(21b')보다 많은 양 이 유입되고, 제2-2공간부(21b')로는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은 것과 열풍이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2공간부(21b')에는 제2분리벽(25')이 더 배치될 수 있는 데, 이 제2분리벽(25')은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제2건조 탱크(2')의 상부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그 일단이 제2입구(22b')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2분리벽(25')은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1분리벽(24')만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상기 분체는 제1건조 탱크(1')보다 제2건조 탱크(2')의 제2-1공간부(21a')에서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려지는 데, 이 제2-1공간부(21a')의 상부에서 공간이 넓어짐에 따라 속도가 더욱 떨어지게 된다. 또한, 분체는 제2분리벽(25')에 가로막혀 제2-2공간부(21b')로 떨어지게 되고, 이 중 미분말로 분쇄된 분체는 제2출구(23') 방향으로 상승되어 빠져나가게 된다.
한편, 상대적으로 입경이 크고 건조가 덜 된 분체는 제2-1공간부(21a') 내에서 반복적으로 오르내리면서 건조가 이루어지며, 제2-1공간부(21a')로 일부 유입된 세라믹 볼(3)에 의해 분쇄도 진행될 수 있다.
제2-2공간부(21b')로 넘어간 분체의 경우에도 입경이 클 경우에는 제2입구(22b')를 통해 다시 제1건조 탱크(1')로 유입되어 건조 및 분쇄가 이뤄질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2건조 탱크(2')의 분리벽 구조로 인하여 분체의 건조율 및 분쇄율은 매우 높아질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제1건조 탱크(1)에 도 2에 도시된 제2건조 탱크(2')의 구조가 결합된 것이다. 각각의 구조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제1건조 탱크(1)의 구조로 인하여 함수 원료의 건조와 분쇄가 동시에 이뤄질 수 있다. 또, 콘 베인(14)에 의한 선회류의 형성에 의해 함수 원료의 건조 효율과 분쇄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이드 베인(15)에 의해 선회류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어 건조 및 분쇄 효율의 조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2건조 탱크(2')의 구조로 인하여 함수 원료의 2차적 분쇄 및 건조가 더욱 높은 수준으로 이뤄질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건조장치에 있어서, 제2출구(23')에 싸이클론(4)이 더 연결되어 있다. 상기 싸이클론(4)은 원료 분체와 열풍인 가스를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그 상부 입구(41)가 제2건조 탱크(2')의 제2출구(23')에 연결되어 있고, 상단 중앙부로는 열풍 가스가 빠져 나갈 수 있도록 열풍 배출구(43)가 마련되어 있다. 하단에는 원료 분체가 토출될 수 있도록 로타리 밸브(42)가 설치되고 이 로타리 밸브(42)를 거쳐 건조 및 분쇄된 원료 분체가 배출되어 저장된다.
한편, 열풍 배출구(43)에는 송풍기(44)가 연결되어 열풍 가스를 싸이클론(4) 외측으로 뽑아내 주고, 이 송풍기(44)의 출력단에는 분기 밸브(45)가 설치된다. 분기 밸브(45)는 송풍기(44)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제1출력단(46)은 외부에, 제2출력단(47)은 연소기(5)에 연결된다. 제1출력단(46)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양과 제2출력단(47)을 통해 연소기(5)로 공급되는 가스의 양은 4:6 정도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소기(5)의 종류의 용량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소기(5)는 LPG가스나 석유 등의 연료가 공급되는 연료 공급관(51)이 구비되어 있고 외기를 가열하는 것이 아니라 제2출력단(47)을 통해 공급된 폐열풍 가스를 다시 가열해 열풍을 생성하며 이를 제1건조 탱크(1)로 공급한다. 도 4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연소기(5)에는 송풍기가 구비되어 있거나 별도 설치되어 생성된 열풍을 제1건조 탱크(1)로 불어 넣어 준다.
이렇게 폐열풍 가스를 이용해 다시 가열하여 생성된 열풍은 고온 및 고습의 과열증기가 된다. 즉, 제2건조 탱크(2')로부터 토출되어 싸이클론(4)을 거쳐 분리된 폐열풍은 원료를 건조시킨 열풍에 더하여 원료에서 증발한 수분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 폐열풍에 연소기(5)의 가열 에너지를 가하여 과열증기화한 후 이를 다시 제1건조 탱크(1)로 공급해 원료의 건조에 사용한다. 이에 따라 외부로 방출되는 배기에 의한 열손실을 최소로 줄이게 하여 열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원료의 건조 속도도 현저히 빠르게 할 수 있다.
제1건조 탱크(1)로 유입되는 열풍의 온도가 대기압 하에서 포화온도(100℃) 보다 현저히 높을 경우, 습도가 높은 열풍이 전열계수가 크게 됨은 물론 원료의 건조 속도가 빠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더욱 높은 효율의 건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수분을 함유한 원료의 건조 및 분쇄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삭제

Claims (5)

  1. 열풍을 발생시켜 분사하는 연소기;
    상기 연소기에 연결되어 상기 열풍이 유입되는 열풍 유입구, 원료가 투입되는 원료 투입구, 상기 열풍 유입구 및 원료 투입구와 연결되어 열풍 및 원료가 공급되는 제1공간부, 상기 제1공간부의 저면에 구비된 원추형 콘 베인 및 상기 제1공간부로부터 개방된 제1출구를 포함하는 제1건조 탱크;
    상기 제1공간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세라믹 볼; 및
    상기 제1출구에 밀봉되도록 연통된 제2공간부 및 상기 제2공간부로부터 개방된 제2출구를 포함하는 제2건조 탱크;를 포함하는 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건조 탱크는, 상기 제1공간부를 향해 배치되고 상기 제1건조 탱크의 측벽면 형상에 대응되는 판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열풍의 기류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비된 가이드 베인을 더 포함하는 건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건조 탱크는, 상기 제2공간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공간부를 복수의 공간부로 구획하도록 판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출구로부터 상기 제2출구까지의 상기 열풍의 기류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비된 분리벽을 더 포함하는 건조 장치.
  4. 열풍을 발생시켜 분사하는 연소기;
    상기 연소기에 연결되어 상기 열풍이 유입되는 열풍 유입구, 원료가 투입되는 원료 투입구, 상기 열풍 유입구 및 원료 투입구와 연결되어 열풍 및 원료가 공급되는 제1공간부 및 상기 제1공간부로부터 개방된 제1출구를 포함하는 제1건조 탱크;
    상기 제1공간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세라믹 볼; 및
    상기 제1출구에 밀봉되도록 연통된 제2공간부, 상기 제1출구와 대향되고 상기 제2공간부로부터 개방된 제2출구, 및 상기 제2공간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공간부를 복수의 공간부로 구획하도록 판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출구로부터 상기 제2출구까지의 상기 열풍의 기류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비된 분리벽을 포함하는 제2건조 탱크;를 포함하는 건조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출구 및 상기 연소기에 연결된 분기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기 밸브는 상기 제2출구로부터 토출된 열풍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연소기로 공급하는 건조 장치.
KR1020090038728A 2009-05-01 2009-05-01 건조 장치 KR100938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728A KR100938904B1 (ko) 2009-05-01 2009-05-01 건조 장치
JP2011553964A JP5335939B2 (ja) 2009-05-01 2010-04-16 乾燥装置
PCT/KR2010/002372 WO2010126244A2 (ko) 2009-05-01 2010-04-16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728A KR100938904B1 (ko) 2009-05-01 2009-05-01 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8904B1 true KR100938904B1 (ko) 2010-01-27

Family

ID=41810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728A KR100938904B1 (ko) 2009-05-01 2009-05-01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35939B2 (ko)
KR (1) KR100938904B1 (ko)
WO (1) WO201012624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46572B2 (ja) 2021-07-07 2024-03-11 Astra Food Plan株式会社 加熱処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6913A (ja) 1981-12-02 1983-06-09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流動層奈燃焼装置の固体燃料供給方法
JPH0693273A (ja) * 1991-12-03 1994-04-05 A Ahlstroem Oy 固体炭素質材料をガス化もしくは燃焼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JPH1135949A (ja) 1997-07-23 1999-02-09 Ube Ind Ltd 廃棄物のガス化処理装置および炉壁セルフコーティング方法
KR20030019364A (ko) * 2000-07-05 2003-03-06 닛폰 고칸 가부시키가이샤 폐기물 소각로 및 그 조업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0088U (ko) * 1984-09-27 1986-04-23
JP3182627B2 (ja) * 1992-09-28 2001-07-03 株式会社 エム・テック 豆腐殻乾燥装置
JP4125459B2 (ja) * 1999-11-08 2008-07-30 信夫 大和 旋回気流式乾燥機
JP4196018B2 (ja) * 2002-06-14 2008-12-17 敬二 原 粉体乾燥機および粉体乾燥装置
JP2005308270A (ja) * 2004-04-20 2005-11-04 Marumi:Kk 高含水率物質の乾燥方法
JP2008045865A (ja) * 2006-08-21 2008-02-28 Iseki & Co Ltd 穀粒乾燥装置
JP5102498B2 (ja) * 2007-01-19 2012-12-19 株式会社大和三光製作所 ロータリー乾燥方法およ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6913A (ja) 1981-12-02 1983-06-09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流動層奈燃焼装置の固体燃料供給方法
JPH0693273A (ja) * 1991-12-03 1994-04-05 A Ahlstroem Oy 固体炭素質材料をガス化もしくは燃焼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JPH1135949A (ja) 1997-07-23 1999-02-09 Ube Ind Ltd 廃棄物のガス化処理装置および炉壁セルフコーティング方法
KR20030019364A (ko) * 2000-07-05 2003-03-06 닛폰 고칸 가부시키가이샤 폐기물 소각로 및 그 조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26244A2 (ko) 2010-11-04
WO2010126244A3 (ko) 2011-03-24
JP5335939B2 (ja) 2013-11-06
JP2012520438A (ja) 201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2264A (en) Jet-type grinding systems for large particles
CN104677054A (zh) 倒置微波低温流化床干燥设备
WO2018232540A1 (es) Ciclon acelerador separador de particulas solidas
JP7221966B2 (ja) 乾燥ホッパおよびそのようなものを含む粉砕乾燥プラント
KR100938904B1 (ko) 건조 장치
CN107051273A (zh) 一种环保复合饲料制备系统
JP2021504136A (ja) 環状噴流流動層を備えた装置およびその操作方法
CN101520274A (zh) 塔式烘干机
KR101074130B1 (ko) 건조 장치
CN204034831U (zh) 一种cfb锅炉石灰石破碎制粉干燥系统
RU2290578C1 (ru) Способ сушк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и вихревой аппарат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2620551A (zh) 一种具有进料自动打散功能的气流干燥机
CN205198995U (zh) 用于固体饮料生产的喷雾干燥机
CN205048883U (zh) 组合式喷雾流化干燥机
KR100966736B1 (ko) 자동 선회 와류형 반건식 반응장치
KR100887175B1 (ko) 맥동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Wu Pulse combustion drying
JP2007303716A (ja) 乾燥装置
US3533610A (en) Apparatus for the heat treatment of comminuted material
CN212327431U (zh) 一种空气能雾化倒喷干燥设备
CN207708548U (zh) 一种生产天然色素的喷雾干燥塔
RU223751U1 (ru) Распылительная сушилка
RU172250U1 (ru) Вихревая камера для тепловой обработки измельченного бурого угля
CN201724529U (zh) 塔式烘干机
CN211823763U (zh) 一种湿法研磨超细碳酸钙热空气回收干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