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3278B1 -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3278B1
KR101073278B1 KR1020090011067A KR20090011067A KR101073278B1 KR 101073278 B1 KR101073278 B1 KR 101073278B1 KR 1020090011067 A KR1020090011067 A KR 1020090011067A KR 20090011067 A KR20090011067 A KR 20090011067A KR 101073278 B1 KR101073278 B1 KR 101073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irror
total reflection
frame
ligh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1735A (ko
Inventor
이영수
Original Assignee
이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수 filed Critical 이영수
Priority to KR1020090011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278B1/ko
Publication of KR20100091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60Q3/53Modular mounting systems, e.g. using tracks, rails or multiple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시에 미러로 기능 하다가 조명시에는 입체적인 조명이 가능하며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기판에 다수의 LED 램프가 배열되어 있는 LED 램프 모듈; 상기 배열된 LED 램프를 실장하기 위한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전반사 미러; 상기 LED 램프에서 방사되는 빛을 일부는 전방으로 투과시키고 일부는 후방의 전반사 미러측으로 반사시키는 하프 미러; 및 상기 전반사 미러와 상기 하프 미러를 실장하여 고정하기 위한 실장홀과 차량에 부착하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거울로 기능하다가 상기 LED 램프들이 점등되면 상기 LED 램프에서 방사되는 빛이 상기 하프 미러와 상기 전반사 미러 사이에서 반복하여 반사되어 입체적인 조명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차량 실내등, 조명등, 전반사 미러, 하프 미러, LED 모듈

Description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ROOM ILLUMINATOR FOR CARS}
본 발명은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미러로 기능하다가 조명시에는 입체적인 조명이 가능하며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실내조명을 위한 실내등이 차량의 루프 중앙이나 전면에 기본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차량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실내등은 차종에 따라 크기가 다를 수 있으나 기본적인 형상 및 기능이 매우 단순하여 단조로운 느낌이 있다.
한편, 차량 소유주는 자신만의 고유한 개성을 연출하고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차량용 실내등과 별도로 보조 조명장치(속칭 무드등)를 부착하는 경우가 있는데, 종래의 차량용 조명장치는 다양한 색상의 단순한 램프로 이루어져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평상시에는 미러로 기능하다가 조명시에는 입체적인 조명이 가능하고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은, 기판에 다수의 LED 램프가 배열되어 있는 LED 램프 모듈; 상기 배열된 LED 램프를 실장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전반사 미러; 상기 LED 램프에서 방사되는 빛을 일부는 전방으로 투과시키고 일부는 후방의 전반사 미러측으로 반사시키는 하프 미러; 및 상기 전반사 미러와 상기 하프 미러를 실장하여 고정하기 위한 실장홀과 차량에 부착하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거울로 기능하다가 상기 LED 램프들이 점등되면 상기 LED 램프에서 방사되는 빛이 상기 하프 미러와 상기 전반사 미러 사이에서 반복하여 반사되어 입체적인 조명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체결부를 덮어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美觀)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체결 부 커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기본 프레임; 서로 다른 크기의 실내등을 상기 기본 프레임과 매칭시켜 상기 기본 프레임을 상기 실내등과 함께 차량에 장착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 프레임; 및 상기 기본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고 제 1 조명부를 실장하기 위한 제 1 관통홀이 형성된 날개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관통홀에는 기판에 다수의 LED 램프가 배열되어 있는 LED 램프 모듈과, 상기 배열된 LED 램프를 실장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전반사 미러와, 상기 LED 램프에서 방사되는 빛을 일부는 전방으로 투과시키고 일부는 후방의 전반사 미러측으로 반사시키는 하프 미러가 실장되어 메인 조명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조명부는 상하좌우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고, 상기 날개 프레임에는 제 2 조명 부를 실장하기 위한 제 2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관통 홀에는 속에 물방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재질의 반구형 돔과, 링형 기판에 LED 램프들이 링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링형 램프 모듈이 실장되어 보조 조명 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는 평상시에는 거울로 기능하다가 LED 램프들이 점등되면 LED 램프에서 방출되는 빛이 하프 미러와 전반사 미러 사이에서 반복하여 반사되어 입체적인 조명기능을 제공하고, 인터페이스 프레임을 이용하여 차종에 따라 크기가 다른 실내등에 대응해서 전체 프레임을 새로 제작할 필요가 없이 인터페이스 프레임만 차종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하여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렴하면서도 편리하게 차량에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1)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에 다수의 LED 램프(11a)가 배열되어 있는 LED 램프 모듈(11)과, 배열된 LED 램프(11a)를 실장하기 위한 관통홀(12a)이 형성되어 있는 전반사 미러(12)와, LED 램프(11a)에서 방사되는 빛을 일부는 전방으로 투과시키고 일부는 후방의 전반사 미러(12)측으로 반사시키는 하프 미러(13)와, 전반사 미러(12)와 하프 미러(13)를 실장하여 고정하기 위한 실장홀과 차량에 부착하기 위한 체결부(14a)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14)과, 체결부분을 감춰 미관을 개선하는 체결부 커버(15)로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거울로 기능하다가 LED 램프들(11a)이 점등되면 LED 램프(11a)에서 방사되는 빛이 하프 미러(13)와 전반사 미러(12) 사이에서 반복하여 반사되어 입체적인 조명기능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의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1)는 2줄로 LED 램프(11a)들이 배열되도록 되어 있어 전반사 미러(12)에는 LED 램프(11a)를 실장하기 위한 관통홀(12a)들이 2줄로 형성되어 있고, 2개 LED모듈(11)의 LED들(11a)이 2줄의 관통홀(12a)에 각각 삽입된 채로 LED모듈(11)과 전반사 미러(12) 및 하프 미러(13)가 프레임(14)에 실장되어 하나의 조립체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제 1 실시예의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1)는 체결부(14a)를 통해 나사 등으로 차량의 루프나 측벽 등에 체결된 후 체결부 커버(15)로 체결부위를 감춰 미려하게 차량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4)에는 금속테와 같은 다양한 무늬의 장식(14b)이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의 배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보조 조명부의 상세도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메인 조명부의 상세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메인 조명부의 광학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1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와, 체결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온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능을 제공하는 제 1 조명 부와, 체결 부의 타 측에 연결되어 온(On) 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능을 제공하는 제 2 조명 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크게 3개 부분으로 분리되어 각 부를 형성하는 프레임을 각각 분리하여 제작한 후 하나로 조립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유연한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10)는 이미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등 체결구조를 이용하여 실내등(20)과 함께 차량의 루프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를 위하여 제 2 실시 예의 체결 부는 조명 부의 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기본 프레임(104)과, 서로 다른 크기의 실내등(20)을 기본 프레임(104)과 매칭시켜 기본 프레임(104)을 실내등(20)과 함께 차량에 장착시키는 인터페이스 프레임(102)으로 구성된다. 통상 실내등(20)에는 램프를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22)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인터페이스 프레임(102)을 이용하므로 차종에 따라 크기가 다른 실내등(20)에 대응해서 전체 프레임을 새로 제작할 필요가 없이 인터페이스 프레임(102)만 차종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하여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10)를 저렴하면서도 편리하게 차량에 장착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조명부와 제 2 조명부는 체결부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는 구조로 동일한 형상의 날개 프레임(106,108)과, 메인 조명부(110), 및 보조 조명부(120)로 구성된다.
각 날개 프레임(106,108)에는 직사각형상의 메인 조명부(110)를 위한 제 1 관통홀(106a,108a)과, 원형의 보조 조명부(120)를 위한 제 2 관통홀(106b,108b)과, 체결부의 기본 프레임(104)과 나사(107)로 결합되는 지지부(106c,108c)와, 미관을 개선하기 위한 금속테 형식의 장식(106d,108d)과, 날개 프레임의 단부를 차량에 체결하기 위한 보조 체결부(106e,108e)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날개 프레임(106,108)은 보조 체결부(106e,108e)를 통해 나사 등으로 차량에 체결된 후에 체결부 커버(109)로 덮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예의 조명장치(10)는 중앙의 체결부에서 차량의 실내등 장착구조를 이용하여 차량에 장착함과 아울러 양측 날개 프레임(106,108)에 형성된 보조 체결부(106e,108e)를 통해 다시 차량에 이중으로 체결할 수 있어 보다 탄탄한 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보조 조명부(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에 물방울 패턴(124a)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재질의 반구형 돔(124)과, 링형 기판에 LED 램프(122a)들이 링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링형 램프모듈(122)로 이루어져 램프모듈(122)과 반구형 돔(124)이 날개 프레임(106,108)의 관통홀(106b,108b)에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조명 부(1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램프(112a)들이 기판에 일렬로 배열된 바형 램프 모듈(112)과, 배열된 LED 램프(112a)에 대응하는 관통홀(114a)이 형성된 직사각형 모양의 전반사 미러(114)와, 직사각형 평판의 하프 미러(116)로 구성되어 바형 램프모듈(112)이 전반사 미러(114)와 결합된 후 전반사 미러(114)와 하프 미러(116)가 날개 프레임의 관통홀(106b,108b)에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메인 조명부(11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도조절기구나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 혹은 수동 조작으로 상,하,좌,우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메인 조명부(110)는 LED 램프(112a)들이 점등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램프(112a)에서 방출된 빛이 일부는 하프 미러(116)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방출되나 일부는 후방으로 반사되어 전반사 미러(114)와 하프 미러(116) 사이에서 무수히 반사되어 전방에서 바라 볼 경우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적인 조명으로 보여진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LED 램프(112a)에서 방출된 빛은 하프 미러(116)에서 일부는 투과되나 일부는 전반사 미러(114)측으로 반사된 후 다시 하프 미러(116)에서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다시 전반사 미러(114)측으로 반사되어 LED 램프들에 대한 무수히 많은 상(112a',112a",...)을 생성하여 전면에서 바라볼 경우에 무수히 많은 LED 램프들(112a)이 입체적으로 배열되어 조명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10)는 차량에 부착된 후에 조명등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거울로서 동작하다가 LED 램프(112a)가 점등되면 입체적인 조명을 통해 미려한 조명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의 조명장치(10)는 메인 조명부(110)와 함께 보조 조명부(120)가 반구형으로 부드러운 분위기를 연출하여 보다 화려하고 미려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의 배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보조 조명 부의 상세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메인 조명 부의 상세도,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메인 조명부의 광학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자동차용 실내 조명장치 11,112: LED모듈
12,114: 전반사 미러 13,116: 하프 미러
102: 인터페이스 프레임 104: 기본 프레임
106,108: 날개 프레임 110: 메인 조명부
120: 보조 조명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기본 프레임;
    서로 다른 크기의 실내등을 상기 기본 프레임과 매칭시켜 상기 기본 프레임을 상기 실내등과 함께 차량에 장착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 프레임; 및
    상기 기본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고 제 1 조명 부를 실장하기 위한 제 1 관통 홀이 형성된 날개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관통 홀에는
    기판에 다수의 LED 램프가 배열되어 있는 LED 램프 모듈과, 상기 배열된 LED 램프를 실장하기 위한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전반사 미러와, 상기 LED 램프에서 방사되는 빛을 일부는 전방으로 투과시키고 일부는 후방의 전반사 미러측으로 반사시키는 하프 미러가 실장되어 메인 조명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조명 부는 상하좌우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프레임에는 제 2 조명 부를 실장하기 위한 제 2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관통 홀에는 속에 물방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재질의 반구형 돔과, 링형 기판에 LED 램프들이 링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링형 램프모듈이 실장되어 보조 조명 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프레임의 단 부에는 차량과 체결하기 위한 보조 체결 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 체결 부는 체결 부 커버로 덮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
  7. 삭제
KR1020090011067A 2009-02-11 2009-02-11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 KR101073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067A KR101073278B1 (ko) 2009-02-11 2009-02-11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067A KR101073278B1 (ko) 2009-02-11 2009-02-11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735A KR20100091735A (ko) 2010-08-19
KR101073278B1 true KR101073278B1 (ko) 2011-10-12

Family

ID=42756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067A KR101073278B1 (ko) 2009-02-11 2009-02-11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2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2755A (ko) 2021-03-24 2022-10-04 김정은 차량 대쉬보드용 3차원 실내 무드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663B1 (ko) * 2011-01-25 2012-02-14 이채영 거울겸용 발광표시장치
JP2018049191A (ja) * 2016-09-23 2018-03-29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9660A (ja) 2003-05-19 2004-12-09 Tryaz Co Ltd 側面発光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9660A (ja) 2003-05-19 2004-12-09 Tryaz Co Ltd 側面発光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2755A (ko) 2021-03-24 2022-10-04 김정은 차량 대쉬보드용 3차원 실내 무드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735A (ko)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001710A (ja) サイドミラーカバー並びにサイドミラー本体及びこれらに用いられるランプ
CN210069734U (zh) 一种用于车灯的光学系统及一种尾灯
CN210069733U (zh) 一种用于车灯的光学系统及一种尾灯
KR101073278B1 (ko)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
JP6065697B2 (ja) 車両用照明装置、及び車両用照明システム
KR200412764Y1 (ko) 난반사면에 의한 후광 기능을 갖는 천정용 조명등
KR100697181B1 (ko) 난반사면에 의한 후광 기능을 갖는 천정용 조명등
CN201688283U (zh) 汽车后视镜发光装置
CN208312244U (zh) Led汽车尾灯
KR100898415B1 (ko) 엘이디와 크리스탈 반사체에 의한 부분 장식 조명부를 갖는천정 직착등
TWM513961U (zh) 車燈
JP2009096388A (ja) 車両用室内照明器具及び車両用室内照明構造
KR20090024853A (ko) 차량의 인테리어 조명장치
US10670258B2 (en) Illuminated mirror
KR200489872Y1 (ko) Led 조명등
JP3214613U (ja) 車両発光アセンブリ
CN208504258U (zh) 一种紧凑型汽车前组合灯
KR101673570B1 (ko) 다양한 색상과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
CN217482616U (zh) 一种筒灯
JP3194256U (ja) 組み立てフレーム
CN216010693U (zh) 一种车灯结构
CA3062548A1 (en) Illuminated mirror
CN212624697U (zh) 一种灯箱
CN210337420U (zh) 一种艺术灯
KR100790196B1 (ko) 가로등 보조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