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755A - 차량 대쉬보드용 3차원 실내 무드등 - Google Patents

차량 대쉬보드용 3차원 실내 무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755A
KR20220132755A KR1020210037682A KR20210037682A KR20220132755A KR 20220132755 A KR20220132755 A KR 20220132755A KR 1020210037682 A KR1020210037682 A KR 1020210037682A KR 20210037682 A KR20210037682 A KR 20210037682A KR 20220132755 A KR20220132755 A KR 20220132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ase
plate
light source
vehicle dash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은
Original Assignee
김정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은 filed Critical 김정은
Priority to KR1020210037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2755A/ko
Publication of KR20220132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7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5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interior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대쉬보드용 3차원 실내 무드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이동하면서 발광하는 광원이 반투과판과 반사판 사이에서 무한 반사 효과로 인해 맺히는 무한 개의 상이 시각적으로 빛의 깊은 공간감을 주는 3차원적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어 다채로운 빛의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차량 대쉬보드용 3차원 실내 무드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대쉬보드용 3차원 실내 무드등 {3D interior mood lamp for vehicle dashboard}
본 발명은 차량 대쉬보드용 3차원 실내 무드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이동하면서 발산하는 빛이 반투과판과 반사판 사이에서 무한 반사되어 시각적으로 빛의 깊은 공간감을 주는 3차원적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어 다채로운 빛의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차량 대쉬보드용 3차원 실내 무드등에 관한 것이다.
주간 주행과 대비하여 야간 주행시 운전자들은 시야가 좁아짐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해 야간 주행시 필요한 조명들과 필수 조명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조명들이 설치되어 운전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운전자의 편의 및 안내를 위한 조명뿐만 아니라 차량 튜닝에 대한 관심이 많은 운전자들이 각자의 취향에 따라 차량용 대쉬보드에 인테리어 효과를 줄 수 있는 차량용 실내 무드등을 설치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차량용 대쉬보드란 자동차 실내에서 핸들을 제외한 전면에 있는 집합체를 의미하며, 차량용 실내 무드등이 설치될 부분의 위치와 공간에 맞게 실내 무드등의 구성이 다양하게 제작된다.
한편, 종래의 차량용 실내 무드등은 2차원으로 빛이 구현되어 형상이나 효과가 움직임이 없고 정적이며 한정적 이미지만 표현할 수 있어 단순하고 단조로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복수 개의 LED를 설치하여 각각의 제어를 통해 빛의 다채로운 효과를 주려고 하였으나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실내 무드등은 생산 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소한의 LED를 이용하여 3차원적 입체 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실내 무드등의 제작 및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 대쉬보드용 3차원 실내 무드등을 필요로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0796호(2014.05.29.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3278호(2011.10.12.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최소한의 LED에서 발산하는 빛을 무한 반사 시켜 시각적으로 3차원적 입체감을 연출할 수 있으며 차량용 실내 무드등의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 대쉬보드용 3차원 실내 무드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빛을 발산하며 이동할 수 있는 광원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광원부에서 발산된 빛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남은 일부는 반사시키는 반투과판; 및 상기 케이스의 내측 타면에 설치되어 반투과판에서 반사되어 입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부가 이동하면서 발산하는 빛이 상기 반투과판과 상기 반사판 사이에서 무한 반사되되, 상기 반사판으로부터 반사된 빛이 상기 반투과판에 입사되어 투영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는 접촉판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접촉판은 변형이 용이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케이스의 수용 공간에 형성되어 다양한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트랙; 및 빛을 발산하는 LED와 상기 LED가 결합되며 상기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장치와 상기 LED 및 상기 이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광원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빛이 입사되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곡면의 곡률에 따라 상기 반투과판에 투영된 이미지들 간의 간격이 달라진다.
본 발명의 차량 대쉬보드용 3차원 실내 무드등에 따르면, 빛을 발산하는 LED를 이동시키면서 LED에서 발산된 빛을 무한 반사 시켜 3차원적 입체 효과로 깊은 공간감을 구현할 수 있고 종래의 실내 무드등에는 복수 개의 LED를 이용하여 다채로운 빛의 효과를 구현하였으나 최소한의 LED를 이동시키면서 다양한 빛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어 차량용 실내 무드등의 제작 및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대쉬보드용 3D 실내 무드등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대쉬보드용 3D 실내 무드등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가 이동하는 위치에 따라 반투과판에 투영되는 이미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대쉬보드용 3D 실내 무드등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대쉬보드용 3D 실내 무드등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 대쉬보드용 3차원 실내 무드등은 발산되는 빛을 무한 반사시켜 시각적으로 3차원적 입체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실내 무드등으로, 케이스(100), 광원부(200), 반투과판(300), 및 반사판(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0)는 일면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지고 제작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상기 차량용 대쉬보드에서 실내 무드등이 설치될 부분의 형상에 맞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외측면과 내측면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케이스(100)의 외측면은 상기 차량용 대쉬보드와 유사한 색상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으로 도색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면은 채도가 낮은 색상으로 도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0)의 외측면은 차량용 대쉬보드와의 이질감을 줄이거나 인테리어 효과를 줄 수 있고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수용 공간은 어둡게 형성될 수 있어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발산된 빛이 밝고 선명하게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는 차량용 대쉬보드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차량용 대쉬보드와의 이질감을 줄일 수 있어 다양한 차량용 실내 무드등의 설치로 복잡해지는 미관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일면을 제외한 외측면에는 차량용 대쉬보드와 접촉하여 결합할 수 있는 접촉판(1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판(110)은 차량용 대쉬보드와 접촉하는 면에 따라 변형이 용이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질 수 있으나, 그 재질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에도 변형이 용이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접촉판(110)은 상기 차량용 대쉬보드와 접촉하여 결합되는 공간에 맞게 성형될 수 있어 상기 차량용 대쉬보드와 접촉하는 부위에 완전히 밀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20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의 수용 공간에서 이동하면서 빛을 발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트랙(210)과 광원모듈(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트랙(210)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의 수용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모듈(220)의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트랙(210)은 빛을 이용하여 연출하고자 하는 이미지 형상에 따라 다양한 이동경로를 가지고 설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2와 같이 상기 트랙(210)은 상기 케이스(100)의 형상에 따라 형성될 수 있어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광원모듈(220)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광원모듈(220)은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 공간 내에서 빛을 발산하며 이동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LED(221) 및 이동장치(2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LED(221)는 빛을 발산하는 장치로서, 다양한 색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221)는 회전하거나 특정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장치(222)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221)는 단일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222)는 상기 트랙(210) 상에 장착되어 상기 트랙(210)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광원모듈(220)은 상기 LED(221)와 상기 이동 장치(222)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LED(221)에서 발산하는 빛의 색상 변화와 상기 LED(221)의 동작 및 상기 이동장치(222)의 이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LED(221)는 음악이나 온도에 따른 빛의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여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고 상기 LED(221)가 회전하거나 특정 동작을 함으로서 풍성한 빛의 효과를 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장치(222)의 설정된 이동속도로 인해 빛의 다양한 패턴 및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장치(222) 내에 설치되거나 상기 케이스(100)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투과판(300)은 상기 케이스(100)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200)로부터 입사된 빛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남은 일부는 반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반투과판(300)은 연출하고자 하는 빛의 효과에 따라 다양한 범위의 투과율과 반사율을 가지고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400)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타면에 설치되며, 상기 반투과판(300)에서 반사되어 입사된 빛을 상기 반투과판(300)으로 재반사시킨다.
또한, 상기 반사판(400)은 빛을 입사받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곡면의 곡률에 따라 각 위치로 입사된 빛의 반사각이 각각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들로 인해 상기 LED(221)에서 상기 반투과판(300)으로 입사된 빛이 상기 반투과판(300)과 상기 반사판(400) 사이에서 무한 반사되어 상기 반투과판(300)에 투영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가 이동하는 위치에 따라 투영된 이미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상기 광원모듈(220)이 상기 트랙(210)을 따라 이동해서 위치한 상기 광원모듈(220)의 각 지점(A,B,C)을 예로 보여주는 그림이며, (b)는 (a)에서 표현된 각 지점(A,B,C)마다 상기 반투과판(300)에 투영된 이미지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광원모듈(220)에서 발산된 빛이 상기 반투과판(300)과 상기 반사판(400) 사이에서 무한 반사되어 상기 반투과판(300)에서 일부 투과된 빛이 상기 반투과판(300)에 투영되어 각 지점(A,B,C)에서 무한 개의 이미지(A1, A2, A3, A4, ... An / B1, B2, B3, B4, ... Bn / C1, C2, C3, C4, ... Cn)로 구현됨을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무한 개의 이미지(A1, A2, A3, A4, ... An / B1, B2, B3, B4, ... Bn / C1, C2, C3, C4, ... Cn)는 빛이 n차 반사되어 투과됨에 따라 상기 반투과판의 중앙을 향하여 투영된 이미지의 밝기와 크기가 점차 작아진다.
여기서, 상기 반투과판(300)이 투과율보다 반사율이 낮을 경우 서로 이웃하는 투영된 이미지 간의 밝기 차이가 크고 투과율보다 반사율이 높을 경우 서로 이웃하는 투영된 이미지 간의 밝기 차이가 적기 때문에 빛이 부드럽게 옅어지는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판(400)에서 빛이 입사하는 면이 평면일 경우 상기 반투과판(300)에 상기 무한 개의 이미지(A1, A2, A3, A4, ... An / B1, B2, B3, B4, ... Bn / C1, C2, C3, C4, ... Cn)가 균일한 간격을 가지고 투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400)에서 빛이 입사되는 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곡면의 곡률이 클수록 빛의 반사각이 작아지기 때문에 상기 반투과판(300)에 투영된 무한 개의 이미지(A1, A2, A3, A4, ... An / B1, B2, B3, B4, ... Bn / C1, C2, C3, C4, ... Cn) 사이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고 상기 곡면의 곡률이 작을수록 반사각이 커지기 때문에 상기 반투과판(300)에 투영된 무한 개의 이미지(A1, A2, A3, A4, ... An / B1, B2, B3, B4, ... Bn / C1, C2, C3, C4, ... Cn) 사이의 간격이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반투과판(300)으로 투영된 이미지가 중앙을 향하여 점차 희미해지며, 이로 인해 빛이 점차 깊어지는 효과를 주어 3차원적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고 상기 반사판(400) 곡면의 각 위치마다 다양한 곡률이 주어질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3차원 효과를 연출할 수 있어 심미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소한의 LED를 사용하여 다채로운 빛의 효과를 연출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케이스 200 : 광원부
210 : 트랙 220 : 광원모듈
221 : LED 222 : 이동장치
300 : 반투과판 400 : 반사판

Claims (4)

  1. 일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빛을 발산하며 이동하는 광원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광원부에서 발산된 빛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남은 일부는 반사시키는 반투과판; 및
    상기 케이스의 내측 타면에 설치되어 상기 반투과판에서 반사되어 입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부가 이동하면서 발산하는 빛이 상기 반투과판과 상기 반사판 사이에서 무한 반사되되, 상기 반사판으로부터 반사된 빛이 상기 반투과판에 입사되어 투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대쉬보드용 3차원 실내 무드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는 접촉판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접촉판은 변형이 용이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대쉬보드용 3차원 실내 무드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케이스의 수용 공간에 형성되어 다양한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트랙; 및
    빛을 발산하는 LED와 상기 LED가 결합되며 상기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장치 및 상기 LED와 상기 이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광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대쉬보드용 3차원 실내 무드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빛이 입사되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곡면의 곡률에 따라 상기 반투과판에 투영된 이미지들 간의 간격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대쉬보드용 3차원 실내 무드등
KR1020210037682A 2021-03-24 2021-03-24 차량 대쉬보드용 3차원 실내 무드등 KR202201327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682A KR20220132755A (ko) 2021-03-24 2021-03-24 차량 대쉬보드용 3차원 실내 무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682A KR20220132755A (ko) 2021-03-24 2021-03-24 차량 대쉬보드용 3차원 실내 무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755A true KR20220132755A (ko) 2022-10-04

Family

ID=83600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682A KR20220132755A (ko) 2021-03-24 2021-03-24 차량 대쉬보드용 3차원 실내 무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275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278B1 (ko) 2009-02-11 2011-10-12 이영수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
KR101400796B1 (ko) 2013-11-15 2014-05-29 서동신 차량용 무드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278B1 (ko) 2009-02-11 2011-10-12 이영수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
KR101400796B1 (ko) 2013-11-15 2014-05-29 서동신 차량용 무드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3004B2 (en) Headlamp with backlit side bezel signature image
US7494256B1 (en) Illuminated instrument cluster with perceived 3-D display segments
US20150360605A1 (en) Vehicle visor vanity light and actuator assembly
KR101684117B1 (ko) 차량용 무드등
JP2000182407A (ja) 車両用灯具
US10207632B2 (en) Vehicle body element comprising a translucent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body
EP3043152B1 (en) Glow ring for instrument panel
US10272831B2 (en) Interior lighting assemblies and units that produce natural and courtesy light patterns
US11958401B2 (en) Light element of a vehicle
US10539294B2 (en) Automobile exterior rear view mirror blind spot warning indication device
KR20190128575A (ko) 자동차 조명 및/또는 신호 장치
CN111216653A (zh) 隐藏式车辆标志
US11435517B2 (en) Display for an interior of a motor vehicle
JP2014094656A (ja) 加飾照明装置
KR20220132755A (ko) 차량 대쉬보드용 3차원 실내 무드등
US20200355340A1 (en) Warning light for blind area of lane change
CN208901313U (zh) 配光构件、照明装置、信号指示装置和机动车辆
JP2005301157A (ja) 面状発光体
KR20190128574A (ko) 자동차 조명 및/또는 신호 장치
JP2019023992A (ja) 自動車用発光装置
KR102249859B1 (ko) 차량의 실내 장식용 조명패널
CN217374316U (zh) 车用阅读灯和车辆
CN109708069B (zh) 用于机动车的照明装置
JP2003247871A (ja) 車両用計器
CN116412367A (zh) 用于车辆的氛围照明系统和包括该系统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