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904B1 - 비만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만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904B1
KR101072904B1 KR1020080060680A KR20080060680A KR101072904B1 KR 101072904 B1 KR101072904 B1 KR 101072904B1 KR 1020080060680 A KR1020080060680 A KR 1020080060680A KR 20080060680 A KR20080060680 A KR 20080060680A KR 101072904 B1 KR101072904 B1 KR 101072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esity
saponin
seaweed
cholestero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978A (ko
Inventor
서영완
남택정
김유아
공창숙
이정임
예성수
한태준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60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904B1/ko
Publication of KR20100000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5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만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함초로부터 추출한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비만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인 비만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함초, 사포닌 분획물, 비만

Description

비만 억제용 조성물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besity)}
본 발명은 비만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함초로부터 추출한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서해안과 남해안에는 예로부터 광활한 연안습지가 존재하여 왔으나 습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이해부족 등으로 인하여 지난 십여 년에 걸쳐 많은 부분이 소실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갯벌의 경제학적 가치 및 생태학적 가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습지보전법의 제정 및 종합적인 연안습지 관리계획 등이 수립되기도 하였다. 연안습지의 식물과 토양은 수질을 정화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예를 들어 농약, 공업용수, 폐수 등에 존재하는 유독성 물질을 제거하는 능력을 가지며, 인, 질소와 같은 부영양화를 처리하는데도 매우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종 다양성 측면에서 연안습지는 열대우림과 견줄 수 있으며, 특히 산호초지대는 모든 해양생물의 25% 정도가 서식하고 있다. 또한, 습지의 생물학적 다양성은 다양한 유전자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도 매우 가치가 있다.
최근 중국에서는 해양생물자원분야에서 "해수에 견디는 채소 신품종 선정과 응용"이라는 프로젝트 하에 습지에 서식하는 맹그로브로부터 많은 유용생체물질을 분리하여 그 결과를 논문으로 발표하였다. 또한 일본 동경대학교의 생체공학대 및 국립 천연물 과학 연구소의 공동 연구팀은 맹그로브 유용 유전자를 분리하여 약리학적 응용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다. 이러한 염생식물의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아직까지는 의·약학적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연구는 부족한 형편이지만 함초에 대해서만은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다수의 국내 연구진에 의해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함초(Salicornia herbacea)는 우리나라 서해안 갯벌에서 군락을 이루며 자생하는 한해살이 풀로 우리말로는 퉁퉁마디라고 부른다. 중국의 옛 의학책인 『신농초본경』에는 맛이 몹시 짜다고 하여 함초(鹹草), 염초(鹽草)라고 하였고, 또 몹시 희귀하고 신령스러운 풀로 여겨 신초(神草)라고도 하며. 전체 모양이 산호를 닮았다 하여 산호초라고도 한다. 함초는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염전이나 갯벌 주변에서 자란다. 함초의 특징은 육초이면서도 해수 성분을 간직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바닷물 속에 녹아 있는 소금을 비롯하여 칼슘, 마그네슘, 칼륨, 철, 인 등 갖가지 미네랄과 효소 등을 줄기와 가지에 농축한 상태로 지니고 있다. 이런 특징을 지닌 함초는 숙변을 제거하고 변비를 없애고, 암, 축농증, 관절염, 고혈압, 요통, 비만증, 치질, 당뇨병, 갑상선염, 천식, 기관지염, 긴질환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는 전무한 형편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약리작용이 기대되는 함초의 개발은 많은 부가가치 창출이 기대되나 생리 활성에 대한 기초 자료가 부족하므로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함초는 매우 짜기 때문에 짠 맛을 내는 미네랄 그 자체를 이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함초를 기능성 제품으로 개발하는 데는 짠 맛이 많은 방해요인이 된다. 아무리 함초 추출물이 지니는 생리활성이 우수하다 할지라도 맛이 없으면 실제로 식품으로 판매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생기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여 체중 감소에 효과적인 비만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만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함초로부터 추출한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함초로부터 추출한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만 억제용 조성물은 렙틴(leptin) 분비 감소, 트리글리세라이드(TG) 축적 억제, 글루코오스(glucose) 소비 감소, 비만 관련 유전자의 발현 감소 등을 통해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동시에 비만 마우스에서 중성지방 농도 감소, LDL-C 농도 감소 및 체중 감소 효과가 탁월할 뿐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므로 비만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함초로부터 염분을 제거하면서 사포닌만을 분리하여 이의 비만억제효과를 in vitro 및 in vivo에서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비만 억제용 약학 조성물은 함초로부터 추출한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사포닌은 자연으로부터 얻은 함초를 물, 에탄올, 헥산 등 추출용매을 이용하여 분급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이를 감압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사포닌이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양은 당업자가 적절히 조절하여 포함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9.9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포닌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45935996-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08045935996-pat00002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사포닌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또는 선택된 투여 경로에 따라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배합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경구 투여나 비경구 투여가 모두 가능하며, 비경구적인 투여 경로로는 피하 내,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투여를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경구 투여를 위해서는 캡슐, 정제, 환제, 과립제 및 산제와 같은 고체 형태 또는 엘릭시스 시럽 및 현탁제와 같은 액체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해 고체 형태로 제형화하는 경우에는 적합한 담체로서 당분야에 공지된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캡슐로 제형화하기 위해서는 유당, 전분, 셀룰로오즈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린산과 같은 담체 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를 사용하여 압착된 정제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정제와 캡슐은 모두 당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서방성으로 제조하여 수 시간에 걸쳐 약제가 연속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압착된 정제는 당 피복 또는 필름 피복을 시킬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해 액체 형태로 제형화하는 경우에는 적합한 담체로서 당분야에 공지된 현탁제, 유제, 시럽제, 희석제,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비경구 투여를 위해서는 앰플 또는 바이알 단위의 주사제 형태가 바람직하다. 주사제로 제형화하는 경우의 적합한 담체로는 당분야에 공지된 안정제, 완충물질, 보존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적합한 안정제로는 나트륨 비설파이트, 나트륨 설파이트 및 아스코르브산 등이 있고, 보존제로는 염화벤즈알코늄,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활성 화합물의 통상적인 1일 투여량은 0.000001 내지 1 ㎎/㎏ 체중,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0 ㎎/㎏ 체중,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 ㎎/㎏ 체중의 범위일 수 있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유효성분의 실제 투여량은 의사의 의학적 판단 하에 환자의 연령, 건강정도, 체중, 배설율, 식이, 질병 중증도, 사용된 화합물의 활성, 성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치료 기간 및 횟수 등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함초로부터 추출한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억제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포닌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상기 사포닌이 건강기능식품에 포함되는 양은 당업자가 적절히 조절하여 포함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9.9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 음료일 경우, 필수성분으로서 상기 함초로부터 추출한 사포닌을 포함한다면 그 외에 함유되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향미제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나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단당류,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이당류,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다당류,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의 당알콜이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 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1: 함초로부터 사포닌 분획물 제조
본 제조예에서 사용한 함초(Salicornia herbacea)는 사용하기 전까지 채취한 것을 건조시킨 후 -25℃의 냉동고에서 보관하였으며, 이를 해빙하여 본 제조예에 사용하였다.
함초를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를 사용하여 24시간 동안 2회에 걸쳐서 추출하고, 여과 후 남은 잔사에 동량의 에탄올을 사용하여 동일과정으로 추출하였다. 각각 얻어진 추출액은 40℃ 수욕 상에서 회전식 감압 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여 조추출물을 얻어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한 조추출물을 용매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85% aq. MeOH, n-BuOH, 사포닌 분획물을 얻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각 분획물은 감압농축한 후 건조한 분말로 만들어 사용하였으며, 사포닌 분획물의 효과를 보여주기 위하여 85% aq. MeOH, n-BuOH 분획물을 대조군으로 사용하면서 이후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1. 지방 세포(3T3-L1)에서의 비만 억제 효과(in vitro)
3T3-L1 전지방세포(preadipocytes)(ATCC)는 10% Fetal Bovine Serum (FBS), 100Unit/㎖ 페니실린(penicillin), 100ng/㎖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이 포함 된 DMEM 배양액을 사용하여 75 T-플라스트에서 5% CO2, 눅눅한 상태(humid), 37℃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3~4일 후 세포가 융합(confluent)하게 되면 0.05% 트립신(trysin)/EDTA를 처리하여 원심분리기(1000 rpm, 3분)에서 세포를 모은 후 세포 밀도가 3.3×103 cell/cm2 인 현탁액을 만들어 12 웰 플렛에 1㎖씩 플렛팅(plating)하여 배양하고, 2~3일에 한번씩 10% FBS가 포함된 새로운 DMEM 배양액으로 바꿔주었다. 3~4일 후 세포가 융합된 후 이틀 만에 분화배지(DMEM 배양액에 5 ㎍/㎖의 인슐린, 0.25㎛ 데자메타존(dexamethazone), 0.5mM IBMX가 첨가된 배지)를 처리하여 분화가 시작되게 하였다. 이틀 후 DMEM 배양액에 5㎍/㎖의 인슐린만 포함된 배지(피딩 배지)로 갈아 준 후, 2일에 한번씩 계속해서 배지를 갈아주면서 세포를 분화시켰다. 분화배지 처리 7일 후 90% 이상이 지방세포로 분화하게 되면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사포닌 분획물, 85% aq. MeOH, n-BuOH를 각각 피딩 배지에 녹여서 0.2㎛의 필터로 여과한 후 완전히 분화된 지방세포에 처리하였다. 이때,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지방세포를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상기 시료 처리 후 24 시간이 지난 후에 배지를 수집하여 세포내에서 분리된 렙틴(leptin)과 글리세롤 분비량을 측정하여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으며, 글루코오스와 중성지방(TG)을 측정하여 도 3및 도 4에 나타내었다.
이때, 지방세포에서 분비된 렙틴의 양은 수집한 배지를 이용하여 ELISA(enzyme Linked Immunosolvent Assay, R&D systems) 방법으로 415㎚에서 측정하였으며, 글리세롤은 효소반응법을 이용하여 free glycerol reagent(Sigma)를 반 응시켜 540㎚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시료처리에 의한 세포내 글루코오스의 농도 변화는 수집한 배양액 1㎖를 취해 GLYZYME kit를 사용하여 흡광도 500㎚에서 배양액내에 함유된 글루코오스 양을 측정하였다. 중성지방 측정은 Green and Kehinde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먼저, 트립신-EDTA 처리로 세포를 취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그 다음 펠렛(pellet)에 균질 버퍼(homogenizing buffer, 154mM KCl, 50mM Tris, 1mM EDTA)를 이용하여 세포내 중성지방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한 중성지방의 농도는 TRIGLYZYME-V "EiKen" kit(신양화학, Korea)를 사용하여 5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n-BuOH, 85% aq. MeOH, 사포닌 분획물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렙틴의 분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글리세롤의 분비량도 증가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비만 억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사포닌 분획물에서 렙틴 및 글루코오스의 분비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렙틴은 지방세포에서만 분비되는 단백질로서 렙틴의 분비가 감소하였다는 결과는 처리한 시료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거나 세포의 수 및 크기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중성지방(TG)이 분해되면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되므로 배지에 녹아있는 글리세롤의 분비량을 측정함으로서 사포닌 분획물의 지방 분해 정도를 알 수 있다. 이 결과로부터 사포닌 분획물이 높은 중성지방 분해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사포닌 분획물이 지방세포에서 글루코오스를 이용한 대사와 중성지방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으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 군에 비해 n-BuOH, 85% aq. MeOH, 사포닌 분획물이 글루코오스 이용 촉진 작용을 50% 이상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포닌 분획물에서 그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중성지방(TG)의 축적량도 사포닌 분획물의 첨가에 의해 크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함초로부터 분리한 사포닌 분획물은 세포가 배양액 중의 글루코오스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억제하여 글루코오스로부터 중성지방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억제할 것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마우스에서의 비만 억제 효과(in vivo)
4주령된 Sparague Dawley계 숫쥐(체중 100~120g)를 각 10마리씩 2 그룹으로 분류하여 일반사료로서 7일간 순치 예비사육한 후에 기초식이와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사포닌 분획물(4%)을 각각 4주간 급여하였다.
실험동물은 시험사육 최종일에 18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에 단두하여 채혈하였고, 각 혈액시료는 빙수 중에 1시간 방치한 후에 원심분리(3,000rpm, 15min, 4℃)하여 취한 혈청을 저온(-70℃)에 보관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① 사포닌 분획물이 체중증가 및 장기중량에 미치는 영향
체중은 1주일에 한번 일정한 시간에 동일한 순서로 측정하였으며, 체중증가량은 4주간 시험사육한 후 체중에서 실험 사육 시작할 때의 체중을 뺀 값으로 하였다. 장기중량은 간장, 신장, 심장, 비장, 대장, 소장, 맹장의 무게를 칭량하였다.
실험결과, 사포닌 분획물을 급여한 마우스 군이 기초식이군과 비교하여 체중 감소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장기중량을 측정한 결과, 간장을 제외한 다른 장기의 중량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간장의 중량은 사포닌 분획물을 급여한 마우스 군에서 다소 증가하였으나, 이는 체내에 과량으로 섭취한 콜레스테롤이 체외로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않고 축적된 총콜레스테롤의 양에 의한 것으로 추측된다.
② 혈청 지질 및 분변 분석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유리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분변 중콜레스테롤 및 분변 중 총 담즙산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중성지질 - 혈청 중 중성지질의 농도는 추출시료 각 10㎕를 취하여 TRYGLYZYME-V "Eiken" kit(신양화학, Korea)를 TJ Enzymatic법으로 반응시켜 분광광도계(Ultrospec 2001 pro, Amersham Phamacia biotech, England)로 505㎚에서 측정하였다.
· 총콜레스테롤 - 추출시료 각 10㎕를 취하여 총콜레스테롤 측정용 CHOLESTE ZYME-V "Eiken" kit(신양화학, Korea)를 사용하여 Enzymatic COD법으로 반응시켜 505㎚에서 측정하였다.
· 혈청 중의 유리콜레스테롤 - 혈청 중 유리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추출시료 각 25㎕를 취하여 유리콜레스트롤 측정용 Free cholesterol C-test kit(Wako, Japan)를 사용하여 콜레스테롤 옥시데이즈· 페놀법으로 반응시켜 600㎚에서 측정하였다.
· 혈청 중의 HDL-콜레스테롤 - 혈청 중의 HDL-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추출시료 각 100㎕를 취하여 HDL-C555 kit(신양화학, KOrea)를 사용하여 phophotungstic acid-Mg++헤파린· 망간 결합 침전법으로 반응시켜 555㎚에서 측정하였다.
· 분변 중 콜레스테롤 - Aoki와 Tuzihara(1984)의 방법을 변형한 것으로, 상기 혈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 분변 중 총 담즙산 - Crowell and MacDonald(1980)의 연구를 변형하여 총 담즙산 test kit(Wako, Japan)를 이용하여 효소비색법으로 측정하였다.
[표 1]
구분 기초식이군 사포닌 분획물 식이군
중성지방 78.04±17.58c 75.82±6.26c
총 콜레스테롤 948.45±555.80c 398.53±123.33ab
유리콜레스테롤 21.79±4.34a 16.11±1.89a
HDL-콜레스테롤 31.207±7.426b 28.769±7.011ab
분변 중 콜레스테롤 597±53b 407±66.3c
분변 중 총 담즙산 20.38±4.19 21.71±5.05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만 억제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함초로부터 추출한 사포닌 분획물을 급여한 마우스 군에서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유리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분변 중 콜레스테롤이 감소하였으며, 분변 중 총 담즙산의 농도는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HDL-콜레스테롤은 말초조직으로부터 과잉의 콜레스테롤을 간장으로 이동시켜 거품세포의 형성을 방해하여 동맥경화로의 진행을 늦추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기초식이군에 비하여 사포닌 분획물 식이군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또한 분변 중 총 담즙산은 소장에서의 지질 대사에 관여하는 담즙산의 재흡수를 방해하여 분변으로의 스테로이드 배설을 증가시킴으로써 체내 콜레스테롤 농도가 감소된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비만 억제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함초로부터 추출한 사포닌 분획물 식이군 전체에서 항비만 효과를 보여 비만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포닌 분획물을 처리한 지방세포내에서의 렙틴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포닌 분획물을 처리한 지방세포내에서의 글리세롤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포닌 분획물을 처리한 지방세포내에서의 글루코오스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포닌 분획물을 처리한 지방세포내에서의 중성지방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5)

  1. 함초로부터 추출한 사포닌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억제용 약학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포닌은 조성물에 0.1 내지 99.9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약학 조성물.
  3. 삭제
  4. 함초로부터 추출한 사포닌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이 건강음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KR1020080060680A 2008-06-26 2008-06-26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1072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680A KR101072904B1 (ko) 2008-06-26 2008-06-26 비만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680A KR101072904B1 (ko) 2008-06-26 2008-06-26 비만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978A KR20100000978A (ko) 2010-01-06
KR101072904B1 true KR101072904B1 (ko) 2011-10-17

Family

ID=41811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680A KR101072904B1 (ko) 2008-06-26 2008-06-26 비만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9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023A (ko) 2017-03-17 2018-10-0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조류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19273A (zh) * 2011-09-06 2012-01-18 江苏省中国科学院植物研究所 北美盐角草活性总皂苷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瘦身减肥的用途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s (Vol. 10, 2002)*
논문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ol. 36, 200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023A (ko) 2017-03-17 2018-10-0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조류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978A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2862B1 (ko) 굴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물을 포함하는 뼈 건강 개선용 조성물
US20110038959A1 (en) Plant-origin drug for preventing or improving hyperuricemia
KR102064651B1 (ko) 여주 추출물, 구절초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20200000867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and preventing myopathy, containing bean leaf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0793081B1 (ko) 꼬시래기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45338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15305A (ko) 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072904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20120112137A (ko) 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우웨이지수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95342B1 (ko) 뽕나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21341B1 (ko) 북두근, 북두근 추출물, 북두근 오니 또는 북두근 맥아 효소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부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12363A (ko)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91584B1 (ko) 골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46054A (ko) 황금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77998A (ko) 멀꿀 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카페인산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골조직 생성 또는 연골조직 생성 촉진용 조성물
CN1259851C (zh) 葵浸提物制品
KR101293835B1 (ko) 황기 및 차전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95500B1 (ko) 호노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CN105796656A (zh) 一种管花肉苁蓉提取物及其制备方法
KR101257329B1 (ko) 해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10028758A (ko) 비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대사성 질환으로 유발된 골소실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841541B1 (ko) 황기 추출물 및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126214A (ko) 지중해 담치 지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468073B1 (ko) 함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이소람네틴-3-O-β-D-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19462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