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017B1 -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017B1
KR101072017B1 KR1020090094480A KR20090094480A KR101072017B1 KR 101072017 B1 KR101072017 B1 KR 101072017B1 KR 1020090094480 A KR1020090094480 A KR 1020090094480A KR 20090094480 A KR20090094480 A KR 20090094480A KR 101072017 B1 KR101072017 B1 KR 101072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insulating layer
electrod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7172A (ko
Inventor
원정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4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017B1/ko
Publication of KR20110037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01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반사층; 상기 반사층 상에 제1 절연층; 상기 기판 상에 제2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절연층 상에서 서로 이격된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 및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발광 소자

Description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실시예는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발광 소자로써 발광 다이오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GaAs, AlGaAs, GaN, InGaN, AlGaInP 등의 화합물 반도체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하여 다양한 색을 구현할 수 있는 발광 소자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제1 도전형의 반도체층, 활성층, 제2 도전형의 반도체층을 적층하여 형성하고, 상기 제1 도전형의 반도체층 및 제2 도전형의 반도체층에 각각 전원을 제공함에 따라 상기 활성층에서 빛이 방출된다.
상기 제1 도전형의 반도체층은 n형 반도체층이 되고 상기 제2 도전형의 반도체층은 p형 반도체층이 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제1 도전형의 반도체층은 p형 반도체층이 되고 상기 제2 도전형의 반도체층은 n형 반도체층이 될 수 있다.
한편, 발광 소자 패키지는 발광 소자를 모듈화하기 위해 준비하거나 발광 소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발광 소자를 기판 상에 배치하고 패키징한 것으로, 발광 소자 패키지를 제작함에 있어서 발광 소자로부터 방출된 광이 효과적으로 외부로 추 출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실시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는 광 효율이 향상된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적어도 일부분에 반사층; 상기 반사층 상에 제1 절연층; 상기 기판 상에 제2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절연층 상에서 서로 이격된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 및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 제조방법은 기판이 준비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의 적어도 일부분에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사층 상에 제1 절연층 및 상기 기판 상에 제2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절연층 상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 상에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 상에 발광 소자를 설치하고 상기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광 효율이 향상된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on)"와 "하/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는 기판(1)과, 상기 기판(1) 상에 형성된 반사층(2)과, 상기 반사층(2) 상에 형성된 제1 절연층(3)과, 상기 기판(1) 상에 형성된 제2 절연층(4)과, 상기 제1 절연층(3) 및 제2 절연층(4) 상에 형성된 제1 전극층(5) 및 제2 전극층(6)과, 상기 기판(1)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전극층(5) 및 제2 전극층(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 소자(7)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1)은 실리콘(Si)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에 그루브(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2)은 상기 기판(1) 상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기판(1)의 상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반사층(2)은 상기 그루브(9)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상기 기판(1) 상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반사층(2)은 상기 그루브(9)의 바닥면 및 경사면을 형성하는 상기 기판(1) 상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반사층(2)은 상기 제1 전극층(5)과 제2 전극층(6) 사이의 이격된 부분인 이격부(10)와 수직 방향에서 오버랩되는 위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층(2)은 광 반사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Al)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3)은 상기 반사층(2)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절연층(3)은 상기 반사층(2)과, 상기 반사층(2) 상에 배치되는 제1 전극층(5) 및 제2 전극층(6)이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절연층(3)은 상기 반사층(2) 상에 절연물질을 증착하거나 상기 반사층(2)을 산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층(2)이 알루미늄(Al)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1 절연층(3)은 산화알루미늄(Al2O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층(4)은 상기 기판(1) 상에 상기 제1 절연층(3)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절연층(4)은 상기 기판(1)과, 상기 기판(1) 상에 배치되는 제1 전극층(5) 및 제2 전극층(6)이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층(2)이 상기 기판(1)의 전체 표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 절연층(4)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제2 절연층(4)은 상기 기판(1) 상에 절연물질을 형성하거나, 상기 기판(1)을 이루는 물질을 산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이 실리콘(Si)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2 절연층(4)은 산화실리콘(SiO2)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층(5) 및 제2 전극층(6)은 상기 제1 절연층(3) 및 제2 절연층(4) 상에 형성되며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상기 제1 전극층(5) 및 제2 전극층(6)은 상기 기판(1)의 상면, 측면, 하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설계에 따라 상기 기판(1)의 상면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전극층(5) 및 제2 전극층(6)은 Ti, Au, Ni, Cu, Ag, Al, C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일층 구조, 다중층 구조, 또는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층(5) 및 제2 전극층(6)은 접착층, 씨드층, 도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1 절연층(3) 및 제2 절연층(4) 상에 상기 씨드층이 잘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Ti, Ni, C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씨드층은 Cu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금층은 Cu층, Ni층, Au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Cu층, Ni층, Au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층(5) 및 제2 전극층(6)은 광 반사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최상층에 Ag 또는 Al를 반사메탈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7)는 상기 기판(1) 상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1)의 그루브(9)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7)는 상기 제1 절연층(3) 또는 제2 절연층(4)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극층(5) 또는 제2 전극층(6)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광 소자(7)가 상기 제1 전극층(5) 상에 설치될 것이 예시되어 있으며, 상기 발광 소자(7)의 제1 전극(미도시)은 상기 제1 전극층(5)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발광 소자(7)의 제2 전극(미도시)은 상기 제2 전극층(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광 소자 패키지는 상기 제1 전극층(5) 및 제2 전극층(6)을 통해 전원이 제공되면, 상기 발광 소자(7)에서 광이 발생된다. 상기 발광 소자(7)에서 발생된 광은 상측 방향으로 진행하여 외부로 방출되거나 상기 제1 전극층(5) 및 제2 전극층(6)에서 반사되어 외부로 방출된다.
한편, 상기 제1 전극층(5)과 제2 전극층(6)은 전기적 절연을 위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극층(5)과 제2 전극층(6) 사이에 이격부(10)가 형성된다.
상기 이격부(10)에서는 상기 발광 소자(7)에서 발생된 광을 효과적으로 반사시킬 수 없는데,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는 상기 이격부(10)의 아래에 상기 반사층(2)이 형성되어 상기 이격부(10)에서 반사되지 않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는 광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2)은 금속과 같은 전기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 기 반사층(2) 상에 상기 제1 절연층(3)을 형성하여 상기 제1 전극층(5)과 제2 전극층(6)이 상기 반사층(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 절연층(3)은 광 투과율이 높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 소자(7)에서 방출된 광 중에 상기 제1 절연층(3)을 투과한 광은 상기 반사층(2)에서 반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광 소자 패키지는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기판(1)이 준비된다. 상기 기판(1)은 실리콘(Si)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판(1)을 식각함으로써 상기 그루브(9)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그루브(9) 내에 알루미늄(Al)을 증착하여 상기 반사층(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반사층(2) 상에 O2 플라즈마를 이용한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산화알루미늄(Al2O3)으로 형성된 제1 절연층(3)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기판(1)을 산화시켜 상기 기판(1)의 표면에 산화실리콘(SiO2)으로 형성된 제2 절연층(4)을 형성한다.
다음, 상기 제1 절연층(3) 및 제2 절연층(4) 상에 전극층을 형성하고, 상기 전극층을 두 부분으로 분리함으로써 상기 제1 전극층(5) 및 제2 전극층(6)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전극층(5) 상에 상기 발광 소자(7)를 설치하고, 상기 발광 소자(7)를 상기 제2 전극층(6)과 와이어(8)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비록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광 소자(7)가 상기 와이어(8)를 통해 상기 제2 전극층(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상기 발광 소자(7)는 두개의 와이어를 통해 각각 상기 제1 전극층(5) 및 제2 전극층(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발광 소자(7)를 포위하도록 몰딩부재가 상기 그루브(9) 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몰딩부재에는 형광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의 단면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

Claims (11)

  1. 상부에 그루브를 포함하는 기판;
    상기 그루브 내에 형성된 반사층;
    상기 반사층 상에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절연층과 다른 절연 물질로 형성되는 제2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절연층 상에서 서로 이격된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 및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상기 그루브의 바닥면 및 경사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형성되는 발광 소자 패키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은 산화알루미늄(Al2O3)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실리콘(Si)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층은 산화실리콘(SiO2)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이 서로 이격된 이격부는 상기 반사층과 수직 방향에서 오버랩되는 발광 소자 패키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와이어를 통해 상기 제2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 소자 패키지.
  9. 상부에 그루브를 포함하는 기판이 준비되는 단계;
    상기 그루브 내에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사층 상에 제1 절연층과, 상기 제1 절연층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기판 상에 제2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절연층 상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 상에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 상에 발광 소자를 설치하고 상기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절연층은 상기 제1 절연층과 다른 절연 물질로 형성되는 발광 소자 패키지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알루미늄(Al)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층은 산화알루미늄(Al2O3)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제조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실리콘(Si)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절연층은 산화실리콘(SiO2)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제조방법.
KR1020090094480A 2009-10-06 2009-10-06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072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480A KR101072017B1 (ko) 2009-10-06 2009-10-06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480A KR101072017B1 (ko) 2009-10-06 2009-10-06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172A KR20110037172A (ko) 2011-04-13
KR101072017B1 true KR101072017B1 (ko) 2011-10-10

Family

ID=4404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480A KR101072017B1 (ko) 2009-10-06 2009-10-06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0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4152A (ja) * 2004-01-29 2005-09-08 Kyocera Corp 発光素子搭載用基板および発光装置
JP2006245032A (ja) 2005-02-28 2006-09-14 Toyoda Gosei Co Ltd 発光装置およびledランプ
JP2009194112A (ja) * 2008-02-14 2009-08-27 Dainippon Printing Co Ltd Ledモジュール用基板とその作製方法、および該ledモジュール用基板を用いたled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4152A (ja) * 2004-01-29 2005-09-08 Kyocera Corp 発光素子搭載用基板および発光装置
JP2006245032A (ja) 2005-02-28 2006-09-14 Toyoda Gosei Co Ltd 発光装置およびledランプ
JP2009194112A (ja) * 2008-02-14 2009-08-27 Dainippon Printing Co Ltd Ledモジュール用基板とその作製方法、および該ledモジュール用基板を用いたled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172A (ko)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2810B2 (en) Light-emitting diode module having light-emitting diode joined through solder paste and light-emitting diode
JP5719336B2 (ja) 発光装置
US9070841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0986353B1 (ko)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US8232571B2 (en)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7928464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1039999B1 (ko)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986374B1 (ko)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EP2228840B1 (en)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ing system
KR102353570B1 (ko) 발광소자 및 이를 구비한 발광 소자 패키지
US20160035939A1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KR100999701B1 (ko)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102164087B1 (ko) 발광소자 및 이를 구비한 발광소자 패키지
KR102250516B1 (ko) 발광소자
EP2228837B1 (en) Light emitting device,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light emitting apparatus
KR101072017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55332A (ko)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 패키지
KR20150053743A (ko) 발광 다이오드
KR20120037100A (ko)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101886017B1 (ko) 개선된 광추출 효율을 가진 발광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746011B1 (ko) 발광소자
KR102002617B1 (ko) 발광 다이오드
KR20130044772A (ko) 개선된 광추출 효율을 가진 발광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49694A (ko)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 패키지
KR20160049747A (ko) 발광소자 및 이를 구비한 발광소자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