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310B1 -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310B1
KR101071310B1 KR1020090006916A KR20090006916A KR101071310B1 KR 101071310 B1 KR101071310 B1 KR 101071310B1 KR 1020090006916 A KR1020090006916 A KR 1020090006916A KR 20090006916 A KR20090006916 A KR 20090006916A KR 101071310 B1 KR101071310 B1 KR 101071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ir
vertical
operating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7876A (ko
Inventor
구진섭
Original Assignee
구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진섭 filed Critical 구진섭
Priority to KR1020090006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310B1/ko
Publication of KR20100087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60Apparatus for preparing growth substrates or culture med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6Devices for cleaning flower-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다양한 규격의 육모상자와 흙의 높이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쌍의 수직판과 수평상판으로 이루어지는 "ㄷ"형상의 프레임과, 한쌍의 수직판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축과, 작동축에 상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는 상단부를 중심으로 서로 벌어졌다 접근하는 각운동을 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작동판과, 수직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프로킷과, 스프로킷에 결합되고 한쪽 끝부분은 작동축에 고정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탄성스프링을 통하여 프레임의 수직판 하단부에 고정되는 체인과, 수평상판과 작동축 사이에 설치되는 가압스프링과, 스프로킷에 한쪽 끝부분이 고정 설치되는 조절레버를 포함하는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육모상자, 볍씨, 파종, 높이, 작동판, 스프로킷, 체인, 스프링, 모서리, 제거

Description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장치 {Soil Removing Device of Corner for Seedling Box}
본 발명은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프로킷에 설치되는 조절레버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작동판의 높이를 조절하므로 육모상자의 높이나 흙의 높이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한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농가에서는 부족한 일손을 덜고, 효율적으로 모종을 배양하기 위하여 자동화가 가능한 규격화된 육모상자를 이용한 씨앗의 파종과 발아된 모종의 배양을 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사각형의 육모상자에 흙을 깔고 씨앗을 파종한 다음, 흙을 덮어 씨앗이 발아하여 성장하기 좋은 환경에 육모상자를 설치하고, 모종이 충분히 자란 다음 이앙기 등을 이용하여 논과 밭에 모종을 심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5457호에는 육묘상자를 공급하면서 육모상자에 흙을 깔고 볍씨를 산파한 다음 흙을 덮는 일련의 과정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는 볍씨 파종기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볍씨 파종기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공급되 는 육모상자에 흙을 깐 다음, 흙을 고르게 펴고 롤러로 다지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롤러가 둥근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육모상자의 앞쪽과 뒤쪽의 내부 모서리(구석)부분은 흙이 원호형상으로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볍씨를 산파할 때에 이 부분에 뿌려지는 볍씨가 흘러내려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14287호에는 육모상자의 앞쪽과 뒤쪽의 내부 모서리(구석)부분에 남아 있는 흙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볍씨 파종기용 육모상자의 잔흙 제거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잔흙 제거장치는 육모상자가 이송되어 오면, 일측 작동판의 흙제거부가 상자 후방부 모서리의 잔흙을 제거함과 동시에 계속해서 이동하는 육모상자에 의하여 일측 작동판이 전방부로 밀려지면서 타측 작동판 또한 안내판과 탄력스프링에 의해 일측 작동판을 따라 전방부로 유동하면서 다음 육모상자의 전방부 모서리의 잔흙을 제거하는 것으로 연속적으로 투입되는 육모상자의 전후방부 모서리에 남은 잔흙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잔흙 제거장치는 일측 작동판 및 타측 작동판의 상하 위치를 높낮이 조절대와 고정편을 이용하여 변경시키도록 구성되므로, 육모상자의 높이에 맞추어 신속하고 간편하게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육모상자는 그 높이를 32mm, 35mm, 38mm로 규격화하여 제작하고 있으며, 육모상자에 담겨지는 흙의 높이(깊이)도 각각 상황(씨앗의 종류와 파종상태 등)에 맞추어 설정하고 있으므로, 잔흙 제거장치에 있어서 일측 작동판 및 타측 작동판의 상하 위치를 필요에 따라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정할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작동판의 높이를 조절레버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규격의 육모상자와 흙의 높이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한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장치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쌍의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을 상부쪽에서 연결하여 설치되는 수평상판으로 이루어지는 "ㄷ"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한쌍의 수직판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에 상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는 상단부를 중심으로 서로 벌어졌다 접근하는 각운동을 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작동판과, 상기 수직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에 결합되고 한쪽 끝부분은 상기 작동축에 고정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탄성스프링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의 수직판 하단부에 고정되는 체인과, 상기 수평상판과 작동축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축에 아래쪽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스프링과, 상기 스프로킷에 한쪽 끝부분이 고정 설치되는 조절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축은 상기 한쌍의 작동판이 각각 하나씩 대응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2개가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쌍의 작동축 양쪽 끝부분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판을 통하여 상하 이동이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연결한다.
상기 연결판은 상기 프레임의 수직판을 사이에 두고 내부와 외부에 한조를 이루어 설치하는 것이 작동축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지지를 행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체인의 한쪽 끝부분은 상기 프레임의 수직판 외부에 설치되는 연결판에 고정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수직판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판에는 상기 프레임의 수평상판을 관통하는 지지봉을 설치하고, 상기 가압스프링을 상기 지지봉을 통하여 지지하고 상기 수평상판과 연결판 사이에 설치한다.
상기에서 가압스프링은 상기 연결판에 아래쪽으로 미는 힘을 작용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프레임의 수직판에는 상기 작동축의 양쪽 끝부분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안내홈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의 수평상판에는 상기 조절레버의 회전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작동판이 승강하는 높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일정 단위별로 눈금이 표시되는 눈금판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장치에 의하면, 조절레버를 각운동시킴에 따라 스프로킷이 회전하고 결합된 체인이 이동하면서 작동축이 결합된 연결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므로, 작동판의 상하 위치 이동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장치에 의하면, 눈금표를 확인하면서 조절레버를 작동시켜 육모상자의 높이나 흙의 높이에 따른 정확한 높이를 용이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매우 편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장치에 의하면, 탄성스프링과 가압스프링에 의하여 작동축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육모상자의 내측 모서리부분의 흙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수직판(12)과 수평상판(16)으로 이루어지는 "ㄷ"형상의 프레임(10)과, 상기 한쌍의 수직판(12)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작동축(20)과, 상기 작동축(20)에 설치되는 한쌍의 작동판(30), (32)과, 상기 수직판(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로킷(40)과, 상기 스프로킷(40)에 결합되는 체인(50)과, 상기 수평상판과 작동축 사이에 설치되는 가압스프링(76)과, 상기 스프로킷(40)에 한쪽 끝부분이 고정 설치되는 조절레버(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에 있어서, 한쌍의 수직판(12)은 일정 간격(예를 들면 육모상자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평상판(16)은 상기 한쌍의 수직판(12)을 상부쪽에서 서로 일체로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한쌍의 수직판(12)에는 상기 작동축(20)의 양쪽 끝부분이 각각 관통하여 설치되는 안내홈(13)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작동축(20)은 상기 안내홈(13)에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작동축(20)은 2개가 한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한쌍의 작동판(30), (32)이 각각 하나씩 대응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한쌍의 작동축(20) 양쪽 끝부분은 연결판(22), (24)을 통하여 상하 이동이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연결된다.
상기 연결판(22), (24)은 상기 프레임(10)의 수직판(12)을 사이에 두고 내부와 외부에 한조를 이루어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판(22), (24)을 설치하면, 상기 작동축(2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지지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연결판(22), (24)은 각각 대략 "ㄱ"형상으로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수직판(12)의 내부쪽에 설치되는 연결판(24)은 상기 작동축(20)의 양쪽 끝부분에 밀착스프링(28)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수직판(12)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판(12)의 외부쪽에 설치되는 연결판(22)은 상기 작동축(20)의 양쪽 끝부분에 체결되는 스냅링(29)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에서 스냅링(29) 대신에 너트나 분할핀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작동축(20)을 설치함에 따라 연결판(22), (24)과 작동축(20)은 일체로 상기 수직판(12)의 안내홈(13)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한쌍의 작동판(30), (32)은 상기 작동축(20)에 상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는 상단부를 중심으로 서로 벌어졌다 접근하는 각운동을 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한쌍의 작동판(30), (32)의 하단부 끝부분에는 각각 서로 마주하는 쪽으로 "ㄴ"형상으로 돌출하도록 굽은 형상으로 흙제거부(31), (33)를 형성한다.
상기에서 하나의 작동판(30)은 육모상자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상태로 설치되고, 다른 작동판(32)은 육모상자의 진행방향과 경사진 상태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육모상자가 진입하는 방향에 설치되는 다른 작동판(32)은 진입방향쪽으로 들려진 상태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육모상자가 배출되는 방향에 설치되는 하나의 작동판(30)은 수직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작동판(30)의 흙제거부(31)는 수평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한쌍의 작동판(30), (32)은 탄력스프링(35)과 안내판(36)을 통하여 하단부가 서로 벌어졌다 접근하는 각운동을 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작동판(30), (32)과, 탄력스프링(35), 안내판(36) 등의 구체적인 구성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14287호 등에 공개된 구성을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작동방법 또한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프로킷(40)은 상기 수직판(12)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스프로킷(40)은 상기 한쌍의 수직판(12)의 외부에 각각 쌍을 이루어 설치하고, 동일하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나의 축(42)으로 연결하여 설치한다.
상기 축(42)은 상기 한쌍의 수직판(12)을 가로질러 설치된다.
상기 체인(50)은 상기 스프로킷(40)에 결합되는 상태로 상기 한쌍의 수직판(12) 외면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체인(50)은 한쪽 끝부분은 상기 작동축(20)에 고정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탄성스프링(55)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10)의 수직판(12) 하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체인(50)의 한쪽 끝부분은 상기 프레임(10)의 수직판(12) 외부에 설치되는 연결판(22)에 고정 연결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작동축(20)에 고정된다.
상기 탄성스프링(55)은 상기 체인(50)에 상기 연결판(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체인(50)을 설치하게 되면, 상기 탄성스프링(55)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체인(50)은 항상 장력이 작용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수직판(12)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판(24)에는 상기 프레임(10)의 수평상판(16)을 관통하는 지지봉(74)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봉(74)을 통하여 지지되는 상기 가압스프링(76)을 상기 수평상판(16)과 연결판(24) 사이에 설치한다.
상기에서 가압스프링(76)은 상기 연결판(24)에 아래쪽으로 미는 힘을 작용시키도록 설치한다.
상기 스프로킷(40), 체인(50), 탄성스프링(55), 지지봉(74), 가압스프링(76) 등은 상기 한쌍의 수직판(12)에 대응하여 양쪽에 각각 한조씩 설치하는 것이 안정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0)의 수평상판(16)에는 상기 조절레버(60)의 회전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작동판(30), (32)이 승강하는 높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일정 단위별로 눈금(65)이 표시되는 눈금판(64)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눈금판(64)의 눈금(65)은 육모상자의 높이 규격과 담겨지는 흙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작동판(30), (32)의 저면 높이가 1∼5mm의 단위로 조절되도록 설정하여 표시한다.
상기 조절레버(70)는 상기 스프로킷(40)의 축(42)에 일체로 고정 설치한다.
상기 조절레버(70)는 한쪽의 스프로킷(40)에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양쪽의 스프로킷(40)에 모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작동판(30), (32)의 상하 위치를 조정(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상기 조절레버(60)를 잡고 시계방향(조절레버(60)가 설치된 쪽에서 보아서)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스프로킷(4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체인(50)을 탄성스프링(55)의 탄성력을 이기고 연결판(22)쪽으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체인(50)이 연결판(22)쪽으로 이동되면, 연결판(22)을 위쪽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제거되고, 상기 지지봉(74)에 설치되는 가압스프링(76)의 탄성력에 의하여 연결판(24)에 아래쪽으로 힘이 가해지고, 작동축(20)이 안내홈(13)을 따 라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판(30), (32)의 하단부 끝부분인 흙제거부(31), (33)의 저면 위치가 육모상자와 가까워지는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면에, 작업자가 상기 조절레버(60)를 잡고 시계반대방향(조절레버(60)가 설치된 쪽에서 보아서)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스프로킷(40)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체인(50)을 탄성스프링(55)쪽으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체인(50)이 탄성스프링(55)쪽으로 이동되면, 탄성스프링(55)의 탄성력에 의하여 장력이 유지되면서 상기 연결판(22)에 위쪽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가해지고, 상기 지지봉(74)에 설치되는 가압스프링(76)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작동축(20)이 안내홈(13)을 따라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판(30), (32)의 하단부 끝부분인 흙제거부(31), (33)의 저면 위치가 육모상자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절레버(60)를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작동판(30), (32)과 육모상자 사이의 간격을 자유자재로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육모상자의 높이 규격에 대응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작동판(30), (32)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눈금판(64)의 눈금(65)과 조절레버(60)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것에 의하여 규격화된 육모상자의 높이와 담겨지는 흙의 높이에 따라 1∼5mm 단위로 작동판(30), (32)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 있어서, 설명하지 않은 참조부호 80은 육모상자의 진입을 안내하는 가이드판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90은 육모상자의 윗면 모서리를 눌러 앞쪽 및 뒤쪽 모서리부분의 흙을 제거할 때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가압롤러를 나타낸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이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장치의 일실시예를 조절레버쪽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조절레버쪽 체인과 스프로킷을 분리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Claims (5)

  1.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쌍의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을 상부쪽에서 연결하여 설치되는 수평상판으로 이루어지는 "ㄷ"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한쌍의 수직판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에 상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는 상단부를 중심으로 서로 벌어졌다 접근하는 각운동을 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작동판과,
    상기 한쌍의 작동판 하단부 끝부분에 형성되며 각각 서로 마주하는 쪽으로 "ㄴ" 형상으로 돌출하도록 굽은 형상의 흙제거부와,
    상기 수직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에 결합되고 한쪽 끝부분은 상기 작동축에 고정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탄성스프링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의 수직판 하단부에 고정되는 체인과,
    상기 수평상판과 작동축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축에 아래쪽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스프링과,
    상기 스프로킷에 한쪽 끝부분이 고정 설치되는 조절레버를 포함하는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은 상기 한쌍의 작동판이 각각 하나씩 대응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2개가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쌍의 작동축 양쪽 끝부분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판을 통 하여 상하 이동이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연결하는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상기 프레임의 수직판을 사이에 두고 내부와 외부에 한조를 이루어 설치하고,
    상기 체인의 한쪽 끝부분은 상기 프레임의 수직판 외부에 설치되는 연결판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수직판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판에는 상기 프레임의 수평상판을 관통하는 지지봉을 설치하고,
    상기 가압스프링을 상기 지지봉을 통하여 지지되고 상기 수직판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판에 아래쪽으로 힘을 가하도록 상기 수평상판과 연결판 사이에 설치하는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수직판에는 상기 작동축의 양쪽 끝부분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안내홈을 상하로 길게 형성하고,
    상기 수직판의 내부쪽에 설치되는 연결판을 상기 작동축의 양쪽 끝부분에 밀착스프링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수직판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수직판의 외부쪽에 설치되는 연결판을 상기 작동축의 양쪽 끝부분에 체결되는 스냅링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설치하는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수평상판에는 상기 조절레버의 회전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작동판이 승강하는 높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일정 단위별로 눈금이 표시되는 눈금판을 설치하는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장치.
KR1020090006916A 2009-01-29 2009-01-29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장치 KR101071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916A KR101071310B1 (ko) 2009-01-29 2009-01-29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916A KR101071310B1 (ko) 2009-01-29 2009-01-29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876A KR20100087876A (ko) 2010-08-06
KR101071310B1 true KR101071310B1 (ko) 2011-10-07

Family

ID=42754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916A KR101071310B1 (ko) 2009-01-29 2009-01-29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3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481B1 (ko) * 2011-10-11 2012-05-15 구기현 파종용 흙공급장치의 흙이탈방지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287Y1 (ko) 2000-07-27 2001-02-15 구진섭 볍씨파종기용 육묘상자의 잔흙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287Y1 (ko) 2000-07-27 2001-02-15 구진섭 볍씨파종기용 육묘상자의 잔흙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876A (ko) 201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8043B2 (ja) 畝立て同時播種機
KR102037034B1 (ko) 수동식 파종기
KR20170108733A (ko) 자석식 곡물파종기
KR100632430B1 (ko) 마늘파종기
CN208768409U (zh) 一种智能装盘播种机
KR101313669B1 (ko) 고구마 종순 심기장치
KR20100087875A (ko) 육모상자용 흙공급장치
KR20090106019A (ko) 양파 육묘정식기
KR101071310B1 (ko) 육모상자의 모서리흙 제거장치
KR100724810B1 (ko) 반자동 육묘 파종기
KR20090020455A (ko) 묘삼 식재기 및 묘삼 식재방법
KR20160118446A (ko) 관리기 부착형 파종장치
JP3243465B2 (ja) 種植え装置
RU160723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агрегат полосного посева трав
JP6309920B2 (ja) 長いもの種芋用の畝立てマルチ装置
JP4612964B2 (ja) 直播機
KR20140002598U (ko) 입식 파종기
KR101958765B1 (ko) 파종기
JP2523280Y2 (ja) 移植機
CN218042375U (zh) 一种用于温室旋耕施肥的装置
JP4568548B2 (ja) 種籾直播機
CN216626618U (zh) 一种拼接式移栽机
CN220570965U (zh) 一种多功能播种机
CN106258043A (zh) 匍匐式保墒松土不伤苗除草机
KR200263923Y1 (ko) 경운기 견인식 주아 파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