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283B1 - 공동주택의 막힘 방지형 배수라인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막힘 방지형 배수라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283B1
KR101071283B1 KR1020110026284A KR20110026284A KR101071283B1 KR 101071283 B1 KR101071283 B1 KR 101071283B1 KR 1020110026284 A KR1020110026284 A KR 1020110026284A KR 20110026284 A KR20110026284 A KR 20110026284A KR 101071283 B1 KR101071283 B1 KR 101071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oreign matter
pipe body
inner tube
ai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우성
Original Assignee
(주)종합건축사사무소 온고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합건축사사무소 온고당 filed Critical (주)종합건축사사무소 온고당
Priority to KR1020110026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2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단에 플랜지(11)가 형성된 외부관체(10):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에어홀(21)을 갖추고서, 외부관체(10)에 내설되어 에어를 공급받아 팽창하는 링 형상의 에어백(20): 에어백(20)의 에어홀(21)과 상호 연통되는 에어홀(31)과, 내주면에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다수개의 경사돌기(32)를 갖추고서, 에어백(20)에 삽입되어 이물질(1)의 역류를 차단하는 탄성재질의 내부관체(30): 에어백(20)과 연결되는 급기관(41)을 갖추고서, 급기관(41)을 매개로 각각의 에어백(20)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펌프(40): 급기관(41)에 각각 구비되어 각각의 에어백(2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자제어밸브(50): 내부관체(3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내부압력을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출력하는 제1·2압력센서(60,60'): 제1·2압력센서(60,60')로부터 측정값을 각각 전달받아 설정 값과 상호 비교하여 설정 값을 규정이상으로 초과하는 경우 에어펌프(40)를 동작제어 함과 동시에 전자제어밸브(50)를 일측에 있는 것부터 타측에 있는 것까지 순차적으로 개폐되도록 동작제어하는 제어유닛(70): 외부관체(10)의 양단 중 오수와 이물질(1)이 배출되는 플랜지(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관체(81)와, 보조관체(81)에 외면으로 돌출된 축(s)을 매개로 보조관체(81)에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82)과, 외면으로 돌출된 축(s)에 설치되어 축(s)의 회전에 따라 전기를 발생하는 자가발전부(83)와, 전선을 매개로 자가발전부(83)와 상호 연결되며 자가발전부(8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램프(84)로 구성된 유동확인장치(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관체에 연결되는 유동확인장치를 통해 평상시 관리자가 관을 분해하지 않고서도 램프의 점등 유무만으로 오수의 유동을 확인할 수 있어 관리를 하는데 있어서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내부관체의 외부에 결합된 다수개의 에어백에 순차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내부관체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을 후방쪽으로 밀어내 배출되도록 하므로서, 배수라인의 내부에 이물질이 쌓여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막힘 방지형 배수라인{Drainage For Preventing Clogging In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막힘 방지형 배수라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는 거주자가 일상생활을 영위해 나가는 과정에 발생하는 생활하수와 같은 오염원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라인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배수라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지름으로 제작된 배수관(A)을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상호 연결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배수라인에는 오수(생활하수) 뿐만 아니라, 머리카락이나 모래 또는 기타 사이즈가 작은 이물질이 유입되기 쉽고, 이러한 이물질은 오수와 함께 섞여 서로 뒤엉키기 쉬우며, 배수관(A)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 서서히 침적되면서 배수관(A) 특히,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배수관(A)에서 자주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곤 하였다.
상기와 같이 배수관(A)이 막힌 경우 통상 긴 꼬챙이를 이용하여 막힌 부분을 뚫어주거나 또는 별도의 용액을 배수관(A)의 내부로 부어 막힌 부분을 뚤어주어야 하는 아주 불편한 문제가 있었으며, 이를 그대로 방치할 경우 배수관(A)의 내부에서 곰팡이와 같은 병원균이 발생하게 되어 악취 및 거주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거주자 또는 관리자가 배수관(A)의 폐구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배수라인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관리자가 관을 분해하지 않고서도 오수의 유동상태를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고, 이물질에 의해 관이 폐구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막힘 방지형 배수라인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외부관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에어홀을 갖추고서, 외부관체에 내설되어 에어를 공급받아 팽창하는 링 형상의 에어백:
에어백의 에어홀과 상호 연통되는 에어홀과, 내주면에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다수개의 경사돌기를 갖추고서, 에어백에 삽입되어 이물질의 역류를 차단하는 탄성재질의 내부관체:
에어백과 연결되는 급기관을 갖추고서, 급기관을 매개로 각각의 에어백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펌프:
급기관에 각각 구비되어 각각의 에어백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자제어밸브:
내부관체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내부압력을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출력하는 제1·2압력센서:
제1·2압력센서로부터 측정값을 각각 전달받아 설정 값과 상호 비교하되, 양 압력센서 간의 측정값이 설정 값 이상 차이가 발생할 경우 에어펌프를 동작제어 함과 동시에 전자제어밸브를 일측에 있는 것부터 타측에 있는 것까지 순차적으로 개폐되도록 동작제어하는 제어유닛:
외부관체의 양단 중 오수와 이물질이 배출되는 플랜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관체와, 보조관체에 외면으로 돌출된 축을 매개로 보조관체에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과, 외면으로 돌출된 축에 설치되어 축의 회전에 따라 전기를 발생하는 자가발전부와, 전선을 매개로 자가발전부와 상호 연결되며 자가발전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램프로 구성된 유동확인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관체에 연결되는 유동확인장치를 통해 평상시 관리자가 관을 분해하지 않고서도 램프의 점등 유무만으로 오수의 유동을 확인할 수 있어 관리를 하는데 있어서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내부관체의 외부에 결합된 다수개의 에어백에 순차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내부관체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을 후방쪽으로 밀어내 배출되도록 하므로서, 배수라인의 내부에 이물질이 쌓여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어유닛은 내부관체의 전후양단에 구비된 제1·2압력센서를 이용하여 내부관체의 내부 전후단의 압력차를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내부관체에 쌓인 이물질의 양을 측정하여 자동으로 내부관체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이물질이 많이 쌓이기 전에 효과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배수라인을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막힘 방지형 배수라인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막힘 방지형 배수라인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막힘 방지형 배수라인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막힘 방지형 배수라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막힘 방지형 배수라인은, 외부관체(10)와 에어백(20), 내부관체(30), 에어펌프(40), 전자제어밸브(50), 제1·2압력센서(60,60'), 제어유닛(70) 및 유동확인장치(80)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관체(10)는 강도가 높은 금속관 또는 합성수지관으로서, 양단에는 다른 외부관체(10)과 상호 이음이 가능하도록 플랜지(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관체(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급기관(41b)이 수직하게 삽입된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11)의 내경은 관의 내경보다는 약간 작고, 외경은 관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11)를 외부관체(10)의 양단에 설치하게 되면, 외부관체(10)의 양단부분이 내향으로 돌출된 돌부가 형성되며, 양단의 돌부 사이로 이후에 설명된 다수개의 에어백(20) 및 내부관체(30)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백(20)은 탄성재질의 고무튜브로서, 외부관체(10)에 등 간격을 이루며 다수 개가 내설되되,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에어홀(21)이 형성되고, 에어를 공급받아 팽창 및 에어홀(21)을 통해 공기를 배출한다.
또한, 상기 에어백(20)에는 외부관체(10)를 관통한 분기관(41b)의 일단이 삽입된다.
특히, 상기 에어백(20)을 설치할 때에는 이후에 설명될 내부관체(30)의 경사돌기(32)를 기준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관체(30)는 탄성재질의 고무관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에어백(20)의 에어홀(21)과 상호 연통되는 에어홀(31)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을 형성되는 경사돌기(3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돌기(32)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레치형상으로 테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유입된 이물질(1)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경사돌기(32)를 설치할 때에는 경사진 부분이 이물질(1) 및 오수가 유입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관체(30)의 양단부는 외부관체(10)의 양단부분에서 내향으로 돌출된 돌부에 접착수단을 매개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상기 에어펌프(40)와 전자제어밸브(50), 제1·2압력센서(60,60'), 제어유닛(70) 및 유동확인장치(80)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에어펌프(40)는 공지의 컴프레셔로서, 전원공급은 외부로부터 받지만 동작제어는 이후에 설명될 제어유닛(7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된다.
상기 에어펌프(40)의 경우 에어백(20)과 연결되는 급기관(41)을 구비한다.
상기 급기관(41)은 에어펌프(40)의 에어토출구(미도시)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41a)와, 일단이 연장부(41a)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외부관체(10)를 관통하여 다수의 에어백(20)에 각각 연결되는 분기부(41b)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에어펌프(40)는 제어유닛(70)으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급기관(41)을 통해 에어백(20)의 내부에 고압의 에어(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전자제어밸브(50)는 공지의 공압솔레노이드로서, 급기관(41)의 분기부(41b)에 각각 설치되어 제어유닛(7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 분기부(41b)를 개폐하므로서 각 분기부(41b)를 통해 각각의 에어백(20)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2압력센서(60,60')는 수압을 측정하는 공지의 수압센서로서, 내부관체(30)의 전후 양단에 구비되어 내부관체(30)의 내부 전단과 후단에 작용되는 수압을 측정한다.
상기 제어유닛(70)은 제1·2압력센서(60,60')로부터 측정값을 각각 전달받아 설정 값과 상호 비교하되, 양 압력센서(60,60') 간의 측정값이 설정 값 이상 차이가 발생할 경우 에어펌프(40) 및 전자제어밸브(50)를 동작제어하여 이물질(1)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내부관체(30)를 따라 오수와 이물질(1)이 이동하는 과정에 이물질(1)의 침적에 의해 점점 퇴적되게 되면서 관의 일부 구간을 막게 되면 오수는 더 이상 흐르지 못하게 되는데, 이를 내부관체(30)를 기준으로 양단에 설치된 제1·2압력센서(60,60')가 각각 감지(측정)하게 되고, 감지된 신호(측정값)는 제어유닛(70)으로 전달되며, 제1압력센서(60)와 제2압력센서(60')가 각각 측정한 값이 설정된 기준 값(제1압력센서와 제2압력센서 간의 압력차)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유닛(7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에어펌프(40)와 전자제어밸브(50)를 동작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유동확인장치(80)는 외부관체(10)의 양단 중 오수와 이물질(1)이 배출되는 플랜지(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관체(81)와; 보조관체(81)에 외면으로 돌출된 축(s)을 매개로 보조관체(81)에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82)과; 외면으로 돌출된 축(s)에 설치되어 축(s)의 회전에 따라 전기를 발생하는 자가발전부(83)와; 전선을 매개로 자가발전부(83)와 상호 연결되며 자가발전부(8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램프(84)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관체(81)의 내부로 오수가 유동할 경우 보조관체(81)의 내부에서 축(s)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82)이 오수의 유동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축(s) 역시 함께 회전하게 되며, 축(s)의 회전 의해 자가발전부(83)의 내부에서는 전기가 발생되며, 발생된 전기는 램프(84)로 전달되어 램프(84)가 점등되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상기 램프(84)의 점등상태를 통해 관의 내부가 막힘 없이 원활하게 흐르고 있음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자가발전부(83)의 경우 공지의 자가발전식 손전등의 원리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관체(30)의 내부에 이물질(1)이 쌓인 상태에서 내부관체(30)의 내부로 오수가 공급되면 이물질(1)에 의해 오수에 유체저항이 가해져, 내부관체(30)의 전단부(유입되는 부분)의 수압이 후단부(유출되는 부분)의 수압에 비해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내부관체(30)의 전후단의 압력차이는 이물질(1)의 양이 많아질수록 증가되므로, 내부관체(30)의 전후단의 압력차이를 측정하여 내부관체(30)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1)의 양을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2압력센서(60,60')에 의해 측정된 내부관체(30)의 전후단의 압력차이가 미리 설정된 압력차에 비해 커지게 될 경우, 제어유닛(70)은 내부관체(30)의 내부에 이물질(1)이 많이 쌓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에어펌프(40)와 저자제어밸브(50)를 제어하여, 각 에어백(20)에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70)은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오수가 유입되는 부분)의 전자제어밸브(50)를 먼저 개방하여 전방의 에어백(20)에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 후, 점진적으로 후방(오수가 유출되는 부분)의 에어백(20)에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70)은 전자제어밸브(50)가 개방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전자제어밸브(50)를 폐쇄하여 에어백(20)에 더 이상의 공기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며,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에어홀(21,31)을 통해 내부관체(30)의 내부로 배출되므로, 에어백(20)은 점차 축소되어 원래의 크기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전방의 에어백(20)에서부터 후방의 에어백(20)으로 순차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팽창시키면, 에어백(20)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순차적으로 내부관체(30)의 둘레면을 가압하여 내부관체(30)의 내경이 좁아지도록 하므로써, 내부관체(30)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1)을 후방으로 밀어내어 배출시킨다.
이와 같은 작용은 순대의 내부에 속을 채울 때 순대의 입구부분으로 순대의 속을 집어넣은 후 순대의 둘레면을 손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뒤쪽으로 밀어 내용물이 뒤쪽으로 밀려가도록 하는 것과 유사하다.
이때, 상기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급된 고압의 공기는 상기 에어홀(21,31)을 통해 내부관체(30)의 내부로 유입되어 내부관체(30)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1)이 상측으로 떠오르도록 하므로서, 이물질(1)이 더욱 효과적으로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이물질(1)은 상기 경사돌기(21)에 걸려 전방으로 역류하지 않고 후방으로만 밀려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배수관을 연결하여 배수라인을 구성한 상태에서, 배수관(A), 특히, 내부관체(30)의 내부에 이물질(1)이 쌓이게 되면, 상기 제어유닛(70)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에어펌프(40)와 전자제어밸브(50)를 제어하여 전방의 에어백(20)에서부터 후방의 에어백(20)까지 순차적으로 팽창되도록 하므로써, 내부관체(30)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1)을 후방으로 밀어 내여 배출시키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이물질(1)을 완전히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관체(81)의 내부로 오수가 유동할 경우 보조관체(81)의 내부에서 축(s)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82)이 오수의 유동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축(s) 역시 함께 회전하게 되며, 축(s)의 회전 의해 자가발전부(83)의 내부에서는 전기가 발생되며, 발생된 전기는 램프(84)로 전달되어 램프(84)가 점등되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상기 램프(84)의 점등상태를 통해 관의 내부가 막힘 없이 원활하게 흐르고 있음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동주택의 막힘 방지형 배수라인은 내부관체(30)의 외부에 결합된 다수개의 에어백(20)에 순차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내부관체(30)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1)을 후방쪽으로 밀어내어 배출되도록 하므로서, 배수라인의 내부에 이물질(1)이 쌓여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관체(10)에 연결되는 유동확인장치(80)르 통해 평상시 관리자가 관을 분해하지 않고서도 램프(84)의 점등 유무만으로 오수의 유동을 확인할 수 있어 관리를 하는데 있어서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70)은 내부관체(30)의 전후양단에 구비된 제1·2압력센서(60,60')를 이용하여 내부관체(30)의 내부 전후단의 압력차를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내부관체(30)에 쌓인 이물질(1)의 양을 측정하여 자동으로 내부관체(30) 내부의 이물질(1)을 제거하므로, 이물질(1)이 많이 쌓이기 전에 효과적으로 이물질(1)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20)과 내부관체(30)에는 상호 연통되는 에어홀(21,31)이 형성되어, 에어백(20)의 내부로 공급된 고압의 공기가 에어홀(21,31)을 통해 내부관체(30)의 내부로 유입되어 내부관체(30)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1)이 상측으로 떠오르도록 하므로, 이물질(1)이 더욱 효과적으로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내부관체(30)의 내주면에는 레치형태의 경사돌기(21)를 형성하여 줌으로서, 에어백(20)과의 상호 작용시 내부관체(30)의 쌓인 이물질(1) 및 오수를 유출부분을 향해 용이하게 밀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1) 및 오수의 역류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외부관체 11: 플랜지 20: 에어백
21: 에어홀 30: 내부관체 31: 에어홀
32: 경사돌기 40: 에어펌프 41: 급기관
41a: 연장부 41b: 분기부 50: 전자제어밸브
60.60': 제1·2압력센서 70: 제어유닛 80: 유동확인장치
81: 보조관체 82: 회전판 83: 자가발전부
84: 램프 S: 축

Claims (1)

  1. 양단에 플랜지(11)가 형성된 외부관체(10):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에어홀(21)을 갖추고서, 외부관체(10)에 내설되어 에어를 공급받아 팽창하는 링 형상의 다수개의 에어백(20):
    에어백(20)의 에어홀(21)과 상호 연통되는 에어홀(31)과, 내주면에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다수개의 경사돌기(32)를 갖추고서, 에어백(20)에 삽입되어 이물질(1)의 역류를 차단하는 탄성재질의 내부관체(30):
    에어백(20)과 연결되는 급기관(41)을 갖추고서, 급기관(41)을 매개로 각각의 에어백(20)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펌프(40):
    급기관(41)에 각각 구비되어 각각의 에어백(2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자제어밸브(50):
    내부관체(3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압력을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출력하는 제1·2압력센서(60,60'):
    제1·2압력센서(60,60')로부터 측정값을 각각 전달받아 설정 값과 상호 비교하되, 양 압력센서(60,60') 간의 측정값이 설정 값 이상 차이가 발생할 경우 에어펌프(40)를 동작제어 함과 동시에 전자제어밸브(50)를 일측에 있는 것부터 타측에 있는 것까지 순차적으로 개폐되도록 동작제어하는 제어유닛(70):
    외부관체(10)의 양단 중 오수와 이물질(1)이 배출되는 플랜지(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관체(81)와, 보조관체(81)에 외면으로 돌출된 축(s)을 매개로 보조관체(81)에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82)과, 외면으로 돌출된 축(s)에 설치되어 축(s)의 회전에 따라 전기를 발생하는 자가발전부(83)와, 전선을 매개로 자가발전부(83)와 상호 연결되며 자가발전부(8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램프(84)로 구성된 유동확인장치(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막힘 방지형 배수라인.
KR1020110026284A 2011-03-24 2011-03-24 공동주택의 막힘 방지형 배수라인 KR101071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284A KR101071283B1 (ko) 2011-03-24 2011-03-24 공동주택의 막힘 방지형 배수라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284A KR101071283B1 (ko) 2011-03-24 2011-03-24 공동주택의 막힘 방지형 배수라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1283B1 true KR101071283B1 (ko) 2011-10-07

Family

ID=45032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284A KR101071283B1 (ko) 2011-03-24 2011-03-24 공동주택의 막힘 방지형 배수라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2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734B1 (ko) 2011-09-01 2012-04-06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관리보수가 용이한 상하수관 연결구조
KR20160119984A (ko) 2015-04-07 2016-10-17 이기호 배관용 역류방지장치
KR101722193B1 (ko) * 2016-10-10 2017-03-31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공동주택의 드레인 환경 개선용 배관라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7132A (ja) 1999-03-12 2000-09-19 Nobuo Ogawa 詰まり配管の貫通装置
JP2005133386A (ja) 2003-10-29 2005-05-26 Nagoya Doro Engineer Kk 排水管洗浄装置
KR200401001Y1 (ko) 2005-08-10 2005-11-15 이철민 관로 보수용 미장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7132A (ja) 1999-03-12 2000-09-19 Nobuo Ogawa 詰まり配管の貫通装置
JP2005133386A (ja) 2003-10-29 2005-05-26 Nagoya Doro Engineer Kk 排水管洗浄装置
KR200401001Y1 (ko) 2005-08-10 2005-11-15 이철민 관로 보수용 미장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734B1 (ko) 2011-09-01 2012-04-06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관리보수가 용이한 상하수관 연결구조
KR20160119984A (ko) 2015-04-07 2016-10-17 이기호 배관용 역류방지장치
KR101722193B1 (ko) * 2016-10-10 2017-03-31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공동주택의 드레인 환경 개선용 배관라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1283B1 (ko) 공동주택의 막힘 방지형 배수라인
US20170320111A1 (en) Side-opening sleeve valve
CN101611201A (zh) 真空污水系统
WO2006060415A3 (en) Surface mount or low profile hazardous condition detector
KR101254133B1 (ko) 부력흡출기를 가지는 급수장치
CN108679451A (zh) 一种高楼建筑排水管路堵塞故障定位监控装置
KR20130048997A (ko) 공기발생장치
CN110242312A (zh) 一种防堵结构、一种盾构机排污防堵装置及其应用
CN103924646B (zh) 一种将生活废水收集用于冲厕的装置
CN201817902U (zh) 一种填埋气集气管的冷凝水排放结构
KR101071276B1 (ko) 공동주택의 드레인 환경 개선용 배관라인
KR101071284B1 (ko) 공동주택의 누수방지용 드레인라인
KR101044722B1 (ko) 생활 폐기물 자동 집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68058A (ko) 무동력 양변기용 막힘 제거 장치
KR101143481B1 (ko) 수돗물 누수 경보장치
KR20100088980A (ko) 하수관의 지관 플러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의 물돌리기 공법
CN104532929A (zh) 一种解便器自动冲水装置
KR102041291B1 (ko) 우수 수집조의 악취 누출 방지용 탈취 시스템
KR101722193B1 (ko) 공동주택의 드레인 환경 개선용 배관라인
KR101132734B1 (ko) 관리보수가 용이한 상하수관 연결구조
CN208945957U (zh) 一种增压清洗设备
CN202621529U (zh) 胶塞清洗机的积水排放装置
KR20160148922A (ko) 취수 여과장치
CN104099915B (zh) 带有阀板式气动阀门的水渠放水设施
CN204417860U (zh) 出水口外带储水箱的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