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638B1 - 다기능 액자 - Google Patents

다기능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638B1
KR101070638B1 KR1020090075035A KR20090075035A KR101070638B1 KR 101070638 B1 KR101070638 B1 KR 101070638B1 KR 1020090075035 A KR1020090075035 A KR 1020090075035A KR 20090075035 A KR20090075035 A KR 20090075035A KR 101070638 B1 KR101070638 B1 KR 101070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icture
pedestal
fram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7526A (ko
Inventor
김기영
정미선
Original Assignee
정미선
김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미선, 김기영 filed Critical 정미선
Priority to KR1020090075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638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47G1/0622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with 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A01M13/003Enclosures for fumigation, e.g. containers, bags or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7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using adhesives, suction or magnet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24Appliances for adjus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into a desired position, especially inclin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2Picture frames employ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식 모기향과 방향제를 설치하여 모기나 파리 등과 같은 해충을 제거할 수 있고, 사진 또는 그림 등을 간편하게 교체하고, 보조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액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액자는, 사진 또는 그림이 부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을 조명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부재와, 매트형 모기향을 거치하여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모기향 설치부 및 상기 본체가 세워지는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배면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75035
사진, 조명, 받침대, 액자

Description

다기능 액자{A PICTURE FRAME}
본 발명은 다기능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트식 모기향과 방향제를 설치하여 모기나 파리 등과 같은 해충을 제거할 수 있고, 사진 또는 그림 등을 간편하게 교체하고, 보조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사진이나 그림 등을 책상이나 가구 위에 간편하게 세워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내부에 사진이나 그림이 수납되는 것으로, 사진이나 그림의 모양에 따라 그 형태나 모양이 다양하게 제작된다.
이러한 통상의 액자는 사각 형태의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설치되는 투명한 유리판과, 프레임에 삽입되는 사진 또는 그림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유리판의 후방에서 프레임에 결합되는 커버 및 프레임이 지면에 대하여 일정각도를 가지면서 세워지도록 커버에 결합되는 받침대로 구성된다. 그리고 커버는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립을 통해 프레임에 고정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액자에 삽입되는 사진이나 그림을 보다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외부 프레임에 여러 형태의 문양을 새기거나 또는 악세사리를 부착한 액자가 제작되기도 한다. 또한, 액자가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그 부품을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액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액자는 단순히 사진을 끼워 전시하는 기능이외의 다른 기능이 없어 그 사용이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사진을 설치하거나 또는 교체하기 위하여 클립을 이용하여 프레임에서 커버를 분리하여 사진을 삽입한 후, 다시 클립을 통해 고정판을 프레임에 고정하여야 하므로, 사진을 교체하기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액자는 프레임이 받침대에 의하여 한 쪽 방향으로만 지지되므로, 가로 또는 세로로 그 방향을 바꿔 가면서 세울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가구의 측면이나 벽 등에는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매트식 모기향과 방향제를 설치하여 방향기능과 함께 모기나 파리 등과 같은 해충을 제거할 수 있는 다기능 액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진 또는 그림 등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 라, 가로 또는 세로의 설치 방향을 간편하게 변경하고, 보조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액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는, 사진 또는 그림이 부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을 조명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부재와, 매트형 모기향을 거치하여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모기향 설치부; 및 상기 본체가 세워지는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배면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다기능 액자는, 방향제를 장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방향제 설치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방향제설치부가 형성되는 상기 본체 부위에 향기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기능 액자는, 상기 사진 또는 그림을 상기 본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사진 또는 그림이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로 구성되는 사진부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기능 액자는, 상기 받침대 및 상기 본체는 상호 탈착될 수 있도록 자석이 고정되는 고정리브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리브가 형성되는 부위에 상호 쌍을 이루어 결합되는 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받침대에서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조명부재 및 모기향설치부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 및 상기 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사진 또는 그림이 부착되며, 상기 조명부재에서 발광되는 빛이 상기 사진 또는 그림으로 조명될 수 있도록 빛이 투과되는 투과부가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발광소자가 마련되는 피씨비; 및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광되는 빛을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확산 및 반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발광소자의 전방에 설치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에 의하면, 매트식 모기향과 방향제가 본체의 패널에 설치되므로, 실내의 공기를 방향(芳香)할 수 있고, 모기나 파리 등과 같은 해충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진부착부재를 이용하여 사진 또는 그림 등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가 지지되는 받침대의 설치방향을 가로 또는 세로 방향 으로 간편하게 변경하고 자석을 통해 본체를 철재로 이루어진 가구 등에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으므로, 액자를 보다 다양한 형태로 설치함은 물론 액자를 보조조명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의 구성을 나타낸 전면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의 구성을 나타낸 배면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의 구성을 나타낸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체 및 받침대의 구성을 나타낸 도 4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액자(100)는 본체(110) 와, 이 본체(11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진 또는 그림이 부착되는 사진부착부재(120)와, 본체(110)의 전방을 조명할 수 있도록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부재(130)와, 매트형 모기향(101)을 부착할 수 있도록 본체(110)에 마련되는 모기약 설치부(140) 및 본체(110)를 세울 수 있도록 본체(110)를 지지하는 받침대(150)를 포함한다.
또한, 다기능 액자(100)는 방향제(102)를 장착할 수 있도록 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방향제설치부(160)를 더 포함한다.
본체(110)는 전면에 조명부재(130)가 설치되고 배면에 받침대(15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111)과, 패널(111)의 전면에 결합되며 사진부착부재(120)가 탈착되는 하우징(113)을 포함한다.
패널(111)은 받침대(150)가 탈착될 수 있도록 받침대(150)가 부착되는 부위에 자석(103)이 장착되며, 자석(103)이 고정될 수 있도록 자석(103)이 억지 끼워 맞춤되는 고정리브(111a)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고정리브(111a)는 본체(110)가 세워지는 방향에 따라 받침대(150)를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그 부착되는 방향을 전환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패널(111)의 가로 및 세로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다.
한편, 패널(111) 및 받침대(150)에는 패널(111)에 받침대(150)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부(170)가 상호 쌍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결합부(170)는 패널(111)에 형성되는 결합홈(171)과, 이 결합홈(171)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받침대(150)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173)를 포함한다.
결합부(170)의 결합홈(171)은 고정리브(111a)의 외측에 복수개 형성되는데, 이는 받침대(15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패널(111)은 본체(110)가 세워지는 방향에 따라 받침대(150)가 부착되는 방향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용이하게 전환되어 부착될 수 있도록 고정리브(111a) 및 결합홈(171)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패널(111)은 받침대(150)를 세로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한 어느 하나의 고정리브(111a) 및 결합홈(171)이 중앙을 기준으로 그 상측에 형성되며, 결합홈(171)이 패널(111)의 세로방향을 따라 고정리브(111a)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된다. 또한, 패널(111)은 받침대(150)를 가로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고정리브(111a) 및 결합홈(171)이 중앙을 기준으로 어느 하나의 고정리브(111a) 및 결합홈(171)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결합홈(171)이 패널(111)의 가로방향을 따라 고정리브(111a)의 양측에 형성된다.
즉, 패널(111)은 결합부(170)의 결합홈(171)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체(110)의 방향 전환에 따라 받침대(150)의 방향을 간편하게 전환하여 패널(111)에 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받침대(150)가 결합홈(171)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받침대(15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패널(111)의 고정리브(111a) 및 결합홈(171)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결합홈(171)을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하나만 형성할 수도 있다.
본체(110)의 하우징(113)은 조명부재(130)에서 발광되는 빛이 본체(110)의 전방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빛이 통과되도록 빛 투과부(113a) 형성되고, 상단부 및 하단부에 사진부착부재(120)가 결합되도록 결합구멍(113b)이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투과부(113a)는 구멍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3)의 결합구멍(113b)은 후술할 사진부착부재(120)의 홀더(123)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하우징(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며 슬롯 형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패널(111)의 배면에 탈착되는 받침대(150)는 패널(111)에 부착되는 고정부(151)와, 본체(110)를 지지하는 지지부(153)로 이루어져 있다. 받침대(150)의 고정부(151)에는 패널(111)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패널(111)의 자석(103)에 부착되는 자석(103)이 마련되고, 이 자석(103)이 삽입되는 고정리브(151a)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받침대(150)는 본체(110)가 세워지는 방향에 따라 방향이 전환되어 패널(111)에 결합될 때 그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패널(111)의 결합홈(171)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73)가 고정부(151)에 형성된다. 즉, 받침대(150)는 본체(110)가 세워지는 방향이 전환되면 그 전환되는 방향에 따라 패널(111)의 어느 하나의 자석(103) 및 결합홈(171)을 통해 패널(111)에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부착된다.
하우징(113)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사진부착부재(120)는 내부에 사진(P)이 부착되는 한 쌍의 투명한 고정판(121)과, 이 고정판(121)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123)를 포함한다. 고정판(121)은 아크릴수지 또는 합성수지에 의하여 투명하게 제작되며,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마련된다. 이러한 한 쌍의 고정판(121)은 그 사이에 사진 또는 그림 등이 마련되면 상호 접촉되고, 상호 접촉된 고정판(121)은 그 사이의 내용물이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단부 및 하단부가 홀더(123)에 의하여 각각 고정되어 밀착 고정된다.
또한, 고정판(121) 중 내측에 위치되는 어느 하나의 고정판(121)은 반투명체에 의해 제작된다. 이는 고정판(121)에 사진을 끼우지 않고 액자(100)를 보조조명기구로 사용할 경우 조명부재(130)에서 발광되는 빛이 반투명 고정판(121)을 통해 액자(100)의 외부로 약하게 확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액자(100)를 스탠드와 같이 간접조명으로 사용할 때 조명부재(130)에서 발광되는 빛이 반투명체의 고정판(121)에 의하여 액자(100)의 외부가 너무 밝게 조명되는 것이 방지된다.
더하여, 고정판(121)은 탄성을 가지도록 제작되는데, 이는 홀더(123)를 하우징(113)에서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판(121)을 홀더(123)에서 간편하게 분리 또는 결합하여 사진 교체를 보다 간편하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는 고정판(121)이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직사각 형태 이외에의 다각형이나 원형 또는 기호나 문자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고정판(121)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123)는 하우징(113)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대응되도록 각각 설치되며, 고정판(121)이 삽입되어 밀착되도록 고정홈(123a)이 형성된다. 하우징(113)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123)는 하우징(113)의 결합 구멍(113b)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결합구멍(113b)에 삽입되는 결합리브(125)가 배면에 돌출 형성된다. 이때, 홀더(123)의 결합리브(125)는 일정간격을 두고 양립되게 형성되며, 외측에 결합구멍(113b)에 삽입되어 하우징(113)에 내측에 걸리는 걸림돌기(125a)가 돌출 형성된다.
즉, 하우징(113)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홀더(123)는 결합리브(125)가 하우징(113)의 결합구멍(113b)에 삽입된 후, 결합구멍(113b)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슬라이딩되면 결합리브(125)가 하우징(113)의 내면에 걸리면서 하우징(113)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액자(100)에 부착되는 사진이나 그림을 조명하거나 또는 액자(100)를 보조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부재(130)는 발광소자(133)가 마련되어 패널(111)에 설치되는 피씨비(PCB)(131)와, 발광소자(133)에서 발광되는 빛을 하우징(113)의 전방으로 확산 및 반사시키는 리플렉터(135)를 포함 한다.
피씨비(131)는 발광소자(133)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배면에 배터리(도시생략)가 마련되며, 어댑터를 통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함은 물론 외부전원을 발광소자(133)로 직접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어댑터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도시생략)가 마련된다. 또한, 피씨비(131)에는 발광소자(133)를 온(ON)/오프(OFF)할 수 있도록 스위치(137)가 더 구비된다. 스우치(137)는 패널(111)에 형성되는 구멍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리플렉터(135)는 하우징(113)의 투과부(113a)에 부착되며, 전면에 빛을 산란 및 확산시킬 수 있도록 사각뿔 형태의 반사돌기(도시생략)가 복수개 돌출 형성된다.
도 2,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기향 설치부(140) 및 방향제설치부(16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의 구성을 나타낸 도 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의 구성을 나타낸 도 1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매트형 모기향을 설치할 수 있는 모기향 설치부(140)는 패널(111)의 배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모기향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판(141)이 마련된다. 또한, 모기향 설치부(140)에는 모기향이 고정되도록 가열판(141)에서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복수의 고정리브(143)가 돌출 형성된다. 고정리브(143)는 모기향을 모기향 설치부(140)의 상측에서 삽입할 있도록 모기향 설치부(140)의 양측 및 하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다기능 액자(100)는 모기향 설치부(140)가 마련되어 있어 모기나 파리 등과 같은 해충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2,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패널(113)에는 방향제(102)를 장착할 수 있도록 방향제설치부(160)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방향제설치부(160)가 형성되는 패널(113)의 부위에는 방향제(102)의 향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향기배출공(16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액자(100)가 설치되는 실내의 내부 공기가 방향제(102)에 의해 향기롭게 유지된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패널(111) 배면에 부착되는 고정플레이트(180)를 이용하여 벽, 유리, 가구 등과 같은 비자성체에도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111)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180)는 액자(100)가 벽, 유리, 가구 등과 같은 비자성체에도 부착될 수 있도록 그 일면에 양면테이프(181) 또는 접착제가 마련되며, 액자(100)에서 받침대(150)가 제거된 상태에서 그 타면이 패널(111)의 자석(103)을 통해 패널(111)의 배면에 자력에 의해 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180)를 벽, 유리, 가구 등의 비자성체에 부착하면 양면테이프(181) 또는 접착제에 의하여 액자(100)가 비자성체에도 접합되어 고정된다. 한편, 고정플레이트(180)의 일면에 마련되는 양면테이프(181) 또는 접착제에는 사용하지 않을 때 그 접착력이나 보존기간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이형지(도시생략)가 부착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액자(100)를 가구 위에 세워서 설치할 경우에는 본체(110)가 받침대(150)에 지지되어 세워질 수 있도록 받침대(150) 및 패널(111)에 각각 마련되는 자석(103)을 통해 받침대(150)를 본체(110)의 배면에 부착한다. 이때, 패널(111) 및 받침대(150)에 형성되는 결합부(170)의 결합돌기(173)가 결합홈(171)에 삽입되므로, 받침대(150)가 본체(11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패널(111)에는 자석(103) 및 결합홈(171)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각각 마련되어 있어서, 액자(100)가 세워지는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에 따라 본체(110)를 지지하는 받침대(150)의 방향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이하게 전환하여 본체(110)에 부착할 수 있다.
더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액자(100)는 현관문, 냉장고 등과 같은 철재 제품 또는 유리나 벽과 같은 비자성체에도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자(100)를 현관문, 냉장고 등과 같은 철재 제품인 자성체에 부착할 때에는 액자(100)에서 받침대(150)를 제거하고, 본체(110)에 마련되는 자석(103)의 자력을 이용하여 액자(100)를 철재제품에 부착하여 고정한다.
또한, 액자(100)를 벽, 유리, 가구 등과 같은 비자성체에 부착할 때에는 받침대(150)를 제거한 후에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플레이트(180)를 패널(11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부착한다. 이때, 고정플레이트(180)가 자성체에 의하여 제작되어 있어 패널(111)에 마련된 자석(103)의 자력에 의하여 패널(111)에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플레이트(180)의 일면에 마련되는 양면테이프(181)의 접착력을 통해 액자(100)를 벽, 유리, 가구 등의 비자성체에 부착한다.
한편, 위와 같이 가구, 출입문, 가전제품 등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가 가능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100)는 탄성체의 고정판(121)을 통해 액자(100)의 사진(P)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단부 및 하단부가 홀더(123)의 고정홈(123a)에 삽입되어 있는 고정판(121)을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단부를 구부려 홀더(123)의 고정홈(123a)에서 빼낸 후, 고정판(121)을 분리하여 그 사이에 개재된 사진을 빼낸다. 그리고 교체하고자 하는 사진을 고정판(121) 사이에 위치시키고, 한 쌍의 고정판(121)을 상호 접촉시킨 후, 접촉된 고정판(121)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홀더(123)의 고정홈(123a)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사진을 간편하게 교체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100)는 내부에 마련되는 조명부재(130)를 이용하여 보조조명기구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액자(100)의 내부에 발광소자(133)가 구비되고, 이 발광소자(133)에서 발광되는 빛이 리플렉터(135)를 통해 액자(100)의 전방으로 확산된다. 이에 따라, 다기능 액자(100)에 삽입되어 있는 사진(P)의 주위가 조명부재(130)에서 발광되는 빛에 의하여 조명되므로, 사진(P)을 보다 아름답고 돋보이게 할 수 있다.
또한, 액자(100)에서 사진(P)을 제거하면, 조명부재(130)에서 발광되는 빛이 액자(100)의 외부로 더욱 밝게 비추게 되므로, 액자(100)를 현관문 등에 설치할 경우 통로를 조명하는 보조조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100)는 모기향 설치부(140)에 매트형 모기향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모기나 파리 등과 같은 해충을 제거할 수 있으며, 더하여, 패널(111)의 내부에 방향제(102)가 설치되는 방향제설치부(16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액자(100)가 설치되는 실내의 내부 공기를 향기롭게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의 구성을 나타낸 전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의 구성을 나타낸 배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의 구성을 나타낸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체 및 받침대의 구성을 나타낸 도 4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의 구성을 나타낸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의 구성을 나타낸 도 1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의 배면에 고정플레이트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 액자 110 : 본체
111 : 패널 113 : 하우징
120 : 사진부착부재 121 : 고정판
123 : 홀더 130 : 조명부재
131 : 피씨비 135 : 리플렉터
140 : 모기향 설치부 150 : 받침대
103 : 자석 160 : 방향제설치부
102 : 방향제 101 : 모기향

Claims (7)

  1. 사진 또는 그림이 부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을 조명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부재; 매트형 모기향을 거치하여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모기향 설치부; 및 상기 본체가 세워지는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배면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가 상기 조명부재 및 상기 모기향설치부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 및 상기 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사진 또는 그림이 부착되며, 상기 조명부재에서 발광되는 빛이 상기 사진 또는 그림으로 조명될 수 있도록 빛이 투과되는 투과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2. 제 1 항에 있어서,
    방향제를 장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방향제 설치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방향제설치부가 형성되는 상기 본체 부위에 향기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또는 그림을 상기 본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사진 또는 그림이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로 구성되 는 사진부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및 상기 본체는 상호 탈착될 수 있도록 자석이 고정되는 고정리브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리브가 형성되는 부위에 상호 쌍을 이루어 결합되는 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받침대에서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발광소자가 마련되는 피씨비; 및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광되는 빛을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확산 및 반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발광소자의 전방에 설치되는 리플렉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KR1020090075035A 2009-08-14 2009-08-14 다기능 액자 KR101070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035A KR101070638B1 (ko) 2009-08-14 2009-08-14 다기능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035A KR101070638B1 (ko) 2009-08-14 2009-08-14 다기능 액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526A KR20110017526A (ko) 2011-02-22
KR101070638B1 true KR101070638B1 (ko) 2011-10-07

Family

ID=43775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035A KR101070638B1 (ko) 2009-08-14 2009-08-14 다기능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6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15963A (zh) * 2015-12-16 2016-03-23 罗建华 一种野外写生时具有驱除蚊虫功能的画板架
KR20160101657A (ko) 2015-02-17 2016-08-25 이재우 다기능 액자
KR20230033539A (ko) 2021-09-01 2023-03-08 이재우 다기능 액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703B1 (ko) * 2011-10-27 2014-11-18 김향순 곡면액자의 사진고정판 및 사진고정판 부착방법
KR200483301Y1 (ko) * 2015-12-08 2017-04-25 황미경 액자
KR102375071B1 (ko) * 2020-04-02 2022-03-16 (주)포스트에스 해충 퇴치용 액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385Y1 (ko) 2002-05-28 2002-08-13 김명각 조명장치가 내장된 액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385Y1 (ko) 2002-05-28 2002-08-13 김명각 조명장치가 내장된 액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1657A (ko) 2015-02-17 2016-08-25 이재우 다기능 액자
CN105415963A (zh) * 2015-12-16 2016-03-23 罗建华 一种野外写生时具有驱除蚊虫功能的画板架
KR20230033539A (ko) 2021-09-01 2023-03-08 이재우 다기능 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526A (ko) 201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638B1 (ko) 다기능 액자
AU2004254375B2 (en) Flameless candle with air intake chamber and air outflow chamber
US5950355A (en) Flying insect trap with decorative frame mount
US7146760B2 (en)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lluminated object
AU2008244902A1 (en) Shelf for depositing a keyboard
JP2023507265A (ja) 香り付き電子キャンドル
KR20060121762A (ko) 조명 기능을 갖춘 장식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기 기기
JP4367269B2 (ja) スイッチ
US4506993A (en) Rectangular framed advertising display clock
KR101031009B1 (ko) 액자
KR200365750Y1 (ko) 도광판을 사용한 조명선반
US20100088941A1 (en) Frame with illuminated picture
KR200396071Y1 (ko) 화상(사진, 그림 등)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
KR200477923Y1 (ko) 다기능 피규어 받침대
JP3130514U (ja) ティッシュボックスホルダ
JP4114187B2 (ja) 害虫捕獲装置
CN213284576U (zh) 一种多功能消毒装置
CN215523052U (zh) 一种双面发光多功能磁吸灯
CN210390695U (zh) 一种易装配的太阳能车用熏香座
CN211021685U (zh) 一种自动化的储物柜
CN216665983U (zh) 一种易拆装的风扇灯
KR200391664Y1 (ko) 액자형 냉난방기 및 공기청정기의 액자 탈부착구조
CN218095714U (zh) 移动电池橱柜灯
KR102369575B1 (ko) 사인 패널
KR20220094978A (ko) 향기 확산 광고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