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071Y1 - 화상(사진, 그림 등)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 - Google Patents

화상(사진, 그림 등)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071Y1
KR200396071Y1 KR20-2005-0017924U KR20050017924U KR200396071Y1 KR 200396071 Y1 KR200396071 Y1 KR 200396071Y1 KR 20050017924 U KR20050017924 U KR 20050017924U KR 200396071 Y1 KR200396071 Y1 KR 200396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cture
image
predetermined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왕현
유병헌
Original Assignee
최왕현
유병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왕현, 유병헌 filed Critical 최왕현
Priority to KR20-2005-0017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0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0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05Picture frames made from extruded or moulded profiles, e.g. of plastic or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47G1/0622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with 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2001/005Frames made from flexible material, e.g. rub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66Frontloading picture fr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자 또는 발광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진이나 그림이 표현된 화상을 액자의 전면에서 교체할 수 있도록 투명필름으로 이루어진 전면판에 테이프형 영구자석을 설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후면판이나 도광판에는 금속띠 혹은 테이프형 자석를 설치함으로써 벽에 걸린 액자를 떼어내지 않고 벽에 걸린 상태에서도 손쉽게 사진이나 그림을 교체할 수 있는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는, 소정 크기와 형태를 갖는 액자틀과; 상기 액자틀의 전면에서 설치되고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필름상에 사진이나 그림이 표현되는 소정 크기의 화상과: 상기 액자틀의 후면에 설치되어 소정의 면발광을 제공하는 면발광수단과; 상기 면발광수단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면발광수단을 보호하는 후면판과; 상기 화상의 전면에 밀착하게 설치되고 소정의 테이프형 영구자석이 설치된 투명 전면판과; 상기 투명 전면판에 설치된 영구자석에 대응하도록 상기 면발광수단의 전면에 설치된 금속띠 혹은 테이프형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화상(사진, 그림 등)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The frame which is eas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picture board}
본 고안은 액자 또는 발광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진이나 그림이 표현된 화상을 액자의 전면에서 교체할 수 있도록 투명필름으로 이루어진 전 낯에 영구자석을 설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후면 판이나 도광판에는 금속 띠를 설치함으로써 벽에 걸린 액자를 떼어내지 않고 벽에 걸린 상태에서도 손쉽게 사진이나 그림을 교체할 수 있는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액자 틀(3)과, 이 액자틀(3)의 후면으로 설치되는 투명 전면판(4), 사진이나 그림이 표현된 소정 크기의 화상(그림 또는 사진이 표현된 판재)(5), 상기 화상(5)의 후방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후면판(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투명 전면판(4)은 화상(5)의 전면에 설치되어 화상을 보호하는 유리판이고, 상기 후면판(6)은 그 테두리에 설치된 다수의 고정구(61)를 통해서 전면판(4)과 화상(5)을 액자틀(3)에 고정하는 판재이다. 따라서 이러한 액자(1)는 화상(5)을 게시하거나 교체할 때 후면판(6)을 먼저 분리한 뒤 화상(5)을 분리하거나 설치하여야 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투명필름상에 사진이나 그림을 표현하고 바로 뒤쪽에 발광수단을 제공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사진이나 그림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발광액자가 개발되었다. 도 2는 종래의 발광액자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발광액자(10)는, 소정 크기의 액자틀(13), 이 액자틀(13)의 후면으로부터 차례로 설치되는 투명 전면판(14), 투명필름상에 사진이나 그림이 표현된 화상(15), 상기 화상(15) 쪽으로 빛을 발광하는 도광판(17) 및 상기 도광판(17)의 후면에 고정되는 후면판(16)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투명 전면판(14)은 화상(15)의 전면에 설치되어 그림이나 사진을 보호하는 투명한 유리판이고, 상기 도광판(17)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빛을 발광하는 광원(11)이 설치되며, 상기 후면판(16)은 고정구(161)를 통해서 액자틀(13)의 후면에 고정되는 불투명 판재이다. 따라서 이러한 발광액자(10)의 경우도 화상(15)을 설치하거나 교체할 때는 반드시 후면판(16)과 도광판(17)을 먼저 분리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액자(1)나 발광액자(10)는 화상(5)(15)을 설치하거나 교체하고자 할 때, 후면판(6)(16)의 고정구(61)(161)를 해제하여 후면판(6)(16)을 먼저 액자틀(3)(13)로부터 분리하여야 한다. 따라서 벽에 걸려 있는 종래의 액자(1)나 발광액자(10)의 화상(4)(14)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액자(1)(10)를 벽에서 떼어낸 다음, 후면판(6)(16)을 분리하여 화상(5)(15)을 교체한 후, 다시 액자(1)(10)를 벽에 걸어야 한다. 그러므로 액자가 크고 무거운 경우, 두 사람 이상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고, 액자를 벽에서 떼었다 붙이는 과정에서 액자가 파손되거나 잘못하여 다치는 문제도 발생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일반 가정에서는 화상(4)(14)을 자주 교체하지 못하고 원래 부착되어 있는 그림이나 사진을 그대로 게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액자(1)(10)는 후면판(6)(16)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므로 액자의 설치방식이나 장소가 한정되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액자의 전면을 통해서 화상을 교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액자가 고안되었다. 즉,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량된 액자(20)는 액자틀(23)의 전면에 회동축(235)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회동프레임(233)을 각각 설치하고, 이 회동프레임(233)을 이용하여 화상(25)을 고정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개량된 액자(20)를 화상(25)을 설치하거나 교체할 때 액자를 벽에서 떼어낼 필요 없이 회동프레임(233)을 이용하여 액자의 전면으로부터 화상(25)을 쉽게 탈부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회동프레임(233)이 구비된 액자(20)는 회동프레임(233)의 원활한 회전과 적절한 탄성을 보유하기 위해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소정의 회동축(233)과 탄성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액자틀(23)의 구조가 복잡하고 무거워서 액자의 가격이 상승하고 취급이 어렵고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액자의 전면으로부터 그림이나 사진이 표현된 화상을 설치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액자틀의 구조를 단순화 및 경량화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의 다양화가 가능한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소정의 탄성과 가요성을 갖는 투명한 필름으로 이루어진 투명 전면판에 영구자석을 붙이고 액자틀에 고정되어 있는 후면판이나 도광판에는 얇은 금속띠를 부착하여 그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화상을 영구자석의 자력으로 밀착하여 고정하는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필름상에 그림이나 사진이 표현된 화상의 후방에 면발광수단을 설치하여 어두운 실내에서나 야간에도 그림이나 사진을 감상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조명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발광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액자의 전면으로부터 그림이나 사진이 표현된 화상을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실내에서나 야간에도 그림이나 사진을 감상할 수 있도록 면발광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장농, 신발장, 학생용 책상 등의 가구나, 공기 청정기, 에어컨,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에도 쉽게 장착할 수 있는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액자는, 소정 크기와 형태를 갖는 액자틀과; 상기 액자틀의 전면에서 설치되고 사진이나 그림이 표현되는 소정 크기의 화상과: 상기 액자틀의 후면에 고정되어 상기 화상을 지지하는 후면판과: 상기 화상의 전면에 밀착하게 설치되고 소정의 영구자석이 설치된 투명 전면판과; 상기 투명 전면판에 설치된 영구자석에 대응하도록 상기 후면판의 전면에 설치된 금속띠 혹은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발광액자는, 소정 크기와 형태를 갖는 액자틀과; 상기 액자틀의 전면에서 설치되고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필름상에 사진이나 그림이 표현되는 소정 크기의 화상과: 상기 액자틀의 후면에 설치되어 소정의 면발광을 제공하는 면발광수단과; 상기 면발광수단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면발광수단을 보호하는 후면판과; 상기 화상의 전면에 밀착하게 설치되고 소정의 영구자석이 설치된 투명 전면판과; 상기 투명 전면판에 설치된 영구자석에 대응하도록 상기 면발광수단의 전면에 설치된 금속띠 혹은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화상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화상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자(30)는 액자틀(33)의 전면으로 그림이나 사진 등이 표현된 화상(35)과 투명한 전면판(34)이 차례로 설치되고, 상기 액자틀(33)의 후면으로는 불투명한 후면판(36)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액자틀(33)를 중심으로 투명 전면판(34)과 화상(35)은 전면으로부터 설치되고, 후면판(36)은 후면으로부터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후면판(36)은 그 테두리 부에 설치된 고정구(361)를 통해서 상기 액자틀(33)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투명 전면판(34)은 그 후면에 부착되어 있는 소정의 영구자석(39)을 통해서 상기 후면판(36)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후면판(36)의 전면에는 상기 영구자석(39)에 대응하도록 소정의 금속띠(38)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화상(35)은 영구자석(39)과 금속띠(38)의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하는 후면판(36)과 투명 전면판(34) 사이에 개재된다. 이때, 상기 영구자석(39)은 바람직하게 테이프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후면판(36)의 전면에는 상기 영구자석(39)에 대응하도록 또 다른 영구자석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판(36)의 전면에 설치된 테이프형 영구자석에 대응하도록 전면판(34)의 후면에 금속띠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액자틀(33)은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원목, 압축목재, 플라스틱 압출품, 도자기, 금속 또는 비철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액자틀(33)은 화상(35)을 직접 고정하는 기능을 갖지 않으므로 다양한 형태와 재질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본 고안에 따른 액자(30)는 저렴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판(36)은 플라스틱판 또는 합판으로서, 소정의 고정구(361)를 통해서 상기 액자틀(33)의 후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액자틀(33)의 후면에는 상기 후면판(36)이 설치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후면판(36)의 전면에는 소정 폭의 금속띠(38)가 접착되어 있다. 상기 금속띠(38)는 바람직하게, 소정 폭과 두께를 갖는 아연 철판으로, 양면 테이프를 통해 후면판(38)에 접착된다. 또한, 상기 금속띠(38)는 전면판(34)의 영구자석(39)과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띠(38)는 액자(30)의 전방에서 볼 때 외부로 노출되도록 액자틀(33) 안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금속띠(38)는 액자틀(33)의 안쪽면을 따라 사각형상으로 설치된다.
이어, 상기 화상(35)은 소정 두께의 종이, 섬유 또는 합성수지 시트 위에 그림이나 사진 등이 표현되어 있다. 상기 화상(35)은 액자틀(33)의 안쪽 면에 밀접하게 설치될 수 있는 크기이고, 액자에 게시된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고, 탈부착 시에는 소정 곡률로 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과 가용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투명 전면판(34)은 아크릴, PC, PET, PVC 등과 같은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화상(35)의 전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화상(35)의 전면에 밀착되는 크기이며, 게시된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탈부착 시 소정 곡률로 휘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과 가요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투명 전면판(34)의 후면에는 소정 폭의 영구자석(39)이 부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영구자석(39)은 등방성 혹은 이방성의 영구자석으로 바람직하게는, 소정 곡률로 휘어지는 플라스틱 자석이다. 그리고 상기 영구자석(39)은 화상(35)에 표현된 그림이나 사진를 가리지 않도록 테두리를 따라 사각형상으로 부착되어 후면판(36)의 전면에 부착된 금속띠(38)와 대응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화상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30)는, 액자틀(33)의 후방에 고정되어 있는 후면판(36)은 분리하지 않고, 액자틀(33)의 전면으로 설치되는 투명 전면판(34)과 화상(35)을 차례로 떼어낼 수 있으므로 액자(30)가 벽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도 화상(35)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전면판(34)과 화상(35)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탈부착이 용이한 금속띠(38)와 영구자석(35)의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하므로 쉽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깨지기 쉬운 유리판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누구나 쉽게 취급할 수 있어 일반 가정에서 사진이나 그림을 수시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화상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와 결합 단면도로서, 특히 소정의 면발광수단이 구비된 발광액자에 관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광액자(50)는 액자틀(53)의 전면으로 투명 전면판(54)과, 그림이나 사진 등이 표현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화상(55)이 차례로 설치되고, 상기 액자틀(53)의 후면으로는 소정의 면발광수단(57)과, 불투명한 후면판(56)이 차례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액자틀(53)를 중심으로 투명 전면판(54)과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화상(55)은 전면으로부터 설치되고, 면발광수단(57)과 후면판(56)은 후면으로부터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면발광수단(58)의 전면에는 소정의 금속띠(58)가 부착되고, 상기 투명 전면판(54)의 후면에는 소정의 영구자석(59)이 상기 금속띠(58)에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액자틀(53), 투명 전면판(54), 화상(55) 및 후면판(56)의 구조는 상술한 액자(30)의 액자틀(33), 투명 전면판(34), 화상(35) 및 후면판(36)과 대략 유사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즉, 상기 액자틀(53)은 다양한 재질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저렴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면판(56)은 플라스틱판 또는 합판으로서, 소정의 고정구(561)를 통해서 상기 액자틀(53)의 후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화상(55)은 아크릴, PC, PET, PVC 등과 같은 투명한 합성수지 필름에 그림이나 사진 등이 표현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화상(55)에 표현된 그림이나 사진은 후방에서 비춰지는 빛에 위해서 더욱 선명하게 표현된다. 이때, 상기 화상(55)은 액자에 게시된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고, 탈부착 시에는 소정 곡률로 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과 가용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투명 전면판(54)의 후면에는 소정 폭의 영구자석(59)이 부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영구자석(59)은 등방성 혹은 이방성의 영구자석으로 바람직하게는, 소정 곡률로 휘어지는 플라스틱 자석이다. 그리고 상기 영구자석(59)은 화상(55)에 표현된 그림이나 사진를 가리지 않도록 테두리를 따라 사각형상으로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면발광수단(57)의 전면에는 소정 폭의 금속띠(58)가 상기 영구자석(59)에 대응하게 접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금속띠(58)는 바람직하게, 소정 폭과 두께를 갖는 아연 철판으로, 양면 테이프를 통해 면발광수단(58)에 접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띠(58)는 액자(50)의 전방에서 볼 때 외부로 노출되도록 액자틀(53) 안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금속띠(58)는 액자틀(53)의 안쪽면을 따라 사각형상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영구자석(59)은 바람직하게 테이프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후면판(56)의 전면에는 상기 영구자석(59)에 대응하도록 또 다른 영구자석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판(56)의 전면에 설치된 테이프형 영구자석에 대응하도록 전면판(54)의 후면에 금속띠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상기 면발광수단(57)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냉열광원으로서의 냉음극관(CCFL;11)과, 상기 냉음극관(11)을 고정해주는 홀더(12)와, 상기 냉음극관(11)의 빛을 전도시키는 매질이 되는 소정 두께의 도광판(572)과, 상기 도광판(572)의 후면에 설치되어 광을 전면으로 전반사시키는 반사판(573)과, 상기 도광판(572)의 전면에 설치되어 빛을 균등하게 전방으로 확산시키는 확산시트(571)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면발광수단(57)은 필요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프리즘시트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음극관(11)에서 빛이 방출되면 상기 빛이 도광판(572), 그리고 확산시트(571)를 통하여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화상(55)을 투과함으로써 야간에도 액자(50)에 끼워진 화상을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광판(572)의 후방에는 전반사판(573)이 설치되어 냉음극관(11)에서 방출되는 빛이 손실되지 않는다. 이어서, 상기 면발광수단(57)의 전면, 즉 확산시트(571)의 전면에는 소정 폭의 금속띠(58)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금속띠(58)는 바람직하게, 소정 폭과 두께를 갖는 아연 철판으로서, 양면 테이프를 통해서 부착된다.
그리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액자(50)의 배면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면발광수단(57)은 소정의 전기공급수단(150), 전압/전류 조정수단(160) 및 음이온 발생장치(170)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공급수단(150)은, 가정용 전기(100~200V)를 이용할 수 있도록 어댑터가 구비된 접속코드(151), 다수의 배터리를 끼울 수 있도록 액자틀(53)의 한 부분에 설치된 배터리홀더(도시되지 않음), 상기 액자틀(55)의 전면에 설치된 소정 면적의 솔라셀과 충전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상기 전기공급수단(150)는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콘택트 스위치(152) 및/또는 광센서(153)를 포함한다. 상기 광센서(153)는 햇빛이나 조명 빛을 감지하여 냉음극관(11)에 전기에너지를 차단하고 야간에는 광"감지"센서(153)가 햇빛이나 조명 빛을 감지하지 못함으로써 자동으로 냉음극관(11)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전압/전류 조정수단(160)은 냉음극관(11)이 발광하도록 충분한 전압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한 전압을 적절하게 승압하는 것으로, 직류전류(DC)를 교류전류(AC)로 전환해 주는 인버터(163)와 저항 및 접속단와 같은 다수의 전자부품이 설치된 PCB(165)를 포함한다. 상기 인버터(163)는 DC5V~12V가 입력되며 AC 300Vrms~700rms와 약45KHz의 주파수로 출력시켜 냉음극관(11)이 발광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음이온발생장치(170)는 밀폐된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액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환경정화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저압의 전기를 5000~7000V의 고전압으로 전환하는 트랜스(173)와 고전압이 인가될 때 음이온이 방출되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음이온방사구(175)로 이루어진다.
이어, 도 10a 및 도 10b는 본 고안에 따른 화상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도 10a는 액자틀(53)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영구자석(59)(59')이 부착된 투명 전면판(54)(54')과, 소정의 그림이나 사진이 표현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화상(55)(55') 및 상기 화상(55)(55')을 통과하는 빛을 방사함과 아울러 상기 영구자석(59)(59')에 대응하는 금속띠(58)(58')가 부착된 면발광수단(57)(57')을 설치하여, 양자의 양면에서 그림이나 사진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10b는 액자틀(53)의 가운데에 전후면에 각각 금속띠(58)(58')가 부착된 면발광수단(57)을 설치하고, 상기 면발광수단(57)의 전후면에 밀접하도록 소정의 그림이나 사진이 표현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화상(55)(55')과 영구자석(59)(59')이 부착된 투명 전면판(54)(54')이 차례로 설치된다. 따라서 하나의 면발광수단(57)를 이용하여 전후면에서 발광 되는 그림이나 사진을 감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면발광수단(57)은 냉음극관(CCFL;11)에서 방사되는 빛이 전면과 후면 양쪽으로 모두 방사되도록 소정 두께의 도광판(572)의 양 측면에 각각 확산시트(57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소정의 전기공급수단(150) 및 전압/전류 조정수단(160)은 액자틀(53)에 형성된 삽입홈에 장착되어 두께를 최소화한다.
그리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상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특히 에어컨이나 냉장고 등의 전자제품에 본 고안의 발광액자(50)를 설치하여 그림이나 사진를 게시하거나 광고물을 게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전자제품이나 가구(A)의 표면에는 본 고안에 따른 액자틀(53)이 안착 되는 소정 크기의 안착홈(5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액자틀(53)의 전방으로 금속띠(58)가 부착된 면발광수단(57)과, 그림이나 사진 등이 표현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화상(55) 및 영구자석(59)이 부착된 투명 전면판(54)이 차례로 설치된다. 이때, 면발광수단(57)으로 공급되는 전기는 상기 전자제품이나 가구(A)의 전원이 이용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액자(50)는 그림이나 사진이 표현되는 화상(55)을 액자의 전면에서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장농, 신발장, 학생용 책상 등의 가구류나, 공기 청정기, 에어컨,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 등과 같이 소정 크기의 안착홈(51)이 형성될 수 있는 제품이 쉽게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액자를 설치함으로써 전자제품이나 가구에 각종 사진이나 그림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화상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당해 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실시예로부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모방하거나 변형하여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상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는, 액자의 전면으로부터 그림이나 사진이 표현된 화상을 설치하거나 교체하므로 벽에 부착한 상태에서도 누구나 혼자서 쉽게 화상을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액자는 액자틀의 구조가 단순하여 원목, 압축목재, 플라스틱, 도자기, 금속 등 다양한 재질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경량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의 다양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소정의 탄성과 가요성을 갖는 투명한 필름으로 이루어진 투명 전면판을 사용하므로 사용이나 운반시 유리판이 깨질 염려가 없다.
본 고안은 화상의 후면에 면발광수단을 설치하여 어두운 실내에서나 야간에도 그림이나 사진을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고 조명효과에 따라 미적 효과를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야간조명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음이온발생장치가 설치되어 공기청정기능을 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액자의 전면으로부터 화상을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으므로 장농, 신발장, 학생용 책상 등의 가구류나, 공기 청정기, 에어컨,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에도 쉽게 장착하여 사진을 삽입하거나 광고물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자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발광액자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광액자의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라 개량된 액자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반액자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액자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발광액자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면발광수단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발광액자의 배면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고안에 따른 양면 발광액자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액자가 설치된 전자제품 또는 가구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3, 53 : 액자틀 34, 54 : 투명 전면판
35, 55 : 화상 36, 56 : 후면판
38, 58 : 금속띠(또는 영구자석) 39, 59 : 영구자석
57: 면발광수단 A: 가구 또는 전자제품

Claims (13)

  1. 소정 크기와 형태를 갖는 액자틀과;
    상기 액자틀의 전면에서 설치되고 사진이나 그림이 표현되는 소정 크기의 화상과:
    상기 액자틀의 후면에 고정되어 상기 화상을 지지하는 후면판과:
    상기 화상의 전면에 밀착하게 설치되고 소정의 영구자석이 설치된 투명 전면판과;
    상기 투명 전면판에 설치된 영구자석에 대응하도록 상기 후면판의 전면에 설치된 금속띠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그림 또는 사진 등)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후면에 설치된 테이프형 영구자석과, 상기 후면판의 전면에 부착된 금속띠는 상기 액자틀의 안쪽면을 따라 사각형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후면에 설치된 테이프형 영구자석과 대응하도록 상기 후면판의 전면에 테이프형 영구자석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면판은 아크릴, PC, PET, PVC 등으로부터 선택된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액자틀에 고정된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탈부착 시 소정 곡률로 휘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과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
  5. 소정 크기와 형태를 갖는 액자틀과;
    상기 액자틀의 전면에서 설치되고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필름상에 사진이나 그림이 표현되는 소정 크기의 화상과:
    상기 액자틀의 후면에 설치되어 소정의 면발광을 제공하는 면발광수단과;
    상기 면발광수단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면발광수단을 보호하는 후면판과;
    상기 화상의 전면에 밀착하게 설치되고 소정의 영구자석이 설치된 투명 전면판과;
    상기 투명 전면판에 설치된 영구자석에 대응하도록 상기 면발광수단의 전면에 설치된 금속띠 또는 테이프형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후면에 설치된 테이프형 영구자석과, 상기 후면판의 전면에 부착된 금속띠 또는 영구자석은 상기 액자틀의 안쪽면을 따라 사각형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면판은 아크릴, PC, PET, PVC 등으로부터 선택된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액자틀에 고정된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탈부착 시 소정 곡률로 휘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과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은 아크릴, PC, PET, PVC 등으로부터 선택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액자틀에 고정된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탈부착 시 소정 곡률로 휘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과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틀의 후면 또는 일측면에는 음이온발생장치가 구비되어 공기 청정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틀의 일 측면에는 스위치와 광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전기단속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틀의 전면에는 소정 면적의 솔라셀이 설치되고 상기 액자틀의 후면 또는 일 측면에는 충전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
  12. 소정 크기와 형태를 갖는 액자틀과;
    상기 액자틀의 가운데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전 후면에는 각각 금속띠 또는 테이프형 영구자석이 부착된 면발광수단과;
    상기 면발광수단의 전면과 후면에 밀접하게 설치되고 소정의 그림이나 사진이 표현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두 장의 화상과;
    상기 면발광수단의 금속띠 또는 테이프형 영구자석과 대응하도록 후면에 테이프형 영구자석 또는 금속띠가 부착된 두 장의 투명 전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
  13. 장농, 신발장, 학생용 책상 등의 가구류나, 공기 청정기, 에어컨,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에 장착하는 액자에 있어서,
    상기 가구나 가전제품의 일 측면에 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설치되는 소정 크기와 형태를 갖는 액자틀과;
    상기 액자틀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면발광함과 아울러 소정의 금속띠 또는 테이프형 자석을 구비하는 면발광수단과;
    상기 액자틀의 전면에서 설치되고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필름상에 사진이나 그림이 표현되는 소정 크기의 화상과:
    상기 화상의 전면에 밀착하게 설치되고 상기 금속띠 또는 테이프형 자석과 대응하도록 소정의 영구자석 또는 금속띠가 설치된 투명 전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
KR20-2005-0017924U 2005-06-21 2005-06-21 화상(사진, 그림 등)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 KR200396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924U KR200396071Y1 (ko) 2005-06-21 2005-06-21 화상(사진, 그림 등)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924U KR200396071Y1 (ko) 2005-06-21 2005-06-21 화상(사진, 그림 등)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071Y1 true KR200396071Y1 (ko) 2005-09-16

Family

ID=43697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924U KR200396071Y1 (ko) 2005-06-21 2005-06-21 화상(사진, 그림 등)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07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550Y1 (ko) * 2012-06-04 2013-01-08 김현승 양면 분리형 액자
KR20150097171A (ko) * 2014-02-18 2015-08-26 (주) 코콤 광고용 조명장치
KR20150145494A (ko) 2014-06-20 2015-12-30 허성우 윈도우리스형 사진 액자 및 이에 착탈되는 사진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550Y1 (ko) * 2012-06-04 2013-01-08 김현승 양면 분리형 액자
KR20150097171A (ko) * 2014-02-18 2015-08-26 (주) 코콤 광고용 조명장치
KR101631134B1 (ko) 2014-02-18 2016-06-16 (주) 코콤 광고용 조명장치
KR20150145494A (ko) 2014-06-20 2015-12-30 허성우 윈도우리스형 사진 액자 및 이에 착탈되는 사진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4101B2 (en) Backlit graphic display device
US7146760B2 (en)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lluminated object
US7942542B1 (en) Back lighted replaceable image sheet display apparatus
KR101120460B1 (ko) 휴대가 용이한 폴더블 타입의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
KR200396071Y1 (ko) 화상(사진, 그림 등)의 탈부착이 용이한 액자
KR101288533B1 (ko) 태양광을 이용한 광고장치
US20090213582A1 (en) Illuminated Display
US20150096210A1 (en) Flashing led message box
CN110022448A (zh) 一种大尺寸高亮度led电视
US7837376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10255831B1 (en) Light tile assembly and kit
KR101884669B1 (ko) 엘이디 안내판
CN214671717U (zh) 一种轻便型广告投影灯
CN209843080U (zh) 一种展示牌
US8534860B2 (en) Display light box with programmably separately-lit compartments
US7125156B2 (en) Ultra-thin backlight display panel
CN212484859U (zh) 一种可充电及双面led发光展示卡立牌
KR200391664Y1 (ko) 액자형 냉난방기 및 공기청정기의 액자 탈부착구조
CN210181990U (zh) 一种室内双面广告灯箱
US20110134631A1 (en) Solar powered apparatus for illuminating signs
CN217464221U (zh) 一种壁灯台灯两用式灯具
CN219713315U (zh) 一种多用途展示灯具
CN220065039U (zh) 建筑施工工程管理看板
CN210535235U (zh) 一种经济管理展示栏
CN210777619U (zh) 一种透光性好的显示屏模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