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1657A - 다기능 액자 - Google Patents

다기능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1657A
KR20160101657A KR1020160003798A KR20160003798A KR20160101657A KR 20160101657 A KR20160101657 A KR 20160101657A KR 1020160003798 A KR1020160003798 A KR 1020160003798A KR 20160003798 A KR20160003798 A KR 20160003798A KR 20160101657 A KR20160101657 A KR 20160101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late
folding
clamp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우
Original Assignee
이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우 filed Critical 이재우
Publication of KR20160101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657A/ko
Priority to KR1020160114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4677A/ko
Priority to KR1020170113319A priority patent/KR20180028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33Picture frames made of shee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1Photograph stands made of shee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53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for connecting to a surface other than a flat wall, e.g. room corner, ceiling, wind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24Appliances for adjus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into a desired position, especially inclined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다기능 액자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장식물이 보관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부를 클램핑해서 상기 본체를 벽면에 설치하거나 상기 본체가 평면상에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클램프를 이용해서 본체 내부에 보관된 장식물을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해서 전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다기능 액자{MULTI-FUNCTION FRAME ASSEMBLY}
본 발명은 다기능 액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의 그림이나 사진, 글씨를 내부에 보관해서 전시하는 다기능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내부에 그림이나 사진, 글씨 등의 장식물을 보관하고, 벽면이나 탁자 등에 설치되어 장식물을 전시하는 기능을 한다.
액자는 장식물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길이, 폭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액자는 중량이 무겁고, 벽면에 설치 시 못이나 볼트를 벽면에 설치해야 하는 등, 청소나 설치장소가 극히 제한적이고, 보관된 장식물의 교체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등에는 내부에 다양한 장식물을 보관해서 전시하는 다기능 액자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전면판, 사진고정판, 후면판에 여러 개의 자석을 부착하여 결합되고, 사진고정판은 각자의 내용물을 부착하여 전시할 수 있는 여러 장 또는 최소 한 장의 사진고정판으로 혼용 구성되어 후면판의 자석지지대로 손쉽게 부착되어, 사진고정판과 후면판을 자석의 자력으로 고정하여 손쉬운 분해로 여러 장의 내용물들의 교체가 가능하며, 전면판, 사진고정판과 후면판이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자석부착식 다기능 액자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중심에 소정 넓이로 절단한 절취부를 가진 액자형 몰드로 되는 본체, 본체의 뒷면에 부착되고 소정의 그림이거나 사진 등으로 되는 배경을 가진 배경판, 본체의 전면에 부착되고 소정의 장식이나 그림 등의 배경을 갖는 전면판, 전면판과 배경판과 어울리도록 제작된 입체 조각이거나 입체작품, 배경판 위에본체를 장식하기 위해 마련되는 테두리 부재들로 이루어지는 다기능 장식액자 및 그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사진 또는 그림이 부착되는 본체, 본체의 전방을 조명할 수 있도록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부재, 매트형 모기향을 거치하여 가열할 수 있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모기향 설치부 및 본체가 세워지는 방향에 따라 본체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본체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다기능 액자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11-043882호(1107년 3월 2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1104-0102678호(1104년 12월 8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70638호(1111년 11월 7일 공고)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다기능 액자는 내부에 장식물이 보관되는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을 금속 재질이나 목재 등의 재료로 제조함에 따라 장식물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액자의 크기와 중량도 증가한다.
이로 인해, 대형 장식물의 경우, 제조 비용이 불필요하게 상승하고, 무게가 무거워지기 때문에, 설치작업이나 이동작업, 장식물 교체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아크릴을 이용해서 액자를 제조하는 방안도 제안되었으나, 액자의 무게를 감소시키는데 한계가 있었고, 제조 비용이 상승하며, 정밀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다기능 액자는 벽면에 설치 가능하게 제조되거나, 탁자 등에 세울 수 있도록 제조됨에 따라 설치방법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크기의 장식물을 용이하게 보관해서 전시할 수 있는 다기능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자의 무게 및 제조비용을 최소화하고, 내부에 보관된 장식물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다기능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벽면과 탁자, 천장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다기능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에 보관된 장식물을 조명해서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기능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액자는 내부에 장식물이 보관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부를 클램핑해서 상기 본체를 벽면에 설치하거나 상기 본체가 평면상에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액자에 의하면, 클램프를 이용해서 본체 내부에 보관된 장식물을 벽면이나 천장, 평면상에 설치해서 전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를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 또는 종이 재질의 재료로 제조함에 따라, 다기능 액자의 무게를 최소화하고, 다기능 액자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의 외형과 접이선을 하나의 금형을 이용해서 한 번의 타공 작업에 의해 형성함에 따라, 사출, 성형 등 제조작업을 단순화해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금형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못이나 볼트 등을 설치할 필요없이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된 설치모듈에 본체가 클램핑된 클램프를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고, 본체 내부에 보관된 장식물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를 클램핑하는 클램프를 이용해서 평면상에 세워서 전시할 수도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명장치를 이용해서 장식물을 조명함에 따라, 심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무드램프나 수면등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이나 종이 재질과 같이 가격이 저렴한 재료를 이용해서 본체를 제조함으로써, 본체의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본체의 손상이나 오염 발생시 새로운 본체로 교체 가능함에 따라, 장식물의 전시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시물을 다양한 방식으로 손쉽게 설치, 전시해서 전시 효과를 향상시키고, 전시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장식물의 심미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액자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체의 전개도,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체의 접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클램프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반사판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의 동작 상태도,
도 13은 클램프와 설치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다기능 액자가 평면상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5는 다기능 액자가 천장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6은 종이 재질의 재료로 제조되는 본체의 전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액자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각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그림이나 사진, 글씨 등 장식물이 보관되는 본체(11) 및 본체(11)의 일부를 클램핑해서 본체(11)를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하거나 본체(11)를 평면상에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클램프(12)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10)는 벽면에 설치 가능하게 마련되고 클램프(1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본체(11)의 후면에 빛을 조사해서 장식물을 조명하는 조명장치(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체의 구성과 접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체의 전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체의 접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체(11)는 내부에 보관되는 장식물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얇은 판 형상의 원재료를 톰슨(Thomson) 방식을 이용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재단하고, 각 접이선(14)의 접이 작업을 통해 장식물의 각 외면을 감쌀 수 있다.
여기서, 본체(11)의 외형과 접이선(14)은 한 번의 타공 작업에 의해 동시에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1)는 액자의 무게를 최소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phthalate, 이하 'PET'라 함)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gonate, 이하 'PC'라 함)와 같이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PET는 내열성, 강성, 전기적 성질이 뛰어나고, 무게가 매우 가벼우며, 투명도 및 두께 조절이 용이하고, 제조 단가가 저렴하며, 높은 온도에 오랫동안 있어도 극한강도가 약간만 줄어드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PC는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투명성 등의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투명하고 얇은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본체를 제조함에 따라, 대형 장식물을 보관하도록 크기를 증가시키는 경우에도 액자의 무게를 최소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본체의 외형과 접이선을 하나의 금형을 이용해서 한 번의 타공 작업에 의해 형성함에 따라, 제조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금형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1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의 원재료를 장식물의 형상에 대응되는 액자 형태로 접을 수 있도록,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면부(20), 전면부(20)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1차로 접어지는 제1 및 제2 접이부(21,22) 그리고 전면부(20)의 양단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2차로 접어지는 제3 및 제4 접이부(23,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접이부(21 내지 24)는 각각 전면부(20)의 후면에 접촉되도록 접어져서 장식물의 후면을 감싸고, 클램프(12)에 의해 클램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접이부(21,22)는 전면부(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접이부(21,22)의 중앙부에는 각각 전면부(20)의 후측으로 접힌 상태에서 클램프(12)에 의해 클램핑되는 제1 및 제2 클램핑부(25,26)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클램핑부(25,26)는 각각 타공 작업에 의해 'ㄷ' 형상으로 절개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접어져서 클램핑될 수 있다.
전면부(20)와 제1 및 제2 접이부(21,22) 사이 그리고 제1 및 제2 접이부(21,22)와 제1 및 제2 클램핑부(25,26) 사이에는 각각 접이선(1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제1 및 제2 클램핑부(25,26)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접이부(21,22)와 함께 전면부(20)의 후면에 접촉되도록 접어진 후, 전면부(20)의 후면과 직각이 되도록 전면부(2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접어질 수 있다.
제3 및 제4 접이부(23,24)는 각각 전면부(20)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연장 형성되고, 제3 및 제4 접이부(23,24)의 외측단에는 각각 제3 및 제4 클램핑부(27,28)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및 제4 접이부(23,24)는 각각 전면부(20)의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감소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및 제4 클램핑부(27,28)는 각각 제3 및 제4 접이부(23,24)와 함께 전면부(23,24)의 후면에 접촉되도록 접어진 후, 전면부(20)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접어질 수 있다.
전면부(20)와 제3 및 제4 접이부(23,24) 사이 그리고 제3 및 제4 접이부(23,24)와 제3 및 제4 클램핑부(27,28) 사이에는 각각 접이선(1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제3 및 제4 클램핑부(27,28)는 각각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및 제4 접이부(23,24)와 함께 전면부(20)의 후면에 접촉되도록 접어진 후, 전면부(20)의 후면과 직각이 되도록 전면부(2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접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3 및 제4 클램핑부(27,28)는 각각 전면부(20)의 후면에 직각이 되도록 접어진 제1 및 제2 클램핑부(25,26)와 함께 클램프(12)에 의해 클램핑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의 전면부를 이용해서 장식물의 전면을 차폐하고, 제1 내지 제4 접이부를 접어서 장식물의 후면을 차폐함으로써, 장식물의 외면을 완전하게 차폐해서 먼지나 이물질로 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4 접이부 각각에 형성된 제1 내지 제4 클램핑부를 전면부의 후방으로 접은 후, 클램프로 클램핑해서 장식물이 보관된 본체를 벽면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제2 접이부(22)의 상단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를 벽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본체(11)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지지부(29)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29)는 제2 접이부(22)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대략 직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접이부(22)와 지지부(29) 사이에는 접이선(1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지지부(29)는 제2 접이부(22)와 함께 전면부(20)의 후면에 겹쳐지도록 접힌 상태에서 접이선(14)에 의해 본체(11)의 후측으로 접어질 수 있다.
즉, 지지부(29)는 본체(11)의 후측으로 접어진 상태에서 벽면과의 거리에 따라 다양하게 각도가 조절되면서 벽면과 접촉하여 본체(1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29)에는 벽면과의 마찰력을 증대하도록 마찰재(291)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찰재(291)는 고무패드나 고무밴드로 마련되고, 지지부(29)에 타공 작업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292)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9)를 접은 상태에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제2 접이부(22)에는 제2 접이부(22)와 일정 각도로 접어지도록 지지편(293)이 형성되고, 지지부(29)에는 지지편(293)이 결합되는 결합슬릿(29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편(293)과 결합슬릿(294)은 각각 복수로 마련되고, 각 지지편(293)은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지편(293)이 3개로 분할 형성되는 경우, 양측의 지지편(293)을 먼저 결합슬릿(294)에 결합한후, 중앙의 지지편(293)을 결합하면, 양측의 지지편(293)이 각각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양측의 지지편(293)의 외측면에 각각 형성된 고정홈이 결합슬릿(294)의 양단에 각각 걸림에 따라, 지지부(29)는 제2 접이부(22)와 일정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편(293)의 외측면에는 각각 고정홈(295)이 형성되고, 결합슬릿(294)의 폭은 지지편(293)의 폭에 비해 좁게 형성될 있다.
여기서, 지지부(29)와 돌기부(292), 지지편(293)과 결합슬릿(294)은 본체(11)를 성형하는 타공 작업시 함께 성형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클램프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8은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클램프(12)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의 후면과 직각으로 배치되고 일측면에 제1 돌출리브(34)가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31), 일측면에 제1 돌출리브(34)에 대칭되도록 제2 돌출리브(35)가 형성되고 제1 및 제2 돌출리브(34,35)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플레이트(32) 그리고 제1 및 제2 플레이트(31,32)의 전단이 서로 접촉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2)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리브(34)와 제2 돌출리브(35)는 각각 제1 및 제2 플레이트(31,32)에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제1 돌출리브(34)의 선단에는 제2 돌출리브(35)의 선단이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래서 제2 플레이트(32)는 후단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제1 및 제2 돌출리브(34,35)를 중심으로 제1 플레이트(31)의 전단부와 멀어지도록 회전한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플레이트(31,32)의 중앙부에는 각각 손잡이부가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돌출리브(34)와 제2 돌출리브(35)에는 각각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돌출리브(34,35)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 이탈방지 홈(341)과 이탈방지 돌기(351)가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 홈(341)과 이탈방지 돌기(351)는 각각 대략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형성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플레이트(31,32)의 전단부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본체(11)의 제1 내지 제4 클램핑부(25 내지 28)를 제1 및 제2 플레이트(31,32) 사이에 배치하면, 제2 플레이트(32)가 탄성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면서 제1 내지 제4 클램핑부(25 내지 28)를 클램핑한다.
한편, 제1 플레이트(31)에 형성되는 제1 돌출리브(34)는 제1 내지 제4 클램핑부(25 내지 28)의 삽입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플레이트(31,32)에는 각각 탄성부재(33)가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1)에는 제1 내지 제4 클램핑부(25 내지 28)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36)가 형성되고, 제2 플레이트(32)에는 고정돌기(36)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홈(3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클램핑부(25 내지 28)에는 고정돌기(36)가 관통 결합되는 고정공(15)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돌기(36)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본체(11)의 제1 내지 제4 클램핑부(25 내지 28)가 제1 및 제2 플레이트(31,32)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후단으로 가면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에 고정공을 형성하고 클램핑부에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본체를 클램프에 고정함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본체가 클램프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클램프(12)에는 조명장치(13)에 결합되도록 결합플레이트(38)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플레이트(38)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31)의 후단에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플레이트(38)는 아래에서 설명할 조명장치(13)의 메인바디(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음, 도 9 및 도 10를 참조하여 조명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반사판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조명장치(13)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구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으로 형성되는 메인바디(40), 메인바디(40)에 설치되고 본체(11)의 후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모듈(50) 및 엘이디모듈(50)에서 조사되는 빛을 본체(11)의 후면을 향해 반사하는 반사판(6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바디(40)는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해서 제조되고, 메인바디(40)의 전면에는 엘이디모듈(5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바디(40)의 후단에는 벽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플레이트(51)가 메인바디(40)의 높이에 비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설치플레이트(41)의 상부에는 벽면에 설치된 못이나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4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설치플레이트(4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플레이트(41)의 전면 중앙부에는 클램프(12)의 결합플레이트(38)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리브(43)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리브(43)는 설치플레이트(41)의 중앙부에 수평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결합리브(43)의 중앙부에는 결합플레이트(38)가 삽입되는 삽입홈(44)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44)은 결합플레이트(44)의 높이에 대응되게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결합리브(43)의 일단부, 도 9에서 보았을 때 우측단부는 클램프(42) 결합시 결합리브(43)의 좌측단부 상면을 따라 클램프(12)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삽입홈(44)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엘이디모듈(50)은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메인바디(40)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로기판(51), 회로기판(51)에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엘이디(52) 및 회로기판(51)의 전측에 설치되고 엘이디(52)에서 조사되는 빛을 투과 및 확산시키는 커버(53)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51)에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각 엘이디(52)에 구동전원을 인가하는 구동회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바디(40)의 일측에는 전원커넥터가 결합되는 결합공(45)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53)는 엘이디(52)에서 조사되는 빛을 투과 및 확산시킬 수 있도록 반투명한 재질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반사판(60)은 엘이디모듈(50)에서 후측 및 상하 좌우측으로 조사된 빛을 본체(11)의 후면으로 반사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반사판(60)은 메인바디(40)의 상하 및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반사판(61 내지 6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반사판(61 내지 64)은 각각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엘이디모듈(50)에서 조사된 빛이 본체(11)의 후면을 향해 반사되도록 메인바디(40)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4 반사판(61 내지 64)은 연결부재(65)에 의해 메인바디(40)에 결합된다.
연결부재(6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T'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재(65)의 일단부는 고정볼트에 의해 메인바디(4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65)의 타단부에는 제1 내지 제4 반사판(61 내지 64)에 형성된 복수의 장착공(66)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장착돌기(67)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명장치를 이용해서 본체의 후면에 빛을 조사함으로써, 본체에 수용된 장식물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조명장치가 적용된 다기능 액자를 이용해서 실내를 조명하는 무드등이나 스탠드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의 결합관계 및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본체(11)의 전면부(20) 후측에 장식물을 배치하고, 접이선(14)을 따라 제1 내지 제4 접이부(21 내지 24)를 순차적으로 전면부(20)의 후면에 겹쳐지도록 접는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 접이부(21 내지 24)에 각각 마련된 제1 내지 제4 클램핑부(25 내지 28)를 본체(11)의 후면과 직각이 되도록 접어서 서로 겹쳐지게 배치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클램프(12)를 이용해서 제1 내지 제4 클램핑부(25 내지 28)를 고정한다.
이때, 클램프(12)의 제1 플레이트(31)와 제2 플레이트(32)는 탄성부재(33)에 의해 제1 및 제2 돌출리브(34,35)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이다.
제1 플레이트(31)에 형성된 고정돌기(34)는 제1 내지 제4 클램핑부(25 내지 28)에 각각 형성된 고정공(15)을 관통해서 제2 플레이트(32)에 형성된 고정홈(37)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체(11)는 클램프(12)에 의해 안정적으로 클램핑될 수 있다.
작업자는 메인바디(40) 내부에 복수의 엘이디(52)가 설치된 회로기판(51)과 커버(53)를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메인바디(40)의 상하 및 좌우측에 각각 연결부재(65)를 이용해서 반사판(60)을 설치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클램프(12)의 후단에 형성되는 결합플레이트(38)를 메인바디(40)에 형성된 결합리브(43)의 삽입홈(44)에 삽입한다.
이에 따라, 본체(11)가 클램핑된 클램프(12)와 조명장치(1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다기능 액자(1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메인바디(40)에 형성된 결합공(45)를 통해 전원커넥터가 회로기판(51)에 연결되면, 엘이디 모듈(50)은 전원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본체(11)에 수용된 장식물을 향해 빛을 조사한다.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는 주간 및 야간에 각각 다기능 액자의 조명장치를 구동해서 장식물을 조명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물을 전체적으로 조명해서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다기능 액자가 조명장치를 이용해서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조명장치를 제거하고, 벽면에 설치된 설치모듈(16)에 결합플레이트(38)를 결합해서 장식물을 벽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은 클램프와 설치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설치모듈(16)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71) 및 고정 플레이트(71)의 전면에 결합플레이트(38)가 결합되는 결합공간(72)이 형성되도록 상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설치 블록(73)을 포함할 수 있다.
설치 블록(73)의 전면에는 결합플레이트(38)의 하단부를 결합공간(72) 상단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결합플레이트(38)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결합공간(72)에 결합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74)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결합플레이트(38)와 고정 플레이트(71)에는 벽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못이나 볼트가 관통 설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플레이트(38)와 고정 플레이트(71)에는 냉장고와 같은 금속 재질의 재료로 제조된 구조물에 자력을 이용해서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석이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자석 장착부(도면 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결합플레이트(38)와 고정 플레이트(71)는 접착제나 양면테이프 등을 이용해서 접착 방식으로 벽면이나 구조물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4는 다기능 액자가 평면상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다기능 액자(1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12)의 길이를 길게 연장 형성하고, 클램프(12)를 이용해서 본체(11)의 일부분, 즉 제1 내지 제4 클램핑부(25 내지 28)를 클램핑한 후, 평면상에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세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클램프를 이용해서 장식물이 보관된 본체를 벽면에 설치하거나, 평면상에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세워서 장식물을 전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벽면이나 구조물에 설치모듈을 설치하고, 클램프에 형성된 결합플레이트를 설치모듈에 결합함으로써, 장식물을 용이하게 전시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벽면뿐만 아니라 천장에 다기능 액자(10)를 설치해서 장식물을 이용한 가상 천장을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5는 다기능 액자가 천장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다기능 액자(1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장치(13)를 천장에 설치하고, 장식물이 보관된 본체(11)가 클램핑된 클램프(12)를 조명장치(10)의 삽입홈(44)에 삽입해서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체(11)의 가장자리에는 장시간 설치시 본체(11)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력을 발생하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80)이 결합되고, 프레임(80)의 각 꼭지점과 클램프(12) 사이에는 와이어(81)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클램프(12)의 제1 및 제2 플레이트(31,32)에는 각각 각 와이어(81)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공(39)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기능 액자를 천장에 설치해서 가상 천정을 구현하고,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프레임과 와이어를 이용해서 본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를 합성수지 재질뿐만 아니라, 종이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조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6은 종이 재질의 재료로 제조된 본체의 전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는 내부에 장식물을 수용해서 전시하도록 미리 설정된 두께, 예컨대 약 0.5mm 이상 두께로 제조될 수 있고, 본체(11)의 전면부(20)에는 전시창(2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체(11)의 전면부(20)에는 전시창(201) 주변에 꽃이나 동물 모형 등 다양한 형상의 캐릭터 장식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설치홈(20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1)에 장식물 수용시, 전면부(20)와 장식물 사이에는 장식물의 손상이나 오염을 방지하도록 보호필름(도면 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뿐만 아니라, 종이 재질을 이용해서 본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가격이 저렴한 재료를 이용해서 본체를 제조함으로써, 본체의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본체의 손상이나 오염 발생시 새로운 본체로 교체 가능함에 따라 장식물의 전시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본체 내부에 장식물을 수용해서 전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상기의 실시 예들에서는 전면부(20)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부(20)의 각 변에 제1 내지 제4 접이부(21 내지 24)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장식물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전면부(20)를 다각 형상으로 형성하고, 전면부(20)의 각 변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접이부가 형성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엘이디 모듈을 구동하기 위해 외부의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메인바디 내부에 배터리를 내장하고, 배터리 전원을 이용해서 엘이디 모듈을 구동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체 내부에 장식물을 수용해서 전시하는 다기능 액자 기술에 적용된다.
10: 다기능 액자 11: 본체
12: 클램프 13: 조명장치
14: 접이선 15: 고정공
16: 설치모듈 20: 전면부
201: 전시창 202: 설치홈
21 내지 24: 제1 내지 제4 접이부
25 내지 28: 제1 내지 제4 클램핑부
29: 지지부 291: 마찰재
292: 돌기부 293: 지지편
294: 결합슬릿 295: 고정홈
31,32: 제1,제2 플레이트
33: 탄성부재 34,35: 제1,제2 돌출리브
341: 이탈방지 홈 351: 이탈방지 돌기
36: 고정돌기 37: 고정홈
38: 결합플레이트 39: 연결공
40: 메인바디 41: 설치플레이트
42: 삽입공 43: 결합리브
44: 삽입홈 45: 결합공
50: 엘이디모듈 51: 회로기판
52: 엘이디 53: 커버
60: 반사판 61 내지 64: 제1 내지 제4 반사판
65: 연결부재 66: 장착공
67: 장착돌기 71: 고정 플레이트
72: 결합공간 73: 설치 블록
74: 가이드홈 80: 프레임
81: 와이어

Claims (16)

  1. 내부에 장식물이 보관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부를 클램핑해서 상기 본체를 벽면에 설치하거나 상기 본체가 평면상에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장식물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장식물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1차로 접어지는 제1 및 제2 접이부 그리고
    상기 전면부의 양단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2차로 접어지는 제3 및 제4 접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본체의 후면에 돌출된 부분을 클램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이부와 제2 접이부의 중앙부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접이부와 함께 상기 전면부의 후면에 접촉되도록 접어진 후, 상기 전면부의 후면과 직각이 되도록 상기 전면부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접어지는 제1 클램핑부와 제2 클램핑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및 제4 접이부에는 각각 상기 제3 및 제4 접이부와 함께 상기 전면부의 후면에 접촉되도록 접어진 후, 상기 전면부의 후면과 직각이 되도록 상기 전면부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접어지는 제3 클램핑부와 제4 클램핑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 클램핑부는 각각 상기 전면부의 후면에 직각이 되도록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에 의해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이부에는 상기 본체를 벽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접이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직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접이부와 지지부 사이에는 접이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벽면과의 마찰력을 증대하도록 마찰재가 설치되고,
    상기 마찰재는 상기 지지부에 타공 작업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접이부에는 상기 지지부를 접은 상태에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지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지지편이 결합되는 결합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제1 내지 제4 접이부 사이에는 각각 접이선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외형과 접이선은 하나의 금형에 의한 한 번의 타공 작업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 또는 미리 설정된 두께 이상의 종이 재질의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본체의 후면과 직각으로 배치되고 일측면에 제1 돌출리브가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일측면에 상기 제1 돌출리브에 대칭되도록 제2 돌출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돌출리브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전단이 서로 접촉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리브와 제2 돌출리브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돌출리브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 이탈방지 홈과 이탈방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에는 클램핑되는 상기 본체의 일단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에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단에 직각으로 결합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되는 설치모듈에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관통공 또는 자석 장착부에 장착된 자석의 자력에 의해 벽면이나 구조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클램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후면에 빛을 조사해서 조명하는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장치는 전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으로 형성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후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모듈 및
    상기 엘이디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본체의 후면을 향해 반사하는 반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의 후단에는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되는 설치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설치플레이트에는 상기 클램프의 후단부에 형성된 결합플레이트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리브가 수평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결합리브의 중앙부에는 상기 결합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모듈은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엘이디 및
    상기 회로기판의 전측에 설치되고 상기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을 투과 및 확산시키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메인바디의 상하 및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반사판은 각각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모듈에서 조사된 빛을 상기 본체의 후면을 향해 반사하도록, 상기 메인바디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반사판은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메인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메인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반사판에 형성된 복수의 장착공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장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천장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본체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과 클램프는 와이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KR1020160003798A 2015-02-17 2016-01-12 다기능 액자 KR2016010165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897A KR20170084677A (ko) 2016-01-12 2016-09-07 다기능 액자
KR1020170113319A KR20180028037A (ko) 2015-02-17 2017-09-05 다기능 액자 및 그에 적용되는 콘텐츠 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440 2015-02-17
KR20150024440 2015-0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657A true KR20160101657A (ko) 2016-08-25

Family

ID=5688478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798A KR20160101657A (ko) 2015-02-17 2016-01-12 다기능 액자
KR1020170113319A KR20180028037A (ko) 2015-02-17 2017-09-05 다기능 액자 및 그에 적용되는 콘텐츠 북
KR1020180105179A KR20190026621A (ko) 2015-02-17 2018-09-04 다기능 액자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319A KR20180028037A (ko) 2015-02-17 2017-09-05 다기능 액자 및 그에 적용되는 콘텐츠 북
KR1020180105179A KR20190026621A (ko) 2015-02-17 2018-09-04 다기능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16010165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795A (ko) 2018-12-07 2020-06-17 김규현 사진액자
KR102275102B1 (ko) 2020-10-19 2021-07-07 이일수 실내 장식물 고정장치
KR20220074028A (ko) 2020-11-27 2022-06-03 성기봉 융합 검색엔진 폼마법사 아두이노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678A (ko) 2003-05-29 2004-12-08 김종심 다기능 장식액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43882B1 (ko) 2006-09-18 2011-06-22 해리스 코포레이션 알에프 수신기의 정보획득방법 및 시스템
KR101070638B1 (ko) 2009-08-14 2011-10-07 정미선 다기능 액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678A (ko) 2003-05-29 2004-12-08 김종심 다기능 장식액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43882B1 (ko) 2006-09-18 2011-06-22 해리스 코포레이션 알에프 수신기의 정보획득방법 및 시스템
KR101070638B1 (ko) 2009-08-14 2011-10-07 정미선 다기능 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037A (ko) 2018-03-15
KR20190026621A (ko)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8596B1 (en) Combination of a shelve system and label led strip lamp therefor
JP5312068B2 (ja) ショーケース
JP3132744U (ja) 照明付きピクチャーフレーム
WO2010083341A2 (en) Luminaire having floating luminous light source
US10240760B1 (en) Horizontal light guide based lighting fixture
KR20160101657A (ko) 다기능 액자
JP5353249B2 (ja) ショーケースの棚照明装置
EP2840309A1 (en) Embedded-type lighting apparatus
JP6163271B2 (ja) 意匠性発光装置
JP2013171650A (ja) 灯具
US11067232B2 (en) Modular ceiling kit
US9163809B2 (en) Lighting system
KR101074717B1 (ko) 측면조사방식의 엘이디를 이용한 라이트패널
KR20170084677A (ko) 다기능 액자
EP3236138A1 (en) Led module and sign box
KR101372583B1 (ko) 간판
KR200343666Y1 (ko) 투명틀이 내장된 조명액자
KR20140002548U (ko) 외부장식조명을 가진 광고장치
CN111148450B (zh) 被照亮的镜
JP3124598U (ja) 内照式表示器
US20090133302A1 (en) Led-illuminated sign
KR20200000595U (ko) 안내 표시기구
CN208670742U (zh) 防水led面板灯
KR101280307B1 (ko) 성형이 용이한 슬림형 돌출간판
KR20230033539A (ko) 다기능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