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621A - 다기능 액자 - Google Patents

다기능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621A
KR20190026621A KR1020180105179A KR20180105179A KR20190026621A KR 20190026621 A KR20190026621 A KR 20190026621A KR 1020180105179 A KR1020180105179 A KR 1020180105179A KR 20180105179 A KR20180105179 A KR 20180105179A KR 20190026621 A KR20190026621 A KR 20190026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late
content
clamp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우
Original Assignee
이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우 filed Critical 이재우
Publication of KR20190026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6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33Picture frames made of shee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1Photograph stands made of shee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53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for connecting to a surface other than a flat wall, e.g. room corner, ceiling, wind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24Appliances for adjus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into a desired position, especially inclined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다기능 액자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콘텐츠가 보관되거나 전면에 콘텐츠가 인쇄 또는 그려지거나 설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부를 클램핑해서 상기 본체를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하거나 상기 본체가 평면상에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형과 접이선은 하나의 금형을 이용해서 한 번의 타공 작업에 의해 형성되는 구성을 마련하여, 클램프를 이용해서 내부나 전면에 콘텐츠가 설치되거나, 전면에 콘텐츠가 그려지거나 인쇄된 본체를 벽면이나 천장, 평면상에 설치하고, 본체의 표면에 다양한 형상의 입체 콘텐츠를 부착하여 전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액자{MULTI-FUNCTION FRAME ASSEMBLY}
본 발명은 다기능 액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림이나 사진, 명언 등의 글씨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콘텐츠를 전시하는 다기능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내부에 그림이나 사진, 글씨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보관하고, 벽면이나 탁자 등에 설치되어 콘텐츠를 전시하는 기능을 한다.
액자는 콘텐츠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길이, 폭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액자는 중량이 무겁고, 벽면에 설치 시 못이나 볼트를 벽면에 설치해야 하는 등, 청소나 설치장소가 극히 제한적이고, 보관된 콘텐츠의 교체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등에는 내부에 다양한 콘텐츠를 보관해서 전시하는 다기능 액자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전면판, 사진고정판, 후면판에 여러 개의 자석을 부착하여 결합되고, 사진고정판은 각자의 내용물을 부착하여 전시할 수 있는 여러 장 또는 최소 한 장의 사진고정판으로 혼용 구성되어 후면판의 자석지지대로 손쉽게 부착되어, 사진고정판과 후면판을 자석의 자력으로 고정하여 손쉬운 분해로 여러 장의 내용물들의 교체가 가능하며, 전면판, 사진고정판과 후면판이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자석부착식 다기능 액자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중심에 소정 넓이로 절단한 절취부를 가진 액자형 몰드로 되는 본체, 본체의 뒷면에 부착되고 소정의 그림이거나 사진 등으로 되는 배경을 가진 배경판, 본체의 전면에 부착되고 소정의 장식이나 그림 등의 배경을 갖는 전면판, 전면판과 배경판과 어울리도록 제작된 입체 조각이거나 입체작품, 배경판 위에 본체를 장식하기 위해 마련되는 테두리 부재들로 이루어지는 다기능 장식액자 및 그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사진 또는 그림이 부착되는 본체, 본체의 전방을 조명할 수 있도록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부재, 매트형 모기향을 거치하여 가열할 수 있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모기향 설치부 및 본체가 세워지는 방향에 따라 본체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부착할 수 있도록 본체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다기능 액자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11-043882호(1107년 3월 2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1104-0102678호(1104년 12월 8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70638호(1111년 11월 7일 공고)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다기능 액자는 내부에 콘텐츠가 보관되는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을 금속 재질이나 목재 등의 재료로 제조함에 따라, 콘텐츠의 크기가 커지면 액자의 크기와 중량도 증가한다.
이로 인해, 대형 콘텐츠의 경우, 제조 비용이 불필요하게 증가하고, 무게가 무거워지기 때문에, 설치작업이나 이동작업, 콘텐츠 교체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아크릴을 이용해서 액자를 제조하는 방안도 제안되었으나, 액자의 무게를 감소시키는데 한계가 있었고, 제조 비용이 증가하며, 정밀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콘텐츠를 용이하게 전시할 수 있는 다기능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의 내부에 보관하거나 외부에 부착 또는 본체 전면에 인쇄 또는 직접 그려서 전시할 수 있는 다기능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자의 무게 및 제조비용을 최소화하고, 전시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다기능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벽면과 탁자 위, 천장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다기능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시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조명해서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기능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자로 전시된 본체의 표면에 미니어처, 피겨, 브릭(bricks) 장난감, 자석 인형, 시계, 명언판, 캘린더와 같이 다양한 콘텐츠를 추가로 부착하여 전시물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킬 수 있는 다기능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인더 북 형태로 제공되는 콘텐츠를 필요에 따라 선택해서 간편하게 액자로 전시할 수 있는 다기능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액자는 내부에 콘텐츠가 보관되거나 전면에 콘텐츠가 인쇄 또는 그려지거나 설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부를 클램핑해서 상기 본체를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하거나 상기 본체가 평면상에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형과 접이선은 하나의 금형을 이용해서 한 번의 타공 작업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액자에 의하면, 클램프를 이용해서 내부나 전면에 콘텐츠가 설치되거나, 전면에 그림이 그려지거나 인쇄된 본체를 벽면이나 천장, 평면상에 설치해서 전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를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 또는 종이 재질과 같이 타공이 가능한 재료로 제조함에 따라, 다기능 액자의 무게를 최소화하고, 다기능 액자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의 외형과 접이선을 하나의 금형을 이용해서 한 번의 타공 작업에 의해 형성함에 따라, 사출, 성형 등 제조작업을 단순화해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금형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못이나 볼트 등을 설치할 필요없이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된 설치모듈에 본체가 클램핑된 클램프를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고, 본체 자체에 인쇄되거나 본체 내부에 보관된 콘텐츠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클램프의 전체 폭을 최소화해서 클램핑된 본체와 벽면 사이의 불필요한 공간을 감소시켜 본체를 벽면에 최대한 밀착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명장치를 적용해서 콘텐츠를 후측에서 조명함에 따라, 심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무드램프나 수면등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이나 종이 재질과 같이 가격이 저렴한 재료를 이용해서 본체를 제조함으로써, 본체의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본체의 손상이나 오염 발생시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새로운 본체로 교체 가능함에 따라, 콘텐츠의 전시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그림이 그려지거나 인쇄된 전시물 자체를 본체로 적용해서 전시할 수 있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모듈에 미세 직경의 장착핀을 적용해서 벽면이나 벽지의 손상없이 다기능 액자를 설치하여 전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히면, 벽면에 LED 스트립이나 LED 모듈을 다양한 형태로 배치해서 전시물에 빛을 조사하여 조명함으로써, 전시물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미세 직경의 장착핀을 이용해서 설치모듈을 벽면에 설치함에 따라, 벽면이나 벽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벽면의 손상없이 설치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콘텐츠 설치모듈을 이용해서 본체에 설치된 전시물과 함께, 본체 및 본체 주변에 미니어처, 피겨, 브릭 장난감, 자석 인형, 디퓨져와 같은 다양한 형상의 입체 콘텐츠를 설치해서 전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계나 명언지, 캘린더 등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콘텐츠를 설치하여 전시할 수 있으며, 콘텐츠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시계에 설치되는 콘텐츠판을 분할해서 시계의 시침, 분침 등을 분해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주의를 집중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시물을 다양한 방식으로 손쉽게 설치, 전시해서 전시 효과를 향상시키고, 전시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전시물을 용이하게 교체해서 다양한 전시물을 전시할 수 있고, 후면에 조명장치를 적용해서 전시된 콘텐츠의 심미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액자에 적용되는 콘텐츠 북에 의하면, 그림이나 사진, 글씨 등 다양한 콘텐츠를 바인더 북 형태로 제공하여 평상시에는 책자로 이용할 수 있고,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해서 바로 전시할 수 있으며, 전시된 콘텐츠의 표면에 미니어처, 피겨, 브릭 장난감과 같은 입체 콘텐츠를 추가 부착함으로써, 전시된 콘텐츠에 대한 흥미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독서를 하지 않는 자녀에서 부모가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자녀의 독서 기회를 늘려주는 등의 독서 함양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평판 형태의 콘텐츠 뿐만 아니라, 팝업 카드와 같이, 본체를 반으로 접은 상태에서는 평판 형태로 마련되나, 본체를 평면이 되도록 펼치면 다양한 입체 형상의 콘텐츠를 전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액자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체의 전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체의 접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클램프의 사시도,
도 6은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클램프가 결합 가능하도록 변형된 설치모듈의 예시도,
도 8은 조명장치가 적용된 다기능 액자의 구성도,
도 9 내지 도 11은 다기능 액자의 예시도,
도 12는 지지판의 확대도,
도 13은 본체에 설치되는 시계의 분해도,
도 14는 전시체의 분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에 적용되는 본체의 전개도,
도 16 입체 콘텐츠와 콘텐츠 설치모듈의 예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콘텐츠 설치모듈의 후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각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본체의 전면에 인쇄 또는 그려지는 다양한 형태의 그림이나 사진, 명언 등의 글씨를 콘텐츠라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콘텐츠는 미니어처, 피겨, 브릭(bricks) 장난감, 자석 인형, 시계, 명언지, 캘린더 등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입체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자를 구성하는 본체의 외형과 접이선을 하나의 금형을 이용해서 한 번의 타공 작업에 의해 형성하고, 클램프를 이용해서 벽면이나 천정, 책상이나 테이블에 설치해서 전시할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서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본체를 제조하고 조명장치를 이용해서 조명하는 다기능 액자의 구성을 설명하고, 제2 실시 예에서는 종이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조된 본체가 적용되는 다기능 액자의 구성을 설명하며, 제3 실시 예에서는 판 형상의 본체가 적용된 다기능 액자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액자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그림이나 사진, 글씨 등이 인쇄된 콘텐츠가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의 전면에 콘텐츠가 인쇄 또는 그려지거나 부착되도록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그림이나 사진, 글씨 등 콘텐츠가 보관되는 본체(11) 및 본체(11)의 일부를 클램핑해서 본체(11)를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하거나 본체(11)를 평면상에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클램프(12)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10)는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되는 설치판(13)을 더 포함하고, 클램프(12)는 자석과 같은 부착부재를 이용해서 설치판(13)에 부착될 수 있다.
설치판(13)은 자석을 이용해서 클램프(12)를 부착할 수 있도록, 철과 같이 자성체가 부착될 수 있는 금속 재질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설치판(13)은 본체(11)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하나 또는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설치판(13)에는 볼트나 못을 이용해서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 가능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설치공(1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설치판(13)은 복수의 설치모듈(16)에 의해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10)는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 가능하게 마련되고 본체(11)의 후면에 빛을 조사해서 콘텐츠를 조명하는 조명장치(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조명장치(15)는 복수의 LED가 설치되는 LED 스트립(151)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조명장치(15)는 LED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 스위치(도면 미도시)와 상기 전원 스위치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LED 스트립(151)을 점등 또는 점멸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컨트롤러(도면 미도시)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도면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케이블이 연결되고, 하우징의 내부에는 공급된 전원을 축전하는 배터리와 충전회로가 마련될 수 있다.
설치모듈(16)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71) 및 LED 스트립(151)을 감거나 아래에서 설명할 클램프(12)의 이탈방지블록이 결합되도록 고정 플레이트(71)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부(71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71)에는 벽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못이나 볼트가 관통 설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고정 플레이트(71)의 하부에 벽면에 못이나 볼트를 설치하기 위해 구멍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벽면과 벽지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미세한 직경, 예컨대 약 1㎜ 이하의 직경으로 제조되는 복수의 장착핀(75)이 설치될 수 있다.
클램프(12)의 구성은 아래에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체의 구성과 접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체의 전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체의 접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체(11)는 내부에 보관되는 콘텐츠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얇은 판 형상의 원재료를 톰슨(Thomson) 방식을 이용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재단하고, 각 접이선(14)을 따라 접는 접이 작업을 통해 콘텐츠의 각 외면을 감쌀 수 있다.
여기서, 본체(11)의 외형과 접이선(14)은 한 번의 타공 작업에 의해 동시에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1)는 액자의 무게를 최소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phthalate, 이하 'PET'라 함)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gonate, 이하 'PC'라 함)와 같이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PET는 내열성, 강성, 전기적 성질이 뛰어나고, 무게가 매우 가벼우며, 투명도 및 두께 조절이 용이하고, 제조 단가가 저렴하며, 높은 온도에 오랫동안 있어도 극한강도가 약간만 줄어드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PC는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투명성 등의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투명하고 얇은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본체를 제조함에 따라, 대형 콘텐츠를 보관하도록 크기를 증가시키는 경우에도 액자의 무게를 최소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본체의 외형과 접이선을 하나의 금형을 이용해서 한 번의 타공 작업에 의해 형성함에 따라, 제조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금형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1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의 원재료를 콘텐츠의 형상에 대응되는 액자 형태로 접을 수 있도록,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면부(20), 전면부(20)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1차로 접어지는 제1 및 제2 접이부(21,22) 그리고 전면부(20)의 양단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2차로 접어지는 제3 및 제4 접이부(23,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접이부(21 내지 24)는 각각 전면부(20)의 후면에 접촉되도록 접어져서 콘텐츠의 후면을 감싸고, 클램프(12)에 의해 클램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접이부(21,22)는 전면부(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각각 전면부(20)의 하방 및 상상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접이부(21,22)의 중앙부에는 각각 전면부(20)의 후측으로 접힌 상태에서 클램프(12)에 의해 클램핑되는 제1 및 제2 클램핑부(25,26)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클램핑부(25,26)는 각각 타공 작업에 의해 'ㄷ' 형상으로 절개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접어져서 클램핑될 수 있다.
전면부(20)와 제1 및 제2 접이부(21,22) 사이 그리고 제1 및 제2 접이부(21,22)와 제1 및 제2 클램핑부(25,26) 사이에는 각각 접이선(1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제1 및 제2 클램핑부(25,26)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접이부(21,22)와 함께 전면부(20)의 후면에 접촉되도록 접어진 후, 전면부(20)의 후면과 직각이 되도록 전면부(2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접어질 수 있다.
제3 및 제4 접이부(23,24)는 각각 전면부(20)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연장 형성되고, 제3 및 제4 접이부(23,24)의 외측단에는 각각 제3 및 제4 클램핑부(27,28)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및 제4 접이부(23,24)는 각각 전면부(20)의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감소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및 제4 클램핑부(27,28)는 각각 제3 및 제4 접이부(23,24)와 함께 전면부(23,24)의 후면에 접촉되도록 접어진 후, 전면부(20)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접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면부(20)와 제3 및 제4 접이부(23,24) 사이 그리고 제3 및 제4 접이부(23,24)와 제3 및 제4 클램핑부(27,28) 사이에는 각각 접이선(1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제3 및 제4 클램핑부(27,28)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및 제4 접이부(23,24)와 함께 전면부(20)의 후면에 접촉되도록 접어진 후, 전면부(20)의 후면과 직각이 되도록 전면부(2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접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3 및 제4 클램핑부(27,28)는 각각 전면부(20)의 후면에 직각이 되도록 접어진 제1 및 제2 클램핑부(25,26)와 함께 클램프(12)에 의해 클램핑된다.
한편, 본체(11)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필름 형태로 제조되고, 본체(11)의 내부에는 본체(11)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판(50)이 설치될 수 있다.
지지판(50)은 본체(11)와 동일한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조되고, 본체 (11)의 평판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본체(11)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판의 타공 작업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판(50)은 본체(11)의 전면부(20) 형상에 대응되도록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지판(50)에는 접이선(14)을 중심으로 후방을 향해 직각으로 접어져서 본체(11)의 제1 내지 제4 클램핑부(25 내지 28)와 함께 클램프(12)에 의해 클램핑되는 제5 클램핑부(51)가 마련되며, 제5 클램핑부(51)에는 클램프(12)의 고정돌기(38)가 관통 결합되는 고정공(5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본체와 동일한 재질, 즉 PET나 PC와 같이 무게가 가볍고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지지판을 제조함에 따라, 조명장치를 이용해서 콘텐츠를 후방에서 조명함으로써,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1)가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20)의 후면에 콘텐츠와 지지판(50)을 배치한 후, 지지판(50)의 제5 클램프부(51)를 전면부(20)의 후면과 직각이 되도록 전면부(2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접는다.
그리고 전면부(20)의 후면으로 제2 접이부(22)를 접은 상태에서 제1 접이부(21)를 접고, 제3 및 제4 접이부(23,24)를 순차적으로 접는다.
이때, 제1 내지 제4 클램핑부(25 내지 28)는 제5 클램핑부(51)와 마찬가지로 전면부(20)의 후면과 직각이 되도록 전면부(2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접어지고, 클램프(12)에 의해 모두 한꺼번에 클램핑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의 전면부를 이용해서 콘텐츠의 전면을 차폐하고, 콘텐츠 후면에 투명한 지지판을 배치한 상태에서 제1 내지 제4 접이부를 접어서 콘텐츠와 지지판의 후면을 차폐함으로써, 콘텐츠의 외면을 완전하게 차폐해서 먼지나 이물질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고, 액자의 평판성과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4 접이부 각각에 형성된 제1 내지 제4 클램핑부를 전면부의 후방으로 접은 후, 클램프로 클램핑한 후에는 콘텐츠가 보관된 본체를 벽면이나 천장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다음,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클램프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6은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클램프(1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의 후면에 결합시 Y 형상을 이루도록 양측에서 결합되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31,32) 그리고 제1 및 제2 플레이트(31,22)의 하단이 서로 접촉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1)는 전면에서 보았을 때, 상단부가 우측 상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절곡 형성되고, 제2 플레이트(32)는 전면에서 보았을 때, 상단부가 좌측 상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1)의 중앙부에는 제1 돌출리브(34)가 형성되고, 제2 플레이트(32)의 중앙부에는 제1 돌출리브(34)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돌출리브(3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돌출리브(34,35)는 각각 제1 및 제2 플레이트(31,32)에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제1 돌출리브(34)의 선단에는 제2 돌출리브(35)의 선단이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래서 제1 및 제2 플레이트(31,32)의 각 상단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제1 및 제2 플레이트(31,32)는 각 하단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제1 및 제2 돌출리브(34,35)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제1 돌출리브(34)와 제2 돌출리브(35)에는 각각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돌출리브(34,35)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 이탈방지 돌기(341)과 이탈방지 홈(3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 돌기(341)과 이탈방지 홈(351)은 각각 대략 반구 형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서로 형성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플레이트(31,32)의 하단부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본체(11)의 제1 내지 제4 클램핑부(25 내지 28)와 제5 클램핑부(51)를 제1 및 제2 플레이트(31,22) 사이에 배치하면, 제1 및 제2 플레이트(31,22)가 탄성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면서 제1 내지 제4 클램핑부(25 내지 28)와 제5 클램핑부(51)를 클램핑한다.
한편, 제1 플레이트(31)의 제1 돌출리브(34) 하부에는 제1 내지 제4 클램핑부(25 내지 28)와 제5 클램핑부(51)의 삽입 위치를 제한하는 스톱리브(3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플레이트(31,32)에는 각각 탄성부재(33)가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1)에는 제1 내지 제4 클램핑부(25 내지 28)와 제5 클램핑부(51)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고정홈(37)이 형성되고, 제2 플레이트(32)에는 고정홈(37)에 삽입되도록 고정홈(37)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돌기(38)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클램핑부(25 내지 28)와 제5 클램핑부(51)에는 고정돌기(38)가 관통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공(29,5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돌기(38)는 반구 형상이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본체(11)의 제1 내지 제4 클램핑부(25 내지 28)와 제5 클램핑부(51)가 제1 및 제2 플레이트(31,22)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후단으로 가면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에 고정공을 형성하고 클램핑부에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본체를 클램프에 고정함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본체가 클램프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클램프의 구조를 변경하여 전체 폭을 최소화해서 클램핑된 본체와 벽면 사이의 불필요한 공간을 감소시켜 본체를 벽면에 최대한 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플레이트(31,32)에는 각각 서로 대칭되도록 복수 쌍의 지지플레이트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플레이트(31,32)의 중앙부 전면에는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311,321)가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 및 제2 플레이트(31,32)의 하단부 후면에는 제3 및 제4 지지플레이트(312,322)가 양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311,321)는 클램핑된 본체(11)의 후면을 지지해서 본체(11)의 양단이 클램프(12)를 중심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 벽면과의 평형이 기울어지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제3 및 제4 지지 플레이트(312,322)는 설치판(13)의 전면을 지지해서 본체(11)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클램프(12)가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제1 내지 제4 지지 플레이트(311,321,312,322)에는 설치판(13)에 부착할 수 있도록, 자석과 같은 부착부재가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설치공(313,32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본체(11)의 크기나 무게 등을 고려해서 각 설치공(313,323)에 선택적으로 자석을 설치하여 설치판에 부착되는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플레이트(31,32)의 상단부 사이에는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제1 및 제2 플레이트(31,32)의 하단부가 벌어져서 클램핑된 본체(11)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 플레이트(31,32)의 상단부 사이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블록(40)이 결합될 수 있다.
이탈방지블록(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플레이트(31,32)의 상단부 사이 공간에 대응되도록,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41)와 몸체(41)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 플레이트(4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41)에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31,32)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결합공(314,324)을 통해 스토퍼(43)가 결합되는 제3 결합공(4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41)에는 설치판(13)에 부착할 수 있도록 자석과 같은 부착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돌출 플레이트(42)는 설치모듈(16)에 형성된 결합돌부(711)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돌출 플레이트(42)에는 결합돌부(711)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돌출 플레이트(42)는 별도의 와이어(도면 미도시)를 이용해서 설치모듈(16)에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탈방지블록(40)을 제거하고, 클램프(12)의 제1 및 제2 결합공(314,324)에 직접 와이어를 연결해서 설치블록(16)에 직접 설치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클램프(12)를 설치판(13)에 부착한 상태에서 설치모듈(16)의 결합돌부(711)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설치모듈의 구조를 일부 변경해서 다기능 액자를 천장에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은 클램프가 결합 가능하도록 변형된 설치모듈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설치판(13)을 제거하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플레이트(31,32)에는 각각 설치모듈(16)에 결합해서 직접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 가능하도록 한 쌍의 결합플레이트(39)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플레이트(39)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31,32)의 상단부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플레이트(39)는 설치모듈(1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설치모듈(1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71) 및 고정 플레이트(71)의 전면에 제1 및 제2 플레이트(31,32)의 전면 또는 후면에 각각 형성된 결합플레이트(39)가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공간(72)이 형성되도록 상하면과 내측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설치 블록(7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설치블록(73)은 상부에서 결합되는 클램프(16)와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고정 플레이트(71)에는 미세한 직경, 예컨대 약 1㎜ 이하의 직경으로 제조되는 복수의 장착핀(75)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프레임을 구비하는 액자와 달리, PET와 같이 무게가 가벼운 합성수지 재질이나 종이 재질과 같이 타공이 가능한 재료를 이용해서 본체와 클램프를 제조함에 따라, 설치모듈에 미세한 직경의 장착핀을 이용해서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벽면이나 천장에 마련된 벽지의 손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고, 설치가 용이하며, 필요에 따라 벽면이나 천장의 손상없이 설치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액자는 복수 개가 일렬로 나란하게 설치되거나, 복수의 행 및 열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복수의 다기능 액자의 배치위치가 인쇄된 배치용지를 벽면에 가 고정하고, 배치용지에 표시된 설치위치에 설치모듈에 설치된 복수의 장착핀을 설치해서 복수의 다기능 액자의 행과 열을 정확하게 맞춰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클램프(12)는 본체(11)를 클램핑하는 과정에서 전면이나 후면 방향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클램핑할 수 있도록, 전면과 후면에 각각 결합플레이트(39)를 형성하거나,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311,321)와 제3 및 제4 지지 플레이트(312,322)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플레이트(31,32)의 상단과 제1 내지 제4 지지 플레이트(311,321,312,322)에는 각각 자석이 설치되는 설치공(313,32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31,32)의 상단과 제1 내지 제4 지지 플레이트(311,321,312,322)에 설치된 자석을 이용해서 설치판(13)에 클램프(12)를 부착하고, 이탈방지블록(40)을 설치모듈(16)에 결합해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조명장치가 LED 스트립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8은 조명장치가 적용된 다기능 액자의 예시도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다기능 액자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는 다기능 액자의 조명장치를 구동해서 장식물을 조명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다기능 액자의 조명장치가 미 구동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장치(15)를 이용해서 다기능 액자(10)의 후방에서 콘텐츠를 전체적으로 조명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의 후측 벽면에 설치모듈(16)을 이용해서 설치판(13)을 고정하고, 하우징을 갖는 LED 모듈 형태의 조명장치(15)를 설치판(13)에 부착 방식으로 설치해서 전시물에 빛을 조사하여 조명할 수 있다.
조명장치(15)는 도 8에서 바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원형이나 타원 형상 등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명장치(15)는 단일 색상이나 복수의 색상으로 점등 또는 점멸 동작을 하는 하나 이상의 LED, 상기 LED를 구동하는 드라이버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LED와 인쇄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충전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15)는 자석을 이용해서 설치판(15)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조명장치(15)는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나 시간을 계수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접근시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예컨대 야간에만 LED를 선택적으로 점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벽면에 복수의 설치모듈을 이용해서 설치판을 고정하고, 조명장치를 설치판에 설치해서 전시물에 빛을 조사하여 조명함으로써, 전시물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장착핀을 이용해서 설치판을 벽면에 설치하고, 자석을 이용해서 조명장치를 설치판에 부착함에 따라, 벽면이나 벽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클램프가 설치되는 설치판과 별도로 추가 설치판을 설치해서 조명장치를 부착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본체나 본체 주변에 다양한 장식물을 추가 설치해서 전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의 전면이나 주변에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이미지, 미니어쳐, 피겨, 시계(17) 등의 장식물을 설치해서 전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명언이나 캘린더 등이 씌어지거나 인쇄된 전시체(18)를 본체(11)와 함께 클램핑해서 전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2는 지지판의 확대도이고, 도 13은 본체에 설치되는 시계의 분해도이며, 도 14는 전시체의 분해도이다.
지지판(5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장의 투명판을 라미네이션 방식으로 합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판(50)을 구성하는 2장의 투명판 중에서 어느 하나의 투명판에는 자석이나 철판 등의 부착부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의 행과 열을 따라 다수의 설치공(5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판(50)은 설치공(54)에 설치된 부착부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공(54)이 형성된 투명판이 벽면이나 천정에 근접하게 배치된 상태로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설치공(54)은 지지판(50)을 제조하는 타공 작업시 함께 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판에 설치공을 형성하고, 각 설치공에 자석이나 철판을 설치한 후, 자석 등을 이용해서 다양한 장식물을 본체에 추가 설치해서 전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지지판에 일정 간격의 행과 열을 따라 다수의 설치공을 형성하고 설치공 전체 또는 일부에 부착부재를 설치함에 따라, 장식물의 위치를 다양하게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다.
시계(17)는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모듈(171)의 시침, 분침, 초침을 분해하지 않고, 설치 가능하도록 2 이상으로 분할되는 콘텐츠판(172) 및 본체(11)에 전시되어 있는 콘텐츠를 시야에서 가리지 않고 다양한 장식물을 콘텐츠 전면이나 주변에 입체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투명 보조판(173)을 포함할 수 있다.
시계모듈(171)에는 지지판(50)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자석(174)이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계모듈(171)의 전면에는 시간을 표시하는 숫자나 도형 등이 인쇄된 숫자판이 설치되나, 이러한 숫자판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시침, 분침, 초침 등을 분해해야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콘텐츠판(172)을 분할 형성함에 따라, 시침, 분침, 초침 등을 분해하지 않고,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다.
이러한 콘텐츠판(172)에는 본체(11)에 전시된 콘텐츠와 관련된 콘텐츠가 그려지거나 인쇄되고, 해당 콘텐츠를 보호할 수 있도록 코팅층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판(172)에는 시계모듈(171)의 자석(174)에 부착 가능하도록, 철판이나 자석 등의 부착부재(도면 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에 전시된 콘텐츠와 시계에 설치된 콘텐츠판을 동화 또는 조화시켜 전시함으로써,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주의를 집중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투명 보조판(173)은 콘텐츠판(172)에 표현된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콘텐츠판(172)의 면적보다 더 넓은 면적의 판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보조판(173)에는 숫자 블록이나 숫자와 관련된 장식물, 예컨대 12지신을 형상화한 동물 형상의 미니어쳐나 피겨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복수의 설치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3에서 투명 보조판(173)은 콘텐츠판(172)과 함께 분할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투명 보조판(173)을 하나의 판으로 마련하고, 시계모듈(171)의 축 상에 고정 설치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전시체(18)는 도 1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와 동일하게 투명한 재질로 제조되는 제1 및 제2 커버(181,182)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커버(181,182)는 서로 합지되거나, 테이프 등의 접착부재를 이용해서 접착될 수 있다.
물론, 제1 및 제2 커버(181,182)는 자석 등의 부착부재를 이용해서 합지 상태로 고정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커버(181,182)의 일측단에는 명언, 캘린더 등의 콘텐츠가 그려지거나, 인쇄 또는 씌어있는 콘텐츠지(183)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버(181,182)는 한 번의 타공 작업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전시체(18)에는 본체(11)와 함께 클램핑해서 전시할 수 있도록, 본체(11)의 제1 내지 제4 클램핑부(25 내지 28)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거나, 제1 내지 제4 클램핑부(25 내지 28)와 함께 클램프(12)에 의해 클램핑되는 클램핑부(184)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콘텐츠지 등을 전시하는 명언판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명언 이외에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씨나 그림, 사진 등을 다양한 추가 콘텐츠를 제1 및 제2 커버(181,182) 사이에 삽입해서 전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전시체(18)가 본체(11)의 하부에 설치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체(11)의 상하 좌우 제한없이, 같은 방식으로 다양한 위치에 전시체(18)를 설치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전시체(18)의 후측에도 추가의 조명장치(15)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전시되는 본체 및 전시체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하나 이상의 조명장치를 설치해서 전시물을 효과적으로 조명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에 적용되는 본체의 전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10)는 상기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다기능 액자의 구성과 유사하고, 다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투명한 지지판(50) 대신에 철과 같이 부착부재가 부착될 수 있는 금속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조되는 부착지지판(53)이 적용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1)는 종이 재질과 같이, 콘텐츠를 그리거나 인쇄할 수 있는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조되고, 본체(11) 내부에 부착지지판(53)이 적용됨에 따라 클램프(12)에 설치되는 부착부재를 이용해서 클램프(12)와 벽면 및 본체(11)가 모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체(11)는 상기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접이 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접어져서 액자를 형성하여 전면에 인쇄되거나 그려진 콘텐츠를 전시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본체(11) 내부에 투명한 지지판(50) 대신에 얇은 철판 등의 부착지지판(53)이 내장되며, 지지판(50)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5 클램핑부(51)가 생략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는 부착지지판(53)을 얇은 철판 등으로 구성함에 따라, 클램프(12)에 내장된 부착부재, 즉 자석의 자력으로 클램프(12)와 본체(11)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본체(11)의 구성은 상기의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본체(11)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 제1 접이부(21)의 하단부에는 제1 접이부(21)의 하단 폭보다 큰 폭을 갖는 결합부(211)가 돌출 형성되고, 제2 접이부(22)에는 결합부(211)의 양단이 결합되도록 절개되는 한 쌍의 절개공(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체(11)는 제3 및 제4 접이부(23,24)를 접은 상태에서 제2 및 제1 접이부(22,21)를 순차적으로 접은 후, 제1 접이부(21)의 결합부(211) 양단을 제2 접이부(22)에 마련된 한 쌍의 절개공(221)에 삽입해서 본체(11)를 접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이 등의 재질을 이용해서 컨텐츠가 그려지거나 인쇄된 본체를 접어서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고, 접은 상태가 풀어지면서 손상이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로 제조된 본체도 결합부와 절개공을 적용해서 접은 상태가 풀어지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부착지지판(53)은 본체(11)의 전면부(20) 형상에 대응되도록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10)는 본체(11) 내부에도 설치판(13)과 같은 부착지지판(53)을 적용함에 따라, 자성을 갖는 다양한 입체 콘텐츠를 본체(11)에 부착해서 전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모듈의 형상을 변형해서 다기능 액자 주변에 다양한 입체 형상의 미니어처(mimiature), 피겨(figure), 브릭(bricks) 장난감, 자석 인형, 디퓨저(diffuser)와 같은 소형 입체 콘텐츠를 설치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 입체 콘텐츠와 콘텐츠 설치모듈의 예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콘텐츠 설치모듈의 후면도이다.
콘텐츠 설치모듈(19)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설치되는 바디(192) 및 바디(192)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본체(11)와 벽면 사이의 간격에 따라 두께가 조절되는 조절블록(195)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절블록(195)의 하단에는 벽면이나 벽지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미리 설정된 크기, 예컨대 약 1㎜ 이하의 미세 직경으로 제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 예컨대 한 쌍의 장착핀(196)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블록(195)의 후면에는 입체 콘텐츠(197)의 후단에 설치되는 자석(198)이나 철판을 부착하거나 철과 같은 금속 재질의 벽면에 부착 가능하도록, 자석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본체에 설치된 입체 콘텐츠와 함께, 콘텐츠 설치모듈을 이용해서 본체 주변에 입체 콘텐츠를 설치해서 전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다기능 액자에 입체 콘텐츠를 부착해서 전시하거나, 본체 주변의 벽면이나 천장에 콘텐츠 설치모듈을 이용해서 입체 콘텐츠를 부착해서 전시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설명한 본체(11)는 하나씩 제공될 수도 있으나, 다양한 그림이나 사진, 글씨를 전시할 수 있도록 바인더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책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콘텐츠 북은 전면에 그림이나 사진, 글씨 등이 그려지거나 인쇄된 다수의 본체(11)가 내부에 보관되는 커버체 및 상기 커버체의 내부에 부착되어 다수의 본체(11)를 철하여 보관하는 바인더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시하고자 하는 그림이나 사진, 글씨 등의 콘텐츠로 마련된 본체를 바인더 형태의 책자로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콘텐츠 중에서 전시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선택해서 액자 형태로 용이하게 전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평판 형태의 콘텐츠 뿐만 아니라, 팝업 카드를 응용해서 다양한 입체 콘텐츠가 적용된 본체를 반으로 접어서 콘텐츠 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콘텐츠 북에 철된 다수의 본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본체를 평면이 되도록 펼치면 다양한 입체 형상의 콘텐츠가 전시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액자(10)에서 본체(11)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지지판(5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본체(11)는 대략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11)의 중앙부에는 클램핑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
본체(11)의 후면에는 사각틀 형상의 부착판(112)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11)의 전면에 콘텐츠(113)를 배치하고, 콘텐츠(113)의 상하단과 양단을 각각 본체(11)의 후면에 겹쳐지도록 접은 후, 자석(114) 등의 부착부재를 이용해서 콘텐츠(113)를 본체(11)에 고정해서 전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1)는 사각판 형상뿐만 아니라, 삼각이나 오각 형상 등 다각 형상 또는 원 형상이나 반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콘텐츠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본체를 원 형상이나 다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클램핑부를 이용해서 클램핑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본체와 클램프를 이용해서 다양한 콘텐츠를 전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본체의 내부 또는 전면에 설치하거나, 본체의 전면에 그려지거나 인쇄된 전시물을 전시하는 다기능 액자 기술에 적용된다.
10: 다기능 액자 11: 본체
111: 클램핑부 112: 부착판
113: 콘텐츠 114: 자석
12: 클램프 13: 설치판
131: 설치공 14: 접이선
141: 바인더 접이선 142: 바인더 공
15: 조명장치 16: 설치모듈
17: 시계 171: 시계모듈
172: 콘텐츠판 173: 투명 보조판
18: 전시체 181,182:제1,제2 커버
183: 콘텐츠지 184: 클램핑부
19: 콘텐츠 설치모듈 192: 바디
193: 돌출부 194: 플랜지
195: 조절블록 196: 장착핀
197: 입체 콘텐츠 198: 자석
20: 전면부 21 내지 24: 제1 내지 제4 접이부
211: 결합부 221: 절개공
25 내지 28: 제1 내지 제4 클램핑부
29: 고정공 31,32: 제1,제2 플레이트
311,321,312,322: 제1 내지 제4 지지 플레이트
313,323: 설치공 314,324: 제1,제2 결합공
33: 탄성부재 34,35: 제1,제2 돌출리브
341: 이탈방지 돌기 351: 이탈방지 홈
36: 스톱리브 37: 고정홈
38: 고정돌기 39: 결합플레이트
40: 이탈방지블록 41: 몸체
42: 돌출 플레이트 50: 지지판
51: 제5 클램핑부 52: 고정공
53: 부착지지판 54: 설치공
71: 고정 플레이트 711: 결합돌부
72: 결합공간 73: 설치 블록
75: 장착핀

Claims (15)

  1. 내부에 콘텐츠가 보관되거나 전면에 콘텐츠가 인쇄 또는 그려지거나 설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부를 클램핑해서 상기 본체를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하거나 상기 본체가 평면상에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형과 접이선은 하나의 금형을 이용해서 한 번의 타공 작업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콘텐츠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콘텐츠의 전면에 배치되거나 전면에 콘텐츠가 인쇄 또는 그려지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의 후면으로 접어지는 제1 및 제2 접이부 그리고
    상기 전면부의 양단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의 후면으로 접어지는 제3 및 제4 접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제1 내지 제4 접이부 사이에는 각각 상기 접이선이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본체의 후면에 돌출된 부분을 클램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이부와 제2 접이부의 중앙부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접이부와 함께 상기 전면부의 후면에 접촉되도록 접어진 후, 상기 전면부의 후면과 직각이 되도록 상기 전면부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접어지는 제1 클램핑부와 제2 클램핑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및 제4 접이부에는 각각 상기 제3 및 제4 접이부와 함께 상기 전면부의 후면에 접촉되도록 접어진 후, 상기 전면부의 후면과 직각이 되도록 상기 전면부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접어지는 제3 클램핑부와 제4 클램핑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 클램핑부는 각각 상기 전면부의 후면에 직각이 되도록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에 의해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 또는 미리 설정된 두께 이상의 종이 재질의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본체의 후면과 직각으로 배치되고 일측면에 제1 돌출리브가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일측면에 상기 제1 돌출리브에 대칭되도록 제2 돌출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돌출리브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전단이 서로 접촉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리브와 제2 돌출리브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돌출리브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 이탈방지 홈과 이탈방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에는 클램핑되는 상기 본체의 일단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7.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설치모듈을 이용해서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되는 설치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 설치된 부착부재를 이용해서 상기 설치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는 각각 상기 본체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복수 쌍의 지지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부착부재가 부착되는 부착지지판이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와 각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설치판 및 부착지지판에 부착되는 부착부재가 설치되도록, 하나 이상의 설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에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일단에 직각으로 결합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는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되는 설치모듈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모듈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전면에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전면 또는 후면에 각각 형성된 상기 결합플레이트가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하면과 내측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설치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설치블록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부는 벽면이나 벽지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미리 설정된 크기 이하의 직경을 갖는 복수의 장착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로 제조되는 지지판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철판이나 자석을 포함하는 부착부재를 설치하도록, 일정 간격의 행과 열을 따라 다수의 설치공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는 미니어쳐, 피겨, 브릭 장난감, 자석 인형, 시계 중 하나 이상의 장식물이 부착 방식으로 설치되어 전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는
    시계모듈의 시침, 분침이 결합된 상태에서 교체 가능하도록, 2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는 콘텐츠판과
    상기 본체에 전시된 콘텐츠를 시야에서 가리지 않고 콘텐츠 전면이나 주변에 입체적으로 다양한 장식물을 추가 설치하는 투명 보조판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판에는 상기 본체에 전시된 콘텐츠와 동화 또는 조화된 콘텐츠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13. 제2항에 있어서,
    추가 콘텐츠를 전시하는 전시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시체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조되는 제1 및 제2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커버는 서로 합지되거나, 접착부재를 이용해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후면에 빛을 조사해서 콘텐츠를 조명하는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 내부에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로 제조되는 지지판이 마련되며,
    상기 조명장치는 복수의 LED가 설치되는 LED 모듈로 마련되어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된 설치판에 부착 방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본체의 제1 내지 제4 클램핑부와 함께 상기 클램프에 의해 클램핑되는 제5 클램핑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후면에는 철 재질의 부착판이 설치되며,
    상기 콘텐츠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하단과 양단이 각각 상기 본체의 후면으로 접어진 상태에서 상기 부착판에 부착되는 부착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전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액자.
KR1020180105179A 2015-02-17 2018-09-04 다기능 액자 KR201900266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24440 2015-02-17
KR1020170113319 2017-09-05
KR1020170113319A KR20180028037A (ko) 2015-02-17 2017-09-05 다기능 액자 및 그에 적용되는 콘텐츠 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621A true KR20190026621A (ko) 2019-03-13

Family

ID=5688478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798A KR20160101657A (ko) 2015-02-17 2016-01-12 다기능 액자
KR1020170113319A KR20180028037A (ko) 2015-02-17 2017-09-05 다기능 액자 및 그에 적용되는 콘텐츠 북
KR1020180105179A KR20190026621A (ko) 2015-02-17 2018-09-04 다기능 액자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798A KR20160101657A (ko) 2015-02-17 2016-01-12 다기능 액자
KR1020170113319A KR20180028037A (ko) 2015-02-17 2017-09-05 다기능 액자 및 그에 적용되는 콘텐츠 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1601016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102B1 (ko) 2020-10-19 2021-07-07 이일수 실내 장식물 고정장치
KR20220074028A (ko) 2020-11-27 2022-06-03 성기봉 융합 검색엔진 폼마법사 아두이노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795A (ko) 2018-12-07 2020-06-17 김규현 사진액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678A (ko) 2003-05-29 2004-12-08 김종심 다기능 장식액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7676205B2 (en) 2006-09-18 2010-03-09 Harris Corporation Active receiver detection and ranging
KR101070638B1 (ko) 2009-08-14 2011-10-07 정미선 다기능 액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102B1 (ko) 2020-10-19 2021-07-07 이일수 실내 장식물 고정장치
KR20220074028A (ko) 2020-11-27 2022-06-03 성기봉 융합 검색엔진 폼마법사 아두이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037A (ko) 2018-03-15
KR20160101657A (ko) 201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6621A (ko) 다기능 액자
US9214101B2 (en) Backlit graphic display device
CN102096218B (zh) 液晶显示模块及其一体成型背板
US20140047742A1 (en) Edge Lit Magnetic Sign
JP2006053528A (ja) 枠組み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6346310A (ja) 展示ケース
JP2010256813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880429B1 (ko) 백 라이트 액자
KR20230033539A (ko) 다기능 액자
LU502390B1 (en) Copyable drawing board for children
JP6931547B2 (ja) Pop広告用電駆看板及びその支持フレーム
KR102158447B1 (ko) 분해 조립이 가능한 장식용 아크릴 박스 제품 및 이를 이용한 멀티 결합형 장식용 아크릴 박스 제품
JPH1176021A (ja) プリント展示器
JP3124598U (ja) 内照式表示器
US20050278999A1 (en) Replaceable neon bill box
KR101971703B1 (ko) 보드 중앙에 음영이 생기지 않도록 하면서 조립이 용이하고 보드의 마크나 문자의 식별이 용이한 돌출간판.
KR20170084677A (ko) 다기능 액자
JP3118474U (ja) 表示パネル
JP3218300U (ja) 絵素材配置台座
KR101635314B1 (ko) 웨어러블 완구
KR20090030243A (ko) 조명소품
KR200293843Y1 (ko) 스크린 교환형 사인보드
KR102275362B1 (ko) 자바라 스크린식 자동차 사고 알림, 조명 및 광고 장치
US10373536B2 (en) 3D signage using an inverse cube illusion fixture
JP2005143956A (ja) 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