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583B1 - 간판 - Google Patents

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583B1
KR101372583B1 KR1020130069475A KR20130069475A KR101372583B1 KR 101372583 B1 KR101372583 B1 KR 101372583B1 KR 1020130069475 A KR1020130069475 A KR 1020130069475A KR 20130069475 A KR20130069475 A KR 20130069475A KR 101372583 B1 KR101372583 B1 KR 101372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ignboard
light source
reflecting member
ref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성길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은행 filed Critical 한국산업은행
Priority to KR1020130069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9Edge illuminated signs, boards or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4Information to display
    • G09F2013/1854Light diffusing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86Special effects
    • G09F2013/189Three dimension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간판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간판은: 하우징과, 하우징에 구비되어 외부전원에 의해 발광되며, 반복반사원리를 이용하여 입체 깊이감을 부여하는 3D광원부 및 하우징을 피고정물에 장착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간판{SIGNBOARD}
본 발명은 간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3D광원부의 반복반사원리에 의해 입체 깊이감을 부여하여 심미감이 향상되는 간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판은 상호나 생산된 제품 등을 홍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평면 간판, 채널 간판 등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평면 간판은 평면적으로 형성된 간판의 전면에 다수의 광고문구 또는 그림 등을 인쇄하고, 그 내부에 다수의 조명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고, 채널 간판은 문자난 문양 등을 입체적으로 형성하여 벽면에 부착 설치하되, 문자나 문양의 내부에는 광고 문구가 잘 보일 수 있도록 조명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다.
채널 간판은 채널 형상으로 문자를 이루며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채널바와 전면측 외곽부가 채널바의 후단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조명 기구가 설치되는 베이스판과 후면측 외곽부가 채널바의 전단측에 밀착되는 투광판과 채널바의 전단 일측과 투광판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캡 및 캡과 채널바 간에 체결되는 핀부재를 포함한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 제2011-0014332호(공개일:2011.02.11)에는 "입체간판"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이 문자 또는 문양 등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마주하는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3D광원부에 의한 반복반사원리에 의해 입체 깊이감을 부여할 수 있어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간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고정물에 장착 시 장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그 장착이 용이한 간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외부전원에 의해 발광되며, 반복반사원리를 이용하여 입체 깊이감을 부여하는 3D광원부 및 상기 하우징을 피고정물이 장착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3D광원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반사부재와, 상기 제1반사부재와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반사부재 및 상기 제1반사부재와 상기 제2반사부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는 발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3D광원부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투명체와, 상기 투명체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반사부재와, 상기 투명체의 후면에 구비되는 제2반사부재 및 상기 투명체의 둘레면을 따라 구비되는 발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반사부재는 하프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반사부재와 상기 제2반사부재는 상기 투명체에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피고정체에 결합되는 장착브라켓 및 상기 장착브라켓에 상기 하우징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2반사부재 사이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제2반사부재와의 접촉이 방지되도록 이격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격공간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2반사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2반사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장착브라켓을 이격시켜 고정하고,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는 상기 장착브라켓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후광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3D광원부의 전면에는 상기 3D광원부를 보호하는 보호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은 하우징이 문자 또는 문양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3D광원부가 구비되어 3D광원부의 반복반사원리에 의해 문자 또는 문양에 입체 깊이감을 부여할 수 있어 심미감을 향상시킴으로 광고효과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피고정물에 장착 시 장착부위가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배선용 공간이 형성되어 깔금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장착이 용이한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3D광원부의 전측에 보호부재가 구비되어 외부환경 또는 외부충격으로부터 3D광원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을 알루미늄 등의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방열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판의 반복반사원리를 이용한 입체 구현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판의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간판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의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판의 반복반사원리를 이용한 입체 구현을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판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판의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간판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의 사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판(100)은 하우징(110), 3D광원부(130) 및 장착부(14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간판(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문자, 문양, 기호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장착부(140)에 결합되는 후면하우징(112)과, 후면하우징(112)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하우징(114)을 포함한다.
후면하우징(112)의 단면은 'ㄷ'자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3D광원부(130)가 구비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전면하우징(114)은 후면하우징(112)의 전면과 둘레면을 커버하는 'ㄷ'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져 3D광원부(130)의 이탈을 방지하고, 3D광원부(130)가 노출되도록 중앙에 개구홀(115)이 구비된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3D광원부(130)에서 발생되는 열의 방열을 증대하기 위해 알루미늄 등의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3D광원부(130)는 하우징(110)에 구비되어 외부전원에 의해 발광되며, 반복반사원리를 이용하여 입체 깊이감을 구현한다. 이러한 3D광원부(130)는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반사부재(132)와, 제1반사부재(132)와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반사부재(134) 및 제1반사부재(132)와 제2반사부재(134) 사이에 구비되고, 하우징(110)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발광모듈(136)을 포함한다.
제1반사부재(132)는 하프미러를 포함한다. 즉, 제1반사부재(132)는 알루미늄 등 금속 증착아크릴, 유리, 반사유리, 금속증착필름부착 아크릴 등으로 이루어지고, 제2반사부재(134)는 미러를 포함하며, 미러증착아크릴, 금속증착필름부착 아크릴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반사부재(132)와 제2반사부재(134)는 후면하우징(112)에 의해 이격거리를 유지한다. 후면하우징(112)의 내후면에는 제2반사부재(134)가 안착되고, 제1반사부재(132)는 후면하우징(112)의 선단에 안착되어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하프미러로 이루어지는 제1반사부재(132)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임계각(θ1) 이상의 빛은 외부로 투사하고, 임계각(θ1) 이내의 빛은 내부로 반사시키는 미러(Mirror)로서, 미러로 이루어지는 제2반사부재(134)의 반사율보다 낮다.
발광모듈(136)은 플랙서블 LED로 이루어져 후면하우징(112)의 내측면에 양면접착제(137)에 의해 부착된다. 양면접착제(137)는 내열성을 지닌 무기재양면접착제(137)로 이루어져 열 변형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모듈(136)을 플랙서블 LED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한 것이 아니며 램프 등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발광모듈(136)은 제1,2반사부재(132,134)의 면 방향과 수직되게 배치된다. 발광면과 제1,2반사부재(132,134)의 면 방향에 대한 위치관계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쳐 공히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반사부재(132)와 제2반사부재(134) 사이에 발광모듈(136)이 구비되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모듈(136)에서 빛을 방출할 때, 임계각(θ1) 이하의 빛(B2)은 제1반사부재(132)와 제2반사부재(134) 사이에서 무한반복되고, 임계각(θ1) 이상의 빛(B1)은 하프미러로 이루어진 제1반사부재(132)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임계각(θ1)을 만족하지 못하고, 제1반사부재(132)와 제2반사부재(134) 사이에서 수차 반복되던 빛 중 일부는 임계각(θ1)을 만족하여 제1반사부재(132)의 외부로 방출되며, 이때, 외부로 방출되는 빛(B3)은 빛(B1)과의 시차(T1)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시차(T1)에 의해 제1반사부재(132)와 제2반사부재(134) 사이의 공간은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다.
후면하우징(112)과 전면하우징(114)은 별도의 체결부재(113)에 의해 결합된다. 전면하우징(114)의 가장자리는 후측으로 연장되어 후면하우징(112)이 둘레에 접하게 되며, 별도의 체결부재(113)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후면하우징(112)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결합되는 체결부재(113)가 결합되도록 지지물(120)이 구비된다. 지지물(120)은 후면하우징(112)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체결부재(113)와 결합되므로써, 전면하우징(114)과 후면하우징(112)의 결속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지지물(120)에 의해 제2반사부재(134)는 후면하우징(112)의 내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이격공간부(125)를 형성한다. 이격공간부(125)는 후술되는 장착부(140)와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3D광원부(130)의 배선용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장착부(140)는 하우징(110)을 피고정물에 장착하는 것으로서, 피고정물에 결합되는 장착브라켓(142) 및 장착브라켓(142)에 하우징(110)을 고정하는 고정부재(144)를 포함한다. 이때, 이격공간부(125)에 의해 고정부재(144)는 후면하우징(112)의 내후면에 구비되는 제2반사부재(134)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격공간부(125)는 상기한 지지물(120)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부재(144)는 후면하우징(112)과 장착브라켓(142)을 연결하는 고정피스로 이루어진다. 고정부재(144)가 후면하우징(112)에 결합되므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판(100)의 변형예로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44)가 전선피스로 이루어져 장착브라켓(142)으로부터 하우징(110)을 이격시켜 고정시킨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배면에는 장착브라켓(142)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후광부재(150)가 구비된다.
후광부재(150)는 LED로 이루어져 장착브라켓(142)측으로 광을 조사하여 간판(100)에 후광연출이 가능하다. 이때, 전면하우징(114)의 가장자리는 후측으로 더 연장되어 후광부재(150)를 상단 또는 하단을 커버하여 후광부재(1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한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판(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후면하우징(112)의 내후면 가장자리에 지지물(120)이 구비되고, 지지물(120)의 전측에 미러아크릴로 이루어지는 제2반사부재(134)가 안착되며, 후면하우징(112)의 내측면에 플랙시블 LED로 이루어지는 발광모듈(136)이 양면접착제(137)에 의해 부착된다. 그리고, 후면하우징(112)의 선단에는 하프미러아크릴로 이루어지는 제1반사부재(132)가 안착된다.
이로 인해, 제1반사부재(132)와 제2반사부재(134)는 후면하우징(112)에 의해 일정간격 이격되며,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후, 제1반사부재(132)의 전면에는 중앙에 개구홀(115)이 형성되는 전면하우징(114)이 장착되며, 전면하우징(114)은 별도의 체결부재(113)에 의해 후면하우징(112)에 결합된다. 이때, 체결부재(113)는 전면하우징(114)과 후면하우징(112)을 관통하여 지지물(120)에 결합되므로써, 전면하우징(114)과 후면하우징(112)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지지물(120)에 의해 하우징(110)의 후측에는 발광모듈(136)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용 공간인 이격공간부(125)가 형성된다.
이처럼 조립된 간판(100)은 장착부(140)에 의해 피고정체에 결합된다. 즉,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브라켓(142)의 후측에서 전측으로 고정부재(144)가 결합되어 상호 연결된다. 이때, 고정부재(144)는 후면하우징(112)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되는데, 이격공간부(125)에 의해 고정부재(144)가 제2반사부재(134)에 접촉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장착이 완료되어 발광모듈(136)에 전원이 공급되면, LED가 점등되어 빛을 방출하게 되고, 임계각(θ1) 이하의 빛(B2)은 제1반사부재(132)와 제2반사부재(134) 사이에서 무한 반복반사되고, 임계각(θ1) 이상의 빛(B1)은 하프미러로 이루어진 제1반사부재(132)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며, 무한 반복반사되다가 외부로 방출되는 빛(B3)과 바로 방출되는 빛(B1)의 시차(T1)에 의해 제1반사부재(132)와 제2반사부재(134) 사이의 공간은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어 행인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문자, 문양, 기호 등으로 형성되는 하우징(110)에 의해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44)가 전선피스로 이루어져 장착브라켓(142)로부터 후면하우징(112)을 이격되게 고정하고, 후면하우징(112)의 배면에는 후광부재(150)가 구비되어 후광을 연출할 수 있다.
즉, 도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전면에서는 3D광원부(130)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하우징(110)의 두께보다 깊숙한 공간이 있는 것처럼 표현되고, 하우징(110)은 후광에 의해 장착브라켓(142)로부터 떠있는 느낌을 주어 행인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간판(200)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간판(200)의 단면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210) 내부에 구비되는 3D광원부(220)는 하우징(210)에 구비되는 투명체(222)와, 투명체(222)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반사부재(224)와, 투명체(222) 후면에 구비되는 제2반사부재(226) 및 투명체(222)의 둘레면을 따라 구비되는 발광모듈(228)을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전면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3D광원부(220)가 구비된다. 이는 제1실시예와 달리 전면하우징(210)이 삭제되어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투명체(222)에 의해 제1반사부재(224)와 제2반사부재(226) 사이 빈 공간을 제거할 수 있어 가능하다.
투명체(222)는 투명아크릴로 이루어지며, 제2반사부재(226)는 투명체(222)의 후면에 알루미늄 미러증착 또는 금속증착필림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반사부재(224) 또한 투명체(222)의 전면에 증착될 수 있으며, 투명체(222)와 분리된 각각의 제1,2반사부재(224,226)가 투명체(222)의 전후면에 적층되어도 무방하다.
제2실시예에 의하면, 제1실시예의 제1반사부재(224)와 제1반사부재(224) 사이 빈공간에 투명체(222)가 구비되어 빈공간을 채울 수 있어 전면의 하중 발생 시 하중에 의한 반사외곡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모듈(228)은 플랙시블 LED로 이루어지며, 후면하우징(210)의 내측면에 양면접착제(229)에 의해 부착된다. 이때, 발광모듈(228)의 부착공간을 확보하도록 투명체(222)는 CNC제단에 의해 일부 절개되어 발광모듈(228)의 설치공간을 확보된다.
또한, 3D광원부(220)의 전면에는 3D광원부(220)를 보호하는 보호부재(230)가 구비된다. 보호부재(230)는 투명에폭시수지로 이루어져 전면방수가 가능하고, 3D광원부(220)의 파손을 방지하며, 3D광원부(220)를 하우징(210)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간판(2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문자, 문양, 기호 등으로 형성되는 하우징(210)에 투명체(222)의 전후면에 제1,2반사부재가 구비되는 3D광원부(220)가 안착되고, 3D광원부(220)의 전측에 보호부재(230)가 구비되어 3D광원부(220)를 하우징(210)에 고정하고, 파손을 방지한다. 제1,2반사부재 사이에 투명체(222)가 구비됨에 따라 제1실시예와 달리 전면부 하중에 의한 반사외곡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의 경우, 제1실시예의 전면하우징(210)을 제거함으로써, 컴팩트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보호부재(230)에 의해 전면방수가 가능한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발명의 하우징(210)은 알루미늄 등의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져 자체 방열이 가능하다.
한편, 제2실시예 3D광원부(220)의 반복반사원리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술한 것으로 대신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판에 의하면, 하우징이 문자 또는 문양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되고, 제1,2반사부재에 의한 반복반사원리에 의해 입체 깊이감을 부여할 수 있어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컴팩트하고, 깔금한 구조 및 설치가 용이한 간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 제1실시예 >
100 : 간판 112 : 후면하우징
113 : 체결부재 114 : 전면하우징
115 : 개구홀 120 : 지지물
125 : 이격공간부 130 : 3D광원부
132 : 제1반사부재 134 : 제2반사부재
136 : 발광모듈 137 : 양면접착제
140 : 장착부 142 : 장착브라켓
144 : 고정부재 150 : 후광부재
< 제2실시예 >
100 : 간판 210 : 하우징
220 : 3D광원부 222 : 투명체
224 : 제1반사부재 226 : 제2반사부재
228 : 발광모듈 229 : 양면접착제

Claims (10)

  1. 문자, 문양, 기호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반사부재와, 상기 제1반사부재와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반사부재와, 상기 제1반사부재와 상기 제2반사부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는 발광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발광모듈의 광원이 상기 제1,2반사부재에 반사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입체 깊이감을 부여하는 3D광원부; 및
    상기 하우징을 피고정물에 장착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피고정체에 결합되는 장착브라켓; 및
    상기 장착브라켓에 상기 하우징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2반사부재 사이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제2반사부재와의 접촉이 방지되도록 이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격공간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2반사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2반사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부재와 상기 제2반사부재 사이에는 투명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부재는 하프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부재와 상기 제2반사부재는 상기 투명체에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장착브라켓을 이격시켜 고정하고;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는 상기 장착브라켓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후광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D광원부의 전면에는 상기 3D광원부를 보호하는 보호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KR1020130069475A 2013-06-18 2013-06-18 간판 KR101372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475A KR101372583B1 (ko) 2013-06-18 2013-06-18 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475A KR101372583B1 (ko) 2013-06-18 2013-06-18 간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583B1 true KR101372583B1 (ko) 2014-03-13

Family

ID=50648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475A KR101372583B1 (ko) 2013-06-18 2013-06-18 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5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232B1 (ko) 2018-04-20 2019-04-05 안의선 다중식 디스플레이 광고간판
KR20230051357A (ko) * 2021-10-08 2023-04-18 주식회사 에이치디사인 플렉시블 led를 이용한 간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225A (ko) * 2009-07-03 2011-01-11 김관형 3차원 입체 광고
KR101024693B1 (ko) * 2010-10-29 2011-03-25 (주)비젼테크솔루션 캡일체형바 알루미늄 전·후광 발광 가능한 엘이디 광고간판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225A (ko) * 2009-07-03 2011-01-11 김관형 3차원 입체 광고
KR101024693B1 (ko) * 2010-10-29 2011-03-25 (주)비젼테크솔루션 캡일체형바 알루미늄 전·후광 발광 가능한 엘이디 광고간판 조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232B1 (ko) 2018-04-20 2019-04-05 안의선 다중식 디스플레이 광고간판
KR20230051357A (ko) * 2021-10-08 2023-04-18 주식회사 에이치디사인 플렉시블 led를 이용한 간판
KR102569497B1 (ko) * 2021-10-08 2023-08-24 (주)에이치디사인 플렉시블 led를 이용한 간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7146B2 (ja) 発光エンブレム
JP6163271B2 (ja) 意匠性発光装置
EP3366517A2 (en) Illumination device for a vehicle
KR101372583B1 (ko) 간판
KR200448559Y1 (ko) 입체형 간판 설치대
CN109611701B (zh) 光源装置和照明器具
US20170130926A1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s
JP2009170246A (ja) バックライト装置
KR20180000639U (ko) 간판 문자 및 이를 갖는 입체 간판
KR101041976B1 (ko) 광고용 간판
JP5446594B2 (ja) 照明器具
JP6354366B2 (ja) 発光ユニット
KR20160101657A (ko) 다기능 액자
JP2019070783A (ja) 防水形導光表示板の放熱構造
JP2016122499A (ja) 照明装置
US10253930B2 (en) Lighting device with foldable housing
JP2010129316A (ja) 車両用灯具
EP3236138A1 (en) Led module and sign box
JP5842092B2 (ja) 屋外用照明器具
KR200492652Y1 (ko) 안내 표시기구
JP6862635B2 (ja) 照明装置
JP6022020B2 (ja) カバー、光源装置及び照明器具
JP6076444B2 (ja) 光源装置及び照明器具
KR20150003929U (ko) 간판 문자 및 이를 갖는 입체 간판
JP2017147089A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6